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은 서울특별시 중구 광희동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서울 지하철 2호선, 4호선, 5호선이 지나는 환승역이다. 1983년 서울운동장역으로 시작하여 동대문운동장역을 거쳐 2009년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다. 2호선은 상대식 승강장, 4호선과 5호선은 섬식 승강장이며, 총 14개의 출구가 있다.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DDP), 동대문시장 등이 역 주변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중구의 전철역 - 을지로입구역
    을지로입구역은 서울 지하철 2호선 역으로, 1983년 개통하여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8개의 출구를 갖추고 있으며 롯데백화점 본점, 명동 거리 등이 인접해 있다.
  • 서울 중구의 전철역 - 명동역
    명동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에 위치한 섬식 승강장의 지하역으로, 개통 이후 역명 변경을 거쳐 현재 명동 상권, 남대문시장 등과 연결되어 있으며, 2000년대 초반 최고점을 기록한 일평균 이용객 수는 감소 추세에 있다.
  • 서울 지하철 2호선의 역 - 을지로입구역
    을지로입구역은 서울 지하철 2호선 역으로, 1983년 개통하여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8개의 출구를 갖추고 있으며 롯데백화점 본점, 명동 거리 등이 인접해 있다.
  • 서울 지하철 2호선의 역 - 성수역
    성수역은 서울 지하철 2호선에 있는 역으로, 1980년 개통하여 섬식 승강장과 풀스크린 타입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을지로순환선과 성수지선이 지나고 주변에는 다양한 시설이 위치해 있다.
  •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역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역 - 신용산역
    신용산역은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용산역 인근에 위치한 지하철역이다.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역 정보
역 표지판 (4호선)
역 표지판 (4호선)
주소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7가 1
운영 기관서울교통공사
노선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 지하철 4호선
서울 지하철 5호선
승강장4개
선로6개
구조지하역
개업일1983년 9월 16일 (서울 지하철 2호선)
1985년 10월 18일 (서울 지하철 4호선)
1996년 12월 30일 (서울 지하철 5호선)
이전 역 이름동대문운동장
승객 수 (일일)2012년 1월~12월 기준
승객 수 (2호선)34,683명
승객 수 (4호선)41,259명
승객 수 (5호선)5,836명
노선 정보
2호선 역 번호205
2호선 영업 거리시청 기점 3.1 km
2호선 이전 역을지로4가 (204)
2호선 이전 역 간 거리1.0 km
2호선 다음 역신당 (206)
2호선 다음 역 간 거리0.9 km
4호선 역 번호422
4호선 영업 거리진접(경복대) 기점 16.1 km
4호선 이전 역동대문 (421)
4호선 이전 역 간 거리0.7 km
4호선 다음 역충무로 (423)
4호선 다음 역 간 거리1.3 km
5호선 역 번호536
5호선 영업 거리방화 기점 27.3 km
5호선 이전 역을지로4가 (535)
5호선 이전 역 간 거리0.9 km
5호선 다음 역청구 (537)
5호선 다음 역 간 거리0.9 km
인접 역 정보
2호선 인접 역을지로4가역 - 신당역
4호선 인접 역동대문역 - 충무로역
5호선 인접 역을지로4가역 - 청구역
기타 정보

2. 역사

1983년 9월 16일 서울 지하철 2호선 을지로입구 ~ 성수 구간 개통과 함께 '''서울운동장역'''(서울運動場驛)으로 영업을 시작했다.[13] 1985년 10월 18일 수도권 전철 4호선 한성대입구 ~ 사당 구간이 개통하며 환승역이 되었고,[15][9] 같은 해 10월 24일 역명을 '''동대문운동장역'''(東大門運動場驛)으로 변경하였다.[16][10]

1996년 12월 30일 서울 지하철 5호선 여의도 ~ 왕십리 구간이 개통되면서 3개 노선 환승역이 되었다. 2007년부터 서울 지하철 2호선 승강장을 시작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기 시작했다. 동대문운동장이 철거되고 동대문역사문화공원이 조성됨에 따라 2009년 10월 29일 역명을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으로 변경하였다.[17][7]

2017년 5월 31일 서울메트로와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가 서울교통공사로 통합되면서 2, 4, 5호선 모두 서울교통공사 소속 역이 되었다. 2018년 7월 18일부터 9월 20일까지 4호선과 5호선 간 환승 통로의 에스컬레이터 공사로 인해 해당 통로가 일시 폐쇄되었다가[18][19][11] 9월 21일 재개통되었다. 2019년 12월 26일에는 역명에 DDP가 병기되어 '''동대문역사문화공원(DDP)역'''으로 변경되었다.

2. 1. 서울운동장역 (1983년 ~ 1985년)

1983년 6월 30일: 역명을 '''서울운동장역'''(서울運動場驛)으로 결정하였다.[13]

1983년 9월 13일: 수도권 전철 4호선 역명도 '''서울운동장역'''으로 결정되었다.[14]

1983년 9월 16일: 서울 지하철 2호선 을지로입구 ~ 성수 구간 개통과 함께 '''서울운동장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1985년 10월 18일: 수도권 전철 4호선 한성대입구 ~ 사당 구간이 개통되면서 환승역이 되었다.[15][9]

2. 2. 동대문운동장역 (1985년 ~ 2009년)

1983년 9월 16일, 서울 지하철 2호선 을지로입구 ~ 성수 구간이 개통되면서 '''서울운동장역'''(서울運動場驛)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영업을 시작했다.[13] 1985년 10월 18일에는 수도권 전철 4호선 한성대입구 ~ 사당 구간이 개통되어 2호선과의 환승역이 되었다.[15][9] 며칠 뒤인 1985년 10월 24일, 역 이름이 '''동대문운동장역'''(東大門運動場驛)으로 변경되었다.[16][10]

1996년 12월 30일에는 서울 지하철 5호선 여의도 ~ 왕십리 구간이 개통되면서 2호선, 4호선, 5호선 세 개의 노선이 만나는 주요 환승 거점이 되었다. 당시 5호선은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가 운영하였다. 2005년 1월 1일에는 2호선과 4호선을 운영하던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가 서울메트로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안전 시설 개선의 일환으로 2007년부터는 서울 지하철 2호선 승강장부터 순차적으로 스크린도어 설치가 시작되었다.

이후 동대문운동장이 철거되고 그 자리에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를 포함한 동대문역사문화공원이 조성됨에 따라, 2009년 10월 29일 역명은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으로 다시 변경되어[17] '동대문운동장역'이라는 이름은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2. 3.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2009년 ~ 현재)

2009년 10월 29일, 기존의 '''동대문운동장역'''에서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17][7] 2017년 5월 31일에는 서울메트로와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가 서울교통공사로 통합됨에 따라, 2호선, 4호선, 5호선 모두 서울교통공사 소속 역이 되었다.

2018년 7월 18일부터 9월 20일까지는 4호선5호선 간 환승 통로의 노후 에스컬레이터 교체 공사로 인해 해당 통로가 일시적으로 폐쇄되기도 했다.[18][19][11] 공사 완료 후 9월 21일부터 환승 통로는 다시 개통되었다. 이후 2019년 12월 26일에는 역명에 DDP가 병기되어 '''동대문역사문화공원(DDP)역'''으로 변경되었다.

2. 3. 1. 2018년 환승통로 폐쇄

2018년 7월 18일부터 9월 20일까지 약 두 달간 4호선5호선을 잇는 환승 통로가 폐쇄되었다.[11] 서울교통공사는 노후 에스컬레이터 교체 공사를 위해 해당 통로를 폐쇄한다고 밝혔으며, 당초 부분 폐쇄도 검토했으나 역사 내 혼잡도 증가와 승객 안전을 고려해 전면 폐쇄를 결정했다.[20]

이 조치로 인해 공사 기간 동안 2호선·4호선5호선 사이의 직접 환승이 불가능해졌고, 이로 인해 해당 구간 환승객들은 인근 역으로 우회해야 하는 불편을 겪었다.[20] 또한, 5호선 승강장은 6번과 7번 출구로만 연결되어 있어, 폐쇄 기간 중에는 2호선이나 4호선 이용객이 6·7번 출구를 이용할 수 없었으며, 반대로 5호선 이용객은 6·7번 출구만을 통해 역을 드나들 수 있었다.[20]

2018년 9월 17일, 서울교통공사는 공사가 조기 완공되었음을 발표하고, 같은 달 9월 21일부터 통로를 다시 개방했다.[20]

3. 역 구조

2호선은 상대식 승강장, 4호선5호선섬식 승강장 구조이다. 출구는 총 14개가 있으며, 모든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2호선과 4호선, 4호선과 5호선 사이에는 각각 환승 통로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2호선-4호선 또는 4호선-5호선 간 환승은 비교적 편리하다. 하지만 2호선에서 5호선으로 환승하려면 4호선 승강장을 거쳐야 하므로 환승 거리가 매우 길다. 이 경우 을지로4가역이나 왕십리역을 이용하는 것이 더 편리하다.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은 4호선과 5호선이 직접 만나는 유일한 환승역이다.

특히 4호선 승강장은 열차와 승강장 사이의 간격이 10cm 이상으로 넓어, 대한민국에서 발 빠짐 사고가 가장 자주 발생하는 역 중 하나로 보고되었다(42건).[21]

3. 1. 2호선 승강장

wikitext

승강장 구조
을지로4가신당
내선 순환외선 순환



외선 순환2호선을지로4가 · 을지로입구 · 시청 · 홍대입구 · 신도림 방면
내선 순환2호선신당 · 성수 · 건대입구 · 잠실 · 삼성 · 강남 · 교대 방면



2호선 승강장(2018년 촬영)


2호선 승강장은 지하 2층에 위치한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지하역이다.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4호선으로 환승하려면, 양쪽 승강장 모두 을지로4가역 방향에 있는 연결 계단을 이용하면 된다. 5호선으로 환승하려면 4호선 승강장이나 개찰구층을 거쳐야 한다.

3. 2. 4호선 승강장

4호선 승강장(2018년 촬영)


4호선 승강장은 지하 3층에 있다. 섬식 승강장이며, 1면 2선 구조이다.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2호선으로 환승하려면 외선 순환(시청 방면)은 승강장 동대문역 방향 계단을, 내선 순환(성수 방면)은 그 앞 계단을 이용하면 된다. 5호선으로 환승하려면 승강장 충무로역 방향 계단을 통해 연결 통로로 이동할 수 있다.

4호선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승강장 구조 (B3F)
동대문 (진접 방면)
하행승강장상행
style="border-top:0; border-bottom:0;" |style="border-top:0; border-bottom:0;" |
충무로 ↓ (오이도 방면)




3. 3. 5호선 승강장

5호선 승강장(2018년 촬영)


지하 5층에 위치한 섬식 승강장으로, 1면 2선의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의 청구역 방향 끝에는 2호선4호선으로 갈아탈 수 있는 연결 통로가 있고, 을지로4가역 방향 끝에는 개찰구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이 있다.

을지로4가
| 상
청구



방향행선지
상행 (5호선)광화문 · 충정로 · 여의도 · 까치산 · 김포공항 · 방화 방면
하행 (5호선)청구 · 군자 · 광나루 · 천호 · 하남검단산 · 마천 방면


4. 역명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으로 역명을 변경하기 이전의 이름은 동대문운동장역이었다. 이는 인근에 1925년 개장한 동대문운동장이 위치하고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동대문운동장의 옛 이름은 서울운동장이었기 때문에, 초기 역명 역시 서울운동장역이었으나, 1985년 7월 27일 동대문운동장으로 개칭되면서 역명도 함께 변경되었다.

시간이 흘러 2003년 3월 1일부터 동대문운동장은 임시주차장과 풍물시장으로 이용되었고, 2007년 12월 18일 동대문야구장 철거를 시작으로 2008년 5월 14일 동대문운동장 축구장까지 철거되어 사라졌다. 그러나 철거 후에도 인지도가 높아 역명은 유지되다가, 동대문운동장 부지에 동대문역사문화공원이 조성되면서 역명을 변경하게 되었다.

2009년 10월 27일 동대문운동장이 철거된 자리에 동대문역사문화공원이 문을 열었다. 이에 따라 서울특별시10월 29일 이 역의 이름을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으로 변경 고시하였고, 12월 1일부터 바뀐 역명을 사용하고 있다.[22] 역명 변경 당시 9글자로, 2014년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문전역이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으로 바뀌기 전까지 대한민국에서 가장 긴 철도 역명이었다. 현재도 환승역 중에는 가장 길고 수도권 전철 역 중에서도 가장 길다.

역명과는 달리 실제 위치는 동대문구가 아닌 중구 광희동에 위치하고 있다.

5. 역 주변



대한민국 식품회사인 CJ제일제당 본사는 서울특별시 중구 쌍림동의 CJ제일제당빌딩에 위치해 있으며, 역과 가깝다.[6]

출구 번호주요 시설 및 방향
1동대문 디자인 플라자(DDP) 방면
2한양중학교, 한양공업고등학교 방면
13국립중앙의료원 방면
14청계천 (오간수교) 방면


6. 이용객 변동

최근 일일 평균 이용객 추이(단위: 명)는 다음과 같다.

노선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출처
-- 2호선승차 인원26,60925,11424,40222,83424,21822,94921,40719,92618,17017,195[12]
하차 인원29,40428,10926,89125,93027,41926,13124,35322,31120,80820,024
승하차 인원56,01453,22351,29248,76451,63849,08045,76042,23738,97837,219
-- 4호선승차 인원32,88331,60629,72129,01730,00728,17226,07623,31621,95221,231
하차 인원35,71034,55832,53531,29931,41629,14426,91024,14922,05721,060
승하차 인원68,59366,16462,25660,31661,42357,31752,98647,46544,00942,292
-- 5호선승차 인원1,5641,7691,8451,8791,8411,7891,6901,6071,6501,642
하차 인원2,3242,5202,5202,5212,3952,3112,1262,0542,1032,089
승하차 인원3,8884,2894,3654,4004,2364,1003,8163,6613,7533,731
노선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출처
-- 2호선승차 인원16,47617,07916,84916,64319,05618,84819,53719,18419,498[12]
하차 인원19,18119,56419,27619,14522,10721,63722,52522,07422,069
승하차 인원35,65736,64336,12535,78841,16340,48542,06241,25841,567
-- 4호선승차 인원20,82821,29521,05120,27023,50822,71923,84223,44322,111
하차 인원20,49420,99620,46819,35621,78020,99621,77721,39020,124
승하차 인원41,32242,29141,51939,62645,28843,71545,61944,83342,235
-- 5호선승차 인원1,7842,3792,6112,6522,8752,9942,9822,8352,978
하차 인원2,2833,0563,2733,2703,4883,5993,5683,3843,728
승하차 인원4,0665,4355,8845,9226,3636,5936,5506,2196,706


7. 인접한 역

; 서울교통공사

: -- 2호선

:: 을지로4가역(204)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205)''' - 신당역(206)

: -- 4호선

:: 동대문역(421)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422)''' - 충무로역(423)

: -- 5호선

:: 을지로4가역(535)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536)''' - 청구역(537)

참조

[1] 웹사이트 http://terms.naver.c[...] Doosan Encyclopedia 2016-01-25
[2] 웹아카이브 Monthly Number of Passengers between Subway Stations https://web.archive.[...] 2014-10-06
[3] 웹사이트 Dongdaemun Market Description http://www.visitkore[...] 2010-03-05
[4] 웹사이트 http://m.seoul.co.kr[...] 2015-02-21
[5] 웹사이트 Beware: Dongdaemun station to shut transfer passageway to Line 5 https://www.koreatim[...] 2018-07-11
[6] 웹사이트 Company location http://eng.cjcheilje[...] 2012-10-09
[7] 뉴스 동대문운동장역 이름도 24년 만에 역사 속으로 http://news.joins.co[...] 중앙일보 2009-11-03
[8] 웹사이트 동역문역 환승구간 폐쇄 첫날, 혼란은 없었다 https://www.huffingt[...] 2018-07-18
[9] 뉴스 지하철(지하철)3.4호선 완전開通(개통)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5-10-18
[10] 간행물 서울특별시고시 제698호 http://www2.seoul.go[...] 1985-10-16
[11] 뉴스 東大門歴史文化公園駅の5号線乗り換え通路、18日から閉鎖 http://japanese.dong[...]
[12]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http://www.seoulmetr[...]
[13] 간행물 서울특별시고시 제326호 http://event.seoul.g[...] 1983-06-30
[14] 간행물 서울특별시고시 제475호 http://event.seoul.g[...] 1983-09-13
[15] 뉴스 지하철(지하철)3.4호선 완전開通(개통)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5-10-18
[16] 간행물 서울특별시고시 제698호 http://event.seoul.g[...] 1985-10-16
[17] 간행물 서울특별시고시 제2009-428호 http://event.seoul.g[...] 2009-10-29
[18] 뉴스인용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5호선 환승 통로, 7월 18일∼10월 31일 전면폐쇄 http://news.donga.co[...] 2018-06-12
[19] 뉴스인용 5호선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환승통로 21일 조기 재개통 https://www.yna.co.k[...] 2020-03-08
[20] 뉴스 서울 5호선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환승통로 10월까지 폐쇄 https://news.naver.c[...] 한겨레 2018-07-11
[21] 뉴스인용 지하철역 승강장 틈 발빠진 사고 5년간 327건 http://www.seoul.co.[...] 2020-03-08
[22] 뉴스인용 [구구동동] 동대문운동장역 이름도 24년 만에 역사 속으로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2009-11-03
[23]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http://www.seoulmetr[...]
[24]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http://www.seoulmetr[...]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