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더바르님 철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더바르님 철도는 베를린과 브란덴부르크 동부 지역에서 철도 운송 사업을 하는 회사이다. 최대 주주는 베를린 산업철도 회사이며, NEB Betriebsgesellschaft GmbH를 통해 철도 운송 사업을 운영한다. 주요 노선으로는 하이데크라우트선이 있으며, 1901년 설립되어 1927년 현재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현재 지멘스 미레오+B 배터리 전기 동차, 지멘스 미레오+H 수소 동차, PESA 링크 디젤 동차를 운행하며, 2024년부터 하이브리드 전동차와 수소 전동차를 도입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란덴부르크주의 철도 - 중부독일 S반
중부독일 S반은 독일 중부 할레와 라이프치히를 중심으로 운행하는 광역 철도 시스템으로, 2004년 통합 후 2013년 노선망 재편을 거쳐 현재 11개 노선이 운영되며 인근 지역 주민들의 주요 교통 수단이다. - 브란덴부르크주의 철도 - 중부엘베 S반
중부엘베 S반은 독일 작센안할트주의 S반 시스템으로 1974년 개통 이후 할레와 마그데부르크를 잇는 급행 노선을 포함한 여러 노선을 운행하며, 2018년 명칭 변경과 2022년 역 추가 개통을 거쳐 2024년 현재 구역 요금제를 적용하고 특정 노선에서 특정 모델의 전동차가 운행되고 있다. - 2005년 설립된 철도 기업 - 도난 이사리비 철도
도난 이사리비 철도는 홋카이도 신칸센 개통으로 JR 홋카이도로부터 이관받은 에사시 선의 일부 구간을 운영하는 제3섹터 철도 회사로, 관광열차 운행 및 다양한 승차권 제공을 통해 지역 관광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 2005년 설립된 철도 기업 - 렌페
렌페는 1941년 스페인 철도 국유화로 설립되어 2005년 분리된 스페인 국영 철도 운영 회사로, 광궤와 표준궤를 혼용하여 고속철도를 포함한 다양한 열차를 운행하며, 2021년부터 국내 여객 서비스 경쟁 체제를 도입했다. - 베를린의 철도 - 이노트란스
이노트란스는 1996년 베를린에서 시작된 세계 최대 규모의 철도 기술 박람회이며, 철도 운송, 인프라, 터널 건설 등 다양한 분야의 최신 기술을 전시하고 2년마다 개최된다. - 베를린의 철도 - 베를린 U반
베를린 U반은 1902년에 개통하여 9개의 노선으로 운영되는 베를린의 도시 철도 시스템이며, 소형 및 대형 규격 차량을 사용하고, 베를린 분단 시기에는 노선 분할 등의 변화를 겪었으나 통일 이후 재건되어 도시 전역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수단이다.
니더바르님 철도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형태 | 주식회사 |
설립일 | 1900년 2월 12일 |
소재지 | 바스도르프 |
국가 | 독일 |
서비스 지역 | 베를린, 동부 브란덴부르크, 루부시 주 |
주요 인물 | 데틀레프 브뢰커, 제바스티안 아흐터만 |
서비스 | 여객 운송, 철도 인프라 관리 |
홈페이지 | www.neb.de |
2. 지분 구조
니더바르님 철도 AG(Niederbarnimer Eisenbahn AG|NEB AGde)는 다양한 주주가 지분을 나누어 소유하고 있다.[1] 최대 주주는 베를린 항만 운영사(BEHALA)와 Captrain 도이칠란트가 공동 출자한 베를린 산업철도 회사(Industriebahn-Gesellschaft Berlin GmbH|IGBde)로, 전체 지분의 66.92%를 보유하고 있다.[1] 그 외 오버하펠군, 바르님군, 메르키슈오데를란트군, 오데르슈프레군 등 4개 군이 합쳐서 26%의 지분을 가지고 있으며, 브란덴부르크 시 및 지방 자치 단체 협회(6.16%)와 연선상의 여러 소규모 지자체(총 0.92%)도 주주로 참여하고 있다.[1]
열차 운행을 담당하는 NEB Betriebsgesellschaft GmbHde는 니더바르님 철도 AG의 100% 자회사이다.[1] 또한 니더바르님 철도 AG는 쇤하이헤-뤼더스도르프 트램과 볼터스도르프 트램을 운영하는 Schöneiche-Rüdersdorfer Straßenbahn GmbHde의 지분 70%도 보유하고 있다.[1]
2. 1. 주요 주주
니더바르님 철도(NEB)는 다양한 주주가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1] 최대 주주는 베를린 산업철도 회사(Industriebahn-Gesellschaft Berlin GmbH|IGBde)로, 전체 지분의 66.92%를 보유하고 있다. IGB는 프랑스 국영 철도 회사(SNCF) 그룹의 일부인 Captrain 그룹(50.2%)과 베를린 항만 및 창고 관리국(BEHALA)(49.8%)이 공동으로 출자한 회사이다.그 외 주요 주주 구성은 다음과 같다.
주주 | 지분율 (%) |
---|---|
베를린 산업철도 회사 (Industriebahn-Gesellschaft Berlin GmbH|IGBde) ( Captrain 그룹 50.2%, BEHALA 49.8% 공동 출자) | 66.92 |
오버하펠 군 | 8.86 |
바르님 군 | 6.90 |
메르키슈오데를란트 군 | 6.87 |
오데르슈프레 군 | 3.37 |
브란덴부르크 시 및 지방 자치 단체 협회 | 6.16 |
연선 소단위 지자체 (반트리츠, 바스도르프, 쇤발데, 클로스터펠데, 체르펜슐로이세, 그로스 쇠네벡, 벤지켄도르프, 체렌도르프, 크로이츠브루흐, 마리엔베르더) | 0.92 |
[1]
니더바르님 철도(NEB)는 여러 철도 노선을 보유 및 운영하고 있다. 핵심 노선은 1901년부터 운영된 하이데크라우트선으로, 베를린 빌헬름스루역에서 시작하여 바스도르프를 거쳐 그로스 쇠네베크까지 이어지며, 바스도르프에서 리벤발데 방면 지선이 갈라져 나간다.
3. 보유 노선
또한, 베를린-카로역에서 바스도르프 및 벤지켄도르프를 거쳐 슈마흐텐하겐까지 이어지는 구간도 운영하고 있다. 이 구간은 1950년 도이체 라이히스반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이후 NEB가 인수하였다.
과거에는 1925년에 건설된 테겔-프리드리히스펠데 산업선도 보유하고 있었다. 이 노선은 베를린 북동부 지역과 테겔항 및 여러 주요 철도 노선을 연결하는 역할을 했다.[18]
3. 1. 주요 노선
NEB의 핵심 노선은 하이데크라우트선으로, 1901년 5월 21일 'Reinickendorf-Liebenwalde-Groß Schönebecker Eisenbahn AG'에 의해 개통되었다. 이 노선은 베를린 빌헬름스루역 (당시 라이니켄도르프 역)에서 시작하여 바스도르프, 클로스터펠데를 거쳐 그로스 쇠네베크까지 이어진다. 바스도르프에서는 벤지켄도르프를 지나 리벤발데로 가는 지선이 분기한다. 1920년대 베를린 시민들에게 인기 있는 여행 경로가 되면서 "하이데크라우트반(Heidekrautbahn)"이라는 별칭을 얻었다.[2]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 분단과 1961년 베를린 장벽 건설로 인해 서베를린에 속했던 베를린 빌헬름스루역 방면 구간의 운행이 중단되었다. 현재 해당 구간(바스도르프-빌헬름스루)은 슈타들러 레일 팡코 공장 인입선 등 화물 운송 및 비정기 열차만 운행한다.[2] 벤지켄도르프와 리벤발데 사이의 지선 구간은 1997-1998년 이후 여객 및 화물 운송이 모두 중단되었다.[2] NEB는 2001년부터 단절된 쇤발데에서 베를린 빌헬름스루까지의 원래 주 노선 구간 재건을 계획하고 있다.[2][3]
NEB는 1950년 도이체 라이히스반이 건설한 베를린-카로역 (역 자체는 제외)에서 바스도르프, 벤지켄도르프를 거쳐 슈마흐텐하겐까지 이어지는 구간도 운영한다. 이 노선은 동독 시절 베를린 외부 화물선의 일부로 건설되었으며, NEB는 2000년에 베를린-카로-쇤발데 구간을, 2001년에 벤지켄도르프-슈마흐텐하겐 구간을 DB 네츠로부터 인수했다.[2] 2005년 12월부터 NEB는 자회사 'NEB Betriebsgesellschaft mbH'를 통해 이 노선(베를린-카로 ~ 그로스 쇠네베크/슈마흐텐하겐)에서 RB27 여객 열차 운행을 다시 시작했다.[2]
과거 NEB는 1925년 건설된 테겔-프리드리히스펠데 산업선도 보유하고 있었다. 이 노선은 베를린 북동부 지역과 테겔항, 베를린 북부선, 크레멘선, 슈체친선, 동방철도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특히 동베를린에 위치했던 슈테른라디오, NILES 건설기계 등 여러 공장의 인입선과 연결되어 1990년대까지 화물 운송에 활발하게 이용되었다. 또한 프리드리히스펠데 축산시장, 베를린 북부의 프랑스 점령지구, 다른 도이치반 노선과도 연결되었다.[18]
4. 광역 철도
NEB는 자회사 '''NEB Betriebsgesellschaft mbH'''(NEBB)를 통해 베를린과 브란덴부르크 동부 지역에서 철도 운송 사업자로서 광역 철도 교통을 운영하고 있다.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교통조합(VBB)의 회원사로서 다른 대중교통 사업자들과 공동 승차권을 사용하며, 모든 차량은 자사의 바스도르프 사업소에 배속되어 있다.
NEBB는 2005년 12월 하이데크라우트선(현재 RB27)에서 여객 운수를 시작했으며, 2007년에는 베를린-리히텐베르크역과 폴란드 코스트신나트오드롱을 잇는 동방철도 노선(RB26)의 운영권을 따냈다. 이 노선은 한때 "오더란트반(Oderlandbahn)"이라는 별칭으로 불렸다.[19] 2006/07년 기준 NEB는 VBB 전체 철도 운행량의 약 1%를 담당했다.[20]
2011년에는 베를린 S반 차량 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RB27 노선 일부 열차를 베를린 게준트브루넨역까지 임시 연장 운행하기도 했다.
2013년과 2014년, VBB와의 계약을 통해 동부 브란덴부르크 지역의 여러 노선(Netz Ostbrandenburg) 운영권을 순차적으로 확보하여 운영 노선을 크게 확장했다.[21][22] 이 과정에서 기존 차량 외에 PESA 링크 디젤 동차를 도입했으나, 2016년 기존 차량의 화재 사고와 신규 도입 차량의 형식 승인 지연으로 운행에 차질을 빚기도 했다.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요아힘스탈-템플린 구간(RB63 연장) 시범 운행을 했으나, 승객 부족 및 노선 유지보수 문제로 중단되었다.[23]
2021년, NEB는 동부 브란덴부르크 노선 운영 계약을 2036년까지 연장했으며, 하이데크라우트선 운영 계약도 2034년까지 연장했다.[24][5][6] 이 계약들을 통해 2024년 12월부터 기존 디젤 열차를 배터리 전동차와 수소 열차로 전환할 계획이다.[9][10][11]
4. 1. 현재 운영 노선

NEB는 자회사 '''NEB Betriebsgesellschaft mbH'''(NEBB)를 통해서 철도 운송 사업자로서 베를린과 브란덴부르크 동부 지역의 철도 교통을 운영하고 있다. 다른 베를린과 브란덴부르크의 대중 교통 사업자들과 같이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교통조합(VBB)의 회원사이며, 공동 승차권을 사용한다.[19][20] NEB의 모든 차량은 자사의 바스도르프 사업소에 배속되어 있다.
NEB는 동부 브란덴부르크 지역의 여러 노선(Netz Ostbrandenburg)과 하이데크라우트선(Heidekrautbahn)의 운영권을 가지고 있다. 현재 "Netz Ostbrandenburg 2" 계약(RB12, RB25, RB26, RB35, RB36, RB54, RB60, RB61, RB62, RB63 노선 포함)과 "Heidekrautbahn" 계약(RB27 노선) 모두 2024년 12월부터 2034년 12월까지 유효하다.[5][6][7][8]
이 계약들에 따라 NEB는 2024년 12월까지 기존에 사용하던 디젤 열차에서 배터리 또는 수소를 사용하는 친환경 열차로 전환할 예정이다. "Netz Ostbrandenburg 2" 노선에는 지멘스 미레오+B 배터리 전기 동력 분산식 열차가 투입될 예정이며, 다만 RB26 노선은 예외적으로 일부 PESA 링크 디젤 열차를 계속 사용할 예정이다.[9] "Heidekrautbahn" 노선에는 지멘스 미레오+H 수소 열차가 투입될 예정이다.[10][11]
또한 2023년 9월부터 테슬라를 대신하여 에르크너역에서 팡슐로이세 공장까지 무료 공공 셔틀 열차(RB TES)를 운영하고 있다. 2024년 8월부터는 기존의 디젤 열차 대신 지멘스 미레오+B 배터리 전기 동력 분산식 열차를 임대하여 사용하고 있다.[12][13]
현재 NEB가 운영하는 12개의 여객 철도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14]
- 지역 노선 RB12: 베를린 오스트크로이츠 – 베를린 리히텐베르크 – 오라니엔부르크 – 뢰벤베르크 (마르크) – 템플린 슈타트
- 지역 노선 RB25: 베를린 오스트크로이츠 – 베를린 리히텐베르크 – 아렌스펠데 – 베르노이헨
- 지역 노선 RB26: 베를린 오스트크로이츠 – 베를린 리히텐베르크 – 슈트라우스베르크 – 베르비히 – 퀴스트린-키츠 – 코스트신 (폴란드) (– 고르주프 비엘코폴스키 – 크시츠)
- 지역 노선 RB27 (하이데크라우트선): 베를린 카로 – 바스도르프 – 벤지켄도르프 – 슈마흐텐하겐 / 클로스터펠데 – 그로스 쇠네베크
- 지역 노선 RB35: 퓌르스텐발데 (슈프레) – 바트 자로-피스코
- 지역 노선 RB36: 쾨니히스 부스터하우젠 – 베스코 – 프랑크푸르트 (오더)
- 지역 노선 RB54: (베를린 리히텐베르크 – 오라니엔부르크 –) 뢰벤베르크 (마르크) – 헤르츠베르크 (마르크) – 라인스베르크 (마르크)
- 지역 노선 RB60: 에베르스발데 – 브리첸 – 베르비히 – 프랑크푸르트 (오더)
- 지역 노선 RB61: 앙거뮌데 – 슈베트 (오더)
- 지역 노선 RB62: (에베르스발데 –) 앙거뮌데 – 프렌츨라우
- 지역 노선 RB63: 에베르스발데 – 요아힘스탈
- 지역 노선 RB TES: 에르크너 – 팡슐로이세 테슬라 쥐트
5. 역사
니더바르님 철도(NEB)의 역사는 1900년대 초, 하이데크라우트선 연선 지자체들이 모여 철도 회사를 설립하고, 베를린-빌헬름스루에서 출발하여 바스도르프를 거쳐 리벤발데와 그로스 쇠네베크로 이어지는 지역 철도 노선을 건설하여 운영하면서 시작되었다. 1927년에는 회사명을 현재의 ''니더바르님 철도 주식회사''(Niederbarnimer Eisenbahn-Aktiengesellschaft, NEB)로 변경했다.[2] 이 노선은 베를린 시민들에게 인기 있는 나들이 코스가 되면서 1920년대에 '하이데크라우트반'(Heidekrautbahn, 황야의 풀 철도)이라는 애칭을 얻게 되었다.[2] 이후 테겔-프리드리히스펠데 산업선 등을 편입하며 노선을 확장했고, 1930년대에는 전철화 계획이 세워질 정도로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1943년 기준 베를린시가 최대 주주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NEB는 소련 점령 하에 놓인 브란덴부르크와 서베를린을 연결하는 독특한 위치에 놓였다. 동독 정부가 대부분의 사설 철도를 국유화했지만, NEB는 서베를린 자산 보유를 근거로 법적 실체를 유지할 수 있었다. 1950년, NEB는 모든 자산의 "관리 및 사용권"만을 독일국영철도(DR)에 양도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 계약에는 독일 재통일 시 재협상한다는 조건이 포함되어 있었다.[2][25] 이로 인해 NEB 노선과 시설은 사실상 독일국영철도 네트워크의 일부로 운영되었으나, 회사는 서베를린에서 법적으로 존속하며 신탁 형태로 운영되는 이례적인 상황이 이어졌다.
1961년 8월 베를린 장벽 건설은 NEB 운영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빌헬름스루와 동독 지역을 잇는 노선 운행이 중단되고 국경에 의해 노선이 물리적으로 분단되었다. 서베를린 구간은 소규모 화물 운송 외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2] 독일국영철도는 운행 구간을 베를린 카로-바스도르프 구간으로 변경하여 베를린 S반과 연결했다. 1983년에는 남부 일부 구간의 여객 운행마저 중단되었다.[2]
1990년 독일 통일 이후 NEB는 활동을 재개하여 1993년부터 일부 구간에서 화물 운송을 다시 시작했다. 1950년 계약의 재협상 조항에 따라 도이치반 AG(DB)와의 협상을 거쳐 1998년, 하이데크라우트선을 포함한 주요 자산을 완전히 반환받았다.[2] 이후 NEB는 2000년대 초반 DB 네츠로부터 일부 노선을 추가 매입하고,[2] 약 1700만유로를 투자하여 노선 보수 및 시설 개량 공사를 진행했다.
2004년, NEB는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교통 연합(VBB)의 입찰에서 승리하여 2005년 12월부터 자사 노선(RB27)에서 직접 여객 열차 운행을 재개했다. 이는 55년 만의 일이었다.[2] 유럽 연합 규정에 따라 철도 인프라 관리(NEB AG)와 운송 사업(자회사 ''NEB Betriebsgesellschaft mbH'')을 분리하여 운영하고 있다.[2] 2006년에는 베를린과 폴란드 코스트신을 잇는 RB26 노선의 운영권을 따내며 국제 노선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했다.[2] 2010년에는 지선 구간의 속도 향상을 위해 EU 구조 기금 지원을 포함한 투자를 통해 최고 속도를 시속 50km에서 80km로 높였다.
5. 1. 주요 사건
하이데크라우트선 연선 지자체들은 1900년 2월 12일 ''Reinickendorf-Liebenwalde-Groß Schönebecker Eisenbahn AG''라는 이름으로 회사를 설립했다.[2] 1901년 5월 21일, 베를린 빌헬름스루(Klbf)에서 리벤발데 및 그로스 쇠네베크 방면으로 여객 열차 운행을 시작했다. 1927년 1월 8일(또는 1927년부터), 회사명을 현재의 ''Niederbarnimer Eisenbahn AG''(NEB)로 변경했다.[2]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 점령 하의 동독 정부는 대부분의 사유 철도를 국유화했으나, NEB는 서베를린에도 자산을 보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법적 실체를 유지할 수 있었다. 1950년 6월 28/29일 체결된 계약(1950년 7월 1일 발효)을 통해, NEB는 모든 자산의 "관리 및 사용권"을 독일국영철도(DR)에 양도했다. 이 계약에는 독일 통일 시 재협상한다는 조건이 포함되어 있었다.[2][25]
1961년 8월 베를린 장벽이 건설되면서 빌헬름스루-리벤발데, 그로스 쇠네베크 간 운행이 중단되었고, 노선이 물리적으로 분단되었다. 서베를린 구간은 소규모 화물 운송을 제외하고는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2] 독일국영철도는 운행 경로를 베를린 카로-바스도르프 구간으로 변경하여 베를린 S반과 연결했다. 1983년 5월 27일에는 쇤발데 분기점에서 베를린-블랑켄펠데까지 이어지는 남부 구간의 여객 영업이 중단되었다.[2]
1990년 독일 통일 이후 NEB는 다시 활동을 시작했으며, 1993년에는 빌헬름스루-바스도르프 구간에서 화물 운송을 재개했다. 도이체반 AG(DB)와의 오랜 협상 끝에 1950년 계약의 재협상 조항이 발동되어, 1998년 9월 1일 하이데크라우트선을 포함한 주요 자산을 NEB가 완전히 반환받았다.[2]
2000년 7월 1일에는 DB 네츠로부터 카로-바스도르프 구간을, 2001년에는 벤지켄도르프-슈마흐텐하겐 구간을 매입했다.[2] 2004년, NEB는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교통 연합(VBB)의 입찰에서 낙찰받아 RB27 노선의 운영권을 확보했다. 유럽 연합 규정에 따라 철도 운영을 분리하기 위해 2004년 12월 17일 자회사인 ''NEB Betriebsgesellschaft mbH''를 설립했다. 2005년 12월 11일, NEB는 55년 만에 자체 노선에서 여객 운송을 다시 시작했다.[2] 2006년 12월에는 폴란드의 코스트신까지 운행하는 RB26 노선의 운영권을 DB 레기오와의 경쟁에서 따내 운행을 시작하며 사업 영역을 국제적으로 확장했다.[2]
6. 차량
NEB의 모든 차량은 자회사인 NEB Betriebsgesellschaft mbH(NEBB) 소속이며, 바스도르프에 위치한 자체 사업소에 배속되어 관리된다.
과거 NEB는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교통조합(VBB)과의 계약에 따라 동부 브란덴부르크 지역 노선 운영을 위해 봄바디어 탈렌트 디젤 동차(DMU) 16편성과 슈타들러 레지오-셔틀 RS1 10편성을 운행했다.[21][22][17] 그러나 2016년 1월에는 탈렌트 1편성이 화재로 소실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RB 26 노선 등에는 폴란드의 PESA 사에서 제작한 PESA 링크 디젤 동차를 투입했다.[21] 초기에는 형식 승인 지연 문제로 운행에 어려움을 겪었으나, 2016년 6월부터 2량 편성 차량의 운행이 시작되어 RB 26 및 RB 54 노선에 주로 투입되었다. 당초 주문했던 3량 편성 차량 2편성은 제작사의 납기 지연 문제로 인해 2량 편성 4편성으로 변경되었고, 이로 인해 독일 연방 철도청의 형식 승인을 다시 받아야 했다. 최종적으로 PESA 링크 차량의 상업 운행은 2018년 12월부터 가능해졌다. 현재 NEB는 11편성의 PESA 링크 디젤 동차를 운행하고 있다.[16]
이 외에도 NEB는 차량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철도 회사로부터 차량을 임대하여 사용하고 있다. ODEG로부터 슈타들러 GTW 3편성을, DB 레지오로부터는 기관차 견인 객차를 임대하여 운행에 투입하고 있다.[17]
최근 NEB는 친환경 철도 운행을 확대하기 위해 새로운 동력원의 차량 도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2021년 지멘스 모빌리티에 미레오+B 배터리 전기 동차 31편성을 발주했으며, 이 차량들은 2024년부터 순차적으로 도입되어 운행 중이다.[26][16] 미레오+B는 전철화 구간에서는 전기로 운행하며 배터리를 충전하고, 비전철화 구간에서는 배터리 동력으로 운행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이다. 배터리만으로 최소 90km를 주행할 수 있으며, 회생 제동을 통해 에너지 효율을 높였다. 이 차량들의 도입으로 기존 디젤 동차를 대체하여 연간 약 4400000L의 디젤 연료와 이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크게 절감할 것으로 기대된다.[26]
또한, NEB는 미레오+H 수소 동차 7편성도 주문했다.[27] 이 차량들은 2024년 가을까지 납입되어 같은 해 12월부터 NEB의 주요 노선인 하이데크라우트선(RB27)에 투입될 예정이다. 현재 NEB는 미레오+H 7편성을 운행 목록에 포함하고 있다.[16] 이러한 배터리 및 수소 연료 전지 기반의 친환경 열차 도입은 지속 가능한 교통 시스템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평가받는다.
7. 계획
니더바르님 철도(NEB)는 미래에도 지속 가능한 철도 운송 시스템을 구축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환경 문제에 대응하고 효율적인 교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친환경 기술 도입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주요 계획 중 하나는 기존의 디젤 동차를 점진적으로 퇴출하고, 이를 대체할 차세대 친환경 열차를 도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배터리 전동차와 수소 연료 전지로 구동되는 열차 도입을 추진 중이며, 이는 대기 오염 물질 배출을 줄이고 기후 변화 대응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친환경 열차 도입은 NEB가 운영하는 노선의 특성을 고려하여 계획되었으며, 전철화 구간과 비전철화 구간 모두에서 효율적인 운행이 가능하도록 할 예정이다.
이러한 노력은 단순히 환경 보호에 기여하는 것을 넘어, 지역 주민들에게 더 나은 교통 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역 교통망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자세한 친환경 열차 도입 계획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7. 1. 친환경 열차 도입
2021년 말 지멘스 Mireo Plus B|미레오 플루스 Bde 전동차 31편성을 발주했으며, 2024년부터 영업 운행을 시작할 예정이다.[26] 이 전동차는 전차선으로 급전받는 동시에 배터리를 이용한 운행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형태로 설계되었다. 이를 통해 기존의 디젤 동차를 대체하여 연간 약 440.00000000000006만L의 디젤 연료 소비와 이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NEB가 운영하는 노선 중 일부는 전철화되어 있어, 해당 구간에서는 전기로 운행하면서 동시에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배터리만으로 운행할 수 있는 거리는 최소 90km이며, 회생 제동을 통해 얻은 전력도 배터리에 저장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인다. 새로운 열차 도입은 배차 간격 단축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26]또한, NEB는 지멘스 모빌리티의 Mireo Plus H|미레오 플루스 Hde 수소 전동차 7편성도 주문했다.[27] 이 수소 열차는 2024년 가을까지 납입될 예정이며, 같은 해 12월부터 NEB의 주요 노선인 하이데크라우트선(RB27)에서 운행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디젤 연료를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 교통 시스템 구축에 한 걸음 더 나아가게 된다.
참조
[1]
웹사이트
Gesellschafterstruktur
https://www.neb.de/u[...]
2024-08-09
[2]
웹사이트
Historie
https://www.neb.de/u[...]
2024-08-09
[3]
웹사이트
Stammstrecke der Heidekrautbahn
https://www.neb.de/s[...]
2024-08-09
[4]
웹사이트
Durchbindung Joachimsthal - Templin endet am 11.12.2022
https://www.neb.de/a[...]
2024-08-09
[5]
웹사이트
Netz Ostbrandenburg
https://www.vbb.de/v[...]
Verkehrsverbund Berlin-Brandenburg
2024-08-09
[6]
웹사이트
Übersicht des SPNV-Wettbewerbs vergangener und kommender Jahre
https://wettbewerb.s[...]
Knut Rosenthal
2024-08-10
[7]
웹사이트
Netz Heidekrautbahn
https://www.vbb.de/v[...]
Verkehrsverbund Berlin-Brandenburg
2024-08-09
[8]
웹사이트
Vergabeverfahren Heidekrautbahn
https://www.vbb.de/v[...]
Verkehrsverbund Berlin-Brandenburg
2024-08-09
[9]
웹사이트
Batterieelektrische Züge für das Netz Ostbrandenburg
https://www.neb.de/a[...]
2024-08-09
[10]
웹사이트
Die Heidekrautbahn bekommt Wasserstoffzüge
https://www.neb.de/a[...]
2024-08-09
[11]
웹사이트
Erste Züge mit Wasserstoffantrieb für die Metropolregion Berlin-Brandenburg
https://www.neb.de/a[...]
2024-08-09
[12]
웹사이트
Tesla hat eigenen Bahnshuttle zur Grünheider Fabrik gestartet
https://www.rbb24.de[...]
2024-08-09
[13]
웹사이트
Batteriebetriebener Zug-Shuttle zum Tesla-Werk nimmt Betrieb auf
https://www.rbb24.de[...]
2024-08-09
[14]
웹사이트
Die Linien der NEB im Überblick
https://www.neb.de/l[...]
2024-08-10
[15]
웹사이트
Gleisanlagen / Strecke
https://www.neb.de/u[...]
2024-08-09
[16]
웹사이트
Start für klimafreundliche Antriebe
https://www.neb.de/a[...]
Niederbarnimer Eisenbahn
2024-12-18
[17]
웹사이트
Fahrzeuge
https://www.neb.de/u[...]
2024-08-09
[18]
웹사이트
Daten nach Beefland Privat und Kleinbahnen
http://www.beefland.[...]
[19]
뉴스
Mehr Züge von Strausberg nach Berlin
http://www.berliner-[...]
Berliner Zeitung
2005-08-02
[20]
간행물
VBB-Verbundbericht 2006/2007
http://www.vbbonline[...]
[21]
간행물
Zuschlag für Netz Ostbrandenburg erteilt
http://images.vbb.de[...]
[22]
웹인용
Zuschlag für Netz Ostbrandenburg Vorlauf erteilt
http://www.vbb.de/de[...]
2023-01-15
[23]
웹인용
RB63 Durchbindung Joachimsthal - Templin endet am 11.12.2022
https://www.neb.de/a[...]
2023-01-16
[24]
웹사이트
https://www.vbb.de/p[...]
[25]
서적
[26]
뉴스
Niederbarnimer Eisenbahn ersetzt Dieseltriebwagen durch Batteriezüge
https://www.rbb24.de[...]
RBB24
2022-01-09
[27]
뉴스
Berlin/Brandenburg: Mireo-Plus-H für die Heidekrautbahn bestellt
https://www.lok-repo[...]
Lok-Report
2022-06-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