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라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라슈는 모로코 북서부 해안에 위치한 도시로, 루쿠스 강 하구 남쪽에 자리 잡고 있다. 기원전 11세기에 페니키아인에 의해 설립된 릭수스 고대 도시 근처에 건설되었으며, 로마 제국 시대에는 마우레타니아 팅기타나 속주에 속했다. 13세기까지 아랍 역사 기록에 등장하지 않다가, 이드리시 왕조에 의해 재건되었고, 이후 포르투갈, 스페인, 프랑스 등 여러 국가의 지배를 받았다. 현재는 어업, 농업, 상업, 관광, 제조업 등이 경제의 주요 부분을 차지하며, 지중해성 기후를 보인다. 라라슈는 다양한 교육 시스템을 제공하며, 스페인, 프랑스, 콩피에뉴 등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로코의 도시 - 카사블랑카
카사블랑카는 모로코 서부 대서양 연안에 위치한 최대 도시이자 경제 및 상업 중심지로, 15세기 포르투갈인들이 "흰 집"이라는 뜻으로 명명한 이후 유럽과의 무역항으로 발전, 프랑스 보호령 시기를 거쳐 현대적인 도시로 성장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의 전략적 요충지이자 카사블랑카 회담 개최지로 알려져 있고, 현재는 아프리카 금융 중심지 중 하나로 다양한 문화와 역사, 현대 건축물이 공존한다. - 모로코의 도시 - 라바트
라바트는 부 레그레그 강 하구에 위치하며 로마 시대 살라 콜로니아로 발전, 12세기 알모하드 왕조에 의해 요새화된 후 프랑스 보호령 시기를 거쳐 1956년 독립 이후 모로코의 수도가 되었다.
라라슈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 | |
공식 명칭 | العرائش |
로마자 표기 | al-'Ara'ish |
별칭 | 진주 |
행정 구역 | |
지방 | 탕헤르테투안알호세이마 지방 |
주 | 라라슈 주 |
역사 | |
설립 | 기원전 12세기경 페니키아인에 의해 설립됨 |
지리 | |
인구 | |
총 인구 (2014년) | 125,008명 |
총 인구 (2014년) | 126,617명 |
기타 | |
시간대 | 서유럽 표준시(WET) |
협정 세계시와의 시차 | +0 |
서머 타임 | 서유럽 서머 타임(WEST) |
협정 세계시와의 시차 (서머 타임) | +1 |
우편 번호 | 92000 |
번호판 | 42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라라슈는 13세기까지 아랍 역사 기록에 언급되지 않지만, 그 이전 기원전 11세기경 페니키아인들이 세운 고대 도시 리쿠스가 현재 라라슈 동쪽에 있었다.[28] 클라우디우스 황제 시대에는 로마 제국의 마우레타니아 팅기타나 속주가 되기도 했다.[29]
이드리시 왕조의 바누 '아루스는 이 지역의 포도나무가 풍부한 것을 보고 도시를 ''al-'Ara'ish'' (포도 덩굴)라고 명명했다.[3] 알모하드 왕조의 야쿱 알 만수르는 12세기 후반 이곳에 요새를 건설했고, 1270년에는 스페인 군대가 도시를 급습하기도 했다.[3]
1471년 포르투갈인들이 아실라와 탕헤르에서 거주민들을 몰아내면서 라라슈는 일시적으로 쇠퇴했지만, 사디 술탄 무함마드 아쉬-셰이크가 다시 인구를 늘리고 루코스 강 위에 요새를 건설하면서 재건되었다. 1491년 물라이 엔 나세르가 건설한 카스바는 훗날 해적의 거점이 되기도 했다.
1610년 스페인으로 넘어간 라라슈는 1689년 알라위 왕조 물레이 이스마일에 의해 다시 모로코의 지배하에 들어갔다.[28] 이후에도 라라슈는 여러 차례 공격을 받았지만 이슬람 세력의 손에 남아 있었다. 1765년 프랑스 함대의 라라슈 원정은 실패했고, 1829년에는 오스트리아가 모로코 해적 행위에 대한 보복으로 도시를 폭격했다.[4]
1911년 스페인군이 라라슈에 상륙하여 1956년까지 스페인의 보호령으로 통치했다.[28] 2023년 3월 7일, 모로코 고고학자들은 마우레타니아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2,000년 이상 된 고대 무덤을 발견했다.[5]
2. 1. 고대
기원전 11세기 경 페니키아인에 의해 설립된 고대 도시 Lixus (ancient city)영어는 현재의 라라슈 동쪽에 위치해 있었다.[28] 클라우디우스 황제 시대에 로마 제국의 마우레타니아 팅기타나 속주가 되었다.[29] 그 후 리쿠스가 쇠퇴하고 루쿠스강 맞은편에 현재의 라라슈인 신도시가 건설되었다.[29]
리쿠스는 모로코에 위치한 고대 도시 유적으로, 현대의 항구 도시 라라슈 바로 북쪽, 루코스 강둑에 자리 잡고 있다. 기원전 1180년 베르베르족 왕에 의해 건설되었다. 리쿠스는 마우레타니아 왕국의 고대 도시 중 하나였다.
기원전 7세기에 페니키아인들이 정착했다. 리쿠스는 페니키아/카르타고 정착지 체인의 일부였으며, 남쪽에 더 큰 정착지로는 셸라와 모가도르가 있었다. 카르타고가 고대 로마에 함락되자 리쿠스, 셸라, 모가도르는 마우레타니아 왕국에 병합되었다.
이 고대 마우레타니아 도시는 점차 중요성을 더해 갔고, 이후 카르타고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카르타고가 파괴된 후 리쿠스는 아마지그(베르베르)의 지배하에 놓였으며, 마우레타니아 왕 유바 2세의 통치 기간 동안 전성기를 맞이했다.
일부 고대 그리스 작가들은 리쿠스를 황금 사과를 지키는 헤스페리데스의 신화적인 정원으로 묘사했다. 이 도시의 이름은 항해자 한노부터 라벤나의 지리학자에 이르기까지 많은 작가들이 언급했으며, 동전의 전설과 비문을 통해 확인되었다. 고대인들은 이곳이 헤스페리데스의 정원과 헤라클레스의 신전이 있는 곳이라고 믿었는데, 헤라클레스는 이곳에서 스페인 카디스에 있는 것보다 더 오래된 황금 사과를 모았다고 한다. 그러나 리쿠스가 기원전 2천 년대 말에 건설되었다는 주장을 뒷받침할 근거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아프리카의 이슬람 정복 이전까지, 모스크와 칠해진 스투코로 덮인 벽이 있는 안뜰이 있는 집의 존재로 인해 이곳에서 생명이 유지되었다.
이 도시는 13세기까지 아랍 역사 기록에 언급되지 않는다. 이드리시의 바누 '아루스에 의해 건립되었다.[2] 이 지역의 포도나무가 풍부하여, 그들은 이 도시를 ''al-'Ara'ish''라고 명명했는데, 이는 "포도 덩굴" 또는 더 긴 형식으로는 ''al-'Arīsh mtā' Bnī 'Arūs''("바누 '아루스의 포도 덩굴")를 의미한다.[3] 알모하드 칼리프 야쿱 알 만수르(재위 1184–1199)는 12세기 후반에 이곳에 요새를 건설했다. 1270년, 스페인 군대가 도시를 성공적으로 급습했다.[3]
1471년, 아실라와 탕헤르에서 온 포르투갈 정착민들이 라라슈에서 거주민들을 몰아냈고, 그 후 사디 술탄 무함마드 아쉬-셰이크가 다시 인구를 늘리고 루코스 강 위의 고원에 요새를 건설하기로 결정할 때까지 이 도시는 다시 무인 상태로 남았다. 그는 강으로의 접근을 통제하기 위해 항구 입구에 요새를 건설했다.
2023년 3월 7일, 모로코 고고학자들은 마우레타니아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2,000년 이상 된 고대 무덤을 발견했다.[5]
2. 2. 중세 ~ 근대
이 도시는 13세기까지 아랍 역사 기록에 언급되지 않는다. 이드리시의 바누 '아루스에 의해 건립되었다.[2] 이 지역의 포도나무가 풍부하여, 그들은 이 도시를 ''al-'Ara'ish''라고 명명했는데, 이는 "포도 덩굴" 또는 더 긴 형식으로는 ''al-'Arīsh mtā' Bnī 'Arūs''("바누 '아루스의 포도 덩굴")를 의미한다.[3] 알모하드 칼리프 야쿱 알 만수르(재위 1184–1199)는 12세기 후반에 이곳에 요새를 건설했다. 1270년, 스페인 군대가 도시를 성공적으로 급습했다.[3]1471년, 아실라와 탕헤르에서 온 포르투갈 정착민들이 라라슈에서 거주민들을 몰아냈고, 그 후 사디 술탄 무함마드 아쉬-셰이크가 다시 인구를 늘리고 루코스 강 위의 고원에 요새를 건설하기로 결정할 때까지 이 도시는 다시 무인 상태로 남았다. 그는 강으로의 접근을 통제하기 위해 항구 입구에 요새를 건설했다.
오랫동안, 포르투갈, 스페인, 프랑스의 도시 점령 시도는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포르투갈은 1489년에 근처에 그라시오사 요새를 건설했다. 1491년 물라이 엔 나세르가 건설한 카스바는 나중에 해적의 거점이 되었다.


1610년, 이 도시는 스페인으로 넘어갔고, 그들은 1689년까지 머물렀지만 주로 항구를 무역 기지로 사용했으며 실제로 도시를 통치하지 않았다. 물라이 이스마일은 마침내 1689년에 라라슈를 정복했다.
라라슈에 대한 공격은 계속되었지만, 여전히 이슬람 세력의 손에 남아 있었다. 1765년, 프랑스 함대는 라라슈 원정에서 실패했다. 1829년, 오스트리아는 모로코 해적 행위로 인해 도시를 보복 폭격했다.[4]
1911년, 스페인군이 라라슈에 상륙했다. 라라슈의 스페인 보호령으로서의 역사는 1956년까지 이어졌으며,[28] 그 사이에 리베라시온 광장과 스페인 광장의 건설, 새로운 시의 대로와 동맥의 건설이라는 도시 계획이 진행되어 모든 면에서 변모를 이루었다.
2. 3. 현대
1471년, 아실라와 탕헤르에서 온 포르투갈 정착민들이 라라슈에서 거주민들을 몰아냈고, 그 후 사디 술탄 무함마드 아쉬-셰이크가 다시 인구를 늘리고 루코스 강 위의 고원에 요새를 건설하기로 결정할 때까지 이 도시는 다시 무인 상태로 남았다. 그는 강으로의 접근을 통제하기 위해 항구 입구에 요새를 건설했다.오랫동안 포르투갈, 스페인, 프랑스의 도시 점령 시도는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포르투갈은 1489년에 근처에 그라시오사 요새를 건설했다. 1491년 물라이 엔 나세르가 건설한 카스바는 나중에 해적의 거점이 되었다.
1610년, 이 도시는 스페인으로 넘어갔고, 1689년까지 머물렀지만 주로 항구를 무역 기지로 사용했으며 실제로 도시를 통치하지 않았다. 물라이 이스마일은 마침내 1689년에 라라슈를 정복했다.
라라슈에 대한 공격은 계속되었지만, 여전히 이슬람 세력의 손에 남아 있었다. 1765년, 프랑스 함대는 라라슈 원정에서 실패했다. 1829년, 오스트리아는 모로코 해적 행위로 인해 도시를 보복 폭격했다.[4] 식민지 시대인 1911년에 스페인은 라라슈를 점령했고 1956년까지 45년 동안 이 도시를 점유했다.
2023년 3월 7일, 모로코 고고학자들은 마우레타니아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2,000년 이상 된 고대 무덤을 발견했다.[5]
3. 지리
라라슈는 모로코 북서부 해안, 루쿠스 강 하구의 남쪽 강둑에 위치해 있으며,[3] 탕헤르에서 남서쪽으로 약 80km 떨어져 있다.[6] 도시는 강 옆에 위치한 메디나(구시가지)와 1911년 이후 스페인 식민 행정부에 의해 구 메디나 외곽에 건설되어 해안 고원을 따라 남쪽으로 뻗어 있는 더 큰 "신시가지"로 구성되어 있다.[3][7]
탕헤르에서 남쪽으로 약 70km 떨어진 대서양에 면한 항구 도시로, 농업의 발전과 함께 급속한 근대화가 진행되고 있다. 주변 분지에는 모로코의 중요한 농작 지대가 있다.[26]
아르슈 북쪽에는 Loukkos River|루코스 강영어이 흐른다.
3. 1. 기후
라라슈는 덥고 건조한 지중해성 기후(Csa)를 보인다. 여름은 적당히 덥고 햇볕이 잘 들어 도시의 해변에 이상적이며, 겨울은 습하고 춥다. 10월부터 4월까지는 기온이 내려가 강수량이 증가한다. 5월부터 9월까지는 강수량이 적고 건조하며 기온이 높아진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에 따르면 연평균 총 강수량은 약 700.5mm이며 겨울 평균 최저 기온은 약 8°C, 여름 평균 최고 기온은 약 28°C이다.[9] 2021년 7월 10일에는 최고 기온 46.4°C가 기록되었다.[8]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최고 기온 기록 (°C) | 25.2°C | 29.3°C | 33.8°C | 33.5°C | 42.8°C | 42.9°C | 46.4°C | 45.2°C | 43°C | 38.1°C | 34°C | 27.9°C | 46.4°C |
평균 최고 기온 (°C) | 16.7°C | 17.5°C | 19.7°C | 21°C | 23.9°C | 26.5°C | 28.3°C | 28.7°C | 27°C | 24.4°C | 20.2°C | 17.8°C | 22.6°C |
평균 최저 기온 (°C) | 8.2°C | 8.8°C | 10.6°C | 12.2°C | 14.8°C | 17.5°C | 19.2°C | 19.6°C | 18.2°C | 15.7°C | 11.8°C | 9.5°C | 13.8°C |
최저 기온 기록 (°C) | -3°C | -0.6°C | 0.9°C | 5.6°C | 7°C | 10.5°C | 13°C | 13.5°C | 11.9°C | 7.2°C | 2.8°C | 1.3°C | -3°C |
월 강수량 (mm) | 104.7mm | 69.6mm | 64.2mm | 68.3mm | 30.2mm | 5.1mm | 0.8mm | 2mm | 21.7mm | 83.5mm | 129.1mm | 121.3mm | 700.5mm |
평균 강수일수 (≥ 1.0 mm) | 7.8 | 7.4 | 7.2 | 6.9 | 4.1 | 0.8 | 0.2 | 0.4 | 2.3 | 6.5 | 8.1 | 8.9 | 60.6 |
4. 인구
5. 경제
라라슈의 경제는 대서양 연안을 따라 위치한 전략적 요충지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주요 경제 요소는 다음과 같다.
분야 | 설명 |
---|---|
어업 | 대서양 항구는 어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수산물 가공 및 무역에 중점을 둔다.[11] |
농업 | 주변의 비옥한 토지에서 감귤류, 올리브, 채소와 같은 작물을 재배한다.[12] |
무역 및 상업 | 항구를 통해 상품 수입 및 수출이 이루어지며, 소매업과 서비스업이 발달했다.[13][14] |
관광 | 유적지와 대서양 해변이 방문객을 끌어모으며, 숙박 및 문화 활동을 통해 지역 경제에 기여한다.[15][16] |
제조업 | 식품 가공 및 섬유를 포함한 경공업이 발달하여 경제 다변화와 고용 창출에 기여한다.[17] |
5. 1. 어업
라라슈의 대서양 항구는 어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도시는 수산물 가공 및 무역에 중점을 두고, 어촌 어업과 상업 어업을 모두 지원한다.[11]5. 2. 농업
주변의 비옥한 토지는 농업을 지원하며, 감귤류, 올리브, 채소와 같은 작물이 두드러진다. 이 분야는 지역 식량 생산에 필수적이며 경제에 기여한다.[12]5. 3. 무역 및 상업
항구는 상품의 수입 및 수출의 핵심 지점으로서 무역을 용이하게 한다. 도시의 상업 활동에는 소매업과 서비스업이 포함되며, 항구를 기반으로 한 무역으로 이익을 얻고 있다.[13][14]5. 4. 관광
라라슈는 다른 모로코 도시에 비해 관광 산업이 크게 발달하지는 않았지만, 유적지와 대서양 해변이 방문객을 끌어모으고 있다. 이는 숙박 및 문화 활동을 통해 지역 경제에 기여하고 있다.[15][16]5. 5. 제조업
라라슈시는 경제를 다변화하고 고용을 창출하는 데 기여하는 식품 가공 및 섬유를 포함한 경공업을 보유하고 있다.[17]6. 교육
라라슈는 아랍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3가지 교육 시스템을 제공한다. 각 시스템은 유치원부터 12학년까지 수업을 제공하며, 고등학교 마지막 3년 동안은 독일어 수업도 제공한다. 12학년을 마치면 바칼로레아 (고등학교 졸업장)를 받는다.
6. 1. 초등 교육
라라슈에는 수십 개의 초등학교가 있으며,[19] 시 전역에 흩어져 있다. 사립학교와 공립학교에서 5학년까지 아랍어, 프랑스어, 일부 영어 교육을 제공한다. 초등학교에서는 수학, 미술, 과학 활동 및 비종교적 과목을 일반적으로 가르친다.6. 2. 국제 학교
모로코 라라슈에 있는 스페인 국제 학교인 코레히오 에스파뇰 루이스 비베스[20]는 유치원부터 중등 교육까지 스페인 교육 과정을 제공한다. 이 학교는 스페인어와 아랍어 이중 언어 교육을 강조하며, 프랑스어와 영어도 가르친다. 코레히오 에스파뇰 루이스 비베스는 다문화 환경 조성에 힘쓰며, 스페인과 모로코 지역 사회 간의 문화 교류와 상호 이해를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6. 3. 고등 교육
라라슈에는 압델말레크 에사디 대학교의 다학문 학부[21], 교사 훈련 센터(CFI)[23], 응용 기술 전문 연구소(ISTA)[24]가 있다.6. 3. 1. 라라슈 다학문 학부
라라슈 다학문 학부는 모로코 압델말레크 에사디 대학교의 일부이다.[21] 이 기관은 과학, 인문학, 사회 과학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의 여러 프로그램을 제공한다.[22]6. 3. 2. 교사 훈련 센터
CFI 라라슈는[23] 고등 교육, 과학 연구 및 직업 훈련부 산하 고등 교육 기관이다. CFI 라라슈는 DUT, BTS, DEUG, DEUST 또는 이에 상응하는 학위를 소지한 사람들을 받아들이고, 교사 경력을 위한 교육적, 이론적 훈련을 제공한다.6. 3. 3. ISTA
라라슈 응용 기술 전문 연구소(ISTA[24])는 모로코 라라슈에 있는 주요 직업 훈련 기관으로, 직업 훈련 및 근로 증진 사무소(OFPPT)에 소속되어 있다. 이 연구소는 기계, 전자, 컴퓨터 과학, 건설 등 다양한 분야의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학생들에게 이론적 지식과 실질적인 기술을 모두 갖추도록 설계되었다. 훈련 과정을 산업 수요에 맞추고, 실험실과 작업장을 포함한 현대적인 시설을 제공하여 효과적인 학습 환경을 보장함으로써 졸업생들이 즉시 취업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7. 교통
라라슈에는 A5 고속도로와 1번 국도가 지난다.
7. 1. 도로
라라슈에는 A5 고속도로와 1번 국도가 지난다. A5 고속도로는 도시 동쪽을 지나가고, 1번 국도는 마을 중심부를 남북으로 지나간다.7. 1. 1. 고속도로
A5는 아라슈 동쪽을 지나는 고속도로이다.7. 1. 2. 국도
1번 국도가 마을 중심부를 남북으로 지난다.8. 주요 명소
- 포트 릭서스
- 스페인 광장
- 루코스 강
- 샤리에 모하메드 알-카미스 (Boulevard 모하메드 5세)
- 황새 성
- 부카리스 하우스
- 토레스 공원
- 사자 정원
- 음악원
- 케스바, 게비바 & 바브 베하르 (구 메디나)
- 라라슈 항구
- 드고기 하우스
- 발콘 아틀란티코
- 장 주네의 묘
9. 자매 도시
라라슈는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10. 주요 인물
- 네자르(Nezar)는 모로코의 래퍼이자 음악가로, 모로코 힙합씬에 기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활기찬 스타일과 독특한 목소리로 인정받았으며, 트랩과 모로코 랩 요소를 혼합하는 경우가 많다.
- 시디 질랄리 빈 압드 알라 엘-마스바히는 사키얏 알-하마르 출신으로 라라슈의 성자로 여겨진다.
- 라라 메나나 엘-메스바히 (엘-마스바히야)는 시디 질랄리 빈 압드 알라 엘-마스바히의 딸로, 성녀이자 도시의 수호성인으로 여겨진다.
- 타예브 빈 모하메드 빈 라아르비 엘-메스바히는 라라 메나나의 증손자로 그녀의 영묘를 관리했으며, 도시에서 가장 존경받는 인물 중 한 명이다.
- 장 주네는 수년간 라라슈에 살았으며, 그곳에 묻히기를 요청했다. 그의 무덤은 라라슈의 스페인 묘지에 있다.
- 아미나 필랄리는 2012년 자살로 여성 권리와 모로코 형법 제475조에 대한 정치적 논쟁을 촉발시켰다.
- 스페인 소설가 후안 고이티솔로는 라라슈의 스페인 묘지에 묻혀 있다.
-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의 최연소 선수인 라민 야말의 아버지 무니르 나스라위는 라라슈에서 태어났다.[25]
- 모하메드 셰리프 트리박은 모로코의 영화 제작자이자 각본가이다.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LÉGALE DES RÉGIONS, PROVINCES, PRÉFECTURES, MUNICIPALITÉS, ARRONDISSEMENTS ET COMMUNES DU ROYAUME D'APRÈS LES RÉSULTATS DU RGPH 2014
http://rgph2014.hcp.[...]
High Commission for Planning, Morocco
2015-04-08
[2]
웹사이트
Dargahinfo - Complete Collection of Dargahs World Wide
http://dargahinfo.co[...]
2023-06-03
[3]
간행물
[4]
간행물
"'Abd ar-Rasham"
https://archive.org/[...]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5]
웹사이트
Morocco Announces Discovery of 2,000-Old Mauritanian Tomb
https://www.moroccow[...]
2023-03-07
[6]
서적
The Report: Emerging Morocco 2007
https://books.google[...]
Oxford Business Group
[7]
웹사이트
Larache {{!}} Morocco
https://www.britanni[...]
2014-04-15
[8]
웹사이트
60105: Larache (Morocco))
https://www.ogimet.c[...]
OGIMET
2021-07-10
[9]
웹사이트
Larache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10-08
[10]
웹사이트
Population légale du Royaume du Maroc répartie par régions, provinces et préfectures et communes selon les résultats du Recensement général de la population et de l'habitat 2024
https://www.hcp.ma/P[...]
2024-11-09
[11]
웹사이트
Pêche à Larache. Activités des poissons pour la pêche à Larache
https://mareespeche.[...]
2024-08-05
[12]
웹사이트
https://medias24.com[...]
[13]
웹사이트
Des journées pour promouvoir le commerce de proximité à Larache
https://aujourdhui.m[...]
2023-01-02
[14]
웹사이트
Construction d'une nouvelle zone d'activités économiques à Larache
https://fr.le360.ma/[...]
2024-08-05
[15]
웹사이트
Larache
https://www.infostou[...]
2024-08-05
[16]
웹사이트
What to See in the Moroccan Coastal Towns of Larache and Asilah
https://www.mosaicno[...]
2017-01-05
[17]
웹사이트
PROCUMAR announces the official launch of the construction of its new plant in Larache
https://www.atalayar[...]
2024-07-19
[18]
학술지
L'industrie 4.0 dans les zones d'activité économique au Maroc : Cas de la région Tanger-Tétouan-Al-Hoceima
https://www.ijafame.[...]
2021-11-27
[19]
웹사이트
Enseignement préscolaire: 40 nouvelles unités pour la province de Larache
https://aujourdhui.m[...]
2022-08-11
[20]
학술지
Colegio Español Luis Vives de Larache
https://dialnet.unir[...]
2006
[21]
웹사이트
https://www.research[...]
[22]
웹사이트
Présentation de la FPL
https://www.fpl.ac.m[...]
2024-08-05
[23]
웹사이트
Répertoire des établissements de formation de formateurs de la Francophonie : Établissements
http://repertoire.ri[...]
2024-08-05
[24]
웹사이트
ISTA LARACHE - OFPPT
https://ista-larache[...]
2024-08-05
[25]
웹사이트
The story of 16-year-old Lamine Yamal, destined to be Barcelona's next superstar
https://www.espn.com[...]
2023-09-10
[26]
웹사이트
Monographie provinciale de Larache 2019
https://www.hcp.ma/r[...]
2024-02-08
[27]
웹사이트
Larache Climate Normals 1991–2020
https://www.nodc.noa[...]
アメリカ海洋大気庁
2024-02-08
[28]
웹사이트
Province de Larache
http://www.apdn.ma/i[...]
2024-02-09
[29]
웹사이트
Larache, une histoire gravée dans la roche
https://fr.le360.ma/[...]
2024-02-09
[30]
웹사이트
Villes jumelées
https://www.agglo-co[...]
2024-02-09
[31]
웹사이트
BARBATE Y LARACHE FIRMAN UN NUEVO ACUERDO DE COOPERACIÓN CULTURAL
https://www.barbate.[...]
2024-02-09
[32]
웹사이트
MUNICIPIOS HERMANADOS
https://www.almuneca[...]
2024-0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