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은 대중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한 예술인들에게 수여되는 상으로,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한다. 대국민 추천과 전문가 심사를 거쳐 선정되며, 문화훈장, 대통령 표창, 국무총리 표창,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표창 등 4개 부문으로 시상한다. 2010년 첫 시상식을 시작으로 매년 개최되며, 수상자들은 연기, 음악, 코미디, 만화, 성우 등 다양한 분야에서 대중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한 인물들로 구성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상 - 백상예술대상
    백상예술대상은 대한민국 영화 및 텔레비전 분야의 시상식으로, 매년 봄에 개최되어 영화, TV, 연극 부문에서 다양한 상을 시상하며, 1965년 영화 부문을 시작으로 현재는 JTBC에서 중계 방송을 진행한다.
  • 대한민국의 상 - 동아연극상
    동아연극상은 동아일보가 주최하여 대한민국의 연극 발전에 기여한 인물과 작품을 시상하는 연극상이다.
  • 2010년 설립 - 대한민국 고용노동부
    대한민국 고용노동부는 고용, 노동 관련 사무를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사회부 노동국에서 출발하여 노동청, 노동부를 거쳐 2010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고용정책, 근로조건, 노사관계, 산업안전보건 등의 업무를 관장한다.
  • 2010년 설립 - 대한민국 여성가족부
    대한민국 여성가족부는 여성 정책, 가족 및 다문화가족 정책, 아동·청소년 관련 사무를 수행하며,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2005년 출범했지만, 셧다운제 시행, 예산 낭비 논란 등 다양한 논란에 휩싸여 존폐론이 제기되기도 한다.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 [상(Prize)]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로마자 표기Daehanminguk Daejungmunhwayesulsang
한글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수상 분야대중문화예술산업 종사자
수여 기관문화체육관광부
주관 기관한국콘텐츠진흥원
첫 시상2010년 11월 22일
웹사이트한국콘텐츠진흥원 공식 웹사이트

2. 심사 및 시상

대국민 자유 추천공모를 통해 추천된 대중문화예술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학계, 업계, 언론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집단으로 구성된 추천위원회와 심사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후보자가 선정된다. 이후 문화체육관광부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 검증을 하여 4개 부문에서 30명 내외로 시상이 이루어진다. 시상 기준은 공적 기간, 국내외 활동 및 업적, 업계 기여도, 사회 공헌 등이다.

3. 역대 수상자

연도시상식문화훈장대통령 표창국무총리 표창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표창
20101서울 신라호텔 다이너스티홀 (2010/11/22)
20112송파구 방이동 올림픽공원 올림픽홀 광장 (2013/11/21)
20123송파구 방이동 올림픽공원 올림픽홀 광장 (2013/11/19)
20134송파구 방이동 올림픽공원 올림픽홀 광장 (2013/11/18)
20145홍익대학교 아트센터 (서울) (2017/11/29)
20156국립극장 해오름극장 (2015/10/29)
20167중구 국립극장 (2016/10/27)
20178국립극장 해오름극장 (2017/11/3)
20189송파구 방이동 올림픽공원 올림픽홀 광장 (2018/10/24)
201910송파구 방이동 올림픽공원 올림픽홀 광장 (2019/10/30)
202011경희대학교 평화의 전당 (서울) (2020/10/28)



2021[17]금관문화훈장



2022[18]



2023[19]



2024[20]


3. 1. 2010년

하춘화|河春花한국어는 1961년 만 6세의 나이로 데뷔하여 50년간 꾸준히 활동하며 1,800회 이상의 공연 기록을 세웠다. 이는 개인 최다 공연으로 기네스북에 등재되었으며, 활발한 사회봉사 활동으로 사회 공헌에도 기여했다.[28]

배우 신영균은 1960년 영화 '과부'로 데뷔하여 '빨간 마후라', '딸 부잣집' 등 총 294편의 영화에 출연하며 한국 영화 전성기를 이끌었다. 또한 명보극장을 사회에 기부하는 등 영화 산업 발전에 공헌했다.[28]

프로듀서 이수만은 1989년 SM기획을 설립, 체계적인 시스템을 도입하여 동방신기, 슈퍼주니어, 소녀시대, 샤이니 등 한류 열풍을 이끈 아티스트들을 배출했다.[28]

3. 2. 2011년

2012년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시상식에서는 총 6개 부문에서 31명이 수상했다.[29]

부문수상자공적 요지
은관문화훈장김기덕 (영화 제작자)제69회 베니스 영화제에서 <피에타>로 황금사자상을 수상하여 한국 영화사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고,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함
금사향 (가수)한국 전쟁 기간 동안 종군 연예단에서 전쟁터 위문 공연으로 어려운 시기에 나라에 공헌함. <홍콩아가씨>, <님 계신 전선> 등의 히트곡이 있으며 한국 가요 발전에 기여함
윤일봉 (배우)50~70년대 한국 영화의 발전을 이끌어간 대표 멜로 배우로서 현재까지 한국영화배우협회 명예회장으로 감독, 배우, 영상 등 다양한 분야를 지원하며 대중문화 발전에 이바지함
김수현 (드라마 작가)한국 홈 멜로드라마를 창시하고, 역대 최고 드라마 시청률 기록을 보유하고 있는 한국 드라마의 대모이자 산증인
보관문화훈장송승환 (공연 제작자)1964년 데뷔 이후 30여 편의 드라마, 연극 등을 통해 실력파 배우로 인정받음. 이후 넌버벌 퍼포먼스 <난타>를 제작하여 한국 최초로 공연 수출을 하는 등 한국 대중문화의 경쟁력을 높임
나문희 (배우)1961년 데뷔 이후 100편에 가까운 드라마와 영화에서 다양한 캐릭터를 아우르는 깊이 있는 연기로 대중들에게 감동을 주면서 주연급 중년 여성 연기자로서의 귀감이 되고 있음
송창식 (가수)7080세대의 ‘포크록의 대부’로 불리며, 40년 활동 기간 동안 가장 한국적인 록 음악을 대중들에게 들려주는 데 기여함
옥관문화훈장이정진 (배우)제69회 베니스 영화제에서 황금사자상을 수상한 <피에타>의 주연으로 탁월한 연기력을 선보이면서 작품의 사상에 기여하고 한국 영화의 국제 위상을 높임
조민수 (배우)제69회 베니스 영화제에서 황금사자상을 수상한 <피에타>의 주연으로 카리스마 있고 열정적인 연기로 작품의 완성도를 높여 한국 영화의 국제 위상 제고에 기여함
싸이 (가수)2012년 ‘강남스타일’ 뮤직비디오가 유튜브에서 5억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하고, 세계 각국 음원 차트에서 1위를 기록하며 K-POP 해외 진출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함
대통령 표창박성연 (가수)척박한 우리나라 재즈계에서 최초의 재즈 클럽 ‘야누스’를 만들어 운영하면서, ‘재즈계의 대모’로 불리고 후배 재즈 뮤지션들에게 귀감이 되고 있음
유강진 (성우)1964년 TBC(구, 동양방송) 성우 1기로 데뷔하여, 6편의 애니메이션과 300여 편의 라디오 드라마, 500여 편의 TV 외화 더빙에 참여하며 ‘아우라를 가진 목소리’로 인정받는 대한민국 대표 성우
안치행 (작곡가)1972년 그룹 영사운드로 데뷔하고, 1975년 ‘안타음반’을 설립해 주현미, 나훈아 등 유명 가수들의 음반 제작과 작곡으로 70~80년대를 상징하는 대표 히트곡들을 창작함
이용식 (코미디언)뽀식이 아저씨라는 캐릭터로 남녀노소를 불문한 대중들에게 사랑받으면서, 30년 넘게 한결같이 한국 코미디 발전을 위해 헌신함
한석규 (배우)<접속>, <쉬리> 등의 작품에서 편안한 인상과 부드러운 카리스마를 통해 ‘멜로 연기의 황제’로 인정받으면서 한국 영화의 르네상스 시대라 불리던 90년대를 이끌어간 명배우
심재명 (영화 제작자)1989년부터 31편의 작품을 기획 및 제작하며, 뛰어난 선구안으로 흥행하기 어려운 장르, 소재, 시나리오를 성공시킴. 또한 ‘충무로 최고의 제작자’로 인정받으며 영화계의 다양성에 기여함
김창완 (가수)1977년 산울림 1집으로 데뷔 후, 모든 세대를 아우르는 노래로 대중들에게 사랑받았으며, 현재는 실력파 연기자로 활동하면서 대중문화예술계의 모범이 되고 있음
국무총리 표창나윤선 (가수)1994년 뮤지컬로 데뷔 후, 프랑스에서 재즈를 배워 해외 유수의 언론을 통해 최고의 재즈 보컬리스트라는 찬사를 얻음, 또한 2009년 프랑스 문화훈장을 수훈하며 한국 재즈의 수준을 한 단계 이끌어 올림
2NE1 (가수)2009년 Lollipop으로 데뷔하여 한국, 일본에서 큰 사랑을 받고 있다. 파워풀한 힙합과 일렉트로닉 음악으로 실력파 뮤지션의 이미지로 한류를 선도하며 대중문화 발전에 이바지함
김동수 (모델)1979년 데뷔 후, 실력파 모델로 인정받음과 동시에 방송 활동을 활발하게 병행하면서, 국내 모델 출신 스타 1세대이자 성공한 모델의 교과서로 존경받으며 대중문화 발전에 기여함
하정우 (배우)2001년 데뷔 이후 활발한 활동과 탁월한 연기력으로 개봉하는 영화가 모두 작품성과 대중성에서 모두 호평을 받으면서 연기력과 스타성을 겸비한 ‘충무로의 대세’로 인정받음
김형석 (작곡가)1989년 인순이 ‘이별연습’ 작곡으로 데뷔하여, 90년대 ‘한국 가요계의 마이더스 손’, ‘히트곡 제조기’ 등으로 불리고 있으며, 다양한 장르의 히트곡을 배출하며 대중문화예술의 발전에 이바지함
조승우 (배우)<말아톤>, <타짜> 등의 영화에 출연하며 다양한 캐릭터로 흡인력이 있는 연기를 펼쳐 대중들의 눈길을 끄는 동시에 뮤지컬계에서는 독보적인 티켓 파워를 자랑하는 ‘뮤지컬계의 황제’로 군림하고 있음
이은하 (가수)1972년 데뷔 이후, 허스키한 목소리와 파워풀한 가창력으로 7080년대를 대표하는 최고의 댄스 가수로 각광받으면서 ‘디스코의 여왕’이라는 별명을 얻음
유재석 (코미디언)1991년 데뷔 이후, 총 16편의 프로그램에 MC로 참여해 왔고 대표작인 <무한도전>을 통해 대중들에게 다방면에 능력이 있고 겸손한 예능인으로 인정받으면서 대한민국의 대표 MC로 자리매김함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표창샤이니 (가수)2008년 ‘누난 너무 예뻐’로 데뷔하여 실력으로 승부하는 아이돌이라는 평가를 받음, 일본 및 유럽에서 왕성하게 활동하며 세계적인 K-POP 열풍의 선두 주자로 활약함
김수현 (배우)2007년 시트콤 <김치 치즈 스마일>로 데뷔하여 <드림하이>, <해를 품은 달> 등의 작품에서 우수한 연기력을 보였고, 영화 <도둑들>을 통해 1000만 관객을 동원하면서 차세대를 이끌 배우로 주목받음
류승룡 (배우)2001년 영화 <아는 여자>로 데뷔하여 다수의 드라마와 영화에서 주연에 버금가는 조연으로 대중성과 연기력을 모두 인정받았으며, 앞으로 충무로를 이끌어갈 배우로 기대를 모으고 있음
장기하와 얼굴들 (가수)2008년 ‘싸구려 커피’로 데뷔하였으며 ‘그렇고 그런 사이’, ‘별일 없이 산다’ 등 진지함과 유머를 모두 지니고 있는 밴드로 평가받으며 인디 음악을 대중에게 알리는 데 기여함
홍자매 (드라마 작가)2004년 KBS 드라마 공모 당선으로 데뷔, <쾌걸 춘향>, <마이걸>, <최고의 사랑> 등 인기 드라마를 집필하였으며 자타 공인 국내 최고의 로맨틱 코미디 작가로 한류 열풍에 이바지함
이수근 (코미디언)2003년 KBS 18기 공채 개그맨으로 데뷔하여, 여러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하며 남녀노소 모두에게 폭넓은 사랑을 받음, 2007년부터 꾸준히 시상식에서 수상을 하며 예능계를 이끌어갈 차세대 국민 MC로 도약하고 있음


3. 3. 2012년

부문수상자공적 요약
은관문화훈장조용필여행을 떠나요, 단발머리 등 국민가요와 2013년 19집 [Hello]로 전 세대와 소통.
패티 김1958년 미8군 데뷔, 그대 없이는 못살아, 서울의 찬가 등 60~70년대 팝 장르 개척 및 해외 진출.
안성기1957년 영화 <황혼열차> 데뷔, <고래사냥>, <투캅스> 등 108여 편 출연, 국민 배우, 유니세프 친선대사.
구봉서1945년 데뷔, <웃으면 복이 와요> 등 코미디 프로 및 300여 편 영화 출연, 코믹영화 전성기, 코미디계 선구자.
보관문화훈장이혜경1948년 입사, 65년간 성우 활동, <김삿갓 북한 방랑기>, <똘똘이의 모험> 등 작품, 방송 및 드라마 집필, 연출.
김정수12년간 500회 이상 <전원일기> 등 35년간 집필, 한국 드라마의 산증인.
대통령 표창이정길1967년 데뷔, 드라마와 영화, 대한사회복지회 후원회장.
정성조1995년부터 10여 년간 KBS 관현악단 활동, 재즈 색소폰 연주자, 1988년 최초 실용음악과 개설.
최헌1960년대 말 데뷔, 70년대 그룹 He 6, 최헌과 검은 나비 등 보컬, 기타리스트.
전제덕국내 유일 재즈 하모니카 연주자, 시각 장애 극복, 한국의 투츠 틸레망.
선우용녀1965년 데뷔, TV 드라마, 영화, 연극, 리얼리티 프로그램, 친정엄마 이미지.
류승완2000년 데뷔, <주먹이운다>, <부당거래>, <베를린> 등 연출, 해외 영화제 수상.
송병준그룹에이트 대표, <궁>, <환상의 커플>, <미안하다 사랑한다>, <꽃보다 남자> 등 제작, 한류 기여.
국무총리 표창최양락1981년 데뷔, <네로25시>, <괜찮아유> 등 8090년대 개그계 선도.
박일1967년 데뷔, 47년간 라디오 드라마, 외화, 애니메이션 더빙 등 목소리 연기.
김갑수1977년 데뷔, 정극 연기, 시트콤, 연극, 영화 등 연기파 배우.
배수연1970년대부터 패티김, 조용필 등 앨범 편곡 및 드럼 연주, 1986년 아시안게임, 1988년 서울올림픽 주제곡 참여.
이승환1989년 데뷔, 24년간 음반 직접 제작, 1000회 가까운 단독 공연, 공연문화 활성화.
김목경블루스 기타리스트, 싱어송라이터, 2003년 멤피스 빌 스트리트 뮤직 페스티벌 등 해외 페스티벌 초청.
김지선1990년 데뷔, <개그콘서트>의 <꽃봉오리 예술단> 코너.
서수민1995년 KBS PD 입사, <뮤직뱅크>, <스펀지> 등 연출, <개그콘서트> 한국 코미디 선도.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표창고은경1981년 데뷔, 모델학과 교수, 패션쇼 기획, 모델 배출.
김준호1996년 데뷔, KBS <개그콘서트> 활약,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 개최.
시크릿2009년 데뷔, 매직, Madonna, 샤이보이, 별빛달빛 히트, 일본, 태국 등 해외 진출.
신현준1990년 데뷔, <장군의 아들>, <가문의 위기>, <각시탈> 등, 작가, 교수, MC 등 활동.
씨스타2010년 데뷔, Push Push, So Cool, 나혼자, 러빙유 등 히트, 가창력과 퍼포먼스.
이루댄스 위주 시장에서 남성 솔로 발라드 가수, 인도네시아 시장 최초 개척.
장서희1989년 데뷔, <인어아가씨> 주연, 중국 드라마 출연, 시청률의 여왕, 중국 한류.

[30]

3. 4. 2013년

다음은 2013년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수상자 목록이다.

부문수상자공적 요지
은관문화훈장최불암47년 연기생활동안 수사반장, 전원일기, 영웅시대 등에 출연하며 대중문화 발전에 기여하였으며 웰컴투코리아시민협의회, 어린이재단, 메세나협회 등 홍보대사로 사회공헌활동함
박정란<백정의 딸>, <노란 손수건> 등 많은 작품을 통해 가족과 여성의 삶을 그렸으며 실제 호주제 폐지 등 적지 않은 사회적 변화를 이끌어내는 데 기여함
송해55년 데뷔 이후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하며 34년 역사의 장수 프로그램인 ‘전국노래자랑’의 진행을 맡으며 국민들과 함께 희로애락을 나누었고 국내 대중음악이 발전하는 계기를 마련함
보관문화훈장최은희47년 영화계 데뷔하여 300여 편 연극출연과 120여 편의 영화 출연을 하였으며 66년 안양영화예술학교를 설립하여 후학 발전과 영화사 신필름을 설립하는 등 대한민국 영화산업 발전에 기여함
명국환50년대 전후 암울한 시절에 공장 근로자들, 해외교포들을 위하여 찾아가는 공연으로 대중들에게 위로와 희망을 주며 초기 한국대중 음악발전에 기여함
김수일54년 KBS 공채 성우 1기로 입사하여 방송극, 라디오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 여러 장르에서 성우로서 활발한 활동을 하였으며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성우들의 권익보호에 기여함
대통령 표창김광석84년 ‘노래를 찾는 사람들’로 데뷔하여 한국 대중음악의 독보적인 전설로서 사후에도 수많은 동료와 선후배들이 그의 음악을 다시 부르며 대중음악의 유산을 이어가고 있음
이재연84년 국내 최초 패션쇼 전문 소극장을 개관했으며, 88년 서울올림픽 오프닝 행사를 기획하였고 신인 패션디자이너 그룹을 결성하여 패션쇼를 개최하는 등 패션분야의 발전을 위해 기여함
이유신대중음악발전사의 50~60년대와 경제도약기부터 오랜 기간동안 기타 연주만을 고집하며 조용필, 설운도, 나훈아의 주요 작품에서 기타 연주를 하여 기타 문화장인으로 호칭되고 있음
홍승성JYP 설립 god, 원더걸스, , 박진영 등을 육성하고, 2008년 큐브엔터테인먼트를 설립하여 비스트, 포미닛, 지나 등 최고의 뮤지션들을 발굴해내어 한류와 국내 음악 산업발전에 크게 기여함
김영희나는 가수다’를 통하여 국민에게 감동을 주었으며 국내에서는 음반산업을 활성화시키고 해외에서는 중국내 예능 한류의 신호탄이 되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등 대중문화예술발전에 기여함
유영진94년 데뷔 이후, 아이돌의 시초인 H.O.T., S.E.S.등 이후 소녀시대, 슈퍼주니어, EXO 등의 댄스곡들을 프로듀싱하여 대중음악 발전과 일본, 중국, 유럽, 남미 등 전세계적으로 K-POP의 우수성을 알리는 데 기여함
사미자63년 데뷔 이후 51년간 수많은 작품 활동을 통하여 대중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함. 또한, 국제환경박람회, 웰컴투코리안 시민협의회 홍보위원 활동 등 적극적인 사회공헌 활동함
국무총리 표창진미령75년 데뷔 이후 지속적인 음반발매 등으로 트롯분야가 대중가요의 한축으로 성장할 수 있는 초석이 될 수 있는 장을 마련하고 음악실연자 권리찾기운동을 통해 대중가요 산업환경 개선에 기여함
이민호06년 데뷔 이후 다양한 작품 활동과 SNS, 해외 공연 및 각종 홍보대사 활동을 통해 중국, 일본 동아시아권 한류 확산에 크게 기여하며 문화 전달자로 대한민국의 위상 제고에 기여함
전국환73년 연극무대에 데뷔해 81년 국립극단에 입단 180여 편의 연극에 출연하며 어려웠던 시절 국민들에게 희노애락을 주었으며 방송 및 영화에서 개성있는 연기로 드라마의 완성도를 높이는 기여함
김수현드라마 ‘해를 품은 달’과 ‘별에서 온 그대’로 도민준 신드롬을 만드는 등 신한류 열풍을 주도하는데 기여하였고 한국 관광 명예홍보대사로 한국 관광산업을 활성화시키는 데 기여함
박지은내조의 여왕, 넝쿨째 굴러온 당신, 별에서 온 그대등의 한류드라마를 집필하였고 본인만의 신선한 소재와 독특한 스토리로 신한류를 창출하는데 기여함
신동엽오디션 프로그램에서 순발력 있는 진행을 통해 ‘불후의 명곡’,‘강심장’등이 한류예능으로 성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 특유의 입담과 재치로 한류예능의 신성장에 기여함
정대경우리나라 최초의 민간소극장인 삼일로 창고극장을 운영하였으며 공연예술사적 가치 계승, 소극장의 정체성 확립 및 기초공연예술의 발전을 위한 각종 정책제언 등을 통해 공연예술 발전에 기여함
나영석1박 2일’, ‘꽃보다 할배’ 시리즈 등을 통해 신개념 예능 프로그램을 제작하였으며 꽃보다 할배는 퍼스트룩 아웃도어 PPL 통해 미디어 커머스 성공 사례를 제시하는 등 기존 포맷사업의 구조를 바꾸는데 기여함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표창이승기가수로서 뿐만 아니라 방송드라마에서 개성있는 연기로 한류 열풍을 일으키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대중들에게 국민 남동생, 국민 청년의 친근한 이미지로 인식되어 공명선거, 복권위원회 홍보대사로 활동함
EXOEXO는 10인조 다국적 남성 음악 그룹으로 K-pop 탄생 12년 만에 가장 빠른 속도로 높은 음반 판매량을 기록하는 등 새로운 대중음악의 한 장르를 만들어 가고 있으며 중화권 시장 진출의 모델로 제시됨
정진석96년 프리랜서 안무가로 입문한 후, 젝스키스, 핑클 등 다수의 공연에 참여하여 안무 컨셉 및 프로그램 컨셉 디렉팅으로 K-POP이 대중에게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창작적 기능을 제공하여 질적 수준이 높은 공연을 만드는데 기여함
김보성많은 액션영화에 출연하며 대한민국 의리의 대표 아이콘으로 불러지고 있으며 영화 “영웅” 출연을 계기로 러시아 영화계와의 인연으로 한국영화를 세계화하는데 적극적으로 활동함
김재만기타리스트로서 블랙신드롬을 결성하여 활동하였고, 시나위, 부활, 백두산 등과 함께 한국의 헤비메탈 음악 1세대를 이끌었으며 작곡가, 연주가, 프로듀서, 공연기획자 등으로 활동하며 한국 음악 산업 발전에 기여함
김준현07년 KBS 공채 개그맨으로 데뷔한 이후, 개그콘서트의 매 코너마다 수많은 유행어로 히트를 함. 다양한 예능 프로그램 활동을 통해 코미디언 장르 발전에 기여함
고건혁독립음반제작사 ‘붕가붕가레코드’를 설립, ‘장기하와 얼굴들’,‘브로콜리 너마저’ 등의 밴드를 발굴하여 인디 음악 발전에 기여함

[31]

3. 5. 2014년

부문수상자공적요지
은관문화훈장이덕화73년 데뷔하여 ‘사랑과 야망’, ‘한명회’ 등 70여 편의 드라마와 40여 편의 영화에 주연으로 활약하였고 현재까지도 예능 프로그램 등에 왕성한 활동을 이어나며 대한민국의 가장 대표적인 배우[32]
이성희음반제작기술자로 활동하여 대한민국 최초 고품질 LP레코드판을 제작해 한국 음반 산업 발전을 이끈 선구자, 음반제작사 ‘성음’을 통해 라이센스음반을 제작 및 보급하며 음악의 대중화에 크게 힘쓰며 대한민국 음악사에 큰 족적을 남김[32]
남성남남철과 콤비를 이뤄 70년대 코미디계를 이끌었으며 ‘왔다리 갔다리’춤으로 웃음을 선사하였고 국민들에게 삶의 애환을 달래주는 즐거움을 전한 이 시대 최고의 코미디언이자 코미디계의 대부[32]
보관문화훈장남일해59년 데뷔하여 ‘비내리는 부두’, ‘이정표’ 등 1000곡 이상의 음반을 발매하여 왕성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대한민국 대중가요 발전을 위해 헌신하고 있음[32]
노라 노대한민국 여성의상의 근대화에 앞장서고 패션에 대한 변함없는 열정과 도전으로 데뷔 62년이 지난 오늘까지 활발히 활동하며 후배들에게 큰 귀감이 되며 패션계의 대모로 불림[32]
이희우69년 영화 ‘여자가 고백할 때’를 통해 입문하여 스크린과 브라운관을 오가는 작가로 활동하였으며 영화 ‘만종’, 드라마 ‘형제의 강’, ‘덕이’ 등 대한민국 대중문화사에 뿌리 깊은 작품들을 집필한 작가계의 거장[32]
대통령 표창전지현97년 데뷔하여 스크린과 브라운관을 넘나들며 전 세계에 한국을 알리는 글로벌 스타로 평가받음[32]
이문세78년 데뷔하여 섬세한 감성으로 주옥같은 곡들을 탄생시켰고 탁월한 라디오 진행을 통해 대중음악 진흥에 큰 역할을 수행함[32]
이용77년에 데뷔하여 ‘바람이려오’, ‘잊혀진 계절’ 등 수많은 히트곡들을 탄생시키며 전국민적인 사랑을 받음[32]
이선영뛰어난 표현력과 연기력으로 라디오 방송의 부흥기를 이끌었으며 활발한 활동을 통해 대한민국 방송 발전에 크게 공헌함[32]
김광수대한민국 1세대 남성 모델로서 우리나라 최초의 모델 에이전시를 설립하고 패션잡지를 창간해 한국 모델 및 패션 업계 성장에 앞장섬[32]
정태성영화 ‘설국열차’, ‘명량’ 등 수많은 작품들의 투자 배급 및 다양한 합작을 통해 영화산업 발전에 기여함[32]
이호연젝스키스’, ‘핑클’, ‘카라’ 등 K-POP 아이돌 그룹을 기획 및 제작하여 해외 진출을 선도해 한류 확산에 일조함[32]
국무총리 표창박신혜안정적인 연기력을 바탕으로 드라마 ‘상속자들’, ‘피노키오’ 등을 통해 한류 대세 배우로 자리매김하며 전세계 팬들에게 사랑받음[32]
오달수영화 ‘명량’, ‘암살’, ‘베테랑’ 등 보증된 연기력으로 주‧조연을 넘나들며 천만 영화 시장의 흥행 메이커로 자리매김[32]
이종석드라마 ‘너의 목소리가 들려’, ‘피노키오’ 등을 통해 한류 열풍의 주역으로 신한류를 이끄는데 앞장섬[32]
최정원89년 뮤지컬 ‘아가씨와 건달들’로 데뷔하여 ‘시카고’, ‘맘마미아’ 등 수많은 작품에 출연하여 대한민국 뮤지컬 발전과 대중화에 크게 이바지함[32]
김종국95년 그룹 ‘터보’로 데뷔하여 ‘패밀리가 떴다’, ‘런닝맨’ 등 인기 예능을 통해 한류 스타로 떠오르며 새로운 한류 영역을 확장하는데 이바지함[32]
아이유‘좋은날’, ‘잔소리’ 등 다수의 히트곡과 더불어 드라마 ‘프로듀사’ 등을 통해 배우로도 활발히 활동하여 한류 스타로 발돋움함[32]
JYJ가수 활동과 더불어 드라마, 뮤지컬, 영화 등 다양한 문화 영역에서 활동하며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으며 대표적인 한류 스타로 자리매김함[32]
김학래80년대 대한민국 코미디 전성기를 이끈 주역으로 지속적인 사회공헌활동을 통해 후배들에게 모범적인 본보기가 됨[32]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표창박현빈‘빠라빠빠’로 데뷔하여 개성 있는 창법으로 다수의 노래를 히트시키며 전통가요의 대중화에 일조함[32]
소찬휘‘헤어지는 기회’로 데뷔하여 90년대를 대표하는 여성 솔로 가수로 복고 열풍을 일으키며 제2의 전성기를 구가함[32]
걸스데이가수 활동과 더불어 예능, 드라마 등에서도 다양한 매력을 선보이며 많은 사랑을 받고 있음[32]
조영수장르를 넘나드는 폭넓은 작곡 활동을 통해 대한민국 대중음악의 지평을 넓히는데 크게 힘씀[32]
박영용수많은 대중 가수들의 음반 녹음 및 공연에 드럼 및 퍼커션 연주자로 참여하며 대한민국 대중가요 발전에 앞장섬[32]
옹알스누구나 즐길 수 있는 비언어 장치를 통해 세계에 대한민국 코미디를 알리는 큰 역할을 수행함[32]
배윤정여러 한류 가수들의 독창적인 안무를 창작하여 커버댄스를 통해 K-POP의 세계화에 이바지함[32]
박윤희드라마, 영화, 공연 제작 등 다양한 영역에서 분장 스태프로 활동하며 대중문화예술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함[32]


3. 6. 2015년

부문수상자공적 요지
은관문화훈장김지미 (배우)1957년 황혼열차로 데뷔하여 다수의 영화에 출연하였으며, 영화진흥위원회 위원 및 영화인협회 이사장 등을 역임하며 한국 영화산업 발전에 적극 기여함
남궁원 (배우)1958년 그 밤이 다시 오면으로 데뷔하여 400여 편의 영화에 출연하였고, 한국영화배우협회 회장 등을 역임하며 한국 영화산업 발전에 기여함
남보원 (코미디언)1963년 스타탄생 코미디 입상으로 데뷔 후, 삶의 애환을 코미디로 승화시켜 대중문화예술의 저변을 확대하였으며 다양한 장르의 희극 분야를 창출시키는데 기여함
태진아 (가수)국민의 희로애락을 담은 주옥같은 노래로 많은 사랑을 받았으며, 한국 대중음악의 해외 확산을 위해 노력하는 등 민간 문화 외교에도 기여함
보관문화훈장배상태 (작곡가)돌아가는 삼각지, 안개 낀 장충단공원 등 국민의 애환과 사랑을 담은 창작가요 2,000여 곡을 작곡하여 대중가요를 국민가요로 성장시키는데 기여함
임충 (방송작가)38년간 TV 드라마와 영화, 작곡과 소설 등 대중문화 전 장르가 발전하는 원천 소재를 창작하였으며, 드라마 장희빈을 통해 사극 드라마 발전에 기여
대통령 표창김은숙 (방송작가)파리의 연인, 시크릿 가든, 온에어, 상속자들 등 한류 드라마를 집필하여 한류 확산에 기여하였고, 태양의 후예를 통해 재점화하여 타 산업의 성장에도 기여함
보아 (가수)K-POP 한류 1세대로 일본 음악 시장에 진출하여 K-POP 부흥을 이끄는 단초를 만들었고, 아시아뿐만 아니라 북미 시장 개척도 활발히 추진하여 한류 확산에 기여함
송중기 (배우)태양의 후예, 늑대소년 등에서 주옥같은 연기로 한류 재확산의 단초를 제공하였고, 이를 통해 타 산업인 제조업과의 동반 성장을 이끄는데 기여함
송혜교 (배우)태양의 후예, 가을 동화 등 주요 작품에 출연해 주옥같은 연기로 작품의 완성도를 높였으며, 한류 드라마의 성장 및 한류 붐을 이끄는데 기여함
엄용수 (코미디언)코미디 장르가 국민들에게 사랑받을 수 있도록 지속적인 활동을 전개하였고, 장르 단체를 설립하여 코미디언의 권익 보호 및 지위 향상에도 기여함
이정선 (연주자)기타 연주가 중심이 된 다수의 곡을 만들고 연주하여 대중음악 확산의 촉매제 역할을 하였고, 한국 블루스 음악의 개척자로 불리는 등 대중음악 발전에 기여함
이현세 (만화가)공포의 외인구단에서 주인공의 열정과 젊은이가 지녀야 할 가치를 전달하여 국민적 반향이 컸고, 만화계 대표 아이콘으로 불리며 만화산업 발전에 기여함
국무총리 표창김백수 (무술감독)다양한 장르의 영화, 드라마 등에 대역 배우(스턴트맨)로 출연하여 작품의 완성도를 높여, 무술 분야가 대중문화예술의 중요한 분야로 자리매김하는데 기여함
샤이니 (가수)외국 네티즌이 선정한 최고의 한류 가수로 K-POP의 한류 확산에 기여하였을 뿐만 아니라, 음악, 댄스, 패션 장르를 선도하며 K-POP의 지속적인 성장에 기여함
유아인 (배우)드라마, 영화 등에서 혼신을 다한 연기력으로 작품성을 높였고, 이는 대중문화예술이 흥행과 성공으로 이어져 관련 산업이 발전하는데 기여함
이건우 (작사가)1980년 작사 활동을 시작하여 국내 1,100여 개 이상의 곡을 작사한 표현의 마술사로, 애절하고 중독성 있는 노랫말로 국민적 공감을 얻어 대중음악 발전에 기여함
이광수 (배우)드라마와 영화에 다수 출연하며 연기자 활동과 함께 활발한 예능 활동으로 다양한 영역에서 개성 있는 캐릭터로 예능 한류를 이끄는데 기여함
조진웅 (배우)영화 암살, 군도, 명랑, 끝까지 간다 등에 출연하여 다양한 캐릭터를 소화하며 명품 조연으로 작품의 완성도를 높여 대중문화산업 발전을 이끄는데 기여함
지드래곤 (가수)2006년 빅뱅 멤버로 데뷔한 이래 독창적인 음악성을 나타내는 K-POP 분야의 선두 주자로, K-POP 확산 등 한류 열풍의 주역으로 한국 대중음악 발전에 기여함
황정음 (배우)그룹 슈가 멤버로 데뷔해 연기 활동을 시작하여 킬미힐미, 운빨로맨스, 그녀는 예뻤다 등에서 주옥같은 연기력으로 작품 완성도를 높여 드라마 산업 발전에 기여함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표창김생민 (방송인)1990년대 당시, ‘한직(閑職)’으로 치부되던 리포터 분야에 첫발을 내디딘 후, 현재까지 20여 년간 독보적으로 활동함과 동시에 꾸준한 방송 활동을 통해 대중문화예술인으로서 리포터의 저변을 넓히고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함
방탄소년단 (가수)가창력과 안무를 겸비한 독창적인 K-POP을 추구하는 아이돌 그룹으로 전 세계 한류 열풍을 일으키고 있으며 본인들만의 창작 능력과 음악성은 K-POP 지속 성장의 표본이 되고 있고 아이돌 가수들에게 향후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음
손성득 (안무가)K-POP 완성도를 높이는 창의적이고 개성 있는 안무 퍼포먼스를 기획 제작하여, 대중문화예술산업 발전과 안무 분야의 위상 및 권익 신장에 기여함
안지환 (성우)드라마, 교양, 오락 등 모든 프로그램 장르에서 각각의 특색에 맞는 목소리 구현으로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높여 관련 장르 발전에 기여함
옥주현 (뮤지컬 배우)한국 대중음악사 최고의 여자 아이돌 그룹으로 손꼽히는 “핑클”로 데뷔하여 뮤지컬 배우로서 활동을 병행하며 본인만의 혼신을 다한 연기력과 독창적인 관객 흡입력으로 한류 뮤지컬의 지평을 넓히는데 기여함
임주완 (모델)모델 및 연기자로서의 적극적 활동과 아시아 모델 시상식을 기점으로 국내 모델의 우수성을 국내뿐 아니라 아시아 전역에 알리는데 일익을 담당하였고. 또한 후학 양성을 위해 모델 분야 교수로 적극적인 활동을 함
조정석 (배우)영화, 드라마, 광고 등 다양한 분야를 넘나들며 전 세대와 소통할 수 있는 연기력으로 작품의 우수성을 높이고 대중문화예술산업 발전에 기여함
황치열 (가수)중국 내 음악 프로그램에서 3번을 우승하여 신한류 열풍을 불러일으킨 가수로 “황쯔리에(黃致列) 신드롬”까지 이어져 K-POP을 확산하는데 기여함
박희주 (촬영감독)1992년 영화 촬영을 시작하여 최근에 이르기까지 다수의 영화 촬영감독으로 활동하며 대중문화예술산업 발전에 기여하였고 은행나무 침대 작품으로 여러 영화제에서 촬영상 수상 등 촬영 장르의 중요성을 알리는 선구자적 역할을 함


3. 7. 2016년

바니걸스한국어는 원조 걸그룹으로 1971년 데뷔하여 시대를 앞선 파격적인 패션과 독특한 개성은 물론 독창적인 음악세계를 통해 1970년대 가요계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34] 하지영은 1983년 조용필의 히트곡 [친구여]로 본격적인 작사가로서의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친근한 노랫말을 작사해온 공이 크며, 많은 곡들의 가사들은 해외에서도 많은 호평을 받아 우리나라 가요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34] 김미화는 1987년 ‘쇼 비디오 자키’에서 김한국과 콤비를 이뤄 쓰리랑 부부의 일명‘순악질 여사’라는 캐릭터로 큰 인기를 얻었다. 교양, 예능, 라디오 진행자로 활동하고‘99년 개그 콘서트를 기획, 후배 개그맨들의 방송활동 기회제공 등 기여했다.[34]

부문수상자공적 요지
대통령 표창바니걸스쌍둥이 자매로 구성된 바니걸스는 원조 걸그룹으로 1971년 데뷔하여 시대를 앞선 파격적인 패션과 독특한 개성은 물론 독창적인 음악세계를 통해 1970년대 가요계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음
대통령 표창하지영1983년 조용필의 히트곡 [친구여]로 본격적인 작사가로서의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친근한 노랫말을 작사해온 공이 크며, 많은 곡들의 가사들은 해외에서도 많은 호평을 받아 우리나라 가요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음
대통령 표창김미화1987년‘쇼 비디오 자키’에서 김한국과 콤비를 이뤄 쓰리랑 부부의 일명‘순악질 여사’라는 캐릭터로 큰 인기를 얻음. 교양, 예능, 라디오 진행자로 활동하고‘99년 개그 콘서트를 기획, 후배 개그맨들의 방송활동 기회제공 등 기여


3. 8. 2017년

부문수상자공적요지
은관문화훈장김민기
이순재
조동진
보관문화훈장김영옥
김옥영
김정택
화관문화훈장방탄소년단
대통령 표창김남주
김동수
김평호
심수봉
유재석
윤상
이경자
국무총리 표창강산에
강희선
김숙
김주혁
손예진
이선균
전현무
최진희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표창강대영
국카스텐
김미경
김이나
김태리
레드벨벳
박나래
이선


3. 9. 2018년

2019년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시상식은 10월 30일에 올림픽공원 올림픽홀에서 개최되었다. 2019년에는 5개 부문에서 28명이 수상했다.[36]

부문수상자주요 경력
은관문화훈장양희은<아침이슬>, <상록수> 등을 부른 대한민국 포크 음악의 대모. 라디오 DJ로도 활발히 활동.
김혜자국민엄마 칭호를 얻은 최초의 여배우. 봉사활동으로도 전국민의 귀감이 되는 배우.
보관문화훈장김홍탁그룹 ‘키보이스’로 데뷔한 기타리스트이자 작곡가. 서울재즈아카데미를 설립하여 후진 양성에도 힘씀.
김운경<한지붕 세가족>, <서울의 달> 등 서민들의 삶을 그린 드라마 작가.
이태현국내 1세대 공연기획자. 조용필, 나훈아, 서태지, H.O.T, S.E.S, 핑클, 김건모 등 많은 가수의 공연을 기획·제작.
대통령 표창염정아미스코리아 출신 배우. 드라마와 영화계를 종횡무진하며 다양한 연기를 선보임.
배철수록밴드 멤버로 활동한 음악인이자, 1990년부터 배철수의 음악캠프를 진행하고 있는 DJ.
봄여름가을겨울퓨전재즈, 블루스, 록 등 다양한 장르를 선보이며 30년 넘게 활동해 온 밴드.
김기현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광고 등에서 활동하는 성우 겸 배우.
서병구한국 뮤지컬 초창기부터 독창적인 안무를 선보인 안무가. 뮤지컬 무대예술의 기반을 닦음.
홍경표영화 <기생충>, <버닝> 등에서 독보적인 화면을 담아낸 촬영감독.
국무총리 표창김완선1980~90년대 활동한 댄스 가수. 현대적 댄스 가수의 원조.
김남길다양한 캐릭터를 자신만의 색깔로 섬세하게 연기하는 배우.
김서형강렬한 연기로 드라마와 영화에서 활약하는 배우.
한지민변화와 변신을 두려워하지 않으며 새로운 도전을 하는 배우.
송은이방송계를 대표하는 여성 코미디언, 진행자, 기획자, 크리에이터.
이정구악역에서 개그 연기까지 소화하는 성우. 국내 더빙판이 원판을 뛰어넘는다라는 평가를 받음.
함춘호여러 장르를 넘나들며 30년 이상 활동한 기타리스트.
조현탁드라마 을 연출한 감독. 인간의 내면을 들여다보는 세심한 연출력을 보임.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표창마마무세련된 음악과 화려한 퍼포먼스를 선보이는 걸그룹.
몬스타엑스국내를 넘어 전 세계 팬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보이그룹.
NCT 127K-POP 대표 보이그룹. NCT라는 독특한 시스템으로 폭넓게 활동.
송가인트로트의 전성기를 다시 열며 트로트가 전 연령대가 즐길 수 있는 콘텐츠임을 보여줌.
류준열영화, 드라마 등에서 활약하는 배우.
이하늬연기, 연출, 국악까지 다재다능한 능력을 갖춘 배우.
정해인순수함과 강인함의 이미지를 가진 배우.
진선규오랜 시간 연극, 뮤지컬, 드라마, 영화 등에서 입지를 다진 연기파 배우.
리아킴1,800만명 이상의 유튜브 구독자를 보유한 세계적인 안무가이자 댄서.


3. 10. 2019년

문화훈장대통령 표창국무총리 표창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표창


3. 11. 2020년

문화훈장대통령 표창국무총리 표창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표창

[3][16]

3. 12. 2021년

연도문화훈장대통령 표창국무총리 표창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표창
2021년금관문화훈장

[17]

|}

3. 13. 2022년

문화훈장대통령 표창국무총리 표창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표창

[18]

3. 14. 2023년

문화훈장대통령 표창국무총리 표창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표창

[19]

3. 15. 2024년

문화훈장대통령 표창국무총리 표창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표창


참조

[1] 뉴스 Korean Popular Culture and Arts Awards announces winners http://kpopherald.ko[...] 2016-10-25
[2] 뉴스 김남주 '시간이 지나도 한결같이' (2018 대중문화예술상) http://www.munhwanew[...] 2018-10-25
[3] 뉴스 Hyun Bin, Kim Hee-ae, Seventeen honored at 2020 Korean Popular Culture and Arts Awards https://mb.com.ph/20[...] 2020-10-29
[4] 뉴스 2017 Korean Popular Culture and Arts Awards winners announced https://entertainmen[...] 2017-11-06
[5] 뉴스 BTS becomes the youngest to receive Order of Cultural Merit https://www.koreatim[...] 2018-10-09
[6] 웹사이트 대중문화예술상 2010년 https://ent.kocca.kr[...] 2022-05-19
[6] 뉴스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수상자 https://n.news.naver[...] 2010-11-17
[7] 웹사이트 대중문화예술상 2011년 https://ent.kocca.kr[...] 2022-05-19
[7] 뉴스 신영균.이수만.하춘화씨 은관문화훈장(종합) https://www.yna.co.k[...] 2011-11-08
[8] 웹사이트 대중문화예술상 2012년 https://ent.kocca.kr[...] 2022-05-19
[9] 웹사이트 대중문화예술상 2013년 https://ent.kocca.kr[...] 2022-05-19
[10] 웹사이트 대중문화예술상 2014년 https://ent.kocca.kr[...] 2022-05-19
[11] 웹사이트 대중문화예술상 2015년 https://ent.kocca.kr[...] 2022-05-19
[12] 웹사이트 대중문화예술상 2016년 https://ent.kocca.kr[...] 2022-05-19
[13] 웹사이트 대중문화예술상 2017년 https://ent.kocca.kr[...] 2022-05-19
[14] 웹사이트 대중문화예술상 2018년 https://ent.kocca.kr[...] 2022-05-19
[15] 웹사이트 대중문화예술상 2019년 https://ent.kocca.kr[...] 2022-05-19
[16] 웹사이트 대중문화예술상 2020년 https://ent.kocca.kr[...] 2022-05-19
[17] 웹사이트 대중문화예술상 2021년 https://ent.kocca.kr[...] 2022-05-19
[17] 뉴스 윤여정, 대중문화예술상 12년 만에 첫 금관문화훈장(종합) https://www.yna.co.k[...] 2021-10-28
[18] 웹사이트 대중문화예술상 2022년 https://ent.kocca.kr[...] 2022-12-22
[18] 뉴스 '2022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시상식, 오늘(24일) 국립극장에서 개최 https://www.straight[...] 2022-11-24
[19] 웹사이트 대중문화예술상 2023년 https://ent.kocca.kr[...] 2023-10-31
[19] 뉴스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이미자, 대중음악인 최초 금관문화훈장 https://www.etoday.c[...] 2023-10-21
[20] 웹사이트 대중문화예술상 2024년 https://ent.kocca.kr[...] 2024-11-09
[20] 뉴스 'K-콘텐츠 세계화 주역'…2024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시상식 개최 https://www.ajunews.[...] 2024-10-28
[21] 뉴스 チョン・ジヒョン、「2015大韓民国 大衆文化芸術賞」で大統領表彰を受賞 https://mnetjp.com/n[...] 2015-10-29
[22] 뉴스 BoAから防弾少年団まで「2016韓国大衆文化芸術賞」の受賞に輝いたスターたち! https://mnetjp.com/n[...] 2016-10-29
[23] 웹인용 대중문화의 별을 만나다, 2010 대중문화 예술상 시상식 현장 http://culturenori.t[...] 2010-11-30
[24] 뉴스인용 2016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영광의 주인공은? http://news.heraldco[...] 2016-10-13
[25] 웹인용 대중문화예술상 소개 http://www.xn--vk1bx[...] 2016-10-17
[26] 뉴스인용 BTS 참석하는 제9회 대중문화 예술상, 오늘(24일) 열려 https://news.naver.c[...] 2018-10-24
[27] 뉴스인용 대중문화예술상 신설…명예의 전당도 https://news.naver.c[...] 2010-11-17
[28] 뉴스인용 은관문화훈장 신영균·하춘화·이수만 "더욱 노력하겠다"(종합) https://entertain.na[...] 2011-11-21
[29] 뉴스인용 싸이 문화훈장 옥관 수상…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시상 https://entertain.na[...] 2012-11-19
[30] 뉴스인용 '대중문화예술상' 조용필-안성기-패티김-구봉서, '은관문화훈장' 수상(종합) https://entertain.na[...] 2013-11-18
[31] 뉴스인용 송해·최불암·박정란 작가, 은관문화훈장 수상…대중문화예술상 (종합) https://entertain.na[...] 2014-11-17
[32] 뉴스인용 이덕화부터 전지현·JYJ·아이유까지 '대중문화예술상' 수상 (종합) https://entertain.na[...] 2015-10-29
[33] 뉴스인용 '송송커플'부터 조진웅·이광수까지, 정부도 인정한 '대세★' [2016 대중문화예술상 종합] https://entertain.na[...] 2016-10-27
[34] 뉴스인용 남진, ‘은관문화훈장’ 수상…라이벌 나훈아에 앞서 영예 http://entertain.nav[...] 2017-11-03
[35] 뉴스인용 '2018 대중문화예술상' BTS→손예진·故김주혁…韓 빛낸 공로 인정 [종합] https://entertain.na[...] 2018-10-24
[36] 뉴스 가수 양희은, 배우 김혜자 등 6인 문화훈장 수훈 https://news.naver.c[...] 파이낸셜뉴스 2019-10-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