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은 경상남도 창녕군에서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을 잇는 국가지원지방도이다. 2001년 창녕 ~ 안동선으로 지정되었으며, 2021년 종점이 안동시 일직면에서 풍천면으로 연장되었다. 칠곡군 동명 ~ 군위군 부계 구간에 팔공산 터널이 개통되었고, 2023년 군위군이 대구광역시로 편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 - 다부 나들목
    다부 나들목은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에 위치한 중앙고속도로의 나들목이며, 1995년 8월 29일 중앙고속도로 칠곡 ~ 서안동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다.
  • 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 - 경북대로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대구광역시 군위군까지 이어지는 경북대로는 여러 시·군을 연결하며 중앙고속도로, 서산영덕고속도로 등과 연결되고, 가산초등학교, 의성소방서, 경북대학교 자연사박물관 등의 다양한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성주군의 교통 - 중부내륙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는 경상남도 창원시에서 경기도 양평군을 잇는 총 연장 301.7km의 왕복 4차로 고속도로이며, 1976년 대구-마산고속도로로 지정되어 2001년 현재의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 성주군의 교통 -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은 경상남도 통영시에서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을 연결하는 국가지원지방도로서, 1996년 '통영 ~ 칠곡선'으로 지정된 후 2016년 노선 변경을 거쳐 창원, 함안, 의령, 합천, 창녕, 청도, 달성, 고령, 성주를 경유하며 총 연장 253.4km에 이른다.
  • 달성군의 교통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달성군의 교통 - 국도 제26호선
    국도 제26호선은 군산에서 대구 서구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로, 1971년에 지정되었으며 전라북도, 경상남도, 경상북도를 거쳐 대구광역시를 지난다.
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 - [지명]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도로 종류국가지원지방도
노선 이름창녕 ~ 안동선
노선 번호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
총 연장219.3 km
기점경상남도 창녕군 유어면
주요 경유지경상남도 창녕군
대구광역시 달성군
경상북도 고령군
경상북도 성주군
경상북도 칠곡군
대구광역시 군위군
경상북도 의성군
경상북도 안동시
종점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주요 교차 도로중앙고속도로
영천상주고속도로
국도 제4호선
국도 제5호선
국도 제20호선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25호선
국도 제26호선
국도 제28호선
국도 제30호선
국도 제33호선
국도 제34호선
국도 제7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지방도 제905호선
지방도 제908호선
지방도 제912호선
지방도 제914호선
지방도 제916호선
지방도 제919호선
지방도 제923호선
지방도 제924호선
지방도 제930호선
지방도 제1034호선
지방도 제1080호선

2. 역사

1994년 국도 연장 및 신설 계획안에 포함되지 않았던 구간이었으나, 2001년 국가지원지방도 노선 지정령 전면 개정으로 새로 지정되었다.

2. 1. 노선 지정 및 변경

2. 2. 도로 개통 및 확장

3. 통과하는 지역

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이 통과하는 지역은 다음과 같다.


3. 1. 경상남도 구간

창녕군 (유어면 - 이방면)

3. 2. 대구광역시 구간

달성군 구지면에서 시작하여 달성군 하빈면을 거쳐 군위군 (부계면 - 산성면 - 의흥면)으로 이어진다.

3. 3. 경상북도 구간

고령군 (우곡면, 개진면, 대가야읍, 운수면) - 성주군 (용암면, 선남면) - 칠곡군 (왜관읍, 석적읍, 가산면, 동명면) - 의성군 (가음면, 춘산면, 사곡면, 옥산면, 점곡면, 단촌면) - 안동시 (일직면, 남후면, 수상동, 옥동, 송현동, 풍산읍, 풍천면)

4. 주요 경유 도로 및 시설

이전 단계에서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지시사항에 맞춰 수정하고 위키텍스트 형식으로 출력해드리겠습니다.

5. 노선

경상남도 창녕군 유어면 유어삼거리에서 국도 제20호선, 국도 제24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만나며 시작된다. 유어면과 이방면에서는 국도 제20호선, 국도 제24호선과 중복되다가 이남삼거리에서 분기된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에서는 과학남로와 교차하고 우곡교를 지난다.[11]

경상북도 고령군 우곡면에서 성주군 선남면까지는 다음과 같은 구간을 거친다.

이름접속 노선소재지비고
우곡교
포리교
고령군 우곡면
포리사거리객기나루길
우곡강변길
연리네거리객기나루길
답곡길
우곡중학교
(충효마을)대곡로
열뫼삼거리개경포로고령군 개진면
개진산업단지개진산단길
직동초등학교(폐교)
양전교양전길
양전삼거리성산로
금산재
고령군 대가야읍
회천교
헌문 교차로국도 제26호선
국도 제33호선
(가야로)
국도 제26, 33호선과 중복
고령 교차로국도 제2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동고령로)
국도 제26, 33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중복
우곡천교국도 제33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중복
본관 교차로대가야로
본관교
옥산교대가야로고령군 운수면
월산 교차로국도 제33호선
(가야로)
봉평교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중복
봉평리대평로
운성로
운수면사무소
운수초등학교
이례재
성주군 용암면
(교차로 명칭 미상)지방도 제905호선
(성암로)
(교차로 명칭 미상)지방도 제905호선
(상성로)
용암교
상언 교차로상언1길
기성 교차로기산1길
(교량)
(교차로 명칭 미상)운용로
(교차로 명칭 미상)
도성교성주군 선남면
광영 교차로국도 제30호선
(성주로)
국도 제30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중복
광영검문소선노로
성주대교



대구광역시에서는 성주대교를 통해 달성군 하빈면으로 들어서며, 국도 제3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중복되고 달구벌대로와 직결된다.[11]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에서는 적산 교차로를 시작으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중복되는 구간이 많다. 제2왜관교 동단에서 국도 제4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교차하며, 매원사거리에서 국도 제4호선과 중복된다. 석적읍을 지나 가산면에서는 다부 나들목에서 중앙고속도로지방도 제923호선과 만나고, 다부원 교차로에서 국도 제5호선, 국도 제25호선과 중복된다. 동명면에서는 동명사거리에서 국도 제5호선, 국도 제25호선과 교차하고, 팔공산터널을 지난다.[11]

대구광역시 군위군 구간에서는 팔공산터널을 지나 여러 교차로와 교량을 거쳐 지방도 제919호선과 중복된다. 산성면에서는 지방도 제908호선과 교차하고, 화본역을 지난다. 의흥면에서는 국도 제28호선과 교차한다.[11]

경상북도 의성군 가음면에서 시작하여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과 중복되었다가 분기된다. 사곡면에서는 지방도 제930호선, 지방도 제912호선과 중복되었다가 분기되어 장티재를 넘는다. 옥산면에서는 지방도 제930호선, 지방도 제914호선과 중복되었다가 분기된다. 점곡면을 지나 단촌면을 거쳐 안동시 일직면에서 국도 제5호선, 지방도 제914호선과 중복된다. 이후 지방도 제914호선과 분기된 후 국도 제5호선과 계속 중복된다. 남후면, 강남동을 지나 태화동에서 안동대교를 건너 국도 제5호선과 분기된다. 옥동, 송하동을 지나 풍산읍에서 지방도 제924호선과 중복되었다가 분기된다. 풍천면에서는 지방도 제914호선과 교차하고, 지방도 제916호선과 직결된다.

5. 1. 경상남도 창녕군

이름접속 노선소재지비고
유어삼거리국도 제20호선, 국도 제24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우포1대로), 국도 제79호선 (유어장마로)창녕군유어면시점
국도 제20호선, 국도 제24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중복
유어면사무소국도 제20호선, 국도 제24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중복
유어파출소미수원길
(미구)미구길
등대중학교(폐교)가항길
(승계)등대2길
유어교
이방면
(성산)우포3로
이남삼거리국도 제20호선, 국도 제24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우포1대로)
이방면사무소
안리삼거리지방도 제1080호선 (우포2로), 뒷골길, 안리내동길
창녕옥야중학교
창녕옥야고등학교
이방정류소 (이방약국)지방도 제1034호선 (이방대합로)
곡교


5. 2. 대구광역시 (고령군 이남)

달성군 구지면의 당산삼거리에서 과학남로와 교차하며, 우곡교를 지난다.[11]

5. 3. 경상북도 (고령군·성주군)

경상북도한국어 고령군 우곡면 포리사거리에서 성주군 선남면 성주대교까지의 구간이다.

이름접속 노선소재지비고
우곡교
포리교
고령군 우곡면
포리사거리객기나루길
우곡강변길
연리네거리객기나루길
답곡길
우곡중학교
(충효마을)대곡로
열뫼삼거리개경포로고령군 개진면
개진산업단지개진산단길
직동초등학교(폐교)
양전교양전길
양전삼거리성산로
금산재
고령군 대가야읍
회천교
헌문 교차로국도 제26호선
국도 제33호선
(가야로)
국도 제26, 33호선과 중복
고령 교차로국도 제2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동고령로)
국도 제26, 33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중복
우곡천교국도 제33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중복
본관 교차로대가야로
본관교
옥산교대가야로고령군 운수면
월산 교차로국도 제33호선
(가야로)
봉평교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중복
봉평리대평로
운성로
운수면사무소
운수초등학교
이례재
성주군 용암면
(교차로 명칭 미상)지방도 제905호선
(성암로)
(교차로 명칭 미상)지방도 제905호선
(상성로)
용암교
상언 교차로상언1길
기성 교차로기산1길
(교량)
(교차로 명칭 미상)운용로
(교차로 명칭 미상)
도성교성주군 선남면
광영 교차로국도 제30호선
(성주로)
국도 제30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중복
광영검문소선노로
성주대교

[11]

5. 4. 대구광역시 (칠곡군 이남)

성주대교를 통해 달성군 하빈면으로 진입한다. 달성군 내에서는 국도 제3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중복되며, 달구벌대로와 직결된다.

이름접속 노선소재지비고
성주대교달성군 하빈면 | rowspan=3| 국도 제30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중복
하산리 교차로달구벌대로2길
하목정길
동곡 교차로국도 제30호선
(달구벌대로)
하빈 교차로하산길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중복
적산 교차로묘동길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중복
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

[11]

5. 5. 경상북도 (칠곡군 이북)

구간주요 시설 및 교차로비고
왜관읍적산 교차로: 묘동길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중복, 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
더벙골: 금남1길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중복, 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
낙산 교차로: 2산업단지1길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중복
낙산초등학교
금산 교차로 (금산교): 공단로
금산1 교차로: 닥실길
달오교
달오 교차로: 구상길
제2왜관교 동단: 국도 제4호선 (칠곡대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강변대로)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국도 제4호선과 중복
(이름 없음): 중앙로국도 제4호선과 중복
매원사거리: 국도 제4호선 (칠곡대로), 관문로
대구국과수사거리
반월 교차로 (반월교): 봉계로
칠곡종합운동장
농기계단지 교차로 (아곡1교): 아곡6길
아곡2교
아곡삼거리: 석전로
박실마을사거리: 아곡3길
석적읍반계육교
반계사거리: 중지3길, 반계3길
반계리: 호국로
샛터 교차로
반지천1교, 반지천2교
망정1 교차로: 호국로, 포망로
망정2 교차로 (망정교): 호국로, 소학로
도개사거리: 도개2길
온천사거리: 호국로, 도개5길, 도개6길
도개교
가산면유학산터널연장 1,305m
학산교
다부 나들목: 55호선 중앙고속도로, 지방도 제923호선 (호국로)지방도 제923호선과 중복
전적기념관 교차로: 호국로
다부교
다부원 교차로: 국도 제5호선, 국도 제25호선, 지방도 제923호선 (경북대로)국도 제5호선, 국도 제25호선, 지방도 제923호선과 중복
다부원앞: 다부원1길국도 제5호선, 국도 제25호선과 중복
소야고개
동명면
학명리: 남원로
금암리: 동명중앙길
동명사거리: 국도 제5호선, 국도 제25호선 (경북대로), 금암2길
구덕네거리: 구남로, 송림길
송림삼거리: 송림길
기성교
기성삼거리: 한티로
기성1교
가좌 교차로: 팔공산로, 기성3길
기양천교
득명 교차로: 득명2길
팔공산터널상행 연장 3,670m, 하행 연장 3,712m

[11]

5. 6. 대구광역시 (군위군)

이름접속 노선소재지비고
팔공산터널군위군 부계면상행 연장 3,670m
하행 연장 3,712m
둔덕천교
둔덕 교차로한티로
제2석굴암교
제2석굴암 교차로한티로
남천1교
대율천교
대율 교차로한티로
남천2교
현창 교차로춘산1길
양지말 교차로춘산2길
남천3교
부계 교차로지방도 제919호선
(치산효령로)
한티로
부흥로
지방도 제919호선과 중복
백학삼거리지방도 제919호선
(치산효령로)
군위군 산성면
삼산교
봉림교
봉림삼거리지방도 제908호선
(갈티로)
제2무암교
제1무암교
산성보건지소부흥로
산성면사무소
산성초등학교(폐교)
화본역
산성중학교(폐교)
화전리철길로
이지교군위군 의흥면
(수북리)국도 제28호선
(동부로)
의흥삼거리읍내길
(이름 없음)수서길
수북교
지경재

[11]

5. 7. 경상북도 (군위군 이북)

의성군 가음면에서 시작하여 순호교에서 순호마을길과 교차하고, 가음교와 가음초등학교를 지난다. 가산리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금성현서로)과 만나 중복되었다가 사미삼거리에서 분기된다. 춘산면에서는 춘산초등학교 효선분교(폐교)를 지난다.

사곡면에서는 사곡초등학교 작승분교(폐교)를 지나 도평교 동단에서 지방도 제930호선 (공룡로)과 만나 중복된다. 오상교, 오상삼거리를 지나 신감삼거리에서 지방도 제912호선 (의성사곡로)과 만나 중복되었다가 신감2리에서 분기되어 장티재를 넘는다.

옥산면에서는 옥산면사무소에서 지방도 제930호선 (금봉로)과 분기되고, 옥천초등학교, 입암교를 지나 옥산삼거리에서 지방도 제914호선 (의성길안로)과 만나 중복되었다가 점곡면 윤암삼거리에서 분기된다. 점곡교, 사촌삼거리, 사촌교, 송내교를 지난다.

단촌면에서는 후평삼거리, 무듬재, 신기삼거리를 지난다.

안동시 일직면에서는 팽목교, 팽목삼거리, 귀미교를 지나 망호 교차로에서 국도 제5호선, 지방도 제914호선 (경북대로)과 만나 중복된다. 소호교, 일직교를 지나 운산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914호선 (풍일로)과 분기된 후 국도 제5호선과 계속 중복된다.

남후면에서는 광음1교, 광음 교차로(상행 진출 및 하행 진입 불가), 광음3교(상행 진출 및 하행 진입 불가), 남후교, 무릉 교차로(상행 진입 및 하행 진출 불가), 남후1교, 남후2교, 남후3교(상행 진출 및 하행 진입 불가)를 지난다.

강남동에서는 사안교, 무릉육교, 원림교, 한티 교차로(국도 제34호선 (남순환로)), 수하육교, 강남로와 교차하는 이름 없는 교차로를 지난다.

태화동에서는 안동대교를 지나 안동대교 북단에서 국도 제5호선 (경남대로)과 분기된다.

옥동 하이마삼거리, 송하동 송옥삼거리를 지난다.

풍산읍에서는 막곡리에서 지방도 제924호선 (풍산태사로)와 만나 중복된다. 증수교, 상리1교, 풍산초등학교, 하리삼거리를 지나 안교사거리에서 분기되고 소산교를 지난다.

풍천면 하회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914호선 (가곡로)과 교차하며, 지방도 제916호선과 직결된다.

6. 도로명

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은 구간에 따라 다양한 도로명을 가진다.

경상남도 구간은 창녕군에서 우포1대로(유어삼거리~이남삼거리), 이방로(이남삼거리~곡교), 과학남로(곡교~송곡리)로 이어진다.[1]

대구광역시 구간은 달성군에서 과학남로(대암리~당산삼거리), 우곡로(당산삼거리~우곡교), 달구벌대로(성주대교~동곡 교차로), 강변대로(동곡 교차로~적산 교차로)로 이어진다.

경상북도 구간은 고령군에서 우곡로(우곡교~열뫼삼거리), 개경포로(열뫼삼거리~양전삼거리), 성산로(양전삼거리~헌문 교차로), 가야로(헌문 교차로~월산 교차로), 운용로(월산 교차로~광영 교차로)로 이어진다. 성주군에서는 성주로(광영 교차로~성주대교)로 이어진다. 칠곡군에서는 강변대로(적산 교차로~제2왜관교 동단), 칠곡대로(제2왜관교 동단~매원사거리), 호국평화로(매원사거리~다부원 교차로), 경북대로(다부원 교차로~동명사거리), 한티로(동명사거리~기성삼거리), 팔공산로(기성삼거리~가좌 교차로), 팔공산터널로(가좌 교차로~부계 교차로)로 이어진다. 군위군에서는 치산효령로(부계 교차로~백학삼거리), 산성가음로(백학삼거리~가산리)로 이어진다. 의성군에서는 금성현서로(가산리~사미삼거리), 사미신감로(사미삼거리~신감삼거리), 의성사곡로(신감삼거리~신감2리), 신감옥산로(신감2리~옥산삼거리), 의성길안로(옥산삼거리~윤암삼거리), 일직점곡로(윤암삼거리~망호 교차로)로 이어진다. 안동시에서는 경북대로(망호 교차로~안동대교 북단), 하이마로(안동대교 북단~송옥삼거리), 풍산태사로(막곡리~안교사거리), 지풍로(안교사거리~하회 교차로)로 이어진다.

6. 1. 경상남도 구간

창녕군 유어면 유어삼거리에서 이방면 이남삼거리까지 구간은 우포1대로이다.[1]

창녕군 이방면 이남삼거리에서 곡교까지 구간은 이방로이다.[1]

창녕군 이방면 곡교에서 송곡리까지 구간은 과학남로이다.[1]

6. 2. 대구광역시 구간

6. 3. 경상북도 구간

구간상세 구간비고
고령군우곡면 우곡교 ~ 개진면 열뫼삼거리우곡로
고령군개진면 열뫼삼거리 ~ 양전삼거리개경포로
고령군개진면 양전삼거리 ~ 대가야읍 헌문 교차로성산로
고령군대가야읍 헌문 교차로 ~ 운수면 월산 교차로가야로
고령군운수면 월산 교차로 ~ 성주군 선남면 광영 교차로운용로
성주군선남면 광영 교차로 ~ 성주대교성주로
칠곡군왜관읍 적산 교차로 ~ (제2왜관교 동단)강변대로
칠곡군왜관읍 (제2왜관교 동단) ~ 매원사거리칠곡대로
칠곡군왜관읍 매원사거리 ~ 가산면 다부원 교차로호국평화로
칠곡군가산면 다부원 교차로 ~ 동명면 동명사거리경북대로
칠곡군동명면 동명사거리 ~ 기성삼거리한티로
칠곡군동명면 기성삼거리 ~ 가좌 교차로팔공산로
칠곡군동명면 가좌 교차로 ~ 군위군 부계면 부계 교차로팔공산터널로
군위군부계면 부계 교차로 ~ 산성면 백학삼거리치산효령로
군위군산성면 백학삼거리 ~ 의성군 가음면 가산리산성가음로
의성군가음면 가산리 ~ 사미삼거리금성현서로
의성군가음면 사미삼거리 ~ 사곡면 신감삼거리사미신감로
의성군사곡면 신감삼거리 ~ (신감2리)의성사곡로
의성군사곡면 (신감2리) ~ 옥산면 옥산삼거리신감옥산로
의성군옥산면 옥산삼거리 ~ 점곡면 윤암삼거리의성길안로
의성군점곡면 윤암삼거리 ~ 안동시 일직면 망호 교차로일직점곡로
안동시일직면 망호 교차로 ~ 태화동 안동대교 북단경북대로
안동시태화동 안동대교 북단 ~ 송하동 송옥삼거리하이마로
안동시풍산읍 막곡리 ~ 안교사거리풍산태사로
안동시풍산읍 안교사거리 ~ 풍천면 하회 교차로지풍로


참조

[1] 간행물 대통령령 제17349호 공포, 국가지원지방도 노선 지정령
[2] 공고 경상북도공고 제2004-205호 http://www.gb.go.kr/[...] 2004-05-31
[3] 공고 경상북도공고 제2006-591호 http://www.gb.go.kr/[...] 2006-08-31
[4] 공고 경상북도공고 제2007-953호 http://www.gb.go.kr/[...] 2007-12-20
[5] 공고 경상북도공고 제2008-196호 http://www.gb.go.kr/[...] 2008-03-24
[6] 고시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453호 http://gwanbo.mois.g[...] 2016-07-13
[7] 공고 경상북도공고 제2017-1528호 http://www.gb.go.kr/[...] 2017-11-27
[8] 공고 경상북도공고 제2019-156호 http://www.gb.go.kr/[...] 2019-01-24
[9] 공고 경상북도공고 제2019-1170호 http://www.gb.go.kr/[...] 2019-06-27
[10] 고시 국토교통부고시 제2021-877호 https://gwanbo.go.kr[...] 2021-06-22
[11] 문서 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