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의 정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덴마크의 정치는 다당제 의회 민주주의 체제이며, 입헌 군주국이다. 국왕은 국가 원수이지만, 실질적인 권한은 의회에 있으며, 행정부는 의회에 책임을 진다. 덴마크는 소극적 의회주의와 비례 대표제를 채택하여 소수 정부가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
행정부는 총리를 중심으로 하는 내각으로 구성되며, 총리는 국왕이 임명한다. 덴마크는 여러 정당이 경쟁하는 다당제 국가이며, 덴마크 의회(Folketing)는 179석의 단원제로 구성된다. 사법부는 독립성을 보장받으며, 옴부즈만은 시민의 권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덴마크는 아이슬란드, 그린란드, 페로 제도와 복잡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유럽 연합(EU) 내에서 특정 분야에 대한 예외 조항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덴마크 정부 - 덴마크 의회
덴마크 의회(Folketing)는 1953년 헌법 개정으로 단원제가 된 덴마크의 입법 기관으로, 179명의 의원으로 구성되며 4년 임기로 선출되고, 비례대표제로 선거가 진행된다. - 덴마크 정부 - 덴마크 왕국 공동체
덴마크 왕국 공동체는 덴마크 본토, 페로 제도, 그린란드로 구성된 정치적 공동체로서, 덴마크 헌법이 적용되지만 페로 제도와 그린란드는 자치권을 행사하며 덴마크는 유럽 연합 회원국이나 두 지역은 가입하지 않았고, 덴마크가 외교를 대표하지만 페로 제도와 그린란드의 외교적 역할도 증대되고 있다. - 덴마크의 정치 - 덴마크 의회
덴마크 의회(Folketing)는 1953년 헌법 개정으로 단원제가 된 덴마크의 입법 기관으로, 179명의 의원으로 구성되며 4년 임기로 선출되고, 비례대표제로 선거가 진행된다. - 덴마크의 정치 - 덴마크의 총리
덴마크의 총리는 1848년 입헌군주제 도입 후 설립된 정부 수반으로, 시대에 따라 명칭이 바뀌어 1918년부터 현재의 국무장관으로 불리며, 국회의 과반수 지지를 받는 연정 또는 소수정부의 지도자로서 사회민주당과 보수 성향 정당이 번갈아 집권하며 정책을 추진한다.
덴마크의 정치 | |
---|---|
기본 정보 | |
![]() | |
정치 | |
정치 체제 | 단일 의회 입헌 군주국 |
헌법 | 덴마크 헌법 |
의회 | 의회 |
의회 형태 | 단원제 |
의회 위치 | 크리스티안보르 궁전 |
의회 의장 | 쇠렌 가데 |
의회 의장 직함 | 의회 의장 |
국가 원수 직함 | 군주 |
현 국가 원수 | 프레데리크 10세 |
국가 원수 임명 방식 | 세습 |
정부 수반 직함 | 총리 |
현 정부 수반 | 메테 프레데릭센 |
정부 수반 임명권자 | 군주 |
내각 | 덴마크 내각 |
현 내각 | 프레데릭센 2세 내각 |
내각 지도자 | 총리 |
내각 부처 | 18개 |
사법부 | 일반 사법 제도 |
법원 | 덴마크의 법원 |
최고 법원 | 대법원 |
대법원장 | 토마스 뢰르담 |
2. 정치 권력
덴마크는 다당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20세기 초 이래 압도적인 권력을 행사할 수 있는 유력한 정당이 없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단일 정당이 과반수 이상의 의석을 확보하여 정부를 구성할 수 있었던 적은 4번에 불과하다. 덴마크 헌법에는 위헌재판권이 없어 덴마크 의회는 EU의 다른 나라보다 막강한 권한을 가지고 있다. 덴마크의 정치 제도에 대한 국민들의 만족도는 매우 높은 편이며, 국제 기구들은 덴마크를 가장 부패가 적은 나라들 중 하나로 보고하고 있다.
덴마크는 입헌 군주국으로 현재의 국왕은 마르그레테 2세이다. 덴마크의 헌법은 여전히 덴마크의 행정력, 입법권, 사법권이 군주에게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덴마크의 정부는 군주를 국가 원수로 하며, 총리는 덴마크 의회의 대표이자 권력의 핵심이다.
3. 입헌 군주국
프레데리크 10세는 2024년 1월 14일부터 국왕이자 국가원수로 재위하고 있다. 덴마크 헌법에 따라 군주는 국가원수로서 모든 행정부와 입법권의 이론적 근원이다.[6] 그러나 1901년 의회 주권의 도입 이후 사실상의 권력분립이 시행되어 왔다.[5]
덴마크 헌법의 본문은 1849년으로 거슬러 올라가기 때문에 법률가들은 현대적 조건에 맞게 해석해 왔다. 형식적으로 군주는 법안에 대한 왕실 재가를 거부할 수 있는 권한을 유지한다. 법안이 법률이 되려면 왕실 서명과 정부 장관의 반서명이 필요하다.[6] 군주는 또한 수상을 임명하고 해임할 수 있지만, 현대에는 해임이 헌법 위기를 초래할 것이다. 크리스티안 10세 국왕은 1920년 3월 28일에 해임권을 행사한 마지막 군주였으며, 이는 1920년 부활절 위기를 불러일으켰다. 장관 임명에 대한 왕실 특권과 같은 모든 왕실 권한, 전쟁 선포 및 평화 체결 능력은 수상과 내각이 국왕의 공식적인 동의를 얻어 행사한다. 새 정부를 구성할 때, 군주는 당 대표들을 협의회("kongerunde", "국왕 회의"를 의미)에 소집하여 그들이 군주에게 조언한다. 이러한 조언을 바탕으로 군주는 과반수의 지지를 받는 당 대표를 임명하여 새 정부 구성을 위한 협상을 주도하게 한다.[6]
헌정 군주제의 원칙에 따라 군주의 역할은 오늘날 대부분 의례적이며, 의회 민주주의의 관례와 권력 분립에 의해 권력 행사가 제한된다. 그러나 군주는 여전히 자문권, 조언권, 경고권의 세 가지 권리를 행사한다. 이러한 이상에 따라 수상과 내각은 국무회의의 정례 회의에 참석한다.[7]
4. 행정부
프레데리크 10세는 2024년 1월 14일부터 국왕이자 국가원수로 재위하고 있다. 덴마크 헌법에 따라 군주는 국가원수로서 행정부와 입법권의 이론적 근원이다.[6] 그러나 1901년 의회 주권 도입 이후 사실상 권력분립이 시행되어 왔다.[5]
형식적으로 군주는 법안에 대한 왕실 재가를 거부할 수 있다. 법안이 법률이 되려면 왕실 서명과 정부 장관의 반서명이 필요하다.[6] 군주는 또한 수상을 임명하고 해임하지만, 현대에는 해임이 헌법 위기를 초래할 것이다. 크리스티안 10세 국왕은 1920년 3월 28일 해임권을 행사한 마지막 군주였으며, 이는 1920년 부활절 위기를 불러일으켰다. 장관 임명에 대한 왕실 특권, 전쟁 선포 및 평화 체결 능력은 수상과 내각이 국왕의 공식적인 동의를 얻어 행사한다. 새 정부를 구성할 때, 군주는 당 대표들을 협의회("kongerunde", "국왕 회의"를 의미)에 소집하여 조언을 받는다. 이러한 조언을 바탕으로 군주는 과반수의 지지를 받는 당 대표를 임명하여 새 정부 구성을 위한 협상을 주도하게 한다.[6]
헌정 군주제의 원칙에 따라 군주의 역할은 오늘날 대부분 의례적이며, 의회 민주주의의 관례와 권력 분립에 의해 권력 행사가 제한된다. 그러나 군주는 여전히 자문권, 조언권, 경고권의 세 가지 권리를 행사한다. 수상과 내각은 국무회의의 정례 회의에 참석한다.[7]
덴마크 정부는 왕국의 행정 기능을 수행하며, 내각이 정부의 사무를 결정하고 총리가 이를 이끈다. 내각과 총리는 포크팅(의회)에 책임을 진다.
내각 구성원들은 "장관" 직함을 가지며, 각기 다른 정부 업무 분야를 담당한다. 이들은 국가 관료 조직의 하나 이상의 부문을 이끌고, 해당 부서의 모든 직원이 보고하는 공무원들의 수장으로서 일한다.
1990년대 이후 대부분의 정부는 벤스트레(Venstre) 또는 사회민주당이 이끄는 연립 정부였다. 2019년 덴마크 총선 이후 메테 프레데리크센이 이끄는 사회민주당은 좌파 연합의 지지를 받아 단독 정부를 구성했고,[13] 2019년 6월 27일 총리가 되었다.[14] 2022년 12월, 메테 프레데리크센 총리는 사회민주당, 자유당, 중도당과 함께 새로운 연립 정부를 구성했다.[17]
헌법 제14조에 따라 국왕은 장관 수와 각 장관의 업무 분장을 결정하며, 총리를 포함한 장관들을 임명하고 해임한다.[18] 내각 구성원 수와 부처로 나뉜 국가 행정 조직은 법으로 정해져 있지 않고 예고 없이 변경될 수 있다. 다당 연정일 경우 일반적으로 내각 규모와 부처 수가 많아지는 반면, 소수 연정이나 단일 정당 정부일 경우 부처 수가 적고 규모가 커진다.
4. 1. 정부 부처
덴마크의 행정부는 여러 정부 부처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처는 각료인 장관이 이끌고 해당 부서 또는 포트폴리오를 담당한다. 이론적으로 모든 장관은 동등하며 서로 명령을 주고받을 수 없지만, 헌법 관례상 총리는 ''최고참(primus inter pares)''으로서 동등한 자들 중 첫 번째이다. 덴마크는 다른 많은 국가와 달리 차관을 두지 않는 전통이 있다.
각 부서는 장관의 사무국 역할을 하며, 장관 책임 영역 전반에 대한 계획, 개발, 전략적 지침을 포함한다. 장관의 결정은 부서 내 상설적이고 정치적으로 중립적인 공무원에 의해 실행된다. 일부 민주주의 국가와 달리 고위 공무원은 정권이 바뀌어도 직책에 남는다. 부서 공무원의 수장은 상임차관이다. 대부분의 공무원은 장관에게 보고하는 별도의 운영 조직인 행정 기관에서 근무한다. 장관은 또한 자신의 사무관과 홍보 담당자를 두는데, 이들은 당파적이며 정권이 바뀌면 직책에 남지 않는다.
덴마크의 정부 부처 현황은 다음과 같다. 그린란드의 각 부처 명칭은 'departement'가 붙는다.
4. 2. 장관 목록
직책 | 이름 | 정당 | 취임일 |
---|---|---|---|
총리 | 메테 프레데릭센 | 사회민주당 | 2019년 6월 27일 [19][20] |
부총리 겸 국방부 장관 | 트롤스 룬드 폴센 | 벤스트레 | 2023년 10월 23일 [19] |
외무부 장관 | 라르스 뢰케 라스무센 | 중도당 | 2022년 12월 15일 [19] |
재무부 장관 | 니콜라이 바멘 | 사회민주당 | 2019년 6월 27일 [19] |
경제부 장관 | 스테파니 로세 | 벤스트레 | 2023년 11월 23일 [19][21] |
내무부 장관 겸 보건부 장관 | 소피 뢰데 | 벤스트레 | 2022년 12월 15일 [19] |
법무부 장관 | 페터 훔멜가르드 토센 | 사회민주당 | 2022년 12월 15일 [19] |
문화부 장관 | 야곱 엔겔-슈미트 | 중도당 | 2022년 12월 15일 [19] |
산업부 장관 | 모르텐 뵈드스코브 | 사회민주당 | 2022년 12월 15일 [19] |
개발협력 및 글로벌 기후정책부 장관 | 단 요르겐센 | 사회민주당 | 2022년 12월 15일 [19] |
환경부 장관 | 마그누스 헤우니케 | 사회민주당 | 2022년 12월 15일 [19] |
사회부 장관 겸 주택부 장관 | 페르닐레 로젠크란츠-테일 | 사회민주당 | 2022년 12월 15일 [19] |
고용부 장관 | 아네 할스보-요르겐센 | 사회민주당 | 2022년 12월 15일 [19] |
아동부 장관 겸 교육부 장관 | 마티아스 테스파예 | 사회민주당 | 2022년 12월 15일 [19] |
이민통합부 장관 | 카레 디브바드 | 사회민주당 | 2022년 5월 2일 [19] |
조세청 장관 | 예페 브루스 크리스텐센 | 사회민주당 | 2022년 2월 4일 [19] |
식량농업수산부 장관 | 야곱 옌센 | 벤스트레 | 2022년 12월 15일 [19] |
교회부 장관, 농촌지역부 장관, 북유럽협력부 장관 | 루이즈 샤크 엘홀름 | 벤스트레 | 2022년 12월 15일 [19] |
교통부 장관 | 토마스 다니엘센 | 벤스트레 | 2022년 12월 15일 [19] |
고등교육과학부 장관 | 크리스티나 에겔룬드 | 중도당 | 2022년 12월 15일 [19] |
디지털화부 장관 겸 성평등부 장관 | 마리 비에레 | 벤스트레 | 2022년 12월 15일 [19] |
노인부 장관 | 메테 키에르가르드 | 중도당 | 2022년 12월 15일 [19] |
기후에너지부 장관 겸 공익사업부 장관 | 라르스 아가르드 | 중도당 | 2022년 12월 15일 [19] |
5. 정당
덴마크는 다당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여러 정당이 의회에 진출해 있다. 20세기 초부터 덴마크 정치에서 압도적인 권력을 가진 단일 정당은 없었으며, 이는 다양한 정당 간의 협력과 경쟁을 촉진하는 요인이 되었다.
역사적으로 가장 영향력 있는 네 정당은 보수인민당, 사회민주당, 벤스트레, 사회자유당이다. 이들은 덴마크 정치의 주요 세력으로 오랫동안 자리매김해 왔다.
최근에는 덴마크 인민당과 적녹연합과 같은 신생 정당들이 등장하여 덴마크 정치 지형에 변화를 가져왔다.
덴마크 정당들은 일반적으로 매년 총회를 열어 강령을 승인하고 당 대표, 지도부 등을 선출한다. 의회 내 당원들은 자치 그룹을 구성하여 의회 활동 및 정책 개발에 참여한다. 또한, 사회민주주의 청년, 젊은 자유주의자들, 라디칼 청년과 같이 청년 조직을 운영하여 젊은 세대의 정치 참여를 장려한다.
덴마크 정치는 크게 "레드 블록"과 "블루 블록"으로 나뉜다. 2011년 덴마크 총선을 전후하여 주류 용어가 된[8] "레드 블록"은 좌파 정당, "블루 블록"은 우파 정당을 지칭한다. 사회민주당과 벤스트레는 전통적으로 각 블록의 주도적인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2022년에는 보수인민당의 지도자 쇠렌 파페 폴센(Søren Pape Poulsen)이 야콥 엘레만-옌센(Jakob Ellemann-Jensen)과 함께 총리 후보 자리를 선언하면서 변화가 나타났다.[9]
라스 뢰케 라스무센(Lars Løkke Rasmussen) 전 총리가 2021년에 설립한 중도당은 이러한 블록 정치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며, 양쪽 블록의 정당들이 참여하는 정부 구성을 지지한다.[10] 대안당 또한 자신들을 레드 블록으로 분류하는 것을 거부하며, 녹색 정당임을 강조한다.[11]
; 2015년 총선 결과
정당 | 지도자 | 투표수 | % | 의석수 | +/- |
---|---|---|---|---|---|
사회민주당 (A) | 헬레 토르닝슈미트 | 925,288 | 26.3% | 47 | +3 |
덴마크 인민당 (O) | 피아 캬레스고르 | 741,173 | 21.1% | 37 | +15 |
좌파당 (V) | 아네르스 포그 라스무센 | 684,223 | 19.5% | 34 | -7.2 |
적녹동맹 (Ø) | 집단지도체제 | 273,870 | 7.8% | 14 | +2 |
자유동맹 (I) | 아네르스 사무엘센 | 264,449 | 7.5% | 14 | +4 |
대안당 (Å) | 우페 엘베크 | 168,585 | 4.8% | 9 | |
사회자유당 (B) | 모르텐 외스테르고르 | 160,672 | 4.6% | 8 | -9 |
사회인민당 (F) | 피아 올센 뒤르 | 148,027 | 4.2% | 7 | -9 |
보수인민당 (C) | 쇠렌 파페 폴센 | 118,015 | 3.4% | 6 | -2 |
기독교민주당 (K) | 보딜 코른베크 | 29,148 | 0.8% | 0 | 0 |
무소속 | 3,027 | 0.2% | 0 | +0.1 | |
소계 | 3,556,545 | 100.0% | 175 | — |
; 2019년 총선 결과
; 2022년 총선 결과
2022년 덴마크 총선에서는 사회민주당이 50석을 얻어 최대 정당 지위를 유지했으며, 2석을 추가로 확보했다. 벤스트레는 23석으로 2위를 차지했지만, 20석을 잃으며 큰 타격을 입었다. 새롭게 설립된 모더레이츠는 16석을 얻으며 약진했다. 녹색좌파는 15석을 확보했다. 2022년에 설립된 반이민, 극우 정당인 덴마크 민주당(Danmarksdemokraterne)과 자유동맹은 각각 14석을 얻었다.[28]
6. 입법부
덴마크 의회는 단원제이며 폴거텡(덴마크어 Folketing)으로 불린다. 1879년 민주주의 헌법 도입과 함께 설립되었다. 덴마크 정치 체제의 중심이며, 헌법 내에서 최고 입법 기관으로 기능한다. 덴마크 의회주의 원칙에 따라 총리는 의회에서 선출되며, 정부 구성원도 대개 의회에서 나온다. 정부는 의회 통제 원칙(질문 시간, 일반 토론, 결의안 또는 동의안 통과)을 통해 의회에 책임을 진다. 장관들은 의원들의 질문에 답하고, 정부 정책 문제에 대해 설명해야 한다.
정부 정책에 대한 광범위한 토론이 의회에서 이루어지며, 이후 "불신임안"이 제출될 수 있다. 야당은 정부가 보통 다수 의석을 확보하고 있어 불신임안을 요청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정부 정책은 의회 본회의에서 자주 논의된다. 1953년 덴마크 헌법 개정으로 의회는 단원제가 되었다.
1849년 최초의 민주헌법 시행과 함께 덴마크의 입법부는 양원제 의회인 국회(Rigsdag)로 구성되었다. 이는 국민의원으로 구성된 하원 포크팅(Folketinget)과 귀족, 지주, 그리고 실업가들로 구성된 상원 랜드스팅(Landstinget)으로 이루어졌다.[25] 1901년 의원내각제가 도입되면서 포크팅이 실질적인 중심 의회가 되었는데, 포크팅에서 다수당의 지지를 받지 못하는 정부는 존립이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1953년 헌법 개정으로 랜드스팅은 폐지되고 포크팅만 남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덴마크 점령 기간, 1943년 8월 29일 독일 당국은 덴마크 정부를 해산했다. 이는 덴마크 정부가 독일 전권대사의 요구에 따라 불안을 진압하는 것을 거부했기 때문이다. 1943년 내각은 사임했고 업무를 중단했다 (비록 크리스티안 10세 국왕이 사임을 수락하지는 않았지만).[26] 모든 일상 업무는 상임 차관들에게 넘겨졌고, 각 차관은 사실상 자신의 부처를 운영했다. 독일은 나머지 국가를 통치했고, 덴마크 국회는 1945년 5월 5일 해방 후 새로운 국회가 구성될 때까지 점령 기간 동안 소집되지 않았다.[27]
덴마크 국회(Folketing)는 179석으로 구성되며, 이 중 2석은 페로 제도, 2석은 그린란드에 배정된다. 나머지 175석은 덴마크에서 선출된 의원들이 차지한다. 179석 모두 최소 4년마다 치러지는 선거에서 경합하며, 현재 국회의 모든 의석은 정당 소속 의원들이 차지하고 있다.
득표율 2%를 넘는 모든 정당은 국회에 진출한다. 이는 비교적 낮은 수치로, 스웨덴의 경우 국회 진출에 필요한 최소 지지율은 4%이다. 이 때문에 종종 많은 정당이 국회에 진출하여 정부 다수당이 복잡하거나 불안정해지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지난 10년 동안 덴마크의 정치 체제는 안정적인 다수당과 비교적 장기적인 정부 임기를 보였다.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는 무소속 정치인은 출마 지역에서 약 1만 5,000~2만 표를 얻어야 한다. 1953년 덴마크 헌법 제정 이후 야코브 하우가르드(Jacob Haugaard)를 제외하고는 무소속으로 성공한 사람은 없다. 덴마크 국회 역사상 이를 달성한 정치인은 단 두 명뿐이다.
덴마크는 국가, 지방 및 유럽 의회 선거 모두에 대해 비례 대표제를 사용한다. 덴마크 국회는 선거구를 사용하는 제도를 사용하며, 헌법에서 간접적으로 할당 방식을 규정하여 179석의 지리적 및 정치적 균형 분포를 보장한다. 135명의 의원은 다수 선거구에서 비례적으로 선출되며, 나머지 40석은 각 정당 또는 명단이 받은 총 투표 수에 비례하여 전국적으로 할당된다. 페로 제도와 그린란드는 각각 2명의 의원을 선출한다.
정당은 의회 대표성을 보장받기 위해 총 투표수의 2%라는 기준을 통과해야 한다. 이 제도의 결과로 의회에 당선되는 데 필요한 투표 수는 전국적으로 다르다. 일반적으로 수도인 코펜하겐에서 지방보다 의원 당선에 필요한 투표 수가 적다. 총선의 투표율은 일반적으로 85%를 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고 있다. 지방 선거의 투표율은 더 낮으며 유럽 의회 선거보다 낮다.
- 2015년 총선 결과
정당 | 지도자 | 투표수 | % | 의석수 | +/– |
---|---|---|---|---|---|
덴마크 | |||||
사회민주당 (A) | Helle Thorning-Schmidt | 925,288 | 26.3% | 47 | +3 |
덴마크 인민당 (O) | Pia Kjærsgaard | 741,173 | 21.1% | 37 | +15 |
좌파당 (V) | Anders Fogh Rasmussen | 684,223 | 19.5% | 34 | –7.2 |
적녹동맹 (Ø) | 집단지도체제 | 273,870 | 7.8% | 14 | +2 |
자유동맹 (I) | Anders Samuelsen | 264,449 | 7.5% | 14 | +4 |
대안당 (Å) | Uffe Elbæk | 168,585 | 4.8% | 9 | |
사회자유당 (B) | Morten Østergaard | 160,672 | 4.6% | 8 | –9 |
사회인민당 (F) | Pia Olsen Dyhr | 148,027 | 4.2% | 7 | –9 |
보수인민당 (C) | Søren Pape Poulsen | 118,015 | 3.4% | 6 | –2 |
기독교민주당 (K) | Bodil Kornbek | 29,148 | 0.8% | 0 | 0 |
무소속 | 3,027 | 0.2% | 0 | +0.1 | |
소계 | 3,556,545 | 100.0% | 175 | — | |
페로 제도 | |||||
공화당 (E) | Høgni Hoydal | 5,730 | 24.5 | 1 | +1 % |
사회민주당 (C) | Aksel V. Johannesen | 5,666 | 20.4 | 1 | 0 % |
통합당 (B) | Kaj Leo Johannesen | 5,500 | 23.5 | 0 | –1 % |
인민당 (A) | Jørgen Niclasen | 4,368 | 18.7 | 0 | -0.3 % |
진보당 (A) | Poul Michelsen | 749 | 3.2 | 0 | |
중심당 (H) | Jenis av Rana | 605 | 2.6 | 0 | 0 % |
자치당 (D) | Jógvan Skorheim | 403 | 1.6 | 0 | –0.7 % |
소계 | 210 | ||||
그린란드 | |||||
이누이트 아타카티이트 | Sara Olsvig | 7,904 | 1 | ||
전진 | Kim Kielsen | 7,831 | 1 | ||
민주당 | Anda Uldum | 1,753 | 0 | ||
감각 공동체 | Finn Karlsen | 1,526 | 0 | ||
중립당 | Hans Enoksen | 962 | 0 | ||
소계 | 2 | ||||
총계 (투표율: 85.3 %) | 179 |
;2019년 선거
;2022년 선거
사회민주당이 50석으로 최대 정당이었으며, 2석을 추가로 얻었다. 자유당은 23석으로 두 번째였으며, 20석을 잃었다. 세 번째는 최근에 설립된 모더레이츠로 16석을 얻으며 최대 승자가 되었다. 녹색좌파는 15석을 확보했다. 2022년에 설립된 반이민, 극우 정당인 덴마크 민주당과 자유동맹은 모두 14석을 확보했다.[28]
7. 사법 체계
덴마크는 독립적이고 전문적인 사법부를 가지고 있다.[29] 대다수의 공무원들과 달리, 덴마크 판사들은 국왕에 의해 직접 임명된다.[30] 그러나 헌법은 판사들이 오직 국가의 법률(즉, 법률, 법령 및 관행)만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규정함으로써 사법부의 정부 및 의회로부터의 독립성을 보장하기 때문에,[31] 임명 절차는 단순한 형식에 불과하다.
1999년까지 판사 임명은 사법 체계의 전반적인 행정을 담당했던 법무부의 책임이었다. 친족 등용 및 내부 편향에 대한 비난에 따라, 법무부는 1999년에 사법 임명 위원회와 덴마크 법원 행정부, 두 개의 자치 위원회를 설립하여 각각 법원 임명 및 행정을 담당하게 했다.[32][33]
8. 옴부즈만
덴마크 국회의 옴부즈만인 예르겐 스틴 쇠렌센(Jørgen Steen Sørensen)[35]은 변호사이며, 의회에서 선출되어 정부 감시 기관을 감찰하고 정부 통제하에 있는 기관을 감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주로 시민의 권리 보호에 중점을 둔다.[34] 옴부즈만은 교도소와 정신병원을 포함하여 시민의 자유가 박탈되는 장소를 자주 조사한다.[35]
옴부즈만은 정부에 대해 직접 조치를 취할 권한은 없지만, 정부가 덴마크 법을 위반할 가능성이 있는 사건에 대해 법원에 제소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옴부즈만은 조사 후 정부를 비판하고 문제를 공개적으로 제기할 수 있으며, 정부는 유권자와 의회에 미칠 수 있는 비용과 관계없이 그의 비판을 받아들이거나 무시할 수 있다.
9. 국내 및 외교 관계
아이슬란드, 그린란드, 페로 제도는 과거 덴마크의 속령이었다. 1918년 덴마크-아이슬란드 연합 조약으로 아이슬란드는 덴마크와 동군연합 관계의 왕국이 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4년 독립했다. 19세기 그린란드와 페로 제도는 주의 지위를 얻고 자체 입법부가 해산되어 단일 국가의 일부가 되었다.[36] 이후 페로 제도는 1948년, 그린란드는 1979년에 자치권을 획득했다.[36]
오늘날 그린란드와 페로 제도는 국내 문제에서 사실상 자치를 하며,[36] 자체 입법부와 행정부를 가진다. 그러나 이들 자치 입법부는 덴마크 의회(포크팅)에 종속되며, 각 지역은 2석씩을 가진다. 이러한 상황은 rigsfælleskab|리그스펠레스카브da로 불린다. 2009년 그린란드는 "자치권"의 형태로 더 큰 자치권을 얻었다.
덴마크의 외교 정책은 유럽의 주권 국가로서의 정체성에 기반하며, 주권 독립 국가로서 다른 국가와의 관계에 초점을 둔다. 덴마크는 오랫동안 다른 국가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해 왔다.
덴마크는 발트 3국(에스토니아,[37] 라트비아, 리투아니아)에 대한 서방의 지원 조정에 참여했다.[38] 또한, 국제 평화유지 활동을 적극 지지하며, 유엔 보호군, IFOR[39], SFOR[40] 등 전 유고슬라비아에 적극 참여했다. 아프가니스탄에서의 미국 작전을 지지하고 ISAF에 재정적, 물적으로 기여했다.[41] 이는 덴마크의 "적극적인 외교 정책"의 일환으로, 인권, 민주주의 등 가치를 적극 옹호한다. 최근 그린란드와 페로 제도는 어업, 고래잡이 및 지정학적 문제와 같은 외교 정책 문제에 대한 의견 개진이 보장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덴마크는 200년간의 중립 정책을 종료했다. 1949년 나토 창설 회원국이 되었으며, 나토 회원국 지위는 여전히 높은 인기를 얻고 있다.[42] 1982~1988년 "각주 시대"에는 안보 정책 문제로 미국과 덴마크 간 대립이 있었는데, 이는 사회 자유당(라디칼레 벤스트레)이 경제 정책에서는 여당을 지지했지만, 특정 나토 정책에는 반대하며 좌파와 함께 투표했기 때문이다. 보수 중도우파 정부는 이를 수용했다.[42] 냉전 종식 후, 덴마크는 동맹국 내 미국의 정책 목표를 지지해 왔다.
덴마크 국민은 "주저하는" 유럽인으로 알려져 있다. 1992년 마스트리히트 조약 비준을 거부하여 유럽 연합(EU) 계획을 보류시켰다.[43] 1992년 12월, EC는 덴마크를 유럽 연합의 특정 측면에서 제외하기로 합의했다. 암스테르담 조약은 1998년 국민투표에서 승인되었다. 2000년 가을, 덴마크 국민은 유로 통화권 가입을 거부했다. 리스본 조약은 덴마크 의회 단독으로 비준되었는데,[44] 헌법 제20조에 따른 국가 주권 포기로 간주되지 않았다.[45]
참조
[1]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Danish Politics
https://oxfordhandbo[...]
Oxford University Press
2020
[2]
웹사이트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2012
http://www.transpare[...]
[3]
웹사이트
Democracy Index 2016 - The Economist Intelligence Unit
https://www.eiu.com/[...]
2017-11-29
[4]
웹사이트
The V-Dem Dataset
https://www.v-dem.ne[...]
2023-10-14
[5]
서적
Political Parties: Old Concepts and New Challeng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2-05-16
[6]
웹사이트
The Monarchy today
http://kongehuset.dk[...]
2012-01-13
[7]
서적
Denmark: An Official Handbook
Krak
[8]
웹사이트
Fem grunde til at skrue ned for snakken om rød og blå blok
https://www.zetland.[...]
2018-01-15
[9]
웹사이트
'Bloc politics': A guide to understanding parliamentary elections in Denmark
https://www.thelocal[...]
2022-10-05
[10]
웹사이트
Løkke: Mit parti bygger på mine værdier, og det er ikke til diskussion
https://www.altinget[...]
2021-05-20
[11]
웹사이트
Alternativet vil have sin egen blok
https://www.informat[...]
2017-01-22
[12]
뉴스
Danish PM invites support parties into government
https://www.thelocal[...]
2016-11-21
[13]
뉴스
Denmark's new leader joins Nordic swing to left
https://www.bbc.co.u[...]
2019-06-27
[14]
뉴스
Frederiksen prepares to take over as new Danish prime minister
https://www.thelocal[...]
2019-06-27
[15]
뉴스
Denmark: Mette Frederiksen's Social Democrats win the best result in 20 years
https://progressivep[...]
2022-11-08
[16]
뉴스
Denmark election: Centre-left bloc comes out on top
https://www.bbc.com/[...]
2022-11-02
[17]
뉴스
Danish PM picks right-leaning rivals as key ministers in new government
https://www.reuters.[...]
2022-12-15
[18]
웹사이트
Section 14
http://www.servat.un[...]
ICL
[19]
웹사이트
Her er SVM-regeringens ministre - TV 2
https://nyheder.tv2.[...]
2022-12-15
[20]
웹사이트
Danmark får ny regering: "Det betyder ikke, vi er enige om alt"
https://www.altinget[...]
2022-12-13
[21]
웹사이트
Stephanie Lose bliver ny minister - TV 2
https://nyheder.tv2.[...]
2023-03-09
[22]
뉴스
Ellemann bliver forsvarsminister og Løkke bliver udenrigsminister
https://www.dr.dk/ny[...]
2022-12-15
[23]
웹사이트
About Denmark > Government & Politics
http://www.denmark.d[...]
[24]
웹사이트
What Can Denmark's Left Do With Its Largest Mandate in 60 Years?
https://www.worldpol[...]
2019-08-19
[25]
서적
Summary of the Constitution and Procedure of Foreign Parliaments
Vacher & sons
[26]
서적
De danske ministerier 1929–1953
Pensionsforsikringsanstalten
[27]
서적
Departementschefstyret
Politiken
[28]
웹사이트
The 2022 Danish Elections: Social Democrats Secure
https://www.iiea.com[...]
[29]
웹사이트
The Danish judicial system
http://www.domstol.d[...]
2009-03-20
[30]
서적
A Closer Look at the Courts of Denmark
http://www.domstol.d[...]
The Danish Court Administration
[31]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Denmark – Sections/Articles 62 and 64
http://www.servat.un[...]
[32]
웹사이트
The Judicial Appointments Council
http://www.domstol.d[...]
Danmarks Domstole
[33]
웹사이트
The Danish Court Administration
http://www.domstol.d[...]
2009-03-20
[34]
학술지
The Danish ombudsman A national watchdog with selected preferences
[35]
웹사이트
The Danish Parliamentary Ombudsman
http://en.ombudsmand[...]
[36]
웹사이트
The unity of the Realm
http://www.stm.dk/_p[...]
2012-08-31
[37]
웹사이트
Danish - Estonian Defence Cooperation
https://web.archive.[...]
2011-02-22
[38]
웹사이트
Danish - Latvian Defence Cooperation
https://web.archive.[...]
2011-02-22
[39]
서적
Bosnia: What Every American Should Know
https://archive.org/[...]
Berkley Books
[40]
서적
Bosnia-Hertsegovinia: The U.S. Army's Role in Peace Enforcement Operations 1995–2004
http://www.history.a[...]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41]
웹사이트
Danmarks Radio - Danmark mister flest soldater i Afghanistan
http://www.dr.dk/Nyh[...]
Dr.dk
2009-02-15
[42]
웹사이트
US Department of State: Denmark
https://2009-2017.st[...]
2012-06-16
[43]
웹사이트
Maastricht-traktaten & Edinburgh-afgørelsen 18. maj 1993
http://www.eu-oplysn[...]
2011-02-22
[44]
웹사이트
Denmark and the Treaty of Lisbon
http://www.eu-oplysn[...]
Folketinget
2011-10-20
[45]
웹사이트
No Danish vote on Lisbon Treaty
http://news.bbc.co.u[...]
BBC News
2007-12-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