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레비치비타 기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비치비타 기호는 차원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며, 2차원, 3차원 및 n차원에서 정의되는 기호이다. 2차원 기호는 응집 물질 물리학, 초대칭성 및 트위스터 이론과 같은 고에너지 물리학 분야에서 사용된다. 3차원 레비치비타 기호는 3 × 3 × 3 배열로 나타낼 수 있으며, 벡터곱, 스칼라 삼중곱, 행렬식 계산 등에 활용된다. 일반화된 n차원 레비치비타 기호는 순열 텐서 또는 텐서 밀도로 해석될 수 있으며, 상대성 이론의 맥스웰 방정식과 민코프스키 공간의 시공간 기하학을 기술하는 데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텐서 - 맥스웰 변형력 텐서
    맥스웰 변형력 텐서는 전자기장의 변형력을 나타내는 텐서로, 전기장과 자기장의 함수로 정의되며 힘, 압력, 전자기장의 운동량과 관련된다.
  • 텐서 - 변형력
    변형력은 물체가 외부 힘에 저항하여 형태를 유지하려는 힘으로, 단위 면적당 작용하는 힘(응력)으로 정의되며, 수직 응력과 전단 응력으로 나뉘고, 재료의 강도 한계를 초과하면 변형이나 파괴를 일으킬 수 있으며, 구조물 안전성 평가에 사용된다.
  • 순열 - 완전순열
    완전순열은 집합의 순열 중 모든 원소가 원래 위치에 있지 않은 순열, 즉 고정점이 없는 순열을 의미하며, 크기가 n인 집합의 완전순열의 수는 준계승 !n으로 나타내고, 점화식 또는 포함-배제 원리로 계산하며, 몽모르 수라고도 불린다.
  • 순열 - 스털링 수
    스털링 수는 조합론 등에서 활용되며, 제1종과 제2종으로 구분되어 원소 분할 경우의 수를 나타내고 점화식, 생성 함수 등의 성질을 가지며, 라 수와 관련된다.
  • 선형대수학 - 벡터 공간
    벡터 공간은 체 위의 가군으로 정의되는 대수적 구조로, 벡터 덧셈과 스칼라 곱셈 연산을 가지며 특정 공리들을 만족하고, 기저, 차원, 선형 사상 등의 개념을 통해 수학과 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선형대수학 - 선형 결합
    선형 결합은 벡터 공간에서 벡터들의 스칼라 곱의 합으로 표현되는 식으로, 벡터 집합의 선형 독립성 판단 및 부분 공간 생성과 관련되며, 계수 제약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결합을 정의할 수 있고, 위상 벡터 공간이나 가군으로 일반화될 수 있다.
레비치비타 기호
개요
종류반대칭 텐서
기호ε 또는 ϵ (일반적으로 사용됨), 드물게 e
차원n
정의
정의n개의 첨자 i₁, i₂, ..., iₙ을 가짐
첨자 범위1, 2, ..., n
전체 개수nⁿ개
εi₁i₂...in치환이 짝수번이면 +1, 홀수번이면 -1, 첨자 중복 시 0
ε₁₂...n+1
특징
주된 용도행렬식 계산, 벡터곱 표현
관련 개념크로네커 델타
관련 정보
다른 이름레비-치비타 부호, 에딩턴 기호, 순열 기호

2. 정의

레비치비타 기호의 모습


레비치비타 기호는 완전 반대칭이며, 차원에 따라 다르게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3차원 및 4차원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며, 2차원에서도 어느 정도 사용된다.[10][11]

i영어, j영어, k영어가 각각 1, 2, 3 중 하나일 때, 레비치비타 기호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i, j, k)가 (1, 2, 3), (2, 3, 1), (3, 1, 2)와 같이 순열되는 경우, 그 값은 +1이다.
  • (i, j, k)가 (3, 2, 1), (1, 3, 2), (2, 1, 3)과 같이 순열되는 경우, 그 값은 -1이다.
  • i, j, k 중 어느 하나라도 중복되는 경우, 그 값은 0이다.


부호 함수 sgn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varepsilon_{ijk} = \operatorname{sgn}(j-i) \operatorname{sgn}(k-i) \operatorname{sgn}(k-j).

2. 1. 2차원

2차원에서 레비치비타 기호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1]

  • (i, j) = (1, 2)이면 εij = +1
  • (i, j) = (2, 1)이면 εij = -1
  • i = j이면 εij = 0


이 값들은 다음과 같은 2×2 반대칭 행렬로 나타낼 수 있다.

:\begin{pmatrix}

\varepsilon_{11} & \varepsilon_{12} \\

\varepsilon_{21} & \varepsilon_{22}

\end{pmatrix} = \begin{pmatrix}

0 & 1 \\

  • 1 & 0

\end{pmatrix}

2차원 기호는 응집 물질 물리학에서 흔히 사용되며, 2-스피너의 맥락에서 나타나는 초대칭성[1]트위스터 이론[2]과 같은 특정 전문 고에너지 물리학 주제에서도 사용된다.

2. 2. 3차원

3차원에서 레비치비타 기호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3]

:\varepsilon_{ijk} = \begin{cases}

+1 & \text{if } (i,j,k) \text{ is } (1,2,3), (2,3,1), \text{ or } (3,1,2), \\

  • 1 & \text{if } (i,j,k) \text{ is } (3,2,1), (1,3,2), \text{ or } (2,1,3), \\

\;\;\,0 & \text{if } i = j, \text{ or } j = k, \text{ or } k = i

\end{cases}

즉, \varepsilon_{ijk}(i, j, k)(1, 2, 3)의 짝순열이면 1이고, 홀순열이면 -1이며, 임의의 지수가 반복되면 0이다. 3차원에서만 (1, 2, 3)의 순환 순열은 모두 짝순열이고, 유사하게 역순환 순열은 모두 홀순열이다.

210px


몇 가지 예시는 다음과 같다.

:\begin{align}

\varepsilon_{\color{BrickRed}{1} \color{Violet}{3} \color{Orange}{2}} = -\varepsilon_{\color{BrickRed}{1} \color{Orange}{2} \color{Violet}{3}} &= - 1 \\

\varepsilon_{ \color{Violet}{3} \color{BrickRed}{1} \color{Orange}{2}} = -\varepsilon_{ \color{Orange}{2} \color{BrickRed}{1} \color{Violet}{3}} &= -(-\varepsilon_{\color{BrickRed}{1} \color{Orange}{2} \color{Violet}{3}}) = 1 \\

\varepsilon_{ \color{Orange}{2} \color{Violet}{3} \color{BrickRed}{1}} = -\varepsilon_{\color{BrickRed}{1} \color{Violet}{3} \color{Orange}{2}} &= -(-\varepsilon_{\color{BrickRed}{1} \color{Orange}{2} \color{Violet}{3}}) = 1 \\

\varepsilon_{ \color{Orange}{2} \color{Violet}{3} \color{Orange}{2}} = -\varepsilon_{ \color{Orange}{2} \color{Violet}{3} \color{Orange}{2}} &= 0

\end{align}

2. 3. 일반화 (n차원)

n차원에서 레비치비타 기호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4]

:\varepsilon_{a_1 a_2 a_3 \ldots a_n} = \begin{cases}

+1 & \text{if }(a_1, a_2, a_3, \ldots, a_n) \text{ is an even permutation of } (1, 2, 3, \dots, n) \\

  • 1 & \text{if }(a_1, a_2, a_3, \ldots, a_n) \text{ is an odd permutation of } (1, 2, 3, \dots, n) \\

\;\;\,0 & \text{otherwise}

\end{cases}

이는 순열의 경우 순열의 부호와 같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0이다.

숫자의 일반적인 곱셈에 대한 대문자 파이 표기법을 사용하여, 기호에 대한 명시적인 표현은 다음과 같다.

:\begin{align}

\varepsilon_{a_1 a_2 a_3 \ldots a_n}

& = \prod_{1 \leq i < j \leq n} \sgn (a_j - a_i) \\

& = \sgn(a_2 - a_1) \sgn(a_3 - a_1) \dotsm \sgn(a_n - a_1) \sgn(a_3 - a_2) \sgn(a_4 - a_2) \dotsm \sgn(a_n - a_2) \dotsm \sgn(a_n - a_{n-1})

\end{align}

여기서 시그넘 함수는 인수의 부호를 반환하며, 0이 아니면 절댓값을 버린다. 이 공식은 모든 인덱스 값과 모든 n에 대해 유효하다 (n = 0 또는 n = 1인 경우, 이는 빈 곱이다).

에딩턴 엡실론은 ''n''차원으로 확장할 수 있다. ('''일반화된 에딩턴 엡실론''')[12]

:

\varepsilon_{i_1 i_2 \dots i_n} = \varepsilon^{i_1 i_2 \dots i_n} =

\begin{cases}

+1 & ~\text{(짝수)}\\

  • 1 & ~\text{(홀수)}\\

~0 & ~\text{(그 외)}

\end{cases}



단, ''i1'',''i2'',…,''in'' 이 1, 2, …, ''n'' 의 짝수 치환의 경우에는 (짝수)에, 홀수 치환의 경우에는 (홀수)에, 그 외의 경우에는 (그 외)에 대응한다.

3. 성질

레비치비타 기호는 크로네커 델타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

3차원에서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4]

:\varepsilon_{ijk}\varepsilon_{lmn} = \begin{vmatrix}

\delta_{il} & \delta_{im} & \delta_{in} \\

\delta_{jl} & \delta_{jm} & \delta_{jn} \\

\delta_{kl} & \delta_{km} & \delta_{kn} \\

\end{vmatrix} = \delta_{il}\left( \delta_{jm}\delta_{kn} - \delta_{jn}\delta_{km}\right) - \delta_{im}\left( \delta_{jl}\delta_{kn} - \delta_{jn}\delta_{kl} \right) + \delta_{in} \left( \delta_{jl}\delta_{km} - \delta_{jm}\delta_{kl} \right).

하나의 인덱스가 반복되고 합산될 때 발생하는 특수한 경우는 다음과 같다.

:\sum_{i=1}^3 \varepsilon_{ijk}\varepsilon_{imn} = \delta_{jm}\delta_{kn} - \delta_{jn}\delta_{km}

아인슈타인 표기법에서, 인덱스 i의 중복은 i에 대한 합을 의미한다. 따라서 앞선 식은 \varepsilon_{ijk}\varepsilon_{imn} = \delta_{jm}\delta_{kn} - \delta_{jn}\delta_{km}로 표기된다.

두 개의 인덱스가 반복되고 합산되면 다음과 같이 더 간단해진다.

:\sum_{i=1}^3 \sum_{j=1}^3 \varepsilon_{ijk}\varepsilon_{ijn} = 2\delta_{kn}

n차원에서 모든 i_1, \dots, i_n, j_1, \dots, j_n1, 2, \dots, n 값을 가질 때 다음이 성립한다.

:\varepsilon_{i_1 \dots i_n} \varepsilon^{j_1 \dots j_n} = \delta^{j_1 \dots j_n}_{i_1 \dots i_n}

:\varepsilon_{i_1 \dots i_k i_{k+1} \dots i_n} \varepsilon^{i_1 \dots i_k j_{k+1} \dots j_n} = k! \delta^{j_{k+1} \dots j_n}_{i_{k+1} \dots i_n}

:\varepsilon_{i_1 \dots i_n}\varepsilon^{i_1 \dots i_n} = n!

여기서 !는 계승을 나타내며, \delta^{j_1 \dots j_n}_{i_1 \dots i_n}는 일반화된 크로네커 델타이다. 모든 n에 대해 다음 속성이 성립한다.

:\sum_{i, j, k, \dots = 1}^n \varepsilon_{ijk\dots}\varepsilon_{ijk\dots} = n!

이는 다음 사실로부터 도출된다.


  • 모든 순열은 짝순열 또는 홀순열이다.
  • (+1)^2 = (-1)^2 = 1
  • 모든 n개 원소 집합의 순열 수는 정확히 n!이다.


두 레비치비타 기호의 곱은 다음과 같이 행렬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varepsilon_{i_1 i_2 \dots i_n} \varepsilon_{j_1 j_2 \dots j_n} = \begin{vmatrix}

\delta_{i_1 j_1} & \delta_{i_1 j_2} & \dots & \delta_{i_1 j_n} \\

\delta_{i_2 j_1} & \delta_{i_2 j_2} & \dots & \delta_{i_2 j_n} \\

\vdots & \vdots & \ddots & \vdots \\

\delta_{i_n j_1} & \delta_{i_n j_2} & \dots & \delta_{i_n j_n} \\

\end{vmatrix}.

4. 활용

레비치비타 기호는 수학과 물리학의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선형대수학에서 두 3차원 벡터벡터곱과 3 × 3 정사각 행렬의 행렬식을 간략하게 표현할 수 있다.[6] 아인슈타인 표기법을 사용하면 합산 기호를 생략하여 더욱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다.

벡터 삼중곱 공식은 다음과 같이 증명할 수 있다.

:\begin{align}

\left\{ \boldsymbol a \times (\boldsymbol b \times \boldsymbol c) \right\}_i

&= \sum_{j,k} \varepsilon_{ijk} a_j (\boldsymbol b \times \boldsymbol c)_k \\

&= \sum_{j,k} \varepsilon_{ijk} a_j \sum_{\ell,m} \varepsilon_{k\ell m} b_\ell c_m \\

&= \sum_{j,\ell,m} \left(\sum_{k} \varepsilon_{ijk} \varepsilon_{k\ell m}\right) a_j b_\ell c_m \\

&= \sum_{j,\ell,m} (\delta_{i\ell}\delta_{jm}-\delta_{im}\delta_{j\ell}) a_j b_\ell c_m \\

&= \sum_{m} (a_m b_i c_m - a_m b_m c_i)\\

&= \left\{

\boldsymbol b\,(\boldsymbol a \cdot \boldsymbol c)-\boldsymbol c\,(\boldsymbol a \cdot \boldsymbol b)

\right\}_i

\end{align}

데카르트 좌표계에서 정의된 벡터장 의 회전의 i번째 성분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4]

: (\nabla \times \mathbf{F})^i(\mathbf{x}) = \varepsilon_{ijk}\frac{\partial}{\partial x^j} F^k(\mathbf{x}),

이는 외적 표현에서 기울기 벡터 선형 연산자 (델)의 성분을 대입하여 얻을 수 있다.

4. 1. 벡터곱

선형대수학에서 3차원 벡터벡터곱(외적)은 레비치비타 기호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5]

:

(\mathbf{a \times b})^i = \sum_{j=1}^3 \sum_{k=1}^3 \varepsilon_{ijk} a^j b^k.



아인슈타인 표기법을 사용하면, 합산 기호를 생략하여 외적의 i번째 성분을 다음과 같이 간단히 나타낼 수 있다.[4]

: (\mathbf{a\times b})^i = \varepsilon_{ijk} a^j b^k.

예를 들어, 첫 번째 성분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mathbf{a\times b})^1 = a^2 b^3-a^3 b^2\,,

다른 성분들은 1, 2, 3을 순환 치환하여 위 식에서 직접 유도할 수 있다.

:\begin{align}

(\mathbf{a\times b})^2 &= a^3 b^1-a^1 b^3\,, \\

(\mathbf{a\times b})^3 &= a^1 b^2-a^2 b^1\,.

\end{align}

벡터 \boldsymbol{a} =(a_x, a_y, a_z), \boldsymbol{b} =(b_x, b_y, b_z)외적은 다음과 같이 표현 가능하다.

:

(\boldsymbol{a} \times \boldsymbol{b})_i = \sum_{j,k} \varepsilon_{ijk} a_j b_k


4. 2. 스칼라 삼중곱

3차원에서 세 벡터 \mathbf{a}, \mathbf{b}, \mathbf{c}의 스칼라 삼중곱은 다음과 같이 레비치비타 기호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3]

: \mathbf{a}\cdot(\mathbf{b\times c}) = \varepsilon_{ijk} a^i b^j c^k.

이 표현에서 스칼라 삼중곱은 임의의 인수를 교환할 때 반대칭성을 가진다. 예를 들어,

:\mathbf{a}\cdot(\mathbf{b\times c})= -\mathbf{b}\cdot(\mathbf{a\times c}).

벡터 \boldsymbol{a}, \boldsymbol{b}외적

:

(\boldsymbol{a} \times \boldsymbol{b})_i = \sum_{j,k} \varepsilon_{ijk} a_j b_k



로 나타낼 수 있고,

스칼라 삼중곱은

:

(\boldsymbol{a} \times \boldsymbol{b})\cdot\boldsymbol{c} = \sum_{i,j,k} \varepsilon_{ijk} a_i b_j c_k



가 된다.

4. 3. 행렬식

3 × 3 정사각 행렬의 행렬식은 레비치비타 기호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6]

:\det(\mathbf{A}) = \sum_{i=1}^3 \sum_{j=1}^3 \sum_{k=1}^3 \varepsilon_{ijk} a_{1i} a_{2j} a_{3k}

3×3 행렬식은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begin{align}

\det \begin{bmatrix}

a_{11} & a_{12} & a_{13}\\

a_{21} & a_{22} & a_{23}\\

a_{31} & a_{32} & a_{33}

\end{bmatrix}

&=

\det \begin{bmatrix}

\sum_{i} \delta_{1i} a_{i1} & \sum_{j} \delta_{1j} a_{j2} & \sum_{k} \delta_{1k} a_{k3}\\

\sum_{i} \delta_{2i} a_{i1} & \sum_{j} \delta_{2j} a_{j2} & \sum_{k} \delta_{2k} a_{k3}\\

\sum_{i} \delta_{3i} a_{i1} & \sum_{j} \delta_{3j} a_{j2} & \sum_{k} \delta_{3k} a_{k3}

\end{bmatrix}\\

&=\sum_{i,j,k}

\det \begin{bmatrix}

\delta_{1i} & \delta_{1j} & \delta_{1k}\\

\delta_{2i} & \delta_{2j} & \delta_{2k}\\

\delta_{3i} & \delta_{3j} & \delta_{3k}

\end{bmatrix} a_{i1} a_{j2} a_{k3}\\

&= \sum_{i,j,k} \varepsilon_{ijk} a_{i1} a_{j2} a_{k3}

\end{align}

4. 4. 텐서 밀도 및 텐서

레비치비타 기호는 텐서 밀도 또는 텐서로 해석될 수 있다.

일반적인 좌표 변환 하에서 순열 텐서의 성분은 변환 행렬의 야코비안에 곱해진다. 이는 텐서가 정의된 좌표계와 다른 좌표계에서는 성분이 전체 계수로 레비치비타 기호와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좌표계가 정규 직교인 경우, 이 계수는 좌표계의 방향이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1이 된다.[5]

임의의 곡선 좌표계에서, 심지어 다양체에 계량이 없는 경우에도, 레비치비타 기호는 텐서 밀도장으로 간주될 수 있는데, 가중치 +1의 반변 텐서 밀도 또는 가중치 −1의 공변 텐서 밀도로 간주될 수 있다. ''n'' 차원에서 일반화된 크로네커 델타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다.[7][8]

:\begin{align}

\varepsilon^{\mu_1 \dots \mu_n} &= \delta^{\mu_1 \dots \mu_n}_{\,1 \,\dots \,n} \, \\

\varepsilon_{\nu_1 \dots \nu_n} &= \delta^{\,1 \,\dots \,n}_{\nu_1 \dots \nu_n} \,.

\end{align}

이들은 수치적으로 동일하며, 부호도 같다.

유사 리만 다양체에서, 좌표 표현이 좌표계가 계량 텐서에 대해 접 공간의 기저가 정규 직교이고 선택된 방향과 일치하는 경우 레비치비타 기호와 일치하는 좌표 불변 공변 텐서장을 정의할 수 있다.

선택된 방향과 일치하는 모든 좌표계에서 공변 레비치비타 텐서(리만 부피 형식)는 다음과 같다.

:E_{a_1\dots a_n} = \sqrt{\left|\det [g_{ab}]\right|}\, \varepsilon_{a_1\dots a_n} \,,

여기서 는 해당 좌표계에서 계량 텐서의 표현이다. 지수를 계량 텐서로 올림으로써 반변 레비치비타 텐서를 고려할 수 있다.

:E^{a_1\dots a_n} = E_{b_1\dots b_n} \prod_{i=1}^n g^{a_i b_i} = \sqrt{\left|\det [g_{ab}]\right|}\, \varepsilon^{a_1\dots a_n} \,,

하지만, 만약 계량 부호에 음의 고유값의 홀수 개수 가 포함되어 있다면, 이 텐서의 성분의 부호는 표준 레비치비타 기호와 다르다.[9]

:E^{a_1\dots a_n} = \frac{ \sgn \left( \det [g_{ab}] \right) }{ \sqrt{ \left| \det [g_{ab}] \right| }} \, \varepsilon_{a_1\dots a_n} ,

여기서 , \varepsilon_{a_1\dots a_n}는 일반적인 레비치비타 기호이다.

이를 통해 다음 항등식을 추론할 수 있다.

:E^{\mu_1\dots\mu_p\alpha_1\dots\alpha_{n-p}}E_{\mu_1\dots\mu_p\beta_1\dots\beta_{n-p}} = (-1)^q p!\delta^{\alpha_1\dots\alpha_{n-p}}_{\beta_1\dots\beta_{n-p}} \,,

여기서

:\delta^{\alpha_1 \dots \alpha_{n-p}}_{\beta_1 \dots \beta_{n-p}} = (n-p)! \delta^{\lbrack \alpha_1}_{\beta_1} \dots \delta^{\alpha_{n-p} \rbrack}_{\beta_{n-p}}

는 일반화된 크로네커 델타이다.

5. 상대성 이론에서의 활용

4차원에서 레비치비타 기호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varepsilon_{ijkl} = \begin{cases}

+1 & \text{if }(i,j,k,l) \text{ is an even permutation of } (1,2,3,4) \\


  • 1 & \text{if }(i,j,k,l) \text{ is an odd permutation of } (1,2,3,4) \\

\;\;\,0 & \text{otherwise}

\end{cases}

4차원 이상에서는 이 값들을 표현하는 배열을 시각적으로 나타내기 어렵다.

몇 가지 예시는 다음과 같다.

:\begin{align}

\varepsilon_{\color{BrickRed}{1} \color{RedViolet}{4}\color{Violet}{3} \color{Orange}{\color{Orange}{2}}} = -\varepsilon_{\color{BrickRed}{1} \color{Orange}{\color{Orange}{2}} \color{Violet}{3} \color{RedViolet}{4}} &= - 1\\

\varepsilon_{\color{Orange}{\color{Orange}{2}} \color{BrickRed}{1} \color{Violet}{3} \color{RedViolet}{4}} = -\varepsilon_{\color{BrickRed}{1} \color{Orange}{\color{Orange}{2}} \color{Violet}{3} \color{RedViolet}{4}} &= -1\\

\varepsilon_{\color{RedViolet}{4} \color{Violet}{3} \color{Orange}{\color{Orange}{2}} \color{BrickRed}{1}} = -\varepsilon_{\color{BrickRed}{1} \color{Violet}{3} \color{Orange}{\color{Orange}{2}} \color{RedViolet}{4}} &= -(-\varepsilon_{\color{BrickRed}{1} \color{Orange}{\color{Orange}{2}} \color{Violet}{3} \color{RedViolet}{4}}) = 1\\

\varepsilon_{\color{Violet}{3} \color{Orange}{\color{Orange}{2}} \color{RedViolet}{4} \color{Violet}{3}} = -\varepsilon_{\color{Violet}{3} \color{Orange}{\color{Orange}{2}} \color{RedViolet}{4}\color{Violet}{3}} &= 0

\end{align}

특수 상대성 이론의 4차원 시공간민코프스키 공간에서 공변 레비치비타 텐서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E_{\alpha \beta \gamma \delta} = \pm \sqrt{ \left| \det [g_{\mu \nu}] \right| } \, \varepsilon_{\alpha \beta \gamma \delta} \,,

여기서 부호는 기저(basis)의 방향에 따라 결정된다. 반변 레비치비타 텐서는 다음과 같다.

:E^{\alpha \beta \gamma \delta} = g^{\alpha \zeta} g^{\beta \eta} g^{\gamma \theta} g^{\delta \iota} E_{\zeta \eta \theta \iota} \,.

민코프스키 공간에서 위의 일반적인 항등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계량 텐서의 부호 규약에서 홀수 부호는 음수).

:\begin{align}

E_{\alpha \beta \gamma \delta} E_{\rho \sigma \mu \nu} & = -g_{\alpha \zeta} g_{\beta \eta} g_{\gamma \theta} g_{\delta \iota} \delta^{\zeta \eta \theta \iota}_{\rho \sigma \mu \nu} \\

E^{\alpha \beta \gamma \delta} E^{\rho \sigma \mu \nu} & = -g^{\alpha \zeta} g^{\beta \eta} g^{\gamma \theta} g^{\delta \iota} \delta^{\rho \sigma \mu \nu}_{\zeta \eta \theta \iota} \\

E^{\alpha \beta \gamma \delta} E_{\alpha \beta \gamma \delta} & = - 24 \\

E^{\alpha \beta \gamma \delta} E_{\rho \beta \gamma \delta} & = - 6 \delta^{\alpha}_{\rho} \\

E^{\alpha \beta \gamma \delta} E_{\rho \sigma \gamma \delta} & = - 2 \delta^{\alpha \beta}_{\rho \sigma} \\

E^{\alpha \beta \gamma \delta} E_{\rho \sigma \theta \delta} & = - \delta^{\alpha \beta \gamma}_{\rho \sigma \theta} \,.

\end{align}

일반화된 에딩턴 엡실론[12]은 ''n''차원으로 확장 가능하다.

:

\varepsilon_{i_1 i_2 \dots i_n} = \varepsilon^{i_1 i_2 \dots i_n} =

\begin{cases}

+1 & ~\text{(짝수)}\\

  • 1 & ~\text{(홀수)}\\

~0 & ~\text{(그 외)}

\end{cases}



여기서 ''i1'',''i2'',…,''in''이 1, 2, …, ''n'' 의 짝수 치환이면 (짝수), 홀수 치환이면 (홀수), 그 외의 경우에는 (그 외)에 해당한다.

4계로 확장된 레비치비타 기호는 상대성 이론에서 맥스웰 방정식을 기술하는 데 사용된다.[12]

참조

[1] 서적 Supersymmetry McGraw-Hill
[2] 웹사이트 Twistor Primer http://users.ox.ac.u[...] 2013-09-03
[3] 서적 An introduction to Tensor Analysis: For Engineers and Applied Scientists Longman
[4] 서적 Tensor Calculus McGraw Hill
[5] 서적 Mathematical Methods for Physics and Engineering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Linear Algebra McGraw Hill
[7] 간행물 The generalized Kronecker symbol and its application to the theory of determinants
[8] 서적 Tensors, Differential Forms, and Variational Principles Courier Dover Publications
[9] 서적 Geometry, Topology and Physics https://www.taylorfr[...] CRC Press 2017-01-31
[10] 서적 Supersymmetry McGraw-Hill
[11] 웹사이트 Twistor Primer http://users.ox.ac.u[...] 2013-09-03
[12] 서적 Tensor Calculus Schaum’s Outlines, McGraw Hill (US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