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는 어니스트 헤밍웨이가 스페인 내전을 배경으로 1939년에 집필한 소설이다. 스페인 공화국을 위해 싸우는 미국인 로버트 조던의 경험을 중심으로 전쟁의 참혹함과 인간의 연대, 사랑과 희생, 이념 갈등을 그린다. 존 던의 시구를 인용한 제목은 전쟁의 비극성과 인간 존엄성을 강조하며, 1940년 출판되어 퓰리처상 후보에 올랐으나 수상하지 못했다. 소설은 영화, 연극, 드라마 등 다양한 예술 작품으로 각색되었으며, BBC 선정 '가장 영감을 주는 소설 100권'에 포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페인 내전 소설 - 바람의 그림자
카를로스 루이스 사폰의 소설 《바람의 그림자》는 스페인 내전 직후 바르셀로나를 배경으로, '잊혀진 책들의 묘지'에서 훌리안 카락스의 책을 발견한 소년 다니엘이 작가와 책에 얽힌 미스터리를 추적하는 이야기이며, 사랑, 우정, 가족, 기억, 문학의 중요성 등 다양한 주제를 탐구한다. - 1940년 소설 - 냉동어
냉동어 문서는 아직 줄거리에 대한 내용이 없으며, 위키문헌에서 관련 원문 자료를 확인하고 지만지 지식공유 프로젝트의 결과물을 이용하여 작성되었다. - 1940년 소설 - 조용한 돈강
미하일 쇼로호프의 대표작인 《조용한 돈강》은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내전 시기 돈강 유역 코사크 공동체의 삶과 비극적인 사랑을 그린 대하소설로, 주인공 그리고리 멜레호프를 중심으로 전쟁의 참혹함과 정치적 혼란 속에서 고뇌하는 인간의 모습을 묘사하며 코사크의 전통적인 삶과 혁명의 소용돌이, 인물들의 입체적인 성격, 정치적 중립성을 특징으로 한다. - 스페인을 배경으로 한 소설 - 해저 2만리
《해저 2만리》는 1866년 미지의 해양 생물을 쫓던 프랑스 해양학자가 잠수함 노틸러스호에 억류되어 네모 선장과 함께 세계 바닷속을 탐험하며 해양 생물과 위험을 마주하고, 네모 선장의 과거와 복수심이 드러나는 모험 소설로, 과학 기술에 대한 낙관과 비판, 제국주의 비판, 환경 보호의 중요성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여러 차례 영상화되었다. - 스페인을 배경으로 한 소설 - 태양은 다시 떠오른다
어니스트 헤밍웨이가 1926년에 발표한 소설 《태양은 다시 떠오른다》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파리를 중심으로 방황하는 젊은 미국인과 영국인들의 이야기를 다루며 전쟁의 상흔과 잃어버린 세대의 모습을 그리고 있고, 특히 주인공 제이크 반스와 브렛 애슐리의 불안정하고 파괴적인 관계, 스페인 팜플로나의 산 페르민 축제 경험을 통해 전후 젊은이들의 허무주의와 좌절감을 묘사하며 문학계에 큰 영향을 미쳐 영화와 오페라로도 제작되었다.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 |
---|---|
개요 | |
![]() | |
제목 |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
원제 | For Whom the Bell Tolls |
저자 | 어니스트 헤밍웨이 |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
장르 | 전쟁 소설 |
출판사 | 찰스 스크리브너스 선스 |
출판일 | 1940년 10월 21일 |
기타 | |
관련 작품 |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영화) |
홀로코스트 백과사전 | https://encyclopedia.ushmm.org/content/en/article/spanish-civil-war |
2. 배경
어니스트 헤밍웨이는 1939년 쿠바 아바나, 미국 플로리다주 키웨스트, 아이다호주 선밸리에서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를 집필했다.[3] 쿠바에서는 호텔 아모스 문도스(Hotel Ambos Mundos)에 머물며 원고를 썼다.[5] 1940년 7월 뉴욕 인터콘티넨탈 뉴욕 바클레이 호텔에서 완성되었고,[7] 같은 해 10월에 출판되었다.[8]
이 소설은 헤밍웨이가 스페인 내전 당시 북아메리카 신문 연합(North American Newspaper Alliance)의 기자로 활동하며 겪었던 경험을 바탕으로 한다.[10] 스페인 내전을 배경으로 마드리드와 세고비아 사이의 시에라 데 구아다라마 산맥에서 4일 낮과 3일 밤 동안 이야기가 펼쳐진다.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는 북 오브 더 먼스 클럽(Book of the Month Club)에 선정되어 몇 달 만에 50만 부가 판매되었고, 퓰리처상 최종 후보에 올랐다.[11] 1940년 10월 21일에 출판된 초판은 75,000부였고 가격은 2.75USD였다.[12]
책의 제목은 존 던(John Donne)의 『우발적인 경우에 대한 경건한 묵상(Devotions upon Emergent Occasions)』(1624) 중 묵상 XVII에서 따왔다. 헤밍웨이는 책의 머리글(Epigraph (literature))에서 던의 묵상 일부를 인용했다.
2. 1. 역사적 배경
Guerra Civil Españolaes (1936-1939)는 소설의 주된 배경이다. 스페인 내전은 공화파 정부에 대항하여 프란시스코 프랑코를 중심으로 한 파시스트 세력이 일으킨 내전이다.[10][11] 헤밍웨이는 북아메리카 신문 연합(North American Newspaper Alliance)의 기자로 활동하며 스페인 내전을 직접 경험했고, 이를 바탕으로 소설을 썼다.[10][11]소설은 스페인 내전 2년차인 1937년 5월 말을 배경으로 한다.[16] 바야돌리드, 세고비아, 엘 에스코리알, 마드리드에 대한 언급은 소설이 공화파의 마드리드 포위망 해제 시도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일어났음을 보여준다.
소설 속에는 과달라하라 전투와 같은 실제 사건과 공화파 내부의 갈등이 배경으로 등장한다. 주인공 로버트 조던은 공산주의자들이 규율이 뛰어나 그들을 따른다고 언급하는데, 이는 공화파 내 아나키스트와 공산주의 분파 간의 분열을 암시한다.[47]
소설 10장에서 필라가 묘사하는 파시스트 처형 장면은 1936년 론다에서 일어난 실제 사건에서 영감을 얻었다.[17] 헤밍웨이는 론다 사건을 바탕으로 벼랑으로 이어지는 처형 장면을 극적으로 묘사했다.
소설에는 스페인 내전에 참여한 실존 인물들이 언급된다.
인물 | 설명 |
---|---|
안드레우 닌 | POUM (마르크스주의 통일 노동자당)의 창립자 중 한 명 (18장에서 카르코프가 비웃음) |
엔리케 리스터 | 마드리드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한 공산주의 지도자 |
미하일 콜초프 | 소련 언론인, 소설 속 카르코프 캐릭터의 모델 |
인다레시오 프리예토 | 공화파 지도자 중 한 명 (18장에서 언급) |
호세 미아하, 빈센테 로호 | 1936년 10월 마드리드 방어를 책임진 장군들 (35장에서 언급) |
돌로레스 이바루리 (라 파시오나리아) | 32장에서 자세히 묘사됨 |
로버트 헤일 메리먼 | 국제여단의 미국 자원병 지도자, 헤밍웨이 주인공의 모델이 되었을 가능성이 있음[18][19] |
앙드레 마르티 | 국제여단의 주요 프랑스 공산주의자이자 정치 장교 (42장에서 짧게 등장), 헤밍웨이는 마르티를 피해망상적인 음모가로 묘사 |
카롤 시에르체프스키 | 폴란드 출신 러시아 장군 골츠 |
프란시스코 프랑코 | 반군 사령관, 전쟁 후 독재자가 됨 |
스페인 내전에 참가한 미국인 로버트 조던은 중요한 교량을 폭파하는 임무를 맡고 파블로가 이끄는 게릴라 부대에 합류한다. 조던은 그곳에서 부모를 잃고 팔랑헤주의자에게 고통받은 마리아를 만나 사랑에 빠진다.[1]
3. 줄거리
조던의 임무는 적의 계획 변경으로 무의미해질 위기에 처하지만, 연락 두절로 작전은 계속된다. 조던은 결국 다리를 폭파하지만, 이 과정에서 중상을 입고 동료들과 헤어져 죽음을 맞이한다.[1]
몬태나 대학교 스페인어 교수였던 조던은 프란시스코 프랑코의 파시스트 세력에 맞서 싸우는 비정규 군인이었다. 그는 소련 장군의 명령으로 다리 폭파 임무를 받고, 안셀모의 안내로 시에라 데 과다라마 산맥에 숨겨진 게릴라 캠프에 도착한다. 그곳에서 조던은 아구스틴, 프리미티보, 페르난도, 안드레스, 엘라디오, 라파엘 등 다양한 게릴라 전사들을 만난다.[1]
조던은 마리아와의 만남과 사랑, 그리고 파블로와의 갈등을 겪는다. 파블로의 아내 필라르는 조던을 지지하며 파블로를 대신해 게릴라들을 이끈다. 엘 소르도가 이끄는 다른 게릴라 부대가 몰살당하고, 파블로는 폭파 장비를 훔쳐 달아나지만, 결국 후회하고 돌아와 작전을 돕는다.[1]
적의 매복으로 다리 폭파는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할 상황이었지만, 조던은 임무를 완수하기 위해 수류탄을 이용한 대체 방법을 고안한다. 작전 중 안셀모는 사망하고, 조던은 중상을 입는다. 그는 마리아와 게릴라들을 탈출시키고, 자신은 죽음을 기다리며 적 장교를 저격하려 한다.[1]
4. 등장인물
5. 주제와 상징
이 소설에는 대지나 지구의 이미지가 등장한다.[43] 제13장에서 조던과 마리아가 숲 속 초원에서 성관계를 할 때, 조던은 "땅이 그들 아래에서 움직여 멀어지는" 것을 느낀다. 그는 마리아에게 "땅이 움직이는 것을 느꼈니?"(Did thee feel the earth move?)라고 묻고, 마리아는 긍정적으로 답한다.
이 구절은 문화적인 상투어가 되었고[44], 종종 유머러스한 의미로 사용된다.[45]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는 "지구가 움직인다"(the earth moves)라는 구절이 실려 있으며, "오르가슴의 경험을 가리키기 위해 사용된다"고 설명하고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에서 처음 언급되었다"고 적혀있다.
5. 1. 전쟁의 비극성과 인간 존엄성
로버트 조던은 스페인 내전에 반파시스트 군으로 참전하여, 작전상 중요한 교량을 폭파하는 임무를 맡았다. 그는 파블로가 이끄는 게릴라 부대에 협조를 요청했고, 그 과정에서 부모가 살해당한 마리아를 만나 사랑에 빠진다. 그러나 작전 수행 중 적의 계획 변경으로 교량 폭파가 무의미해질 것을 알았지만, 연락이 닿지 않아 작전을 중단하지 못했다. 결국 그는 쓸모없는 다리 폭파 과정에서 중상을 입고, 동료들을 보낸 뒤 자신은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1]No man is an island|인간은 섬이 아니다영어라는 말처럼, 한 사람의 죽음은 인류 전체의 손실이다. 존 던은 누구를 위하여 종이 울리는지 묻지 말라고 말한다. 종은 바로 자신을 위해 울리는 것이기 때문이다.[1]
5. 2. 사랑과 희생
로버트 조던은 스페인 내전에 미국에서 자원한 반파시스트 군인으로 참전했다. 그는 작전상 중요한 교량을 폭파하는 임무를 맡고 파블로가 이끄는 게릴라 부대에 협조를 요청했다. 마리아의 부모는 게릴라 부대에 숨어있다가 살해되었는데, 로버트는 마리아를 만나 사랑에 빠지게 된다. 이후, 그는 작전을 수행 중에 적의 계획이 바뀌어 자신의 임무인 교량 폭파가 무의미해질 것을 알았다. 그러나 연락이 되지 않아 작전을 중단하지 않았고, 쓸모없는 줄 알면서도 다리를 폭파하였다. 이 과정에서 중상을 입고 동료를 놓쳐 자신은 죽음에 이르게 된다.[1]5. 3. 이념과 갈등
스페인 내전에 반파시스트 군으로 참전한 미국인 로버트 조던은 작전상 중요한 교량 폭파 임무를 맡아 파블로가 이끄는 게릴라 부대에 협조를 요청한다. 한편, 마리아의 부모는 게릴라 부대에 숨어있다가 살해되었고, 로버트는 마리아를 만나 사랑에 빠진다. 이후, 작전 수행 중 적의 계획 변경으로 교량 폭파가 무의미해질 것을 알게 된 로버트는 연락 두절로 작전을 중단하지 못하고, 쓸모없음을 알면서도 다리를 폭파한다. 이 과정에서 중상을 입은 그는 동료들을 먼저 보내고 자신은 죽음을 맞이한다.5. 4. 흙과 땅의 이미지
소설에는 흙과 땅의 이미지가 등장한다.[13] 이 이미지는 13장의 시작 부분에서 매우 유명하게 나타난다. 조던과 마리아는 숲 속의 초원에서 성관계를 갖는다. 그는 "땅이 그들 아래에서 움직여 멀어지는" 것을 느낀다. 그런 다음 그는 마리아에게 "땅이 움직이는 것을 느꼈니?"라고 묻고, 그녀는 긍정적으로 대답한다. 이 구절의 변형은 문화적 클리셰가 되었으며,[14] 종종 유머러스하게 사용된다.[15]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는 '땅이 움직인다'라는 구절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오르가슴을 경험하는 것을 지칭하는 데 사용됨'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에서 처음 사용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6. 실제 사건과의 연관성
이 소설은 스페인 내전이 한창이던 1937년 5월 하순을 배경으로 한다.[46] 바야돌리드, 세고비아, 엘 에스코리알, 마드리드에 대한 언급은 소설 속 사건들이 공화파가 마드리드 포위를 풀려는 시도의 준비 단계에서 일어났음을 암시한다.
과달라하라 전투와 그 이전의 혼란과 무질서는 스페인 공화주의의 파멸적인 대의의 배경이 되었다. 예를 들어, 주인공 로버트 조던은 공화주의의 훌륭한 규율을 위해 공산주의를 따른다고 말하는데, 이는 공화파 내 아나키스트와 공산주의자 사이의 분열과 내분을 암시한다.
소설의 10장에서는 필라르가 마을에서 여러 파시스트들이 처형되는 모습을 묘사하는데, 이는 1936년 론다에서 일어난 실제 사건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다. 헤밍웨이는 1954년 버나드 베렌슨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 장면이 완전히 허구라고 주장했지만, 실제로는 론다에서의 사건을 바탕으로 벼랑 끝까지 이어지는 처형선을 상상하여 각색한 것이다.[47]
이 책에서는 스페인 내전에서 역할을 한 여러 실존 인물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6. 1. 소설 속 실제 인물
- 안드레우 닌: POUM(마르크스주의 통일 노동자당)의 창립자 중 한 명으로, 18장에서 카르코프에게 조롱당한다.[16]
- 엔리케 리스터: 마드리드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한 공산주의 지도자이다.[16]
- 미하일 콜초프: 소련 언론인으로, 소설 속 카르코프 캐릭터의 모델이다.[16]
- 인다레시오 프리예토: 공화파의 지도자 중 한 명으로, 18장에서 언급된다.[16]
- 호세 미아하 장군과 빈센테 로호 장군: 1936년 10월 마드리드 방어를 책임졌으며, 35장에서 프리예토와 함께 언급된다.[16]
- 돌로레스 이바루리(라 파시오나리아): 32장에서 자세히 묘사된다.[16]
- 로버트 헤일 메리먼: 국제여단의 미국 자원병 지도자. 헤밍웨이에게 잘 알려졌으며, 헤밍웨이 자신의 영웅 모델이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8][19]
- 앙드레 마르티: 국제여단의 주요 프랑스 공산주의자이자 정치 장교. 42장에서 짧지만 중요한 등장을 한다. 헤밍웨이는 마르티를 전쟁에서 공화파의 목표를 방해하는 피해망상적인 음모가로 묘사한다.[16]
- 카롤 시에르체프스키 (General Golz): 폴란드 출신 러시아 장군이다.[16]
- 프란시스코 프랑코: 전쟁 후 집권 독재자가 될 반군 사령관이다.[16]
7. 비평과 영향
BBC 뉴스는 2019년 11월 5일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를 가장 영감을 주는 소설 100권 목록에 포함시켰다.
하지만, 출판 이후 헤밍웨이 소설의 문체와 대화는 부정적인 비평을 받기도 했다. 에드먼드 윌슨은 로버트 조던과 마리아의 관계에서 "문학적인 중세주의의 이상한 분위기"가 느껴진다고 평했다.[21] 또한, 소설 속 대화는 대부분 스페인어를 직역한 것으로, 어색한 영어 표현이 많다는 지적도 있었다.[22] 예를 들어, 헤밍웨이는 "무슨 일이지?"를 what passes that영어라고 표현했는데, 이는 스페인어 qué pasa quees를 직역한 것이다. 이러한 번역은 "오역"으로 이어져, "strange" 대신 rare영어 (raroes에서), "trade union" 대신 syndicate영어 (sindicatoes에서)와 같이 사용되었다.[23]
7. 1. 출판 당시의 반응
1940년 미국 우체국은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를 우편물로 취급할 수 없다고 선언했다.[20]1941년 퓰리처상 문학 부문 심사위원회는 만장일치로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를 그해 퓰리처상 소설 부문 수상작으로 추천했고, 퓰리처 위원회도 이에 동의했다. 그러나 당시 컬럼비아 대학교 총장이자 퓰리처 위원회 당연직 의장이었던 니컬러스 머레이 버틀러는 이 소설이 불쾌하다는 이유로 위원회를 설득하여 결정을 뒤집었다. 결국 그해 소설 부문에서는 퓰리처상이 수여되지 않았다.[24]
1973년 터키에서는 이 책이 "국가에 불리한 선전"을 포함하고 있다는 이유로 금지되었다.[20] 그해 2월 21일, 11명의 터키 출판업자와 8명의 서점업자가 "이스탄불 계엄 사령부의 명령을 위반하여 책을 출판, 소지, 판매한 혐의"로 이스탄불 군사 재판소에서 재판을 받았다. 그들은 1개월에서 6개월의 징역형과 책 몰수를 선고받을 수 있었다.[20]
1944년 이 책은 아르헨티나의 출판사 에디토리얼 클라리다드(Editorial Claridad)에 의해 스페인어로 처음 출판되었으며, 이후 아르헨티나 또는 멕시코에서 여러 판이 제작되었다. 스페인에서는 처음 프랑코주의 검열 당국에 의해 매우 의심스러운 시선을 받았다. 1942년~1943년에 스페인 외교단은 소설을 기반으로 한 할리우드 영화의 최종 편집에 영향을 미치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며, 이 영화는 스페인 극장에서 상영이 허가되지 않았다. 1953년 『노인과 바다』가 마드리드에서 출판된 이후, 헤밍웨이의 대부분의 단편 소설과 장편 소설이 스페인에서 출판되었다. 그러나 이 소설은 신문에서 가끔 논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는 예외였다. 이 책의 출판 금지는 1968년 말에야 해제되었다. 그해 말까지 『Por quién doblan las campanas』가 에디토리얼 플라네타에 의해 출판되었다.[25]
7. 2. 언어 및 문체 비평
출판 이후, 헤밍웨이 소설의 문체와 대화는 부정적인 비평을 받아왔다. 에드먼드 윌슨은 미온적인 서평에서 로버트 조던과 마리아의 관계에서 "문학적인 중세주의의 이상한 분위기"가 부담스럽다고 언급했다.[21]게다가, 소설의 대화 대부분은 스페인어에서 직역된 것으로, 종종 어색한 영어 표현을 만들어낸다. 예를 들어, 헤밍웨이는 라는 표현을 사용했는데,[22] 이는 스페인어 표현 를 직역한 것이다. 이러한 번역은 "오역"으로 확장되어, "strange" 대신 , "trade union" 대신 와 같이 사용된다.[23]
7. 3. 현대적 평가와 영향
2019년 11월 5일 BBC 뉴스는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를 가장 영감을 주는 소설 100권 목록에 포함시켰다.8. 각색
이 소설은 여러 작품에 영향을 주었다. 1943년 샘 우드 감독, 게리 쿠퍼, 잉그리드 버그먼 주연의 동명의 영화가 대표적이다. 이 영화는 제16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9개 부문에 후보로 올라 여우주연상을 받았다.[26]
1959년 CBS 플레이하우스 90에서 2부작 드라마로, 1965년 BBC에서 4부작 연속극과 미니시리즈로 제작되었다. 1978년 다카라즈카 가극단이 뮤지컬 드라마로 각색했으며, 2010년과 2011년 재공연되었다. 2014년 BBC 라디오 4에서 2부작 시리즈로 극화되었다.[28][56]
2012년 영화 《헤밍웨이와 겔혼》은 헤밍웨이가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집필을 마치려던 스페인 내전 시기 스페인 체류 경험과 마사 겔혼과의 관계를 다룬다.[57] 헤밍웨이는 겔혼에게서 영감을 받아 이 소설을 썼고, 겔혼에게 헌정했다.[58]
8. 1. 영화
1943년 샘 우드 감독이 제작하고 게리 쿠퍼, 잉그리드 버그먼이 주연한 동명의 영화가 유명하다. 이 영화는 스페인 내전에 참전한 미국인 반파시스트 군인 로버트 조던이 게릴라 부대에 합류하여 교량 폭파 임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마리아와 사랑에 빠지지만, 결국 작전 중 사망하는 비극적인 이야기를 담고 있다. 제16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9개 부문 후보에 올랐으며,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26] 일본어판 제목은 『誰が為に鐘は鳴る』이다.8. 2. 텔레비전 드라마
- 1959년, CBS의 플레이하우스 90에서 2부작 드라마가 방송되었다.
- 1965년, BBC는 4부작 미니시리즈를 제작했다.
8. 3. 연극
1978년 다카라즈카 가극단은 이 소설을 뮤지컬 드라마(누구를 위해 종은 울리나: ''Dare ga Tame ni Kane wa Naru'')로 각색했다.[26] 2010년과 2011년에 재공연되었다.[27] 코스모스(Cosmos) 조는 2011년에 이 쇼를 다시 상연했다.[27]8. 4. 라디오 드라마
2014년 10월, BBC 라디오 4에서 2부작 시리즈로 극화되었다.[28][56]참조
[1]
백과사전
Holocaust Encyclopedia
https://encyclopedia[...]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2019-06-15
[2]
서적
Ernest Hemingway: The Critical Heritage
Routledge
[3]
Harvnb
[4]
웹사이트
Hunting for Hemingway in Yellowstone country
https://web.archive.[...]
2016-10-01
[5]
Harvnb
[6]
웹사이트
Finca Vigia
https://books.google[...]
[7]
웹사이트
History: For Whom the Bell Tolls Written at the Barclay
https://web.archive.[...]
2017-07-21
[8]
Harvnb
[9]
Harvnb
[10]
저널
Hemingway On Spain: Unedited Reportage
https://archive.nyti[...]
1988-08-30
[11]
Harvnb
[12]
문서
Oliver
[13]
서적
Hemingway's Tribute to Soil
iUniverse
[14]
서적
For whom the bell tolls: Ernest Hemingway's undiscovered country
https://archive.org/[...]
Twayne Publishers
[15]
서적
The Facts on File dictionary of clichés
Infobase Publishing
[16]
문서
Chapter 13
[17]
저널
Revolution in Ronda: The facts in Hemingway's For Whom the Bell Tolls
1997-09-01
[18]
뉴스
'Spain in Our Hearts' tells the American story of the Spanish civil war
http://www.latimes.c[...]
2018-03-04
[19]
뉴스
Casualties of a 'Pure War'
https://www.nytimes.[...]
2017-07-08
[20]
웹사이트
Banned & Challenged Classics
https://www.ala.org/[...]
2021-06-20
[21]
저널
Return of Ernest Hemingway
1940-10-28
[22]
문서
For Whom
[23]
저널
Bilingual Wordplay: Variations on a Theme by Hemingway and Steinbeck
[24]
뉴스
Publishing: Pulitzer Controversies
https://www.nytimes.[...]
1984-05-11
[25]
서적
Hemingway and Franco
[26]
웹사이트
For Whom the Bell Tolls (Star, 1978)
https://www.takawiki[...]
[27]
웹사이트
For Whom the Bell Tolls (2011)
https://letterboxd.c[...]
[28]
웹사이트
For Whom the Bell Tolls
https://www.bbc.co.u[...]
[29]
웹사이트
A Spanish romance
http://www.theolivep[...]
The Olive Press
2015-12-14
[30]
문서
For Whom
[31]
백과사전
Holocaust Encyclopedia
https://encyclopedia[...]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2019-06-15
[32]
서적
Ernest Hemingway: The Critical Heritage
Routledge
[33]
Harvnb
[34]
웹사이트
Hunting for Hemingway in Yellowstone country
https://web.archive.[...]
2016-10-01
[35]
Harvnb
[36]
웹사이트
One source, however, says he began the book at the Sevilla Biltmore Hotel and finished it at "Finca Vigia"
https://books.google[...]
[37]
웹사이트
History: For Whom the Bell Tolls Written at the Barclay
https://web.archive.[...]
2017-07-21
[38]
논문
Meyers
[39]
논문
Meyers
[40]
뉴스
Hemingway On Spain: Unedited Reportage
https://archive.nyti[...]
1988-08-30
[41]
논문
Meyers
[42]
서적
Oliver
[43]
서적
Hemingway's Tribute to Soil
iUniverse
[44]
서적
For whom the bell tolls: Ernest Hemingway's undiscovered country
https://archive.org/[...]
Twayne Publishers
[45]
서적
The Facts on File dictionary of clichés
Infobase Publishing
[46]
문서
第13章で、ロバート・ジョーダンは「戻るのは37歳の秋になるだろう。私は36歳の夏に旅立った......」と考えた後、山間部の異常な降雪について「今頃? ほとんど6月に?」とコメントしている。
[47]
논문
Revolution in Ronda: The facts in Hemingway's For Whom the Bell Tolls
1997-09
[48]
뉴스
'Spain in Our Hearts' tells the American story of the Spanish civil war
http://www.latimes.c[...]
Los Angeles Times
2018-03-04
[49]
뉴스
Casualties of a 'Pure War'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7-07-08
[50]
웹사이트
Banned & Challenged Classics
https://www.ala.org/[...]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2021-06-20
[51]
뉴스
Return of Ernest Hemingway (Review of For Whom the Bell Tolls)
New Republic
1940-10-28
[52]
문서
such as on For Whom (p. 83)
[53]
논문
Bilingual Wordplay: Variations on a Theme by Hemingway and Steinbeck
[54]
뉴스
Publishing: Pulitzer Controversie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84-05-11
[55]
서적
Hemingway and Franco
[56]
웹사이트
BBC Media Centre
https://www.bbc.co.u[...]
[57]
뉴스
A Spanish romance
http://www.theolivep[...]
The Olive Press
2015-12-14
[58]
문서
For Whom (p. vii) – "''This book is for MARTHA GELLHORN''".
[59]
뉴스
북한은 헤밍웨이를 어떻게 보고 있을까?
http://www.nkeconomy[...]
NK경제
2022-12-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