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노르웨이 헌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르웨이 헌법은 1814년 5월 17일 제정되어, 1776년 미국 독립 선언과 프랑스 헌법의 영향을 받아 유럽에서 가장 민주적인 헌법으로 평가받았다. 덴마크-노르웨이 연합 왕국에서 스웨덴으로의 할양 이후, 노르웨이 독립 운동의 일환으로 제정되었으며, 1905년 스웨덴과의 연합 해체 이후 노르웨이의 독립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 헌법은 국왕, 왕실, 국무회의, 스토르팅(의회), 사법부, 인권 등 주요 내용을 담고 있으며, 2018년 개정된 121개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헌법은 노르웨이 헌법 기념일(5월 17일)과 의회 개원식 등 다양한 의례를 통해 기념되며, 2014년에는 언어 개정을 통해 현대 노르웨이어로 업데이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노르웨이 헌법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문서 이름 (원어)

국가노르웨이
제정일1814년 4월 10일 - 5월 16일
비준일1814년 5월 16일
입법일1814년 10월 7일
위치스토르팅
작성 기관노르웨이 제헌 의회
이전 법률왕의 법 (Lex Regia)
링크헌법 링크
노르웨이 헌법
1814년 11월 4일 노르웨이 헌법 표지
정치 체제
정치 형태입헌군주제
정부 형태의원내각제
삼권 분립사법, 행정, 입법
입법부단원제
행정부 수반노르웨이의 총리
사법부대법원, 탄핵 재판소, 하급 법원
연방제 여부아니오
선거인단 여부아니오
국가 원수노르웨이 왕국
기타
위키소스노르웨이 헌법

2. 역사

1814년 5월 에이즈볼에서 열린 건국 의회


헌법 초안이 작성된 장소인 에이즈볼스뷔닝엔


1814년 5월 16일, 수도 크리스티아니아(현재의 오슬로) 북쪽에 위치한 작은 마을 에이즈볼에서 열린 노르웨이 제헌의회에서 헌법이 채택되었고, 다음 날인 5월 17일에 서명되었다. 5월 17일은 현재 노르웨이 헌법 기념일로 기념되고 있다.

이 헌법은 1776년 미국 독립 선언과 1791년 프랑스 헌법에 영향을 받아 제정되었으며, 당시 유럽에서 가장 급진적이고 민주적인 헌법으로 여겨졌다. 이후 헌법은 여러 차례 개정되었으며, 가장 최근 개정은 1995년 7월 23일에 이루어졌다. 이 개정으로 국가의 행정권은 국왕의 ("제한적인") 책임에 있다고 명시되었고, 실제로는 입헌군주제, 의회민주주의로 기능하고 있다.

2. 1. 헌법 제정 (1814년)

1814년까지 노르웨이는 덴마크-노르웨이 연합왕국의 일부였다. 1813년 10월 라이프치히 전투에서 나폴레옹의 군대가 패배한 후, 1814년 1월 킬 조약에 따라 노르웨이는 스웨덴에 할양되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덴마크-노르웨이 왕세자이자 노르웨이의 총독이었던 크리스티안 프레드리크는 노르웨이 독립 운동을 시작했다. 그의 주도로 에이즈볼에서 국민의회가 소집되었다. 의회 대표들은 국교회의 교구와 노르웨이 전역의 군부대에 의해 선출되었고, 4월 10일 에이즈볼 저택에 모였다. 헌법은 1814년 봄 5주 동안 작성되었고, 5월 16일에 의회에서 비준되었으며,[4] 다음 날 서명되었다. 5월 17일은 현재 노르웨이 헌법 기념일로 기념되고 있다.

노르웨이 헌법은 1776년의 미국 독립 선언과 1789년의 프랑스 혁명, 그리고 그 이후의 미국과 프랑스 헌법에서 영감을 받았다. 저술가인 크리스티안 마누스 팔센과 요한 군더 아들러는 1812년 스페인 헌법의 영향도 받았다. 프랑스와 미국의 공화제 헌법과의 차이점은 군주제를 유지했다는 점이다. 에이즈볼의 입법자들은 공화주의를 수용하는 것은 프랑스와 미국을 직접 모방하려는 시도로 여겨 이를 피하려고 했다. 그러나 국왕의 권한은 심각하게 제한되었다. 법률에 대한 그의 절대 거부권은 제거되었다. 에이즈볼 의회는 왕세자 크리스티안 프레드리크를 국왕으로 선출했다. 헌법 위원회의 법률 비서였던 크리스티안 아돌프 디릭스는 의회의 외국 헌법 전문가였으며, 헌법의 어조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디릭스는 언론의 자유에 관한 100조와 부당한 압수수색을 방지하는 102조를 만들었다는 공로를 인정받고 있다.[5]

이 헌법은 급진적인 가치와 전통적인 가치가 혼합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 간의 권력 분립 원칙은 미국과 프랑스 제도의 급진적인 사상에서 직접 영감을 받았다. 국왕, 복음 루터교로 정의된 헌법상의 교회, 그리고 예수회, 수도원, 유대인 금지를 유지한 것은 전통적인 조치였지만, 국왕의 권력은 심각하게 제한되었고 교회는 선출된 기구의 통제를 많이 받았다. 참정권은 확대되었지만 여전히 특정 남성 집단으로 제한되었다. 자신의 땅을 소유한 농민, 공무원 또는 도시 부동산 소유자 남성 모두 투표할 수 있었다. 이로써 모든 노르웨이 남성의 약 절반이 투표권을 얻었다.

2. 2. 스웨덴과의 연합 (1814년 ~ 1905년)

스웨덴과의 전쟁은 불가피했다. 스웨덴의 노르웨이 원정은 단기간에 결정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하지만 훈련과 장비가 부족했던 노르웨이 군대는 결연하게 저항하여 콩스빙거에서 스웨덴군을 저지하고 랑네스 전투에서 전술적 승리를 거두었다. 이로써 국왕은 무조건 항복을 피하고 스웨덴과 협상을 할 수 있게 되었고, 모스 협약으로 이어졌다.[6]

스웨덴 왕세자 칼 요한(전 프랑스의 베르나도트 원수)은 노르웨이인들이 헌법을 유지하도록 했다. 스웨덴 왕세자는 노르웨이에 조건을 제시할 수도 있었지만, 노르웨이인들을 달래고 전쟁의 유혈 사태를 피하고 싶어했다. 정복당하고 적대적인 나라의 통치자로서 강제적인 동군연합을 하는 것은 매우 불안정할 것이라는 것을 깨닫고 그는 노르웨이의 제안을 받아들였다.[6] 그리하여 노르웨이는 스웨덴과 동군연합을 맺었고, 헌법은 스웨덴-노르웨이 연합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수정되었다. 노르웨이는 대부분의 제도를 유지했지만, 두 나라는 공통의 군주와 공통의 외교 정책을 공유하게 되었다.[6]

10월 7일, 스토르팅의 특별회기가 소집되었고, 크리스티안 프레드리크 국왕은 10월 10일 의회에 권력을 위임하고 퇴위했다. 스토르팅은 11월 4일 헌법 수정안을 채택했고, 같은 날 만장일치로 칼 13세를 노르웨이 국왕으로 선출했다. 이는 그를 국왕으로 인정하는 것이 아니라 국민의 의지에 따른 국왕이라는 개념을 강화한 것이다.[6]

2. 3. 연합 해체와 독립 (1905년)

1905년 91년간 지속된 연합이 해체되면서 연합 수정 조항들은 폐지되었다. 국왕 문제가 다시 논의되었고, 스토팅은 덴마크의 칼 왕자(Prince Carl)에게 왕위를 제안하기로 결정했다. 칼 왕자는 영국의 에드워드 7세의 딸인 모드 공주와 결혼하였다. 노르웨이는 영국 왕실과의 혈연 관계를 맺은 국왕을 맞이함으로써 영국의 지원을 얻을 수 있기를 기대했다. 게다가 칼 왕자는 아버지 쪽으로 노르웨이 중세 국왕들과도 친족 관계였다.[1]

그러나 칼 왕자는 노르웨이 내 공화주의의 급증과 노르웨이 왕위의 헌법적 상황을 잘 알고 있었다. 그는 국민투표를 통해 노르웨이 국민의 군주제에 대한 의사가 표명되고, 의회에서 그를 국왕으로 선출할 경우에만 왕관을 받아들이겠다고 주장했다. 11월 13일, 노르웨이 국민투표에서 78.9%의 압도적인 다수결로 군주제가 결정되었고, 칼은 스토팅에 의해 국왕으로 선출되어 호콘 7세라는 즉위명을 사용하게 되었다.[1]

2. 4. 제2차 세계 대전

1940년부터 1945년까지 노르웨이는 나치 독일에 의해 점령되었다. 이 기간 동안 헌법은 제 기능을 하지 못했다. 1942년, 나치 독일의 지원을 받는 비드쿤 퀴슬링 총리는 유대인의 입국을 금지하는 조항[7]을 다시 도입하려 했으나, 이 조항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폐지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평화가 찾아오고 헌법에 따른 통치가 회복되면서, 지난 5년간의 나치 점령 기간 동안 발생한 사건들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에 대한 많은 논쟁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논쟁에도 불구하고 헌법 자체는 변경되지 않았고, 헌법은 시련을 견뎌냈다.

2. 5. 현대의 헌법 발전

1814년 헌법은 당시 기준으로는 급진적인 헌법이었지만, 시대의 흐름에 따라 노르웨이 민주주의가 발전하면서 일부 내용은 시대에 뒤떨어지게 되었다. 예를 들어, 헌법상 국왕에게 귀속되었던 행정권은 점차 국왕의 국무회의(Statsråd)로 집중되었다. 1884년 의원내각제가 확립되면서 국무회의는 총선거를 통해 선출되었고, 국왕은 스토팅(노르웨이 의회)에서 다수당 또는 연합의 구성원만을 임명하게 되었다. 또한 국무회의는 불신임 투표를 통해 스토팅에 책임을 지게 되었다.[8]

덴마크-노르웨이 시절의 법률에서 유래한 헌법 제2조는 원래 복음 루터교를 국교로 명시하고, 예수회와 수도회의 활동을 금지했다. 그러나 1851년 헨리크 베르겔란의 노력으로 유대인 입국 금지 조항이 삭제되었고, 1897년에는 수도회 금지 조항도 삭제되었다. 예수회 금지는 1956년에야 해제되었다.

1898년에는 남성 보통선거권이, 1913년에는 여성 참정권이 포함된 보통선거가 헌법 개정을 통해 도입되었다.

일부 헌법 학자들은 노르웨이가 유럽 연합에 가입하려면 헌법 제1조("노르웨이는 자유롭고 독립적인 국가")를 개정해야 할 수도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1994년 국민투표 이후 EU 가입 논의는 잠잠해진 상태이다.

2004년에는 최고재판소의 법적 근거를 변경하고 정치적 편향을 줄이기 위한 헌법 개정 제안이 제출되었고, 2007년 스토팅의 만장일치로 통과되어 2009년에 시행되었다. 새로운 탄핵 재판소는 5명의 노르웨이 대법원 판사와 스토팅이 임명한 6명의 평의원으로 구성된다.[10]

2012년 5월, 의회는 교회와 국가를 분리하는 헌법 개정을 통과시켰다.[11] 이로써 노르웨이는 공식적인 종교가 없는 세속 국가가 되었지만, 노르웨이 교회는 여전히 헌법에 언급되어 있다. 국무회의 구성원 중 절반 이상이 국교 신자여야 한다는 헌법 제12조도 폐지되었다.[12][13][14]

헌법 제정 200주년을 기념하여 2011년 12월, 스토팅이 임명한 위원회는 인권을 헌법의 별도 장에 포함할 것을 제안하는 보고서를 제출했다.[15] 2014년, 헌법 제정 200주년을 맞아 인권 조항이 추가되었고, 현대 보크몰뉘노르스크로 개정되었다.[2]

3. 헌법의 주요 내용

2018년 5월에 개정된 현재 헌법은 A장부터 F장까지 총 121개의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다.[23]
A장 (제1조~제2조)A장은 노르웨이가 자유롭고 독립적인 왕국이며, 제한적이고 세습적인 군주제를 채택하고 있음을 명시한다. 국가의 가치는 기독교적이고 인본주의적인 유산, 민주주의, 법치주의와 인권에 기반한다.
B장 (제3조~제48조)B장은 국왕, 왕족, 국무회의, 노르웨이 교회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 국왕: 국가 원수로서 복음 루터교 신앙을 고백해야 하며, 국무회의 허가 없이 6개월 이상 국외에 체류할 수 없다.
  • 왕위 계승: 왕위 계승 순위를 규정하고, 계승 단절 시 스토팅이 새로운 국왕을 선출한다.
  • 국무회의: 국왕이 임명하는 최소 8명의 구성원으로 구성되며, 총리를 포함한다. 국무회의는 국왕 명의로 정부를 운영하며, 국왕의 모든 결정에는 공무원의 부서명이 필요하다.
  • 국왕의 권한: 국왕은 범죄자 사면(탄핵 사건 제외), 군 최고 사령관, 고위 관리 임명 및 해임 등의 권한을 가진다.
  • 왕족의 의무: 왕자와 공주는 국왕의 동의 없이 결혼할 수 없으며, 국왕 외 다른 사람에게 개인적으로 책임을 지지 않는다.
  • 노르웨이 교회: 국교로서 국가의 지원을 받지만, 모든 주민은 종교의 자유를 가진다.
  • 노르웨이 중앙은행: 노르웨이 중앙은행이 노르웨이의 중앙은행임을 명시한다.

C장 (제49조~제85조)C장은 스토팅과 시민의 권리에 관한 것이다. 주요 내용은 스토르팅 (의회)와 시민의 권리 (C장)에서 다룬다.
D장 (제86조~제91조)D장은 사법권에 관한 내용으로, 대법원과 탄핵 재판소에 대해 규정한다.

  • 대법원: 대법원장과 최소 4명의 대법관으로 구성되며, 30세 이상이어야 한다. 대법원의 판결은 최종적이다.
  • 탄핵 재판소: 스토팅 의원, 국무회의 의원, 대법원 구성원의 범죄 행위에 대한 절차를 심리한다. 대법원 상임 구성원과 스토팅이 선출한 구성원으로 구성된다.

E장 (제92조~제113조)E장은 다양한 인권을 규정한다. 국가 당국은 법원과 판사의 독립성을 보장해야 하며, 사미족의 언어, 문화, 생활 방식을 보존하도록 돕는다.
F장 (제114조~제121조)F장은 헌법 개정을 포함한 기타 다양한 조항을 규정한다. 주요 내용은 기타 조항 (F장)에서 다룬다.

3. 1. 스토르팅 (의회)와 시민의 권리 (C장)

노르웨이의 입법권은 스토르팅(Stortinget)에 있다.[8] 스토르팅은 국민이 선출하는 대표로 구성되며, 선거는 4년마다 실시된다.
시민의 참정권

  • 선거권: 18세 이상의 노르웨이 시민은 선거권을 가진다.
  • 피선거권: 선거권을 가진 시민은 스토르팅 의원으로 선출될 수 있다.
  • 보통 선거: 1898년 남성 보통선거권이 도입되었고, 1913년 헌법 개정을 통해 여성에게도 참정권이 부여되어 보통선거가 확립되었다.[8]

스토르팅 의원의 특권과 의무

  • 스토르팅 의원은 법률에 의해 정해진 특권을 가지며, 동시에 국민의 대표로서 의무를 다해야 한다.

3. 2. 기타 조항 (F장)

노르웨이 헌법 개정안은 스토팅의 새 회기가 시작된 후 첫 3년 안에 제안되어야 하며, 다음 회기 첫 3년 안에 의결되어야 한다. 개정안이 통과되려면 스토팅 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을 얻어야 한다.[2]

고위 공직자는 노르웨이 시민이어야 하며, 특정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모든 국민은 일정 기간 동안 군 복무를 해야 할 의무가 있다. 노르웨이 국기는 헌법에 명시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십자가 형태를 띤다.[2]

4. 헌법 관련 의례

노르웨이에서는 헌법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중요한 의례가 있다.


  • 헌법 기념일: 매년 5월 17일은 헌법 서명일로, 학교 어린이들의 국기 행진과 함께 기념된다.
  • 의회 개원식: 매년 가을, 국왕은 공식적으로 스토르팅을 개원한다.

4. 1. 헌법 기념일 (5월 17일)



5월 17일 헌법 서명일은 노르웨이 헌법 기념일로, 학교 어린이들의 국기 행진과 함께 기념된다. 수도 오슬로에서는 행진이 왕궁을 지나가는데, 수천 명의 어린이들이 국왕과 왕비에게 손을 흔든다. 노르웨이 헌법 기념일 축하 행사의 주목할 만한 특징은 군사 퍼레이드가 거의 없다는 점이며, 이 날은 거의 전적으로 민간인 축하 행사이다.

4. 2. 의회 개원식

매년 가을, 국왕은 공식적으로 스토르팅을 개원한다. 선거가 있는 해에는 각 주의 대표들이 합법적인 대표자로서 공식적으로 인정받는 것으로 회기가 시작된다. 이는 4년마다 발생하며(노르웨이 헌법은 임기 중 조기 선거를 허용하지 않는다).

회기가 개원되고 그 기간 동안 의장과 서기가 선출된 후, 국왕은 국가 원수로서 대표들에게 Trontale|트로탈레no(즉위 연설)를 한다.[21] 트로탈레는 정부의 향후 1년 계획을 요약하며, 국왕이 연설하지만 현 정부가 작성한다.[21] 트로탈레 이후에는 야당이 향후 1년간의 주요 입장을 밝히는 일반 토론이 이어집니다. 토론 후에는 내각의 최연소 구성원이 국가 현황 보고서를 낭독한다.[22]

5. 헌법의 언어

1814년 사건과 헌법은 노르웨이 정체성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이러한 이유로, 그리고 텍스트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2014년 언어 개정 이전의 변경 사항은 원문에 가까운 언어로 작성되었다. 1814년 당시 노르웨이에서는 덴마크어가 여전히 보편적인 서면 언어였다. 현재 노르웨이어의 두 가지 공식적인 문어 형태인 부크몰과 뉘노르스크(1929년까지 각각 리크스몰과 란드스몰이라고 불림)는 19세기 후반에 이르러서야 개발되었다. 1903년 헌법은 매우 약간의 언어적 개정을 거쳤는데, 1814년 이후로 철자가 바뀐 일부 단어의 철자를 변경했지만 여전히 보수적인 19세기 덴마크어를 사용했다.[2]

2014년 이전의 모든 개정안은 1903년판의 언어를 모방하려고 시도했으며, 이로 인해 특이한 구성이 생겨났다. '환경'이라는 단어는 고어체인 "Milieu"로 쓰였는데, 이는 현대 노르웨이어와 덴마크어 miljø|밀료no와 다르다. 그러나 그 단어의 현대적 의미는 19세기에는 존재하지 않았다. "사미 민족"은 den samiske Folkegruppe|덴 사미스케 폴케그루페no로 표기되었는데, "Sami"(samisk|사미스크no)라는 단어는 1970년대까지 흔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1814년과 1903년에는 라프어(lappisk|라피스크no)라는 단어가 사용되었을 것이다.

문서 전체의 언어를 개정하는 데는 여러 가지 접근 방식이 제안되었다.


  • 현대적인 용법과 철자법에 맞추어 언어를 개정한다.
  • 1903년 표준을 사용하지만, 최근 개정안이 해당 표준에 부합하지 않는 여러 구절을 수정한다.
  • 언어를 1814년 표준으로 되돌린다. 이에 대한 반론은 대부분의 현대 노르웨이인들이 읽기가 더 어려워질 것이라는 점이다.
  • 1917년, 1938년 또는 1959년 철자 개혁 중 하나로 언어를 업데이트한다. 이것은 여전히 상당히 보수적인 언어이지만 오늘날의 구어체에 더 가까울 것이다.


2014년 헌법의 언어가 공식적으로 개정되었을 때, 첫 번째 접근 방식을 채택하여 업데이트된 부크몰 버전과 완전히 새로운 현대 뉘노르스크 버전을 만들었다.[16] 한스 페테르 그라버 교수가 이끄는 위원회에서 뉘노르스크 버전을 편찬하였다.[17] 이전에는 노르웨이 왕국(Kongeriket Norge|콩에리케트 노르게nb, Kongeriket Noreg|콩에리케트 노레그nn)의 공식 명칭은 오래된 헌법에서 문자 그대로 가져온 경우 현대 덴마크어 형태와 같이 "Kongeriget Norge"였다.

노르웨이 헌법은 스토르팅이 제공하는 영어로 작성된 버전이 있다.[20]

참조

[1] 웹사이트 Kongeriget Norges Grundlov http://www.lovdata.n[...]
[2]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https://www.storting[...] 2021-02-21
[3] 웹사이트 Går utenom https://www.aftenpos[...] 2018-03-21
[4]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 Complete text https://web.archive.[...] 2016-11-30
[5] 백과사전 Christian Adolph Diriks http://www.snl.no/.n[...] Kunnskapsforlaget 2010-05-28
[6] 웹사이트 Det første overordentlige storting https://www.storting[...] 2021-02-21
[7] 웹사이트 1942–1945 https://www.storting[...] 2021-02-21
[8] 뉴스 Regjeringen går av http://www.vg.no/nyh[...] 2000-03-09
[9]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05-09-19
[10] 웹사이트 Riksrett https://www.storting[...] 2021-05-17
[11] 웹사이트 Norway makes another step in the long road to separating church and state http://www.secularis[...] 2018-03-21
[12] 웹사이트 'King Harald's faith' - comment in Aftenposten (in Norwegian) https://archive.toda[...] 2018-03-21
[13] 웹사이트 State church and church autonomy https://web.archive.[...] Peter Lang 2008-11-02
[14] 웹사이트 Lovdata http://www.lovdata.n[...] 2018-03-21
[15] 간행물 Dokument 16 (2011-2012), Rapport til Stortingets presidentskap fra Menneskerettighetsutvalget om menneskerettigheter i Grunnloven. Rapport fra Menneskerettighetsutvalget om menneskerettigheter i Grunnloven http://stortinget.no[...]
[16] 웹사이트 Kongeriket Norges Grunnlov http://lovdata.no/do[...] 2018-03-21
[17] 뉴스 Grunnloven blir nynorsk https://www.nrk.no/k[...] 2018-11-18
[18] 웹사이트 Grunnlovsforslag fra Marit Nybakk, Martin Kolberg, Jette F. Christensen, Hallgeir H. Langeland og Per Olaf Lundteigen om vedtak av Grunnloven på tidsmessig bokmål og nynorsk https://www.storting[...] 2018-03-21
[19] 웹사이트 Grunnlovsforslag fra Anders Anundsen, Per-Kristian Foss, Carl I. Hagen, Michael Tetzschner og Finn-Erik Vinje, vedtatt til fremsettelse av Anders Anundsen, Per-Kristian Foss og Michael Tetzschner om språklig fornyelse av Grunnloven https://www.storting[...] 2018-03-21
[20]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the Kingdom of Norway - Lovdata https://lovdata.no/d[...] 2021-02-21
[21] 웹사이트 The State Opening of the Storting http://www.stortinge[...] Stortinget (official Parliament website) 2013-11-29
[22] 웹사이트 The Report on the State of the Realm http://www.regjering[...] Government.no 2013-11-29
[23]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the Kingdom of Norway - Lovdata https://lovdata.no/d[...] 2021-02-21
[24] 웹사이트 Kongeriket Noregs grunnlov - C. Om borgarretten og den lovgjevande makta - Lovdata https://lovdata.no/d[...] 2021-0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