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말레이시아 관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말레이시아 관계는 1960년 2월 23일 수교를 시작으로, 양국 간 지도자 상호 방문, 무역 협정 체결 등을 통해 발전해 왔다. 1980년대 이후 대한민국은 말레이시아의 주요 외국인 직접 투자 유치국 중 하나가 되었으며, 2018년 양국 교역액은 약 200억 달러에 달했다. 말레이시아는 한국의 14번째 교역 파트너이며, 2005년 이후 말레이시아 내 한국인 교민 수가 급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말레이시아 관계 - 주한 말레이시아 대사관
    주한 말레이시아 대사관은 대한민국 서울에 위치하며, 대한민국과 말레이시아 간의 외교 관계를 위해 설립되어 외교 교섭, 경제 및 통상 교섭, 문화 교류, 자국민 보호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 대한민국-말레이시아 관계 - 주말레이시아 대한민국 대사관
    주말레이시아 대한민국 대사관은 1960년 한국과 말레이시아 외교 관계 수립 후 양국 간 교류 증진을 위해 1962년 쿠알라룸푸르에 설립되었으며, 현재 말레이시아 전역을 관할하며 정치, 경제, 문화, 재외동포 지원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한국 기업의 말레이시아 진출 지원 및 무역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 항공 정보 - 한미 관계
    한미 관계는 1882년 수교 이후 정치, 경제, 안보 등 다방면에서 협력과 경쟁을 거듭하며 발전해왔으나, 불평등 조약, 무력 충돌, 주한미군 문제, 경제적 이권 다툼, 북핵 문제 등으로 갈등과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 항공 정보 - 버진 사모아
    버진 사모아는 버진 오스트레일리아 홀딩스와 사모아 정부의 합작으로 설립되어 피지, 사모아 등 섬들을 연결하는 노선을 운항했으나, 사모아 정부의 투자 철수로 2017년 운항을 중단했다.
대한민국-말레이시아 관계
관계 개요
국가말레이시아
대한민국
관계 명칭말레이시아-대한민국 관계
외교 관계
외교 사절 교환양국 간 외교 사절 교환 합의 (1960년 2월 23일)
대한민국 상주 대사관 개설주말레이시아 대한민국 대사관 개설 (1962년 5월)
말레이시아 대사관 개설주한 말레이시아 대사관 개설 (1964년 4월)
대사관 정보
대한민국 대사관주말레이시아 대한민국 대사관
말레이시아 대사관주한 말레이시아 대사관
경제 관계
교역한국무역협회 자료 참고
문화 관계
'동방 정책'마하티르 빈 모하마드 총리가 말레이시아인들에게 "영감, 방법 및 기술"을 얻고 "업무 윤리 및 태도를 모방하고 배울" 것을 장려
재외국민
재외동포 현황 (2011년)대한민국 외교통상부 자료 참고

2. 역사

대한민국과 말레이시아는 1960년 2월 23일 수교하였다.[2] 이후 양국 지도자 간의 상호 방문이 이어졌다. 역대 주 말레이시아 대한민국 대사 명단은 다음과 같다.[16]

역대 주 말레이시아 대한민국 대사 명단
대수이름임기비고
1최홍희1962년 4월 ~ 1964년 11월
2최규하1964년 11월 ~ 1967년 6월대사 재직 중 외무부 장관에 발탁됨.
3갈홍기1967년 9월 ~ 1971년 8월1967년 9월 16일, 대한민국 정부는 갈홍기를 주말레이시아 대사로 임명하였다.
4김성용1971년 8월 ~ 1975년 2월
5전상진1975년 2월 ~ 1979년 4월
6최호중1979년 4월 ~ 1983년 1월
7심기철1983년 2월 ~ 1986년 11월
8손장래1986년 11월 ~ 1990년 2월
9홍순영1990년 2월 ~ 1992년 2월
10이상구1992년 3월 ~ 1995년 2월
11정경일1995년 2월 ~ 1997년 9월
12이병호1997년 9월 ~ 2000년 7월
13이보민2000년 7월 ~ 2003년 6월
14이영준2003년 6월 ~ 2005년 8월
15손상하2005년 8월 ~ 2007년 8월
16양봉렬2007년 8월 ~ 2010년 8월
17이영준2010년 9월 ~ 2013년 7월
18조병제2013년 7월 ~ 2016년 5월
19유현석2016년 5월 ~ 2018년 2월
20도경환2018년 2월 ~ 2019년 5월김영란법 위반으로 2019년 5월 귀임 조치.
21이치범2019년 11월 ~ 현재


2. 1. 대한민국-말레이시아 관계 초기

1960년 2월 23일 양국 지도자 간의 방문으로 대한민국과 말레이시아의 관계가 시작되었다.[2] 1962년 11월 5일, 서울에서 말레이시아 농업부 장관 키르 조하리와 대한민국 외무부 장관 최덕신이 양국 간 최초의 무역 협정을 체결하였다.

말레이시아 농업부 장관 키르 조하리와 대한민국 외무부 장관 최덕신이 1962년 11월 5일 서울에서 양국 간 최초의 무역 협정을 체결하고 있다.


1966년 박정희 대통령은 말레이시아를 방문하여 이스마일 나시루딘 국왕 및 툰쿠 압둘 라만 총리와 회담하였다.[19] 1975년 3월 초, 김동조 외무부 장관이 말레이시아를 방문하여 압둘 라자크 후세인 총리와 아마드 리라우덴 외무장관을 만났다.[20] 1976년 3월에는 박동진 외무부 장관이 리타우딘 말레이시아 외무부 장관과 양국간의 경제무역관계를 더욱 강화하기로 합의했다.[21]

2. 2. 외교 관계 발전

1975년 3월 초, 김동조 외무부 장관이 말레이시아를 방문하여 압둘 라자크 후세인 총리와 아마드 리라우덴 외무장관을 만났다.[20] 1976년 3월에는 박동진 외무부 장관이 리타우딘 말레이시아 외무부 장관과 양국 간의 경제 무역 관계를 더욱 강화하기로 합의했다.[21]

3. 정무

대한민국과 말레이시아는 1960년 수교 이후 긴밀한 외교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양국은 고위급 인사 교류를 통해 상호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1966년 2월 박정희 대통령은 말레이시아를 방문하여 이스마일 나시루딘 국왕 및 툰쿠 압둘 라만 총리와 회담하였다.[19] 1975년 3월 김동조 외무부 장관은 말레이시아를 방문하여 압둘 라자크 후세인 총리와 아마드 리라우덴 외무장관을 만났다.[20] 1976년 3월에는 박동진 외무부 장관이 리타우딘 말레이시아 외무부 장관과 양국 간 경제 무역 관계를 더욱 강화하기로 합의했다.[21]

3. 1. 역대 주 말레이시아 대한민국 대사

역대 주 말레이시아 대한민국 대사 명단[16]
대수이름임기비고
1최홍희1962년 4월 ~ 1964년 11월[17]
2최규하1964년 11월 ~ 1967년 6월대사 재직 중 외무부 장관에 발탁됨.
3갈홍기1967년 9월 ~ 1971년 8월1967년 9월 16일, 대한민국 정부는 갈홍기를 주말레이시아 대사로 임명하였다.[18]
4김성용1971년 8월 ~ 1975년 2월
5전상진1975년 2월 ~ 1979년 4월
6최호중1979년 4월 ~ 1983년 1월
7심기철1983년 2월 ~ 1986년 11월
8손장래1986년 11월 ~ 1990년 2월
9홍순영1990년 2월 ~ 1992년 2월
10이상구1992년 3월 ~ 1995년 2월
11정경일1995년 2월 ~ 1997년 9월
12이병호1997년 9월 ~ 2000년 7월
13이보민2000년 7월 ~ 2003년 6월
14이영준2003년 6월 ~ 2005년 8월
15손상하2005년 8월 ~ 2007년 8월
16양봉렬2007년 8월 ~ 2010년 8월
17이영준2010년 9월 ~ 2013년 7월
18조병제2013년 7월 ~ 2016년 5월
19유현석2016년 5월 ~ 2018년 2월
20도경환2018년 2월 ~ 2019년 5월김영란법 위반으로 2019년 5월 귀임 조치되어, 이후 반년 가까이 말레이시아 주재 대사가 몽골 대사와 마찬가지로 공석 상태였다.
21이치범2019년 11월 ~ 현재


4. 경제 관계

1980년대 이후, 대한민국은 말레이시아의 주요 외국인 직접 투자(FDI) 유치국 중 하나로 부상했다.[2] 1996년까지 말레이시아 제조업 부문에 대한 한국의 투자액은 46억말레이시아 링깃에 달했으며, 2012년에는 77억말레이시아 링깃 규모의 투자가 추가로 시행되었다.[2] 2018년 양국 교역액은 거의 200억달러에 달했으며, 말레이시아는 한국의 14번째로 큰 교역 파트너가 되었다.[3]

4. 1. 주요 협력 분야

1980년 이후, 대한민국은 말레이시아의 주요 외국인 직접 투자(FDI) 유치국 중 하나였다. 1996년까지 총 235건의 한국 투자 프로젝트가 말레이시아 제조업 부문에 승인되었으며, 투자액은 46억말레이시아 링깃에 달했다. 이 투자는 비금속 제품, 전기 및 전자 제품, 목재 및 목재 제품, 고무 제품, 화학 제품 생산에 집중되었다.[2]

2004년부터 2008년까지 말레이시아와 한국의 교역 규모는 6.7% 증가하여 2004년 97억달러에서 154억달러로 증가했다. 2012년에는 287건의 프로젝트가 추가로 시행되었으며, 투자액은 77억말레이시아 링깃이었다.[2] 2018년 교역액은 거의 200억달러에 달했으며, 말레이시아는 한국의 14번째로 큰 교역 파트너가 되었다.[3]

현대와 말레이시아 기업들이 공동 건설한 페낭 대교는 1985년 완공 당시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긴 다리였다.


2018년, 한국의 SK 그룹은 양해각서 (MoU)를 체결하여 정보 통신 기술 (ICT) 및 5G, 석유 및 가스, 녹색 기술 및 도시 개발 분야에서 협력함으로써 말레이시아에 투자할 계획을 발표했다.[4]

4. 2. 항공 노선

IATA공항
ICAO거점 공항 이름항공사 및 상대국 취항지서울/인천ICNRKSI인천대한항공(2개): 쿠알라룸푸르, 코타키나발루
아시아나항공(1개): 코타키나발루
이스타항공(1개): 코타키나발루



코타키나발루는 한국인들에게 인기 있는 관광지이다.

5. 인적 교류

2000년대 중후반, 말레이시아에 거주하는 대한민국 교민과 말레이시아를 방문하는 한국인 관광객 수가 크게 증가했다. 말레이시아 내 한국인 교민 수는 2005년과 2007년 사이에 거의 3배 가까이 증가했으며,[5][6][7] 2006년에는 약 20만 명의 한국인 관광객이 말레이시아를 방문했다.[1]

반면, 대한민국 내 말레이시아인 사회는 규모가 훨씬 작아, 2005년 기준으로 대한민국에는 400명의 말레이시아 유학생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8]

5. 1. 말레이시아 내 한국인

2005년과 2007년 사이에 말레이시아 내 한국인 교민 수는 거의 3배로 증가하여 14,934명에 달했으며, 이는 계속해서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5][6][7] 2006년에는 약 20만 명의 한국인 관광객이 말레이시아를 방문했으며, 코타키나발루가 가장 인기 있는 여행지였다.[1]

5. 2. 대한민국 내 말레이시아인

2005년에 대한민국에는 400명의 말레이시아 유학생이 있었다.[8] 이들은 마하티르 모하맛의 "동방정책"에 따라 대한민국과 일본의 태도와 직업 윤리를 배우고 모방하기 위해 대한민국에 왔다.[9] 2008년, 대한민국 정부는 41명의 말레이시아 학생들에게 총 800만말레이시아 링깃의 장학금을 지급하여 석사, 박사 학위 또는 기타 대학원 연구를 지원했다.[10]

참조

[1] 웹사이트 Najib Dijangka Kukuhkan Hubungan Dua Hala M'sia-Korea Selatan http://bernama.com.m[...] Bernama 2007-03-08
[2] 서적 South Korea's interest in the Malaysian socio-economic development. The history of the "Look-To-The-East Idea" http://www.grin.com/[...] Grin
[3] 웹사이트 Ambassador's Greetings https://overseas.mof[...] null null
[4] 웹사이트 South Korean SK Group signs MoU with Malaysia https://www.nst.com.[...] New Straits Times 2018-02-23
[5] 웹사이트 "[재외국민/단체] (Overseas citizens/groups)" http://mofaweb.mofat[...]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Republic of Korea
[6] 웹사이트 "[2005년도 재외동포현황] (2005 Present Status of Overseas Compatriots)" http://www.mofat.go.[...]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Republic of Korea
[7] 웹사이트 Hwan Young Hap Ni Da http://properties.em[...] New Straits Times Property 2007-11-26
[8] 웹사이트 Roh's Visit Boost Bilateral Relations: Ambassador http://times.hankook[...] The Korea Times 2005-12-12
[9] 간행물 Malaysian Cultural Relations with Japan and South Korea in the 1980s: Looking East 1987-06
[10] 웹사이트 Korean govt awards scholarships to Malaysian students https://www.thestar.[...] 2008-08-31
[11] 뉴스 外交使節을 交換... 韓國․馬來兩國間 合意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60-02-24
[12] 웹인용 우리나라와의 관계 http://mys.mofat.go.[...] 주말레이시아 대한민국 대사관 2012-05-15
[13] 웹인용 국가별 수출입 http://stat.kita.net[...] 한국무역협회 2012-05-15
[14] 웹인용 국가별 재외동포현황(2011).xls http://www.mofat.go.[...] 대한민국 외교통상부 2012-02-25
[15] 저널 Malaysian Cultural Relations with Japan and South Korea in the 1980s: Looking East
[16] 서적 한국 외교 60년 http://www.mofat.go.[...] 2015-02-21
[17] 뉴스 崔泓熙씨任命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62-05-01
[18] 뉴스 12國大使任命의결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67-09-16
[19] 뉴스 朴大統領, 말聯國王과 歡談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66-02-08
[20] 뉴스 金外務 말聯에 도착...오늘 라자크와 會談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75-03-04
[21] 뉴스 貿易强化에 합의...韓․말聯 공동성명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6-03-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