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아시아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CEPEA)은 2006년 일본의 제안으로 시작되어, 동아시아 지역의 경제 통합을 목표로 하는 협정이다. CEPEA는 관세 철폐뿐 아니라 투자, 지식 재산권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함하며, 동아시아 자유 무역 지대(EAFTA)와 함께 논의되었다. 아세안 국가들과 한국, 중국, 일본, 인도, 호주, 뉴질랜드가 참여하여, 2011년 역내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RCEP)으로 통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대외 관계 - 친일
친일은 일본에 대한 긍정적 감정이나 일본 관련 동향에 대한 긍정적 해석을 의미하며, 일제강점기 친일반민족행위자를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며, 국가 간 관계, 문화적 교류, 경제적 영향 등 다양한 요소가 친일 감정 형성에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 일본의 대외 관계 -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조총련)는 1955년 결성된 재일 조선인 단체로, 북한을 지지하며 교육, 금융, 언론 기관을 산하에 두고 북한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 왔으나, 일본 정부의 감시 대상이자 사회 갈등, 북한 관계 변화, 재정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자유 무역 협정 - 역내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
역내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RCEP)은 아세안 10개국과 FTA를 체결한 5개국이 참여하는 다자간 무역 협정으로, 관세 인하, 투자 증대, 역내 상품의 자유로운 이동을 목표로 하며, 2020년 15개국이 서명하고 2022년부터 순차적으로 발효되었다. - 자유 무역 협정 - 세계 거버넌스
세계 거버넌스는 세계 정부 없이 지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공식·비공식 제도, 메커니즘, 관계, 과정의 복합체로서, 다양한 행위자들이 상호작용하여 집단적 이익을 추구하고 권리와 의무를 확립하며 갈등을 조정하는 체계이다.
동아시아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 | |
---|---|
협정 정보 | |
정식 명칭 | 동아시아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 |
영어 명칭 |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for East Asia |
약칭 | CEPEA |
유형 | 자유 무역 협정 (FTA) |
참가국 | 아세안 10개국 + 대한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인도 (논의 대상) |
목표 | 동아시아 자유 무역 지대 형성 |
특징 | 아세안+6 모델 기반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 (EPA) 지향 |
기대 효과 | 무역 장벽 완화 및 경제 통합 심화 역내 투자 활성화 경제 성장 및 일자리 창출 동아시아 지역의 경제적 영향력 강화 |
논의 현황 | 2000년대 초반부터 논의 시작 여러 차례의 연구 및 회의 진행 동아시아 정상회의 (EAS)에서 논의 역내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 (RCEP)과 병행 추진 |
추진 주체 | 아세안 대한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인도 (논의 대상) |
관련 기구 | 동아시아 정상회의 (EAS) 아세안 |
협상 방식 | 국가 간 협상 |
협정 범위 | 상품, 서비스, 투자, 경제 협력 등 |
배경 | |
동아시아 경제 통합의 필요성 | 지역 경제 협력 강화 세계 경제 변화에 대한 공동 대응 역내 무역 및 투자 확대 |
기존 FTA의 한계 극복 | 복잡한 FTA 네트워크 단순화 포괄적인 경제 협력 체제 구축 |
주요 내용 | |
상품 무역 | 관세 인하 및 철폐 |
서비스 무역 | 서비스 시장 개방 확대 |
투자 | 투자 자유화 및 보호 강화 |
경제 협력 | 기술 협력, 인프라 개발, 인적 교류 확대 |
기타 | 지적 재산권 보호, 경쟁 정책, 분쟁 해결 절차 등 |
장점 | |
경제 성장 촉진 | 역내 무역 및 투자 확대 |
소비자 후생 증진 | 다양한 상품 및 서비스 이용 가능 |
기업 경쟁력 강화 | 규모의 경제 실현 및 효율성 증대 |
지역 경제 통합 심화 | 동아시아 공동체 형성에 기여 |
단점 | |
국가 간 이해관계 충돌 | 협상 과정의 어려움 |
특정 산업의 피해 | 경쟁력 약화 우려 |
개발 격차 심화 | 국가 간 경제 발전 수준 차이 |
주권 침해 우려 | 협정 내용에 대한 비판 |
전망 | |
협상 진전 가능성 | 역내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 (RCEP)과의 관계 국가 간 정치적 상황 변화 경제 환경 변화 |
2. 역사
동아시아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CEPEA,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in East Asia영어) 구상은 2006년 4월, 당시 일본의 니카이 도시히로 경제산업대신이 대한민국과 중국이 주도하던 동아시아 자유 무역 지대(EAFTA)에 대응하여 제안하면서 시작되었다.[37][34] 이는 단순한 관세 철폐를 넘어 투자, 지식 재산권 등 더 넓은 범위를 포괄하는 경제 협력을 목표로 했다.
이후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이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과 자유 무역 협정을 체결하면서 논의가 활발해졌고,[38][2] 일본은 ASEAN 및 동아시아 경제 연구소(ERIA) 설립을 지원하며 구상을 구체화했다.[39][3] CEPEA는 ASEAN+6(16개국)을 대상으로, EAFTA는 ASEAN+3(13개국)을 대상으로 하여 병행 논의되었다.[40][4]
동아시아 정상회의(EAS), 아세안+3, ASEAN 정상회의 등 여러 회의체를 통해 두 구상에 대한 연구와 논의가 진행되었으며,[42][43][44][45] 2010년에는 세부 사항 연구를 위한 실무 그룹이 구성되기도 했다.[46][9] 최종적으로 2011년 8월, 중국과 일본의 공동 제안을 계기로 EAFTA와 CEPEA는 역내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RCEP)이라는 단일 협정으로 통합되어 논의가 이어지게 되었다.[47][48][10][35]
2. 1. 제안 배경
2006년 4월 7일, 당시 일본의 니카이 도시히로 경제산업대신은 대한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이 주도하던 동아시아 자유 무역 지대( EAFTA영어 ) 구상에 대응하여, 단순한 관세 철폐뿐만 아니라 투자와 지식 재산권 등 보다 포괄적인 분야를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러한 내용을 담아 동아시아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CEPEA), 동아시아판 경제협력개발기구, 아시아 인재 기금을 포괄하는 '이중 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CEPEA를 제안했다.[37][34]2. 2. 초기 논의 과정
2006년 4월 7일, 일본의 니카이 도시히로 당시 경제산업대신은 대한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이 주도하던 동아시아 자유 무역 지대(EAFTA, East Asian Free Trade Areaeng) 구상에 대해, 단순한 관세 철폐를 넘어 투자와 지식 재산권 보호까지 포괄하는 더 넓은 범위의 경제 협정을 제안했다. 이것이 동아시아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CEPEA,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in East Asiaeng) 구상의 시작으로, 동아시아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설립 구상 등과 함께 '이중 이니셔티브'의 일부로 제시되었다.[37]CEPEA 논의는 2008년과 2009년에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이 인도, 그리고 오스트레일리아 및 뉴질랜드와 각각 자유 무역 협정(FTA)을 체결하면서 탄력을 받았다.[38][2] 일본은 이 구상을 뒷받침하기 위해 ASEAN 및 동아시아 경제 연구소(ERIA, Economic Research Institute for ASEAN and East Asiaeng) 설립을 지원했으며, CEPEA와 ERIA는 상호 보완적으로 지역 내 경제 자유화와 협력을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39][3]
CEPEA는 ASEAN+6, 즉 ASEAN 10개국과 한국, 중국, 일본,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 총 16개국을 참여 대상으로 구상되었다. 반면, EAFTA는 이 중에서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를 제외한 ASEAN+3 13개국을 기반으로 논의되었다.[40][4] 이 두 구상은 경쟁적인 관계라기보다는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 여겨졌으며, 동시에 추진되었다.[41]
동아시아 정상회의(EAS)는 2007년 11월 제3차 회의에서 CEPEA 구상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그 최종 보고서를 2009년 10월에 열릴 제4차 회의에서 제출받기로 합의했다.[42][5] 실제로 2009년 10월 25일 개최된 제4차 동아시아 정상회의에서는 관련 연구 보고서를 검토하고, CEPEA와 EAFTA 구상을 병행하여 검토할 수 있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43][6] 바로 전날 열린 ASEAN+3 정상회의에서도 EAFTA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비슷한 결론을 내렸다.[44][7]
이후 2010년 4월 제16차 ASEAN 정상회의 의장 성명에서는 EAFTA와 CEPEA 연구가 모두 포괄적인 지역 통합을 지향한다는 점을 재확인하며, ASEAN 중심의 지역 구조 형성을 위한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45][8] 이러한 논의를 구체화하기 위해 2010년 8월까지 16개국이 참여하는 실무 그룹들이 구성되어 경제 협력, 원산지 규정, 통관 절차, 관세 품목 분류 등 세부 사항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46][9]
이처럼 개별적으로 논의되던 EAFTA와 CEPEA 구상은 2011년 8월, 일본과 중화인민공화국이 공동으로 'EAFTA 및 CEPEA 구축 가속화를 위한 이니셔티브'(Initiative on Speeding up the Establishment of EAFTA and CEPEAeng, EAFTAおよびCEPEA構築を加速させるためのイニシアチブjpn)를 제안하면서 통합 논의의 길을 열었다. 이는 이후 역내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RCEP) 협상 개시로 이어지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47][48][10]
2. 3. 동아시아 정상회의
동아시아 정상회의는 2007년 11월 21일 열린 제3차 회의에서 동아시아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CEPEA) 구상에 대한 최종 보고서를 제4차 회의에서 제출받기로 합의했다.[42][5]2009년 10월 25일 개최된 제4차 동아시아 정상회의의 최종 보고서는 CEPEA와 동아시아 자유 무역 지대(EAFTA)를 동시에 검토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43][6]
19. 우리는 투 트랙 연구 그룹의 동아시아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CEPEA)에 대한 II단계 최종 보고서를 확인했으며 2009년 8월 15일 방콕에서 개최된 고위급 경제 회담에서 I단계와 II단계 보고서에 대해 의논하고 검토한 경제 부처 장관들의 결정을 환영하는 바이다. CEPEA와 동아시아 자유 무역 지대(EAFTA)는 동시에 검토될 수 있다.
그 전날 열린 아세안+3 13개국 회의 보고서에서도 비슷한 내용이 언급되었다.[44][7]
13. 우리는 동아시아 자유 무역 지대(EAFTA)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II단계 최종 보고서를 확인했으며 2009년 8월 15일 방콕에서 개최된 고위급 경제 회담에서 I단계와 II단계 보고서의 제안에 대해 의논하고 검토한 아세안+3 협의의 결정을 환영하는 바이다. EAFTA와 동아시아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CEPEA)은 동시에 검토될 수 있다.
2010년 4월 9일 개최된 제16차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 정상회의 의장 성명에서는 EAFTA와 CEPEA 연구가 포괄적 지역 통합을 추진한다는 점을 확인하며, 추가적인 논의에 대한 기대를 나타냈다.[45][8]
30. 우리는 동아시아 자유 무역 지대(EAFTA)와 동아시아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CEPEA)에 대한 연구 양쪽의 제안에서 이 구상들이 포괄적 지역 통합을 추진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우리는 2010년 10월의 제17차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 정상회의에서 더 발전한 보고서를 제출받고 대화 상대방들과 함께 ASEAN을 중핵으로 한 지역 구조의 미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기를 희망한다.
이후 2010년 8월까지 경제 협력, 원산지 규정, 통관 절차, 관세 품목 분류 등을 연구하기 위해 16개국이 참여하는 워킹그룹이 설립되었다.[46][9]
2011년 8월, 동아시아 정상회의 경제 장관들은 중국과 일본이 공동으로 제안한 'EAFTA 및 CEPEA 구축 가속화 이니셔티브'를 환영했으며, 이는 이후 역내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RCEP)으로 통합되는 계기가 되었다.[47][48][10]
2. 4. ASEAN 정상회의
2010년 4월 9일 개최된 제16차 ASEAN 정상회의 의장 성명에서는 동아시아 자유 무역 지대(EAFTA)와 동아시아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CEPEA)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 두 구상이 포괄적인 지역 통합을 추진하는 중요한 계획임을 확인하였다.[45][8] 또한, 같은 해 10월에 열릴 제17차 ASEAN 정상회의에서 관련 진행 상황 보고서를 받고, ASEAN 중심의 지역 구조의 미래 방향에 대해 대화 상대국들과 논의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45][8]2. 5. 실무 그룹 설립
16개국이 참여하는 실무 그룹이 경제 협력, 원산지 규정, 통관 절차, 관세 품목 분류 등을 연구하기 위해 2010년 8월까지 설립되었다.[46][9]2. 6. RCEP으로 통합
2011년 8월, 일본과 중화인민공화국이 공동으로 제안한 'EAFTA 및 CEPEA 구축을 가속하기 위한 이니셔티브(Initiative on Speeding up the Establishment of EAFTA and CEPEA영어|EAFTAおよびCEPEA構築を加速させるためのイニ셔티브일본어)'를 통해, 기존에 논의되던 동아시아 자유 무역 지대(EAFTA) 구상과 동아시아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CEPEA) 구상이 역내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RCEP)으로 통합되었다.[47][48][35]3. 참여 국가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회원국 10개국과 아세안+3의 대한민국, 일본, 중화인민공화국 3개국, 그리고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3개국을 포함하여 총 16개 국가가 참여 대상으로 논의되었다.
3. 1.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ASEAN) 회원국
3. 2. 아세안+3
3. 3. 기타 국가
4. 기존 협정
동아시아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RCEP) 논의 이전에도 참여 16개국 사이에는 이미 다양한 형태의 자유 무역 협정(FTA) 및 경제 협력 관계가 구축되어 있었다.
대표적으로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 10개 회원국은 ASEAN 자유 무역 지대(AFTA)를 운영하고 있었으며, 대한민국, 중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인도 등 역내 주요 파트너 국가들과 개별적인 FTA(ASEAN+1 FTA)를 체결하거나 협상 중이었다.[13][14][15][16][17] 호주와 뉴질랜드는 오랜 기간 더욱 긴밀한 경제 관계(CER)를 통해 높은 수준의 경제 통합을 이루고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중국, 일본 3국 간에도 중국-일본-대한민국 자유 무역 협정 체결을 위한 논의가 진행 중이었으며,[18] 이 외에도 참여국들 사이에는 중국-대한민국 자유 무역 협정[19], 중국-호주 자유 무역 협정[20], 인도-대한민국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30] 등 수많은 양자 간 FTA가 발효되었거나 협상 중에 있었다.[21][22][23][24][25][26][27][28][29][31][32]
이처럼 복잡하게 얽혀 있던 기존의 협정들을 하나로 묶어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단일 경제권을 형성하려는 노력이 RCEP 협상의 배경이 되었다. 개별 ASEAN 회원국들은 ASEAN 차원의 협정 외에도 독자적인 FTA를 추진하기도 했다.[33]
4. 1. 대 ASEAN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 10개 회원국은 ASEAN 자유 무역 지대(AFTA)를 설립하여 운영 중이며, 다른 여러 파트너 국가들과 다양한 자유 무역 협정(FTA) 및 경제 동반자 협정(EPA)을 맺어왔다.ASEAN은 블록 단위로 다음과 같은 주요 협정을 체결했다.
- '''ASEAN-중국 자유 무역 지대 (ACFTA)''': 2010년 1월 1일 발효.
- '''일본-아세안 포괄적 경제 연대 협정''': 2008년 12월 1일 발효.[13]
- '''ASEAN-대한민국 자유 무역 협정 (AKFTA)'''[14]: 상품 무역 협정은 2007년 6월 1일 발효되었고, 서비스 무역 협정은 2007년에, 투자 협정은 2009년에 각각 서명되었다.[15]
- '''ASEAN-호주-뉴질랜드 자유 무역 지대 (AANZFTA)'''[16]: 2010년 1월 1일 발효.
- '''ASEAN-인도 자유 무역 지대 (AIFTA)''': 상품 무역 협정(TIG)은 2010년 1월 1일 발효되었다.[17] 이후 서비스 및 투자 협정이 추가로 서명되었으며, 이는 인도와 ASEAN 간 인력 및 투자 이동 기회를 확대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당시 필리핀을 제외한 9개 ASEAN 회원국이 서명했고, 필리핀은 국내 절차를 마무리한 뒤 서명할 예정이었다.[17]
또한, ASEAN 개별 회원국은 블록 단위 협정 외에도 다른 국가와 별도의 협정을 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본은 ASEAN 전체와의 포괄적 경제 연대 협정 외에도 다음과 같이 여러 ASEAN 회원국과 개별적인 경제 연대 협정을 맺었다.
- 일본-싱가포르 신시대 경제 연대 협정 (2002년 발효)
- 일본-말레이시아 경제 연대 협정 (2006년 발효)
- 일본-태국 경제 연대 협정 (2007년 발효)
- 일본-브루나이 경제 연대 협정 (2008년 발효)
- 일본-인도네시아 경제 연대 협정 (2008년 발효)
- 일본-필리핀 경제 연대 협정 (2008년 발효)
- 일본-베트남 경제 연대 협정 (2009년 발효)
4. 2. 대 중국, 대한민국
'''중국'''은 ASEAN-중국 자유 무역 지대를 2010년 1월 1일에 발효시켰다. 또한, 중국-대한민국 자유 무역 협정[19]과 중국-호주 자유 무역 협정[20]은 2015년 12월 20일에 동시에 발효되었다. 뉴질랜드-중국 자유 무역 협정은 2008년 10월 1일에 발효되었으며, 인도와의 자유 무역 협정(FTA) 체결을 위한 타당성 조사는 2007년에 긍정적인 결론을 도출했다.[21]'''대한민국'''은 ASEAN-대한민국 자유 무역 협정과 관련하여 상품 무역 조항을 2007년 6월 1일에 발효시켰으며, 서비스 무역 협정은 2007년에, 투자 무역 조항은 2009년에 각각 서명하였다.[14][15] 중국과는 중국-대한민국 자유 무역 협정을 2015년 12월 20일에 발효시켰다.[19] 일본과는 한일 자유 무역 협정 협상을 2003년 3월에 시작했으나, 2004년 이후 중단된 상태이다.[22][23] 호주와는 호주-대한민국 자유 무역 협정 협상을 진행 중이며[28], 뉴질랜드와도 자유 무역 협정(FTA)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29] 인도와는 2009년 8월에 인도-대한민국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에 서명하였다.[30]
'''한중일 3국''' 간의 협력으로는 한중일 투자 협정이 있다. 이 협정은 2007년 협의가 시작되어 2012년 5월 13일에 서명되었고, 2014년 5월 17일에 발효되었다. 또한, 한중일 자유 무역 협정에 대한 공동 연구가 2009년 10월에 시작되었으며, 2012년 협상 개시가 예상되었고 현재 협상이 진행 중이다.[18]
4. 3. 대 인도, 호주
참조
[1]
웹사이트
Asia’s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http://www.eastasiaf[...]
East Asia Forum
2012-08-27
[2]
웹사이트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in East Asia (Part 1)
http://jp.fujitsu.co[...]
[3]
웹사이트
Towards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in East Asia
http://www.ipcs.org/[...]
[4]
논문
How to Realize EAFTA: Views from Joint Expert Group
Paper presented at the Conference on South Asia-East AsiaEconomic Cooperation and Pan-Asian Integration, Singapore.
2006-11
[5]
웹사이트
Chairman's Statement of the 3rd East Asia Summit Singapore, 21 November 2007 at paragraph 14
http://www.asean.org[...]
[6]
웹사이트
Chairman’s Statement of the 4th East Asia Summit Cha-am Hua Hin, Thailand, 25 October 2009
http://www.15thasean[...]
[7]
웹사이트
Chairman’s Statement of the 12th ASEAN Plus Three Summit Cha-am Hua Hin, Thailand, 24 October 2009
http://www.15thasean[...]
[8]
웹사이트
Chairman’s Statement of the 16th ASEAN Summit “Towards the Asean Community: from Vision to Action"
http://www.asean.org[...]
[9]
웹사이트
India Committed to Regional Integration of CEPEA
http://pib.nic.in/re[...]
[10]
웹사이트
Background to the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RCEP) Initiative
https://dfat.gov.au/[...]
2019-11-02
[11]
웹사이트
Feasibility Study for East Asia Free Trade Area to Begin
http://www.asean.org[...]
[12]
웹사이트
Ha Noi Declaration on the commemoration of the fifth anniversary of the EAST ASIA summit
http://asean2010.vn/[...]
[13]
웹사이트
ASEAN-Japan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http://www.mofa.go.j[...]
[14]
웹사이트
Overview of ASEAN Korea (AKFTA)
http://www.fta.gov.s[...]
[15]
웹사이트
ASEAN AND SOUTH KOREA FTA
http://www.business-[...]
[16]
웹사이트
ASEAN–Australia–New Zealand Free Trade Agreement
http://www.dfat.gov.[...]
[17]
웹사이트
India formally signs Trade in Services & Trade in Investments Agreement with ASEAN
http://pib.nic.in/ne[...]
[18]
웹사이트
China, Japan, S. Korea to mull FTA
http://english.peopl[...]
[19]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0]
웹사이트
China-Australia Free Trade Agreement (ChAFTA)
https://www.austrade[...]
[21]
웹사이트
Home Page > China's Free Trade Agreements under Consideration> China-India Regional
http://fta.mofcom.go[...]
[22]
웹사이트
Japan-Korea FTA cornerstone of the East Asian Community
http://www.eastasiaf[...]
[23]
웹사이트
Japan-Republic of Korea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http://www.mofa.go.j[...]
[24]
웹사이트
Australia-Japan Free Trade Agreement Negotiations
http://www.dfat.gov.[...]
[25]
웹사이트
Japan-Australia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http://www.mofa.go.j[...]
[26]
웹사이트
Japan-India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http://www.mofa.go.j[...]
[27]
웹사이트
High powered push for Japan trade deal
http://www.nzherald.[...]
2011-09-25
[28]
웹사이트
Australia-Korea Free Trade Agreement (FTA) Negotiations
http://www.dfat.gov.[...]
[29]
웹사이트
Clark looks to put Korea in trade bag
http://www.nzherald.[...]
2011-09-25
[30]
웹사이트
India, South Korea ink free trade pact
http://economictimes[...]
[31]
웹사이트
Australia-India FTA Feasibility Study
http://www.dfat.gov.[...]
[32]
웹사이트
India Free Trade Agreement - New Zealand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http://www.mfat.govt[...]
[33]
웹사이트
Singapore's FTAs
http://www.fta.gov.s[...]
[34]
서적
現代アジア事典
文眞堂
2009
[35]
간행물
第3章第3節 経済外交 1. 日本経済再生に向けた取組 (1) 経済連携協定(EPA)・自由貿易協定(FTA)交渉の推進
https://www.mofa.go.[...]
外務省
2019-11-03
[36]
웹사이트
Asia’s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http://www.eastasiaf[...]
2012-08-27
[37]
서적
『現代アジア事典』
文眞堂
2009
[38]
웹사이트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in East Asia (Part 1)
http://jp.fujitsu.co[...]
[39]
웹사이트
Towards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in East Asia
http://www.ipcs.org/[...]
[40]
웹사이트
Feasibility Study for East Asia Free Trade Area to Begin
http://www.asean.org[...]
[41]
웹사이트
Ha Noi Declaration on the commemoration of the fifth anniversary of the EAST ASIA summit
http://asean2010.vn/[...]
[42]
웹사이트
"Chairman's Statement of the 3rd East Asia Summit Singapore, 21 November 2007 at paragraph 14"
http://www.asean.org[...]
[43]
웹사이트
Chairman’s Statement of the 4th East Asia Summit Cha-am Hua Hin, Thailand, 25 October 2009
http://www.15thasean[...]
[44]
웹사이트
Chairman’s Statement of the 12th ASEAN Plus Three Summit Cha-am Hua Hin, Thailand, 24 October 2009
http://www.15thasean[...]
[45]
웹사이트
Chairman’s Statement of the 16th ASEAN Summit “Towards the Asean Community: from Vision to Action"
http://www.asean.org[...]
[46]
웹사이트
India Committed to Regional Integration of CEPEA
http://pib.nic.in/re[...]
[47]
저널
第3章第3節 経済外交 1. 日本経済再生に向けた取組 (1) 経済連携協定(EPA)・自由貿易協定(FTA)交渉の推進
https://www.mofa.go.[...]
外務省
2021-02-10
[48]
웹인용
Background to the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RCEP) Initiative
https://dfat.gov.au/[...]
2021-0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