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도 제4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도 제4호선은 전라북도 부안군에서 경상북도 경주시 감포읍을 잇는 일반 국도이다. 1971년 군산 ~ 경주선으로 지정되었으며, 여러 차례 기점과 종점이 변경되었다. 주요 경유지로는 부안, 군산, 서천, 부여, 논산, 계룡, 대전, 옥천, 영동, 김천, 칠곡, 대구, 경산, 영천, 경주 등이 있으며, 다양한 고속도로 및 국도와 교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계룡시의 교통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1호선은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로, 조선 시대부터 주요 도로로 이용되었으며, 여러 차례의 변화를 거쳐 현재 광주광역시,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서울특별시 등을 경유하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 계룡시의 교통 - 계룡역
    계룡역은 충청남도 계룡시에 위치한 호남선 철도역으로,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며 주변 편의시설과 연계되어 현재 호남선 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및 ITX-마음 열차가 운행된다.
  • 대구 서구의 교통 - 서대구역
    서대구역은 경부선에 위치한 고속철도와 대구권 광역철도가 정차하는 복합환승역으로, 2022년 3월 개업 후 운영 범위가 확대될 예정이나 역세권 개발 지연 등의 과제가 남아있다.
  • 대구 서구의 교통 - 국도 제26호선
    국도 제26호선은 군산에서 대구 서구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로, 1971년에 지정되었으며 전라북도, 경상남도, 경상북도를 거쳐 대구광역시를 지난다.
  • 옥천군의 교통 -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37호선은 경상남도 거창군에서 경기도 파주시까지 총 연장 405km에 걸쳐 6개 도를 연결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지만, 노선 변경에 따른 주민 불편과 일부 구간의 교통 혼잡 문제도 안고 있는 일반국도이다.
  • 옥천군의 교통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국도 제4호선
지도 정보
대한민국 국도 제4호선 지도
대한민국 국도 제4호선 노선도
노선 정보
종류일반 국도
노선 번호4
총 연장417.9 km
개통일1971년 8월 31일
방향동서
노선 경로
기점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서쪽)
주요 경유지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대전광역시
충청북도
경상북도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종점경상북도 경주시 (동쪽)
주요 교차 도로
고속도로경부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익산평택고속도로
논산천안고속도로
통영대전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서천공주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지선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
일반 국도국도 제1호선
국도 제3호선
국도 제5호선
국도 제7호선
국도 제12호선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17호선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20호선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23호선
국도 제25호선
국도 제26호선
국도 제29호선
국도 제31호선
국도 제32호선
국도 제33호선
국도 제35호선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40호선
국도 제59호선
국도 제77호선
국가지원지방도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
광역시도대전광역시도 제120호선

2. 역사

1971년 8월 31일, 일반국도노선지정령에 의해 '''국도 제4호선''' 군산 ~ 경주선이 지정되었다.[9]

1996년 7월 1일, 종점이 '경상북도 월성군 감포읍'에서 '경상북도 경주시 감포읍'으로 변경되었다.[13]

2008년 1월 3일, 기점이 전라북도 군산시에서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으로 연장되었다.[33]

2021년 6월 22일, 기점을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관리도리에서 전라북도 부안군 하서면 백련리로 변경하면서 '군산 ~ 경주선'에서 '부안 ~ 경주선'으로 변경되었다.[53]

2023년 12월 19일, 김천시 국도대체우회도로(옥률-대룡) 구간이 신설 개통되고,[55] 기존 국도 4호선 구간은 폐지되었다.[56]

2. 1. 연혁

1971년 8월 31일, 일반국도노선지정령에 의해 '''국도 제4호선''' 군산 ~ 경주선이 지정되었다.[9] 1973년 9월 8일에는 선형 개량으로 인해 논산군 광석면 득윤리 ~ 성동면 갈산리, 부여군 홍산면 남촌리 ~ 북촌리, 부여군 규암면 규암리 ~ 부여읍 구교리, 서천군 마서면 송내리 구간의 도로구역이 변경되었다.[10]

1988년 3월 23일, 영동군 영동읍 계산리 구간이 개통되고, 기존 구간은 폐지되었다.[11] 1995년 2월 18일에는 영동군 영동읍 부용리 ~ 주곡리 구간이 개통되고, 기존 구간은 폐지되었다.[12] 1996년 7월 1일, 종점이 '경상북도 월성군 감포읍'에서 '경상북도 경주시 감포읍'으로 변경되었다.[13]

1998년 1월 12일, 부여군 규암면 규암리 ~ 부여읍 동남리 구간이 신설 개통되고, 기존 구간은 폐지되었다.[14] 같은 해 5월 8일에는 칠곡군 약목면 관호리 ~ 왜관읍 삼청리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구간은 폐지되었다.[15] 1999년 4월 1일, 영동군 심천면 고당리 ~ 영동읍 부용리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구간은 폐지되었다.[16] 같은 해 7월 23일에는 부여군 홍산면 좌홍리 ~ 남촌리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구간은 폐지되었다.[17]

2000년 6월 26일, 구룡우회도로(부여군 구룡면 동방리 ~ 주정리) 구간이 개통되고, 기존 구간은 폐지되었다.[18] 2001년 9월 21일에는 논산시 성동면 원북리 ~ 부적면 마구평리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논산시 광적면 산동리 ~ 부적면 마구평리 구간은 폐지되었다.[19] 2002년 1월 30일, 영천 ~ 북안간 도로(영천시 금호읍 석섬리 ~ 작산동) 구간이 임시 확장 개통되었다.[20] 같은 해 9월 30일에는 왜관IC ~ 대구시계간 도로(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삼청리 ~ 대구광역시 북구 태전동)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21] 10월 5일에는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마산리 구간이 개통되었고,[22] 11월 1일에는 기존 논산시 성동면 원북리 ~ 광석면 산동리 구간이 폐지되었다.[23]

2004년 1월 1일, 관호 교차로의 관호대교(칠곡군 약목면 관호리 ~ 무림리) 구간이 개통되었다.[24] 4월 15일에는 영천 ~ 북안간 도로(영천시 금호읍 석심리 ~ 북안면 반정리)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25] 12월 28일에는 영천 ~ 북안간 도로 및 북안 ~ 경주간 도로(영천시 금호읍 석섬리 ~ 경주시 광명동) 전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구간은 폐지되었다.[26]

2005년 12월 22일,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광평리 ~ 추풍령면 추풍령리 구간이 개통되고, 기존 구간은 폐지되었으며,[27] 추풍령 ~ 김천간 도로(김천시 봉산면 광천리 ~ 태화리)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28] 기존 구간은 폐지되었다.[29] 2007년 1월 3일, 충청남도 계룡시 금암동 연화 교차로 ~ 대전광역시 유성구 방동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구간은 폐지되었다.[30][31] 11월 30일에는 남김천 나들목과 연계를 위해 남면 ~ 약목간 도로(김천시 남면 부상리 ~ 칠곡군 북삼읍 보손리) 구간이 일부 개통되었다.[32]

2008년 1월 3일, 기점이 전라북도 군산시에서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으로 연장되었다.[33] 12월 17일에는 김천 ~ 약목간 도로(김천시 덕곡동 ~ 칠곡군 약목면 복성리) 전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고,[34] 12월 31일에는 구룡 ~ 부여간 도로(부여군 구룡면 태양리 ~ 부여읍 동남리)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부여군 구룡면 주정리 ~ 부여읍 동남리 구간은 폐지되었다.[35]

2009년 1월 7일, 김천 ~ 약목간 도로 개통으로 기존 김천시 농소면 월곡리 ~ 칠곡군 북삼읍 승오리 구간이 폐지되었다.[36] 7월 17일에는 서천군 서천읍 군사리 ~ 삼산리 구간이 개량 개통되고, 기존 구간은 폐지되었다.[37] 12월 31일에는 부여 ~ 논산간 도로(부여군 부여읍 군수리 ~ 논산시 성동면 원북리)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구간은 폐지되었다.[38]

2011년 12월 22일, 서천군 판교면 복대리 ~ 부여군 구룡면 동방리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39] 2014년 1월 8일, 이백지구 위험도로(옥천군 군북면 이백리) 구간이 개량 개통되고, 기존 구간은 폐지되었다.[40] 1월 29일에는 서천군 서천읍 오석리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41] 7월 31일에는 서천군 판교면 마대리 ~ 복대리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구간은 폐지되었다.[42] 12월 30일에는 경주 ~ 감포간 도로(경주시 보덕동 ~ 감포읍 전촌리)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43] 기존 구간은 폐지되었다.[44] 12월 31일에는 서천 나들목 ~ 판교간 도로(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오석리 ~ 판교면 마대리)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구간은 폐지되었다.[45]

2016년 7월 5일, 고군산대교를 포함한 고군산군도 연결도로 1~2공구(군산시 옥도면 신시도리 ~ 무녀도리) 구간이 신설 개통되었다.[46] 10월 21일에는 영동 ~ 추풍령간 도로 2공구(영동군 영동읍 가리 ~ 황간면 광평리)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47] 2017년 3월 15일, 영동 ~ 추풍령간 도로 1공구(영동군 영동읍 부용리 ~ 가리)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구간은 폐지되었다.[48] 12월 28일에는 고군산군도 연결도로 3공구(군산시 옥도면 무녀도리 ~ 장자도리) 구간이 신설 개통되었다.[49]

2018년 10월 7일, 경주시 양북면 토함산로의 장항 교차로 인근 구간 비탈면 붕괴로 인해 장항 교차로 ~ 안동 교차로 구간이 전면 통제되고, 기존 국도 구간으로 우회 통행하도록 변경되었다.[50][51] 12월 27일에는 동백대교(전라북도 군산시 해망동 ~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성주리) 구간이 신설 개통되었다.[52]

2021년 6월 22일, 기점을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관리도리에서 전라북도 부안군 하서면 백련리로 변경하면서 '군산 ~ 경주선'에서 '부안 ~ 경주선'으로 변경되었다.[53] 2022년 12월 29일, 새만금 남북도로 1단계 구간이 신설 개통되었고,[54] 2023년 7월 23일에는 새만금 남북도로 2단계 구간이 신설 개통되었다. 같은 해 12월 19일, 김천시 국도대체우회도로(옥률-대룡) 구간이 신설 개통되고,[55] 기존 국도 4호선 구간은 폐지되었다.[56]

3. 주요 경유지

wikitext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하서면에서 국도 제30호선(변산바다로)과 분기되는 새만금 교차로를 시점으로, 계화면을 거쳐 미정의 새만금동진대교와 만경대교를 지난다.[57] 군산시 옥서면소룡동을 지나 엑스포 교차로에서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77호선과 중복된다.[57] 변전소사거리에서 동장산로, 외항로와 교차하고, 대우삼거리에서 장산로, 여객터미널삼거리에서 임해로, 공단삼거리에서 공단대로와 교차한다.[57] 외고삼거리에서는 국도 제26호선과 중복된다.[57] 이후 해신동의 해망 교차로에서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26호선 (해망로)과 분기되어, 동백대교를 통해 충청남도 서천군으로 이어진다.[57][2]

군산시 옥도면에서는 관리도항을 종착역으로 하여 관리도에서 (교량 이름 미상)의 교량으로 장자도와 연결된다. 장자 교차로에서는 장자도 1길과 연결된다. 장자교, 선유터널(약 90m), 선유 1, 2 교차로, 선유대교, 무녀 2 교차로, 무녀교, 고군산대교, 신시교를 지난다. 신시초등학교 삼거리에서 신시도길과 연결되며, 신시 3삼거리, 신시 2사거리, 신시해안교, 신시도항, 신시 1 교차로를 지난다. 새만금 방조제 (3호), 야미도를 거쳐 새만금 방조제 (4호)를 지나 군산시 소룡동으로 진입한다.

3. 1.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하서면에서 국도 제30호선(변산바다로)과 분기되는 새만금 교차로를 시점으로, 계화면을 거쳐 미정의 새만금동진대교와 만경대교를 지난다.[57] 군산시 옥서면소룡동을 지나 엑스포 교차로에서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77호선과 중복된다.[57] 변전소사거리에서 동장산로, 외항로와 교차하고, 대우삼거리에서 장산로, 여객터미널삼거리에서 임해로, 공단삼거리에서 공단대로와 교차한다.[57] 외고삼거리에서는 국도 제26호선과 중복된다.[57] 이후 해신동의 해망 교차로에서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26호선 (해망로)과 분기되어, 동백대교를 통해 충청남도 서천군으로 이어진다.[57][2]

군산시 옥도면에서는 관리도항을 종착역으로 하여 관리도에서 (교량 이름 미상)의 교량으로 장자도와 연결된다. 장자 교차로에서는 장자도 1길과 연결된다. 장자교, 선유터널(약 90m), 선유 1, 2 교차로, 선유대교, 무녀 2 교차로, 무녀교, 고군산대교, 신시교를 지난다. 신시초등학교 삼거리에서 신시도길과 연결되며, 신시 3삼거리, 신시 2사거리, 신시해안교, 신시도항, 신시 1 교차로를 지난다. 새만금 방조제 (3호), 야미도를 거쳐 새만금 방조제 (4호)를 지나 군산시 소룡동으로 진입한다.

3. 2. 충청남도

동백대교를 통해 전라북도 군산시에서 충청남도 서천군으로 연결된다.[57][3] 장항읍에서는 국도 제77호선과 중복되며, 원수 교차로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장산로)과 교차한다.[57][3] 송내 교차로에서는 국도 제21호선 (금강로)과 만나고, 마서면을 지나 장항역사거리, 덕암 교차로, 삼산 교차로를 거친다.[57][3]

서천읍에서는 국도 제21호선국도 제77호선과 중복되어 군사2 교차로, 군사 교차로, 오석사거리, 서천 나들목(서해안고속도로)을 지난다.[57] 화성 교차로에서는 대백제로와 연결되지만 상행 진입과 하행 진출은 불가능하다.[57] 이후 화성2교, 화성3교를 지나 종천면판교면을 거치며, 문곡 교차로, 현암교, 수성 교차로(지방도 제617호선 (종판로)), 판교 교차로(지방도 제617호선 (판미로)), 복대1 교차로를 지난다.[57]

부여군 옥산면에서는 대덕 교차로, 옥산1·2 교차로, 수암1·2 교차로를 지나 홍산면으로 이어진다.[57] 홍산1·2 교차로, 남촌사거리(지방도 제611호선, 지방도 제613호선 (팔충로) 등), 홍산 교차로(지방도 제611호선 (남성로)), 좌홍 교차로(지방도 제613호선 (홍산로))를 거쳐 남면의 점동 교차로, 송정 교차로, 서부여 나들목(서천공주고속도로)에 이른다.[57]

구룡면에서는 동방 교차로, 구룡 교차로(국도 제40호선, 지방도 제723호선 (흥수로)), 부여구룡 나들목(익산평택고속도로)을 지난다.[57] 구봉 교차로와 합송 교차로에서는 국도 제40호선과 중복된다.[57] 규암면에서는 내리 교차로(국도 제29호선 (은암로))와 규암 교차로(지방도 제625호선 (충절로))를 지나 부여대교를 건너 부여읍으로 들어선다.[57][3]

부여읍에서는 부여 교차로(성왕로), 대왕 교차로, 가탑 교차로(국도 제40호선 (성왕로)), 왕릉 교차로, 능산 교차로, 염창 교차로를 거쳐 사비터널(상행 860m, 하행 820m)을 통과한다.[57][3] 석성면에서는 석성 교차로(지방도 제799호선 (금백로)), 증산 교차로, 연화 교차로를 지나 군계교를 건너 논산시에 진입한다.[57][3]

논산시 광석면에서는 원북 교차로, 서논산 나들목(논산천안고속도로)을 지나 논산 교차로(국도 제23호선 (득안대로))와 광석 교차로(국도 제23호선 (득안대로))에서 국도 제23호선과 중복된다.[57][3] 노성대교를 건너 부적면에 들어서면 율림과선교, 부적 교차로(국도 제1호선 (계백로))에서 국도 제1호선과 중복된다.[57][3] 마구평삼거리(지방도 제691호선 (백일헌로)), 외성삼거리, 임리삼거리를 지나 연산면의 연산사거리(지방도 제697호선 (황산벌로))와 개태사역을 거친다.[57]

계룡시 엄사면에서는 계룡문화예술의전당, 유동삼거리(지방도 제645호선 (문화로)), 삼진삼거리, 양정시외버스정류소, 양정삼거리, 연화 교차로(계룡대로, 계룡 나들목 간접 연결)를 지나 계룡대교를 통해 대전광역시로 이어진다.[57][3]

2009년 이전에는 구룡 교차로에서 주정삼거리, 먹고개삼거리, 구봉 교차로, 부여군농업기술센터, 백제중학교, KGC인삼공사 부여공장, 규암사거리, 규암초등학교, 부여소방서, 규암면 행정복지센터, 수북정 교차로, 백제교, 부여경찰서, 백강 교차로까지의 구간이었다. 2010년 이전에는 백강 교차로에서 궁남초등학교, 부여군청, 군청로터리, 충청지방통계청, 부여우체국, 부여시외버스터미널, 성왕로터리, 마성삼거리, 부여도서관, 국민건강보험공단 부여청양지사, 사비신문, 백제인삼농협, 동부농협사거리, 대향로로터리, 한국전력공사 부여지사, 능산 교차로, 부여국유림관리소, 한국수자원공사 충남중부권지사, 십자가사거리, 신십자거리, 증산 교차로, 군계교, 석성천교, 원북 교차로까지의 구간이었다.

3. 3.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구간의 국도 제4호선은 유성구, 서구, 중구, 동구를 지난다. 계룡대교를 통해 유성구로 진입하며, 국도 제1호선과 중복된다.[57] 두마 교차로에서 국도 제1호선 (백운로)과 분기하고, 계룡과선교 북단, 엉고개를 지나 방동대교에 이른다.[57] 서대전 나들목에서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와 교차하며, 서대전 나들목삼거리, 진잠네거리, 구봉중삼거리를 거쳐 관저네거리에 이른다. 관저네거리에는 관저지하차도가 있다.[57]

관저·건양대병원시외버스정류소, 건양병원네거리, 가수원네거리를 지나 가수원교를 건넌다.[57] 이후 정림삼거리, 불티구름다리를 지나 대전남부소방서, 도마삼거리, 도마동시외버스정류장, 도마네거리를 지난다.[57] 도마지하차도를 지나 유등교를 건너 중구로 진입한다.[57]

버드내네거리, 유천네거리를 지나 서대전육교를 건너 서대전역네거리에 이른다.[57] 서대전네거리 (서대전네거리역)에서 국도 제32호선 (계룡로)과 교차하며, 충남대학교병원네거리, 테미삼거리를 지나 보문산공원오거리에 이른다.[57] 한밭종합운동장을 지나 충무로네거리에서 대종로와 교차하고, 보문교를 건너 동구로 진입한다.[57]

인동네거리에서 국도 제17호선 (대전로)과 교차하고, 인동지하차도를 지나 제1치수교앞네거리, 제2치수교앞네거리, 신흥역, 판암역을 지난다.[57] 판암네거리를 지나 판암 나들목 (판암 지하차도)에서 통영대전고속도로와 교차한다.[57] 대전동신과학고등학교, 비룡삼거리, 식장산삼거리, 세천초등학교, 세천삼거리를 지나 마달령을 넘어 충청북도 옥천군으로 이어진다.[57]

3. 4. 충청북도

마달령을 지나 대전광역시충청북도 경계선에서 옥천군 군북면으로 들어선다. 증약초등학교, 군북면 행정복지센터를 지나 옥천읍으로 진입하여 서정2 교차로에서 국도 제37호선과 교차한다.[57][5] 삼양사거리, 삼양삼거리, 옥천시외버스공용정류장, 옥천대교, 가화지하차도를 지나 옥천역을 지난다. 마암삼거리, 과선교사거리, 원각사거리를 거쳐 동이면 적하삼거리에서 지방도 제501호선과 중복된다.[57][5]

이원면 구짐티삼거리, 검진교, 이원삼거리를 지나 원동삼거리에서 지방도 제514호선과 교차한다.[57][5] 영동군 심천면으로 진입하여 고당교, 약목사거리를 지나 각계교를 건너 영동읍으로 들어선다. 산리교, 오정삼거리를 지나 부용 교차로에서 국도 제19호선과 중복되며, 부용사거리, 매천 교차로, 영동 교차로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과도 겹친다.[57][5]

늘머니 교차로, 매천교, 삼봉천교, 주곡 교차로, 임계교를 지나 임계터널(상행 246m, 하행 311m)과 가리터널(상행 252m, 하행 128m)을 통과한다.[57][5] 하가리교, 중가리교, 상가리교, 가리 교차로, 서송원1교를 지나 황간면으로 들어선다. 서송원 교차로, 서송원2교, 안화1교, 안화2교, 마산 교차로를 지나 마산터널(상행 335m, 하행 310m)을 통과한다.[57][5]

안신1교, 소계 교차로, 마래1교, 마래2교, 새동네 교차로, 광평 교차로, 계룡 교차로를 거쳐 추풍령면으로 진입한다.[57][5] 추풍령1교, 추풍령2교, 추풍령3교, 추풍령4교, 사부리 교차로, 원관과선교, 추풍령5교, 은편 교차로, 추풍령과선교, 추풍령 교차로를 지나 추풍령에서 경상북도와 접한다.[57][5]

2017년 이전에는 매천 교차로에서 영동제3교, 영동3교삼거리, 영동읍 행정복지센터, 영신중학교, 청주지방법원 영동지원, 청주지방검찰청 영동지청, 영동체육관, 영동군민운동장, 매천삼거리, 영동소방서, 조심교, 화동교, 주곡 회전교차로, 신탄삼거리, 노근리 역사공원, 마산삼거리, 황간삼거리(황간 나들목), 마산삼거리, 옥포삼거리, 황간교삼거리, 황간시외버스터미널, 황간삼거리, 황간교, 새동네 교차로를 경유했다.

3. 5. 경상북도 (대구 서쪽)

경상북도 구간은 김천시칠곡군을 지난다. 김천시에서는 추풍령에서 시작하여 봉산면, 대항면, 대신동, 어모면, 개령면, 남면, 율곡동, 농소면을 지난다. 칠곡군에서는 북삼읍, 약목면, 기산면, 왜관읍, 지천면을 거쳐 대구광역시로 이어진다.[57][6]

김천시 구간에서는 지방도 제903호선(황악로), 지방도 제514호선(영남대로), 국도 제3호선(경상대로), 국도 제59호선(김선로, 환경로) 등과 교차하거나 중복된다. 경부고속도로중부내륙고속도로와도 교차한다. 주요 교차로는 다음과 같다:

칠곡군 구간에서는 국도 제33호선(강변서로, 가야로) 및 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호국로, 관문로) 등과 교차하거나 중복된다. 경부고속도로와도 두 번 교차한다. 주요 교차로는 다음과 같다:

3. 6. 대구광역시

대구광역시를 지나는 국도 제4호선은 북구, 서구, 동구를 지난다.[57][7]

북구에서는 태전고가교에서 시작하여 관음로, 낙산로와 교차한다. 이후 강북고등학교, 대구태현초등학교, 영송여자고등학교, 대구보건대학교를 지나 보건대네거리에서 영송로, 태전로13길과 만난다. 태전삼거리에서는 국도 제5호선국도 제25호선 (칠곡중앙대로)과 중복된다. 태전역을 지나 태전네거리에서 학정로와 교차하고, 팔달로 교차로(팔달고가차도) (매천시장역)에서는 매천로18길과 만난다. 이후 대구북부화물터미널을 지나 팔달교 북단에서 매천로2길과 교차한다.[57][7]

팔달교를 건너 서구에 진입하여 팔달교 교차로에서 신천대로와 만난다. 공단역을 지나 만평네거리(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만평역)에서 국도 제5호선 (서대구로), 팔달로와 교차한다. 다시 북구로 진입하여 노원네거리에서 오봉로, 백사벌네거리에서 침산로와 교차한다. 침산교지하차도를 지나 침산교 교차로에서 신천동로와 만나며, 연암네거리에서 연암로, 유통단지삼거리에서 호국로, 산격중학교 교차로에서 산격로와 교차한다. 복현오거리(복현고가교)에서는 검단로, 공항로, 대학로와 만나고, 복현네거리에서 경대로, 복현로와 교차한다.[57][7]

동구에서는 큰고개오거리(효목고가차도)에서 신암남로, 아양로와 교차하고, 효목지하차도를 지나 효목네거리(효목네거리지하차도)에서 국도 제25호선 (무열로), 화랑로와 만난다. 망우당네거리(망우당고가차도)에서 효동로, 효행로와 교차한 후, 화랑교를 건너 용계역시외버스정류소를 지난다. 동대구 나들목에서는 중앙고속도로 (대구부산고속도로)와 교차한다. 반야월삼거리에서 동촌로, 반야월로와 만나고, 율하역(율하역 교차로)에서 범안로, 안일초교삼거리에서 율하동로23길, 신기역(안심주공네거리)에서 율하동로와 교차한다. 안심중삼거리에서 안심로41길과 만나고, 안심중학교를 지나 반야월역(반야월네거리)에서 경안로, 각산역에서 금강로, 안심역(송정삼거리)에서 반야월로와 교차한다. 사복동입구에서 메디밸리로와 만나고, 숙천교를 지나 경상북도로 이어진다.[57][7]

1996년 이전에는 팔달교 - 팔달시장역 - 고성로 - 원대네거리 - 달서로 - 달서천로 - 원대지하차도 - 달성네거리 - 대구역 앞 - 동인네거리 - 칠성교 - 대구파티마병원 앞 - 아양교 - 입석네거리 - 해안역 - 율하교 - 안심역 구간을 경유했다.[57]

3. 7. 경상북도 (대구 동쪽)

경상북도 구간은 경산시, 영천시, 경주시를 지난다.

경산시 하양읍에서는 청천역, 청천초등학교, 호산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하양역을 지난다. 금락네거리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 지방도 제919호선 (대학로)과 교차하고, 동서 교차로에서는 하양로 및 한사들길과 교차한다. 와촌면으로 진입하기 전 하교를 지난다.

영천시 금호읍 교대사거리에서는 지방도 제909호선 (사일로, 교대길)와 교차한다. 금호 교차로에서는 국도 제35호선 (영천우회도로)과 교차하나 상행 진입과 하행 진출은 불가능하다. 냉천 교차로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 (금호로)과 교차하고, 금호대교를 건너 남부동에 진입한다. 도동 교차로에서는 지방도 제925호선 (천문로)과, 봉작 교차로에서는 영천아이시로와, 작산 교차로에서는 한방로, 정모길, 조암길과 교차한다. 북안면으로 진입하기 전 유천대교를 지난다. 북안공단 교차로에서는 북안공단길과, 반정 교차로에서는 지방도 제921호선 (운북로)과 교차한다. 북안터널을 지나 만불 교차로와 하추 교차로에서는 내서로와 교차한다.

경주시 서면 아화 교차로에서는 지방도 제909호선 (심곡로)와 교차하고 사라교를 지난다. 건천읍에서는 북건천 나들목에서 국도 제20호선 (건포산업로)과 교차하고, 천포 교차로에서는 내서로와 교차한다. 모량교, 고란교를 지나 모량 교차로에서는 외현로내서로가 교차한다. 황남동으로 진입하기 전 고천대교를 지나며, 광명동에서는 지방도 제904호선 (내외로), 태종로와 교차한다. 효현교를 지나 선도동에 진입한 후 소티고개를 넘고 무열왕릉을 지난다. 서천교 서단에서는 태종로흥무로가 교차하고, 서천교를 건너 중부동에 진입한다. 터미널네거리에서는 강변로와, 서라벌네거리에서는 금성로와 교차한다. 황남동 내남네거리에서는 국도 제35호선 (포석로)과 교차하고, 황오동 팔우정삼거리에서는 국도 제7호선 (원화로)과 중복된다. 월성동 선덕네거리에서 국도 제7호선 (원화로), 첨성로와 다시 교차하고, 선덕여자중학교, 선덕여자고등학교를 지난다. 분황사를 지나 구황교네거리에서는 산업로와 교차하고, 보문교삼거리와 천군네거리에서는 보문로와 교차한다.

보덕동에서는 엑스포삼거리에서 엑스포로와, 보불로삼거리에서 경감로와 교차한다. 불국동에서는 추억의 달동네, 경주공룡월드, 마동교를 지나고, 탑마을앞과 코오롱가든골프장에서 불국로와 교차한다. KT&G 경주수련관, 대동주유소, 진현동을 지나 토암산1교를 건넌다. 외동읍에서는 신계 교차로에서 진현신계길과, 상신 교차로에서 신계상신길과 교차하고 토함산터널을 지난다. 양북면에서는 장항 교차로에서 불국로와 교차하고, 감나무교와 축암교를 지난다. 안동 교차로에서 경감로와 교차하고, 안동교와 와읍교를 지나 와읍 교차로에서 국도 제14호선, 지방도 제929호선 (감은로, 경감로)과 교차한다. 중기교를 지나 감포읍에 진입한다. 노동 교차로에서 경감로와 교차하고, 서천교와 팔조교를 지나 팔조 교차로에서 팔조수제길과 교차한다. 섬비교를 지나 감포 교차로에서 국도 제31호선 (동해안로)과 교차하며, 전촌삼거리에서 경감로와 교차하면서 끝난다.

2015년 이전에는 경주시 보불로삼거리에서 덕동저수지, 덕동교, 황룡교, 황룡1교, 황룡2교, 추령터널, 추령교, 장항삼거리, 장항교, 안동삼거리, 안동교, 와읍교 서단, 와읍교, 어일삼거리, 전촌삼거리를 경유했다.

4. 교차하는 도로

경부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논산천안고속도로, 통영대전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서천공주고속도로, 호남지선고속도로,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가칭)와 교차한다.

국도 제1호선, 국도 제3호선, 국도 제5호선, 국도 제7호선, 국도 제14호선 (대한민국), 국도 제17호선 (대한민국), 국도 제20호선 (대한민국), 국도 제21호선 (대한민국), 국도 제23호선, 국도 제25호선, 국도 제26호선, 국도 제29호선 (대한민국), 국도 제33호선 (대한민국), 국도 제39호선 (대한민국), 국도 제40호선 (대한민국), 국도 제77호선과 교차한다. 국도 제12호선,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31호선, 국도 제32호선, 국도 제35호선,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59호선은 가칭이다.

4. 1. 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논산천안고속도로, 통영대전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서천공주고속도로, 호남지선고속도로,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가칭)와 교차한다.

4. 2. 국도

국도 제1호선, 국도 제3호선, 국도 제5호선, 국도 제7호선, 국도 제14호선 (대한민국), 국도 제17호선 (대한민국), 국도 제20호선 (대한민국), 국도 제21호선 (대한민국), 국도 제23호선, 국도 제25호선, 국도 제26호선, 국도 제29호선 (대한민국), 국도 제33호선 (대한민국), 국도 제39호선 (대한민국), 국도 제40호선 (대한민국), 국도 제77호선과 교차한다. 국도 제12호선,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31호선, 국도 제32호선, 국도 제35호선,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59호선은 가칭이다.

5. 각주

참조

[1] 법률 대통령령 제577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71-08-31
[2]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3]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4]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5]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6]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7]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8]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9] 법률 대통령령 제577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71-08-31
[10]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375호 http://theme.archive[...] 1973-09-08
[11]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8호 http://theme.archive[...] 1988-03-23
[12]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5-32호 http://theme.archive[...] 1995-02-18
[13] 법률 대통령령 제1510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6-07-01
[14]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8-3호 http://theme.archive[...] 1998-01-12
[15]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8-154호 http://theme.archive[...] 1998-05-08
[16]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69호 http://theme.archive[...] 1999-03-30
[17]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167호 http://theme.archive[...] 1999-07-23
[18]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0-144호 http://theme.archive[...] 2000-06-28
[19]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1-192호 http://gwanbo.mois.g[...] 2001-09-18
[20]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2-17호 http://gwanbo.mois.g[...] 2002-01-29
[21]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2-295호 http://www.gb.go.kr/[...] 2002-10-07
[22]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2-232호 http://cblib.cb21.ne[...] 2002-10-18
[23]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2-254호 http://gwanbo.mois.g[...] 2002-11-01
[24]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3-413호 http://www.gb.go.kr/[...] 2004-01-15
[25]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4-82호 http://www.gb.go.kr/[...] 2004-04-19
[26]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4-334호, 제2004-335호 http://www.gb.go.kr/[...] 2004-12-27
[27]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5-227호 http://cblib.cb21.ne[...] 2005-12-30
[28]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5-214호 http://gwanbo.mois.g[...] 2005-12-28
[29]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5-215호 http://gwanbo.mois.g[...] 2005-12-19
[30]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7-2호 http://gwanbo.mois.g[...] 2007-01-09
[31] 간행물 2007년 1월 12일 정정 http://gwanbo.mois.g[...] 2007-01-12
[32]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7-246호 http://gwanbo.mois.g[...] 2007-12-03
[33] 법률 대통령령 제20524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s://www.law.go.k[...] 2008-01-03
[34]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8-286호 http://gwanbo.mois.g[...] 2008-12-17
[35]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8-245호 2009-01-12
[36]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9-2호 http://gwanbo.mois.g[...] 2009-01-08
[37]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9-153호 http://gwanbo.mois.g[...] 2009-07-24
[38]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9-277호 http://www.chungnam.[...] 2009-12-29
[39]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1-194호 http://gwanbo.mois.g[...] 2011-12-15
[40]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4-3호 http://gwanbo.mois.g[...] 2014-01-17
[41]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4-5호 http://gwanbo.mois.g[...] 2014-01-28
[42]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4-135호 http://gwanbo.mois.g[...] 2014-07-30
[43]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4-249호 http://gwanbo.mois.g[...] 2014-12-30
[44]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4-250호 http://gwanbo.mois.g[...] 2014-12-30
[45]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4-197호 http://gwanbo.mois.g[...] 2014-12-30
[46]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230호 http://gwanbo.mois.g[...] 2016-07-05
[47]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126호 http://gwanbo.mois.g[...] 2016-10-20
[48]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23호 http://gwanbo.mois.g[...] 2017-03-08
[49]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223호 http://gwanbo.mois.g[...] 2017-12-28
[50] 뉴스 한수원본사 진입로 부근 국도4호선 도로 붕괴, 차량 전면 통제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8-10-07
[51] 뉴스 국토부, '국도4호선 한수원 진입로 부근 비탈면 붕괴···우회도로 유도중' http://www.ikld.kr/n[...] 국토일보 2018-10-08
[52]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8-229호 http://gwanbo.mois.g[...] 2018-12-19
[53]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21-877호 https://gwanbo.go.kr[...] 2021-06-22
[54]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2-363호 https://gwanbo.go.kr[...] 2022-12-29
[55]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3-282호 https://gwanbo.go.kr[...] 2023-12-19
[56]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3-181호 https://gwanbo.go.kr[...] 2023-12-19
[57] 문서 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