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투는 수메르 신화에서 숭배받는 태양신으로, 다양한 권력을 아우르는 여신 인안나의 쌍둥이 형제로 묘사된다. 그는 정의의 신으로서, 인간의 일에 관여하여 어려움에 처한 사람들을 돕는 존재로 여겨졌다. 우투는 메소포타미아 문화 전반에 걸쳐 숭배되었으며, 주요 사원은 시파르와 라르사에 위치했다. 신화 속에서 그는 하늘을 가로지르며 세상을 감시하고, 밤에는 지하 세계를 통과하며 심판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길가메시 서사시 등 다양한 문헌에서 우투는 영웅들의 여정에 조력하는 존재로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의의 신 - 라 (이집트 신화)
    라(Ra)는 이집트 신화의 태양신이자 창조신으로, 매의 머리를 가진 남성으로 표현되며, 고대 이집트인들은 그가 태양의 돛단배를 타고 하늘을 가로지르고 밤에는 저승을 여행한다고 믿었고, 라 숭배는 널리 퍼져 파라오가 "라의 아들"로 여겨지는 등 다른 신들과 결합되어 다양한 형태로 숭배되었다.
  • 정의의 신 - 미트라스
    미트라스는 로마 제국에서 유행한 미트라교의 중심 신으로, 프리지아 모자를 쓰고 황소를 죽이는 모습, 바위에서 태어나는 모습, 태양신과 만찬을 즐기는 모습, 사자 머리를 한 레온토세팔린 등으로 묘사된다.
  • 길가메시 서사시 - 후와와
    훔바바는 메소포타미아 신화 《길가메시 서사시》에 등장하는 삼나무 숲의 수호자로, 길가메시와 엔키두에 의해 죽임을 당하며 다양한 이름과 형태로 기록되어 여러 문화권에 영향을 주었고, 미술 작품에서는 얼굴 형태로 묘사되었다.
  • 길가메시 서사시 - 아눈나키
    아눈나키는 수메르 신화에서 하늘 신 안의 후손으로 여겨지는 신들의 집단으로, "왕족의 자손" 또는 "아누의 자손"을 의미하며, 초기 수메르 문헌에서 신들을 지칭하는 단어로 사용되었고 이후 여러 신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현대에는 유사고고학 및 음모론의 주제로도 활용된다.
우투
기본 정보
샤마쉬의 석판
샤마쉬의 석판
다른 이름수메르어: sux (Utu)
아카드어: 샤마쉬 (Shamash)
종류
문화메소포타미아 신화
신화
역할정의, 도덕, 진실의 신
상징태양, 정의의 상징 막대와 고리
가족아버지: 난나 (수메르 신화) 또는 안 (바빌로니아 신화)
어머니: 닝갈
배우자: 쉐르다 또는 아야
형제자매: 이슈쿠르, 에레슈키갈, 이난나/이쉬타르
아이들: 메샤메샤, 키티툼
숭배주요 신전: 에바바르 (시파르)
다른 신전: 라르사, 니푸르, 우루크, 마리
신화 속 이야기길가메시 서사시
지우스드라 신화
이난나의 지하 세계로의 하강
동물사자 (표준 수메르 신화)
기타갈루 (심부름꾼)

2. 가족

이슈타르 여신이 사자 위에 서서 활을 들고 오른쪽 위에 샤마쉬 신의 상징이 있는 남부 메소포타미아 유물.


우투는 다양한 권력을 아우르는 천상의 여왕 인안나의 쌍둥이 형제였다. 수메르어 문헌에서 인안나와 우투는 매우 가까운 것으로 묘사되는데, 사실 이들의 관계는 종종 근친상간에 가깝다.[1] 우투는 보통 달의 신 난나와 그의 아내 닌갈의 아들이지만, 때때로 안이나 엔릴의 아들로 묘사되기도 한다.[2] 그의 아내는 후에 아카드에서 아야로 알려진 여신 쉐리다였다.

쉐리다는 아름다움, 다산, 성애의 여신이었는데, 아마도 빛이 본질적으로 아름다운 것으로 여겨졌거나 농업의 다산을 촉진하는 태양의 역할 때문일 것으로 보인다. 그들은 "진실"을 의미하는 키투 여신과 "정의"를 의미하는 미샤루 신이라는 두 명의 자손을 낳은 것으로 믿어졌다. 구바빌로니아 시대(BC 1830-1531년 경)에 쉐리다와 그 결과로 우투는 신들에게 삶을 바친, 세속과 격리된 여성 집단인 나디투와 연관되었다. 우투의 마부 부네네는 때때로 그의 아들로 묘사되는데, 부네네는 구바빌로니아 시대에 시파르우루크에서 정의의 신으로 우투와 별개로 숭배되었으며, 아수르에서도 숭배되었다. 꿈의 신 시시그도 우투의 아들로 묘사된다.

3. 신앙

우투는 아주 이른 시기부터 수메르에서 숭배되었다.[2] 그를 언급한 가장 오래된 문서는 기원전 3500년경 수메르 문자의 첫 단계에 해당한다. 그의 주요 사원은 "이밥바"("하얀 집")로 알려졌으며, 시파르라르사에 있었다.[2] 우투는 메소포타미아 문화가 끝날 때까지 3000년 넘도록 계속 숭배되었다. 우투의 주된 성격은 친절과 관대함이지만, 다른 모든 메소포타미아 신들처럼, 귀찮은 부탁을 거절하기도 했다.

우투는 이난나의 쌍둥이 오빠이며, 수메르 문헌에서 이난나와 우투는 매우 친밀하여, 그들의 관계는 종종 불륜에 가깝게 묘사되기도 한다. 우투는 일반적으로 달의 신 난나와 그의 아내 닌갈의 자식이나, 안 또는 엔릴의 자식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그의 아내는 여신 셰리다(Sherida)이며, 나중에 아카드어로는 아야(Aya)라고 불린다.[2]

셰리다는 아름다움, 출산, 성애의 여신인데, 이는 빛이 본래 아름답다고 생각되거나, 농업의 생육을 촉진하는 태양의 역할 때문으로 추정된다. 그들에게는 두 명의 자녀가 있었다고 여겨지는데, 여신 키투(Kittu)는 "진실"을, 신 미샤루(Misharu)는 "정의"를 의미한다.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기원전 1830년경-기원전 1531년경)에는 셰리다와 우투는 자신의 생명을 신에게 바치는 수도원 여성 집단인 와 관련되었다. 우투의 마부 때때로 그의 아들로 묘사된다.[2] 부네니는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 시파르와 우루크에서 정의의 신으로 독립적으로 숭배되었으며,[2] 아슈르에서도 숭배되었다.[2] 꿈의 신 그의 아들이라고 한다.[1]

수메르인들은 우투가 하늘을 건널 때 세상에서 일어나는 모든 것을 본다고 믿었다.[2] 여동생 이난나와 함께 우투는 신성한 정의의 집행자였다. 밤이 되면 우투는 저승을 넘어 해가 뜨기 위해 동쪽으로 간다고 한다. 수메르 문학 작품 중 하나는 우투가 저승을 비추고 그곳에서 재판을 할당했다고 말하고, 샤마슈 찬가 31 (BWL 126)는 우투가 저승에서 말쿠(malku), 쿠슈(kusu), 아눈나키와 함께 죽은 자들의 재판관을 맡고 있음을 지적한다. 우투는 저승을 건너는 도중에 진귀한 보석 열매가 열리는 나무가 있는 태양신의 정원을 지난다고 믿어졌다.

우투는 인간 관계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여겨졌고, 어려움에 처한 사람들을 돕는다고 여겨졌다.[2] 수메르 서사시 《탐무즈의 꿈》에서는 우투가 개입하여 이난나를 쫓는 악령 갈루의 손에서 그녀의 남편 탐무즈를 구출한다.[2] 수메르의 대홍수 신화에서는 홍수가 시작된 후 우투가 나타나, 그 때문에 이야기 속 영웅 지우스드라가 배의 창문을 열고 그의 앞에 무릎을 꿇는다. 지우스드라는 우투에게 양과 소를 바쳤다.

수메르 왕 목록에는 초기 우르크 왕 중 한 명이 "우투의 아들"로 묘사되어 있으며,[2] 우투는 그 도시의 이후 여러 왕의 특별한 보호자였던 것으로 보인다.[2]

4. 성상 연구

수메르 문헌에서 우투는 "수염"과 "긴 팔"로 묘사된다.[1] 예술에서 그는 긴 수염을 가진 노인으로 나타난다.[2] 그는 매일 새벽에 천상의 문에서 나와 전차를 타고 하늘을 가로질러 매일 저녁 먼 서쪽의 문을 통해 "천상의 내부"로 돌아온다고 믿어졌다.[1] 우투의 마부는 부네네라고 명명되었다. 실린더 인장은 종종 그가 무기를 휘두를 때 그를 위해 문을 열어주는 두 신의 모습을 보여준다.[1] 전정용 톱은 크고 들쭉날쭉한 이빨을 가진 양날의 아치형 톱으로, 정의의 신으로서의 그의 역할을 상징한다.[1] 우투의 주요 상징은 태양 원반으로,[2] 각 기본 방향에 4개의 포인트가 있는 원과 각 포인트 사이의 원에서 나오는 4개의 물결 모양의 대각선이었다.[2] 이 상징은 태양의 빛, 따뜻함, 그리고 힘을 나타낸다.[2]



아시리아의 날개 달린 태양 상징을 입은 남성상(기원전 9세기 님루드 북서쪽 궁전). 이 성상은 나중에 조로아스터교의 파라바하르 상징을 낳았다.


5. 신화

수메르인들은 우투가 하늘을 지나갈 때 세상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을 본다고 믿었다.[1][2] 인안나와 함께 우투는 신성한 정의의 집행자였다. 밤에는 우투가 지하세계를 통과하여 일출을 준비하기 위해 동쪽으로 간다고 믿어졌다.[2] 수메르 문학 작품에서는 우투가 지하 세계를 밝히고 그곳에서 심판을 내린다고 언급하며, 샤마쉬 찬가 31에서는 우투가 아눈나키 등과 함께 지하 세계의 죽은 자들을 심판한다고 한다. 우투는 지하세계를 지나는 길에 귀중한 보석을 열매로 가진 나무들이 있는 태양신의 정원을 지난다고 믿어졌다.[2]

우투는 인간의 일에 적극적으로 관여하고, 어려움에 처한 사람들을 돕는다고 여겨졌다.[1]

우투는 인안나의 쌍둥이 오빠이며, 인안나는 하늘의 여주인으로, 그녀의 영역에는 다양한 힘이 포함되어 있었다. 수메르 문헌에서 이난나와 우투는 매우 친밀했으며, 이들의 관계는 종종 불륜에 가깝다고 묘사된다. 우투는 일반적으로 달의 신 난나와 그의 아내 닌갈의 자식이나, 안 또는 엔릴의 자식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그의 아내는 여신 셰리다(Sherida)이며, 나중에 아카드어로 아야(Aya)라고 불린다.[1][2]

셰리다는 아름다움, 출산, 성애의 여신인데,[2] 이는 빛이 본래 아름답다고 생각되거나, 농업의 생육을 촉진하는 태양의 역할 때문으로 여겨진다.[2] 우투와 셰리다 사이에는 두 명의 자녀, 즉 "진실"을 의미하는 여신 키투(Kittu)와 "정의"를 의미하는 신 미샤루(Misharu)가 있었다고 한다.[2]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기원전 1830년경-기원전 1531년경)에 셰리다와 우투는 자신의 생명을 신에게 바치는 수도원 여성 집단인 와 관련되었다. 우투의 마부 때때로 그의 아들로 묘사된다.[1] 부네니는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 시파르와 우루크에서 정의의 신으로 독립적으로 숭배되었으며,[1] 아슈르에서도 숭배되었다.[1] 꿈의 신 또한 그의 아들이라고 한다.[1]

5. 1. 에타나 신화

수메르인들은 우투가 하늘을 가로지를 때 세상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을 본다고 믿었다.[1],[2] 그의 누이 인안나와 함께, 우투는 신의 정의를 집행하는 역할을 했다. 밤에 우투는 지하세계를 통과하여 해가 뜰 때를 대비해 동쪽으로 간다고 알려졌다.[2] 수메르 문학 작품에서는 우투가 지하세계를 밝히고 심판을 내린다고 언급되며, 샤마쉬 찬가 31에서는 우투가 아눈나키 등과 함께 지하세계의 죽은 자들을 심판한다고 한다. 지하세계를 지나는 길에 우투는 보석 열매가 열리는 나무가 있는 태양신의 정원을 지난다고 믿어졌다.[2]

우투는 인간사에 적극적으로 관여하고 어려움에 처한 사람들을 돕는다고 여겨졌다.[1] 우투가 등장하는 초기 문학 작품 중 하나인 《에타나 신화》에서는 에타나가 우투에게 아내가 아이를 가질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요청한다. 수메르 시 《두무지의 꿈》에서 우투는 두무지를 사냥하는 악마들로부터 그를 구하기 위해 개입한다.[1] 수메르 홍수 신화에서 우투는 홍수가 가라앉기 시작한 후 나타나 이야기의 주인공인 지우수드라가 배의 창문을 열고 그에게 절하게 만들었다., 지우수드라는 우투에게 양과 소를 제물로 바친다.,

수메르 왕 목록에서 우루크의 초기 왕 중 한 명은 "우투의 아들"로 묘사되며,[1] 우투는 이 도시의 후대 왕들에게 특별한 수호신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1] 수메르 시 《길가메시와 후와와》에서 길가메시는 우투에게 시더(삼나무) 산으로 가는 여정을 도와달라고 부탁한다. 이 판본에서 길가메시는 우투가 태양이 뜨는 땅인 극동에 위치한 시더 산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도움을 요청한다. 우투는 처음에는 주저하지만, 길가메시가 자신이 결국 죽을 것이라는 것을 알기에 자신의 이름을 알리고자 한다고 설명하자, 우투는 동의한다. 길가메시가 시더 산에 도착하자, 우투는 그가 시더 산에 사는 후와와를 물리칠 수 있도록 돕는다.

표준 바빌로니아 길가메시 서사시에서 길가메시가 시더 산을 방문하려는 계획은 여전히 그의 생각이고, 도움을 받기 위해 샤마쉬에게 간다. 그러나 이 판본에서는 시더 산이 레바논 북서쪽에 있는 것으로 명시되어 있다. 샤마쉬는 길가메시가 후와와(훔바바)를 물리치는 것을 돕는다.[1],

5. 2. 두무지의 꿈

수메르 시 '두무지의 꿈'에서 우투는 갈라 악마로부터 인안나의 남편 두무지를 구하기 위해 개입한다.[1]

5. 3. 수메르 홍수 신화

수메르 홍수 신화에서 우투는 홍수가 진정되기 시작한 후 나타나 이야기의 주인공인 지우수드라가 배의 창문을 열고 그의 앞에 엎드려 절하게 만들었다.[1] 지우수드라는 자신을 구원한 우투에게 양과 소를 제물로 바쳤다.[1]

5. 4. 길가메시 서사시

수메르 시 '길가메시와 후와와'에서 영웅 길가메시는 우투에게 삼나무 산으로 가는 여정을 도와달라고 부탁한다.[1] 길가메시는 우투가 태양이 뜨는 땅인 극동에 위치한 것으로 암시되는 삼나무 산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우투에게 도움을 요청한다.[2] 우투는 처음에는 도와주기를 꺼려하지만, 길가메시가 자신이 결국 죽을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자신의 이름을 알리고자 하는 것이라고 설명하자 우투는 동의한다. 길가메시가 삼나무 산에 다다르자 우투는 그가 삼나무 산에 사는 후와와를 물리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표준 바빌로니아 길가메시 서사시에서는 길가메시가 삼나무 산을 방문하려는 계획은 여전히 그의 생각이고 도움을 받기 위해 샤마쉬에게 간다. 이 판본에서는 삼나무 산이 레바논 북서쪽에 있는 것으로 명시되어 있다. 샤마쉬는 길가메시가 훔바바(후와와의 동셈어 이름)를 물리치는 것을 돕는다. 제프리 H. 티게이는 바빌론 제1왕조 판 서사시에서 루갈반다태양신의 연관성이 "전통 역사에서 한때 태양신 또한 조상으로서 불렸다는 인상"을 강화시켰다고 주장한다. 수메르어 버전에서 길가메시의 첫 번째 탐험은 삼나무 산을 방문하는 것이고, 훔바바는 길가메시엔키두가 그곳에 도착했을 때 마주치는 장애물에 불과하지만, 바빌로니아 버전에서는 훔바바를 물리치는 것이 영웅들이 시작하는 첫 번째 탐험이다. 길가메시 이야기의 후기 판본에서 샤마쉬는 길가메시에게 먼저 훔바바를 죽이도록 지시하는 탐험의 선동자가 된다.

참조

[1] 서적 Gilgamesh, Enkidu, and the Netherworld and the Sumerian Gilgamesh Cycle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14
[2] 서적 Gilgamesh, Enkidu, and the Netherworld and the Sumerian Gilgamesh Cycle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