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오케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이오케스는 메디아 왕국의 건국자로 여겨지는 인물이다. 그의 이름은 다양한 고대 기록에서 다르게 언급되며, 어원은 이란어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헤로도토스의 기록에 따르면, 데이오케스는 공정한 재판관으로 명성을 얻은 후 왕으로 추대되어 메디아를 통치했으며, 새로운 수도 엑바타나를 건설했다. 그는 독재적인 통치를 펼쳤으며, 메디아 부족을 통합하여 메디아 왕국을 건설하고 53년간 통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아시리아 기록에서는 데이오케스가 아시리아의 지배를 받던 인물로 묘사되어 헤로도토스의 기록과 상반된 부분이 존재한다.
데이오케스의 통치 시대는 논란의 대상이며, 그의 치세에 대한 다양한 추정들이 존재한다. 일부 이란학자들은 데이오케스를 이란 설화의 후상과 동일시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페르시아 - 테이스페스
테이스페스는 아케메네스 왕조의 초기 인물로 다리우스 1세와 키루스 2세가 선조로 칭했으며, 그의 생애와 관련하여 영토 분배설과 헤로도토스의 기록이 존재하고 이름의 어원에 대한 다양한 가설이 존재하지만 진위 여부는 논쟁 중이다. - 고대 페르시아 - 캄비세스 1세
캄비세스 1세는 아케메네스 왕조의 일원이며 키루스 2세의 아버지로, 메디아의 지배를 받으며 안샨을 통치했고 아스티아게스의 딸 만다네와 결혼했으며, 기원전 600년경 아버지 키루스 1세 사후 안샨의 왕이 되었다. - 기원전 7세기 이란 사람 - 테이스페스
테이스페스는 아케메네스 왕조의 초기 인물로 다리우스 1세와 키루스 2세가 선조로 칭했으며, 그의 생애와 관련하여 영토 분배설과 헤로도토스의 기록이 존재하고 이름의 어원에 대한 다양한 가설이 존재하지만 진위 여부는 논쟁 중이다. - 기원전 7세기 이란 사람 - 아케메네스
아케메네스는 아케메네스 왕조의 시조로 여겨지지만 역사적 실존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다리우스 1세는 그를 선조로 내세워 왕위의 정당성을 주장했으나, 키루스 2세의 기록 부재 등으로 인해 실존 인물이 아닐 가능성도 제기된다. - 메디아의 왕 - 테이스페스
테이스페스는 아케메네스 왕조의 초기 인물로 다리우스 1세와 키루스 2세가 선조로 칭했으며, 그의 생애와 관련하여 영토 분배설과 헤로도토스의 기록이 존재하고 이름의 어원에 대한 다양한 가설이 존재하지만 진위 여부는 논쟁 중이다. - 메디아의 왕 - 캄비세스 1세
캄비세스 1세는 아케메네스 왕조의 일원이며 키루스 2세의 아버지로, 메디아의 지배를 받으며 안샨을 통치했고 아스티아게스의 딸 만다네와 결혼했으며, 기원전 600년경 아버지 키루스 1세 사후 안샨의 왕이 되었다.
데이오케스 | |
---|---|
기본 정보 | |
칭호 | 메디아 왕 |
![]() | |
재위 | 기원전 700년 - 기원전 678년 |
이전 | 왕국 설립 |
이후 | 프라오르테스 |
사망 | 기원전 678년 |
왕조 | 메디아 왕조 |
아버지 | 프라오르테스 |
종교 | 고대 이란 종교 |
2. 어원
데이오케스의 이름은 다양한 자료에서 여러 형태로 언급되었다. 헤로도토스는 그의 이름을 Δηϊόκης(데이오케스)라고 표기했다. 아시리아 기록에서는 "Da-a-a-uk-ku"로, 엘람어 기록에서는 "Da-a-(hi-)(ú-)uk-ka"와 "Da-a-ya-u(k)-ka"로 언급되었다.[10]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데이오케스는 프라오르테스의 아들로, 공정한 재판으로 명성을 얻어 재판관이 되었다.[27] 그는 백성들의 요청으로 왕위에 올라 엑바타나(현재의 하마단)를 건설하고, 전국에 밀정과 도청꾼을 풀어 법 집행을 감시하는 등 독재적인 통치를 했다. 데이오케스는 많은 부족을 통일하고 메디아 왕국을 건설하여 53년간 통치한 뒤 기원전 7세기 중반에 사망했다.
데이오케스의 이름은 이란어의 "Dahyu-ka"에서 유래되었으며, "땅"을 의미하는 "dahyu-"의 축약형 명사이다. 고대 이란 이름인 데이오케스는 후대에도 드물지 않았다. 아케메네스 제국 시대에 데이오케스의 고대 페르시아어 형태는 페르세폴리스의 진흙판에 새겨진 여러 엘람 금석문에 언급되었다. 이 언급들은 서로 다른 정부 지역의 다른 사람들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이며, 그중 한 명은 말의 식량 배급을 담당하는 개인이었다.[10]
프리드리히 폰 슈피겔은 "Dahayuku"가 "거주자이자 촌장"을 의미하며, "농부"를 뜻하는 "dehghan"의 옛 형태라고 보았다. 페르디난트 유스티는 슈피겔의 이론에 따라 데이오케스의 이름이 칭호이며, 고대 페르시아어 "dahyaupati"와 아베스타어 "danhupaiti"의 축약형으로 접미사 "-ka"를 붙인 것이라고 보았다. 데이오케스의 이름은 현대 쿠르드어 이름인 "Diyako"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4]
3. 역사적 배경 및 기록
그러나 헤로도토스의 묘사는 공상적인 부분이 많아 역사적 사실과 일치하지 않는다. 사르곤 2세 시대 신 아시리아 기록에는 만나이와 아시리아 국경 지역을 통치한 '다이우크'라는 주지사가 언급된다. 그는 우라르투와 동맹을 맺었으나, 사르곤 2세에게 붙잡혀 기원전 715년 시리아의 하마로 추방되어 사망했다.[9][10]
헤로도토스는 데이오케스의 통치 기간을 53년으로 주장했지만,[27] 이는 구전과 전설에 기반한 것으로 역사적 신뢰성이 낮다는 비판이 있다. 이고르 디아코노프는 당시 아시리아 자료와 헤로도토스의 기록이 너무 달라 일부 역사가들이 그의 주장을 거부했다고 언급했다. 다음은 역사가들의 견해에 따른 데이오케스 통치 시대 목록이다.역사가 헤로도토스 조지 카메론 에드빈 그란토프스키 이고르 디아코노프 시대 기원전 700-647년 기원전 728-675년 기원전 672-640년 기원전 700-678년
3. 1. 헤로도토스의 기록
헤로도토스의 기록에 따르면, 데이오케스는 프라오르테스의 아들로 고향에서 재판관으로 명성을 얻었다.[27] 공정한 재판으로 넓은 지역에서 평판이 좋았지만, 자신의 영향력을 깨달은 후 재판관직을 사임하겠다고 선언했다. 그러자 백성들은 도둑질과 불법행위가 더 심해질 것을 우려하여 데이오케스에게 재판관으로 돌아와 달라고 간청했다. 백성들의 간청에 데이오케스는 왕위에 올라 메디아를 통치하게 되었다.
데이오케스는 새로운 수도 엑바타나(현재의 하마단)를 건설하고, 독재적인 통치를 했다. 전국에 밀정과 도청꾼을 풀어 법 집행을 감시했으며, 백성들을 직접 만나려 하지 않았다. 데이오케스는 53년간 메디아를 통치하고 기원전 7세기 중반에 사망했다.
3. 2. 아시리아 기록
사르곤 2세 시대의 신 아시리아 텍스트에는 다이우크라는 주(州) 지사(šaknu)가 여러 번 언급된다. 다이우크는 만나이와 아시리아 왕국 사이의 국경 지역을 다소 독립적으로 통치했다. 그는 만나이 통치자에 대항하여 우라르투의 왕과 동맹을 맺었으나, 사르곤 2세에게 붙잡혀 기원전 715년에 시리아의 하마로 추방되어 그곳에서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9][10]
헤로도토스가 묘사하는 데이오케스의 생애는 상당 부분 공상적이며, 역사적 사실과 일치하지 않는다. 아시리아 비문에서 데이오케스는 만나에 왕 다이우크로 등장하며, 아시리아에 반항한 부족의 장이었다. 아시리아는 그 지배를 이란 고원으로 확대하려 했으며, 우라르투 왕국과 함께 만나에는 이에 적대했다. 우라르투는 만나에와 결탁했는데, 이는 만나에를 아시리아와의 완충국으로 만들려는 목적과 만나에의 전술을 동맹군으로서 귀중하게 여겼기 때문이다.
기원전 716년에 아시리아 왕 사르곤 2세는 우라르투 왕 루사 1세에게 전쟁을 걸었을 때, 다이우크는 우라르투와 결탁했다. 아시리아 군은 다이우크를 사로잡아, 그의 가족과 함께 시리아의 하마로 강제 이주시켰다고 한다.[9]
3. 3. 통치 시대에 대한 논란
헤로도토스는 데이오케스가 53년 동안 통치했다고 주장하며, 이에 따라 그의 통치 시대에 대한 몇 가지 추측이 이루어졌다.[27] 그러나 헤로도토스의 보고는 구두 서술에 근거한 것으로 보이며, 그리스와 오리엔트 전설이 혼합되어 있어 역사적으로 신뢰할 수 없다는 비판이 있다. 또한, 헤로도토스의 보고서에 나오는 메디아 왕이 프라오르테스의 아버지인 데이오케스와 동일 인물로 추정되기도 한다. 이고르 디아코노프는 헤로도토스의 저작에서 데이오케스 통치 시대의 모습이 당시(기원전 745-675년) 아시리아 자료에서 묘사된 모습과 너무 달라서 일부 역사가들은 헤로도토스의 주장을 거부했다고 언급했다.
아시리아 자료에 따르면 기원전 674년에 카슈타리타라는 인물의 행적이 언급되어 있으며, 일부 연구자들은 그를 프라오르테스와 동일 인물로 보기도 한다. 따라서 기원전 674년을 데이오케스 통치의 종말로 간주할 수 있으며, 그의 53년 통치를 고려할 때 데이오케스 통치 시대의 시작은 기원전 728년경으로 추정된다. 다음은 역사가들의 견해에 따른 데이오케스 통치 시대의 목록이다.
역사가 | 헤로도토스 | 조지 카메론 | 에드빈 그란토프스키 | 이고르 디아코노프 |
---|---|---|---|---|
시대 | 기원전 700-647년 | 기원전 728-675년 | 기원전 672-640년 | 기원전 700-678년 |
4. 메디아 왕국 건국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메디아인들은 아시리아 지배에서 벗어난 최초의 민족이었다.[14] 당시 메디아에는 독립적인 통치자가 있는 작은 마을들이 있었는데, 데이오케스는 스스로 왕이 되기 위한 계획을 세웠다.[15]
메디아의 무정부 시대에 데이오케스는 자신의 마을에서 정의를 실현하려 노력했고, 중립적인 재판관으로서 명성을 얻었다. 그의 활동 영역은 확장되었고, 다른 마을 사람들도 그에게 의지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는 사람들의 요구가 너무 많고 이 직책이 번거롭다며 사임 의사를 밝혔다. 그의 사임 이후 절도와 혼란이 증가하자, 메디아인들은 모여서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그를 왕으로 추대했다.[10] 데이오케스는 이렇게 평민에서 독재자로 일어섰고, 메디아 부족을 통합했다. 그는 창병 경비대를 세우고, 새로운 수도인 에크바타나를 건설했다.[14]
데이오케스는 왕이 된 후 여러 의식을 제정했다.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데이오케스는 자신의 궁에 머물렀으며, 외부에 메시지를 보내고 받는 것으로 소통했다. 아무도 왕과 직접 접촉할 수 없었고, 청원과 메시지는 사자(使者)를 통해서만 전달되었다. 이는 백성들 사이에 두려움과 존경심을 갖게 하기 위한 것이었다.[16] 왕 앞에서 웃거나 가래침을 뱉는 것은 금지되었다.[17] 또한 "왕의 눈과 귀"라는 밀정 조직을 만들어 아케메네스 제국 시대까지 존속시켰다.[10][18]
디아코노프는 데이오케스가 모든 메디아인의 왕일 수 없었고, 넓은 지역의 통치자도 아니었으며, 단지 소규모의 메디아 영주 중 한 명이었을 뿐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후계자들의 훌륭한 역사가 그의 얼굴에 빛을 비추어 역사에 그에게 명성을 안겨주었다.[5]
4. 1. 엑바타나 건설
데이오케스는 즉위 후 가장 먼저 자신을 위한 경호원을 임명하고 수도 건설을 명했다. 그가 선택한 도시는 고대 페르시아어로 ''Hagmatāna''(그리스어로는 에크바타나)라고 불렸으며, 오늘날의 하마단으로 여겨진다.[13] 에크바타나는 "모이는 장소" 또는 "모두를 위한 도시"를[20] 의미하며, 이전에는 분열되어 있던 메디아 부족의 집결을 나타낸다. 기원전 8세기 말, 데이오케스는 도시의 언덕에 요새화된 성을 건설하여 모든 군사, 정부 및 재무 업무를 수행했다.헤로도토스는 왕궁 단지가 일곱 개의 동심원 벽으로 만들어졌으며, 각 내부 벽이 외부 벽보다 높다고 묘사했다. 각 벽은 특정한 색상으로 장식되었는데, 첫 번째(외부) 벽은 흰색, 두 번째 벽은 검은색, 세 번째 벽은 높은 빨간색, 네 번째는 파란색, 다섯 번째는 낮은 빨간색, 여섯 번째 벽은 구리, 일곱 번째이자 가장 안쪽 벽은 금색이었다. 이러한 색상은 바빌론의 일곱 행성을 상징했지만, 에크바타나에서는 바빌론을 모방한 것이었다.[21] 왕궁은 보물과 함께 마지막 벽 안에 위치했다.[16][22]
그러나 헤로도토스의 이 이야기는 아시리아 자료에 기록된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다. 아시리아 자료는 데이오케스 이후 여러 해 동안 메디아에 다양한 지배자가 존재했음을 시사한다.[23] 독립적인 왕실 기구의 창설과 여러 개의 대규모 왕실 단지 건설은 아시리아가 쉽게 침묵할 수 있는 일이 아니었기에, 헤로도토스의 이러한 말은 과장되었거나 데이오케스 통치 이후 시대를 각색하고 수정하여 묘사한 것으로 보인다.[23]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리스 역사가 폴리비오스는 그의 저서에서 이 궁전을 언급하며 하마단에 대한 묘사를 통해 이 궁전의 오랜 역사를 언급했다.[16]
일부 역사가와 고고학자는 현재 도시에 위치해 있으며 에크바타나 언덕으로 알려진 언덕이 고대 도시 에크바타나의 실제 장소였다고 한다.[24]
헨리 롤린슨 경을 포함한 일부 역사가들은 헤로도토스의 기록에 언급된 에크바타나가 현재의 하마단이 아니라고 믿고 있으며, 고대 메디아의 수도는 타흐트-에 솔레이만과 우르미아 호수의 남동쪽 인근에서 찾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자크 드 모르강과 같은 일부 연구자들은 헤로도토스의 에크바타나가 오늘날의 하마단과 동일하며, 에크바타나 요새의 일곱 개 성 위치는 땅과 언덕의 융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고 믿는다.[21]
5. 이란 설화와의 관계
일부 이란학자들은 데이오케스를 샤나메의 후상과 동일시하는데, 그가 가진 특징이 헤로도토스가 언급한 내용과 일치하며, "파라다트" 또는 "피쉬다디안"이라는 칭호는 "최초의 입법자"와 동일하다고 여긴다.[25] 종교 전통은 후상을 이란에서 최초로 왕권을 확립한 인물로 여긴다.[25]
헤로도토스의 데이오케스에 대한 보고서, 아베스타와 중세 페르시아어 자료, 아랍어 및 새 페르시아어 텍스트에서 후상에 대한 기록을 비교하면, 후상과 데이오케스의 정체성에 대한 몇 가지 공통적인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세 가지는 다음과 같다.[26]
특징 | 데이오케스 | 후상 |
---|---|---|
농업 혁신 | 마을의 촌장이었으며, 데이오케스라는 이름은 농부를 의미한다. | 농업 분야에서 혁신을 이루었고, 농부라는 칭호를 얻었을 것이다. |
최초의 입법자/왕 | 최초의 입법자이자 최초의 왕이었다. | 파라다트, 피쉬다드, 비쉬다드, 피쉬다드(아랍어)라는 칭호를 받았는데, 이는 "합법적인 왕"을 의미한다. |
주거 및 도시 생활 방식 발전 | 주거 및 도시 생활 방식을 발전시켰다. | 헤오싱게, 후상, 우쉬한지(아랍어)라는 이름이나 칭호를 얻었다. |
참조
[1]
서적
The story of the greatest nations; a comprehensive history, extending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present, founded on the most modern authorities, and including chronological summaries and pronouncing vocabularies for each nation; and the world's famous events, told in a series of brief sketches forming a single continuous story of history and illumined by a complete series of notable illustrations from the great historic paintings of all lands
https://archive.org/[...]
New York : Niglutsch
1913
[2]
서적
Pronouncing dictionary of proper names: pronunciations for more than 28,000 proper names, selected for currency, frequency, or difficulty of pronunciation
Omnigraphics
1998
[3]
웹사이트
Polyaenus, Strategems, 7.1.1
http://cts.perseids.[...]
[4]
간행물
Hushang and Deioces
[5]
서적
The Median History
[6]
서적
History of the Iranians
[7]
서적
"MEDIA". In Encyclopædia Iranica.
[8]
서적
Persia in the Dawn of History
[9]
웹사이트
Media
https://iranicaonlin[...]
[10]
웹사이트
DEIOCES – Encyclopaedia Iranica
https://iranicaonlin[...]
2020-08-09
[11]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the Ancient Near Eas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3-04-14
[12]
서적
History of the Achaemenid Empire
[13]
서적
The Heritage of Persia
https://archive.org/[...]
[14]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the Ancient Near Eas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3-04-14
[15]
간행물
The Median Confederacy
https://www.academia[...]
2021
[16]
서적
Iran and the Iranian Civilization
[17]
서적
Iranshenasi
[18]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http://www.britannic[...]
[19]
서적
"PHRAORTES". In Encyclopædia Iranica.
[20]
서적
Darius and the Persians
[21]
서적
History of Ancient Iran
[22]
서적
"ECBATANA". In Encyclopædia Iranica.
[23]
서적
History of the Iranian People
[24]
서적
The Median History
[25]
서적
The Real and Narrative History of Iran
[26]
서적
Hushang and Deioces
[27]
서적
역사
도서출판 숲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