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니시무라 쇼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시무라 쇼지는 일본 제국 해군의 군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수리가오 해협 해전에서 전사했다. 1911년 해군 사관학교를 졸업하고 구축함, 순양함, 전함 등 다양한 함선에서 복무했다. 특히, 자바해 해전, 미드웨이 해전, 과달카날 전역에 참여하여 뛰어난 지휘 능력을 보여주었다. 1944년 레이테 만 해전에서 남방 부대 사령관으로 참전하여 수리가오 해협 해전에서 미 해군과 교전 중 기함 야마시로가 침몰하며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다에서 실종된 사람 - 조지 배스
    영국의 해군 군의관이자 탐험가인 조지 배스는 매슈 플린더스와 함께 오스트레일리아 남동부 해안을 탐험하고 태즈메이니아가 섬임을 확인했으며, 그의 이름을 딴 배스 해협이 생겨났으나 1803년 항해 중 실종되었다.
  • 바다에서 실종된 사람 - 헨리 허드슨
    헨리 허드슨은 잉글랜드 탐험가이자 항해사로, 북동항로와 북서항로 개척을 시도하며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를 위해 항해하던 중 허드슨 강을 발견하여 네덜란드 북미 식민지 건설에 기여했으나, 선원 반란으로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 일본 해군 중장 - 아키야마 사네유키
    아키야마 사네유키는 러일 전쟁에서 뛰어난 전략으로 일본의 승리에 기여했으며, 해군병학교 수석 졸업 후 미국 유학을 통해 해양 전략을 연구하고 연합함대 참모로서 뤼순항 봉쇄 작전과 쓰시마 해전에서 공을 세운 일본 제국 해군의 군인이다.
  • 일본 해군 중장 - 고토 아리토모
    고토 아리토모는 일본 제국 해군의 수뢰전술 전문가로 함장 및 함대 사령관을 역임하며 제1차 세계 대전과 태평양 전쟁에 참전했으나, 사보섬 해전에서 아군 오인으로 전사 후 해군 중장으로 추서되었고, 군사적 능력과 아군 오인 공격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공존한다.
  • 일본의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사망자 - 나구모 주이치
    나구모 주이치는 1887년 출생하여 해군병학교를 졸업하고 진주만 공격을 지휘한 일본 제국 해군의 군인이며, 미드웨이 해전 패배 후 사이판 전투에서 자결하고 해군 대장으로 추서되었다.
  • 일본의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사망자 - 고토 아리토모
    고토 아리토모는 일본 제국 해군의 수뢰전술 전문가로 함장 및 함대 사령관을 역임하며 제1차 세계 대전과 태평양 전쟁에 참전했으나, 사보섬 해전에서 아군 오인으로 전사 후 해군 중장으로 추서되었고, 군사적 능력과 아군 오인 공격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공존한다.
니시무라 쇼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일본 제국 해군 중장 니시무라 쇼지
일본 제국 해군 중장 니시무라 쇼지
본명니시무라 쇼지 (西村 祥治)
출생1889년 11월 30일
출생지아키타현
사망1944년 10월 25일
사망 장소수리가오 해협, 필리핀
묘소아오야마 영원
군사 경력
소속일본 제국 해군
복무 기간1911년 – 1944년
최종 계급해군 중장
지휘구축함 기쿠
구축함 와카타케
구축함 우라카제
구축함 미카즈키
구축함 시라쿠모
구축함 제4 구축대대
순양함 구마노
전함 하루나
제7 순양함대
쇼트랜드 증원군
남방 부대
참전 전투제2차 세계 대전
발리크파판 해전
자바 해 해전
미드웨이 해전
과달카날 전역
수리가오 해협 해전 (전사)
서훈욱일장 (3등)
기타 정보
별명감시의 신

2. 생애

니시무라 쇼지는 일본 제국 해군의 군인으로, 아키타현 출신이다. 1911년 일본 제국 해군 사관학교를 졸업하고 해군 생활을 시작했다. 사관후보생 시절 장갑순양함 ''아소''와 전함 ''미카사''에서 복무했고, 임관 후 ''아소''와 순양전함 ''히에이''에 배속되었다.

1914년부터 1915년까지 해군 포술 및 어뢰 학교에서 교육을 받은 후, 여러 함선에서 항해 장교로 복무했다. 1926년 구축함 ''기쿠''의 첫 지휘관이 되었고, 이후 여러 구축함의 함장을 역임했다. 1930년대에는 구축함 전대 사령관을 지냈으며, 1940년 소장으로 진급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자바해 해전, 미드웨이 해전, 과달카날 전역 등에서 활약했다. 1943년 중장으로 진급했고, 1944년 레이테 만 해전의 일부인 수리가오 해협 해전에서 남방 부대를 이끌었으나, 미국 해군과의 전투에서 전사했다.[3]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니시무라 쇼지는 1889년 11월 30일 일본 도호쿠 지방 북부에 위치한 아키타현에서 태어났다. 구제 아키타 중학교(현 아키타현립 아키타고등학교)와 구제 요코테 중학교(현 아키타현립 요코테고등학교)를 거쳐 해군병학교에 입학했다. 1911년 해군병학교를 39기로 졸업했는데, 졸업 성적은 148명 중 21등이었다. 해군병학교 시절 정의감 강한 성격으로 인해 불이익을 당하기도 했다.

2. 2. 해군 경력

니시무라 쇼지는 일본 제국 해군 사관학교 39기 졸업생으로, 148명의 사관 후보생 중 21위를 기록했다. 사관후보생 시절 장갑순양함 '아소'와 전함 '미카사'에서 복무했다. 임관 후에는 '아소'에 다시 배속되었고, 이후 순양전함 '히에이'에 배속되었다.

1914년부터 1915년까지 해군 포술 및 어뢰 학교에서 교육을 받은 후, 구축함 '유기리', 장갑순양함 '야쿠모', 순양전함 '하루나'에 배속되었다.

1917년부터 소위로 복무하면서 항해를 전문으로 하였으며, 코르벳 '야마토', 구축함 '가와카제', '다니카제', '유라', '스노사키', 경순양함 '기타카미'와 '오이', 전함 '히젠' 등 다수의 함선에서 수석 항해사로 복무했다. 1928년 중령으로 진급한 후에는 장갑순양함 '닛신'의 수석 항해사를 역임했다. 1926년 11월 1일, 구축함 '기쿠'의 첫 지휘관이 되었다. 이후 구축함 '와카타케', '우라카제', '미카즈키'의 함장을 역임했고, 1929년 대령으로 진급한 후에는 '시라쿠모' 함장을 맡았다. 1930년대에는 제26구축함 전대 사령관에 배속되었다.

1934년 대령으로 진급하여 잠시 제19구축함 전대 사령관을 지낸 후, 1937년부터 1938년까지 경순양함 '구마노', 1938년부터 1940년까지 개조된 고속 전함 '하루나'의 함장을 역임했다. 1940년 11월 15일 소장으로 진급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1942년 2월 자바해 해전에서 제4구축함 전대 사령관으로 이름을 알렸고, 1942년 6월 미드웨이 해전에서도 전대를 지휘했다. 1942년 6월 말, 제7순양사단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과달카날 전역에 참전했다.[3]

1943년 11월 1일 중장으로 진급했다. 1944년, 필리핀에서 미국 해군과의 결전을 목표로 한 쇼호 작전의 남방 부대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니시무라의 C부대는 전함 '야마시로'와 '후소', 중순양함 '모가미', 구축함 '시구레', '미치시오', '아사구모', '야마구모'로 구성되었다. 1944년 10월 25일 저녁, 레이테와 디나갓 제도 사이의 수리가오 해협에서 제시 올덴도르프 소장이 지휘하는 미국 제7함대와 조우했다. 제7함대는 6척의 전함, 8척의 순양함, 29척의 구축함, 39척의 어뢰정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레이테 만 해전의 일부인 수리가오 해협 해전에서 니시무라 부대는 미 함대에 의해 궤멸되었고, 니시무라는 기함 '야마시로'가 침몰하면서 전사했다.[3]

2. 3. 태평양 전쟁 참전

니시무라 쇼지는 태평양 전쟁 발발 당시 제4수뢰전대 사령관으로 참전했다. 그는 필리핀 공략 작전에 참가했으며, 이후 보르네오 섬 발릭파판 공략 중 발릭파판 해전에서 일본 수송선단이 피해를 입는 상황을 겪기도 했다.[7] 1942년 2월 자바 해 해전에서 제4구축함 전대를 지휘하여 명성을 얻었고, 6월 미드웨이 해전에서도 활약했다. 이후 제7순양사단 사령관으로 과달카날 전역에 참여했다.[3]

1943년 11월 1일, 니시무라는 중장으로 진급했다. 1944년에는 필리핀 방어를 위한 쇼호 작전(捷号作戦)에서 남방 부대(제2전대)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후소급 전함 2척(후소, 야마시로)을 주력으로 하는 제2전대를 이끌게 되었는데, 당초에는 나가토도 포함될 예정이었으나 제2함대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니시무라는 제2함대(사령장관: 구리타 다케오 중장) 예하 제1유격부대에 배속되어 링가 정박지에서 훈련을 받았다. 10월, 레이테 만 해전에 참전하기 위해 '니시무라 부대'(전함 야마시로(기함), 후소, 중순양함 모가미, 구축함 미치시오, 야마구모, 아사구모, 시구레)를 이끌고 브루나이를 출항했다.[12]

수리가오 해협에 돌입한 니시무라 부대는 제시 올덴도르프 소장이 이끄는 미 제7함대의 강력한 공격을 받았다. 레이테 만 해전의 일부인 수리가오 해협 해전에서 니시무라 부대는 정자(丁字) 전법에 의해 궤멸되었고, 니시무라는 기함 야마시로와 함께 전사했다.[3] 그의 마지막 명령은 "나는 어뢰 공격을 받는다. 각 함은 나를 돌아보지 말고 전진하여 적을 공격하라"였다.

2. 4. 수리가오 해협 전투와 전사

니시무라는 1944년 필리핀에서 미국 해군과의 결전을 목표로 하는 쇼-고 작전의 남방 부대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1944년 10월 25일 저녁, 레이테와 디나갓 제도 사이의 수리가오 해협에서 제시 올덴도르프 소장이 지휘하는 미국 제7함대와 조우했는데, 제7함대는 6척의 전함, 8척의 순양함, 29척의 구축함, 39척의 어뢰정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레이테 만 해전을 구성하는 여러 전투 중 하나인 수리가오 해협 해전에서 니시무라 부대는 미군 함대의 "T자"형 전술에 의해 궤멸되었다.[3]

니시무라의 C부대는 전함 야마시로, 후소, 중순양함 모가미, 구축함 시구레, 미치시오, 야마구모, 아사구모로 구성되었다.

어뢰레이더 사격에 의한 파상 공격으로 니시무라 부대는 구축함 시구레를 제외하고 전멸했다. 니시무라도 기함 야마시로(10월 25일 04:19 침몰[5])와 운명을 같이 했다. 향년 56세.

니시무라가 발한 마지막 명령은 "'''나는 어뢰 공격을 받는다. 각 함은 나를 돌아보지 말고 전진하여 적을 공격하라'''"(10월 25일 03:40)였다. 니시무라가 기동 부대 지휘관(혹은 제1유격 부대 지휘관)에게 보낸 마지막 발신은 "'''나는 레이테 만을 향해 돌격하여 옥쇄한다'''"였다.

일본측에서는 니시무라에게 호의적인 평가가 있었다. 오자와 지사부로 중장은 "레이테에서 정말로 진지하게 싸운 것은 니시무라뿐이었다",[14] "니시무라는 사심 없는 지용겸비의 지휘관이다"라고 말했다.

3. 평가

니시무라 쇼지는 뛰어난 전술적 능력과 책임감을 가진 지휘관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오자와 지사부로 중장은 "레이테에서 정말로 진지하게 싸운 것은 니시무라뿐이었다"[14]라고 평가하며, "사심 없는 지용겸비의 지휘관"이라고 칭찬했다. 수리가오 해협 해전에서 니시무라와 함께 싸우고 살아남은 에자키 히사토 주계 대위는 "당시 상황에서 일본 해군의 어떤 지휘관을 데려와도 니시무라 사령관 이상의 지휘는 불가능했다"며 그의 판단이 최선이었다고 회상했다.[15]

하지만 발리크파판 해전에서의 지휘와 수리가오 해협 해전에서의 전술적 판단에 대해서는 비판도 존재한다. 요시다 토시오는 니시무라가 신중하고 치밀한 계산을 통해 전투에 임했다고 평가했지만, 결과적으로 그의 부대는 궤멸되었고, 니시무라 자신도 전사했다.[3]

반도 가즈토시는 니시무라가 전사 후 대장으로 추서되지 못한 점을 언급하며 안타까움을 표했고,[17] 이시와타 코지는 니시무라에게 달성 불가능한 임무가 주어졌음을 지적하며 그의 용기를 옹호했다.[18]

니시무라의 죽음은 당시 일본 해군의 무모함과 전략적 실패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세 아들을 모두 잃은 그의 개인적인 비극과 더불어, 그의 죽음은 한국의 중도진보적 관점에서는 일본 제국주의의 한계를 드러내는 비극으로 해석될 수 있다.

4. 연보


  • 1911년 (메이지 44년)
  • * 7월 18일: 해군병학교 졸업 (병39기).[6]
  • * 12월 1일: 해군 소위 임관.
  • 1940년 (쇼와 15년)
  • * 11월 1일: 제4수뢰전대 사령관 취임.
  • * 11월 15일: 해군 소장 진급.
  • 1942년 (쇼와 17년)
  • * 1월 24일: 발릭파판 해전 참전.[7]
  • * 2월 27일 - 28일: 수라바야 해전 참전.
  • * 3월 말: 크리스마스 섬 공략 작전 참전.
  • * 6월 초순: 미드웨이 해전 참전.
  • * 6월 25일: 제7전대 사령관 취임.
  • * 8월 24일: 제2차 솔로몬 해전 참전.
  • * 10월 26일: 남태평양 해전 참전.
  • * 11월 13일 - 14일: 과달카날 섬 비행장 포격 참전.
  • 1943년 (쇼와 18년)
  • * 7월: 뉴조지아 섬 전투 발생으로 부겐빌 섬 진출, 작전 종사.
  • * 11월 1일: 해군 중장 진급.
  • 1944년 (쇼와 19년)
  • * 9월 4일: 대본영 해군부, 전함 나가토의 제2전대 편입 내정.
  • * 9월 10일: 제2전대 사령관 취임.[10][11] 제2전대는 전함 야마시로, 후소 2척으로 구성.[9] 같은 날 제2함대(사령장관: 구리타 다케오 중장)에 편입, 제1유격부대(지휘관: 제2함대 사령장관 구리타 다케오 중장)에 배치.
  • * 9월 17일: 제2함대 사령부, 나가토의 제2전대 편입 거부.
  • * 10월 4일: 제2전대, 링가 정박지 도착.
  • * 10월 21일: 제1유격부대 제3부대(통칭 "니시무라 부대")[12] 지휘관 취임. 제3부대는 전함 야마시로(기함), 후소, 중순양함 모가미, 구축함 4척(미치시오, 야마구모, 아사구모, 시구레)으로 구성.[12]
  • * 10월 22일: 제1유격부대 제3부대를 이끌고 브루나이 출격.[12]
  • * 10월 25일: 수리가오 해협 해전에서 기함 야마시로 함상에서 전사.[3] 묘비는 아오야마 영원에 안장.

5. 인물됨

니시무라는 수뢰 분야 전문가였으며, 뛰어난 감시 능력으로 '감시의 신'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정의감이 강한 성격으로, 아키타 중학교 재학 시절 기숙사 사감의 부당한 행위에 맞서 싸우다 퇴학당한 일화도 있다.[19] 부하들과 격의 없이 지내는 소탈한 면모도 보였다. 레이테 만 해전 출진 전 모임에서 부하들과 밝게 어울리는 모습에 고야나기 토미지는 "니시무라가 죽음을 각오했다"고 느꼈다고 한다. 출격 전에는 시구레 함장 니시노 시게루를 기함 야마시로로 초대하여 담소를 나누며 침착하고 거리낌 없는 태도를 보여 그를 감명시켰다고 한다.

세 아들을 두었으나, 차남과 삼남은 어린 시절 잃었고, 장남 니시무라 테이지(해군 소좌, 전사 후 병 65기[20])는 1941년 12월 23일 항공기 탑승 중 전사했다. 제2전대 사령관으로 임명되기 직전, 니시무라는 병 39기 동기이자 절친인 이토 세이이치(당시 군령부 차장)와 술을 마시며 "이번에야말로 나는 테이지 곁으로 갈 거야, 이토!"[4]라고 여러 번 말했다고 한다.[4]

6. 같이 보기

6. 1. 관련 전투

니시무라 쇼지는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 해군 제독으로, 여러 주요 해전에 참전했다. 개전 초 제4수뢰전대 사령관으로서 비도 작전에 종사했고, 란인 작전의 일환으로 보르네오 섬 발릭파판 공략 중 연합군 수뢰전대의 공격을 받아 수송선 4척이 격침되는 피해를 입기도 했다(발릭파판 해전)[7]

미드웨이 해전 이후에는 모가미급 중순양함으로 편성된 제7전대 사령관을 맡아 제2차 솔로몬 해전, 남태평양 해전, 제3차 솔로몬 해전 등 최전선에서 미군과 교전했다.

1944년 10월, 쇼호 작전(레이테 만 해전)의 일환으로 급편성된 제1유격부대 제3부대(통칭 "니시무라 부대"[12]) 지휘관을 맡아 수리가오 해협에 돌입했다. 그러나 미군의 정자(丁字) 전법에 의한 요격과 파상 공격으로 기함 야마시로가 침몰(10월 25일 04:19)[5]하면서 니시무라도 전사했다[13]. 니시무라 부대는 구축함 시구레를 제외하고 전멸했다(수리가오 해협 전투)[13].

니시무라가 마지막으로 남긴 명령은 "나는 어뢰 공격을 받는다. 각 함은 나를 돌아보지 말고 전진하여 적을 공격하라"는 것이었다(10월 25일 03:40).

6. 2. 관련 인물


  • 오자와 지사부로: 니시무라 쇼지가 아키타 중학교 시절 퇴학당했을 때, 오자와는 "나도 퇴학반이야. 너랑 똑같이 중학교에서 말이지... 넌 선생님을 문책했으니까"라며 니시무라를 위로했다.[19]
  • 요시다 토시오: 레이테 만 해전에서의 니시무라에 대해 "원래 신중한 무인이었고, 치밀하게 계산했기에 뛰어들었고, 후속 함대인 구리타 함대에 뒤를 맡기기 위해 돌진했다."라고 평가했다.
  • 고야나기 토미지: 레이테 출진 전 모임에서 부하들과 격의 없이 어울리고 밝게 행동하는 니시무라의 모습을 보고 "죽을 셈이다"라고 느꼈다.
  • 니시노 시게루: 출격 전, 니시무라는 시구레 구축함장인 니시노 시게루 중좌를 기함 야마시로에 초대하여 담소를 나누었고, 니시노는 니시무라의 침착하고 거리낌 없는 태도에 감명을 받았다.
  • 이토 세이이치: 니시무라의 병 39기 동기이자 절친으로, 니시무라가 제2전대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린가 정박지로 향하기 직전, 이토와 술을 기울이며 "이번에야말로 나는 테이지(니시무라의 장남) 곁으로 갈 거야, 이토!"라고 여러 번 반복했다고 한다.[4]

참조

[1] 웹사이트 Imperial Japanese Navy https://archive.toda[...] 2007-08-25
[2] 웹사이트 Nishimura Shoji https://archive.toda[...]
[3] 웹사이트 Rear-Admiral Shoji Nishimura https://warfare.gq/d[...] 1999–2000
[4] 웹사이트 西村 祥治 (にしむらしょうじ) - 日本海軍、最後の勇将|校史資料 http://akitahs-doso.[...] 秋田県立秋田高等学校同窓会 2014-06-06
[5] 간행물
[6] 서적 『連合艦隊の栄光』第九章
[7] 서적 『日本海軍 失敗の本質』第三章
[8] 문서 昭和19年8月16日(発令8月12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1565号 p.3 https://www.jacar.ar[...]
[9] 문서 有馬馨の遺稿
[10] 문서 有馬馨の遺稿
[11] 문서 昭和19年9月13日(発令9月10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1592号 p.24 https://www.jacar.ar[...]
[12] 간행물
[13] 서적 『太平洋海戦史』第七章
[14] 서적 半藤『指揮官と参謀』「小沢治三郎と栗田健男」
[15] 서적 有終 海軍有終会
[16] 서적 防衛庁広報 防衛省
[17] 간행물
[18] 간행물
[19] 서적 吉田『指揮官と参謀』「7 責任感 西村祥治」
[20] 간행물
[21] 서적 "連合艦隊の栄光" 제9장
[22] 웹인용 Nishimura Shoji (1889-1944) http://pwencycl.kgbu[...] The Pacific War Online Encyclopedia
[23] 웹인용 誠犬樓 西村修平インタビュー http://seikenrou.bl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