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이히스마르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이히스마르크는 1924년 독일에서 극심한 인플레이션을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통화이다. 파피어마르크를 대체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점령지 및 동맹국과의 고정 환율 제도를 통해 경제적 이득을 얻기도 했다. 전쟁 이후에는 도이체마르크와 동독 마르크로 대체되었으며, 동전과 지폐가 발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르크 - 독일 마르크
    독일 마르크는 1871년부터 2002년까지 독일의 공식 통화였으며, 통일 독일의 경제력과 안정의 상징으로 미국 달러 다음으로 큰 국제 준비 통화였으나 유로화 도입으로 대체되었다.
  • 마르크 - 파피어마르크
    파피어마르크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의 극심한 인플레이션 시기에 발행된 지폐 마르크화로, 1923년 렌텐마르크 도입 전까지 전쟁 통화 및 긴급 통화와 함께 유통되었고 단치히 자유시에서도 발행되었다.
  • 독일의 경제 - 독일 마르크
    독일 마르크는 1871년부터 2002년까지 독일의 공식 통화였으며, 통일 독일의 경제력과 안정의 상징으로 미국 달러 다음으로 큰 국제 준비 통화였으나 유로화 도입으로 대체되었다.
  • 독일의 경제 - 질서자유주의
    질서자유주의는 시장의 자유로운 기능을 인정하되 국가가 공정한 경쟁 환경을 조성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강조하는 경제 이론으로, 독점 방지와 경제적 권력의 정치적 권력화를 막기 위한 국가 개입을 지지하며 독일 사회시장경제의 이론적 기반이 되었다.
  • 통화 기호 - 독일 마르크
    독일 마르크는 1871년부터 2002년까지 독일의 공식 통화였으며, 통일 독일의 경제력과 안정의 상징으로 미국 달러 다음으로 큰 국제 준비 통화였으나 유로화 도입으로 대체되었다.
  • 통화 기호 - 나이지리아 나이라
    나이지리아 나이라는 나이지리아의 통화로, 1973년 도입되어 나이지리아 파운드를 대체했으며, 나이지리아 중앙은행이 통화 정책을 관리하고, 2023년에는 통화 가치 급락을 겪었다.
라이히스마르크
개요
2 라이히스마르크 – 파울 폰 힌덴부르크 묘사 동전
2 라이히스마르크 – 파울 폰 힌덴부르크 묘사 동전
5 라이히스마르크 – 독일 청년의 우화 묘사 지폐
5 라이히스마르크 – 독일 청년의 우화 묘사 지폐
통화 이름라이히스마르크
사용 국가바이마르 공화국
나치 독일
연합군 점령 독일
보조 단위 비율1/100
보조 단위 이름라이히스페니히
기호ℛℳ
복수라이히스마르크
복수 (보조 단위)라이히스페니히
사용된 동전1 ℛ₰, 2 ℛ₰, 5 ℛ₰, 10 ℛ₰, 50 ℛ₰, 1, 2, 5
사용된 지폐5, 10, 20, 50, 100, 1,000
발행 기관국가은행
폐지 여부
도입 날짜1924년
대체 통화독일 렌텐마르크
폐지 날짜1948년 6월 20일 (트리존)
1948년 6월 23일 (독일 소련 점령 지역)
대체된 통화AM 마르크
독일 마르크 (서독)
동독 마르크 (동독)
통화 코드
ISO 코드해당 없음
역사적 맥락
페그벨기에 프랑, 보헤미아-모라비아 코루나, 불가리아 레프, 덴마크 크로네, 프랑스 프랑, 이탈리아 리라, 룩셈부르크 프랑, 네덜란드 길더, 노르웨이 크로네, 폴란드 즈워티, 세르비아 디나르, 슬로바키아 코루나 (1939–1945), 우크라이나 카르보바네츠 (제2차 세계 대전) 유사한 비율로

2. 역사

라이히스마르크는 1924년 독일에서 극심한 인플레이션을 겪던 파피어마르크를 대체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교환 비율은 1조 ℳ︁당 1 라이히스마르크였다. 경제를 안정시키고 전환을 순조롭게 하기 위해 파피어마르크에서 라이히스마르크로 바로 교환되지 않고 렌텐마르크를 거쳐 라이히스마르크로 교환되었다. 렌텐마르크와 라이히스마르크의 교환 비율은 1:1 이었다.

"마르크"는 12세기 이래 사용되어 온 고대 독일어로 "통화"를 의미한다. 마르크는 1871년 독일 제국 통일 이후 독일의 주요 통화가 되었다. 그러나 1마르크 이상의 통화는 제국의 각 구성국마다 발행되었고, 그 뒷면은 통일된 디자인(독일 제국 국장인 독수리 문장(라이히스아들러))으로, 앞면은 각국 고유의 디자인을 채택했다. 이러한 많은 현지 통화가 20세기 전반까지 독일에서 공존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은 점령국과 동맹국의 화폐에 대해 고정 환율제를 실시하여 독일 국민이 이익을 얻게 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도 라이히스마르크는 미국, 영국, 프랑스, 소비에트 연방의 분할 점령 하에서도 유통을 계속했지만, 1948년 6월부터 소련 점령 지역과 미영불 점령 지역(트라이존)에서 각각 동독 마르크독일 마르크로 통화 개혁이 실시되어 소멸되었다.

2. 1. 도입 배경

1920년대 독일은 극심한 인플레이션을 겪었다.[2] 1923년에 인플레이션이 최고조에 달하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1924년 라이히스마르크가 도입되었다.[2] 구 파피에르마르크와 라이히스마르크의 환율은 1 ℳ︁ = 1012 (1조)이었다. 경제 안정과 전환의 원활함을 위해 파피에르마르크는 바로 라이히스마르크로 대체되지 않고, 독일 렌텐 은행이 보증하는 임시 통화인 렌텐마르크로 먼저 대체되었다. 라이히스마르크는 이전 독일 마르크가 사용하던 환율로 금본위제에 편입되었으며, 미국 달러는 4.2 라이히스마르크의 가치를 지녔다.[2]

2. 2.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은 점령 지역과 동맹국에 대해 고정 환율제를 실시하여 독일이 경제적 이득을 취했다. 1938년 독일의 오스트리아 합병으로 라이히스마르크는 오스트리아 실링을 대체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라이히스마르크는 미국과 소비에트 연방에서 계속 인쇄되어 독일에서 계속 유통되었다. 라이히스마르크는 1948년 6월에 서독에서는 도이체마르크로, 동독에서는 동독 마르크 (''Ostmark'')로 대체되었으며, 이 통화 개혁은 베를린 봉쇄의 직접적인 도화선이 되었다.

2. 2. 1. 점령지 통화 정책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독일은 점령국과 동맹국의 화폐에 대해 고정 환율제를 실시하여 결과적으로 독일 국민이 이익을 얻게 하였다. 환율은 다음과 같았다.

통화날짜라이히스마르크와의 가치
벨기에 프랑1940년 5월0.1
1940년 7월0.08
보헤미아 크로나1939년0.1
불가리아 레프1940년0.03
덴마크 크로네1940년1
프랑스 프랑1940년 5월0.05
이탈리아 리라1943년0.1
룩셈부르크 프랑1940년 5월0.25
1940년 7월0.1
네덜란드 휠던1940년 5월 10일1.5
1940년 7월 17일1.327
노르웨이 크로네1940년0.6
?0.57
폴란드 즈워티1939년0.5
영국 파운드 (채널 제도)1940년5
크로아티아 쿠나1941년 4월0.05
슬로바키아 코루나1939년0.1
1940년 10월 1일0.086
우크라이나 카르보바네츠1942년0.1


2. 3. 종전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도 라이히스마르크는 미국, 영국, 프랑스, 소비에트 연방 4개국의 분할 점령 하에서 계속 유통되었다.[4] 그러나, 하켄크로이츠가 없는 동전과 연합군 점령 당국에서 발행한 연합군 점령 마르크 지폐도 함께 사용되었다. 1948년 6월부터 소련 점령 지역과 미영불 점령 지역(트라이존)에서 각각 동쪽의 동독 마르크(Mark der DDR, 또는 오스트마르크(Ostmark))와 서쪽의 독일 마르크로 통화 개혁이 실시되어 라이히스마르크는 소멸되었다. 이 통화 개혁은 베를린 봉쇄의 직접적인 도화선이 되었다.[4]

2. 3. 1. 통화 개혁

제2차 세계 대전 후, 라이히스마르크는 미국과 소련에서 계속 인쇄되어 독일에서 유통되었지만, 전쟁 말기 인플레이션으로 가치가 크게 하락했다. 2.5RM = 1달러에서 10RM = 1달러로 가치가 하락했고, 물물교환 경제가 등장할 정도였다.[3]

1948년 6월, 서독에서는 라이히스마르크가 도이체마르크로, 동독에서는 동독 마르크 (''Ostmark'')로 대체되었다.[3] 루트비히 에르하르트의 지휘 아래 1948년에 시행된 통화 개혁은 서독 경제 회복의 시작으로 여겨진다.[3]

트라이존(미국, 영국, 프랑스 점령 지역)에서 도이치 마르크 도입을 위한 비밀 계획은 미군정 경제학자 에드워드 A. 테넨바움에 의해 수립되었고, 1948년 6월 21일에 갑작스럽게 실행되었다. 사흘 후, 새로운 통화는 베를린 서부 3개 구역에서도 라이히스마르크를 대체했다.[3]

이 통화 개혁은 베를린 봉쇄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4]

3. 동전

라이히스마르크 동전은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무렵, 그 품질이 계속해서 떨어졌고, 잘못 주조되는 일이 잦아졌다. 이는 전쟁으로 인해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주었던 현금 위조가 급격하게 늘어나는 결과를 낳았다.[8][9]

전쟁 후, 연합군은 1945년부터 1948년까지 비교적 소액의 동전을 발행하였다.


  • 1945-46: 1, 10 라이히스페니히
  • 1947-48: 5, 10 라이히스페니히


이 동전들은 1940~1945년에 발행된 동전과 디자인이 매우 유사하지만, 독수리 아래의 하켄크로이츠는 제거되었다.

나치 독일은 여러 조폐국을 가지고 있었으며, 각 조폐국은 고유한 문자로 표시되었다. 동전에 찍힌 조폐국 표시를 통해 어느 조폐국에서 동전을 생산했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모든 조폐국이 매년 동전을 생산하도록 허가받은 것은 아니었다. 또한 조폐국은 정해진 수의 동전만 생산하도록 허가되었으며, 일부 조폐국에는 다른 조폐국보다 더 많은 생산량이 할당되었다. 따라서 특정 조폐국 표시가 있는 일부 동전은 다른 동전보다 희귀하다. 은화 2, 5 라이히스마르크 동전의 경우 조폐국 표시는 동전 왼쪽의 날짜 아래에, 라이히스페니히 동전의 경우 조폐국 표시는 동전 하단 중앙에 있다.[11]

조폐국 표시조폐국 위치비고References
A베를린 국립 조폐국, 독일 베를린독일의 수도[11]
B오스트리아 조폐국 , 오스트리아오스트리아의 수도[11]
D바이에른 중앙 조폐국 뮌헨, 독일바이에른의 수도[11]
E독일 드레스덴 근처작센의 수도[11]
F독일 슈투트가르트뷔르템베르크의 수도[11]
G독일 카를스루에바덴의 수도[11]
J함부르크 조폐국 함부르크, 독일[11]


3. 1. 종류 및 디자인

1924년에 1, 2, 5, 10, 50 라이히스페니히와 1, 3 라이히스마르크[15] 동전이 도입되었다. 1, 2 라이히스페니히는 구리로, 5, 10, 50 라이히스페니히는 알루미늄-구리 합금과 순도 500‰의 은으로 제작되었다. 1925년에는 순도 500‰ 은으로 제작된 1, 2 라이히스마르크 동전이 3, 5 라이히스마르크 기념 주화와 함께 유통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1927년 니켈로 주조된 50 라이히스페니히가 정식 5 라이히스마르크 동전과 함께 도입되었고, 1931년에 3 라이히스마르크 동전이 도입되었다.

은제 1 라이히스마르크 주조는 1927년에 종료되었다. 1933년에는 니켈로 주조된 1 라이히스마르크가 도입되었고, 은 함량을 유지하기 위해 이전보다 작고 순도 625‰와 900‰인 2, 5 라이히스마르크 동전이 도입되었다. 3 라이히스마르크 동전 주조도 중단되었다. 1935년에는 알루미늄제 50 라이히스페니히 동전이 주조되었지만, 1938년과 1939년에 니켈이 다시 사용되었다. 1936년부터 1 라이히스마르크 동전과 5 라이히스마르크의 최초 버전을 제외한 모든 동전은 나치 휘장을 포함하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구리와 알루미늄-구리 합금 동전이 아연과 알루미늄으로 대체되었고, 2 라이히스페니히와 액면가 50 라이히스페니히 이상의 동전은 더 이상 발행되지 않았다. 하켄크로이츠를 포함한 동전은 1, 10 라이히스페니히의 경우 1944년, 5, 50 라이히스페니히는 1945년에 마지막으로 발행되었다.

5 라이히스마르크 주화 (1936년)와 나치 만자가 새겨진 (1938년) 주화


전쟁 전 청동 라이히스페니히(Reichspfennig) (앞면)


전쟁 중 아연 라이히스페니히(Reichspfennig) (앞면)


알루미늄 50 ℛ₰ 주화 (앞면)


알루미늄제 50 라이히스페니히


4 라이히스페니히 동전은 1932년 하인리히 브뤼닝 총리가 5 라이히스페니히 동전 대신 4 라이히스페니히 동전을 사용하여 물가를 낮추려던 실패한 시도의 일환으로 발행되었다. 브뤼닝탈러(Brüningtaler) 또는 아르머 하인리히(Armer Heinrich, 불쌍한 하인리히)라고 알려진 이 동전은 이듬해에 화폐로서의 가치를 잃었다.[8][9] 4 라이히스페니히 동전은 1 라이히스마르크 동전보다 약간 더 컸고 제국 독수리 문양이 비슷했기 때문에, 은을 입혀 1 라이히스마르크 동전으로 위조하려는 시도가 있었다.[10]

아연 10 라이히스페니히 주화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0년에서 1945년 사이에 나치 독일에 의해 주조되었으며, 독특한 금색을 띠던 알루미늄-청동 버전을 대체했다. 이는 1 라이히스마르크의 1/10 또는 0.10에 해당한다. 전적으로 아연으로 만들어진 10 라이히스페니히는 아연 1 라이히스페니히 및 5 ℛ︁₰, 그리고 같은 기간의 알루미늄 50 ℛ︁₰ 주화와 유사한 비상 발행 유형이다.

전쟁 전 10 라이히스페니히(1938A, 앞면)


전쟁 전 10 라이히스페니히(1938A, 뒷면)

  • 주화의 기호별 조폐국


  • 10 라이히스페니히 주화 주조량

1940년
연도주조량비고
1940 A212,948,000
1940 B76,274,000
1940 D45,434,000
1940 E34,350,000
1940 F27,603,000
1940 G27,308,000
1940 J41,678,000



1941년
연도주조량비고
1941 A240,284,000
1941 B70,747,000
1941 D77,560,000
1941 E36,548,000
1941 F42,834,000
1941 G28,765,000
1941 J30,525,000



1942년
연도주조량비고
1942 A184,545,000
1942 B16,329,000
1942 D40,852,000
1942 E18,334,000
1942 F32,690,000
1942 G20,295,000
1942 J29,957,000



1943년
연도주조량비고
1943 A157,357,000
1943 B11,940,000
1943 D17,304,000
1943 E10,445,000
1943 F24,804,000
1943 G3,618,000희귀
1943 J1,821,000희귀



1944년
연도주조량비고
1944 A84,164,000
1944 B40,781,000
1944 D30,369,000
1944 E29,963,000
1944 F19,639,000
1944 G13,023,000



1945년[12]
연도주조량비고
1945 A7,112,000희귀
1945 E4,897,000희귀


3. 2. 전쟁 시기 동전

제2차 세계 대전 중, 구리와 알루미늄-구리 합금으로 만들어진 동전은 아연과 알루미늄으로 대체되었고, 2 라이히스페니히 동전과 50 라이히스페니히 이상의 액면가를 가진 동전은 더 이상 발행되지 않았다. 하켄크로이츠 문양이 포함된 동전은 1 라이히스페니히와 10 라이히스페니히의 경우 1944년, 5 라이히스페니히와 50 라이히스페니히는 1945년에 마지막으로 발행되었다.

아연 '''10 라이히스페니히de''' 주화는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중인 1940년부터 1945년까지 나치 독일에서 주조되었으며, 기존에 사용되던 독특한 금색의 알루미늄-청동 주화를 대체했다. 이 주화의 가치는 1 라이히스마르크의 1/10, 즉 0.10 라이히스마르크에 해당한다. 10 라이히스페니히de 주화는 전적으로 아연으로 만들어졌으며, 같은 시기에 발행된 아연 1 라이히스페니히de, 5 라이히스페니히de, 알루미늄 50 라이히스페니히de 주화와 함께 긴급 발행 주화로 분류된다.

1940년
연도주조량비고
1940 A212,948,000
1940 B76,274,000
1940 D45,434,000
1940 E34,350,000
1940 F27,603,000
1940 G27,308,000
1940 J41,678,000



1941년
연도주조량비고
1941 A240,284,000
1941 B70,747,000
1941 D77,560,000
1941 E36,548,000
1941 F42,834,000
1941 G28,765,000
1941 J30,525,000



1942년
연도주조량비고
1942 A184,545,000
1942 B16,329,000
1942 D40,852,000
1942 E18,334,000
1942 F32,690,000
1942 G20,295,000
1942 J29,957,000



1943년
연도주조량비고
1943 A157,357,000
1943 B11,940,000
1943 D17,304,000
1943 E10,445,000
1943 F24,804,000
1943 G3,618,000희귀
1943 J1,821,000희귀



1944년
연도주조량비고
1944 A84,164,000
1944 B40,781,000
1944 D30,369,000
1944 E29,963,000
1944 F19,639,000
1944 G13,023,000



1945년[12]
연도주조량비고
1945 A7,112,000희귀
1945 E4,897,000희귀


3. 3. 주조소

조폐국 표시조폐국 위치비고
A베를린 국립 조폐국, 독일 베를린독일의 수도[11]
B오스트리아 조폐국 , 오스트리아오스트리아의 수도[11]
D바이에른 중앙 조폐국 뮌헨, 독일바이에른의 수도[11]
E독일 드레스덴 근처작센의 수도[11]
F독일 슈투트가르트뷔르템베르크의 수도[11]
G독일 카를스루에바덴의 수도[11]
J함부르크 조폐국 함부르크, 독일[11]



나치 독일은 여러 조폐국을 가지고 있었으며, 각 조폐국은 고유한 식별 문자를 가지고 있었다. 동전에 찍힌 조폐국 표시를 통해 어떤 조폐국에서 동전을 생산했는지 알 수 있었다. 모든 조폐국이 매년 동전을 생산한 것은 아니며, 조폐국마다 생산량이 달랐다. 따라서 특정 조폐국 표시가 있는 동전은 희귀할 수 있다. 은화 2, 5 라이히스마르크 동전의 경우 조폐국 표시는 동전 왼쪽의 날짜 아래에, 라이히스페니히 동전의 경우 조폐국 표시는 동전 하단 중앙에 있다.[11]

4. 지폐

1923년 하이퍼인플레이션에 대처하기 위해 파피에르마르크를 대체하여 1924년에 도입된 라이히스마르크는, 제2차 세계 대전미국, 영국, 프랑스, 소비에트 연방의 4개국 분할 점령 하에서도 유통을 계속했지만, 1948년 6월부터 소련 점령 지역과 미영불 점령 지역(트라이존)에서 각각 동쪽의 동독 마르크(Mark der DDR, 또는 오스트마르크(Ostmark))와 서쪽의 독일 마르크로의 통화 개혁이 실시되어 소멸되었다.

라이히스마르크 지폐는 여러 종류가 발행되었다. 초기에는 국가은행바이에른주, 작센주, 바덴 주 은행에서 도입되었다. 1924년에는 라이히스방크에서 10, 20, 50, 100, 1000 라이히스마르크 지폐를 발행했고, 1929년과 1936년 사이에는 같은 액면의 두 번째 시리즈가 발행되었다. 1939년에는 20 라이히스마르크, 1942년에는 5 라이히스마르크 지폐가 발행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연합군은 1944년에 점령지에서 사용할 지폐를 발행했다. Alliierte Militärbehörde|연합군 군사 당국de에서 발행한 이 지폐는 ½, 1, 5, 10, 20, 50, 100, 1000 마르크[15] 지폐가 있었으며, 액면가마다 크기는 달랐지만 색상은 비슷했다. 지폐 앞면에는 In Umlauf gesetzt in Deutschland|독일에서 통용됨de이라는 문구가 인쇄되었다.

1947년, 라인란트팔츠주는 5, 10 페니히 지폐를 발행하였다.

4. 1. 초기 지폐

최초의 라이히스마르크 지폐는 국가은행바이에른주, 작센주, 바덴 주 은행에서 도입되었다. 1924년에 라이히스방크는 최초로 , , , , 라이히스마르크 지폐를 발행하였다. 이어 1929년과 1936년 사이에 같은 액면에 대한 2번째 발행이 이루어졌다. 이 두 번째 지폐는 독일의 농업, 산업, 경제, 과학 및 건축에 기여한 인물을 기념했다.

발행년도액면가기념 인물분야
1929년알브레히트 테어농학자
1929년베르너 폰 지멘스엔지니어, 발명가, 산업가
1933년다비드 한제만프로이센 정치인이자 은행가
1935년유스투스 폰 리비히화학자, "비료 산업의 아버지"
1936년카를 프리드리히 싱켈프로이센 건축가



1939년에는 발행되지 않던 100 오스트리아 실링의 디자인을 바탕으로 라이히스마르크 지폐가 발행되었다. 1942년에는 라이히스마르크 지폐가 발행되었다. 이 기간 동안 렌텐 은행 역시 대부분이 소액면인 렌텐마르크를 발행하였다.[15]

4. 2. 라이히스방크 발행 지폐

최초의 라이히스마르크 지폐는 국가은행바이에른주, 작센주, 바덴 주 은행에서 도입되었다. 1924년에 라이히스방크는 , , , , 마르크 지폐를 발행하였다.[15] 1929년과 1936년 사이에는 같은 액면의 두 번째 지폐가 발행되었다. 두 번째 지폐는 독일의 농업, 산업, 경제, 과학 및 건축에 기여한 인물을 기념했다.

발행년도액면가기념 인물분야
1929년알브레히트 테어농학자
1929년베르너 폰 지멘스엔지니어, 발명가, 산업가
1933년다비드 한제만프로이센 정치인, 은행가
1935년유스투스 폰 리비히화학자 ("비료 산업의 아버지")
1936년카를 프리드리히 싱켈프로이센 건축가



1939년에는 미발행된 오스트리아 100 실링 지폐 도안을 사용하여 마르크 지폐의 새로운 버전이 도입되었다. 1942년에는 마르크 지폐가 발행되었다. 이 기간 동안 렌텐방크는 주로 과 권종의 렌텐마르크 지폐를 발행했다.[15]

4. 3. 연합군 점령 시기 지폐

1944년 연합군은 점령지에서 사용할 지폐를 발행했다. 이 지폐들은 ½, 1, 5, 10, 20, 50, 100, 1000 마르크[15] 단위로 발행되었으며, 액면가마다 크기는 달랐지만 색상은 비슷했다. 발행 주체는 Alliierte Militärbehörde|연합군 군사 당국de였고, 지폐 앞면에는 In Umlauf gesetzt in Deutschland|독일에서 통용됨de이라는 문구가 인쇄되었다.

이 지폐들은 미국 달러와 10:1의 비율로 환전될 수 있었다. 소련은 외화 획득을 위해 1944년 초에 지폐 제조에 필요한 조각판, 잉크 등의 사본을 요구했고, 1944년 4월 14일 미국 재무부의 헨리 모겐소 주니어와 해리 덱스터 화이트는 이를 소련으로 수송하는 것을 허가했다. 소련 당국은 점령지인 라이프치히의 인쇄 공장을 이용하여 대량의 점령 마르크를 인쇄했고, 이는 인플레이션과 금융 불안정을 초래했다. 1947년 미국 의회 조사(미국 상원 세출 위원회, 군사 위원회, 은행 및 통화 위원회 소관 점령 통화 거래 청문회)에 따르면, 약 3억 8천만 달러에 해당하는 통화가 "예산보다 더 많이" 유통된 것으로 밝혀졌다.

5. 점령지 라이히스마르크

점령지에서 유통된 2 라이히스마르크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점령지에서 유통된 동전과 지폐는 ''Reichskreditkassen''에서 발행했다. 1940년과 1941년에는 5 ℛ︁₰와 10 ℛ︁₰ 단위의 구멍 뚫린 아연 동전이 주조되었다. 지폐는 1939년부터 1945년 사이에 50 ℛ︁₰, 1ℛ︁₰, 2ℛ︁₰, 5ℛ︁₰, 20ℛ︁₰, 50ℛ︁₰ 단위로 발행되었다. 이들은 점령 국가의 통화와 함께 법정 통화로 사용되었다.

원래 5 ℛ︁₰ 동전 1억 개와 10 ℛ︁₰ 동전 2억 5천만 개를 대량 생산할 계획이었다. 1940년 4월에 발행된 첫 번째 주조 명령은 약 4천만 개의 5 ℛ︁₰ 동전과 1억 개의 10 ℛ︁₰ 동전에 해당했다. 총량은 1939년의 주조 키에 따라 7개의 독일 조폐창으로 분배되었다. 이 계약은 벨기에프랑스를 위해 동전을 요청했던 국방군이 더 이상 필요로 하지 않게 되면서 1940년 8월에 중단되었다. 주조가 중단되었을 때, 베를린("A")과 뮌헨("D")만이 상당한 양을 생산했지만, 여전히 원래 생산 계획의 작은 부분에 불과했다. 금속 공급 부족으로 인해 대부분이 녹여졌고, 따라서 대부분의 조폐창 표시는 현재 매우 희귀하다(1940년 5 A와 D, 1940년 10 A 제외).

6. 군용 라이히스마르크

연합군이 독일에서 사용하기 위해 "연합군 군용 화폐"로 발행된 "5 마르크" 지폐의 양면


1942년부터 1944년까지 ''국방군''(Wehrmacht)이 사용할 목적으로 특별한 종류의 라이히스마르크 화폐가 발행되었다. 첫 번째 발행분은 1 ℛ︁₰, 5 ℛ︁₰, 10 ℛ︁₰, 50 ℛ︁₰ 및 로 액면가가 표시되었으나, 가치는 군용 라이히스페니히 1 ℛ︁₰ = 민간용 라이히스페니히 10 ℛ︁₰로 평가되었다. 이 시리즈는 단면으로 인쇄되었다. 두 번째 발행분인 , , , 지폐는 일반적인 독일 라이히스마르크와 가치가 동일했으며 양면에 인쇄되었다.

사진 속 앞뒷면의 5 마르크 지폐는 보스턴의 포브스 리소그래프 제조 회사에서 점령된 독일을 위해 인쇄된 연합군 군용 화폐("AMC")이다. 유럽의 각 해방 지역마다 다른 AMC가 있었다.[14]

참조

[1] 웹사이트 Reichspfennig – Schreibung, Definition, Bedeutung, Synonyme, Beispiele https://www.dwds.de/[...] 2024-06-23
[2] 웹사이트 MIWI Institute – 150 years of German monetary history https://miwi-institu[...] 2024-06-23
[3] 서적 Arbeitsbeschaffungsmaßnahmen im Dritten Reich von 1933-1936 http://worldcat.org/[...] GRIN Verlag
[4] 간행물 Banking in National Socialist Germany, 1933–39 http://dx.doi.org/10[...] 1998-04
[5] 웹사이트 The Deutsche Mark and its Legacy https://www.thoughtc[...] 2024-06-23
[6] 간행물 Law 1947-2158 of 15 November 1947 https://gallica.bnf.[...] 2020-10-21
[7] 웹사이트 worldcoingallery.com/countries/Germany_all3.html https://worldcoingal[...] 2024-06-23
[8] 문서 Matthias Kordes: ''Die Geschichte der Münzen in Westfalen von 1855–2005.'' In: Sparkasse Vest Recklinghausen (Hrsg.): ''150 Jahre Sparkasse Vest Recklinghausen. Gut für die Region.'' Sparkasse Vest Recklinghausen, Recklinghausen
[9] 문서 Dieter Petzina: ''Hauptprobleme der deutschen Wirtschaftspolitik 1932/33.'' In: ''[[Vierteljahrshefte für Zeitgeschichte]].'' 1967, 15. Jahrgang, Heft 1, S. 18–55 ([https://www.ifz-muenchen.de/heftarchiv/1967_1_2_petzina.pdf PDF]).
[10] 문서 Ausgabe neuer Reichskupfermünzen zu 4 Reichspfennig Berliner Verkehrsbetriebe|Berliner Verkehrs-Aktiengesellschaft
[11] 웹사이트 Nazi Germany Coin Mint Marks http://www.nazicoins[...] 2013-01-16
[12] 웹사이트 10 Reichspfennig - Germany - 1871-1948 - Numista http://en.numista.co[...] Numista 2013-01-16
[13] 웹사이트 Lodz Ghetto Token Coinage https://www.pcgs.com[...] 2018-03-01
[14] 웹사이트 Allied Military Currency http://www.strictly-[...] Strictly G.I. 2015-03-18
[15] 문서 라이히스마르크가 아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