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쿠가와 이에요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쿠가와 이에요시는 에도 막부의 12대 쇼군으로, 1793년에 태어나 1853년에 사망했다. 그는 11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나리의 차남으로 태어나 형의 요절로 세자가 되었고, 1837년 쇼군직을 물려받았다. 이에나리의 사후, 미즈노 다다쿠니를 등용하여 덴포 개혁을 추진했으나 실패로 돌아갔다. 이후 도이 도시쓰라, 아베 마사히로 등에게 정치를 맡기고, 사쓰마 번주 시마즈 나리오키를 은거시키는 등 정치적 조치를 취했다. 1853년, 미국의 매튜 페리가 흑선을 이끌고 우라가에 내항하자 이에 대한 대책을 논의하던 중 6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사후 셋째 아들 이에사다가 쇼군직을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쿠가와 이에나리의 자녀 - 도쿠가와 나리유키
    도쿠가와 나리유키는 에도 막부 쇼군 도쿠가와 이에나리의 아들이자 기슈번 11대 번주로, 사치스러운 생활로 번의 재정을 악화시켰으며 후계자 문제로 갈등을 겪었고, 그의 아들 도쿠가와 이에모치는 훗날 에도 막부 14대 쇼군이 되었다.
  • 도쿠가와 이에나리의 자녀 - 도쿠가와 나리카쓰
    에도 시대 후기, 시미즈 도쿠가와 가문과 기슈 도쿠가와 가문을 모두 계승한 도쿠가와 나리카쓰는 와카야마 번주로 재임 중 와카야마성 천수각 소실 등 다사다난한 시기를 보내다 30세에 사망했다.
  • 1853년 사망 - 후안 도노소 코르테스
    후안 도노소 코르테스는 자유주의에서 보수주의로 전향한 스페인의 정치가이자 사상가, 외교관으로, 이사벨 2세 여왕을 지지하며 정치적 중책을 맡았고, 가톨릭 교리를 옹호하며 자유주의와 사회주의를 비판하는 저서를 통해 가톨릭 보수주의에 기여했으나 권위주의적 성향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 1853년 사망 - 마리아 2세
    마리아 2세는 포르투갈의 여왕으로, 미겔 1세의 왕위 찬탈 후 망명 생활을 겪었으나 복위하여 교육 개혁에 힘썼으며, 정치적 혼란 속에서 통치하다 출산 중 사망하였다.
  • 에도 막부의 정이대장군 - 도쿠가와 히데타다
    도쿠가와 히데타다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셋째 아들이자 1605년부터 1623년까지 에도 막부의 제2대 쇼군으로 재임하며 오사카 전투에서 도요토미 가문을 멸망시키는 데 기여하고 막부의 통치 기반을 강화했으며, 쇄국정책을 추진하고 강력한 반기독교 정책을 시행했다.
  • 에도 막부의 정이대장군 - 도쿠가와 이에야스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센고쿠 시대 말기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이자 에도 막부 초대 쇼군으로, 탁월한 정치력과 군사적 재능으로 혼란기를 극복하고 에도 막부를 건설하여 일본 역사에 중요한 전환점을 만들었다.
도쿠가와 이에요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도쿠가와 이에요시
도쿠가와 이에요시 상 (도쿠가와 기념 재단 소장, 가노 마사노부 그림)
이름도쿠가와 이에요시
로마자 표기Tokugawa Ieyoshi
일본어 표기徳川 家慶
아명도시지로 (敏次郎)
시호신도쿠인 (慎徳院)
계명신도쿠인덴텐렌샤 준요도진 다이코지 (慎徳院殿天蓮社順譽道仁大居士)
묘소도쿄도미나토구 산엔잔 고쿠도인 조조지 (三縁山広度院増上寺)
출생1793년 6월 22일
출생지에도 성, 에도, 도쿠가와 막부 (현재의 도쿄, 일본)
사망1853년 7월 27일 (60세)
사망지요코하마, 도쿠가와 막부
정치
정치 체제에도 막부 제12대 쇼군
재임 기간1837년 9월 4일 ~ 1853년 7월 27일
이전 쇼군도쿠가와 이에나리
다음 쇼군도쿠가와 이에사다
천황닌코 천황
고메이 천황
관위종1위
태정대신 (추증)
곤다이나곤
우근위대장
내대신
좌근위대장
좌대신
가계
씨족도쿠가와 씨
아버지도쿠가와 이에나리
어머니오시다 데루코
정실다카코 여왕 (楽宮喬子女王)
측실다수
자녀이에사다
요시마사
아키히메
기타 다수

2. 생애

1793년 제11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나리의 차남으로 태어나, 맏형의 요절로 쇼군 계승자가 되었다. 1837년 아버지가 은퇴하자 45세의 나이로 쇼군직을 물려받았으나, 실권은 아버지가 계속 행사했다.

1841년 아버지가 사망한 후 비로소 친정을 시작하여, 로주 수좌 미즈노 다다쿠니를 등용해 덴포의 개혁을 추진했다. 이 개혁은 막부 재정 재건을 목표로 했으나, 지나친 긴축과 통제로 백성들의 불만을 샀고 1843년 상지령 실패를 계기로 미즈노 다다쿠니가 실각하면서 좌절되었다.[3]

개혁 실패 후에는 아베 마사히로 등에게 정치를 맡겼으며, 오유라 소동 등 번 내부 문제에 개입하고 도쿠가와 나리아키 등에게 정치적 처분을 내리기도 했다. 1844년에는 네덜란드 국왕 빌럼 2세의 개국 권고를 거절하는 등 쇄국 정책을 유지했다.

1853년 6월 3일, 미국의 매슈 페리 제독이 이끄는 흑선이 우라가 앞바다에 나타나 개항을 요구하는 사건(흑선 내항)이 발생했다. 막부가 이 문제로 혼란을 겪던 중, 같은 해 6월 22일 (음력) 향년 61세로 급사했다. 사인은 열사병으로 인한 심부전으로 알려져 있다.[11][4] 그의 사후 아들 도쿠가와 이에사다가 쇼군직을 계승했고, 막부는 결국 미국의 압력에 굴복하여 이듬해 가나가와 조약을 체결하게 된다.

2. 1. 출생과 성장

1793년 6월 22일 제11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나리의 차남으로 에도 성에서 태어났다.[11] 아명은 토시지로(敏次郎)였다. 어머니는 막신 오시다 토시카쓰(押田敏勝)의 딸인 코린인(香琳院, 또는 테루코(輝子))이다. 맏형인 다케치요가 요절했기 때문에 쇼군 계승자로 지명되었다.

2. 2. 쇼군 취임과 덴포 개혁

1837년 9월 2일(덴포 8년), 아버지인 11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나리가 은퇴함에 따라 45세의 나이로 제12대 쇼군직을 계승했다.[1] 하지만 실권은 여전히 은퇴한 아버지 이에나리가 장악하고 있었다. 1841년 이에나리가 사망하자, 이에요시는 비로소 친정을 시작하여 자신의 넷째 아들 이에사다를 쇼군 후계자로 정했다.

아버지 사후, 이에요시는 로주 수좌(首席)로 미즈노 다다쿠니를 중용하여 이에나리 시대의 측근들을 숙청하고 덴포 개혁을 단행했다. 덴포 개혁은 덴포 대기근 등으로 피폐해진 막부 재정을 재건하고 기강을 확립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미즈노 다다쿠니는 강력한 사치 금지령과 긴축 재정 정책을 추진했으나, 이는 백성들의 오락과 부의 과시를 지나치게 제한하여 큰 불만을 샀다. 또한, 이에요시 정권은 언론 통제를 강화하여 1839년 모리슨호 사건을 비판한 다카노 조에이, 와타나베 가잔 등 개혁적인 랑가쿠(蘭学, 네덜란드 학문) 학자들을 탄압하는 반샤노고쿠(蛮社の獄)를 일으켰다.

1843년(덴포 14년)에는 개혁의 일환으로 에도오사카 주변의 다이묘하타모토 영지를 막부 직할령으로 편입하려는 상지령(上知令, 아게치레이)을 발표했다. 이는 전략적 요충지에 대한 막부의 통제력을 강화하려는 목적이었으나, 해당 지역의 다이묘와 하타모토는 물론 모든 계층의 다이묘들로부터 격렬한 반발에 부딪혔다.[3] 결국 이에요시의 판단에 따라 이듬해인 1844년 상지령은 철회되었다. 같은 해 5월에는 에도성 혼마루(本丸)가 화재로 소실되는 사건까지 겹치면서, 개혁 실패의 책임을 물어 미즈노 다다쿠니는 실각하고 덴포 개혁은 좌절되었다.

미즈노 다다쿠니 실각 후, 이에요시는 도이 도시쓰라, 아베 마사히로, 쓰쓰이 마사노리 등에게 정치를 맡겼다.

2. 3. 개혁 실패 이후

덴포 14년(1843년), 막부가 에도오사카 주변의 다이묘하타모토 영지를 막부 직할령으로 편입하려던 상지령(아게치령)이 격렬한 반발에 부딪혔다. 결국 도쿠가와 이에요시의 판단으로 이듬해 철회되었고, 개혁을 주도하던 로주 수좌 미즈노 다다쿠니는 실각하면서 덴포의 개혁은 좌절되었다.[3]

미즈노 다다쿠니 실각 이후, 이에요시는 도이 도시쓰라, 아베 마사히로, 쓰쓰이 마사노리 등에게 정치를 맡겼다. 또한 오유라 소동에 개입하여 사쓰마번시마즈 나리오키를 은거시키고, 미토번도쿠가와 나리아키에게 은거와 근신을 명령했다. 이와 함께 1847년에는 도쿠가와 나리아키의 일곱째 아들인 시치로마(도쿠가와 요시노부)에게 히토쓰바시 가문을 상속하도록 했다.

1844년, 네덜란드 국왕 빌럼 2세가 보낸 개국 권고 친서를 공식적으로 거절하였다.

1853년(가에이 6년) 6월 3일, 미국의 매튜 페리 제독이 4척의 군함(흑선)을 이끌고 우라가 앞바다에 나타나 개항을 요구했다(흑선 내항). 막부 수뇌부가 그 대책 마련에 고심하던 중, 같은 해 6월 22일 이에요시는 향년 61세로 사망했다. 사인은 열사병으로 인한 심부전으로 알려져 있다.[11][4]

2. 4. 흑선 내항과 사망

1853년(가에이 6년) 6월 3일, 미국의 매슈 페리 제독이 4척의 군함(흑선)을 이끌고 우라가 앞바다에 나타나 일본과의 무역 개방 조약 체결을 요구했다(흑선 내항).[1] 갑작스러운 외세의 등장에 막부 각료들은 그 대책 마련에 고심하였다.

우라가 앞바다에 나타난 흑선 기함 서스케하나호 (1853년)


목판화로 묘사된 매슈 페리 제독 (1854년경)


이러한 혼란 속에서 도쿠가와 이에요시는 1853년 7월 27일(음력 6월 22일) 향년 61세로 갑작스럽게 사망했다. 더위를 먹고 쓰러진 것(열사병으로 인한 심부전)이 사인으로 알려져 있다.[11][4] 그의 뒤를 이어 셋째 아들인 도쿠가와 이에사다가 제13대 쇼군으로 취임했다.

이에요시 사후 이듬해인 1854년, 도쿠가와 막부는 결국 미국의 요구를 받아들여 가나가와 조약을 체결하고 항구를 개방하게 되었다.

도쿠가와 이에요시의 묘는 도쿄 시바조조지에 있는 도쿠가와 가문의 묘소에 있으며, 불교식 이름은 신토쿠인(神徳院)이다.

조조지에 있는 이에요시의 묘비

3. 가족 관계


  • 정실: 아리스가와 다카코(有栖川 喬子, 1795년 ~ 1840년), 후에 조칸인(浄観院)
  • 아리스가와노미야 오리히토 친왕(有栖川宮織仁親王)의 여섯 번째 딸이다. 1804년(분카 원년) 10세의 나이로 에도성의 니시노마루(西の丸)로 거처를 옮겼고, 1810년(분카 7년) 정식으로 혼례를 올렸다. 1813년(분카 10년) 아들 다케치요(竹千代)를 낳았고, 1815년(분카 12년)과 1816년(분카 13년)에 딸을 낳았다.

  • 측실

이름별칭/법명생몰년비고
오하나노카타(お花の方)? ~ 1844년
오카네노카타(お加根の方)겐코인(見光院)? ~ 1843년원본 소스에는 미코인(Mikōin)으로 표기되었으나, 요약에는 겐코인(見光院)으로 표기됨. 요약 기준 반영.
오후데노카타(お筆の方)슈묘인(殊妙院)? ~ 1844년
오미쓰노카타(お美津の方)혼주인(本寿院)1807년 ~ 1885년도쿠가와 이에사다의 생모
오코토노카타(お琴の方)묘온인(妙音院)? ~ 1855년
오쓰유노카타(おつゆの方)슈게쓰인(秋月院)? ~ 1888년
오카주노카타(お加久の方)묘카인(妙華院)1803년 ~ 1826년
오히사노카타(お久の方)세이료인(清涼院)? ~ 1847년


  • 자녀

도쿠가와 이에요시는 정실과 여러 측실 사이에서 13명의 아들과 11명의 딸을 두었으나, 20세 이상 생존한 아들은 도쿠가와 이에사다 한 명뿐이었다.

이름생몰년생모비고
다케치요(竹千代)1813년 ~ 1814년다카코(정실)요절
다쓰히메(達姫)1814년 ~ 1818년오카주노카타요절
토모히메(友姫)1815년 ~ 1815년다카코(정실)요절
사이겐인(最玄院)1816년 ~ 1816년다카코(정실)요절 (딸)
요치요(嘉千代)1819년 ~ 1820년오히사노카타요절
엔레이인(円麗院)1822년 ~ 1822년오카주노카타요절 (딸)
도쿠가와 이에사다(徳川家定)1824년 ~ 1858년오미쓰노카타제13대 쇼군
마이히메(米姫)1824년 ~ 1829년오하나노카타요절
도쿠가와 요시마사(徳川慶昌)1825년 ~ 1838년오히사노카타히토쓰바시 도쿠가와가(一橋徳川家) 상속
테루히메(暉姫)1826년 ~ 1840년오히사노카타다야스 도쿠가와가(田安徳川家)의 도쿠가와 요시요리(徳川慶頼)와 혼인, 후에 테이메이인(貞明院)
한히메(半姫)1826년 ~ 1826년오카주노카타요절
도쿠가와 하루노죠(徳川春之丞)1826년 ~ 1827년오미쓰노카타요절
도쿠가와 아쓰고로(徳川篤五郎)1828년 ~ 1829년오미쓰노카타요절
도쿠가와 지키마루(徳川誠丸)1829년 ~ 1830년오후데노카타요절
도쿠가와 긴노죠(徳川銀之丞)1832년 ~ 1833년오후데노카타요절
사토히메(里姫)1833년 ~ 1834년오카네노카타요절
치에히메(知恵姫)1835년 ~ 1836년오후데노카타요절
요시히메(芳姫)1836년 ~ 1837년오카네노카타요절
도쿠가와 카메고로(徳川亀五郎)1838년 ~ 1839년오후데노카타요절
마이지히메(万寿姫)1839년 ~ 1840년오카네노카타요절
와카히메(若姫)1842년 ~ 1843년오카네노카타요절
쇼요인(照耀院)1843년 ~ 1843년오카네노카타요절 (딸)
오쿠히메(奥姫)1844년 ~ 1845년오코토노카타요절
도쿠가와 타다시마루(徳川忠丸)1845년 ~ 1846년오코토노카타요절
후키히메(훗키히메, 吹姫)1847년 ~ 1852년오쓰유노카타요절
와라히메(稚姫)1848년 ~ 1848년오코토노카타요절. 원본 소스에는 Tokugawa Warahina로 표기됨.
사신인(薩摩院)1849년 ~ 1849년오쓰유노카타요절 (아들). 원본 소스에는 Sashinin'으로 표기됨.
도쿠가와 초노스케(徳川長之助)1852년 ~ 1853년오코토노카타요절


  • 양녀

이름생몰년비고
이토노미야 다카코(糸宮喬子)1835년 ~ 1856년후시미노미야 구니이에 친왕(伏見宮邦家親王)의 딸. 미토번(水戸藩)주 도쿠가와 요시아쓰(徳川慶篤)와 혼인. 딸 나미히메(猶姫, 1854년 출생)는 도쿠시마번(徳島藩)주 하치스카 모치아키(蜂須賀茂韶)와 혼인.
아키노미야 아키코(鑑宮욀子)1825년 ~ 1913년후시미노미야 구니이에 친왕(伏見宮邦家親王)의 딸. 구루메번(久留米藩)주 아리마 요리시게(有馬頼咸)와 혼인.


4. 용모와 평가

유골 조사 결과, 도쿠가와 이에요시의 추정 신장은 154.4cm로 작은 편이었으며, 머리가 매우 크고 턱이 긴 독특한 6등신 체형이었다. 이 때문에 현존하는 초상화는 이에요시 생전의 특징을 매우 충실하게 묘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모발 등의 조사 결과 혈액형은 B형이었으며,[7] 미토콘드리아 DNA는 하플로그룹 M7a였다.[7]

마쓰다이라 하루아키는 저서 『逸事史補』에서 이에요시를 “평범한 인물”이라고 평가했다. 신하의 의견을 들어도 “그렇게 하시오(そうせい|소세이일본어)”라고만 답했기 때문에 “소세이사마(そうせい様|소세이 사마일본어)”라는 별명이 붙었다고 한다. 실제로 이에요시가 스스로 정치를 주도한 경우는 드물었다는 평가가 있다. 그러나 인재를 보는 눈과 등용할 시기를 판단하는 시대적 감각은 뛰어났다는 평가도 받는다. 아버지 도쿠가와 이에나리 사후, 그의 측근들을 숙청하고 미즈노 다다쿠니를 등용하여 덴포의 개혁을 실행하게 했으며, 개혁이 실패로 돌아가자 당시 24세였던 아베 마사히로를 후임 로쥬 수좌로 발탁하는 등 빠른 결단력을 보여주기도 했다. 또한 쇼나이번 등에 대한 삼방령지바꾸기를 중지시키는 등 쇼군으로서 어느 정도 지도력을 발휘한 점을 고려할 때, 단순히 평범하거나 무능한 인물로 단정하기는 어렵다는 시각도 존재한다.[6] 『속 도쿠가와 실기』에서는 이에요시를 “성격이 조용하고 신중하며 재능이 뛰어났다”라고 기록했다.

자녀는 도쿠가와 이에사다, 도쿠가와 요시마사 등 14남 13녀를 두었으나 대부분 요절했고, 20세를 넘겨 생존한 것은 이에사다뿐이었다. 하지만 이에사다 역시 병약하여 자녀를 남기지 못하면서 이에요시의 직계 혈통은 단절되었다. 이에요시는 이에사다의 건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오늘날의 재활 치료와 같은 시도를 했으나 큰 효과를 보지는 못했다.[4]

닛코 사참 및 순견사 파견을 실시한 마지막 쇼군이다. 회화에도 재능이 있어 직접 그린 그림이 남아 있으며, 개인 문장으로는 바깥은 팔각형이고 안쪽은 원으로 둘러싸인 세잎 접시꽃 문양을 사용했다.[10] 아버지 이에나리처럼 구운 생선에 곁들여 나오는 생강을 매우 좋아하여, 덴포의 개혁 당시 검약을 이유로 식탁에서 생강이 빠지자 분개했다는 일화가 있다. 또한 무예를 장려하여 4개월 동안 8번이나 무술 시범 행사를 열기도 했다.

묘소 발굴 당시 비단으로 만든 깔개 2장이 발견되었는데, 이 비단은 카이 국 다니무라[8]에서 생산된 군내지마[9]로 추정된다.

5. 연호

이에요시(徳川家慶)가 쇼군(將軍)이었던 시기는 여러 연호(年号)로 구분된다.


  • 덴포(天保) (1830년–1844년)
  • 고카(弘化) (1844년–1848년)
  • 가에이(嘉永) (1848년–1854년)

6. 기타

(내용 없음)

참조

[1] 서적 Early Modern Japan https://books.google[...]
[2] 웹사이트 Genealogy https://reichsarchiv[...] 2010-05-06
[3] 문서 그 후, 충방을 로중에 재임명했지만, 최종적으로는 충방에게 감봉과 은거, 금족을 명령했다.
[4] 서적 徳川将軍家十五代のカルテ 2005-05
[5] 문서 掃部山公園상 (요코하마시 인정 역사적 건조물)
[6] 서적 評伝 堀田正睦 国書刊行会 2003-05
[7] 간행물 エイ出版社
[8] 문서 야마나시현 민토루군 야무라, 정 시행 야무라정, 현 도루시.
[9] 웹사이트 郡内縞 https://kotobank.jp/[...]
[10] 서적 家紋と家系事典 名前からわかる自分の歴史 講談社+α文庫 1995-11
[11] 서적 徳川将軍家十五代のカルテ 新潮新書 2005-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