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NE1은 YG 엔터테인먼트 소속으로 2009년 데뷔한 4인조 걸 그룹이다. 힙합, 일렉트로팝, R&B 등 다양한 장르를 융합한 음악과 '걸크러쉬' 콘셉트로 대중적 인기를 얻었다. 데뷔 전 빅뱅과 함께 발표한 "Lollipop"으로 주목받았으며, "Fire", "I Don't Care", "Lonely", "내가 제일 잘나가" 등 여러 히트곡을 발표했다. 2016년 해체했으며, 2022년 코첼라 페스티벌에서 재결합 무대를 선보였다. 2024년 데뷔 15주년을 기념하여 재결합 활동을 예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Mnet 아시안 뮤직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 수상 음악가 - 에픽하이 에픽하이는 타블로, DJ 투컷, 미쓰라 진으로 구성된 대한민국의 힙합 그룹으로, 독창적인 음악성과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로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으며, 다양한 장르 융합과 실험적인 스타일로 한국 대중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다.
Mnet 아시안 뮤직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 수상 음악가 - 동방신기 동방신기는 SM 엔터테인먼트 소속으로 유노윤호와 최강창민 두 멤버로 활동 중인 대한민국 남성 아이돌 그룹으로, 과거 5인조 시절 아시아를 넘어 일본에서도 큰 성공을 거두었으나 멤버들의 소송과 탈퇴 이후 2인조 체제로 재편되어 현재까지 K팝을 대표하는 글로벌 아티스트로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2024년 재결성된 음악 그룹 - 오아시스 (밴드) 오아시스는 1991년 결성된 영국의 록 밴드로, 리암 갤러거와 노엘 갤러거 형제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브릿팝을 대표하고 2009년 해체 후 2024년 재결합하여 2025년 투어를 계획하고 있다.
2024년 재결성된 음악 그룹 - 슬레이어 슬레이어는 1981년 미국에서 결성된 스래시 메탈 밴드로, 공격적인 음악 스타일과 논란이 되는 이미지로 유명하며, 2019년 해체 후 2024년 재결합했다.
Mnet 아시안 뮤직 어워드 올해의 노래상 수상 음악가 - 싸이 1977년생 대한민국 가수 겸 음반 제작자인 싸이는 2001년 데뷔 후 독특한 스타일로 인기를 얻었으나 여러 논란을 겪었고, 2012년 "강남스타일"로 세계적인 성공을 거둔 후 "젠틀맨", "행오버" 등의 히트곡을 발표하고 2019년 기획사 P NATION을 설립하여 활동하고 있다.
Mnet 아시안 뮤직 어워드 올해의 노래상 수상 음악가 - 빅뱅 (음악 그룹) 빅뱅은 YG 엔터테인먼트 소속으로 2006년에 데뷔한 대한민국의 4인조 보이 그룹으로, 힙합 기반의 음악 스타일과 다수의 히트곡으로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으며, 멤버들의 솔로 및 유닛 활동과 월드 투어를 통해 국제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다가, 2024년 1월 YG엔터테인먼트에서 삭제되며 현재는 각자 솔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2NE1은 2008년 후반, YG 엔터테인먼트의 언론 발표를 통해 처음으로 그 결성이 언급되었다. YG 엔터테인먼트 대표 양현석은 "빠르면 7월경에 여성 3인조 그룹을 정식 데뷔시킬 예정"이며, "여성판 빅뱅"을 탄생시킬 것이라고 선언했다.[250] 이후 YG는 박봄, 공민지, CL 외에 산다라 박을 포함한 4인조로 2009년 5월경 데뷔할 것이라고 발표했다.[251] 또한 멤버들이 데뷔를 위해 4년간 레슨을 받았으며, 데뷔 앨범은 1TYM 출신의 테디 박이 프로듀싱을 담당한다는 사실도 함께 발표되었다.[251][252][253]
그룹명은 애초 '21'이었으나, 동명의 남자 솔로 가수 'To anyone'이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2NE1'으로 변경되었다.[392][393][394] 소속사는 이에 대해 사과문을 발표하고 그룹명을 변경했다.[392][393][394] 2009년 7월 2일에는 멤버들의 맨 얼굴 사진이 인터넷에 유출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소속사는 악의적인 유출로 의심하고, 회사 차원에서 강력하게 대응하겠다고 밝혔다.[395]
2NE1의 첫 번째 EP인 ''2NE1''(2009) 발매에 앞서, 2009년 3월 27일 빅뱅과 함께 Lollipop을 발표했다. 이 곡은 LG 싸이언 폰을 홍보하기 위해 만들어졌지만, 대한민국 음악 차트에 진입하는 데는 어려움을 겪었다.[5] 이후 5월에 발매된 "Fire"는 힙합과 레게 요소를 담은 곡으로, 두 가지 버전의 뮤직비디오가 공개되어 큰 인기를 얻었다.[11][12] 7월에는 첫 번째 EP와 함께 "I Don't Care"를 발매하여, 부드럽고 여성스러운 이미지를 선보였다.[145] 이 곡은 그 달에 가장 많이 다운로드된 곡으로 선정되었으며,[15] 2010년 1월 싸이월드 2009년 연말 인기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다.[16]
2009년 말 멤버들의 솔로곡 발표 이후, 9월에는 ''인기가요''에서 "I Don't Care"의 레게 버전을 공연했다. 이 버전이 인기를 얻자 디지털 싱글로 발매되었고,[17] ''2NE1''의 판매량은 12만 장을 기록했다.[18] 2NE1은 2009년 제6회 아시아 송 페스티벌에서 아시아 신인상을 수상했다.[19]
2010년 2월, 삼성 옙 휴대폰을 홍보하기 위해 "Try to Follow Me"를 발매했고, 이 곡은 가온 디지털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다.[20][21] 2010년 중반에는 미국 데뷔 앨범을 위해 블랙 아이드 피스의 윌.아이.엠과 함께 10곡을 녹음했다.[22] 9월 9일에는 첫 정규 앨범 ''To Anyone''을 발매했다. 이 앨범은 ''빌보드'' 월드 앨범 차트에서 7위로 데뷔했으며,[23] 발매 전 12만 장의 선주문을 기록했다.[24] "Clap Your Hands", "Can't Nobody", "Go Away"는 음악 프로그램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인기가요'' 차트에서는 4주 연속 1위를 차지했다.[26][27] 10월 31일에는 "It Hurts (Slow)"의 할로윈 테마 뮤직 비디오가 공개되었고,[28] 11월 26일에는 "Don't Stop the Music"이 발매되어 야마하 피오레 광고에 사용되었다.[29]
2011년에는 일본 활동을 시작했다. "Can't Nobody"의 영어 버전이 일본에서 발매되었고,[30] 3월 9일에는 일본 데뷔 싱글 "Go Away"가 발매되었다.[32] 3월 16일에는 첫 번째 EP ''2NE1''이 일본에서 발매되었으나,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해 홍보 활동이 취소되었다.[34] 2NE1은 네이버 "Pray for Japan" 캠페인에 참여하여 지진 피해자를 위한 기금을 모금했다.[37]
두 번째 EP ''2NE1'' (2011)은 "Lonely", "I Am the Best", "Ugly", "Hate You" 등의 히트곡을 냈다.[38][39] ''스핀'' 매거진은 이 EP를 2011년 최고의 팝 앨범 6위로 선정했다.[40] 8월 말에는 놀자 투어를 시작했고, 9월에는 요코하마 아레나에서 첫 일본 콘서트 투어를 시작했다.[43] ''2NE1 2nd Mini Album''의 일본어 버전은 2011년 9월 21일에 발매되어 오리콘 앨범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다.[44] 2NE1은 MTV ''Iggy''에서 "Best New Band" 타이틀을 수상했고,[46] 12월 뉴욕시 타임스 스퀘어에서 공연했다.[47] 2011년 말에는 제53회 일본 레코드 대상에서 신인상을 수상했다.[49]
2012년 3월 28일, 첫 번째 정규 일본 앨범 ''Collection''과 두 번째 일본 싱글 "Scream"을 발매했다.[50] 2NE1은 2012 Springroove 페스티벌에 초청되어 공연했고,[51] M-Flo와 "She's So (Outta Control)"라는 곡으로 협업했다.[52] 2012년 5월에는 2012 여수 세계 박람회 개막식에서 공연했고,[54] 칸 라이언즈 국제 광고제에서 연설을 했다.[55] 6월 23일에는 2012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 재팬에서 "I Am the Best"로 최고 신인 아티스트 비디오상을 수상했다.[56] 7월 5일에는 "I Love You"를 발매하여 가온 디지털 차트 1위를 차지했다.[57]
2NE1은 첫 번째 월드 투어인 뉴 에볼루션 글로벌 투어를 통해 아시아와 북미 지역에서 공연했다.[58][59] 노키아 극장 L.A 라이브 콘서트는 ''빌보드'' 현재 박스 스코어 목록에 이름을 올린 최초의 K팝 걸그룹 콘서트가 되었다.[60] 2NE1과 빅뱅은 MTV 스타일의 "2012 최고의 밴드 스타일" 목록에 올랐다.[63]
2013년에는 윌.아이.엠과 콜라보레이션 곡인 "Take the World On"을 발매했고,[64][65] "Gettin' Dumb"을 제작했다.[67] "Falling in Love"는 2013년 7월 8일에 발매되어 "올 여름의 노래"로 선정되었고,[68][69] "Do You Love Me"는 8월 7일에 발매되었다. 10월에는 2013 런던 한국 브랜드 & 엔터테인먼트 엑스포 홍보대사로 임명되었다.[70] "Missing You"는 11월 21일에 발매되어 가온 디지털 차트 1위를 차지했다.[71]
2014년 1월, ''더 배철러''와 ''아메리카 넥스트 톱 모델''에 출연했고,[74] 2월에는 두 번째 한국어 정규 앨범 ''Crush''를 발매했다.[75] "Come Back Home"과 "Gotta Be You"는 가온 디지털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76] ''Crush''는 ''빌보드'' 200 차트에서 61위를 기록했다.[78][79] "Gotta Be You" 뮤직 비디오는 그룹 데뷔 5주년을 기념하여 공개되었다.[81] 2NE1은 올 오어 낫싱 월드 투어를 통해 중국, 싱가포르, 대만, 태국, 필리핀, 일본, 말레이시아를 순회했다.[82][83][84] ''Crush''는 여러 매체의 연말 목록에 올랐으며, ''빌보드'' 연말 월드 앨범 차트에서 11위를 차지했다.[88] "I Am the Best"는 마이크로소프트서피스 프로 3 광고에 등장했고,[89] ''빌보드'' 월드 디지털 송 세일즈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다.[90] 2NE1은 2014 ''SBS 가요대전''에서 최고의 여성 그룹상을 수상했다.[95]
2015년, 멤버들은 개인 활동을 했다. 산다라 박은 배우 활동을, 공민지는 댄스 아카데미를 개원했고,[99] CL은 미국에서 솔로 활동을 시작했다. 2NE1은 2015 Mnet 아시안 뮤직 어워드에서 깜짝 공연을 했다.[100]
2016년 4월, 공민지의 2NE1 탈퇴가 공식 발표되었다.[104] 11월 25일, YG는 2NE1의 해체를 발표했다. CL과 산다라 박은 솔로 계약을 유지했으며, 박봄은 계약이 해지되었다.[105][106] 2017년 1월 21일, 마지막 싱글 "안녕"이 발매되었다.[107]
2021년, 공민지와 CL은 2NE1의 해체에 대해 사전에 통보받지 못했다고 밝혔다.[112][113]
2022년 4월 16일, 2NE1은 코첼라 페스티벌에서 "I Am the Best"를 공연하며 재결합했다.[115][116] 이 공연은 평론가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117][118][119][120]
2024년 7월 22일, YG 엔터테인먼트는 2NE1이 데뷔 15주년을 기념하여 공연을 위해 재결합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Welcome Back Tour는 2024년 10월 4일 서울 올림픽홀에서 시작하여 2025년까지 이어질 예정이다.[121] 12월 9일, 2NE1이 10년 만에 2024년 SBS 가요대전에서 공연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122]
2. 1. 2005~2009: 초기 결성 및 데뷔
2NE1은 YG 엔터테인먼트에서 10년 만에 선보이는 걸 그룹으로, 4년 동안의 준비 기간을 거쳤다.[326] 연습생 시절에는 하루 12시간씩 트레이닝을 받았지만, 다른 아이돌 그룹과는 달리 합숙 생활은 하지 않았다.[327] 데뷔 전부터 인터넷상에서 '여자 빅뱅'으로 불리며 큰 화제를 모았다.[326]
2008년 5월, YG 엔터테인먼트는 '여자 빅뱅'으로 불리는 새로운 걸 그룹의 멤버로 박봄, CL, 공민지를 확정했으며, 산다라 박도 합류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3][4] 2009년 초, YG는 4인조 걸 그룹 2NE1이 그해 5월에 데뷔할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이들은 2003년 빅마마 이후 YG에서 처음으로 선보이는 걸 그룹이었다.[5] 2NE1은 데뷔 앨범에 전 1TYM 리더 테디 박이 프로듀싱한 곡들을 수록할 예정이었다.[5][6][7]
2009년 데뷔 EP 홍보 활동 중인 2NE1
당초 그룹명은 '21'이었으나, 이미 2005년에 '21'(To Anyone)이라는 남자 솔로 가수가 있어 '2NE1'으로 변경되었다.[328] 2NE1은 "21세기의 새로운 진화 (21C New Evolution)", "21살의 나이처럼 항상 도전적이고 신선한 음악을 선보인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330]
2009년 3월 27일, 2NE1은 같은 소속사 빅뱅과 함께 디지털 싱글 "Lollipop"을 발표했다.[331] 이 곡은 LG 싸이언 휴대폰 '롤리팝'의 광고 음악으로 사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 각종 음원 차트 1위를 석권하며 데뷔 전부터 큰 인기를 얻었다.[332] "Lollipop" 뮤직비디오는 미국의 유명 블로거 페레즈 힐튼에게 호평을 받는 등 해외에서도 주목받았다.[333]
2009년 5월, 2NE1은 힙합과 레게 요소를 담은 데뷔 싱글 "Fire"를 발표했다.[10][11] "Fire"는 '스페이스' 버전과 '스트리트' 버전 두 가지 뮤직비디오가 공개되었으며, 공개 24시간 만에 각각 100만 건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하며 큰 화제를 모았다.[12][13] 2NE1은 "Fire"로 5월 17일 인기가요에서 첫 무대를 가졌으며,[263] 이 곡은 각종 온라인 차트 1위를 휩쓸며 2NE1을 단숨에 인기 그룹 반열에 올려놓았다.[262]
2. 2. 2009~2010: ''2NE1 1st Mini Album''과 1집 ''To Anyone''
2009년 4월 30일, 소속사 대표 양현석은 2NE1의 데뷔 날짜를 공개하고 데뷔곡은 레게풍 힙합 노래라고 알렸다.[334]2009년5월 6일 데뷔곡 "Fire"를 디지털 싱글로 발매하고 2009년5월 17일SBS "인기가요"에서 정식 데뷔 무대를 가졌다.[335] 노래는 발매되자마자 각종 음원 차트 1위에 올랐으며, 데뷔 한 달 만에 SBS 인기가요에서 뮤티즌송을 수상했다.[336] 6월에 열린 싸이월드 디지털 뮤직 어워드에서는 이 달의 노래, 이 달의 신인을 비롯해 3관왕을 차지했다.[337]
"Fire" 활동이 끝나고 두 달 뒤인 2009년 7월 8일, 첫 미니 앨범 ''2NE1 1st Mini Album''을 발매했다. 타이틀곡은 테디가 작곡한 "I Don't Care"였다.[340]SBS "인기가요"에서는 3주 연속 뮤티즌송을 수상했고, 많은 음원 차트에서 1위에 올랐다.[340] "I Don't Care"는 부드러운 레게풍 멜로디와 여성스러운 이미지를 선보였다. 첫 미니 앨범 활동 이후 멤버들은 솔로 및 유닛 활동을 시작했는데, 박산다라가 2009년 9월 7일 디지털 싱글 "Kiss"를 발매했다.[341]박봄은 디지털 싱글 "You And I"를 발표하여 많은 인기를 얻었고,[342]공민지와 CL은 듀엣으로 디지털 싱글 "Please Don't Go"를 발매했다.[343] 2009년 11월 21일에 열린 제11회 Mnet 아시안 뮤직 어워드에서 "I Don't Care"로 올해의 노래상과 여자 부문 신인상 등을 수상하며 4관왕에 올랐다.[344] 2009년 12월 16일에 열린 멜론 뮤직 어워드에서도 신인상을 수상하는 등 2관왕을 차지하였다.
2009년 Mnet 아시안 뮤직 어워드 시상식에서 "I Don't Care" 공연 중인 2NE1.
2010년 9월 1일, 2NE1은 첫 정규 앨범 ''To Anyone''의 발매를 예고했다.[345] ''To Anyone''은 2010년 9월 9일에 발매되었으며, "Go Away", "Can't Nobody", '박수쳐' 세 곡을 타이틀곡으로 선정하여 활동하였다. SBS "인기가요"에서는 'Can't Nobody'가 트리플크라운을 달성하고 바로 다음 주에 또 다른 타이틀곡인 'Go Away'가 1위에 오르면서 인기가요 방송 사상 최초로 4주 연속 1위를 하는 기록을 남겼다.[348][349] 가온 차트에서는 최고 "Go Away"가 3위,[350] "Can't Nobody"는 2위,[351] '박수쳐'는 4위까지 올랐다.[352] 2010년 11월 28일 마카오에서 열린 제12회 Mnet 아시안 뮤직 어워드에서는 올해의 가수상, 여자 그룹상 등 5관왕을 기록했다.[353] 2010년 12월 15일에 열린 멜론 뮤직 어워드에서는 대상에 해당하는 앨범상을 수상하는 등 2관왕을 차지했고, 2011년 2월 23일 열린 제8회 한국대중음악상에서는 최우수 댄스 & 일렉트로닉 음반 부문상을 수상했다.
2. 3. 2011~2013: ''2NE1 2nd Mini Album'' 및 해외 활동
2011년 4월 21일, 박봄의 솔로곡 〈Don't Cry〉를 시작으로 2NE1은 3주마다 한 곡씩 발표하는 전략을 선보였다. 〈Don't Cry〉는 가온 디지털 차트에서 2주 연속 1위를 차지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354] 5월 12일에는 〈Lonely〉를 발매하여 역시 가온 디지털 차트 1위에 올랐다.[354] 원래 방송 활동 계획이 없었으나, 인기에 힘입어 SBS 인기가요에서 특별 공연을 펼쳐 뮤티즌송을 수상했다.[355] 〈Lonely〉 뮤직비디오는 유튜브에서 높은 조회수를 기록하며 상반기 대한민국 유튜브 최다 조회 동영상으로 선정되었다.[356]
이후 〈내가 제일 잘 나가〉, 〈Hate You〉, 〈Ugly〉를 연이어 발표하며, 5곡 모두 음원 차트 1위에 오르는 기록을 세웠다.[358][359] 2011년 7월 28일, 두 번째 미니 앨범 《2NE1 2nd Mini Album》을 발매하여 가온 앨범 차트 1위에 올랐고,[360] 미국 빌보드 월드 앨범 차트 4위, 히트시커스 앨범 차트 34위에 오르며 해외에서도 주목받았다.[361]
2011년 2NE1.
2011년 9월, 일본에서 첫 EP 앨범 《NOLZA》를 발매하며 본격적인 해외 활동을 시작했다. 이 앨범은 《2NE1 2nd Mini Album》의 수록곡들을 일본어로 번안하여 수록했다.[363] 《NOLZA》는 오리콘 일간 및 주간 앨범 차트 1위에 올랐다.[364] 11월에는 일본 데뷔 싱글 〈Go Away〉를 발매하여 오리콘 주간 싱글 차트 12위를 기록했다.[365] 같은 달, MTV Iggy에서 주최한 '2011년 세계 최고의 신인 밴드' 투표에서 우승하며 뉴욕 타임스퀘어에서 공연을 펼쳤다.[366]
2012년 3월, 일본에서 두 번째 싱글 《Scream》을 발매하여 오리콘 위클리 싱글 차트 14위를 기록했고,[367] 같은 날 일본 데뷔 앨범 《Collection》을 발매했다. 이 앨범에는 한국 히트곡들의 일본어 버전과 마돈나의 〈Like a Virgin〉 커버곡 등이 수록되었다.[368] 6월에는 2012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 재팬에서 최우수 신인상을 수상했다.[369]
MTV Daum Music Fest 2011에서의 2NE1.
2012년 7월, 한국에서 싱글 〈I Love You〉를 발매하고, 서울을 시작으로 7개국 11개 도시를 방문하는 첫 월드 투어 NEW EVOLUTION을 개최했다.[370] 2013년 7월에는 레게풍의 팝 노래 〈Falling In Love〉를 발매하여 가온 연간 차트 96위에 올랐다.[371]
2. 4. 2014~2015: 2집 ''CRUSH''와 활동 중단
2014년2월 27일 2NE1은 두 번째 정규 음반 ''CRUSH''를 발매하였다.[373] 더블 타이틀곡 '너 아님 안돼'와 'Come Back Home'은 주요 음원 차트 1, 2위를 차지하였고, 수록곡 전곡이 차트 상위권에 진입하는 "줄세우기" 현상을 기록했다.[373] ''CRUSH''는 빌보드 200 차트에서 61위를 기록, K팝 앨범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376] L.A 타임즈와 피치포크 등 해외 매체에서도 호평이 이어졌다.[377][378]
2014년6월 30일, 멤버 박봄의 마약 밀수 의혹이 보도되면서[379] 2NE1은 활동을 중단했다. 박봄은 2010년10월 국제 택배로 암페타민 약 80정을 미국에서 밀수하려다 적발되었으나, 질병 치료 목적으로 확인되어 입건 유예 처분을 받았다.[100]
2015년에는 멤버별 개인 활동이 주를 이루면서 해체설이 돌기 시작했다. 박봄은 자숙, 산다라박은 연기 활동, 씨엘은 미국 진출을 준비, 공민지는 댄스 아카데미를 설립했다.[99] 2015 MAMA에서 2NE1은 깜짝 공연을 펼쳐, "Fire"와 "내가 제일 잘 나가"를 불렀다.[100] 이 공연은 걸그룹 중 가장 많은 조회수를 기록한 MAMA 공연이었다.[101]
2. 5. 2016: 해체
2016년 4월 5일, 멤버 공민지가 2NE1을 탈퇴하고 새 소속사를 찾고 있다는 기사가 공개되었다. YG 엔터테인먼트는 공민지가 재계약을 하지 않고 그룹을 탈퇴하기로 결정했음을 발표했다. YG 엔터테인먼트는 “1월, 멤버들과 개별 면담을 통해 재계약 의사와 팀의 재도약에 대한 의지를 전달했지만 공민지는 뜻을 함께하지 못하게 됐다”라고 밝혔다. 양현석 대표 프로듀서는 나머지 세 멤버 씨엘, 박봄, 산다라박을 만나 “무슨 일이 있어도 2NE1을 끝까지 지켜나가고 싶다. 어려울수록 힘을 합쳐 잘 극복하자"고 말하며 팀 유지 의사를 밝혔다.[391] 5월 5일, YG 엔터테인먼트는 씨엘, 산다라박과 재계약을 마쳤고, 공민지는 뮤직웍스로 소속사를 옮겨 솔로 활동 계획을 발표했다.
2016년 11월 26일, YG는 2NE1의 공식 해체를 발표했다. YG는 "5월 2NE1의 전속 계약이 만료됐고, 공민지 양이 함께 할 수 없게 된 상황 속에서 YG는 나머지 멤버들과 오랜 상의 끝에 2NE1의 공식 해체를 결정하게 되었습니다."라고 밝혔다. 해체 이유에 대해서는 "활동을 지속해 나가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판단, 기약 없는 2NE1의 활동을 기대하기보다는 멤버들의 솔로 활동에 매진하기로 결정하게 된 것입니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YG는 지난 5월 이후 CL과 산다라박의 솔로 계약을 체결했으며, 아쉽게도 박봄 양은 재계약을 체결하지 않았음을 공식적으로 알려드립니다"라고 덧붙였다.
2. 6. 2022: 재결합 및 완전체 무대
2022년 4월 16일, 2NE1의 네 멤버는 코첼라 페스티벌에서 "I Am the Best"를 공연하기 위해 재결합했다. 이는 2015년 12월 Mnet 아시안 뮤직 어워드 이후 6년 만의 첫 공연이었다.[115][116]
2024년 Welcome Back Tour 공연 중인 2NE1
2NE1의 공연은 평론가들로부터 호평을 받았으며, ''틴 보그''(Teen Vogue)는 그들의 등장을 "가장 기억에 남는 흥미로운 재결합" 중 하나로 "공식적으로 역사에 남을 것"이라고 평했다.[117] ''The A.V. Club''은 이를 그 해 최고의 코첼라 공연 10선 중 하나로 선정했으며,[118] ''버라이어티''(Variety)는 2022년 K팝의 주요 순간 중 하나로 꼽았다.[119] ''L'Officiel 싱가포르''는 이를 그 해 10대 팝 문화 행사 중 하나로 꼽았다.[120]
4월 17일, 미국 캘리포니아의 음악 축제인 코첼라 페스티벌에서 CL의 무대 중 다른 3명이 깜짝 출연했다. 6년 만에 완전체 2NE1으로 "I AM THE BEST"를 선보였다. CL은 다른 3명을 초대한 이유에 대해 "제가 코첼라에 초대되었고, 너무 늦기 전에 제 힘으로, 우리 힘으로 모이고 싶었다"고 밝혔다.
2. 7. 2024: 재결합
2024년 7월 22일, YG 엔터테인먼트는 2NE1이 데뷔 15주년을 기념하여 일련의 공연을 위해 재결합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와 함께 YG 엔터테인먼트의 양현석 총괄 프로듀서는 "2NE1 프로젝트"를 발표하며, 완전체 활동을 예고했다.[295] 2NE1의 네 번째 콘서트 투어인 Welcome Back Tour는 2024년 10월 4일 서울 올림픽홀에서 시작하여 2025년까지 이어질 예정이다.[121] 부활 콘서트는 10월 4일부터 6일까지 올림픽홀에서 개최한 후, 아시아 투어를 실시할 예정이다.
2024년 12월 9일, 2NE1이 10년 만에 2024년 SBS 가요대전에서 공연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122]
2NE1은 힙합, 일렉트로팝, R&B, 레게 등 다양한 장르를 융합한 독창적인 음악 스타일을 선보였다.[139] 데뷔곡 "Fire"는 강렬한 힙합 사운드에 레게 스타일을 융합하여 한국에서 레게 장르의 인기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144] 후속 싱글 "I Don't Care"는 레게와 R&B를 결합하여 그룹의 여성스러운 면모를 보여주었다.[145]
정규 1집 ''To Anyone''에서는 "Go Away"를 통해 일렉트로팝과 댄스 음악 스타일을 이어갔고,[146] "Clap Your Hands"는 도시적인 힙합,[142] "Can't Nobody"는 중독성 있는 후크와 코러스, 랩으로 주목받았다.[142] "It Hurts (Slow)"와 같은 트랙은 컨템퍼러리 R&B를 활용했다.[147]
두 번째 미니 앨범은 일렉트로 하우스, 힙합, 팝 록 기타 사운드를 결합한 것으로 묘사되었으며,[40] "I Am the Best"는 강렬한 일렉트로 하우스 댄스 트랙이었다.[149] "Lonely"는 어쿠스틱 사운드와 보컬로 호평받았다.[150] 트로트가 가미된 유로댄스 싱글 "I Love You"는 전통적인 요소와 현대적인 요소를 결합한 곡으로 평가받았다.[151] "Falling in Love"는 레게 스타일을 기반으로 했으며,[69] "Missing You"는 슬로우 코러스, 어쿠스틱 기타, 피아노, 보컬 하모니가 특징이다.[152]
마지막 정규 앨범 ''Crush''는 인도타블라 드럼과 스위치보드 버튼 소리를 혼합한 타이틀 트랙으로 시작하여 레게/트랩 하이브리드 싱글 "Come Back Home"으로 이어지는 구성으로 장르 융합에 대한 재능을 보여주었다.[153]
2NE1의 음악은 "독립"과 "여성의 권리 확대"라는 주제를 담고 있으며,[299] "Go Away", "I Don't Care" 등의 곡에 잘 반영되어 있다.[299]
2NE1은 파격적인 패션과 스타일로 K팝 패션 트렌드를 이끌었다.[135] 여성 아이돌 그룹의 전형적인 이미지를 벗어나 '걸크러쉬' 콘셉트를 대중화하는 데 기여했으며, 여성 아이돌 그룹의 다양성과 주체성을 강조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만드는 데 영향을 미쳤다.
2NE1은 국제적인 활동으로 K팝의 세계화에도 기여했다. 2011년 ''MTV Iggy''에서 주최한 "2011년 세계 최고의 신인 밴드" 투표에서 1위를 차지하며 국제적인 인지도를 높였고,[366] 2012년에는 뉴욕 타임스퀘어에서 공연을 했다.[366] 이들은 해외 팬들에게 한국 문화를 알리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6. 기타
그룹 이름은 원래 '21'이었으나, 같은 이름으로 활동하는 가수가 있어 '2NE1'으로 변경되었다.[328] '2NE1'은 "21세기의 새로운 진화 (21C New Evolution)", "21살의 나이처럼 항상 도전적이고 신선한 음악을 선보인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330] 소속사 대표인 양현석은 '21'이라는 이름을 직접 지었으나, 동명의 남자 솔로 가수 'To anyone'이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일자, YG 엔터테인먼트는 사과문을 발표하고 그룹명을 '2NE1'으로 변경했다.[392][393][394]
2009년 7월 2일에는 멤버들의 화장하지 않은 얼굴 사진이 인터넷에 유출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소속사 측은 해당 사진이 스타일리스트 후보 테스트 과정에서 촬영된 것이며, 악의적인 유출로 의심된다고 밝혔다.[395]
2NE1 로고
7. 음반 목록
2NE1은 정규 음반으로 ''To Anyone''(2010)과 ''Crush''(2014)를 발매했다.
라이브 음반
제목
발매일
판매 형태
2NE1 1ST LIVE CONCERT NOLZA!
2011년 11월 23일
CD
2012 2NE1 GLOBAL TOUR LIVE CD: NEW EVOLUTION IN SEOUL
2012년 12월 4일
CD
2014 2NE1 WORLD TOUR LIVE CD: ALL OR NOTHING IN SEOUL
2014년 5월 23일
2CD
DVD 음반
제목
발매일
판매 형태
레코드 No.
2012 2NE1 GLOBAL TOUR ~NEW EVOLUTION~ IN SEOUL
2013년 1월 16일
2DVD
AVBY-58121
일본 DVD 음반
제목
발매일
판매 형태
레코드 No.
2NE1 1st Japan Tour NOLZA in Japan
2012년 2월 29일
2DVD+PHOTOBOOK
AVBY-58031
2NE1 TV SEASON1 BOX
2012년 3월 28일
4DVD
AVBY-58047
2NE1 TV SEASON2 BOX
2012년 3월 28일
4DVD
AVBY-58047
2NE1 TV SEASON3 BOX
2013년 3월 13일
4DVD
AVBY-58105
2012 2NE1 GLOBAL TOUR ~NEW EVOLUTION~ in JAPAN
2013년 3월 13일
2DVD, Blu-ray
AVBY-58133, AVXY-58135
2014 2NE1 WORLD TOUR ~ALL OR NOTHING~ in JAPAN
2014년 12월 10일
2DVD, Blu-ray
AVBY-58264~5, AVXY-58266
8. 음반 외 활동
2NE1은 (여자)아이들,[181] 에스파,[182] 블랙핑크,[183]트와이스,[184]마마무,[185]베이비몬스터,[186] 제레미 스캇,[187]디플로,[188]청하,[189]에일리,[190]전소미,[191]최예나,[192]오마이걸의 승희,[193]최유정,[194] 키스 오브 라이프,[195] 우아!,[196] 라필루스,[197]시크릿넘버,[198]쇼콜라,[199]달샤벳,[200]스텔라,[201]영파씨,[202]모모랜드의 제인,[203]이달의 소녀의 비비,[204] 있지의 리아,[205]핫이슈의 형신,[206]빌리의 츠키,[207]우주소녀의 다영,[208] 트리플에스의 김나경[209]과 린위,[210] 그리고 피프티 피프티의 시오[211] 등 수많은 아티스트들에게 영향을 주거나 영감을 주었다. 2021년 2월 ''엘르'' 인터뷰에서 키는 2NE1에게서 영감을 얻는다고 언급했다.[212] 2024년, 스트레이 키즈는 "2NE1은 한 시대를 정의했으며, 많은 한국 아티스트들에게 여전히 많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213]
2NE1은 휠라(Fila), LG 롤리팝, 배스킨라빈스(Baskin Robbins), 삼성 Corby F, 아디다스(Adidas), 니콘(Nikon), 11번가(11st), 에뛰드 하우스(Etude House), CJ(CJ Corporation), 삼성 Nori, 야마하(Yamaha Fiore), 미투데이(Me2Day), 빈폴 진(Beanpole Jeans), 마비노기(Mabinogi), 카스(Cass), 서든어택(Sudden Attack), 닌텐도Wii(Nintendo Wii), 인텔 울트라북, 크롬하츠(Chrome Hearts), 클리오(Clio), 메이블린(Maybelline NY) 등의 광고 모델로 활동했다.
2009년에는 드라마 ''스타일''과 영화 ''걸프렌즈''에 카메오로 출연했다. 리얼리티 프로그램으로는 ''2NE1TV''가 2009년부터 2011년까지 방영되었다. 2014년에는 ''아메리카 넥스트 톱 모델''과 ''더 배철러'', ''The Tim Yap Show''에 출연했다.
2NE1은 데뷔 싱글 "Fire"와 그 퍼포먼스로 파격적이고 인상적인 평가를 받았다. "Fire"는 음악 프로그램 《뮤직뱅크》에서 매주 상을 수상했으며, 월간상과 2010년 5월 신인상을 받았다.[1] 두 번째 싱글 "I Don't Care"는 Mnet 아시안 뮤직 어워드 올해의 노래상, 싸이월드 디지털 뮤직 어워드 톱 세일즈 아티스트상, 우수 신인 그룹상, 본상, 우수 노래상을 받았다.[1]
2NE1은 2009년 골든 디스크에서 인기상, 신인상, 디지털 음원 본상 후보에 올랐다.[1]멜론 뮤직 어워드에서는 한국 최고의 신인상을 받았고, 베스트 아티스트 10에 들어간 유일한 신인 그룹이었다.[1] GQ 코리아 어워드에서는 올해의 스테이지, 올해의 앨범, 올해의 노래상을 받았다.[1] 2009년 리즘 어워드에서 "I Don't Care"는 올해의 신인상, 올해의 R&B 아티스트상, 올해의 R&B 싱글상을 받았고, 첫 번째 미니 앨범은 올해의 R&B 앨범상을 받았다.[1]
2010년 Mnet 아시안 뮤직 어워드에서 올해의 가수상, 여자 그룹상, 《To Anyone》으로 올해의 앨범상, "Can't Nobody"로 뮤직비디오 작품상을 받았다. 2NE1은 MAMA 역사상 처음으로 이 상들을 모두 수상한 여성 가수 그룹이 되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