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니시구치 후미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시구치 후미야는 1995년부터 2015년까지 세이부 라이온스에서 21년간 활약한 일본 프로 야구 선수이다. 고등학교 시절 투수로 전향하여 릿쇼 대학에서 2부 리그 최우수 투수상을 수상했고, 1994년 드래프트에서 세이부 라이온스에 3순위로 지명되었다. 1997년에는 다승왕, 최다 탈삼진, MVP, 사와무라상 등을 석권하며 최고의 시즌을 보냈으며, 통산 182승, 2067탈삼진을 기록했다. 2015년 은퇴 후에는 세이부 라이온스 구단에서 코치 및 팜 감독을 거쳐 2025년부터 감독으로 취임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와카야마시 출신 - 사부 (영화 감독)
    사부는 일본의 영화 감독이자 배우로, 1996년 《탄환 런너》로 감독 데뷔 후 독특한 연출 스타일과 사회 비판적 메시지를 담은 작품들로 국제적인 인정을 받으며 활발히 활동 중이다.
  • 와카야마시 출신 - 코니시 카츠유키
    코니시 카츠유키는 캇타 성우학원 출신으로 다양한 애니메이션과 게임에서 주역 및 조역을 맡아 폭넓은 연기를 선보인 일본의 남자 성우이며, 제9회 성우 어워드 남우 조연상을 수상했고, 게이머이자 극단 헤로헤로Q 컴퍼니 부좌장으로도 활동한다.
  • 릿쇼 대학 동문 - 타케우치 료마
    타케우치 료마는 축구선수를 꿈꿨으나 부상으로 포기 후 모델로 데뷔, 《가면라이더 드라이브》 주연을 맡아 인기를 얻고 다수의 드라마와 영화에 출연하며 연기력을 인정받아 여러 상을 수상한 일본의 배우이다.
  • 릿쇼 대학 동문 - 즈강
    즈강은 중국 태생의 대만 불교 승려이자 학자, 작가, 법고산의 창시자로, 불교 승려가 된 후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법고산을 창립하여 불교 세계화에 기여했다.
  • 사와무라 에이지상 수상자 - 다나카 마사히로
    다나카 마사히로는 '마군'이라는 애칭으로 불리는 일본의 우완 투수로, 라쿠텐 시절 압도적인 기량과 메이저리그 활약, 그리고 요미우리 자이언츠 입단까지 일본과 미국 프로야구에서 큰 족적을 남겼으며, 뛰어난 제구력과 다양한 변화구를 바탕으로 수많은 타이틀과 수상 경력을 자랑한다.
  • 사와무라 에이지상 수상자 - 마쓰자카 다이스케
    마쓰자카 다이스케는 '헤이세이의 괴물'이라 불리며 고시엔에서 활약한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NPB와 메이저 리그에서 활동하며 WBC MVP를 두 차례 수상했고 올림픽에도 참가했다.
니시구치 후미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니시구치 후미야,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니시구치,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시절
이름니시구치 후미야 (西口 文也)
출생일1972년 9월 26일
출생지와카야마현 와카야마시
신장182cm
체중75kg
포지션투수/코치/감독
투구/타석우투/우타
프로 입단1994년 (드래프트 3위)
선수 경력
소속 팀세이부 라이온스/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1995년 ~ 2015년)
첫 출장1995년 8월 16일
마지막 출장2015년 9월 28일 (은퇴 경기)
데뷔 리그NPB
데뷔 팀세이부 라이온스
최종 리그NPB
최종 팀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통산 성적 (NPB)182승 118패, 평균 자책점 3.73, 2,082 탈삼진
지도자 경력
코치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2017년 ~ 2024년)
감독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2025년 ~ 현재)
수상
MVP1997년 퍼시픽 리그 MVP
올스타4회 (1996년, 1997년, 1999년, 2005년)
승리왕2회 (1997년, 1998년)
탈삼진왕2회 (1997년, 1998년)
사와무라 에이지 상1회 (1997년)
베스트 나인2회 (1997년, 1998년)
골든 글러브3회 (1997년, 1998년, 2002년)
일본 시리즈 우승2회 (2004년, 2008년)
기타 정보
별명오츠 (尾辻)
고교와카야마현립 와카야마 상업 고등학교
대학릿쇼 대학

2. 선수 경력

세이부 라이온스·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1995년 ~ 2015년)

2. 1. 프로 입단 전

시립 니시와사 초등학교와 시립 타카즈미 중학교 시절에는 유격수와 외야수로 활약했다. 와카야마 현립 와카야마 상업고등학교에서는 1학년 때 부원이 10명밖에 없는 상황에서 투수를 겸임했다. 고등학교 입학 초기에는 2루수를 희망했지만, 근육통으로 인해 2루수 실격 판정을 받고 투수로 전향했다. 피칭 머신도 없는 환경에서 타격 투수를 하던 중 좋은 공을 던지는 것에 주목받아 투수로 전향하게 되었다. 고등학교 시절에는 스트레이트와 커브만 던질 수 있었고, 최고 구속은 136km/h였다. 여름 고시엔 현 예선 준준결승에 진출했지만, 세이린 고등학교에 패배하며 무명 선수였다.

릿쇼 대학 진학 후 투수에 전념하여, 도토 대학 야구 리그 2부 리그에서 최우수 투수상을 수상했다. 추계 리그에서 5승을 거두며 팀의 2부 리그 우승을 이끌었고, 도쿄 농업 대학과의 승강전을 통해 팀을 1부 리그로 승격시켰다. 그러나 이듬해 춘계 리그에서는 최하위를 기록하며 고쿠시칸 대학과의 승강전에서 패배, 다시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 2부 리그에서 맞이한 마지막 해인 94년 추계 리그에서 우승하고, 아시아 대학과의 승강전에서 2승을 거두며 팀을 다시 1부 리그로 승격시켰다. 1부 리그 통산 5경기 0승 3패, 평균자책점 1.74, 39탈삼진, 2부 리그 통산 28경기 14승 4패를 기록했다. 대학 시절 슬럼프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슬라이더를 습득했고, 구속을 158km/h까지 향상시켰다.

세이부 라이온즈 스카우트는 사카이 히로키를 시찰하던 중 니시구를 발견하고 "이쪽이 더 낫다"고 판단하여 프로 입문의 계기가 되었다. 드래프트 회의에서 세이부로부터 3순위 지명을 받아 입단했다. 등번호는 '''13'''번으로, 현역 은퇴 때까지 21년 동안 착용했다.[4]

2. 2. 세이부 라이온스 시절 (1995-2015)

1994년 드래프트 3순위로 세이부 라이온스에 입단했다.[25] 1995년, 토미오카 히사타카와 함께 미국 독립 리그 수시티 익스플로러스로 야구 유학을 떠나 주무기인 체인지업을 익혔다.[9] 1996년에는 선발 로테이션에 합류하여 규정 투구 이닝을 채우고 16승을 거두며 신인왕 후보로 거론되었고, 리그 최다 완투(13회)를 기록했다.

1997년에는 개막전 선발 투수로 출전, 다승왕(15승), 최다 탈삼진(192개), 최고 승률(.750), MVP, 베스트 나인, 골든 글러브상, 사와무라상을 수상하며 최고의 시즌을 보냈다.[10][11] 일본 시리즈 1차전에서는 이시이 카즈히사와 맞붙었으나 패전 투수가 되었다.[12] 1998년에도 개막전 선발 투수를 맡았지만, 시즌 초반 부진으로 구원으로 전환되기도 했다. 그러나 6월 17일 선발 복귀 후 시즌 첫 완봉승을 기록하는 등 부활하여 타케다 카즈히로, 쿠로키 토모히로와 함께 13승으로 2년 연속 다승왕을 차지했고, 최다 탈삼진(148개), 베스트 나인, 골든 글러브상도 2년 연속 수상했다.[16] 일본 시리즈 1차전에서는 머신건 타선에 난타당하며[17][18] 조기 강판되었고, 5차전에는 감기와 요통으로 인해 등판을 회피했다.

1999년에는 3년 연속 개막전 선발 투수를 맡았고, 2년 연속 최다 완봉승을 기록했다. 2000년에는 오른쪽 허벅지 내전근 부상으로 약 1개월 반 동안 결장했다. 2001년에는 제구력 난조로 부진하며 방어율이 4점대로 악화되었다. 2002년에는 팀을 이끌며 리그 우승에 기여했고, 3번째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했다. 일본 시리즈 4차전에 선발 등판하여 5이닝 2실점으로 호투했지만, 팀은 패배했다.

2003년에는 부상과 부진으로 규정 투구 이닝을 채우지 못하고 6승, 방어율 6.84로 부진했다. 2004년에는 금연과 식사 제한 등 절제를 통해 부활을 노렸고, 10승을 거두며 FA 자격을 얻었지만 "이제부터 세이부에서 몇 승을 거둘 수 있을지 해보고 싶다"라며 잔류를 선언했다. 일본 시리즈 5차전에 선발 등판했지만 패전 투수가 되었다. 2005년에는 세-퍼 교류전에서 6승을 거둬 교류전 초대 최다승 투수가 되었고, 개인 최다인 17승을 기록하며 부활했다. 2006년에는 통산 1500탈삼진을 달성했다.

2007년에는 마쓰자카 다이스케보스턴 레드삭스로 이적하면서 5번째 개막전 선발 투수를 맡아 통산 150승과 2000투구 이닝을 달성했다. 2008년에는 일본 시리즈 7차전에 선발 등판하여 2이닝 2실점으로 강판되었지만, 팀은 역전승하며 일본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2009년에는 구원으로 전환했지만 부진했다. 2010년에는 웨이트 트레이닝으로 구속을 회복했지만, 3년 연속 방어율 5점대로 부진했다.

2011년에는 팀 1위인 11승을 기록하며 부활했다. 2012년에는 오른쪽 어깨 통증으로 고전했다. 2013년에는 프로 입단 후 첫 무승을 기록했다. 2014년에는 구원으로 8경기에 등판했지만, 2년 연속 무승에 그쳤다. 2015년 5월 28일, 요미우리전에서 1군 첫 등판이자 2년 만의 선발 등판을 했지만 4이닝 4실점으로 강판되었고,[24] 9월 23일에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25] 이토 츠토무의 22년에 이어 프랜차이즈 플레이어로 21년간 활약했다. 11월 5일 일본 야구 기구(NPB)로부터 임의 은퇴가 공시되었다.[26]

2. 3. 은퇴 이후

2015년 10월, 니시구치는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구단 본부 편성부에 소속되었다.[27] 2016년 1월에는 3월부터 4월까지 통이 라이온스 임시 코치 취임이 발표되었고,[28] 그 전해 2월에는 한화 이글스에서 임시 코치를 맡았다.

2016년 10월, 2017년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2군 투수 코치(등번호 '''74''')로 취임했다. 2017년 6월 27일, 1군 투수 코치였던 모리 신지가 병 치료를 위해 휴양하면서, 니시구치가 1군 투수 코치(불펜 담당)를 맡게 되었다.[29] 모리는 다음 날인 28일 다장기 부전으로 사망했다.[30] 이후 2018년부터 정식으로 1군 투수 코치가 되었고, 2020년부터는 벤치 담당을 맡았다.

2022년부터는 팜 감독으로 취임했으며,[31] 2025년부터는 마쓰이 가즈오와타나베 히사노부의 후임으로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의 감독으로 취임하게 되었다.[1]

3. 주요 기록

wikitext

NPB
연도나이승률선발완투완봉승이닝피안타득점자책점홈런볼넷탈삼진ERAWHIP
1995년22세이부201.00041145.1431510210341.991.18
1996년231610.61527132210.1172777421741733.171.18
1997년24155.75026100207.2187857220681923.121.25
1998년251312.5202585181.0160806816731483.381.31
1999년261410.5832773179.1141726820551413.411.11
2000년27115.6882042145.2136626122591313.771.36
2001년28149.6092810165.1156858018851434.351.50
2002년291510.6002932182.0166767125511803.511.22
2003년3063.667140076.18560581931696.841.56
2004년31105.6672100117.197504219561123.221.34
2005년32175.7732531172.0157555313341372.771.16
2006년3399.5002620177.1175767022651543.551.41
2007년34911.4502500153.2149787318441034.281.30
2008년3586.5712100116.112569651848925.031.52
2009년3644.500160093.111055531438605.111.59
2010년3732.600120057.1653635827435.491.61
2011년38117.6112221140.010444405411042.571.04
2012년3952.714140081.2773534429443.751.30
2013년4002.00040010.21810102978.442.53
통산182117.60938654172512.223231120103728689720673.711.28



'''굵은 글씨'''는 리그 1위

니시구치 후미야의 프로 야구 첫 기록은 다음과 같다.



주요 기록은 다음과 같다.

  • 1000 투구 이닝: 2001년 4월 28일, 대 지바 롯데 마린스 6차전(세이부 돔), 4회초 1아웃에 고사카 마코토를 삼진으로 달성 ※역대 289번째
  • 1000 탈삼진: 2002년 5월 4일, 대 지바 롯데 마린스 6차전(지바 마린 스타디움), 2회말에 하츠시바 기요시로부터 ※역대 107번째
  • 100승: 2002년 10월 9일, 대 오릭스 블루웨이브 27차전(그린 스타디움 고베), 선발로 7이닝 1실점 ※역대 118번째
  • 1500 투구 이닝: 2004년 8월 13일, 대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21차전(세이부 돔), 5회초 3아웃에 쓰보이 도모야를 1루 땅볼로 달성 ※역대 153번째
  • 1500 탈삼진: 2006년 5월 6일, 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7차전(인보이스 SEIBU 돔), 6회초에 훌리오 즈레타로부터 ※역대 46번째
  • 150승: 2007년 8월 17일, 대 오릭스 버펄로스 17차전(굿윌 돔), 선발 등판으로 8이닝 무실점 ※역대 46번째
  • 2000 투구 이닝: 2007년 9월 18일, 대 오릭스 버팔로스 20차전(교세라 돔 오사카), 3회말 3아웃에 히라시타 고지를 1루 땅볼로 달성 ※역대 83번째
  • 2000 탈삼진: 2011년 10월 6일, 대 오릭스 버팔로스 24차전(세이부 돔), 1회초에 T-오카다로부터 헛스윙 삼진 ※역대 21번째
  • 2500 투구 이닝: 2012년 7월 6일,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8차전(세이부 돔), 1회초 3아웃에 호세 페르난데스를 3루 땅볼로 달성 ※역대 45번째


통산 21년 동안 182승 117패, 평균 자책점 3.71, 2067 탈삼진을 기록했다. 규정 투구 이닝을 채운 시즌 중 방어율 3점 미만은 2005년(2.77)이 유일하다.

그 외 기록은 다음과 같다.

  • 1이닝 4탈삼진: 1997년 4월 12일, 지바 롯데 마린스 2차전(지바 마린 스타디움), 2회말에 야마시타 노리토, 오무라 이와오(포수의 포구 방해), 제이슨 톰슨, 요시즈루 켄지로부터 ※역대 4번째, 5번째
  • 7년 연속 방어율 10걸 (1996년 - 2002년) ※역대 8번째
  • 8타자 연속 탈삼진: 1996년 9월 22일, 오사카 긴테쓰 버팔로스 24차전(세이부 라이온스 구장)
  • 11년 연속 두 자릿수 탈삼진 경기 달성 (1996년 - 2006년) ※퍼시픽 리그 기록
  • 선발 등판하여 102경기 연속 완투 없음: 2006년 6월 11일 - 2011년 8월 21일 ※당시 NPB 기록
  • 일본 시리즈 5연패 (미승리) ※NPB 기록
  • 프랜차이즈 플레이어: 1994년 입단부터 은퇴까지 21년간 이적 없음
  • 개막 투수: 5회 (1997년, 1998년, 1999년, 2006년, 2007년)
  • 올스타전 출장: 4회


현역 시절에는 날카로운 슬라이더를 주무기로 삼았다.[32] 특히 2스트라이크 이후에는 포크볼로 착각할 정도로 날카롭게 변화하는 슬라이더를 던져 헛스윙을 유도했다.[32] 속구는 최고 152km/h를 기록했지만, 말년에는 평균 138km/h에 머물렀다.[32]

골든 글러브상을 3번 수상했으며, 1997년부터 2006년까지 10년간 마쓰자카 다이스케와 함께 세이부 라이온스 선수단이 퍼시픽 리그 골든 글러브상 투수 부문을 독점했다.

도쿄 돔에서는 1996년 8월 3일부터 2007년 6월 24일까지 11년 동안 승리하지 못했다. 반면 오사카 돔에서는 1997년 개장 이후 2003년 5월 20일까지 선발 등판 경기에서 패전 투수가 되지 않았다.

일본 시리즈에는 5번 출전하여 7번 등판했지만, 0승 5패로 한 번도 승리하지 못했다.

2005년 5월 6일,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1차전(히로시마 시민 구장)에서 첫 안타·첫 타점을 기록했다.

  • 1이닝 4탈삼진: 1997년 4월 12일, 대 지바 롯데 마린스 전에서 기록.(일본 기록)
  • 8타자 연속 탈삼진: 1996년 9월 22일, 대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 전에서 기록.
  • 11년 연속 두 자릿수 탈삼진 경기: 1996년부터 2006년까지 기록. (퍼시픽 리그 기록)
  • 선발 등판하여 102경기 연속 완투 없음: 2006년 6월 11일부터 2011년 8월 21일까지 기록. (당시 일본프로야구 기록)
  • 일본 시리즈 5연패 (미승리): 일본프로야구 기록.
  • 올스타전 출장: 4회 (1996년, 1997년, 1999년, 2005년)
  • 개막 투수: 5회 (1997년, 1998년, 1999년, 2006년, 2007년)
  • 7년 연속 방어율 10걸 (1996년 - 2002년) ※역대 8번째
  • 프랜차이즈 플레이어: 1994년 입단부터 은퇴까지 21년간 이적 없음

3. 1. 투수 기록

니시구치 후미야의 프로 야구 첫 기록은 다음과 같다.

주요 기록은 다음과 같다.

  • 1000 투구 이닝: 2001년 4월 28일, 대 지바 롯데 마린스 6차전(세이부 돔), 4회초 1아웃에 고사카 마코토를 삼진으로 달성 ※역대 289번째
  • 1000 탈삼진: 2002년 5월 4일, 대 지바 롯데 마린스 6차전(지바 마린 스타디움), 2회말에 하츠시바 기요시로부터 ※역대 107번째
  • 100승: 2002년 10월 9일, 대 오릭스 블루웨이브 27차전(그린 스타디움 고베), 선발로 7이닝 1실점 ※역대 118번째
  • 1500 투구 이닝: 2004년 8월 13일, 대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21차전(세이부 돔), 5회초 3아웃에 쓰보이 도모야를 1루 땅볼로 달성 ※역대 153번째
  • 1500 탈삼진: 2006년 5월 6일, 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7차전(인보이스 SEIBU 돔), 6회초에 훌리오 즈레타로부터 ※역대 46번째
  • 150승: 2007년 8월 17일, 대 오릭스 버펄로스 17차전(굿윌 돔), 선발 등판으로 8이닝 무실점 ※역대 46번째
  • 2000 투구 이닝: 2007년 9월 18일, 대 오릭스 버팔로스 20차전(교세라 돔 오사카), 3회말 3아웃에 히라시타 고지를 1루 땅볼로 달성 ※역대 83번째
  • 2000 탈삼진: 2011년 10월 6일, 대 오릭스 버팔로스 24차전(세이부 돔), 1회초에 T-오카다로부터 헛스윙 삼진 ※역대 21번째
  • 2500 투구 이닝: 2012년 7월 6일,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8차전(세이부 돔), 1회초 3아웃에 호세 페르난데스를 3루 땅볼로 달성 ※역대 45번째


통산 21년 동안 182승 117패, 평균 자책점 3.71, 2067 탈삼진을 기록했다. 규정 투구 이닝을 채운 시즌 중 방어율 3점 미만은 2005년(2.77)이 유일하다.

그 외 기록은 다음과 같다.

  • 1이닝 4탈삼진: 1997년 4월 12일, 지바 롯데 마린스 2차전(지바 마린 스타디움), 2회말에 야마시타 노리토, 오무라 이와오(포수의 포구 방해), 제이슨 톰슨, 요시즈루 켄지로부터 ※역대 4번째, 5번째
  • 7년 연속 방어율 10걸 (1996년 - 2002년) ※역대 8번째
  • 8타자 연속 탈삼진: 1996년 9월 22일, 오사카 긴테쓰 버팔로스 24차전(세이부 라이온스 구장)
  • 11년 연속 두 자릿수 탈삼진 경기 달성 (1996년 - 2006년) ※퍼시픽 리그 기록
  • 선발 등판하여 102경기 연속 완투 없음: 2006년 6월 11일 - 2011년 8월 21일 ※당시 NPB 기록
  • 일본 시리즈 5연패 (미승리) ※NPB 기록
  • 프랜차이즈 플레이어: 1994년 입단부터 은퇴까지 21년간 이적 없음
  • 개막 투수: 5회 (1997년, 1998년, 1999년, 2006년, 2007년)
  • 올스타전 출장: 4회


현역 시절에는 날카로운 슬라이더를 주무기로 삼았다.[32] 특히 2스트라이크 이후에는 포크볼로 착각할 정도로 날카롭게 변화하는 슬라이더를 던져 헛스윙을 유도했다.[32] 속구는 최고 152km/h를 기록했지만, 말년에는 평균 138km/h에 머물렀다.[32]

골든 글러브상을 3번 수상했으며, 1997년부터 2006년까지 10년간 마쓰자카 다이스케와 함께 세이부 라이온스 선수단이 퍼시픽 리그 골든 글러브상 투수 부문을 독점했다.

도쿄 돔에서는 1996년 8월 3일부터 2007년 6월 24일까지 11년 동안 승리하지 못했다. 반면 오사카 돔에서는 1997년 개장 이후 2003년 5월 20일까지 선발 등판 경기에서 패전 투수가 되지 않았다.

일본 시리즈에는 5번 출전하여 7번 등판했지만, 0승 5패로 한 번도 승리하지 못했다.

3. 2. 타격 기록

2005년 5월 6일,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1차전(히로시마 시민 구장)에서 첫 안타·첫 타점을 기록했다.

3. 3. 기타 기록


  • 1이닝 4탈삼진: 1997년 4월 12일, 대 지바 롯데 마린스 전에서 기록.(일본 기록)
  • 8타자 연속 탈삼진: 1996년 9월 22일, 대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 전에서 기록.
  • 11년 연속 두 자릿수 탈삼진 경기: 1996년부터 2006년까지 기록. (퍼시픽 리그 기록)
  • 선발 등판하여 102경기 연속 완투 없음: 2006년 6월 11일부터 2011년 8월 21일까지 기록. (당시 일본프로야구 기록)
  • 일본 시리즈 5연패 (미승리): 일본프로야구 기록.
  • 올스타전 출장: 4회 (1996년, 1997년, 1999년, 2005년)
  • 개막 투수: 5회 (1997년, 1998년, 1999년, 2006년, 2007년)
  • 7년 연속 방어율 10걸 (1996년 - 2002년) ※역대 8번째
  • 프랜차이즈 플레이어: 1994년 입단부터 은퇴까지 21년간 이적 없음

4. 수상 및 타이틀 경력

4. 1. 타이틀

니시구치 후미야는 다승왕을 2회(1997년, 1998년), 최다 탈삼진을 2회(1997년, 1998년), 최고 승률을 1회(1997년) 기록했다.

4. 2. 수상

니시구치 후미야는 1997년에 MVP, 사와무라 에이지상, IBM 플레이어오브더이어상을 수상했다.[40] 같은 해 베스트 나인골든 글러브상에도 선정되었으며, 베스트 나인은 1998년에도, 골든 글러브상은 1998년, 2002년에도 수상했다. 1996년, 1997년, 1998년에는 이토 츠토무와 함께 최우수 배터리상을 3회 연속 수상했는데, 이는 투수 최다 타이기록이자 동일 배터리로는 사상 최다 및 최장 타이기록이다. 월간 MVP는 1996년 5월, 1998년 8월, 2002년 8월, 2005년 7월, 2007년 3월·4월에 걸쳐 총 5회 수상했다. 2011년에는 "조지아 혼" 상을 수상했고, 2015년에는 퍼시픽 리그 연맹 특별 표창(공로상)과 릿쇼 대학 동문회 장려상을 받았다.[38] 1997년에 기록한 시즌 완봉승 없는 사와무라 에이지상 수상은 사상 최초의 기록이다.

5. 에피소드

니시구치 후미야는 퍼펙트 게임 또는 노히트 노런 달성까지 아웃 카운트 1개를 남겨두고 안타를 맞아 대기록 달성을 놓친 경우가 3번 있었다. 모두 28번째 타자를 상대로 안타를 맞아 대기록 달성에 실패하고 완봉 또는 완투승을 거두는 데 그쳤다.[35]


  • 2002년 8월 26일 지바 롯데 마린스전(세이부 돔): 후쿠우라 카즈야에게 볼넷 1개를 내준 것을 제외하면 완벽한 투구로 9회 2사까지 롯데를 무안타 무득점으로 막았으나, 28번째 타자 코사카 마코토에게 중전 안타를 맞았다. 이후 사부로에게도 우전 안타를 맞았지만, 후속 타자를 막아 6-0 완봉승을 거뒀다.
  • 2005년 5월 13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전(인보이스 SEIBU 돔): 키요하라 카즈히로에게 사구 1개를 허용한 것을 제외하고 9회 2사까지 요미우리를 무안타 무득점으로 막았으나, 28번째 타자 시미즈 타카유키에게 우전 안타를 맞아 노히트 노런과 완봉승을 모두 놓쳤다. 이후 후속 타자를 막아 6-1 완투승을 거뒀다.
  • 2005년 8월 27일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전(인보이스 SEIBU 돔): 9회까지 퍼펙트 게임을 이어갔으나, 상대 투수 이치바 야스히로의 역투로 연장전에 돌입했다. 10회초 28번째 타자 오키하라 요시노리에게 우전 안타를 허용하여 퍼펙트 게임과 노히트 노런을 모두 놓쳤다. 이후 야마자키 타케시에게 볼넷을 내줬지만 무실점으로 막았고, 10회말 이시이 요시토의 끝내기 안타로 1-0 완봉승을 거뒀다. 이는 NPB 사상 최초로 9회까지 퍼펙트 게임을 이어가다 연장전에서 안타를 맞아 퍼펙트 게임을 놓친 사례이다.


1996년 9월 23일 오사카 긴테츠 버팔로스전(세이부 구장)에서는 1회에 미즈구치 에이지에게 안타를 허용했지만, 이후 타자들을 모두 막아 28타자 상대 1안타 10탈삼진(8연속 탈삼진 포함)으로 6-0 완봉승을 기록하며, "준" 퍼펙트 게임에 가까운 투구를 선보였다.

2015년 은퇴 기자회견에서 니시구치는 일본 시리즈 우승 실패와 함께 노히트 노런을 달성하지 못한 것이 아쉽다고 밝혔다.[35]

2022년 5월 6일, 주니치 드래건스오노 유다이한신 타이거스전(반테린 돔)에서 9회까지 퍼펙트 피칭을 이어갔으나, 연장전에서 안타를 허용하여 퍼펙트 게임을 놓친 사례가 발생했다. 이는 2005년 8월 니시구치의 사례 이후 NPB 사상 두 번째였다. 경기 종료 후, 니시구치는 자신과 같은 상황이라며, 오노 유다이도 같은 기분이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36][37]

6. 출신 학교

7. 등번호

니시구치 후미야의 등번호는 1995년부터 2015년까지 13번, 2017년부터 74번이었다. 2016년에는 대만의 퉁이 라이온스 임시 코치를 맡으며 85번을 달았다.

8. 연도별 성적

판선
발완
투완
봉무

넷승
리패
전세

브홀
드승
률타
자투

회피

타피

런볼
넷고의
사구死
구탈

진폭
투보
크실
점자

점평균
자책점WHIP1995년세이부94110200--1.00018345.14321010340015101.991.181996년3127132216101--.615849210.11722174121734077743.171.181997년322610021551--.750871207.21872068351921085723.121.251998년332585113124--.520757181.01601673041481180683.381.311999년292773014100--.583732179.11412055231413072683.411.112000년24204211150--.688618145.21362259031312062613.771.362001년28281001490--.609730165.11561885061436085804.351.502002년292932015100--.600753182.01662551151803176713.511.222003년1414000630--.66734976.185193113691060586.841.562004년21210001050--.667506117.1971956141124050423.221.342005년252531017500.773701172.01571334091375055532.771.162006년26262009900.500767177.11752265291540076703.551.412007년252500091100.450648153.21491844161032078734.281.302008년22210008600.571517116.1125184824925069655.031.522009년25160004403.50042393.1110143824603055535.111.592010년13120003200.60026157.16582702430036355.491.612011년222221011700.611566140.0104541181042144402.571.04통산 : 17년4083685417617711363.610102312420.122282808591877201642310759933.691.28



통산 성적은 17년간 408경기에 등판하여 177승 113패, 평균 자책점 3.69, WHIP 1.28을 기록했다.

참조

[1] 웹사이트 x.com https://x.com/npb_re[...]
[2] 웹사이트 西武一筋21年 “悲劇のエース”西口文也の軌跡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新聞社 2020-12-18
[3] 웹사이트 【西武検定】 西武一筋182勝の西口文也の愛称「オツ」は、誰にちなんだもの? https://web.archive.[...] 2021-10-26
[4] 웹사이트 背番号の歴史 https://www.seibulio[...] 埼玉西武ライオンズ 2020-12-18
[5] 뉴스 紀田(横浜高)中日1位 横浜とクジ勝負 確率5割、高木監督が引き当てる 外れれば金森(立命大)らが候補に 中日スポーツ 1994-11-18
[6] 뉴스 ドラフト1位 金森(立命館大) はばたけ147キロ右腕 早くも心は竜の一員 無念!紀田は横浜 中日スポーツ 1994-11-19
[7] 웹사이트 金森 隆浩(中日ドラゴンズ) {{!}} 個人年度別成績 https://npb.jp/bis/p[...] 日本野球機構 2021-03-26
[8] 서적 星野と落合のドラフト戦略 元中日スカウト部長の回顧録 カンゼン 2023-10-23
[9] 서적 中日ドラゴンズ '97ファンブック 中日ドラゴンズ(発行)・中日新聞本社(発売) 1997-03-18
[10] 웹사이트 西口 文也 闘志あふれる全力投球の本格派右腕 https://www.seibulio[...] 埼玉西武ライオンズ 2020-12-18
[11] 웹사이트 年度別成績 1997年 パシフィック・リーグ https://npb.jp/bis/y[...] 日本野球機構 2020-12-18
[12] 웹사이트 1997年度日本シリーズ 試合結果(第1戦) https://npb.jp/bis/s[...] 日本野球機構 1997-10-18
[13] 웹사이트 1997年度日本シリーズ 試合結果(第5戦) https://npb.jp/bis/s[...] 日本野球機構 1997-10-23
[14] 웹사이트 1997年度日本シリーズ 試合結果 https://npb.jp/bis/s[...] 日本野球機構 1997-10-23
[15] 웹사이트 1998年 大逆転でリーグ2連覇 http://www.seibulion[...] 埼玉西武ライオンズ 2020-12-18
[16] 웹사이트 年度別成績 1998年 パシフィック・リーグ https://npb.jp/bis/y[...] 日本野球機構 2020-12-18
[17] 웹사이트 野球人&ファン300人 歴代最強チームはこれだ! 第4位 マシンガン打線と大魔神!1998年横浜ベイスターズ(17票) http://column.sp.bas[...]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20-12-18
[18] 웹사이트 1998年度日本シリーズ 試合結果(第1戦) https://npb.jp/bis/s[...] 日本野球機構 1998-10-18
[19] 웹사이트 1998年度日本シリーズ 試合結果(第5戦) https://npb.jp/bis/s[...] 日本野球機構 1998-10-24
[20] 웹사이트 1998年度日本シリーズ 試合結果(第6戦) https://npb.jp/bis/s[...] 日本野球機構 1998-10-26
[21] 웹사이트 もう少しで球史に名を残せたのに…悔やんでも悔やみきれない「ノーノー未遂」を振り返る https://baseballking[...] BASEBALL KING 2022-07-25
[22] 웹사이트 大野雄大の“完全未遂” 過去には西武・西口の例が 延長での完全試合達成者は0人 https://www.daily.co[...] デイリースポーツ online 2022-05-06
[23] 웹사이트 2005年8月27日(土)西武ライオンズ 対 東北楽天ゴールデンイーグルス https://npb.jp/bis/2[...] 日本野球機構 2022-05-07
[24] 웹사이트 西武西口 2年ぶり先発も4回4失点 https://www.nikkansp[...] 2024-03-20
[25] 웹사이트 西口文也投手が現役引退を表明 https://www.seibulio[...] 2024-03-20
[26] 웹사이트 任意引退選手 {{!}} 2015年度公示 https://npb.jp/annou[...] 2024-05-21
[27] 웹사이트 西口文也投手 来季「球団本部編成部」に所属 https://www.seibulio[...] 2024-05-21
[28] 웹사이트 西口文也「統一ライオンズ」臨時コーチ就任についてのお知らせ https://www.seibulio[...] 2024-05-21
[29] 웹사이트 西武・森投手コーチが病気休養 渡辺SD「まだ病名分からない」 https://www.sponichi[...] 2024-05-21
[30] 웹사이트 西武・森慎二投手コーチ死去 42歳…辻監督「ショックです」 https://www.sponichi[...] 2024-05-21
[31] 웹사이트 【西武】西口文也投手コーチが来季2軍監督に就任へ ソフトバンク退団の平石洋介氏を1軍打撃コーチ招へい https://hochi.news/a[...] 2022-04-12
[32] 서적 2012プロ野球オール写真選手名鑑 日本スポーツ企画出版社
[33] Youtube 通算182勝“獅子のエース”西口文也 伝家の宝刀・スライダーの極意【ピッチャーズバイブル】 https://www.youtube.[...]
[34] 웹사이트 第10回「ジョージア魂」賞受賞 西口文也選手インタビュー https://web.archive.[...] 2012-01-10
[35] 웹사이트 西口 晴れやか引退会見 やり残したことは「ノーヒットノーラン」 https://www.sponichi[...] 2015-09-23
[36] 웹사이트 【西武】西口文也2軍監督「僕と一緒ですね」快挙逃した中日大野雄大と実は誕生日も同じ https://www.nikkansp[...] 2022-05-06
[37] 웹사이트 西武・西口文也2軍監督 9回完全も記録達成ならずの先駆者として「大野投手も同じ気持ちだったのでは」 https://www.sponichi[...] 2022-05-06
[38] 웹사이트 西口文也投手 立正大学校友会奨励賞を受賞 http://www.seibulion[...]
[39] 뉴스 【背番号物語2019】「#13」不吉なナンバーから不可欠な投手ナンバーに https://column.sp.ba[...] 슈칸 베이스볼 2019-01-20
[40] 문서 세 차례 수상은 투수로서 최다 기록, 포수는 모두 [[이토 쓰토무]]이며 동일 배터리에서는 역대 최다이자 역대 최장 3년 연속 수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