닌후르사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닌후르사그는 수메르 신화에 등장하는 여신으로, "신성한 산의 여인"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닌마, 닌투, 마미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출산, 양육, 치유 등 다면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닌후르사그는 엔키, 엔릴 등 다른 신들과의 관계를 통해 여러 신화에 등장하며, 특히 '엔키와 닌후르사그' 신화에서는 인류 창조에 기여하는 모습이 나타난다. 니푸르, 마리 등 여러 도시에서 숭배되었으며, '오메가' 기호가 그녀의 상징으로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닌후르사그 |
---|
2. 이름
닌후르사그는 수메르어로 "신성한 산의 여인"을 의미하며, 이는 그녀의 신전이 있던 에리두의 에-쿠르(E-Kur, 깊은 산의 집)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그녀는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은 다음과 같다.
- 닌마(Ninmah): "위대한 여왕"을 뜻한다.
- 닌투(Nintu): "출산의 여인"을 의미한다.
- 마미(Mami) 또는 맘마(Mamma): "어머니"를 의미한다.
- 아루루(Aruru):
- Belet-Ili(Belet-Ili): "신의 여주인"을 의미하는 아카드어 이름이다.
'닌우르타의 업적' 신화에 따르면, 그녀의 이름은 아들인 닌우르타에 의해 닌마에서 닌후르사그로 변경되었다. 바빌로니아의 즉위 의식에서 그녀는 닌메나로서 'Eanna' 신전에서 왕에게 금관을 씌워주었다.
원래 어머니 여신들 중에는 신 엔키의 배우자인 ''담갈누나''/''딘기르마''(Diĝirmaḫ, 왕자의 위대한 아내) 또는 ''담키나''(, "진실한 아내")가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닌투르(Nintur)는 닌후르사그에게 주어진 또 다른 이름으로, 때로는 출산 여신으로, 때로는 완전히 별개의 여신으로 여겨졌다.
이 어머니 여신은 '자궁 여신'을 의미하는 ''샤수루''(shassuru) 또는 '신의 산파', '모든 아이들의 어머니', '신의 어머니' 등 많은 별칭을 가지고 있었다. 에누마 엘리쉬에서 키와 동일시되며, 에리두와 키시에 신전을 가지고 있었다. 마리에서 ''벨레트-나가르''(Belet-Nagar)라는 이름으로 숭배받았을 것이라는 추측도 있다. 그러나 다간의 아내인 샬라쉬(Shalash)의 표의 문자로 이해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는데, 샬라쉬는 하부르 삼각지대의 알라라크 근처 비틴의 여신이며, 나가르(현대 텔 브라크)의 여신이 아니다. 벨레트-나가르는 후르족 종교의 신 샤우슈카(이 제안은 비판을 받았지만) 또는 나바르비(Nabarbi)와 동일시되기도 한다.
몇몇 이름들은 과거 별개의 여신을 가리켰으나, 후대에 닌후르사그와 동일시되었다.
2. 1. 딘기르마(Diĝirmaḫ)
딘기르마(Diĝirmaḫ)는 "위대한 여신"이라는 뜻으로, 닌후르사그의 별칭이었다. 이전 문헌에서는 d마(dMah)로 표기되었지만, 음절 표기된 에메살 형태인 딤메르마(Dimmermah)의 존재를 통해 정확한 판독이 확인되었다.딘기르마는 원래 닌후르사그의 별칭이었으나, 초기 왕조 시대 말기에 별개의 여신으로 발전했다. 니푸르 신 목록에서는 슐파에(Šulpae) 다음으로 딘기르마를 포함한 아홉 명의 출산 여신이 열거되었고, 이신 신 목록에서도 여섯 명의 출산 여신 중 하나로 딘기르마가 포함되었다. ''An = Anum'' 신 목록에도 닌후르사그, 닌마, 아루루, 닌투르와 함께 딘기르마가 등장한다. 이들이 모두 같은 여신의 다른 이름인지, 아니면 비슷한 기능을 가진 서로 다른 여신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딘기르마에게 헌정된 사원인 에-마(E-maḫ)는 아다브의 지역 통치자가 건설했다. 말기움에서는 이피크-이슈타르(Ipiq-Ištar) 왕이 딘기르마를 위한 또 다른 사원을 건설했다.
2. 2. 닌마(Ninmaḫ)
닌마(Ninmah영어, "위대한 여인")는 딘기르마와 함께 닌후르사그의 가장 흔한 별칭 중 하나였다. 이 이름은 이미 파라와 사르곤 이전 시대의 라가쉬에서 확인되었으며, 주로 전례 및 문학 텍스트에서 나타났다. 아카드어 형태인 에레쉬마(Ereshmah영어, 음절 표기로는 ''e-re-eš-ma-aḫ'')는 우가리트에서 확인되었는데, 이는 이름의 변형이거나 올바르게 표기된 형태였다.딘기르마처럼 닌마는 초기 왕조 시대 말에 독립적인 여신으로 발전하기 전에는 닌후르사그의 별칭이었다. 엔테메나 왕은 라가쉬에 처음에는 닌후르사그에게 헌정되었고 나중에는 닌마에게 재헌정된 신전을 지었다.
''신비로운 7인조의 기록''이라고 알려진 텍스트에서 닌마는 출산의 일곱 여신 목록에서 닌후르사그와 별도로 "에마 신전의 벨레트-일리(Bēlet-ilīakk)"로 명명되었다.
3. 역할
닌후르사그는 출산, 양육, 풍요, 왕권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했다. 초기에는 양육의 여신으로 여겨졌으며, 야생 및 가축의 출산과도 관련되었다. 다른 출산 여신들과 동화되면서 "벨레트-일리"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고, 출산의 생물학적 과정과 더욱 밀접하게 연관되었다. 라가시의 왕들에게는 "그들을 젖 먹인 산파"로 불렸다. "세계의 어머니"로서, 신들의 '아버지'와 유사한 개념으로 이해되었다.
닌후르사그는 산, 지구, 야생 동물 (특히 사슴)과 연관되었다. 수메르어 텍스트인 '여름과 겨울 사이의 논쟁'은 닌후르사그(지구)와 엔릴의 결합으로 계절이 창조되었다고 설명한다. 구데아의 사원 찬가에서는 닌기르수(닌우르타의 별칭)가 산맥에서 태어났다고 묘사한다.
또한, 닌후르사그는 의료, 치유, 악마로부터의 보호 등과 관련된 의식 주문에도 등장한다. 닌마(Ninmah)라는 이름으로 의료 텍스트에 등장하여 야뇨증 치료를 위한 의식과 제물을 설명하기도 한다.
4. 다른 신들과의 관계
닌후르사그의 부모나 조상에 대한 기록은 없다. 아다드 찬가에서 벨레트-일리는 폭풍신 아다드의 형제로 언급된다.
4. 1. 배우자와 자녀
닌후르사그의 가장 잘 알려진 배우자는 술파에였으며, "사랑하는 배우자"로 묘사되었다. 이들은 케쉬 자료와 니푸르에서 배우자로 확인되었다.닌후르사그와 술파에의 자녀로는 아쉬기, 파니긴가라, 리신, 에지메, 릴루 등이 있다. 릴루는 아쉬기와 동일 인물일 가능성이 있다. 마르코스 수치-구티에레스는 아쉬기가 기원전 3천년기 자료에서 술파에의 증거가 희박했기 때문에 처음에는 아다브에서 닌후르사그의 남편이었으며, 이후 시대에 그녀의 아들로만 여겨졌다고 제안한다. 파니긴가라는 편지의 인사 공식 등에서 어머니와 함께 등장한다. 닌후르사그는 일반적으로 리신의 어머니로 여겨졌지만,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에서는 이들을 동일시한다.
''An = Anum'' 신 목록에는 닌후르사그에게 파니긴가라, 릴루, 아쉬기, 리신 외에 16명의 자녀가 더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라가쉬에서 닌후르사그는 엔릴의 아내이자 닌기르수(닌우르타와 동일시됨)의 어머니였다. 또한 안주를 비롯한 다른 신화에서는 닌우르타의 어머니로 등장한다.
일부 수메르 자료는 닌후르사그를 엔릴의 아내이자 누이로 동일시하는데, 이는 엔릴의 배우자였던 초기 전통을 수정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전통에서는 여신 닌릴을 엔릴의 아내로 삼았다. 이러한 변화 이후 닌후르사그는 엔릴의 언니로 재지정되었다.
엔키는 닌후르사그의 배우자로 묘사되기도 했으며, ''엔키와 닌마''에서 엔키는 닌마를 자신의 누이라고 부른다.
4. 2. 시종
닌후르사그는 에키가라라는 ''숙갈''("신성한 재상")을 배정받았다. 그녀의 수석 전령은 우루마쉬 신이었다. 그녀의 수행원에는 사파르누나(케쉬의 전령), 엥갈-두.두와 님기르-쿠라(지하 세계의 전령), 루갈리기피리그(아다브의 전령) 등 여러 전령 신과 사그슈타슈브슈바, 카.니-슈-키드.두.두, 아드기기, 구두브, 에쿠랍사, 닌-아루루(아루루와 혼동하지 말 것) 등 ''구드-발라그''("황소 리라")로 지정된 신들이 포함되었다.4. 3. 다른 신들과의 동일시
닌후르사그는 엘람의 여신 키리리샤와 유사한 존재로 여겨졌으며, 키리리샤 역시 "신들의 어머니"로 여겨졌다. 프레데릭 그리요는 닌후르사그와 엔키의 결합, 키리리샤와 나피리샤의 결합 사이에 유사성이 있다고 추정하여 둘을 동일한 존재로 간주했다.고대 바빌로니아의 마리에서는 기호 문자 dNIN.HUR.SAG.GA가 다간의 아내인 샬라쉬의 이름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
히타이트인 자료에서는 DINGIR.MAH와 dNIN.TU라는 기호 문자가 히타이트 어머니 여신 한나한나의 이름을 표기하는 데 사용되었다.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에 남부 메소포타미아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는 아카드어-아모리트어 이중 언어 어휘 목록에 따르면, DIĜIR.MAḪ (Bēlet-ilī)는 ʔAṯeratum (''a-še-ra-tum'')이라는 아모리트 신과 동일시되었지만, 앤드루 R. 조지와 Manfred Krebernik|만프레트 크레베르니크de에 따르면 이 맥락에서 이 이름은 우가리트에서 알려진 여신 아세라가 아닌, 아스라툼으로 알려진 여신 아티라트를 지칭했다.
5. 신화
'''NIN''' '''''ḪAR.SAG̃'''''|닌후르사그sux는 수메르어로 "신성한 산의 여인"을 의미하며, 여러 신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여신이다.
'''엔키와 닌후르사그'''
엔키와 닌후르사그의 관계를 다룬 신화에 따르면, 닌후르사그는 엔키에게 딜문에 물이 부족하다고 불평한다. 엔키는 이 땅을 비옥하게 만들어 딜문을 번영하는 습지로 만든다. 이후 엔키는 닌후르사그와 관계를 맺어 딸 닌사르를 낳는다. 닌사르는 빠르게 성장하고, 엔키는 그녀와 관계를 맺어 딸 닌쿠라를 낳는다. 엔키는 다시 닌쿠라와 관계를 맺어 우투를 낳는다. 엔키가 우투와 성관계를 가진 후, 닌후르사그는 우투의 몸에서 엔키의 정액을 제거하여 땅에 심었고, 여기서 여덟 개의 식물이 자라난다. 닌후르사그는 엔키의 행동에 대한 결과로, 그의 "생명을 주는 눈"을 그에게서 멀리 던짐으로써 엔키를 저주한다. 엔키는 병에 걸리지만, 여우의 도움으로 닌후르사그가 돌아와 엔키를 치료하고, 그의 아픈 신체 부위에서 여덟 명의 작은 신을 낳는다. 이 신화는 창세기의 아담과 이브 이야기와 비교되기도 한다.
'''엔키와 닌마'''
인류 창조와 관련된 또 다른 신화인 "엔키와 닌마"에서는 엔키가 어머니 남마의 요청으로 최초의 인간을 창조하는 이야기가 나온다. 닌마와 그녀의 일곱 하녀(출산 여신들)는 남녀의 몸을 만드는 것을 돕는다. 인간이 완성된 후, 엔키와 닌마는 맥주를 마시며 연회를 즐기고, 다른 신들은 엔키의 위대함을 찬양한다. 이후 닌마는 질병과 장애를 가진 일곱 명의 인간을 창조하고, 엔키는 그들을 위한 사회적 자리를 찾아준다. 엔키는 닌마가 자리를 찾을 수 없을 정도로 손상된 개체를 창조하여 경쟁에서 이긴다.
'''괭이의 창조자'''
"괭이의 창조자"라는 문서에서는 닌후르사그가 "신들의 어머니"로 언급되며, 엔키가 만든 괭이로 머리를 드러낸 인간을 완성시켰다고 한다.
'''안주'''
안주 서사시에서 닌후르사그는 벨레트-일리(Belet-Ili) 또는 마미라는 이름으로 아들 닌우르타를 지지하며, "모든 신들의 여주인"이라는 칭호를 받는다.
'''닌우르타의 위업'''
"닌우르타의 위업"에서는 닌우르타가 산을 정복하고 어머니 닌후르사그에게 헌정하는 내용이 나온다. 닌우르타는 산악 지역을 정복하고 돌로 된 왕들의 시체를 거대한 무덤에 쌓는다. 그는 이 산을 그의 어머니에게 헌정하고, 닌마였던 어머니의 이름을 닌후르사그로 바꾼다.
6. 숭배
닌후르사그는 니푸르, 마리, 아다브, 기르수 등 여러 도시에서 숭배되었다. 아다브에서는 디지르마흐(Diĝirmaḫ)라는 이름으로, 기르수에서는 닌마(Ninmah)라는 이름으로 숭배받았으며, 각 도시에 에-마흐(E-maḫ)라는 신전이 있었다.
우르의 초기 왕조 시대에는 닌후르사그 신전이 발굴되었는데, 아마도 아안네파다 왕이 건설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발굴된 신전 헌정 기록에는 "우르의 왕 아안네파다는 우르의 왕 메사네파다의 아들로, 그의 여신 닌후르사그를 위해 이것을 지었습니다."라고 적혀 있다.
닌후르사그의 신전은 에사길라(E'Saggila)라고 불렸으며, 에리두의 쿠후르(Khur)와 키시에 있었다.
닌후르사그의 상징은 오메가(Ω) 모양이며, 기원전 3000년경부터 예술 작품에 묘사되었다. 이 상징은 경계석의 상단에 그려져 있어 닌후르사그의 중요한 위치를 보여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