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오기물떼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따오기물떼새는 도요목에 속하는 조류로, 유라시아 대륙 중앙부의 강 계곡에 서식한다. 몸길이는 약 38~41cm이며, 붉은색 부리와 검은색 얼굴, 가슴띠를 가진 회색 깃털이 특징이다. 중앙아시아와 히말라야 산맥에서 번식하며, 자갈이 섞인 강 계곡에서 주로 발견된다. 일부일처제를 따르며, 강바닥의 곤충이나 작은 물고기를 먹고 산다.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필요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32년 기재된 새 - 케찰
케찰은 중앙아메리카 산악 삼림에 서식하며 빛나는 녹색 깃털과 긴 꼬리 덮깃이 특징적인 케찰속 조류의 총칭으로, 특히 화려한 케찰을 가리키며, 고대 메소아메리카 문명에서 신성한 새로 숭배받았고 과테말라의 국조이자 통화 단위로 사용되지만 서식지 파괴와 불법 거래로 위협받고 있어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 1832년 기재된 새 - 나팔고니
나팔고니는 북미 대륙의 가장 큰 토종 조류로, 짝짓기 전 구애 행동을 보이며 평생 짝을 맺는 경향이 있지만, 한때 멸종 위기에 처했으나 보존 노력으로 개체 수가 회복되었다. - 부탄의 새 - 멧비둘기
멧비둘기는 유라시아 동부와 일본에 분포하며 한국에서도 흔히 보이는 새로, 회색빛 등과 갈색 날개, 목 옆 줄무늬가 특징이며, 곡식, 열매, 곤충을 먹고 나무에 둥지를 짓는 여러 아종이 존재하는 종이다. - 부탄의 새 - 딱새
딱새는 동아시아에 서식하며 수컷은 회색 머리와 주황색 가슴을, 암컷은 갈색을 띠고, 곤충과 거미를 먹으며 나무 구멍 등에 둥지를 짓는 텃새이자 겨울철새이다.
| 따오기물떼새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지도 정보 | |
| 분류 | |
| 상태 | 관심 필요 (LC) |
| 학계 | Bonaparte, 1856 |
| 속 | Ibidorhyncha |
| 속 명명자 | Vigors, 1832 |
| 종 | struthersii |
| 종 명명자 | Vigors, 1832 |
| 이명 | Clorhynchus strophiatus Hodgson, 1835 |
| 생물학적 특징 | |
![]() | |
![]() | |
2. 분포
투르키스탄 서부 지역부터 중국 서부 지역까지 유라시아 대륙 중앙부에 분포한다. 중앙아시아와 히말라야 산맥에서 흔히 발견되며, 이시크쿨 호수에서 만주 남부 국경, 러시아의 알타이까지 분포한다. 또한 카자흐스탄의 볼샤야강과 말라야알마틴카강, 칠릭강, 이시크강, 카르카라강, 바얀콜강, 정가르 알라타우 산맥, 촐디수강 계곡을 따라 중앙 및 북부 톈산 산맥 고원 지대에서도 서식한다.[8]
투르키스탄 서부 지역부터 중국 서부 지역까지 유라시아 대륙의 중앙부에 분포한다. 중앙아시아와 히말라야 산맥에서 흔히 발견되며, 이시크쿨 호수에서 만주 남부 국경, 러시아의 알타이까지 분포한다.[8] 또한 카자흐스탄의 볼샤야강과 말라야알마틴카강, 칠릭강, 이시크강, 카르카라강, 바얀콜강, 정가르 알라타우 산맥, 촐디수강 계곡을 따라 중앙 및 북부 톈산 산맥 고원 지대에서도 서식한다.
따오기물떼새는 몸길이가 38cm에서 41cm이며 외모가 매우 독특하다. 성조는 회색이며 배는 흰색이고, 관련 없는 따오기와 유사한 붉은색의 길고 아래로 굽은 부리를 가지고 있으며, 검은색 얼굴과 검은색 가슴띠를 가지고 있다. 암수 외모는 비슷하지만, 어린 새는 얼굴과 가슴에 검은색이 없고, 부리는 덜 선명하다. 부리는 6.8cm에서 8.2cm 길이이며 암컷이 약간 더 길다. 번식기 성조의 다리는 회색빛 자주색이고, 어린 새의 다리는 칙칙한 암갈색이며, 어린 또는 비번식기 성조는 녹색을 띤다.[2][6] 죽은 따오기물떼새의 다리는 죽은 직후 부리 색과 유사한 붉은색으로 변한다. 발목은 짧고 그물 모양이다. 따오기물떼새는 세 개의 발가락을 가지고 있으며, 뒤 발가락은 없다. 바깥쪽과 가운데 발가락은 작고 움푹 들어간 물갈퀴로 연결되어 있으며, 가운데와 안쪽 발가락은 물갈퀴가 없다. 따오기물떼새는 일반적으로 270g에서 320g의 무게가 나가며, 암컷이 수컷보다 약간 더 무겁다.[7] 눈에 띄는 외모에도 불구하고 돌이 많은 환경에서는 눈에 잘 띄지 않는다. 울음소리는 넓적부리도요와 유사한 "클류-클류"하는 맑은 소리이다. 비행 시에는 목을 쭉 뻗고 둥근 날개로 따오기 같은 모습을 보인다.[12]
가을과 겨울 동안 따오기물떼새는 일반적으로 단독 생활을 하지만, 2마리에서 최대 8마리까지 소규모 무리로 발견될 수 있다. 25마리의 따오기물떼새 무리가 보고된 적도 있다. 단독으로 번식하며 영역성을 가지지만, 제한된 서식지 때문에 서로 인접한 곳에서 번식할 수 있다.[2] 일반적으로 사람을 두려워하지 않으며,[10] 수영을 잘하고, 날아서 강을 건너기보다는 수영으로 건너는 것을 선호한다.[2]
따오기물떼새는 중앙아시아 남부의 자갈이 많은 강바닥에서 번식하며,[8] 일반적으로 해발 1700m에서 4400m 사이에서 번식하지만, 500m의 낮은 고도에서도 번식한 기록이 있다.[2] 번식기 외에는 해발 100m까지 내려갈 수 있다.[12] 일반적으로 자갈과 작은 바위가 섞인 모래와 실트가 있는 100m에서 1500m 너비의 자갈 강 계곡에서 발견된다. 따오기물떼새가 자주 찾는 강 계곡은 식생이 거의 없고, 물의 흐름이 느리게 흐르도록 완만한 경사를 이룬다. 따오기물떼새는 먹이를 구하기 위해 물이 천천히 흐르는 곳 근처에서 살아야 하므로, 광범위한 서식지에도 불구하고 서식지가 제한된다.[2]
3. 서식지
따오기물떼새는 중앙아시아 남부의 자갈이 많은 강바닥에서 번식하며,[8] 일반적으로 1700m에서 4400m 사이에서 번식하지만, 500m 낮은 고도에서도 번식한 기록이 있다.[2] 번식기 외에는 100m까지 내려갈 수 있다.[12] 일반적으로 자갈과 작은 바위가 섞인 모래와 실트가 있는 100m에서 1500m 넓이의 자갈 강 계곡에서 발견된다. 따오기물떼새가 자주 찾는 강 계곡은 식생이 거의 없고, 물의 흐름이 느리게 흐르도록 완만한 경사를 이룬다. 따오기물떼새는 먹이를 구하기 위해 물이 천천히 흐르는 곳 근처에서 살아야 하므로, 광범위한 서식지에도 불구하고 서식지가 제한된다.[2]
4. 형태

5. 생태
겨울철에는 비교적 활동량이 적지만, 번식기가 다가오면 더 활동적이고 시끄러워진다.[2]
발가락으로 머리 깃털을 긁을 때는 날개 위로 손을 뻗는다. 이러한 간접적인 접근 방식은 물떼새와 꼬마물떼새에서도 발견되지만, 날개 아래에서 직접 손을 뻗는 갯과와 다른 도요새류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9]
5. 1. 번식
따오기물떼새는 겉보기에 일부일처제를 따르는 번식 조류이다. 번식기 동안 따오기물떼새는 머리를 숙인 채 짧은 거리를 달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변을 살피기 위해서만 똑바로 선다.[2] 둥지는 강가의 둑, 섬 또는 반도에 위치하며, 땅에 긁어 놓은 자국에 불과하며, 때로는 작은 조약돌로 덮여 있을 수 있다. 알은 4월 말과 5월 초에 낳으며 (정확한 시기는 날씨에 따라 다름), 산란 수는 2개에서 4개의 타원형 알로 구성된다. 둥지 근처의 성체의 행동은 물떼새류와 유사하다고 한다.[10] 알을 품는 데 걸리는 정확한 시간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양쪽 부모 모두 포란 의무를 공유한다.[2] 이전 번식의 새끼들이 둥지 도우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의혹이 있다.[11] 산지의 작은 하천을 따라 있는 둑이나 산등성이의 자갈밭 지상의 움푹 들어간 곳에 산란한다. 보통은 그대로 산란하지만, 움푹 들어간 곳에 작은 돌을 까는 경우도 있다. 한 배에 4개의 알을 낳는다.
5. 2. 먹이
따오기물떼새는 하천 바닥의 돌이나 자갈 아래를 탐사하여 먹이를 찾는다.[12] 하천의 바위 아래에 숨어 있는 날도래와 하루살이 유충,[13] 메뚜기,[10] 그리고 작은 물고기를 포함한 다양한 육상 및 수생 무척추동물을 먹는다.[2] 강바닥의 돌 밑에 부리를 넣어 곤충이나 작은 물고기를 찾아 먹는다.[15]
6. 분류
따오기물떼새는 도요목에 속하는 새이다. 도요, 물떼새, 제비갈매기, 바다오리, 갈매기 등이 도요목에 포함된다. 따오기물떼새의 진화적 관계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검은머리물떼새, 장다리물떼새, 뒷부리도요 그리고 ''Pluvialis'' 물떼새를 포함하는 그룹과 가장 가까운 것으로 보인다.[2] 이 새는 자체 과인 따오기물떼새과(Ibidorhynchidae)로 분류될 만큼 충분히 독특하며, 아종은 없다.[12]
1831년 비거스가 존 굴드의 그림을 바탕으로 이 종을 기술했지만, 브라이언 호지슨이 2년 전 "붉은부리 에롤리아"로 묘사한 원고를 아시아 벵골 학회에 보냈으나 편집 문제로 1835년에야 출판되었다.[3][4] 호지슨은 굴드의 ''Ibidorhyncha'' 묘사가 부정확하다고 주장하며 새 속명으로 ''Clorhynchus''를 제안했고, 비에이오의 ''Erolia''는 거부되었다.[5] 이 종은 히말라야에서 표본을 수집한 스트러더스 박사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
따오기물떼새의 근연종은 불명확하여 1종으로 독립된 과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으며, 검은머리물떼새나 알락할미새사촌과 가깝다는 설도 있다.
6. 1. 계통 분류
다음은 2008년 "생명의 나무" 프로젝트(''The Tree of Life Web Project'')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17]{| class="wikitable"
|-
! 도요목
|-
|
{| class="wikitable"
|-
! 넓은 의미의 물떼새아목
|-
|
{| class="wikitable"
|-
! 깍지부리물떼새아목
|-
|
{| class="wikitable"
|-
| 돌물떼새과
|-
|
|}
|}
|-
! 좁은 의미의 물떼새아목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 장다리물떼새과
|}
|-
| 개꿩속
|}
|-
| 물떼새과
|}
|-
| 악어물떼새과
|}
|}
|-
!
{| class="wikitable"
|-
! 도요아목
|-
|
{| class="wikitable"
|-
! 씨도요아목
|-
|
{| class="wikitable"
|-
|
|-
|
|}
|}
|-
! 좁은 의미의 도요아목
|-
| 도요과
|}
|-
! 갈매기아목
|-
|
{| class="wikitable"
|-
! 세가락메추라기아목
|-
| 세가락메추라기과 (이전 두루미목)
|-
! 좁은 의미의 갈매기아목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갈매기과
|-
|
|}
|}
|}
|}
|}
|}
'''따오기물떼새'''는 도요목에 속하며, 도요, 물떼새, 제비갈매기, 바다오리, 갈매기, 슴새 등이 포함된다. 따오기물떼새의 진화적 관계는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검은머리물떼새, 장다리물떼새, 뒷부리도요 그리고 ''Pluvialis'' 물떼새를 포함하는 그룹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2] 자체 과인 따오기물떼새과(Ibidorhynchidae)로 분류될 만큼 충분히 독특하다.[12] 아종은 없다.[12]
이 종은 1831년 비거스가 존 굴드의 그림을 바탕으로 기술했지만, 브라이언 호지슨은 2년 전에 "붉은부리 에롤리아"로 묘사한 원고를 아시아 벵골 학회에 보냈으나, 편집자의 사과와 함께 1835년에야 출판되었다.[3][4] 호지슨은 나중에 새의 새로운 속명으로 ''Clorhynchus''를 제안했는데, 굴드의 ''Ibidorhyncha'' 묘사가 부정확하다고 주장했고, 비에이오의 ''Erolia''는 거부되었다.[5] 이 종은 히말라야에서 이 새의 표본을 수집한 스트러더스 박사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 근연종은 불명확하며, 1종으로 독립된 과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다. 검은머리물떼새나 알락할미새사촌과 가깝다는 설도 있다.
7. 보전 상태
이 종은 500만 (190만)로 추정되는 매우 넓은 분포 지역을 가지고 있으며, 감소하거나 분열되는 것으로 여겨지지 않는다. 개체수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감소하는 것으로 생각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이 종은 IUCN에 의해 관심 필요로 평가된다.[1]
참조
[1]
간행물
'Ibidorhyncha struthersii'
2016
[2]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and divergence times of Charadriiformes genera: multigene evidence for the Cretaceous origin of at least 14 clades of shorebirds
[3]
서적
The origins of the Himalayan studies: Brian Houghton Hodgson in Nepal and Darjeeling, 1820–1858
https://archive.org/[...]
Routledge
[4]
논문
Red-billed Erolia
https://archive.org/[...]
[5]
논문
Note on the Red-billed Erolia
https://archive.org/[...]
[6]
논문
Photographing the Ibis-bill (''Ibidorhyncha struthersii'' Gould)
https://biodiversity[...]
[7]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Volume 3, Hoatzin to Auks
Lynx Edicions
[8]
웹사이트
Ibisbill – BirdLife Species Factsheet
http://www.birdlife.[...]
BirdLife International
2009-12-28
[9]
논문
The head-scratching method of the Ibisbill ''Ibidorhyncha struthersii''.
[10]
서적
The Fauna of British India, Including Ceylon and Burma. Birds. Volume 6
https://archive.org/[...]
Taylor and Francis, London
[11]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India and Pakistan
Oxford University Press
[12]
서적
Shorebirds: an identification guide to the waders of the world
Boston: Houghton Mifflin
[13]
논문
Observations on behaviour and foraging of the Ibisbill ''Ibidorhyncha struthersii'' in Nepal
[14]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Volume 3, Hoatzin to Auks
Lynx Edicions
[15]
서적
Shorebirds: an identification guide to the waders of the world
Boston: Houghton Mifflin
[16]
간행물
'Ibidorhyncha struthersii'
[17]
웹사이트
'Charadriiformes. Shorebirds and relatives.'
http://tolweb.org/Ch[...]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