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비고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비고도는 이탈리아 베네토주에 속하는 현으로, 폴레시네 지역에 해당한다. 아디제강과 포강 사이의 평야 지형을 가지며, 농업이 발달하여 밀, 옥수수, 쌀, 사탕무 등을 재배한다. 주요 산업으로는 식품 가공, 금속 가공, 목공 등이 있으며, 로솔리나 마레 등 휴양지로도 알려져 있다. 로비고는 인구 고령화 및 도시화와 같은 사회 문제에 직면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로비고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 | |
지역 | 베네토 주 |
국가 | 이탈리아 |
중심지 | 로비고 |
코무네 수 | 50 |
행정 | |
현 대표 | 엔리코 페라레세 |
통계 | |
면적 | 1789 km² |
인구 | 244,062 명 (2013년 12월 31일 기준)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ISTAT 코드 | 029 |
경제 | |
GDP 총액 | 61억 700만 유로 (2015년) |
1인당 GDP | 25,284 유로 (2015년) |
식별 번호 | |
시간대 | CET (+1) |
서머 타임 | CEST (+2) |
우편 번호 | 45100, 45010-45039 |
지역 번호 | 0425, 0426 |
차량 번호판 | RO |
기타 | |
주요 코무네 | 아드리아 바디아폴레시네 렌디나라 포르토토레 포르토비로 |
2. 지리
로비고도는 베네토주 최남부에 위치하며, 동쪽으로 아드리아해에 면해 있다. 현청 소재지인 로비고는 현의 거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페라라에서 북동쪽으로 약 29km, 파도바에서 남남서쪽으로 약 38km, 주도 베네치아에서 서남쪽으로 약 59km, 베로나에서 동남쪽으로 약 75km 거리에 있다.
인접한 현은 다음과 같다.
2. 1. 지형
로비고도는 현대의 폴레시네에 해당하거나 완전히 포함된다.[2][3] 면적은 1789km2이며 총 인구는 2005년 기준 244,625명이다. 고도가 -2m에서 15m인 평야이다.[4]북쪽 경계는 바디아 폴레시네에서 바다까지의 아디제강을 따르며, 카바르제레 (베네치아 관할) 지역은 제외된다. 남쪽 경계는 멜라라에서 바다까지의 포강을 따른다. 이 주는 포강의 전체 삼각주를 포함하며, 경계는 삼각주의 ''포 디 고로'' 수로를 따른다.
포강과 아디제강은 최근에야 안정적인 흐름을 갖게 되었다. 토지는 비교적 최근에 지질 형성되었으며, 강에 의해 발생한 표사로 생성되었다. 자연적인 굳기와 배수, 지하수 추출 및 메탄 추출과 같은 인간 활동으로 인해 지반 침하가 발생한다.[5]
타르타로-카날비안코는 이 주를 가로지르는 유일한 다른 강이다. 로비고도에는 포강과 아디제강이 체적 유량 기준으로 이탈리아에서 각각 1위와 3위의 큰 강이기 때문에 배수를 위한 많은 운하가 건설되었으며, 토지는 많은 양의 물을 처리해야 한다. 주요 운하는 ''콜레토레 파다노'', ''체레솔로'' 및 ''발렌트로''이다.
역사적으로 중요한 다른 개울로는 ''아디제토''(아디제의 이전 경로), ''포아초''(포강의 이전 경로), ''포사 폴레셀라''(카날비안코와 포강을 연결하는 이전 수로)가 있다.
기후는 습도가 높고, 무더운 여름과 안개가 많은 겨울을 보이는 온화한 대륙성 기후이며, 강수량은 정상적이며 일반적으로 봄과 가을에 발생한다.[5] 베네토주 최남부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아드리아해에 면해 있다. 현청 소재지인 로비고는 동서로 긴 현역의 거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페라라에서 북동쪽으로 약 29km, 파도바에서 남남서쪽으로 약 38km, 주도 베네치아에서 서남쪽으로 약 59km, 베로나에서 동남쪽으로 약 75km 거리에 있다.
인접한 현은 다음과 같다.
북쪽의 파도바현과의 경계에는 아디제강이 흐르고, 서쪽의 만토바현, 남쪽의 페라라현과의 경계에는 포강이 흐른다. 두 강 사이에 낀 부분은 폴레지네 지방이라고 불린다. 여러 갈래로 나뉜 포강 하구에는 삼각주가 형성되어 있다.
2. 2. 포 강 삼각주
포강 삼각주의 동부 지역은 강이 여러 개의 지류로 나뉘는 넓은 지역과 일치한다. 이 삼각주는 국립 공원으로 법적으로 지정된 보호 구역이다. 북쪽의 파도바현과의 경계에는 아디제강이 흐르고, 서쪽의 만토바현, 남쪽의 페라라현과의 경계에는 포강이 흐른다. 두 강 사이에 낀 부분은 폴레지네 지방이라고 불린다. 여러 갈래로 나뉜 포강 하구에는 삼각주가 형성되어 있다.[5]2. 3. 기후
기후는 습도가 높고, 무더운 여름과 안개가 많은 겨울을 보이는 온화한 대륙성 기후이며, 강수량은 정상적이며 일반적으로 봄과 가을에 발생한다.[5]3. 역사
로비고도 지방의 영토는 기원전 12-11세기에 그리스인들이 아드리아 식민지를 건설하면서 처음으로 식민지화되었다. 기원전 6세기와 5세기 동안에는 에트루리아인과 베네토인이 이 지역에 거주했으며, 그 뒤를 이어 로마인이 정착했다. 중세 시대에는 에스테 가문에 의해 페라라 공국의 일부로 통치되었지만, 로비고는 공국의 행정 구역이 아니었으며, 포 강 양쪽에는 여러 개의 ''포데스타''가 있었다.
1484년 페라라 전쟁 이후 베네치아 공화국이 폴레시네 북부를 통치하기 시작하면서, 베네치아인들은 이곳을 수도가 로비고인 ''테리토리오''로 지정하여 이 지역에 처음으로 행정적 통일성을 부여했다. 이것은 오늘날보다 그 범위가 좁았지만 로비고도 지방의 시작으로 볼 수 있다. 경계는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는 비앙코 강으로 설정되었으며, 폴레셀라, 과르다 베네타, 아드리아 및 포 강 삼각주 지역이 베네치아의 로비고 ''테리토리오''에 포함되었다.
빈 회의가 열린 1815년 이후 포 강 북쪽의 모든 영토가 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에 포함되어 오늘날과 같은 로비고도 지방이 되었다.
3. 1. 중세 시대
로비고도 지방의 영토는 기원전 12-11세기에 그리스인들이 아드리아 식민지를 건설하면서 처음으로 식민지화되었다. 기원전 6세기와 5세기 동안에는 에트루리아인과 베네토인이 이 지역에 거주했으며, 그 뒤를 이어 로마인이 정착했다. 중세 시대에는 에스테 가문에 의해 페라라 공국의 일부로 통치되었지만, 로비고는 공국의 행정 구역이 아니었으며, 포 강 양쪽에는 여러 개의 ''포데스타''가 있었다.1484년 페라라 전쟁 이후 베네치아 공화국은 폴레시네 북부를 통치하기 시작했고, 베네치아인들은 이곳을 수도가 로비고인 ''테리토리오''로 지정하여 이 지역에 처음으로 행정적 통일성을 부여했다. 이것은 오늘날보다 그 범위가 좁았지만 로비고도 지방의 시작으로 볼 수 있다. 경계는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는 비앙코 강으로 설정되었으며, 폴레셀라, 과르다 베네타, 아드리아 및 포 강 삼각주 지역이 베네치아의 로비고 ''테리토리오''에 포함되었다.
3. 2. 베네치아 공화국 시대
1484년 페라라 전쟁 이후 베네치아 공화국은 폴레시네 북부를 통치하기 시작했고, 베네치아인들은 이곳을 수도가 로비고인 ''테리토리오''로 지정하여 이 지역에 처음으로 행정적 통일성을 부여했다. 이것은 오늘날보다 그 범위가 좁았지만 로비고도 지방의 시작으로 볼 수 있다. 경계는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는 비앙코 강으로 설정되었으며, 폴레셀라, 과르다 베네타, 아드리아 및 포 강 삼각주 지역이 베네치아의 로비고 ''테리토리오''에 포함되었다.[1]3. 3. 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 시대
1815년 빈 회의 이후 포 강 북쪽의 모든 영토가 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에 포함되어 오늘날과 같은 로비고도 지방이 되었다.4. 행정 구역
로비고도에는 50개의 코무네(comuneit)가 있다.[6] 코무네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아드리아
- 아리아노 넬 폴레시네
- 아르쿠아 폴레시네
- 바디아 폴레시네
- 반뇰로 디 포
- 베르간티노
- 보사로
- 칼토
- 카나로
- 칸다
- 카스텔구리에르모
- 카스텔마사
- 카스텔노보 바리아노
- 체네셀리
- 체레냐노
- 코르볼라
- 코스타 디 로비고
- 크레스피노
- 피카롤로
- 피에소 움베르티아노
- 프라시넬레 폴레시네
- 프라타 폴레시네
- 가이바
- 가벨로
- 자차노 콘 바루켈라
- 과르다 베네타
- 렌디나라
- 로레오
- 루시아
- 멜라라
- 오키오벨로
- 파포체
- 페토라차 그리마니
- 핀카라
- 폴레셀라
- 폰테키오 폴레시네
- 포르토 톨레
- 포르토 비로
- 로솔리나
- 로비고
- 살라라
- 산 벨리노
- 산 마르티노 디 베네체
- 스틴타
- 탈리오 디 포
- 트레첸타
- 빌라도세
- 빌라마르차나
- 빌라노바 마르케사나
- 빌라노바 델 게보
4. 1. 주요 코무네
로비고도에는 50개의 코무네가 있다.[6] 2011년 기준으로 인구순 주요 코무네는 다음과 같다.코무네 | 인구 |
---|---|
로비고 | 52,099 |
아드리아 | 20,069 |
포르토 비로 | 14,470 |
렌디나라 | 12,006 |
오키오벨로 | 11,849 |
바디아 폴레시네 | 10,780 |
포르토 톨레 | 9,976 |
탈리오 디 포 | 8,445 |
로솔리나 | 6,510 |
빌라도세 | 5,185 |
2023년 1월 1일 기준[9] 인구순 주요 코무네 및 ISTAT 코드는 다음과 같다.
코드 | 자치체명 | 인구 |
---|---|---|
029041 | 로비고 | 50,089 |
029001 | 아드리아 | 18,681 |
029052 | 포르토 비로 | 13,751 |
029033 | 오키오벨로 | 12,056 |
029029 | 렌디나라 | 11,447 |
029004 | 바디아 폴레시네 | 10,087 |
029039 | 포르토 톨레 | 9,037 |
029046 | 탈리오 디 포 | 7,935 |
029040 | 로솔리나 | 6,203 |
5. 경제
로비고 도는 농업이 발달했으며, 식품 가공(특히 설탕 정제소[3]), 금속 가공, 목공, 섬유 산업, 건설 및 건설 자재 관련 중소 규모 공장들이 있다.[5] 포강 삼각주 습지에는 양식업 농장이 많다.[3] 또한, 로솔리나 마레, 로사 피네타, 알바렐라 섬과 같은 유명한 휴양지가 있다.[5]
5. 1. 농업
로비고 도는 농업이 발달한 지역으로, 밀, 옥수수, 쌀, 사탕무[3], 포도, 사과, 배, 복숭아, 토마토, 채소 등을 재배한다.[5] 포강 삼각주 습지에는 양식업 농장이 많다.[3]5. 2. 산업
로비고 도는 농업이 발달한 지역으로, 밀, 옥수수, 쌀, 사탕무[3], 포도, 사과, 배, 복숭아, 토마토, 채소 등을 재배한다.[5]로비고 시를 비롯한 도내 여러 지역에는 식품 가공(특히 설탕 정제소[3]), 금속 가공, 목공, 섬유 산업, 건설 및 건설 자재 관련 중소 규모 공장들이 있다.[5] 포강 삼각주 습지에는 양식업 농장이 많다.[3]
5. 3. 관광
로비고 도에는 로솔리나 마레, 로사 피네타, 알바렐라 섬과 같은 유명한 휴양지가 있다. 포 강 삼각주의 동부 지역은 강이 여러 개의 지류로 나뉘는 넓은 지역과 일치한다. 이 삼각주는 또한 국립 공원으로 법적으로 지정된 보호 구역이다.6. 사회 문제
로비고 도는 이민, 인구 고령화, 도시화와 같은 사회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5]
6. 1. 이민 및 인구 고령화
로비고 도는 오늘날에도 이민 현상으로 고통받고 있다. 젊은이들은 여전히 베네토 주 및 이탈리아의 더 발전된 지역으로 이주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인구 고령화로 이어진다. 또한 로비고 도 내에서 농촌 지역에서 더 발전된 도시로의 도시화가 여전히 진행되고 있다.[5]6. 2. 도시화
로비고 도는 오늘날에도 이민 현상으로 고통받고 있다. 젊은이들은 베네토 주 및 이탈리아의 더 발전된 지역으로 이주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인구 고령화로 이어진다. 또한 로비고 도 내에서 농촌 지역에서 더 발전된 도시로의 도시화가 여전히 진행되고 있다.[5]참조
[1]
웹사이트
Regions and Cities > Regional Statistics > Regional Economy > Regional Gross Domestic Product (Small regions TL3)
http://stats.oecd.or[...]
OECD.Stats
2018-11-16
[2]
간행물
Il Vocabolario Treccani
http://www.epsilan.i[...]
Istituto della Enciclopedia Italiana
[3]
간행물
Sapere.it
http://www.sapere.it[...]
De Agostini
[4]
문서
All demographics and other statistics
Italian statistical institute Istat
[5]
간행물
Sapere.it
http://www.sapere.it[...]
cit.
[6]
웹사이트
Comuni provincia di Rovigo
https://www.tuttital[...]
2023-08-01
[7]
문서
State Road 434; the proper name "Transpolesana" means "through Polesine"
[8]
웹사이트
Tavola: Superficie territoriale (Kmq) - Rovigo (dettaglio comunale) - Censimento 2001.
http://dawinci.istat[...]
2014-02-06
[9]
웹사이트
Popolazione residente per sesso, età e stato civile al 1° gennaio 2023
https://demo.istat.i[...]
국립통계연구소 (이탈리아)
2024-01-08
[10]
웹사이트
Tavola: Popolazione residente - Rovigo (dettaglio loc. abitate) - Censimento 2001.
http://dawinci.istat[...]
2012-07-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