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켄크로이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켄크로이츠는 원래 고대 게르만족의 행운을 상징하는 기호였으나, 나치 독일의 상징으로 채택되어 널리 알려졌다. 아돌프 히틀러는 나치당의 상징으로 이 기호를 사용하며 아리아 인종의 우월성을 나타낸다고 주장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나치즘의 상징으로 굳어져 서양에서는 금기시되었으며, 독일에서는 사용이 법적으로 금지되었다. 한국에서는 불교의 만(卍)자와 혼동되어 논란이 되기도 하며, 일본, 핀란드 등 다른 국가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었으나, 나치즘과의 연관성 때문에 사용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치 독일의 상징 - 호르스트 베셀의 노래
호르스트 베셀의 노래는 호르스트 베셀이 작사한 가사에 멜로디가 붙어 나치당의 상징적인 노래가 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에서 금지되었고 파시스트 운동 단체들에 의해 개작되어 사용되거나 극우 단체들에 의해 사용 및 패러디의 대상이 되었다. - 나치 독일의 상징 - 나치 경례
나치 경례는 범게르만주의 운동에서 유래하여 나치당이 히틀러에 대한 충성을 상징하는 뻗은 팔 경례로 채택되었으며, 고대 로마 제스처 기원설과 시각적으로 유사한 제스처들이 존재하지만, 1920년대 초부터 사용되어 1926년 당원 의무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여러 국가에서 법적으로 금지되었다. - 정치 이데올로기 사이드바 - 나치 독일
나치 독일은 아돌프 히틀러의 나치당이 통치한 1933년부터 1945년까지의 독일을 가리키며, 극단적인 민족주의와 전체주의를 바탕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을 일으키고 홀로코스트를 포함한 대량 학살과 인권 유린을 자행했다. - 정치 이데올로기 사이드바 - 민주사회주의
민주사회주의는 개인의 자유로운 인격 발전을 보장하며 사회경제적 불평등 해소와 공공성 강화를 목표로, 자본주의 내 개혁을 추구하는 사회민주주의와 달리 생산 양식의 체계적 전환을 주장하며 의회 민주주의를 지향한다.
하켄크로이츠 | |
---|---|
지도 정보 | |
명칭 및 기원 | |
명칭 | 하켄크로이츠, 만자문 |
독일어 명칭 | Hakenkreuz |
기원 | 고대 상징에서 유래 |
다른 명칭 | 갈고리 십자가 꺾인 십자가 구부러진 십자가 |
형태 및 구조 | |
모양 | 십자가 모양에 꺾인 팔을 가진 형태 |
방향 |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모두 사용 가능 |
역사 | |
나치즘과의 연관성 | 나치즘의 주요 상징으로 사용됨 |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의 깃발 및 휘장으로 사용됨 |
사용 시기 | 20세기 초부터 나치 독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 |
나치 독일 이후 | 전후 서방 국가에서 사용이 금지되거나 부정적으로 인식됨 |
네오나치 | 네오나치 단체에서 여전히 사용 |
법적 규제 | 여러 국가에서 공공장소 전시를 금지함 |
문화 및 종교적 의미 | |
불교 | 불교에서는 행운과 번영의 상징으로 사용됨 (주로 만자(卍) 형태) |
힌두교 | 힌두교에서도 신성한 상징으로 사용됨 |
자이나교 | 자이나교에서도 중요한 상징으로 사용됨 |
그 외 | 고대 문화에서 다양한 의미로 사용됨 |
상징주의 | |
나치즘에서의 의미 | 아리아인의 상징 민족 우월주의의 상징 반유대주의의 상징 |
기타 | |
기술적 사항 | 특수 문자로 표현 가능 |
관련 상징 | |
흑태양 | 흑태양 |
룬 문자 | 룬 문자 |
이미지 | |
2. 역사
1920년 나치당이 결성되면서 아돌프 히틀러가 처음으로 하켄크로이츠를 당의 상징으로 사용했다. 그러나 하켄크로이츠는 원래 고대 게르만족의 룬 문자 형태 기호로, 행운의 상징이었다.[1] 히틀러는 게르만족과 아리아 인종의 고유성과 우월성을 주장했기에, 게르만족 고유의 상징인 하켄크로이츠에 주목했다.
히틀러는 깃발이 세계관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믿었으며, 깃발을 제정할 때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했다.
특히 붉은색은 마르크스주의자들의 상징색이기도 했기에, 그들의 수단을 빼앗아 사용함으로써 그들에 대한 투쟁을 극대화하려고 했다. 히틀러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군복무 경험을 바탕으로 깃발의 중요성에 주목했고, 저서 나의 투쟁에서 '효과가 많은 기장은 대개의 경우 어떤 운동에 대한 관심에 대한 최초의 유인을 줄 수가 있는 것이다'라고 썼다.
새로 제정된 당기는 1920년에 처음 공개되었고, 1945년까지 독일 전역에서 사용되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동독과 서독에서는 나치즘을 선전하거나 광고하기 위한 하켄크로이츠 사용을 금지했다.
2. 1. 기원과 초기 사용
하켄크로이츠는 원래 고대 게르만족의 룬 문자 형태 기호였다. 게르만족은 이 기호를 행운의 상징으로 사용했다.[1] 히틀러는 게르만족과 아리아 인종의 고유성과 우월성을 주장했기에, 게르만족 고유의 상징인 하켄크로이츠에 주목했다.
'''만자'''(卍, swastika영어, 스바스티카, 스와스티카) 또는 '''만자''' 도안은 고대부터 힌두교, 불교, 서양에서도 행운의 표시로 사용되었으며, 기독교에서는 십자가 도안의 한 종류이기도 하다. 일본에서는 가문이나 절을 나타내는 지도 기호 등에 「卍」('''왼쪽 만자''')가 많이 사용된다. 반대 방향의 도안([1])은 '''역만자''', '''오른쪽 만자'''라고도 불린다.
2. 2. 나치 독일의 상징 채택

1920년, 아돌프 히틀러는 나치당의 상징으로 하켄크로이츠를 채택했다. 히틀러는 하켄크로이츠를 아리아 인종의 우월성과 게르만 민족의 고유성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해석했다. 붉은색 바탕, 흰색 원, 검은색 하켄크로이츠의 조합은 제정 시대 독일 국기의 색상을 참고한 것으로, 히틀러는 각각 사회적 이념, 국가주의적 이념, 아리아 인종의 승리를 위한 투쟁을 상징한다고 주장했다.[2][3]
히틀러는 깃발이 세계관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믿었으며, 깃발을 제정할 때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했다.
특히 붉은색은 마르크스주의자들의 상징색이기도 했기에, 그들의 수단을 빼앗아 사용함으로써 그들에 대한 투쟁을 극대화하려고 했다.
하인리히 슐리만이 트로이 유적에서 발견한 卍|만중국어 도안이 고대 인도유럽어족의 공통된 종교적 상징이라는 주장이 아리아 인종설과 결합하여 하켄크로이츠 채택에 영향을 주었다. 원래 하켄크로이츠는 에르하르트 여단(콘술의 전신) 등 독일 민족주의 운동의 상징으로도 사용되었다. 히틀러는 저서 『나의 투쟁』에서 지지자들의 제안을 통해 당기 디자인을 선택했고, 치과의사 프리드리히 크론이 제안한 갈고리 십자가가 아리아인 우월론의 상징으로 여겨졌다고 밝혔다.
나치당은 붉은 바탕 위에 흰 원 안에 검은 갈고리 십자가가 들어간 디자인을 사용했다. 검정, 흰색, 빨강은 제정 시대의 국기에 사용되었던 색이다. 히틀러는 빨강은 사회적 이념, 흰색은 국가주의적 이념, 갈고리 십자가는 아리아 인종의 승리를 위해 싸우는 사명을 나타낸다고 했다.
2. 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에서는 학문적인 목적을 제외하고는 하켄크로이츠를 포함한 나치의 상징을 공공장소에서 전시하거나 사용하는 것이 민중선동죄로 처벌된다.[1] 단, 사유지나 개인 소유는 허용되며 사상 자체를 금지하지는 않는다.[1] 예를 들어 고물상 등이 당시 배지나 제복류를 매장에 진열하는 경우 하켄크로이츠 부분을 스티커 등으로 가려야 한다.[1]독일을 포함한 여러 나라의 네오나치 일부는 현재도 하켄크로이츠를 사용하고 있다.[1]
EU에서도 독일 등과 같이 하켄크로이츠를 낫과 망치와 함께 공공장소에서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려는 제안이 있었으나, 서유럽 각국의 공산당과 러시아의 반발이 거셌고, 결국 실현되지 않았다.[1] 독일이 주도하는 하켄크로이츠 금지를 EU 전체로 확대하려는 움직임에 대해 힌두교 단체는 하켄크로이츠는 전통적으로 평화의 상징으로 사용되어 왔다고 비난하기도 했다.[1]
2007년 3월 17일, 독일 연방의원 클라우디아 로트 (Claudia Rothde)는 공적인 자리에서 반네오나치적으로 하켄크로이츠를 다루었고,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에서 이를 인정했기 때문에, 이후 그러한 형태의 하켄크로이츠 사용이 허용되었다.[1]
하켄크로이츠를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 당시 독일을 묘사하는 데 있어 "사실을 충실히 재현하는" 데 장애가 되는 경우가 있다.[1] 독일군 병기의 프라모델을 예로 들면, 하켄크로이츠가 박스 아트에서 생략되거나 田(논밭 田)자 모양으로 되어 있거나, 데칼의 형태가 둘로 나뉘어 접착하지 않으면 하켄크로이츠 모양으로 보이지 않도록 하는 등의 조치가 자주 취해진다.[1] 철도 모형에서도 마찬가지이다.[1] 그 외, 워 시뮬레이션 게임 등에서는 하켄크로이츠 자체를 삭제하거나, "둘로 분할", "십자가로 대체", "×표시로 대체", "철십자로 대체", "독자적인 심볼로 대체" 등 규제를 피하는 예도 볼 수 있지만, 일본에서 제작된 소프트웨어 중에는 하켄크로이츠가 그대로 들어 있는 작품도 존재한다.[1]
3. 한국에서의 인식과 논란
한국에서는 하켄크로이츠가 불교의 만(卍) 자와 혼동되어 논란이 되는 경우가 있다. 불교의 만자와 나치의 하켄크로이츠는 방향과 의미가 다르지만, 시각적인 유사성 때문에 오해를 일으키기도 한다.[1]
일본에서는 신앙 전통으로 인해 卍(좌만자)와 卐(우만자)가 혼용되거나, 卍를 표시하려다 실수로 卐를 표시하는 경우가 있다. 1970년대 아오모리현 히로사키시에서는 시장의 만(卍) 자를 맨홀 뚜껑에 실수로 卐 자로 인쇄했다가 독일인의 지적으로 회수되는 사건이 있었다. 2006년 도쿠시마시의 아와오도리가 독일에서 공개될 때 유카타의 만자 문양을 자제하기도 했다. (도쿠시마 번의 번주 하치스카 씨의 가문의 문장이 만자였기 때문에 현재도 아와오도리에서는 만자를 사용한 유카타를 볼 수 있다.)
2020년 도쿄 올림픽을 앞두고 외국인을 위한 지도에서 사찰을 나타내는 기호로 만자 기호 대신 삼중탑 도안을 사용하는 것을 검토했지만, 채택은 보류되었다.[2]
3. 1. 한국 대중문화 속 하켄크로이츠
1970년대부터 1980년대 후반까지 일본의 만화와 애니메이션에서는 하켄크로이츠가 사용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이케자와 사토시의 만화 『サーキットの狼』에서는 하야세 사콘의 포르쉐 911 카레라 RS 2.7에 하켄크로이츠 마크가 그려져 있었고, 마야 미네오의 만화 『パタリロ!』에서는 주인공 파타리로 드 마리네르 8세가 히틀러 코스프레를 하거나 SS 복장을 한 타마네기 부대가 등장하기도 했다.[8] 『キン肉マン』에서는 독일 출신 초인 브로켄맨과 브로켄 Jr.가 하켄크로이츠가 달린 의상을 입거나 문신을 새기기도 했다.[8] 아키모토 오사무의 「여기는 가쓰시카구 가메아리 공원 앞 파출소」에서도 초기에 이름 없는 계장이 하켄크로이츠 완장을 하고 등장했지만, 나중에 검게 칠해졌다.[8]그러나 1990년대 이후 일본 애니메이션 재방송에서는 하켄크로이츠가 모자이크 처리되거나 다른 상징으로 수정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예를 들어 『파타리로!』 문고본에서는 하켄크로이츠가 철십자로 수정되었고,[8] 『근육맨』 애니메이션 재방송에서는 모자이크 처리가 되기도 했다.[8]
3. 2. 기타 논란 사례
일본의 밴드 PIERROT는 한때 앨범의 수록곡 제목에 하켄크로이츠를 사용했다가 문제가 되자 제목을 변경하였다.[1]2020년 도쿄 올림픽을 앞두고, 일본 정부는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지도에서 사찰을 나타내는 기호로 만자 대신 삼중탑 도안을 사용하는 것을 검토했으나, 일본 내외에서 여러 의견이 제기되면서 보류되었다.[2]
4. 다른 국가에서의 사용과 논란
하켄크로이츠는 원래 고대 게르만족의 룬 문자 중 하나였으나, 1920년 나치당이 결성되면서 나치즘의 상징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아돌프 히틀러는 깃발을 통해 민족적 의미, 공산당 및 사민당에 대한 대항, 새로운 운동으로서의 상징, 민중에 대한 심리적 파급 효과 등을 표현하고자 했다. 특히 붉은색은 피의 순수성을 상징하고, 사민당과 공산당의 색깔을 빼앗아 사용함으로써 그들에 대한 투쟁을 극대화하려는 의도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서양에서는 하켄크로이츠가 나치즘의 상징으로 굳어져 금기시되었고, 독일에서는 법률로 사용이 금지되었다. 그러나 현대 백인 인종주의 극우파들은 하켄크로이츠의 변종을 사용하기도 한다. 동독과 서독에서는 법률로 하켄크로이츠 사용을 금지했다.
다른 국가에서도 하켄크로이츠가 사용된 사례가 있다.
4. 1. 핀란드
핀란드 공군은 1918년에 도입된 갈고리 십자가를 휘장으로 2017년 1월까지 사용했다.[6] 핀란드 공군이 채택한 갈고리 십자가는 공군 최초 항공기 기증자인 스웨덴의 백작 에릭 폰 로젠에게 행운의 상징이었지만, 그는 나중에 스웨덴 나치즘 운동의 저명인사가 되었다.
핀란드 정부의 지원을 받는 민간 준군사 조직 롯타 스바르트도 갈고리 십자가를 사용했다. 1918년 화가 악셀리 갈렌-칼렐라가 디자인한 자유 십자 훈장에는 갈고리 십자가 문양이 있으며, 이 훈장은 핀란드 대통령 깃발의 왼쪽 상단에 그려져 있다.[7]
4. 2. 미국
미국 육군 제45보병사단은 1939년까지 하켄크로이츠를 부대 마크로 사용하다 나치 독일을 연상시킨다는 이유로 폐지하였다.[4] --4. 3. 기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오스트레일리아 군대에서 하켄크로이츠를 사용했다.
라트비아 공군은 1919년부터 1940년까지 하켄크로이츠를 사용했다.

러시아 파시스트당이 상징으로 하켄크로이츠를 사용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하켄크로이츠와 다윗의 별을 모두 부적절한 기호로 간주하여 Microsoft Office 2003에 포함된 글꼴파일 "Bookshelf Symbol 7"에서 해당 기호들을 삭제하는 도구를 2004년 2월 11일에 배포했다.
2020년 7월 28일, 미국의 슈퍼마켓 기업 월마트(Walmart)는 하켄크로이츠가 그려진 마스크를 쓰고 매장을 방문한 고객에게 1년 이상의 출입금지 조치를 취했다.[9]
5. 유사 상징과의 혼동 문제
세계적으로,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나치즘과의 연관성 때문에 만자(卍) 사용에 대한 거부감이 존재한다.[1]
- 일본의 소림사 권법은 1947년 창설 이후 심벌 마크와 흉장에 卍를 사용해 왔지만, 유럽에서의 보급에 있어 하켄크로이츠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2005년부터 새로운 심벌 마크로 변경했다.[11]
- 포켓몬스터 카드 게임 카드에 만자가 인쇄되어 있었으나, 유럽과 미국 유대인 단체의 항의로 디자인이 변경되었다.
- 2022년 6월 독일에서 열린 코믹 마켓에서 도쿄 리벤저스 코스프레에 "卍"가 포함되어 문제가 되었다.[10]
- 세리에 A의 축구 클럽 피오렌티나는 유니폼 무늬 일부가 만자와 유사하다는 항의로 인해 디자인을 변경했다.
-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일부 아메리카 인디언 부족들은 예술품에 만자(卍)를 사용하지 않겠다는 법령에 서명했다. 만자가 나치를 연상시키기 때문이었다.
- 전국 각지의 이벤트에서 만자가 인쇄된 현수막이나 포스터가 외국인 관광객에게 "하켄크로이츠가 인쇄되어 있다"고 오해되어 문제가 되는 일이 최근 외국인 관광객 증가로 인해 심각해지고 있다.
일본에서는 신앙의 전통으로부터 「卍(좌만자)」와 「卐(우만자)」가 혼용되는 것과 「卍」을 표시하려다 실수로 「卐」를 표시한 경우가 두드러진다.
- 1970년대에는 아오모리현히로사키시에서 시의 卍 문양을 맨홀 뚜껑에 인쇄할 때 실수로 卐를 인쇄했고, 발주한 시청도 뚜껑이 설치된 길을 산책하는 시민도 卐가 인쇄되어 있다는 것을 전혀 알아채지 못하다가, 시내를 산책하던 독일인의 지적에 의해 뚜껑이 회수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 2006년에는 도쿠시마시의 아와오도리가 독일에서 공개될 때, 유카타의 만자 문양을 자제했다(도쿠시마 번의 번주인 하치스카 씨의 가문의 문장이 만자였기 때문에, 현재에도 아와오도리에서는 만자를 사용한 유카타를 자주 볼 수 있다).
- 2020년 도쿄 올림픽을 계기로 외국인을 위한 지도에서 사찰을 나타내는 기호로 만자 기호를 피해 삼중탑을 모티브로 한 도상을 사용하는 것이 검토되었지만, 채택은 보류되었다.
참조
[1]
서적
大漢和辞典
大修館書店
[2]
논문
Troy and its remains
Murray
[3]
뉴스
One of the world's great symbols strives for a comeback
http://faluninfo.net[...]
2000-07-29
[4]
웹사이트
History - From Swastika to Thunderbird
http://www.45thdivis[...]
2018-08-15
[5]
웹사이트
History - From Swastika to Thunderbird
http://www.45thdivis[...]
2018-08-15
[6]
뉴스
Finland's air force quietly drops swastika symbol
https://www.bbc.com/[...]
2020-07-02
[7]
웹사이트
Flag
https://archive.toda[...]
2011-07-20
[8]
웹사이트
スーパーサイヤ人はナチス? フランス人が日本を好きなわけ
https://www.excite.c[...]
[9]
웹사이트
「かぎ十字」柄の布で顔覆った男女、ウォルマートが入店禁止に
https://www.cnn.co.j[...]
CNN
2020-07-20
[10]
웹사이트
“卍”がナチス想起? 『東リベ』コスプレがドイツで物議も…「日本側が訂正する必要はない」「誰が何のために使っているかが重要」 国際
https://times.abema.[...]
2022-08-18
[11]
웹사이트
知的財産権、商標について
https://www.shorinji[...]
2022-08-1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뉴블더] 전두환 얼굴 새겨진 가방…항의받고 내린 중국 쇼핑몰
전두환 얼굴 새긴 가방 판매 논란
‘원피스’ 감독 “지브리를 더럽혀”…챗GPT 이미지 생성 맹비난
“하야오에 대한 모독”…지브리풍 이스라엘군, 이게 맞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