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오폴트 폰 자허마조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오폴트 폰 자허마조흐는 오스트리아의 소설가로, 그의 작품은 정신적, 육체적 고통에서 쾌락을 느끼는 성적 도착증인 마조히즘의 어원이 되었다. 그는 법학, 역사, 수학을 공부하고 교수로 재직하다가 작가로 활동하며 역사 소설과 단편 소설을 썼다. 대표작으로는 《모피를 입은 비너스》가 있으며, 작품 일부에 나타나는 성적 도착증은 리하르트 폰 크라프트-에빙에 의해 마조히즘으로 명명되었다. 자허마조흐는 말년에 정신 질환으로 치료를 받았으며, 그의 사생활은 첫 부인의 회고록을 통해 알려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라츠 대학교 동문 - 발터 네른스트
발터 네른스트는 열역학 제3법칙을 확립하고 네른스트 식을 발표하여 현대 물리화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전기화학 분야에서도 업적을 남기고 1920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독일의 과학자이다. - 그라츠 대학교 동문 - 빅토르 프란츠 헤스
빅토르 프란츠 헤스는 우주선의 존재를 발견하여 1936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오스트리아 출신 물리학자이다. - 오스트리아의 소설가 - 아달베르트 슈티프터
아달베르트 슈티프터는 오스트리아의 소설가로, 자연 묘사와 인간의 조용한 삶을 그린 작품을 주로 발표했으며, 단편집 『습작집』, 『갖가지 돌』, 장편 소설 『늦여름』, 『비티코』 등을 통해 자연에 대한 경외심과 도덕적인 삶을 추구하는 인물을 묘사했다. - 오스트리아의 소설가 - 슈테판 츠바이크
슈테판 츠바이크는 20세기 초 오스트리아 출신의 소설가, 극작가, 전기 작가로, 인간 심리와 역사적 사실에 대한 묘사로 유명하며, 나치 정권의 박해를 피해 망명 생활 중 아내와 함께 자살했고, 《조제프 푸셰》, 《마리 앙투아네트》, 《어제의 세계》 등의 작품을 남겼다. - 오스트리아의 사회주의자 - 테오도어 헤르츨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출신 언론인이자 작가인 테오도어 헤르츨은 반유대주의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시온주의 운동을 창시하고 『유대인 국가』를 통해 이념적 기반을 다졌으며, 시온주의 회의를 개최하여 국제적인 운동으로 발전시켜 이스라엘 건국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오스트리아의 사회주의자 - 에른스트 마흐
에른스트 마흐는 음속과 충격파 연구로 유명하며 뉴턴의 개념을 비판하고 마흐의 원리를 제시하여 아인슈타인에게 영향을 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출신 물리학자이자 과학 철학자이다.
| 레오폴트 폰 자허마조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본명 | 레오폴트 리터 폰 자허-마조흐 |
| 출생 | 1836년 1월 27일 |
| 출생지 | 렘베르크, 갈리치아-로도메리아 왕국, 오스트리아 제국 |
| 사망 | 1895년 3월 9일 |
| 사망지 | 알텐슈타트 근처 린트하임, 독일 제국 |
| 국적 | 오스트리아 |
| 직업 | 작가, 언론인 |
| 활동 기간 | 알려지지 않음 |
| 배우자 | 아우로라 뤼멜린 |
| 영향을 준 것 | 알려지지 않음 |
| 영향을 받은 것 | 알려지지 않음 |
| 로마자 표기 | Leopold Ritter von Sacher-Masoch |
| 작품 | |
| 대표 작품 | 모피를 입은 비너스 |
| 장르 | 마조히즘 |
2. 생애
레오폴트 폰 자허마조흐는 오스트리아 제국의 갈리치아-로도메리아 왕국 수도였던 렘베르크 출신으로, 초기에는 고향 갈리치아를 배경으로 한 역사 소설을 썼으나 이후 자유로운 문인으로 활동했다.[16] 그는 그라츠 대학에서 법학, 역사, 수학을 공부했으며, 잠시 교수직을 맡기도 했다.
그의 이름은 대표작 《모피를 입은 비너스》 등 작품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정신적 또는 육체적 고통에서 쾌락을 얻는 성향을 가리키는 마조히즘이라는 용어의 유래가 되었다. 이 용어는 1886년 오스트리아의 정신과 의사 리하르트 폰 크라프트-에빙이 그의 저서 《성의 심리학(Psychopathia Sexualisde)》에서 명명한 것이다.[20] 자허마조흐 자신은 크라프트-에빙의 이러한 명명과 규정을 탐탁지 않아 했다.
그는 자신의 작품 속 주제, 특히 지배와 복종의 관계를 실제 삶에서도 탐구하고자 했다. 이는 그의 정부(情婦)였던 파니 피스토(Fanny Pistor) 남작부인 및 첫 번째 아내 안젤리카 아우로라 폰 뤼멜린(Angelika Aurora von Rümelin)과의 관계에서도 드러났다. 그는 아내에게 《모피를 입은 비너스》의 등장인물과 같은 '반다'라는 이름을 붙이고 주종 관계를 맺기도 했으나, 이 관계는 파탄으로 끝났다.[18] 이후 조수였던 홀다 마이스터(Hulda Meister)와 재혼했다.
50대 말부터 정신 건강 문제를 겪기 시작하여 말년을 정신과 병동에서 보냈다. 그의 사망 시기와 장소에 대해서는 1895년 독일 헤센주 린트하임이라는 공식 기록과 1905년 만하임의 정신병원이라는 주장이 엇갈린다.[19]
2. 1. 출생과 가계
레오폴트 폰 자허마조흐는 오스트리아 제국의 갈리치아-로도메리아 왕국 수도였던 렘베르크에서 태어났다.[16] 아버지는 오스트리아 공무원인 레오폴트 요한 네포무크 폰 자허(Leopold Johann Nepomuk von Sacher, 1797–1874)이고, 어머니는 우크라이나 귀족 가문 출신인 샤를로테 요제파 폰 마조흐(Charlotte Josepha von Masoch, 1802–1870)이다.[16]어머니 샤를로테의 오빠가 사망하여 그녀가 마조흐 가문의 마지막 후손이 되자, 외할아버지는 사위인 레오폴트 폰 자허에게 성을 합쳐줄 것을 요청했다. 이에 따라 1838년부터 아버지 레오폴트 폰 자허는 자신과 아들의 성을 '자허마조흐'로 사용하기 시작했다.[16] 아버지는 이후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 요제프 1세로부터 '자허마조흐'라는 새로운 귀족 칭호를 받았으며, 오스트리아 제국의 경찰국장을 역임했다.[16] 이로 인해 레오폴트 폰 자허마조흐의 이름에는 기사작위를 뜻하는 '리터(Ritter)'[17]가 붙어 '''레오폴트 리터 폰 자허마조흐'''라고 불리게 되었다.
그는 부모의 영향으로 로마 가톨릭 신앙을 배경으로 성장했으며, 집안 환경과 지리적 위치 덕분에 일찍부터 우크라이나어, 독일어, 폴란드어를 구사했다.[16] 그라츠 대학교에서 법학, 역사, 수학을 공부하고 1856년 역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졸업 후 잠시 모교에서 강사로 일했으나, 곧 고향 렘베르크로 돌아와 교수가 되었다. 그러나 오래지 않아 교수직을 그만두고 자유로운 문인이자 학자로서 저술 활동에 전념했다.[16]
2. 2. 유년 시절 및 교육
레오폴트 폰 자허마조흐는 오스트리아 제국의 갈리치아-로도메리아 왕국 수도 렘베르크(현재 우크라이나 리비우)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오스트리아 공무원인 레오폴트 요한 네포무크 리터 폰 자허(Leopold Johann Nepomuk Ritter von Sacher, 1797–1874)였고, 어머니는 서우크라이나 귀족 가문 출신인 샤를로테 요제파 폰 마조흐(Charlotte Josepha von Masoch, 1802–1870)였다.[16] 어머니 샤를로테가 마조흐 가문의 마지막 후손이었기에, 그녀의 아버지는 사위에게 성을 합쳐줄 것을 요청했다. 아버지 레오폴트는 이에 응하여 자신과 아들의 성을 '자허마조흐'로 바꾸었다. 이후 그는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 요제프 1세로부터 '자허마조흐'라는 새로운 귀족 칭호를 받았으며, 오스트리아 제국의 경찰국장을 역임했다. 이로 인해 레오폴트 폰 자허마조흐의 이름에는 기사 작위를 의미하는 '리터(Ritter)'[17]가 더해져 '''레오폴트 리터 폰 자허마조흐'''로 불리게 되었다.그는 부모를 따라 로만 가톨릭 신앙을 배경으로 성장했으며, 집안 환경과 지역적 특성상 일찍부터 우크라이나어, 독일어, 폴란드어를 구사할 수 있었다.[16] 그라츠 대학에서 법학, 역사, 수학을 공부하여 1856년 역사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졸업 후 잠시 모교에서 강사로 활동했으나, 곧 학계를 떠나 자유로운 문인이자 학자로서 저술 활동에 전념했다. 초기에는 주로 고향 갈리치아를 소재로 한 역사 소설을 집필했다.
2. 3. 개인사 및 《모피를 입은 비너스》
레오폴트 폰 자허마조흐는 오스트리아 제국의 갈리치아-로도메리아 왕국 수도 렘베르크(현 우크라이나 리비우)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오스트리아 공무원 레오폴트 요한 네포무크 폰 자허(Leopold Johann Nepomuk Ritter von Sacher)였고, 어머니는 우크라이나 귀족 가문 출신의 샤를로테 폰 마조흐(Charlotte von Masoch)였다.[16] 외삼촌이 사망하여 샤를로테가 마조흐 가문의 마지막 후손이 되자, 외할아버지의 요청으로 아버지는 1938년부터 자신의 성에 '마조흐'를 더해 '자허마조흐'로 바꾸었다. 이후 아버지 레오폴트는 오스트리아 황제로부터 '자허마조흐'라는 새로운 귀족 칭호를 받았고, 오스트리아 제국 경찰국장까지 역임했다. 레오폴트 폰 자허마조흐의 이름에는 기사 작위를 뜻하는 '리터(Ritter)'[17]가 붙어 '''레오폴트 리터 폰 자허마조흐'''로 불리게 되었다. 그는 로마 가톨릭 배경에서 자랐으며, 부모의 배경과 지역적 특성 덕분에 일찍부터 우크라이나어, 독일어, 폴란드어를 구사했다.[16] 그라츠 대학에서 법학, 역사, 수학을 공부한 뒤 고향 렘베르크로 돌아와 잠시 교수로 일했으나, 곧 강단을 떠나 자유로운 문인이자 학자로서 저술 활동에 전념했다. 갈리치아를 주제로 한 이야기가 많으며, 초기에는 고향을 소재로 한 역사 소설을 썼다.1869년 자허마조흐는 작가의 미적 세계관을 담은 단편집 시리즈 ''카인의 유산''을 구상했다. 이 연작은 자허마조흐 작품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여성혐오적 주제를 드러낸 선언문 "방랑자"로 시작했다. 계획된 6권 중 처음 두 권만 완성되었고, 1880년대 중반에 ''카인의 유산'' 집필을 포기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출판된 권에는 그의 가장 잘 알려진 이야기들이 포함되었으며, 그중 1870년에 출판된 ''모피를 입은 비너스''가 오늘날 가장 유명하다. 이 소설은 모피를 입은 지배적인 여성에 대한 환상과 페티시 등 자허마조흐 자신의 욕망을 표현한 작품이다.

그는 자신의 환상을 현실에서 실현하고자 노력했다. 파니 피스토(Fanny Pistor)는 떠오르는 문학 작가였는데, 처음에는 보그다노프 남작 부인(Baroness Bogdanoff)이라는 가명으로 자허마조흐에게 글쓰기에 대한 조언을 구하며 접근했다가 만나게 되었다. 그녀는 《모피를 입은 비너스》의 영감이 된 인물이다.[7][8] 1869년 12월 9일, 자허마조흐는 당시 그의 정부(情婦)였던 파니 피스토 남작부인과 자신이 남작부인의 노예가 된다는 내용의 계약서에 서명했다. 계약서에는 남작부인이 가능하면 자주, 특히 기분이 좋지 않을 때 모피를 입는다는 조항이 포함되어 있었다. 자허마조흐는 '그레고르(Gregor)'라는 남자 하인의 이름을 사용하며 그녀의 하인처럼 행동했다. 모피를 입은 파니에게 자허마조흐가 무릎을 꿇고 있는 사진이 남아 있다. 둘은 이탈리아의 베네치아로 여행을 떠났는데, 소설 《모피를 입은 비너스》의 내용처럼 파니는 열차 1등석에, 자허마조흐는 3등석에 타서 아무도 그들의 관계를 모르게 했다.
1873년, 자허마조흐는 안젤리카 아우로라 폰 뤼멜린(Angelika Aurora von Rümelin)과 결혼했다. 그는 아내에게 《모피를 입은 비너스》의 등장인물과 같은 '반다 폰 자허마조흐(Wanda von Sacher-Masoch)'라는 이름을 붙이고, 귀부인처럼 꾸민 뒤 파니 피스토 때와 유사한 서약서를 교환하여 종속 관계를 맺었다. 그러나 이 관계는 10년 만에 아내가 젊은 언론인과 함께 파리로 도망치면서 파탄났고, 이는 작품의 결말과 유사하게 마무리되었다. 자허마조흐는 결국 아내와 이혼하고 그의 조수였던 홀다 마이스터(Hulda Meister)와 재혼했다.[18]
《모피를 입은 비너스》 등 그의 작품 일부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정신적 또는 육체적 고통으로부터 쾌락을 느끼는 도착은 1886년 오스트리아의 정신과 의사 리하르트 폰 크라프트-에빙 남작이 그의 저서 《성의 심리학(Psychopathia Sexualisde)》에서 '마조히즘'이라고 명명하면서 널리 알려졌다.[20] 당시 자허마조흐는 생존해 있었으나, 이러한 명명과 규정을 탐탁지 않아 했다. 철학자 질 들뢰즈는 그의 저서 《사드와 마조흐》에서 정신분석학에서 흔히 대립 관계로 여겨지는 사디즘과 마조히즘이 실제로는 별개의 독립적인 현상임을 주장하기도 했다.
자허마조흐의 사생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그의 첫 부인 아우로라 폰 뤼멜린이 '반다 V. 두나예브(Wanda v. Dunajew)'라는 예명으로 1906년 베를린에서 출간한 《내 삶의 고백(Meine Lebensbeichtede)》이라는 책을 통해 알려졌다. 이 책은 다음 해인 1907년 '반다 폰 자허마조흐(Wanda von Sacher-Masoch)'라는 이름으로 파리의 Mercure de France프랑스어 출판사에서 프랑스어 번역판으로 출간되었고, 영어 번역판은 《반다 폰 자허마조흐의 고백(The Confessions of Wanda von Sacher-Masoch영어)》이라는 제목으로 1991년 RE/Search Publications에서 출간되었다.
50대 말에 자허마조흐는 정신 건강 문제를 겪기 시작하여 말년을 정신과 병동에서 보냈다. 공식 기록에 따르면 그는 1895년 독일 헤센주 알텐슈타트 지방의 린트하임에서 사망했다고 보고되었으나, 일각에서는 1905년 독일 만하임의 한 정신병원에서 사망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19]
한편, 자허마조흐는 영국 가수 메리앤 페이스풀의 모계 쪽 재종조부(再從祖父, 증조부의 형제)에 해당한다고 알려져 있다.[21] 《모피를 입은 비너스》는 1968년 마시모 다라 마노 감독에 의해 영화화되기도 했다(제목: 《가죽의 비너스》, 주연: 라우라 안토넬리, 레지 발레).
2. 4. 말년
50대 후반에 그의 정신 건강이 악화되기 시작하여, 여생을 정신과 치료를 받으며 보냈다. 공식 기록에 따르면 그는 1895년 독일 헤센주 알텐슈타트 근처 린트하임(1971년 알텐슈타트에 통합)에서 사망했다고 하지만,[10] 1905년 만하임의 정신 병원에서 사망했다는 다른 주장도 있다.[19][10]3. 활동
자허마조흐는 초기에는 오스트리아 역사에 관한 논픽션을 주로 썼으나, 점차 고향 갈리치아의 민속과 문화, 그리고 범슬라브주의에 기반한 단편 소설 창작으로 관심을 옮겼다. 그의 소설은 다양한 민족의 모습을 생생하게 묘사했으며,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으나 영어권에는 비교적 늦게 소개되었다.
1869년에는 방대한 단편 소설 시리즈 《카인의 유산(Legacy of Cain|카인의 유산de)》을 기획하여 "사랑"과 "소유" 두 편을 출간했으며, 그의 대표작 《모피를 입은 비너스》는 "사랑" 편에 포함되어 있다.
작가 활동 외에도 라이프치히에서 진보적 성향의 월간 문예 잡지 《Auf der Höhe. Internationale Review|아우프 데어 회에. 인터나치오날레 레뷰de》(1881-1885)를 편집했으며, 말년에는 아내와 함께 '국민교육을 위한 작센 북부 지방 연합(Oberhessischer Verein für Volksbildung|오버헤시셔 페어라인 퓌어 폴크스빌둥de)'을 설립하여 반유대주의에 맞서는 활동을 펼쳤다.[22] 또한 1875년에는 당시 독일 사회상을 담은 《우리 시대의 이상향(The Ideals of Our Time영어)》을 저술하기도 했다.
3. 1. 초기 활동 및 역사 저술

자허마조흐는 초기에 주로 오스트리아 역사에 관한 논픽션 저작을 발표했다. 동시에 그는 고향인 갈리치아의 민속과 문화에도 깊은 관심을 보였다.[5] 얼마 지나지 않아 대학 강연을 그만두고 자유로운 문필가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그의 단편 소설과 소설은 역사 비소설 작품보다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지만, 역사적 주제는 그의 소설 속에도 꾸준히 나타났다.[5] 그의 문학 작품 전반에는 범슬라브주의 사상이 널리 퍼져 있었으며, 특히 갈리치아에 거주하는 다양한 민족들의 다채로운 모습을 묘사하는 데 큰 관심을 기울였다. 1860년대부터 1880년대까지 그는 여러 권의 ''유대인 단편 소설'', ''폴란드 단편 소설'', ''갈리치아 단편 소설'', ''독일 궁정 이야기'', ''러시아 궁정 이야기'' 등을 출판했다. 그의 작품들은 우크라이나어, 폴란드어, 러시아어, 프랑스어 등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으나, 유독 영어로는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인 《모피를 입은 비너스》 외에는 오랫동안 번역되지 않다가 2015년에야 《신의 어머니(The Mother of God영어)》가 번역되어 나왔다.
1869년, 자허마조흐는 《카인의 유산(Legacy of Cainde)》이라는 제목의 야심 찬 단편소설 시리즈를 기획했다. 이 시리즈는 그의 미학적 세계관을 집대성하려는 시도로, 원래는 다양한 산문 작품들을 모아 "사랑", "소유", "국가", "전쟁", "일", "죽음"이라는 여섯 가지 주제로 묶어 출간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이 계획은 미완으로 끝났고, 첫 두 권인 《사랑》(1870)과 《소유》(1877)만이 출판되었다. 그의 대표작인 《모피를 입은 비너스》(1869)는 《사랑》 편에 수록되어 있다.
1875년에는 독일 제국 창건기(Gründerzeitde) 독일 사회의 모습을 담고자 《우리 시대의 이상향(The Ideals of Our Timede)》이라는 글을 썼다.
또한 자허마조흐는 라이프치히에서 발간된 월간 문예 잡지 《국제 비평, 절정에서(Auf der Höhe. Internationale Reviewde)》의 편집을 맡았다. 이 잡지는 1881년 10월부터 1885년 9월까지 4년간 발행되었으며, 독일 작센 지방의 유대인들을 대변하여 관용과 통합을 강조하고, 여성에게 교육 기회와 투표권을 부여해야 한다는 여성 해방을 지지하는 등 진보적인 목소리를 냈다.
말년에 자허마조흐는 두번째 아내인 훌다 마이스터(Hulda Meister)와 함께 1893년에 설립한 '국민교육을 위한 작센 북부 지방 연합(Oberhessischer Verein für Volksbildungde)'을 통해 반(反)유대주의자들의 반대편에서 싸웠다.[22]
3. 2. 단편 소설 및 번역
초기에는 주로 오스트리아 역사에 관한 논픽션 저작을 썼으나, 점차 고향인 갈리치아의 민속과 문화로 관심을 돌렸다.[5] 그는 대학 강연을 그만두고 자유로운 작가의 길을 걸었다. 그의 단편 소설과 소설은 점차 역사 논픽션보다 많아졌지만, 여전히 역사적 주제를 다루는 경우가 많았다.[5]그의 문학 작품에는 범슬라브주의 사상이 널리 퍼져 있으며, 갈리치아에 사는 다양한 민족들의 특징을 생생하게 묘사하는 데 특별한 관심을 기울였다. 1860년대부터 1880년대까지 이디시어, 폴란드어, 갈리치아어, 독일어, 러시아어로 된 단편 소설들을 출판했다. 여기에는 ''유대인 단편 소설'', ''폴란드 단편 소설'', ''갈리치아 단편 소설'', ''독일 궁정 이야기'', ''러시아 궁정 이야기'' 등이 포함된다. 그의 작품들은 우크라이나어, 폴란드어, 러시아어, 프랑스어 등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으나, 영어로는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인 《모피를 입은 비너스》 외에는 오랫동안 번역되지 않다가 2015년에야 《The Mother of God|신의 어머니영어》가 번역 출판되었다.
1869년, 자허마조흐는 "Legacy of Cain|카인의 유산de"이라는 제목의 대규모 단편소설 시리즈 출간을 기획했다. 이 시리즈는 그의 미학적 세계관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기획으로, 원래는 다양한 소설들을 모아 "사랑", "소유", "국가", "전쟁", "일", "죽음"이라는 6가지 주제로 묶어 6권으로 출판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이 계획은 미완으로 끝났고, 첫 두 권인 《사랑》(1870)과 《소유》(1877)만이 출판되었다. 그의 유명한 소설 《모피를 입은 비너스》(1869)는 《사랑》 편에 포함되어 있다.
자허마조흐는 라이프치히에서 월간 문예 잡지 《Auf der Höhe. Internationale Review|국제 비평, 절정에서de》의 편집을 맡았다. 이 잡지는 1881년 10월부터 1885년 9월까지 4년간 발행되었으며, 독일 작센 지방의 유대인들을 대변하여 관용과 통합을 강조하고, 여성에게 교육 기회와 투표권을 부여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등 여성 해방을 지지한 진보적인 성격의 잡지였다.
말년에는 두 번째 아내 훌다 마이스터(Hulda Meister)와 함께 1893년에 '국민교육을 위한 작센 북부 지방 연합(Oberhessischer Verein für Volksbildung|de)'을 설립하여 반유대주의에 맞서 싸웠다.[22]
또한 1875년에는 독일 제국 수립기(Gründerzeit|de) 독일 사회의 모습을 담은 《The Ideals of Our Time|우리 시대의 이상향영어》이라는 글을 쓰기도 했다.
3. 3. 《카인의 유산》
1869년 자허마조흐는 자신의 미학적 세계관을 대표하는 웅대한 단편소설 시리즈인 《카인의 유산(Legacy of Cain영어)》 출간을 기획했다. 이 연작은 자허마조흐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여성혐오적 주제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되기도 하는 선언문 "방랑자"로 시작한다.애초의 계획은 다양한 픽션 산문을 주제별로 묶어 "사랑", "소유", "국가", "전쟁", "일", "죽음"이라는 제목 아래 총 6권으로 출판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 계획은 결국 미완으로 끝났고, 첫 두 권인 《사랑》(1870)과 《소유》(1877)만이 출판되었다.
그의 가장 유명한 소설 중 하나인 《모피를 입은 비너스》(1870년 출판)는 《사랑》 편에 포함되어 있다. 이 소설은 특히 모피를 입은 지배적인 여성에 대한 자허마조흐 자신의 환상과 페티시를 표현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는 이러한 환상을 현실에서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기도 했다.
자허마조흐는 1880년대 중반에 《카인의 유산》 시리즈 집필을 포기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출판된 두 권에는 그의 대표적인 이야기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3. 4. [국제 비평, 절정에서] 편집
자허마조흐는 라이프치히에 기반을 둔 월간 문인 잡지 Auf der Höhe. Internationale Review|국제 비평, 절정에서de의 편집을 맡았다. 이 잡지는 1881년 10월부터 1885년 9월까지 4년간 발간되었다. 잡지는 독일 작센 지방에 있는 유대인들을 대변하며 관용과 통합을 강조했고, 여성에게 교육의 기회와 투표권을 주어야 한다며 여성해방을 지지하는 등 진보적인 입장을 취했다.3. 5. 반유대주의와의 투쟁
자허마조흐는 라이프치히에서 월간 문예 잡지 Auf der Höhe. Internationale Review|국제 비평, 절정에서de를 편집하며 진보적인 목소리를 냈다. 이 잡지는 1881년 10월부터 1885년 9월까지 4년간 발간되었는데, 독일 작센 지방의 유대인들을 옹호하며 관용과 통합을 강조했다. 또한 여성에게 교육 기회와 투표권을 부여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치며 여성 해방을 지지하는 등 당시로서는 상당히 앞서나간 입장을 보였다.말년에는 반유대주의에 맞서는 활동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섰다. 1893년, 그는 두 번째 아내인 훌다 마이스터(Hulda Meister)와 함께 Oberhessischer Verein für Volksbildung|국민교육을 위한 작센 북부 지방 연합de을 설립하여 반유대주의자들의 주장에 반박하고 사회적 관용을 넓히기 위해 노력했다.[22]
3. 6. 《우리 시대의 이상향》
1875년에 자허마조흐는 독일의 제국창건기(Gründerzeit|그륀더차이트de)에 독일 사회의 자화상을 그리고자 《우리 시대의 이상향(The Ideals of Our Time|더 아이디얼스 오브 아워 타임영어)》이란 글을 썼다.4. 마조히즘

용어 '''마조히즘'''(Masochism)은 1886년 오스트리아의 정신과 의사 리하르트 폰 크라프트에빙(Richard von Krafft-Ebing, 1840–1902)이 그의 저서 ''정신병적 성애''(Psychopathia Sexualisdeu)에서 처음 사용했다. 크라프트에빙은 이 용어를 만들면서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나는 이 성적 이상 현상을 "마조히즘"이라고 불러도 괜찮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작가 자허마조흐는 당시까지 과학계에 알려지지 않았던 이 변태를 그의 저작물의 기저로 자주 삼았기 때문이다. 나는 색맹을 발견한 존 돌턴(John Dalton)에서 따온 "달토니즘(Daltonism)"이라는 용어의 과학적 형성을 따랐다.
: 최근 몇 년 동안 자허마조흐가 마조히즘의 시인일 뿐만 아니라 그 자신도 이 이상 현상에 시달렸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비록 이러한 증거들이 아무런 제한 없이 나에게 전달되었지만, 나는 그것들을 대중에게 공개하는 것을 삼가한다. 나는 "존경받는 작가의 이름을 성적 본능의 변태와 연결했다"는 비난을 받았다. 이 비난은 작가의 일부 팬들과 내 책의 비평가들로부터 제기되었다. 한 인간으로서, 자허마조흐는 그의 교양 있는 동료들의 존경을 잃을 이유가 없다. 단지 그가 그의 성적 감정의 이상 현상에 시달렸다는 이유만으로. 작가로서, 그는 자신의 작품의 영향력과 내재적 가치에 있어서 심각한 손해를 입었다. 왜냐하면 그가 문학적 노력을 통해 자신의 변태를 제거할 때마다 그는 재능 있는 작가였으며, 정상적인 성적 감정에 의해 행동했다면 진정한 위대함을 달성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그는 선한 의미든 악한 의미든 ''성적 생명''이 인간의 정신 형성 및 방향에 미치는 강력한 영향력에 대한 주목할 만한 예시이다.[12]
자허마조흐는 자신의 이름이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된 것에 대해 불쾌감을 느꼈다. 그의 사생활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그의 전 부인 아우로라 폰 뤼멜린(Aurora von Rümelin)이 "완다 폰 두나예프"(Wanda von Dunajew, 그의 소설 ''가죽을 입은 비너스''의 여주인공 이름)라는 필명으로 회고록 ''나의 삶의 고백''(Meine Lebensbeichtedeu, 1906)을 베를린에서 출판하면서 알려지기 시작했다. 이 책은 다음 해 프랑스어로 번역되어 파리에서 출판되었다.
자허마조흐의 작품, 특히 ''가죽을 입은 비너스''(Venus im Pelzdeu)는 정신적 또는 육체적 고통에서 성적 쾌락을 느끼는 변태성욕의 특징을 보여주며, 이는 크라프트에빙이 '마조히즘'이라는 용어를 만드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이후 철학자 질 들뢰즈(Gilles Deleuze)는 그의 저서 ''사드와 마조흐 제시''(Présentation de Sacher-Masochfra)에서 정신분석학에서 흔히 대립적으로 여겨지는 사디즘과 마조히즘이 실제로는 서로 다른 별개의 현상임을 주장하기도 했다.
자허마조흐 자신도 실제로 마조히즘적인 관계를 추구했다. 그는 정부였던 파니 피스토르(Fannie Pistor)와 "부인의 노예가 되어 그 소망과 명령을 모두 실현한다"는 내용의 계약서를 작성하고 스스로 종속적인 역할을 맡았다. 당시 모피를 입은 파니에게 마조흐가 무릎을 꿇고 있는 사진이 남아있다. 또한, 그는 젊은 재봉사였던 아우로라 폰 뤼멜린과 결혼한 후, 그녀에게 ''가죽을 입은 비너스''의 등장인물 이름인 "반다"(Wanda)라고 부르게 하고 귀부인처럼 꾸민 뒤, 파니 피스토르 때와 유사한 계약을 맺고 종속적인 관계를 맺었다.
''가죽을 입은 비너스''는 1968년 이탈리아의 마시모 달라 마노(Massimo Dallamano) 감독에 의해 영화화되기도 했다(제목: Le malizie di Venereita, 영어 제목: ''Venus in Furs''). 이 영화에는 라우라 안토넬리(Laura Antonelli)와 레지 발레(Régis Vallée)가 출연했다.
5. 작품 목록
- 1858년: 《갈리시아 이야기 1846》(A Galician Story 1846)
- 1865년: 《카우니츠》(Kaunitz)
- 1866년: 《콜로미야의 돈 후안》(Don Juan of Kolomiya)
- 1867년: 《헝가리의 마지막 왕》(The Last King of Hungary)
- 1870년: 《이혼녀》(The Divorcee)
- 1870년: 《카인의 유산 1권: 사랑》(Legacy of Cain Vol. 1: Love) (가장 유명한 작품인 《가죽 옷을 입은 비너스》(Venus in Furs) 포함)
- 1872년: 《가짜 에르민》(Faux Ermine)
- 1873년: 《여성 술탄》(Female Sultan)
- 1873년: 《비엔나의 메살리나》(The Messalinas of Vienna)
- 1873년–1874년: 《러시아 궁정 이야기》(Russian Court Stories): 4권
- 1873년–1877년: 《비엔나 궁정 이야기》(Viennese Court Stories): 2권
- 1874년/1876년: 《Liebesgeschichten aus verschiedenen Jahrhunderten|여러 세기의 사랑 이야기deu》(Love Stories from Several Centuries), 3권, "키예프의 피의 결혼"(Die Bluthochzeit zu Kiew|키예프의 피의 결혼deu)(Bloody Wedding in Kyiv), "아리엘라"(Ariella) 포함
- 1874년: 《Die Ideale unserer Zeit|우리 시대의 이상deu》(The Ideals of Our Time)
- 1875년: 《갈리시아 이야기》(Galician Stories)
- 1877년: 《편견 없는 남자》(The Man Without Prejudice)
- 1877년: 《카인의 유산. 2권: 재산》(Legacy of Cain. Vol. 2: Property)
- 1878년: 《새로운 욥》(The New Hiob)
- 1878년: 《유대인 이야기》(Jewish Stories)
- 1878년: 《여성 적들의 공화국》(The Republic of Women's Enemies)
- 1879년: 《실루엣》(Silhouettes)
- 1881년: 《새로운 유대인 이야기》(New Jewish Stories)
- 1883년: 《Die Gottesmutter|신 어머니deu》(The Mother of God)
- 1886년: 《영원한 청춘》(Eternal Youth)
- 1886년: 《폴란드 게토 이야기》(Stories from Polish Ghetto)
- 1886년: 《세계 역사의 작은 미스터리》(Little Mysteries of World History)
- 1886년: 《키예프의 피의 결혼》(Bloody Wedding in Kyiv)
- 1887년: 《폴란드 이야기》(Polish Stories)
- 1890년: 《낙원의 뱀》(The Serpent in Paradise)
- 1891년: 《고독한 사람》(The Lonesome)
- 1894년: 《사랑 이야기》(Love Stories)
- 1898년: 《우리 사이》(Entre nous)
- 1900년: 《카테리나 2세》(Catherina II)
- 1901년: 《아프리카의 세미라미스》(Afrikas Semiramis)
- 1907년: 《사나운 여자들》(Fierce Women)
=== 일본에서의 번역 및 출판 ===
- 『성의 수난자 소설』(아오키 시게루 역, 고니시 서점) 1923년
- 『마조흐 정염 소설집』(기무라 다케시 역, 하쿠호 서원) 1949년
- 『모피를 입은 비너스』(사토 하루오 역, 다이닛폰 웅변회 고단샤) 1957년
- 『정본 사토 하루오 전집 제33권 번역・번안 6』(린센 서점) 2000년
- 『모피를 입은 비너스』(오노 다케오 역, 신류샤, 세계 섹시 문학 전집 2) 1960년
- : 「모피를 입은 비너스」, 「아름다운 모델 양의 복수」, 「노여제 난음의 말로」, 「비너스의 언덕으로 돌아가고 싶어」, 「검은 곤돌라」, 「잔혹한 테스트」, 「더・이라」, 「술고래」, 「신시대의 아내」, 「미국적 결투」
- 『카테리나 2세』(오노 다케오 역, 신류샤) 1962년
- 『난음의 말로』(오노 다케오 역, 신류샤) 1965년
- 『모피의 비너스』(이토 모리오 역, 후타미 서방, 컬렉션 아모르 5) 1968년
- 『마조흐 선집 1 모피를 입은 비너스』(타네무라 키히로 역, 도겐샤) 1976년 / 가와데 문고 1983년, 개정 2004년 6월
- 『마조흐 선집 2 잔혹한 여자들 / 풍기 위원회 / 추의 미학』(이이요시 미츠오, 후쿠이 노부오 역, 도겐샤) 1977년 3월
- * 『잔혹한 여자들』(가와데 문고) 2004년 5월 - 이이요시・이케다 노부오 역으로 명의 변경
- : 「잔혹한 여자들」, 「풍기 위원회」, 「추의 미학」
- 『마조흐 선집 3 갈리치아 이야기』(타카모토 겐이치 역, 도겐샤) 1976년
- 『마조흐 선집 4 밀사 / 콜로메아의 돈・주앙』(타네무라 키히로 역, 도겐샤) 1977년 9월
- 『유대인의 생활 마조흐 단편 소설집』(나카자와 히데오 역, 하쿠쇼보) 1994년 9월
- : 「애국의 유대인」, 「홀트의 제본집」, 「버려진 카발라 학자」, 「레오파르도 부인」, 「미남의 칼렙」, 「귀향」, 「하만과 에스텔」, 「구제」, 「아기고양이 페테르지르」, 「가짜 탈라 은화」, 「두 명의 의사」, 「플루토프의 합전」, 「로마의 마트로네 이야기」, 「너는 살인하지 말라」, 「견원지간」, 「두 종류의 귀족」, 「이스라엘 민족에 대하여」
- : 나카자와 히데오 해설 「자허=마조흐의 알려지지 않은 얼굴」
- 続 ユダヤ人 の生活 마조흐 단편 소설집』(나카자와 히데오 역, 아마존 킨들) 2022년 11월 - 속편 10편을 전자 출판
- 『드라고미라 영혼을 낚는 여자』(후지카와 요시로 역, 동학사) 1998년 10월
- * 『영혼을 낚는 여자』(주오코론 신샤) 2005년 4월
- 『성모』(후지카와 요시로 역, 주오코론 신샤) 2005년 10월
- 『모피를 입은 비너스』(허광준 역, 고분샤 고전 신역 문고, 전자 서적도 간행) 2022년 8월 (한국어 번역)
- 『자허=마조흐 전집 Ⅰ 에로스』, ISBN 978-4409130421
- 『자허=마조흐 전집 Ⅱ 포클로어』, ISBN 978-4409130438
- 『자허=마조흐 전집 Ⅲ 컬트』, ISBN 978-4409130445
- : (히라노 요시히코・나카자와 히데오・니시 나리히코 역・해설, 진문서원) 2024년 9월
6. 관련 작품
『가죽을 입은 비너스』 등 그의 일부 작품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정신적 또는 육체적 고통에서 쾌락을 느끼는 변태성욕은 정신과 의사 리하르트 폰 크라프트-에빙에 의해 주목받았다. 크라프트-에빙은 1886년 자신의 저서 "성의 심리학"에서 이러한 성향을 마조흐의 이름을 따 '''마조히즘'''이라고 명명했다. 당시 마조흐는 아직 살아있었다.
철학자 질 들뢰즈는 『사드와 마조흐』라는 저서를 통해, 정신 분석에서 흔히 대립하는 것으로 여겨졌던 사디즘과 마조히즘이 실제로는 서로 다른 별개의 개념임을 주장하기도 했다.
마조흐의 작품은 영화로도 만들어졌다.
- 『가죽을 입은 비너스』는 1968년 마시모 다라 마노 감독에 의해 영화화되었다. (영화 제목: 『가죽의 비너스』, 주연: 라우라 안토넬리, 레지 발레)
- 마조흐의 생애를 그린 영화로는 작가 마조흐의 사랑의 나날이 있다.
7. 한국어 번역
현재까지 확인된 레오폴트 폰 자허마조흐 작품의 주요 한국어 번역본은 없다.
참조
[1]
문서
Ritter
[2]
서적
Sexual Myths of Modernity: Sadism, Masochism and Historical Teleology
Lexington Books
[3]
뉴스
City in Ukraine Tied to Masochism Finds Link Painful, Sure, but Some Like It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4-11-14
[4]
간행물
The cultural legacy of Sacher-Masoch
http://www.wumag.kie[...]
[5]
서적
Venus in Furs
https://books.google[...]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2017-01-18
[6]
웹사이트
Sacher-Masoch, Leopold von 1836–1895
https://www.encyclop[...]
2024-04-11
[7]
뉴스
Sex god? Marianne's last word
http://www.mariannef[...]
The Times
1999-06-19
[8]
잡지
Schwer hörig
https://www.spiegel.[...]
Der Spiegel
1986-01-26
[9]
웹사이트
Leopold von Sacher-Masoch
https://www.know.cf/[...]
[10]
서적
Human Sexuality: An Encyclopedia
https://archive.org/[...]
Garland Publishing
[11]
뉴스
Marianne keeps the Faith – In concert: Marianne Faithfull
http://www.canada.co[...]
The Vancouver Province
2007-05-29
[12]
서적
Psychopathia Sexualis: A Medico-Forensic Study
https://books.google[...]
Elsevier Science
[13]
문서
Die Ideale unserer Zeit
http://anno.onb.ac.a[...]
[14]
서적
Bloody Wedding in Kyiv: Two Tales of Olha, Kniahynia of Kyivan Rus
https://sovabooks.co[...]
Sova Books
[15]
서적
Sexual Myths of Modernity: sadism, masochism and historical teleology
Lexington
[16]
뉴스
City in Ukraine Tied to Masochism Finds Link Painful, Sure, but Some Like It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4-11-14
[17]
문서
독일 및 오스트리아에서 세습되는 최하위 귀족으로 '훈작사(勳爵士)'라고 한다. [[남작]](freiherr)보다 한 단계 낮은 신분이다.
[18]
웹사이트
About the novel Venus in Furs by Leopold von Sacher-Masoch
http://homepage.news[...]
2009-10-06
[19]
서적
Human Sexuality: An Encyclopedia
http://www2.hu-berli[...]
Garland Publishing
2019-07-30
[20]
서적
Psychopathia Sexualis: A Medico-Forensic Study
https://books.google[...]
Elsevier Science
[21]
웹인용
Marianne keeps the Faith – In concert: Marianne Faithfull
http://www.canada.co[...]
The Vancouver Province
2007-05-29
[22]
서적
One Hundred Years of Masochism: Literary Texts,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https://books.google[...]
Rodop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