맨위로가기

내몽골 인민공화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내몽골 인민공화국은 1945년 9월 9일, 일본 제국의 괴뢰 정권인 몽강연합자치정부 붕괴 이후 쑤니터 우기에서 열린 인민대표대회를 통해 선포된 임시 정부이다. 몽골 청년 혁명당은 몽골 인민 공화국과의 통합을 통해 사회주의 실현을 목표로 했지만, 얄타 회담의 영향으로 몽골 정부가 병합 요구를 거부했다. 이후 소련과 몽골의 지원을 받지 못하게 되자, 중국 공산당의 개입으로 내몽골 인민 공화국은 해산되고, 내몽골 자치구가 수립되었다.

2. 역사

제2차 세계 대전일본 제국은 내몽골에 몽강연합자치정부라는 괴뢰 국가를 세웠으나, 1945년 8월 소련군과 몽골군의 만주 전략공세작전으로 해체되었다. 1945년 9월 9일 지금의 쑤니터 우기에서 '인민대표대회'가 열려 차하얼 성, 시린골 맹, 쓰쯔왕 등 지역 대표 80여 명이 참석했다. 의회는 내몽골 인민 공화국을 선포하고 27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임시 정부를 선출했으며, 이 중 11명은 상임위원회에 있었다.

중국공산당은 분리를 우려하여 우란푸를 보내 사태를 수습하게 하였고, 그는 내몽골 정부에 해산 명령을 내렸다. 이 지역은 후에 내몽골 자치구로 조직되었다.

1945년 일본 제국의 패망으로 몽골 연합 자치 정부는 붕괴되었다.[1] 소련과 몽골 연합군은 내몽골을 점령했고, 자치 정부 협력자들은 국민당에 의한 처벌을 우려하여 소련-몽골 연합군의 보호를 요청하며 몽골 국경으로 이동했다. 이로써 자치 정부는 기능을 상실했다.[1]

1944년, 몽골 인민 공화국과의 병합으로 사회주의 실현을 목표로 몽골 청년 혁명당이 조직되었다.[1] 이들은 국민당 지배하의 한족 우대 정책을 우려했다.[1] 폰타라를 중심으로 데므치그돈로브의 장남 都固尔苏隆|도갈수렌중국어 친왕과 알탄오치르 등 자치 정부 고관들이 결성한 내몽골 임시 인민위원회는 몽골 정부에 내외 몽골 통일을 요구했다.[1] 그러나 얄타 회담에 따른 중소 우호 동맹 조약에서 국민당 정부의 몽골 독립 승인과 교환 조건으로, 소련은 동투르키스탄과 내몽골 등에서 중국 내정에 간섭하지 않기로 약속하여 몽골 정부는 병합 요구를 거부했다.[1]

이러한 상황에도 자치 정부 고관과 청년 혁명당은 협력하여 쑤니터 우기의 데므치그돈로브 왕부에서 인민 대표 대회를 개최하고, 다음 달 내몽골 인민 공화국 임시 정부를 수립하여 내몽골 독립을 선언하고 임시 헌법을 발포했다.[1] 독립한 내몽골 인민 공화국은 소련과 몽골에 독립 승인 및 경제적, 군사적 원조를 요청하고, 몽골 라디오 방송국을 통해 내몽골 독립 뉴스를 방송해 줄 것을 요청했으나, 모두 거절당했다.[1]

소련과 몽골의 원조를 기대할 수 없게 되자, 처이발산은 내몽골 인민 공화국에 중국 공산당과의 연계를 지시했다.[1] 중국 공산당 몽골인 간부 우란푸는 공산당 정권에서의 민족 자치를 선전했다.[1] 또한 청년 혁명당에 대해서는 자치 정부 고관들의 반민족적 행위를 선전하는 등 정권 내부 분열 공작을 펼쳤고, 그 결과 10월 재선출된 각료 명단에서 청년 혁명당의 지지를 얻은 우란푸가 주석 겸 국방 장관에 취임했다.[1]

우란푸는 대표 취임 후, 물자 부족을 이유로 내몽골 인민 공화국 임시 정부를 장자커우로 이전했다.[1] 그리고 정부 기관이 장자커우로 이전된 단계에서 내몽골 인민 공화국의 해산을 선언하고, 그 후사를 중국 공산당에 일임하는 방침을 발표하며 대표직에서 물러났다.[1] 이후 우란푸는 동몽골 자치 정부와 통합하여 내몽골 자치 운동 연합회를 조직했고, 청년 혁명당은 공산당에 흡수되어 소멸되었으며, 정권 역시 중국 공산당에 흡수되어 사라졌다.[1]

2. 1. 고대

2. 2. 중세


  • 몽골부
  • 나이만부
  • 케레이트부
  • 메르키트부
  • 타타르부
  • 몽골 제국
  • *

2. 3. 근세

몽골 제국 붕괴 이후, 몽골은 여러 칸국으로 분열되었다. 북원, 오이라트 4부족 연맹, 카라델 칸국, 모굴리스탄 칸국 등이 이 시기에 등장했다. 17세기에는 만주족이 세운 청나라의 지배를 받게 되었으며, 외할하는 독립 칸부(세첸칸부, 투시예트칸부, 코토고이드부, 자사그투칸부)를 유지하려 노력했다. 중가르 칸국도 이 시기에 존재했다.

2. 4. 근대

중일 전쟁 시기에 일본 제국은 내몽골에 몽강연합자치정부라는 괴뢰 국가를 세웠다. 몽강연합자치정부는 1945년 8월 소련군과 몽골군의 만주 전략공세작전으로 해체되었다. 1945년 9월 9일 지금의 쑤니터 우기에서 '인민대표대회'가 열렸다. 이날 회의에는 차하르, 시링올, 시지왕 등 지역 대표 80여 명이 참석했다. 의회는 내몽골 인민 공화국을 선포했고, 27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임시 정부가 선출되었으며, 이 중 11명은 상임위원회에 있었다.

중국공산당은 분리를 우려하며 정부에 주목했다. 중국공산당은 우란푸를 보내 사태를 수습하게 하였고, 그는 내몽골 정부에 해산 명령을 내렸다. 이 지역은 후에 내몽골 자치구로 조직되었다.

2. 5. 현대


  • ᠪᠣᠭᠳᠠ ᠬᠠᠭᠠᠨᠲᠤ ᠮᠣᠩᠭᠣᠯ ᠤᠯᠤᠰ|보그다 칸국mn (1911년 ~ 1924년)
  • ᠪᠦᠭᠦᠳᠡ ᠨᠠᠶᠢᠷᠠᠮᠳᠠᠬᠤ ᠮᠣᠩᠭᠣᠯ ᠠᠷᠠᠳ ᠤᠯᠤᠰ|몽골 인민 공화국mn (1924년 ~ 1992년)
  • 몽골국 ᠮᠣᠩᠭᠣᠯ ᠤᠯᠤᠰ|몽골 울스mn (1992년 ~ 현재)


1945년 일본 제국의 패망으로 몽골 연합 자치 정부는 붕괴되었다.[1] 소련과 몽골 연합군은 내몽골을 침공하여 점령했고, 자치 정부에 협력했던 인사들은 국민당에 의해 처벌받을 것을 우려하여 소련-몽골 연합군의 보호를 요청하며 몽골 국경으로 이동했다. 이로써 자치 정부는 완전히 기능을 상실했다.[1]

1944년, 몽골 인민 공화국과의 병합을 통해 사회주의를 실현하고자 몽골 청년 혁명당이 조직되었다.[1] 이들은 국민당 지배하에서 한족 우대 정책이 시행될 것을 우려했다.[1] 폰타라를 중심으로 데므치그돈로브의 장남 都固尔苏隆|도갈수렌중국어 친왕과 알탄오치르 등 자치 정부 고관들이 결성한 내몽골 임시 인민위원회는 몽골 정부에 내외 몽골 통일을 요구했다.[1] 그러나 얄타 회담에 따라 체결된 중소 우호 동맹 조약에서 국민당 정부의 몽골 독립 승인과 교환 조건으로, 소련은 동투르키스탄과 내몽골 등에서 중국의 내정에 관여하지 않기로 약속했기 때문에 몽골 정부는 병합 요구를 거부했다.[1]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자치 정부 고관과 청년 혁명당은 협력하여 쑤니터 우기의 데므치그돈로브 왕부에서 인민 대표 대회를 개최하고, 다음 달 내몽골 인민 공화국 임시 정부를 수립하여 내몽골 독립을 선언하고 임시 헌법을 발포했다.[1] 독립한 내몽골 인민 공화국은 소련과 몽골에 독립 승인 및 경제적, 군사적 원조를 요청하고, 몽골 라디오 방송국을 통해 내몽골 독립 뉴스를 방송해 줄 것을 요청했으나, 앞서 언급된 이유로 모두 거절당했다.[1]

소련과 몽골의 원조를 기대할 수 없게 되자, 처이발산은 내몽골 인민 공화국에 중국 공산당과의 연계를 지시했다.[1] 중국 공산당 몽골인 간부 우란푸는 공산당 정권에서의 민족 자치를 선전했다.[1] 또한 청년 혁명당에 대해서는 자치 정부 고관들의 반민족적 행위를 선전하는 등 정권 내부 분열 공작을 펼쳤고, 그 결과 10월 재선출된 각료 명단에서 청년 혁명당의 지지를 얻은 우란푸가 주석 겸 국방 장관에 취임했다.[1]

우란푸는 대표 취임 후, 물자 부족을 이유로 내몽골 인민 공화국 임시 정부를 장자커우로 이전했다.[1] 그리고 정부 기관이 장자커우로 이전된 단계에서 내몽골 인민 공화국의 해산을 선언하고, 그 후사를 중국 공산당에 일임하는 방침을 발표하며 대표직에서 물러났다.[1] 이후 우란푸는 동몽골 자치 정부와 통합하여 내몽골 자치 운동 연합회를 조직했고, 청년 혁명당은 공산당에 흡수되어 소멸되었으며, 정권 역시 중국 공산당에 흡수되어 사라졌다.[1]

3. 내몽골 자치구

중일 전쟁 시기, 일본 제국은 내몽골에 몽강연합자치정부라는 괴뢰 국가를 세웠으나,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과 함께 소련 및 몽골 군대의 침공으로 몽강국은 해체되었다.

전후 내몽골에서는 독립 움직임이 일어났고, 1945년 9월 9일 쑤니터 우기에서 인민대표대회가 열려 내몽골 인민 공화국이 선포되었다. 그러나 중국 공산당은 분리주의를 우려하여 우란푸를 파견해 내몽골 정부를 해산시키고, 이 지역을 내몽골 자치구로 편성하였다.[1]

3. 1. 몽강연합자치정부 붕괴와 내몽골 인민 공화국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일본 제국의 패망으로 몽강연합자치정부는 붕괴되었다. 내몽골 지역에서는 독립을 위한 움직임이 일어났고, 1945년 9월 9일 쑤니터 우기에서 인민대표대회가 열렸다. 이 회의에는 차하얼 성, 시린골 맹, 쓰쯔왕 지역에서 온 80명의 대표가 참석하여 내몽골 인민 공화국을 선포하고, 27명으로 구성된 임시 정부를 선출했다. 이 중 11명은 상임위원회에 소속되었다.[1]

중국 공산당은 분리주의를 우려하여 우란푸를 파견, 내몽골 정부를 해산시키고 내몽골 자치구를 수립했다. 우란푸는 내몽골 인민 공화국 임시 정부를 설득하여 해산시키고, 이후 동몽골 자치 정부와 통합하여 내몽골 자치 운동 연합회를 조직했다.[1]

3. 2. 중국 공산당의 개입과 자치구 수립

중국 공산당은 내몽골 지역의 분리 움직임을 우려하여 우란푸를 파견해 사태를 수습하도록 하였다. 우란푸는 내몽골 정부에 해산을 명령했고, 이 지역은 내몽골 자치구로 편성되었다.[1]

우란푸는 중국 공산당 몽골인 간부로서, 공산당 정권 하에서 민족 자치를 실현할 수 있다고 선전하였다. 그는 내몽골 인민 공화국 임시 정부를 물자 부족을 이유로 장자커우로 이전시켰고, 정부 기관 이전 후 내몽골 인민 공화국의 해산을 선언하고 중국 공산당에 모든 것을 맡기는 방침을 발표하며 대표직에서 물러났다.

이후 우란푸는 동몽골 자치 정부와 통합하여 내몽골 자치 운동 연합회를 조직했다. 청년 혁명당은 공산당에 흡수되어 소멸되었고, 내몽골 인민 공화국은 중국 공산당에 흡수되어 사라졌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