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데일리NK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일리NK는 2004년 한기홍과 북한 민주화 네트워크에 의해 설립된 대한민국의 북한 관련 뉴스 매체이다. 북한 인권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어, 영어, 중국어 등으로 기사를 발행하며, 북한 내부 소식통과 중국 특파원을 통해 정보를 수집한다. 전미 민주주의 기금(NED)의 지원을 받고 있으며, 일본어판 데일리NK 재팬을 운영한다. 주요 보도와 특종도 있지만, 북한 관련 보도의 신뢰성 논란과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4년 창간 - 경북도민일보
    경북도민일보는 2004년 3월 30일에 창간된 신문이다.
  • 2004년 창간 - 영 간간
    영 간간은 2004년 창간된 일본의 격주간 만화 잡지로, 자매지 출신 작가들의 판타지, 코미디 작품과 그라비아 아이돌 화보를 싣는 특징이 있으며, 연재작 중 상당수가 영상화되었다.
  • 대한민국의 인터넷 신문 - 오마이뉴스
    오마이뉴스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라는 모토 아래 시민기자 제도를 운영하는 대한민국의 인터넷 신문으로, 시민들이 직접 기사를 쓰고 상근 기자가 편집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며 진보적인 성향을 띤다.
  • 대한민국의 인터넷 신문 - 빅뉴스
    빅뉴스는 변희재 등이 창간한 인터넷 신문으로, 초기에는 진보 및 친노무현 성향을 띠었으나 실크세대론을 주창하며 새로운 세대론을 제시했고, 호남 및 서남 지역 뉴스를 운영하며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라북도 지역의 기사를 중점적으로 다룬다.
  • 신문에 관한 - 동아일보
    동아일보는 1920년 창간되어 민주주의, 민족주의, 문화주의를 사시로 내걸고 민족운동 등을 전개했으며, 일제강점기 폐간 후 복간되어 방송 사업을 시작했고, 여러 논란을 겪으며 현재 주 6일제로 신문을 발행한다.
  • 신문에 관한 - 중앙일보
    중앙일보는 삼성그룹 창업주 이병철에 의해 1965년 창간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일간신문으로, 삼성그룹에서 분리되었지만 오너 일가와의 관계가 지속되고, JTBC 등 미디어 사업을 확장하며 보수 성향 언론으로 분류되지만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데일리NK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데일리NK 로고
데일리NK 로고
유형온라인 신문
언어한국어, 영어, 중국어
본사 위치서울, 대한민국
웹사이트데일리NK
설립 정보
창립일2004년 12월
인물
사장이광백
편집장하유나
기타 정보

2. 설립 배경 및 활동

2004년 12월, 대한민국의 한기홍과 북한 민주화 네트워크는 인권 문제를 중심으로 북한 관련 기사를 다루는 ''데일리NK''를 설립하였다. 데일리NK는 북한 내부 정보와 인권 문제를 중심으로 북한 관련 기사를 다루며, 국문, 영문, 중문 3개 국어로 제공하여 북한 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을 높이고 있다.

북한 각 지역에 소식통을 구축하여 북한 내부 소식을 보도하며, 특히 물가 동향과 장마당 상황 등 북한 주민들의 생활 전반에 관한 보도를 전문으로 한다.

2009년부터 미국 국립 민주주의 기금(NED)으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다. 전미 민주주의 기금의 공식 웹사이트에 공개된 데일리NK에 제공된 자금은 다음과 같다.

미국 국립 민주주의 기금 (NED) 지원금 현황
연도자금 (USD)
2009년13만달러[48]
2010년14.5만달러[57]
2011년17.5만달러[58]
2012년17.5만달러[59]
2013년-
2014년36만달러[49]
2015년20만달러[51]
2016년20만달러[52]
2017년25만달러[53]
2018년27만달러[54]
2019년40만달러[55]
2020년84.8만달러[56]


2. 1. 설립

2004년 12월 대한민국 한기홍과 북한 민주화 네트워크가 데일리NK를 설립하였다. 데일리NK는 인권 문제를 중심으로 북한 관련 기사를 다루며, 주로 한국어로 발행되지만 영어와 중국어로도 발행된다. 북한 내부 소식통들은 중국 휴대폰을 사용하여 본사와 연락하며,[8] 중국에 여러 특파원을 두고 중국-북한 국경을 오가는 사람들을 인터뷰한다.[9] 탈북자들의 기사를 싣고 북한 언론의 보도를 감시한다.[11] 북한 내 물품 가격을 약 2주에 한 번씩 공개하는데, 이는 북한 정부가 민감하게 여기는 정보이다.[12]

더 디플로맷과 콘텐츠 공유 협약을 맺고 있으며, 사법정의 워킹 그룹과 협력하고,[13] 팩티바와 관계를 맺고 있다.[14]

2. 2. 언어

데일리NK는 주로 한국어로 발행되지만, 영어중국어로도 발행된다.[8] 북한 내부 소식통들은 중국 휴대폰을 사용하여 본사와 연락한다.[8] "북한 뉴스의 허브"를 표방하며, 조선어판 외에 2007년부터 일본어로도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영어판, 중국어판도 있다. 2014년 12월 17일에 일본어판은 '''데일리NK 재팬'''으로 리뉴얼되었다.

2. 3. 주요 활동

데일리NK는 2005년 3월 북한 공개처형 현장을 최초로 보도하고, 2009년 11월 북한의 화폐 개혁 사실을 특종 보도하는 등 북한 내부 소식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보도해왔다. 특히 북한 각 지역에 소식통을 구축하여 물가 동향과 장마당 상황 등 북한 주민들의 생활 전반에 관한 보도 전문성을 갖추고 있다.[8][9][11][12]

2009년부터 미국 국립 민주주의 기금(NED)으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으며, 지원금 규모는 다음과 같다.

미국 국립 민주주의 기금 (NED) 지원금 현황
연도자금 (USD)
2009년13만달러
2010년14.5만달러
2011년17.5만달러
2012년17.5만달러
2013년-
2014년36만달러
2015년20만달러



2014년 11월 26일, 자유북한방송, 열린북한방송 등과 함께 대북 방송 매체인 국민통일방송 설립을 위한 국민통일방송 발기인 대회를 열었다.

김정남은 데일리NK의 시장 및 지방 정보가 정확하다고 인정했다.[60] 2009년 11월 30일에는 북한 원 화폐 개혁(디노미네이션)을 세계에서 가장 먼저 보도하여 특종이 되었다. 대한민국 통일부는 데일리NK의 보도를 처음에는 부인했지만, 다음 날 사실을 확인했다.[61]

데일리NK는 더 디플로맷과 콘텐츠 공유 협약을 맺고 있으며, 사법정의 워킹 그룹과 협력하고 있다.[13] 또한 팩티바와 관계를 맺고 있다.[14] 한국에서의 북한에 의한 납북 피해자(납북자) 문제도 적극적으로 다루고 있다.

2. 4. 일본 지국

2007년 1월부터 일본어로도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2010년 4월에 도쿄 지국이 개설되었으며, 초대 지국장으로 고영기가 취임했다. 2014년 12월 17일에 일본어판은 '''데일리NK 재팬'''으로 리뉴얼되었다.

3. 주요 보도 및 특종

김정은이 '향산병원'에서 심혈관 수술을 받았다고 2020년에 보도했다. 이 병원은 김씨 일가를 위해 지어진 병원이라고 주장했다.[22] 그러나 김정은이 사망했다고 주장한 적은 없었다.[23] 김연철 통일부 장관은 이 수술을 가짜 뉴스로 규정했다.[24] 김정은의 열차가 동해안의 원산에서 여러 차례 포착되었는데, 이는 묘향산의 위치와는 거리가 멀었다.[25]

2021년에는 《데일리NK》의 웹사이트가 3월부터 6월까지 해킹당했으며, 독자들에게 이 사실이 통보되지 않았다는 보도가 있었다. 웹사이트는 보안이 허술했고, 익스플로잇이 마이크로소프트 엣지에서 사용되어 개인 정보를 훔치는 멀웨어가 전달되었다. 한 보안 연구 그룹은 이 공격을 북한 그룹과 연관 지었지만, 자세한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다. 이후 《데일리NK》는 2020년에 침해 사실을 발견했지만, 사용자에게 알리지 않기로 의도적으로 결정했으며, 이 침해가 직원들만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했다.[27]

2021년 말에 발효된 북한의 "반동사상 배격법"에 관한 설명 자료의 발췌본을 입수하여 처음으로 공개했다. 이 설명 자료는 북한의 "외국 영향력과의 전쟁" 강화를 다룬 ''38노스'' 기사에 사용되었다.[28][29]

2023년 북한의 기아 사망에 대한 추측을 조사한 BBC 기사에 《데일리NK》가 주선한 인터뷰가 사용되었다.[30]

김정남은 "시장 및 지방 정보는 정확하다"고 인정했다.[60] 2009년 11월 30일, 전격적으로 실시된 북한 원 화폐 개혁(디노미네이션)에 대해서는 세계에서 가장 먼저 보도하여 특종이 되었다. 데일리NK의 디노미 보도에 대해 대한민국통일부는 "확인되지 않았다"며 부인했지만, 다음 날 사실을 확인했다.[61] 한국에서의 북한에 의한 납북 피해자(납북자) 문제도 적극적으로 다루고 있다.

2014년 11월 26일, 자유북한방송, 열린북한방송, OTV를 포함한 대북 4개 단체는 국민통일방송 발기인 대회를 열어 대북 방송 매체 "국민통일방송([http://www.i-ubs.org/ 국민통일방송])"을 설립할 것을 밝혔다.

4. 재정 및 지원

데일리NK는 2009년부터 전미민주주의기금(NED)으로부터 운영 자금을 지원받고 있다.[48][49][50][51][52][53][54][55][56] 연도별 지원금은 다음과 같다.

전미민주주의기금(NED)의 데일리NK 지원금
연도자금액
2009년13만달러
2010년14.5만달러
2011년17.5만달러
2012년17.5만달러
2013년
2014년36만달러
2015년20만달러
2016년20만달러
2017년25만달러
2018년27만달러
2019년40만달러
2020년84.8만달러


4. 1. 전미 민주주의 기금 (NED) 지원

미국 국립 민주주의 기금(NED)은 2009년부터 데일리NK에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전미민주주의기금의 공식 웹사이트에 따르면, 데일리NK에 제공된 자금은 다음과 같다.[48][49][50][51][52][53][54][55][56]

전미민주주의기금(NED)의 데일리NK 지원금
연도자금액
2009년130000USD
2010년145000USD
2011년175000USD
2012년175000USD
2013년
2014년360000USD
2015년200000USD
2016년200000USD
2017년250000USD
2018년270000USD
2019년400000USD
2020년848000USD


4. 2. 기타 재정 관련

데일리NK영어는 2009년부터 미국 국립 민주주의 기금 (NED)으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다.[1]

미국 국립 민주주의 기금(NED)의 공식 웹 사이트에 따르면, 2009년에는 13만달러, 2014년에는 36만달러, 2015년에는 20만달러를 지원받았다.[1]

국립 민주주의 기금 (NED)으로부터 받은 자금액
연도자금액공개 자료
2009년13만달러[https://web.archive.org/web/20160506084736/http://www.ned.org/region/asia/north-korea-2009/ North Korea 2009 – NATIONAL ENDOWMENT FOR DEMOCRACY]
2010년14.5만달러[https://web.archive.org/web/20160506084736/http://www.ned.org/region/asia/north-korea-2010/ North Korea 2010 – NATIONAL ENDOWMENT FOR DEMOCRACY]
2011년17.5만달러[https://web.archive.org/web/20160506084736/http://www.ned.org/region/asia/north-korea-2011/ North Korea 2011 – NATIONAL ENDOWMENT FOR DEMOCRACY]
2012년17.5만달러[https://web.archive.org/web/20160506084736/http://www.ned.org/region/asia/north-korea-2012/ North Korea 2012 – NATIONAL ENDOWMENT FOR DEMOCRACY]
2013년--
2014년36만달러 (18.5만달러 +17.5만달러)[https://web.archive.org/web/20160506084736/http://www.ned.org/region/asia/north-korea-2014/ North Korea 2014 – NATIONAL ENDOWMENT FOR DEMOCRACY]
2015년20만달러[https://web.archive.org/web/20160506084736/http://www.ned.org/region/asia/north-korea-2015/ North Korea 2015 – NATIONAL ENDOWMENT FOR DEMOCRACY]


5. 신뢰성 논란 및 비판

데일리NK는 북한 관련 소식을 전하는 온라인 매체이지만, 그 신뢰성에 대해서는 여러 논란과 비판이 존재한다.


  • 주요 비판 내용
  • 미국 정부 자금 지원 의혹 및 익명 소식통 의존: 데일리NK는 미국 정부로부터 자금을 지원받는다는 의혹을 받고 있으며[15][16], 익명의 북한 내부 소식통에 크게 의존하는 보도 방식으로 인해 기사의 진위 여부를 검증하기 어렵다는 비판을 받는다.
  • 부정확한 보도 사례: 박남기 총살설,[62] 김정은 사망설[63] 등 여러 차례 오보를 낸 사례가 있으며, 이는 데일리NK의 신뢰도에 대한 의문을 증폭시킨다.
  • 다른 언론과의 상충되는 보도: 데일리NK는 때때로 다른 언론 매체와 상충되는 보도를 내놓기도 한다.[33] 예를 들어 북한의 국경 봉쇄와 관련하여, 데일리NK는 봉쇄 연장을, 연합뉴스는 재개방을 시사하는 보도를 한 적이 있다.[34]

  • 북한 및 대한민국 내 반응
  • 조선민족화해협의회의 비난: 북한의 조선민족화해협의회는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데일리NK를 "반공화국 흑색선전"이라고 비난하며 강하게 반발했다.[8]
  • 대한민국 통일부의 우려: 대한민국 통일부는 데일리NK를 포함한 일부 대북 매체들의 확인되지 않은 정보 남발이 북한에 대한 이해를 어렵게 만든다고 우려를 표명했다.[8]


이처럼 데일리NK는 북한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주요 매체 중 하나이지만, 정보의 신뢰성 및 출처의 투명성 문제로 인해 비판받고 있다. 특히, 익명 소식통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 오보 사례가 존재한다는 점은 데일리NK의 보도를 접할 때 주의해야 할 부분이다.

하지만, 김정남은 데일리NK의 시장 및 지방 정보는 비교적 정확하다고 평가했으며[60], 2009년에는 북한 원 화폐 개혁세계 최초로 보도하여 특종을 기록하기도 했다.[61]

5. 1. 신뢰성 논란

데일리NK는 박남기 총살설, 김정은 위원장 사망설 등 여러 총살설과 사망설을 보도했지만 대부분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63][62] 보도의 정확도가 상당히 낮으며, 대북 관련 매체로서 신뢰성을 확보하지 못한 상태이다.[64] 데일리NK는 미국 정부 자금 지원을 받고 있다는 의혹을 받고 있으며, 익명 소스 사용으로 인해 기사 검증 가능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15][16]

영 파이오니어 투어스(Young Pioneer Tours) 설립자 가레스 존슨은 데일리NK가 "악명 높게 신뢰할 수 없다"고 묘사했는데, 이는 북한 주민이 김정은 헤어스타일을 강요받는다고 보도한 이후였다.[17]

2020년, 《데일리NK》는 김정은이 김씨 일가를 위해 지어졌다는 '향산병원'에서 심혈관 수술을 받았다고 주장했다.[22] 그러나 《데일리NK》는 김정은이 사망했다고 주장한 적은 없었다.[23] 김연철 통일부 장관은 이 수술을 가짜 뉴스로 규정했다.[24] 김정은이 사용하는 열차가 원산에서 여러 차례 포착되었는데, 이는 묘향산과는 거리가 멀었다.[25]

2021년, NK 뉴스는 《데일리NK》 웹사이트가 3월부터 6월까지 해킹당했으며, 독자들에게 통보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웹사이트는 보안이 허술했고, 익스플로잇이 마이크로소프트 엣지에서 사용되어 개인 정보를 훔치는 멀웨어가 전달되었다. 한 보안 연구 그룹은 이 공격을 북한 그룹과 연관 지었지만, 자세한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다. 이후 《데일리NK》는 2020년에 침해 사실을 발견했지만, 사용자에게 알리지 않기로 결정했으며, 이 침해가 직원들만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했다.[27]

《데일리NK》는 2021년 말 발효된 북한 "반동사상 배격법" 설명 자료의 발췌본을 입수하여 처음 공개한 언론 기관이었다.[28]

《데일리NK》가 주선한 인터뷰는 2023년 북한 기아 사망 추측을 조사한 BBC 기사에 사용되었다.[30]

''데일리NK'' 보도는 국제 언론에서 자주 인용되며,[31][32] The Atlantic에 따르면 국가정보원 요원들이 정보를 얻기 위해 ''데일리NK''에 연락한 적이 있다고 한다.[31] 이 매체는 익명 소식통에 크게 의존하며, 때로는 다른 언론 보도와 상충되기도 한다.[33] ''데일리NK''는 북한 정부가 주민들에게 국경 봉쇄 연장에 대비하라고 지시했다고 보도했지만, 연합뉴스는 국경이 재개방을 향한 '최종 단계'에 있다고 보도했다.[34]

북한 조선민족화해협의회는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데일리NK''를 "반공화국 흑색선전"이라고 비난했으며, 통일부 이찬호는 2010년에 ''데일리NK''를 포함한 단체들의 "확인되지 않은 정보의 범람"이 "북한을 이해하려는 노력을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고 경고했다.[8] 구세웅 코리아 익스포즈 설립자는 "데일리NK는 종종 북한 익명 제보자들에게 의존하여 정권 비판 기사를 게재하며, 정확성 기록은 불규칙하다"고 썼다.[35] 중앙일보는 "탈북자들이 운영하는 웹사이트인 데일리NK는 과거 의문스러운 보도를 냈고, 대한민국 주류 언론들이 이를 인용했지만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고 논평했다.[36]

많은 북한 전문가들이 ''데일리NK'' 보도를 주시하며, 정보 출처에 대한 경고와 함께 때로는 칭찬하기도 한다. 조슈아 H. 폴락 미들베리 연구소 선임 연구원은 ''데일리NK'' 보도가 "불투명한 정보 출처"에 기반하지만 "상당히 좋은 실적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37] 빌 브라운 조지타운 대학교 겸임 교수는 ''데일리NK''를 "북한 관련 뉴스에서 가장 좋아하는 정보원"이라고 부른다.[38] 벤자민 카체프 실버스타인 외교정책연구소 부연구원은 북한 COVID-19 대유행에 대한 매체 보도와 관련하여, "북한 내부 소식통을 가진 ''데일리NK''와 같은 필수 매체의 풀뿌리 보도는 COVID-19와 유사한 증상 이후 전국에서 발열 관련 사망 사례를 여러 차례 보고했다"고 말했다.[39] 바바라 데믹은 ''데일리NK''를 "서울에 본부를 둔 존경받는 온라인 신문"이라고 불렀다.[40] 주성하 동아일보 탈북 기자는 "데일리NK만큼 북한 소식을 잘 전하는 언론은 없다"고 말했다.[41]

토마스 번 코리아 소사이어티 회장은 "데일리NK는 북한 관련 금융 뉴스에 대한 유일한 정보원"이라고 말했다.[42] 안나 피에필드 전 워싱턴 포스트 기자는 "미국 및 국제 언론에서 북한에 대한 훌륭한 보도가 많으며, 대한민국에서도 마찬가지다. 데일리NK는 북한 내부에 시민 기자나 정보원을 두고 있어서 그곳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그들은 북한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43]

피터 워드 NK 뉴스 기고가이자 북한 경제 연구원은 ''데일리NK''를 "일반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매체"라고 부르며, "국가 내부에서 보도하려는 모든 미디어 기업이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한다고 말했다. 그는 ''데일리NK''가 "국내 여러 정보원 네트워크를 활용하고 다른 언론 보도 및 한국 학계 연구와 교차 검증하여 단일 출처 주장을 피하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고 말했다.[44]

이안 어번 The Outlaw Ocean Project 이사이자 설립자는 데일리NK를 "북한 관련 최고의 탐사 보도 매체"라고 불렀다.[45]

OECD는 "북한: 마지막 전환 경제인가?" 보고서에서 여러 ''데일리NK'' 기사를 인용했다.[46]

5. 2. 북한 당국의 비판

데일리NK는 미국 정부의 자금 지원 의혹, 익명 소스 사용으로 인한 기사 검증의 어려움 등으로 비판받는다.[15][16] 영 파이오니어 투어스(Young Pioneer Tours) 설립자 가레스 존슨은 데일리NK가 김정은 헤어스타일을 모든 북한 주민이 강요받는다고 보도한 것을 두고 "악명 높게 신뢰할 수 없다"고 평가했다.[17]

데일리NK의 보도는 국제 언론에 자주 인용되며,[31][32] 대한민국 국가정보원 요원들도 정보를 얻기 위해 데일리NK에 연락한 적이 있다고 디 애틀랜틱은 보도했다.[31] 그러나 데일리NK는 익명 소식통에 크게 의존하고, 때로는 다른 언론 보도와 상충되는 내용을 보도하기도 한다.[33] 예를 들어, 데일리NK는 북한 정부가 국경 봉쇄 연장을 준비하라고 지시했다고 보도했지만, 연합뉴스는 국경 재개방이 '최종 단계'에 있다고 보도했다.[34]

조선민족화해협의회는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데일리NK를 "반공화국 흑색선전"이라고 비난했다.[8] 대한민국 통일부 이찬호는 2010년에 데일리NK를 포함한 단체들의 "확인되지 않은 정보의 범람"이 "북한을 이해하려는 노력을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고 경고했다.[8] 코리아 익스포즈 설립자 구세웅은 데일리NK가 익명 제보자에게 의존하여 정확성이 불규칙하다고 평가했다.[35] 중앙일보는 탈북자 운영 웹사이트인 데일리NK의 과거 보도가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진 사례가 있다고 지적했다.[36]

북한 전문가들은 데일리NK의 정보 출처에 대해 경고하면서도 때로는 칭찬하기도 한다. 조슈아 H. 폴락 선임 연구원은 데일리NK의 보도가 "불투명한 정보 출처"에 기반하지만 "상당히 좋은 실적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했다.[37] 빌 브라운 겸임 교수는 데일리NK를 "북한 관련 뉴스에서 가장 좋아하는 정보원"이라고 언급했다.[38]

5. 3. 대한민국 내 비판

데일리NK는 미국 정부의 자금 지원을 받고 있다는 의혹을 받으며, 익명의 소식통에 크게 의존하는 보도 방식으로 인해 기사의 정확성과 검증 가능성에 대한 비판을 받고 있다.[15][16]

영 파이오니어 투어스(Young Pioneer Tours) 설립자 가레스 존슨은 데일리NK가 북한 주민 전체가 김정은 헤어스타일을 강요받는다는 오보를 낸 것을 두고 "악명 높게 신뢰할 수 없다"고 평가했다.[17]

데일리NK의 보도는 익명 소식통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아 다른 언론 보도와 상충되기도 한다.[33] 일례로, 데일리NK는 북한 당국이 국경 봉쇄 연장을 지시했다고 보도했지만, 연합뉴스는 국경 재개방이 '최종 단계'에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34]

외교정책연구소의 벤자민 시버스타인은 "데일리NK와 자유아시아방송은 북한 내부 소식통에 기반한 기사를 자주 게재하는데, 이러한 주장은 독립적으로 검증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39]

조선민족화해협의회는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데일리NK를 "반공화국 흑색선전"이라고 비난했다.[8] 대한민국 통일부 이찬호는 2010년에 데일리NK를 포함한 단체들의 확인되지 않은 정보가 북한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준다고 경고했다.[8]

구세웅 코리아 익스포즈 설립자는 "데일리NK는 북한 정권에 비판적인 기사를 주로 다루지만, 익명 제보자에 의존하여 정확성이 떨어진다"고 평가했다.[35] 중앙일보는 "탈북자들이 운영하는 데일리NK는 과거 의문스러운 보도로 대한민국 주류 언론에 인용되었지만,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진 적이 있다"고 지적했다.[36]

김정남은 데일리NK의 시장 및 지방 정보는 정확하다고 평가했다.[60] 2009년 11월 30일, 데일리NK는 북한 원 화폐 개혁(디노미네이션)을 세계에서 가장 먼저 보도하여 특종을 얻었다. 당시 대한민국 통일부는 데일리NK의 보도를 부인했지만, 다음 날 사실로 확인되었다.[61]

6. 평가 및 논란

Daily NK영어의 보도는 국제 언론에서 자주 인용되며[31][32], The Atlantic영어에 따르면 대한민국 국가정보원 요원들이 정보를 얻기 위해 Daily NK영어에 연락한 적이 있다고 한다.[31] 이 매체는 익명의 소식통에 크게 의존하며, 때로는 다른 언론 보도와 상충되기도 한다.[33] 예를 들어, Daily NK영어는 북한 정부가 주민들에게 국경 봉쇄 연장에 대비하라고 지시했다고 보도했지만, 연합뉴스는 국경이 재개방을 향한 '최종 단계'에 있다고 보도했다.[34] 외교정책연구소의 벤자민 시버스타인은 "데일리NK'와 '자유아시아방송'은 종종 북한 내부의 소수의 소식통에 기반한 기사를 게재한다. 이러한 소식통의 주장은 일반적으로 독립적으로 검증할 수 없지만, 여러 보도가 외국 문화 소지 혐의로 체포가 증가하는 등 동일한 현상을 가리킨다면 이러한 보도는 고립된 사건이 아닌 더 광범위한 역학 관계를 말한다고 추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동시에... [이 매체들은]... 독립적으로 검증할 수 없는 소식통에 기반한 기사를 게재한다."라고 경고했다.

북한의 조선민족화해협의회는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발표한 공식 성명에서 Daily NK영어를 "반공화국 흑색선전"이라고 비난했으며, 대한민국 통일부의 이찬호는 2010년에 Daily NK영어를 포함한 단체들의 "확인되지 않은 정보의 범람"이 "북한을 이해하려는 노력을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고 경고했다.[8] 코리아 익스포즈의 설립자 구세웅은 "Daily NK영어는 종종 북한의 익명 제보자들에게 의존하여 정권에 대한 비판적인 기사를 게재하며, 정확성에 대한 기록은 기껏해야 불규칙하다"고 썼다.[35] 중앙일보는 "탈북자들이 운영하는 웹사이트인 데일리NK는 과거에 의문스러운 보도를 냈고, 대한민국 주류 언론들이 이를 인용했지만 결국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고 논평했다.[36]

많은 북한 전문가들이 Daily NK영어의 보도를 주시하고 있으며, 매체의 정보 출처에 대한 경고와 함께 때로는 칭찬하기도 한다. 미들베리 연구소의 조슈아 H. 폴락 선임 연구원은 트위터를 통해 Daily NK영어의 보도가 "불투명한 정보 출처"에 기반하지만 "상당히 좋은 실적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37] 조지타운 대학교의 빌 브라운 겸임 교수는 Daily NK영어를 "북한 관련 뉴스에서 가장 좋아하는 정보원"이라고 부른다.[38] 외교정책연구소의 벤자민 카체프 실버스타인 부연구원은 북한의 COVID-19 대유행에 대한 매체의 보도와 관련하여 "북한 내부의 소식통을 가진 Daily NK영어와 같은 필수적인 매체의 풀뿌리 보도는 COVID-19와 유사한 증상 이후 전국에서 발열 관련 사망 사례를 여러 차례 보고했다."라고 말했다.[39] Nothing to Envy: Ordinary Lives in North Korea의 저자인 바바라 데믹은 Daily NK영어를 "서울에 본부를 둔 존경받는 온라인 신문"이라고 불렀다.[40] 대한민국의 동아일보에서 탈북 기자로 활동하는 주성하는 페이스북 게시글에서 "Daily NK영어만큼 북한의 소식을 잘 전하는 [언론]은 없다"고 말했다.[41]

코리아 소사이어티의 회장인 토마스 번은 "Daily NK영어 [는] 북한 관련 금융 뉴스에 대한 유일한 정보원"이라고 말했다.[42] 전 워싱턴 포스트 기자이자 "The Great Successor: The Divinely Perfect Destiny of Brilliant Comrade Kim Jong Un"영어의 저자인 안나 피에필드는 "... 미국 및 국제 언론에서 북한에 대한 훌륭한 보도가 많이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도 마찬가지다. Daily NK영어라는 매체가 있는데, 이런 종류의 저널리즘을 많이 하고 있다. 그들은 북한 내부에 시민 기자나 정보원을 두고 있어서 그곳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그들은 북한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라고 논평했다.[43]

NK 뉴스의 기고가이자 북한 경제 연구원인 피터 워드는 Daily NK영어를 "일반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매체"라고 부르며, 이 매체가 "국가 내부에서 보도하려는 모든 미디어 기업이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한다고 말했다. 즉, "종종 단일 소스에 의존하고, 떠도는 소문에 대해 보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Daily NK영어가 "국내의 여러 정보원 네트워크를 활용하고 다른 언론 보도 및 한국 학계의 연구와 교차 검증하여 단일 출처 주장을 피하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고 말했으며, "어떤 사람들은 데일리NK의 정보 출처에 대해 전반적으로 의문을 제기했지만, 다른 사람들은 평양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의 정보에 대해서만 신뢰할 수 있다고 말한다"고 덧붙였다.[44]

The Outlaw Ocean Project의 이사이자 설립자인 이안 어번은 Daily NK영어를 "북한과 관련된 최고의 탐사 보도 매체"라고 불렀다.[45]

OECD는 "북한: 마지막 전환 경제인가?"라는 보고서에서 여러 Daily NK영어 기사를 인용했다.[46] 이 보고서는 "유엔 관련 국제기구, 많은 한국 당국, 여러 NGO가 때때로 북한에 대한 통계를 보고하지만, 방문 제한과 데이터 출처 부족으로 인해 그 신뢰성과 상호 일관성 또한 의문시된다(표 1). 북한 탈북자의 정보가 데이터 부족을 메우는 데 종종 사용되지만, 증언과 인터뷰를 사용하는 것은 표본 편향(미무라, 2019), 검증 수단의 제한, 기억의 부정확성(송 및 데니, 2019)을 포함한 함정을 가지고 있다. 이 보고서에 인용된 숫자를 해석할 때는 이러한 한계를 염두에 두는 것이 필수적이며, 공식 간행물과 함께 이례적으로 언론 보도에 의존하고 있다."라고 언급했다.[47]

7. 관계

Daily NK영어는 인권 문제와 북한 내부 정보를 중심으로 북한 관련 기사를 다루는 언론사이다. 한국어, 영어, 중국어로 기사를 발행한다. 북한 내부 소식통과 중국 특파원을 통해 뉴스를 수집하며, 탈북자들의 기고를 싣고 북한 언론 보도를 감시한다.[8][9][11] 특히 북한 내 물품 가격을 약 2주마다 공개하는데, 이는 북한 당국이 민감하게 여기는 정보이다.[12]

7. 1. 협력 관계

더 디플로맷과 콘텐츠 공유 협약을 맺고 있으며, 사법정의 워킹 그룹과 협력하고 있다.[13] 팩티바와 관계를 맺고 있다.[14]

7. 2. 국민통일방송

2014년 11월 26일, 자유북한방송, 열린북한방송, OTV 등 대북 4개 단체는 국민통일방송 발기인 대회를 열어 대북 방송 매체 "국민통일방송([http://www.i-ubs.org/ 국민통일방송])"을 설립할 것을 밝혔다.[60]

같은 해 12월 13일, 일본 법무성과 "고향의 바람" 방송 주체인 일본국 정부납치 문제 대책 본부가 주최하는 "대북 라디오 방송 심포지엄 - 북한의 인권 문제·납치 문제와 라디오 방송의 역할"에 대북 방송 관계자가 참가했다. 이를 앞두고 조선중앙통신은 12월 9일 웹사이트 "내나라" 등을 통해 발기인 단체들을 지명 비난했으며, 조선의 소리 방송(12월 12일자) 등 대외 방송을 통해서도 비난 성명을 방송했다.[61]

8. 주요 기고자

황장엽은 1997년 탈북 이전 북한의 주요 정치인이었으며, 2010년 서울에서 사망하기 전까지 데일리NK에 정기적으로 기고했다.[18]

태영호는 2016년 탈북 이전 북한 외교관이었으며, 북한-남한 관계에 대한 일련의 칼럼을 데일리NK에 기고하기도 했다.[19]

안드레이 란코프는 북한 문제에 정통한 러시아 학자로, 데일리NK를 통해 주로 한국어로 칼럼을 게재한다.[20]

표도르 터티츠키는 북한 문제에 정통한 러시아 학자로, 주로 역사 관련 칼럼을 한국어로 데일리NK 웹사이트에 게재하며, 가끔 영어로 번역된다.[21]

정성학은 한국국방안보포럼 부설 위성분석센터의 센터장으로, 위성 영상 분석을 바탕으로 이 간행물에 정기적으로 칼럼을 기고한다.

참조

[1] 웹사이트 Between Sanctions, Drought and Tensions: How Bad is North Korea's Food Situation? https://www.38north.[...] 2021-10-26
[2] 웹사이트 That Ain't My Truck: Where North Korea Assembled Its Chinese Transporter-Erector-Launchers https://www.38north.[...] 2021-10-26
[3] 웹사이트 Index https://rsf.org/en/i[...] Reporters without Borders 2024-05-08
[4] 웹사이트 National Endowment for Democracy http://www.ned.org/w[...]
[5] 웹사이트 Fast and Accurate North Korea News https://www.dailynk.[...]
[6] 웹사이트 NED Grant Search https://www.ned.org/[...] 2022-04-13
[7] 뉴스 인터넷 뉴스로 북한 정보 갈증 해소 http://weekly.donga.[...] 2004-12-16
[8] 뉴스 Nimble Agencies Sneak News Out of North Korea https://www.nytimes.[...] 2010-01-24
[9] 서적 A matter of survival Human Rights Watch
[10] 웹사이트 Defector's Story http://www.dailynk.c[...]
[11] 웹사이트 NK Media Output http://www.dailynk.c[...]
[12] 웹사이트 North Korea Market Price Update https://www.dailynk.[...] 2022-04-13
[13] 웹사이트 Partners https://www.dailynk.[...] 2022-04-13
[14] 웹사이트 [Announcement] Daily NK partners with Factiva to expand access to content https://www.dailynk.[...] 2022-01-05
[15] 웹사이트 Why media get North Korea wrong https://asiatimes.co[...] asiatimes 2024-09-30
[16] 웹사이트 Why the Western media keeps getting North Korea wrong https://www.aljazeer[...] Aljazeera 2024-09-30
[17] 웹사이트 5 Top Fake News Stories About North Korea https://www.youngpio[...] Young Pioneer Tours 2024-09-30
[18] 웹사이트 With Hwang Jang-yop http://www.dailynk.c[...]
[19] 웹사이트 Thae Yong Ho Video Series https://www.dailynk.[...]
[20] 웹사이트 N. Korea faces tough challenges in attracting foreign visitors https://www.dailynk.[...] 2019-11-18
[21] 웹사이트 Fyodor Tertitskiy Author Page, Daily NK https://www.dailynk.[...] 2022-04-21
[22] 웹사이트 [CORRECTION] Source: Kim Jong Un recently underwent a cardiovascular procedure https://www.dailynk.[...] 2021-11-22
[23] 웹사이트 [CORRECTION] Source: Kim Jong Un recently underwent a cardiovascular procedure https://www.dailynk.[...] 2020-04-21
[24] 웹사이트 South Korean minister dismisses "fake news" surrounding Kim Jong Un's health https://www.nknews.o[...] 2021-11-22
[25] 웹사이트 Nothing to See Here? How Not to React to North Korea Rumors https://www.38north.[...] 2021-11-22
[26] 웹사이트 What Kim Jong Un's $12,000 IWC Watch Says About His Weight Loss https://www.bloomber[...] 2021-06-09
[27] 웹사이트 Hacked DailyNK website infected broad range of organizations https://www.nknews.o[...] 2021-10-26
[28] 웹사이트 North Korea Intensifies War Against Foreign Influence https://www.38north.[...] 2021-11-10
[29] 웹사이트 Exclusive: Daily NK obtains materials explaining specifics of new 'anti-reactionary thought' law https://www.dailynk.[...] 2022-09-21
[30] 웹사이트 North Korea: Residents tell BBC of neighbours starving to death https://www.bbc.com/[...]
[31] 웹사이트 North Korea's Digital Underground https://www.theatlan[...] 2015-02-23
[32] 웹사이트 http://english.aljaz[...]
[33] 뉴스 Speculation Over Kim Jong-un's Health Is Fueled by North Korea's Own Secrecy https://www.nytimes.[...] 2021-11-22
[34] 웹사이트 Squaring the conflicting news reports on North Korea's border reopening https://www.38north.[...] 2021-11-22
[35] 웹사이트 Why the Western media keeps getting North Korea wrong https://www.aljazeer[...] 2020-05-06
[36] 웹사이트 Kim Jong-un in "grave" medical condition, says CNN report https://koreajoongan[...] 2020-04-21
[37] 웹사이트 Twitter post https://twitter.com/[...] 2022-03-30
[38] 웹사이트 "Links" page on the Northeast Asia Economics and Intelligence Advisory, LLC https://naeia.com/li[...] 2022-04-13
[39] 웹사이트 Assessing North Korea's COVID-19 Containment and Kim Jong-un's Political Challenges https://www.fpri.org[...] 2020-05-29
[40] 잡지 The New Yorker https://www.newyorke[...] 2020-04-20
[41] 웹사이트 《속보》 "김정은 국무위원장, 다시 원산 별장으로 들어갔다" http://www.goodmorni[...] 2020-05-07
[42] 웹사이트 Online Event: The Outlook for North Korea's Economy Post-Pandemic https://www.csis.org[...]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2020-12-22
[43] 웹사이트 'I feel like the best way to report on North Korea is not actually from North Korea' https://niemanreport[...] 2019-06-12
[44] 웹사이트 Trust, but verify: what the media got right about Kim Jong Un's health https://www.nknews.o[...] 2020-05-07
[45] 웹사이트 Did the China Investigation Have Impact? https://theoutlawoce[...]
[46] 웹사이트 North Korea: The last transition economy? https://www.oecd.org[...] OECD 2022-09-21
[47] 논문 North Korea: The Last Transition Economy? https://www.oecd-ili[...]
[48] 웹사이트 North Korea 2009 – NATIONAL ENDOWMENT FOR DEMOCRACY http://www.ned.org/r[...] NED 2016-05-06
[49] 웹사이트 North Korea 2014 – NATIONAL ENDOWMENT FOR DEMOCRACY http://www.ned.org/r[...] NED 2016-05-06
[50] 웹사이트 デイリーNKなどの反共団体がCIAフロント組織より提供された2009年度と2014年度の資金額比較 http://east-asian-pe[...] はてなブログ 2016-05-06
[51] 웹사이트 North Korea 2015 – NATIONAL ENDOWMENT FOR DEMOCRACY http://www.ned.org/r[...] NED 2016-05-06
[52] 웹사이트 North Korea 2016 – NATIONAL ENDOWMENT FOR DEMOCRACY http://www.ned.org/r[...] NED 2017-03-30
[53] 웹사이트 North Korea 2017 – NATIONAL ENDOWMENT FOR DEMOCRACY http://www.ned.org/r[...] NED 2018-02-20
[54] 웹사이트 North Korea 2018 – NATIONAL ENDOWMENT FOR DEMOCRACY http://www.ned.org/r[...] NED 2019-04-07
[55] 웹사이트 North Korea 2019 – NATIONAL ENDOWMENT FOR DEMOCRACY http://www.ned.org/r[...] NED 2019-04-07
[56] 웹사이트 North Korea 2020 – NATIONAL ENDOWMENT FOR DEMOCRACY http://www.ned.org/r[...] NED 2020-04-16
[57] 웹사이트 North Korea 2010 – NATIONAL ENDOWMENT FOR DEMOCRACY http://www.ned.org/r[...] NED 2016-05-06
[58] 웹사이트 North Korea 2011 – NATIONAL ENDOWMENT FOR DEMOCRACY http://www.ned.org/r[...] NED 2016-05-06
[59] 웹사이트 North Korea 2012 – NATIONAL ENDOWMENT FOR DEMOCRACY http://www.ned.org/r[...] NED 2016-05-06
[60] 문서
[61] 뉴스 北朝鮮、デノミどのように(1) http://japanese.join[...] 中央日報社 2009-12-03
[62] 뉴스인용 "화폐개혁 책임 '박남기+1' 총살 後 대규모 숙청" http://www.dailynk.c[...] 데일리엔케이 2010-06-09
[63] 뉴스인용 총살설 北 박남기 "누가 나 죽었다고 해?" http://www.newdaily.[...] 2020-07-24
[64] 뉴스인용 "北 관련 '카더라 보도' 심각…씨받이 공작단이라니" https://www.nocutnew[...] 2020-07-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