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록맨 X6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록맨 X6''는 2001년에 출시된 액션 플랫폼 게임으로, 록맨 X 시리즈의 여섯 번째 작품이다. 이 작품은 8개의 스테이지를 선택하여 플레이하고, 각 스테이지의 보스를 물리치면 새로운 무기를 얻는 방식을 따른다. 특히 "나이트메어 현상" 시스템이 특징으로, 특정 스테이지를 클리어하면 다른 스테이지에 악영향을 미쳐 난이도를 변화시킨다. 엑스와 제로를 모두 플레이할 수 있으며, 레플리로이드 구조 시스템을 통해 캐릭터의 능력을 강화할 수 있다. 게임의 스토리는 레플리로이드 과학자 게이트가 제로의 DNA를 이용하여 나이트메어 바이러스와 하이맥스를 만들어내고, 엑스와 제로가 이에 맞서는 내용을 담고 있다. 평가는 엇갈렸으며, 스테이지 디자인과 난이도, 스토리의 반복성 등이 비판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록맨 X - 록맨 X4
    록맨 X4는 캡콤에서 1997년에 발매한 액션 플랫폼 게임으로, 엑스와 제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진행하는 더블 히어로 시스템을 도입하고 레플리포스 대전 이야기를 다루는 록맨 X 시리즈의 네 번째 작품이다.
  • 록맨 X - 록맨 X8
    록맨 X8은 캡콤에서 발매한 록맨 X 시리즈의 여덟 번째 작품으로, 2.5D 스타일을 채택하여 엑스, 제로, 액셀 세 명의 캐릭터로 스테이지를 공략하며 가드 브레이크, 더블 어택, 엑스의 새로운 아머 시스템 등의 새로운 시스템과 네비게이터의 도움을 받는 것이 특징이다.
  • 슈퍼히어로 게임 - 스파이더맨 2 (2023년 비디오 게임)
    인섬니악 게임즈가 개발하고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가 배급한 액션 어드벤처 게임 《스파이더맨 2》는 2018년 《스파이더맨》과 2020년 《스파이더맨: 마일스 모랄레스》의 후속작으로, 피터 파커와 마일스 모랄레스 두 스파이더맨이 뉴욕에서 새로운 위협에 맞서 싸우는 이야기와 확장된 오픈 월드, 새로운 능력, 심비오트 슈트를 특징으로 하며 상업적 성공과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았다.
  • 슈퍼히어로 게임 - 펩시맨 (비디오 게임)
    펩시맨은 1999년 KID에서 개발하고 플레이스테이션용으로 발매된 액션 게임으로, 펩시의 마스코트인 펩시맨이 3인칭 시점에서 펩시를 찾아 사람들을 구하는 독특한 게임플레이를 제공하며 컬트적인 인기를 얻고 스피드런 행사에도 등장하고 있다.
  • 세계 종말 이후를 배경으로 한 비디오 게임 - 호라이즌 제로 던
    《호라이즌 제로 던》은 31세기를 배경으로 로봇 생명체가 지배하는 멸망한 세계에서 사냥꾼 엘로이를 조종하여 기계 짐승과 전투를 벌이고 오픈 월드를 탐험하는 3인칭 액션 RPG이다.
  • 세계 종말 이후를 배경으로 한 비디오 게임 - 프리덤 워즈
    프리덤 워즈는 메타크리틱에서 73/100점을 기록하고, Destructoid, GameSpot, IGN 등으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패미통으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록맨 X6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Mega Man X6 정보
북미 PlayStation 커버 아트. 배경에 [[Zero (Mega Man)|Zero]], 전경에 [[X (Mega Man)|X]].
북미 PlayStation 커버 아트. 배경에 Zero, 전경에 X.
개발사캡콤
유통사캡콤
디렉터오코하라 코지
프로듀서미나미 타츠야
디자이너나카 아키테루
사카이 토요즈미
아티스트스에츠구 하루키
작곡가다나카 나오토
시리즈록맨 X
장르액션 게임
플랫포머
모드싱글 플레이어
플랫폼플레이스테이션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닌텐도 스위치
플레이스테이션 4
엑스박스 원
출시일
플레이스테이션일본: 2001년 11월 29일
북미: 2001년 12월 11일
유럽: 2002년 2월 8일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대한민국: 2002년 12월 12일
아시아: 2003년 6월 13일

2. 게임플레이

''록맨 X6''는 전작인 ''록맨 X5''와 유사하게 진행되는 액션 플랫폼 게임이다. 플레이어는 8개의 스테이지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플레이할 수 있으며, 각 스테이지는 보스 캐릭터와의 전투로 이어진다. 보스를 물리치면 X는 새로운 특수 무기를 얻게 되며, 이는 이후 최종 보스로 이어지는 스테이지 공략에 활용된다.[2][3]

플레이어는 처음에 X를 플레이하며, X는 X 버스터와 Z 세이버를 사용할 수 있다. 이전 게임과 마찬가지로, 플레이어는 X에게 추가 능력을 부여하는 아머를 찾아 장착할 수 있다. 게임을 시작할 때 ''록맨 X5''의 팰컨 아머를 장착하고 있으며, 새로운 섀도우 아머와 블레이드 아머는 8개의 메인 스테이지에서 조각으로 숨겨져 있다.[4][5] 제로는 제로 나이트메어 보스를 찾아 물리치면 해금할 수 있으며, Z 세이버 전투 스타일과 이단 점프를 포함한 독특한 능력 세트를 가지고 플레이한다.

시스템 면에서는 『X5』의 것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플레이 중 나이트메어 소울을 모아 헌터 랭크를 올리고 파워업 파츠를 장착할 수 있다. 파츠는 각 스테이지에서 부상당한 레플리로이드를 구출하여 입수할 수 있다.

모든 보스 캐릭터를 모두 쓰러뜨리지 않아도 다음 지역으로 진행할 수 있지만, 어느 정도 파워업하지 않으면 공략할 수 없다. 대다수의 캐릭터에 캐릭터 보이스가 도입되었다. 2002년 11월 28일에는 PlayStation the Best판이 발매되었다. 해외에서는 Windows판도 발매되었으며, 북미에서는 2006년에 PlayStation 2 및 닌텐도 게임큐브용 「Mega Man X Collection」에 수록되었다.

아나더 에리어(스테이지 중 파란 크리스탈에 접촉하여 워프하는 특정 부분)에서 제로 나이트메어가 사용하는 기술은 대부분 《록맨 X5》에서 보스일 때의 제로와 동일하다. 제트 버스터 난사나 워프 외에 다음 세 가지 기술을 사용한다.

; 전인 제로 (電刃零)

: 세이버에서 이쪽을 탐색하여 날아오는 충격파를 발사한다.

; 환몽 제로·개 (幻夢零・改)

: 세이버로 거대한 충격파를 발사한다. 웅크리거나 대시로 통과하여 회피 가능하다. 충격파에는 빠른 것과 느린 것이 있으며, 느린 것은 "환몽 제로·개→제트 버스터"와 같은 행동을 하면 회피가 불가능해질 우려가 있다. 《록맨 X5》의 각성 제로가 사용하는 "환몽 제로"와 달리 즉사 공격은 아니며, 발동 중에도 무적 상태가 되지는 않지만, 전투 시간과는 관계없이 사용한다. 제로 나이트메어의 레벨이 2 이상이면 연속으로 발사하며, 그 횟수는 레벨에 따라 달라진다.

; 진·멸 섬광 (真・滅閃光)

: 주먹으로 지면을 내리쳐 여러 개의 거대한 에너지탄을 발사한다.

: 제트 버스터와 환몽 제로·개의 충격파, 진·멸 섬광은 가드 쉘로 소멸시킬 수 있다.

2. 1. 나이트메어 현상

Nightmare영어 현상(나이트메어 현상)은 《록맨 X6》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로, 어떤 스테이지를 클리어하면 다른 스테이지에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이다.[6] 예를 들어, 작은 무적의 적이나 돌풍 등, Nightmare영어 효과(나이트메어 효과)라고 불리는 추가 효과나 장애물이 다른 스테이지에 추가된다.[6] 새로운 Nightmare영어 효과가 활성화된 스테이지는 스테이지 선택 화면에서 빨간색으로 강조 표시된다.[6] 모든 스테이지에는 미리 결정된 Nightmare영어 효과 그룹이 있으며, 스테이지에 대한 가장 최근의 Nightmare영어 효과만 한 번에 활성화된다.[6]

나이트메어 바이러스는 평화로운 레플리로이드가 닿으면 위험한 "메버릭"으로 바꾸어 레플리로이드를 구출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든다.[8]

2. 2. 레플리로이드 구조

X가 악몽 바이러스로부터 레플로이드를 구출하고 있다.


록맨 X6영어는 이전 시리즈보다 레플리로이드 구조에 더 중점을 둔다. 이전 게임에서는 구조를 통해 체력이나 추가 생명을 얻었지만, 록맨 X6영어에서는 추가 부품이나 다른 영구 업그레이드를 보상으로 제공한다.[7] 나이트메어 바이러스 때문에 레플리로이드 구출은 더 어려워졌는데, 이 바이러스는 평화로운 레플리로이드가 닿으면 위험한 "메버릭"으로 바꾸어 레플리로이드 구출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특정 레플리로이드는 록맨 X5영어에서 다시 등장하는 "부품"이라는 파워업 아이템을 제공한다.[8] 부품은 X의 아머에 장착되는 대신 캐릭터 자체에 부착된다. 장착 가능한 부품 수는 플레이어의 랭크에 따라 달라지며, 랭크는 나이트메어 바이러스 적을 물리치면 드롭되는 "나이트메어 소울"을 모아서 올릴 수 있다.[35]

엑스와 제로가 장착하여 특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파츠는 스테이지 내에서 구조를 기다리는 레프리로이드를 구출하여 입수할 수 있다. 이러한 파츠는 헌터 랭크를 올리면 장착 가능하다. 두 캐릭터 모두 장착 가능한 노멀 파츠, 엑스와 제로 각각만 장착 가능한 전용 파츠는 합해서 최대 4개까지 장착 가능하며, 장착하는 것만으로 효과가 발휘된다. 리미트 파츠는 최대 1개만 장착 가능하며, 효과는 스테이지 중 무기 선택 화면에서 사용을 선택해야 발휘된다. 라이프 업과 에너지 업은 자동 장착이므로 교체할 수 없다.

3. 시스템

전작전작과 마찬가지로 엑스제로 모두 정식 플레이가 가능하다. 하지만, 초반에는 엑스로만 플레이할 수 있다.[72] 서브탱크도 E탱크 2개, W탱크 1개로 전작과 동일하다.

''록맨 X6''는 전작인 ''록맨 X5''와 비슷하게 진행된다. 액션 플랫폼 게임인 이 게임은 시리즈의 공식을 따라 어떤 순서로든 8개의 스테이지를 선택할 수 있으며, 각 스테이지는 보스 캐릭터와의 전투로 끝난다. 보스를 물리치면 엑스의 무기고에 새로운 고유 무기가 추가되고, 이후 최종 보스로 이어지는 고정된 일련의 스테이지가 이어진다. 플레이어는 처음에 엑스로 플레이하는데, 엑스는 엑스 버스터로 사격하는 데 능숙하며 근접전에서 Z 세이버를 사용할 수 있다. 이전 게임과 마찬가지로, 플레이어는 엑스에게 추가 능력을 부여하는 아머를 찾아 장착할 수 있으며, 게임을 시작할 때 ''록맨 X5''의 팰컨 아머를 장착하고, 새로운 섀도우 아머와 블레이드 아머는 8개의 메인 스테이지에서 조각으로 숨겨져 있다.[2][3] 제로는 제로 나이트메어 보스를 찾아 물리치면 해금할 수 있으며, 더욱 정교해진 Z 세이버 전투 스타일과 이단 점프를 포함한 독특한 능력 세트를 가지고 플레이한다.[4][5]

''록맨 X6''의 독특한 특징은 "나이트메어 현상" 시스템인데, 어떤 이유로든 스테이지를 떠나면 "나이트메어 효과"라고 하는 추가 효과나 장애물이 다른 스테이지에 추가되어 작은 무적의 적이나 돌풍 등이 발생한다. 새로운 나이트메어 효과가 활성화된 스테이지는 스테이지 선택 화면에서 빨간색으로 강조 표시된다. 모든 스테이지에는 미리 결정된 나이트메어 효과 그룹이 있으며, 스테이지에 대한 가장 최근의 나이트메어 효과만 한 번에 활성화된다.[6]

''록맨 X6''는 시리즈의 이전 타이틀보다 레플로이드 구조에 더 중점을 둔다. 이전 게임에서는 구조를 통해 체력이나 추가 생명을 얻었지만, ''록맨 X6''에서는 추가 부품이나 다른 영구 업그레이드를 보상으로 제공한다.[7] 레플로이드 구출은 나이트메어 바이러스의 추가로 인해 이 게임에서 더 어려워졌는데, 이 바이러스는 평화로운 레플로이드가 닿으면 위험한 "메버릭"으로 바꾸어 레플로이드를 구출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특정 레플로이드는 ''록맨 X5''에서 다시 등장하는 기능인 "부품"이라는 파워업 아이템을 제공한다.[8] 부품은 엑스의 아머에 장착되는 대신, 이제 캐릭터 자체에 부착된다. 한 번에 장착할 수 있는 부품의 수는 플레이어의 랭크에 따라 달라지며, 이 랭크는 나이트메어 바이러스 적을 물리치면 드롭되는 작은 아이템인 "나이트메어 소울"을 모아서 올릴 수 있다.[35]

시스템 면에서는 『X5』의 것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플레이 중 나이트메어 소울을 모으는 것으로 헌터 랭크가 산출되어 랭크가 올라가면 파워업 파츠를 장착할 수 있다. 파츠는 각 스테이지에서 부상당한 레플리로이드를 구출함으로써 입수할 수 있다.

어떤 스테이지를 클리어하면 다른 스테이지에 영향을 미쳐 난이도가 변화한다 (후술). 전작과 마찬가지로 모든 보스 캐릭터를 모두 쓰러뜨리지 않아도 다음 지역으로 진행할 수 있지만, 어느 정도 파워업하지 않으면 공략할 수 없다.

본작에서는 처음부터 2단 점프가 가능하다. 또한, 제트 세이버의 공격 모션도 전작까지와는 변경되어, 지상에서는 옆 베기 →袈裟 베기 → 올려 베기의 3연격, 공중에서는 내려 베기, 2단 점프 시에는 회전 베기가 된다. 지상에서의 베기 시작은, 얀마크의 옵션이나, 다이나모의 블레이드 등을 튕겨낼 수 있다. 제로의 사용은, 해설서에서는 "부활한 헌터"라는 명칭으로 조작 방법 등의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기본 설정에서는, 통상 공격 버튼이 □ 버튼, 특수 공격 버튼이 △ 버튼, 기가 어택 버튼이 R2 버튼이다.

제로는 보스를 쓰러뜨리면 필살기·특수 무기를 습득한다. 그 대부분은 무기 게이지를 소비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기술의 대부분은 커맨드 입력으로 발동한다.

아나더 에리어(스테이지 중의 파란 크리스탈에 접촉하여 워프하는 특정 부분)에서 제로 나이트메어가 사용하는 기술은 다음과 같다. 대부분이 《록맨 X5》에서의 보스일 때의 제로와 동일하다.

다음 세 가지 외에도 제트 버스터 난사나 워프를 사용한다.


  • 전인 제로 (電刃零): 세이버에서 충격파를 발사한다.
  • 환몽 제로·개 (幻夢零・改): 세이버로 거대한 충격파를 발사한다.
  • 진·멸 섬광 (真・滅閃光): 주먹으로 지면을 내리쳐 여러 개의 거대한 에너지탄을 발사한다.


제트 버스터와 환몽 제로·개의 충격파, 진·멸 섬광은 가드 쉘로 소멸시킬 수 있다.

4. 등장인물

유라시아 우주 식민지 사건 이후, 지구는 거의 파괴될 뻔했다. 메버릭 헌터 제로는 실종되었고, X는 세계 최고의 메버릭 헌터로 남았다. 지구 표면은 거주 불가능하게 되어 인류는 지하로 피난해야 했다.[9][10]

메버릭 헌터 오퍼레이터 에이리아는 X에게 이상 현상을 조사하기 위해 충돌 현장으로 보낸다. 임무 중 X는 제로를 연상시키는 유령을 만난다. 이후 X는 레플로이드 과학자 이소크와 그의 부하 하이 맥스를 만나는데, 그들은 제로 나이트메어라는 존재를 찾고 있었다. 제로 나이트메어는 레플로이드에게 해를 끼치는 "나이트메어 바이러스"를 퍼뜨리고 있었다.[11]

X는 제로 나이트메어를 만나 물리칠 수 있다. 그 후, 진짜 제로가 나타나 시그마와의 전투에서 살아남은 경위를 알 수 없다고 말한다.[12][13] 제로는 X와 재회하여 메버릭 헌터에 다시 합류한다.

8명의 조사관 또는 하이 맥스를 물리친 후, X와 제로는 게이트로부터 연락을 받는다. 게이트는 자신이 충돌 현장에서 찾은 제로의 DNA 조각을 사용하여 제로 나이트메어, 나이트메어 바이러스, 하이 맥스를 만들었다고 밝힌다.[14]

콜로니 낙하 사건 3주 후, 지구는 황폐해졌다. 레플리로이드는 지상 재건에 힘썼고, 엑스는 "이레귤러 헌터" 대원으로서 복구 작업에 참여했다.

어느 날, 엑스는 에이리아로부터 이레귤러 발생 소식을 듣고, "제트 세이버"를 들고 전장으로 향했다.

4. 1. 주요 캐릭터


  • '''에이리아'''(ja, en): 성우카사하라 루미이다. 이레귤러 헌터의 오퍼레이터로, 엑스에게 이상 현상을 조사하도록 지시한다. 네비게이션 및 프로그램 분석에 능숙하며, 전작과 동일한 디자인으로 등장한다. 과거 이레귤러로 판정된 레플리로이드 처분에 관여했던 사실이 밝혀지며, 전 동료였던 게이트에 대해 복잡한 감정을 가지고 있다.[47]

  • '''시그너스'''(ja, en): 성우는 스즈오키 히로타카이다. 젊은 이레귤러 헌터 총 지휘관으로, 전작과 동일한 디자인으로 등장한다. 뛰어난 CPU를 탑재하여 냉철한 판단력과 결단력으로 헌터 조직을 이끌며, 많은 헌터들의 신뢰를 받고 있다.

  • '''더글라스'''(ja, en): 성우타카기 와타루이다. 헌터들의 무기, 라이드 아머, 시설 등을 정비하는 유능한 정비사로, 전작과 동일한 디자인으로 등장한다. 콜로니 사고 이후 복구 작업에 힘쓰고 있으며, 일부 엔딩에서만 대사가 등장한다.

4. 1. 1. 이레귤러 헌터


  • '''엑스''' (ja, en): 성우모리쿠보 쇼타로이다. 레귤러 헌터(Irregular Hunter) 제17 정예 부대 대장 출신으로, 콜로니 낙하 사건 이후에는 얼마 남지 않은 레귤러 헌터들과 지구 복구 작업에 힘쓰고 있었다.[11] 제로의 망령이 나이트메어 바이러스 사건의 원인과 관련 있다는 소문을 듣고 제로의 명예를 지키기 위해 나이트메어 조사를 시작한다. 본작에서는 제트 세이버를 사용할 수 있으나, 연속 베기나 앉아 베기는 불가능하다.

  • '''제로''' (ja, en): 성우오키아유 료타로이다. 엑스의 동료이자 특A급 헌터로, 3주 전 콜로니 낙하를 막았다.[12][13] 제트 세이버의 본래 소유자이기도 하다. 전작의 전투 이후 행방불명되었으나, 이후 부활하였다. 전작 전투에서 입은 피해가 회복될 때까지 은신하고 있었다고 한다. 취급 설명서에는 "'''부활의 헌터'''"로 표기되어 있다.

4. 1. 2. 배후 세력

게이트는 레플리로이드 과학자이자 에이리아의 전 동료였다. 유라시아 우주 식민지 사건 현장을 조사하던 중 제로의 DNA 파편을 줍게 되고, 이를 이용해 나이트메어 바이러스와 하이맥스를 만들어 낸다.[14] 그는 자신의 몸을 나이트메어 바이러스의 힘을 응용하여 강화 개조하고,[49] 우수한 레플리로이드만의 이상향을 만들려고 했다.[14]

하이맥스는 나이트메어 조사원의 리더로, 게이트가 제로의 데이터 일부를 사용하여 제작한 강력한 레플리로이드다.[51] 수치상 성능, 특히 방어력에서 엑스를 훨씬 능가한다.

아이조크는 게이트의 충실한 부하로, 나이트메어 현상 조사원을 이끌었다.[52] 그는 게이트의 복심으로서 협력하고 있던 이레귤러였다.

시그마는 록맨 X 시리즈의 주요 악당으로, 본작에서는 게이트에 의해 불완전한 상태로 부활한다.[15]

5. 록맨 X6의 8 보스



''록맨 X6''의 8 보스는 게이트가 제작했거나 그의 기술로 부활한 레플리로이드들이다. 이들은 각자 독특한 외형과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엑스제로로 이들을 쓰러뜨리면 특수 무기를 얻을 수 있다.

이번 작품의 보스 캐릭터는 다른 시리즈와 달리 "이명"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 또한, 일본 외 국가의 영문명은 일부를 제외하고 일본판에서 변경되지 않았다(메탈 샤크 플레이어와 실드너 셸던 제외). 이마에 (각각 색상이 다르지만) 마름모 모양의 보석 형태 수정체가 있는 것이 공통점이다(체력 게이지의 마크이기도 하다). 수중전은 없지만, 물 생물을 모티브로 한 보스가 많다.

각 스테이지에서 보스를 일정 시간 이내에 쓰러뜨리면 200포인트의 녹색 나이트메어 소울을, 일정 시간을 지나서 쓰러뜨리면 100포인트의 붉은 나이트메어 소울을 얻는다.

8보스에 대한 간략한 정보는 아래 표와 같다.

록맨 X6의 8 보스
이름형태성우약점(엑스/제로)비고
커맨더 얀마크
(Commender Yanmark)
왕잠자리Commender Yanmark영어[73]타카기 와타루인피니티 미지니온의 애로우 레이/열광패
레이니 터틀로이드
(Rainy Turtloid)
거북이시카와 히데오블리자드 볼팡의 아이스 버스트
시드나 셀던/실드 셀던
(Shieldner Sheldon/Shield Sheldon영어)
조개 (분류에 따라 가리비)스즈오키 히로타카일본 국외에서는 쉴드 셸던(Shield Sheldon)[62]
블리자드 볼팡
(Blizzard Wolfang)
늑대이시카와 히데오블레이즈 히트닉스의 마그마 블레이드/상염산
블레이즈 히트닉스
(Blaze Heatnix)
불사조미키 신이치로그라운드 대쉬/상염산과 열광패를 제외한 모든 공격[59]
인피니티 미지니온
(Infinity Mijinion)
물벼룩타카기 와타루
메탈샤크 프레이어/메탈 샤크 플레이어
(Metalshark Prayer/Metal Shark Player영어)
귀상어무기히토레이니 터틀로이드의 메테오 레인/원수참일본 국외에서는 "메탈 샤크 플레이어(Metal Shark Player)"[62]
그라운드 스카라비치
(Ground Scaravich)
쇠똥구리아오노 타케시커맨더 얀마크의 얀마크 옵션


5. 1. 커맨더 얀마크 (Commender Yanmark)

왕잠자리Commender Yanmark영어[73] 형태의 레플리로이드로, 인피니티 미지니온의 애로우 레이(X)나 열광패(Z)에 맞으면 눈이 부셔한다.

커맨더 얀마크는 산림 관측 팀 소속으로, 산림 보호 프로젝트용으로 만들어졌다. 게이트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어느 날 사고를 일으켜 숲을 태워 버렸다. 평소 성적이 우수하여 방면되었지만, 며칠 후 불법적인 개조를 받아(범인은 불명) 다시 사고를 일으켜 기능이 정지된다. 재생된 후에는 이레귤러 헌터나 레플리로이드 연구원에 대한 불신감으로 반기를 든다.

다양한 포메이션을 지시하는 "얌마 옵션"과 연계하여 공격한다.[56] 얌마 옵션 자체는 파괴되어도 보충되기 때문에 완전히 소멸시킬 수 없다. 이름의 얌마는 영어 발음이 아닌 "얀마(蜻蜓)"에서 유래한다.

  • X, Z: 얀마크 옵션(Yanmark Option) - 주변에 잠자리 모양의 메카(최대 3개)를 소환하여 공격과 방어를 돕는다. 메카마다 일정량의 체력이 있다. 작은 모기 모양의 메카[74]를 파괴할 수 있다. X의 경우 차지 시 사방으로 에너지볼을 발사한다.

5. 2. 레이니 터틀로이드 (Rainy Turtloid)



레이니 터틀로이드는 이시카와 히데오가 성우를 맡은 거북 형태의 레플리로이드이다. 게이트가 제작한 수륙양용 레플리로이드로 수질개선팀의 일원이었다. 블리자드 볼팡을 쓰러뜨린 뒤 얻는 특수 무기 아이스 버스트에 의해 몸이 얼어버린다.[75]

엑스(X)의 무기메테오 레인(Meteor Rain) - 위쪽으로 물방울을 발사하며 물방울은 위아래로 1번 왕복한다. 차지 시 공중에서 많은 물방울이 생성된다.
제트(Z)의 무기원수참(円水斬) - 제자리에서 격렬하게 회전하며 세이버로 공격한다. 무적 버그가 존재한다.



과거 수질 개선 팀에 소속되었던 수륙 양용 거대 악어 거북형 레플리로이드로, 게이트가 개발하였다. 거대한 외모에 험악한 인상을 가졌지만, 온후한 성격으로 시그마와 여러 번 격돌하여 세계를 구한 엑스와 제로를 존경했다.

산성비에도 견딜 수 있는 특수 합금 갑옷 쉴드를 장비하여 오염된 출입 금지 구역도 조사 가능했다. 그래서 주위에서 위험하게 여겨 약화를 명령받았지만, 개발자인 게이트는 이를 무시했다. 그 결과 터틀로이드 자신이 양심의 가책을 느껴 갑옷을 떼어내고 스스로 운행을 멈춰 버렸다. 이후 재생되어 조사원이 된 터틀로이드는 자신을 되살려준 게이트를 위해, 다가올 운명을 자각하면서 엑스에게 싸움을 건다.

압도적인 방어력을 가진 갑옷 내부에 미사일, 칼날, "메테오 레인"을 대량으로 숨겨두고 있다.

5. 3. 시드나 셀던/실드 셀던 (Shieldner Sheldon/Shield Sheldon)

Shieldner Sheldon/Shield Sheldon영어

CV: 스즈오키 히로타카

게이트가 제작한 두족류의 일종인 조개(분류에 따라서는 가리비) 형태의 레플리로이드이다. 각종 연구 기관의 소장 등의 경호에서 뛰어난 활약을 보여 높은 평가를 받았다. 요인 호위가 원래 직무이기에, 압도적인 방어력을 자랑한다.

짐 박사라는 과학자 레플리로이드의 경호를 맡고 있었는데, 짐 박사가 원인 불명으로 이레귤러화하자 어쩔 수 없이 독단으로 처분했다. 그러나 짐 박사를 죽이는 순간만을 목격한 현장에 달려온 헌터(엑스나 제로의 부하)는 셸던이 게이트가 제작했다는 이유만으로 이레귤러라고 오인했고, 셸던은 책임을 느끼고 자살했다. 이 사건은 엑스와 제로에게도 큰 상처를 남겼다.[63] 셸던은 조사원으로서 엑스들과 대치했을 때, 원인은 어디까지나 임무를 완수하지 못한 자신에게 있으며, 엑스나 제로를 원망하고 있지 않음을 알렸다.[64]

무기는 다음과 같다.

  • X: 가드 셀(Guard Shell) - 앞쪽에 방패를 생성하여 적의 에너지 볼을 반사한다. 방패는 위치 조정이 가능하다. 제로의 그림자[74]를 막을 수 있다. 차지 시 4개의 조개껍데기를 생성하여 에너지 볼을 발사한다.
  • Z: 가드 셀(Guard Shell) - 앞쪽에 방패를 생성하여 적의 에너지 볼을 반사한다. 엑스의 그림자[74]를 막을 수 있다. 세이버의 히트 판정이 늘어나는 버그가 있다.


일본 국외에서는 '''쉴드 셸던'''('''Shield Sheldon''')이라고 표기된다.[62]

5. 4. 블리자드 볼팡 (Blizzard Wolfang)

게이트가 부활시킨 늑대형 레플리로이드이다.[57] 약점 무기는 블레이즈 히트닉스의 마그마 블레이드(X)와 상염산(Z)으로, 맞으면 몸이 경직된다. 록맨 제로 4펜리 루나엣지와 공통점이 많다.

극한지 개척팀 리더였으며, 흉포한 외모와 달리 책임감과 냉정함을 갖췄다. 어느 날 볼팡 부대가 임무 중 전멸(볼팡 제외)하자, 게이트를 싫어하는 자에게 속은 에이리아의 지휘로 해중에 처분되었다. 제로와는 구면이며, 에이리아는 이 처분으로 트라우마를 얻었다. 볼팡은 게이트에게 강한 충성심을 보여 엑스, 제로와 싸우는 길을 택했다.

네 발 보행 전투가 특기이며, 손발톱과 악력으로 천장 얼음을 잡고 움직인다. 주 무기는 얼음 탄 "아이스 버스트"와 강화형 "아이스 프래그먼트"다. 전법은 얼음 위를 미끄러지는 "체이스 프리즈", 잔상을 남기는 "체이스 베이퍼",[57] 이 둘을 지나간 곳에 얼음 기둥을 세우는 "디제스터 룸"이 있다.

무기는 다음과 같다.

  • X: 아이스 버스트(Ice Burst) - 얼음 조각 3개 발사. 큰 조각 위에 탈 수 있다. 얼음 바닥[74]을 깬다. 차지 시 대시하며 위아래로 얼음창 발사.
  • Z: 빙랑아(氷狼牙) - 천장에 붙어 얼음창 3개 발사. 얼음 바닥[74]을 깬다.

5. 5. 블레이즈 히트닉스 (Blaze Heatnix)

게이트에 의해 부활한 불사조 형태의 레플리로이드이다. 엑스의 경우 그라운드 대쉬, 제트는 상염산과 열광패를 제외한 모든 공격이 약점이다.[59] 미키 신이치로가 성우를 맡았다.[58]

; 무기

엑스(X)제로(Z)
마그마 블레이드(Magma Blade) - 세이버를 휘둘러 불덩어리를 발사한다. 마그마 덩어리[74]를 파괴할 수 있다. 차지 시 여러 개의 새 모양 불덩어리를 생성한다.상염산(翔炎山) - 위쪽으로 세이버를 휘둘러 불기운으로 공격한다. 마그마 덩어리[74]를 파괴할 수 있으며, 하이맥스의 움직임을 잠시 동안 봉인시킬 수 있다.



게이트가 만든 레플리로이드로, 핫스팟 탐사용 불사조형 레플리로이드이다. 몸체 각 부분에 화염 방출구가 있으며, 머리와 상반신에서 항상 불꽃을 뿜어낸다. 전 활화산 분화재해 대책 팀 구성원이었다.

고열을 견딜 수 있는 고성능 몸체를 가졌지만, 협조성이 전혀 없고 성급하며 자기중심적인 성격이었다. 탐사 임무 중 재해 대책 팀에 큰 손실을 입혀, 결국 사고로 위장하여 지하 깊숙이 파괴되었다. 이후 게이트가 회수하여 몰래 재생시켰지만, 회수 방법은 불명확하다. 소생된 히트닉스는 더욱 호전적이고 잔학해져 스스로를 "최강"이라 칭하며 엑스에게 싸움을 건다.

주요 무기는 입에서 발사하는 확산성 화산탄 "마그마 샷"이다. 필살기로는 에너지를 반달 모양으로 수렴해 발사하는 "마그마 웨이브", 전신에서 고열 에너지를 발생시켜 좌우로 돌진하는 "갓 버드"가 있다. 또한 마그마를 조종해 플레이어의 행동 범위를 좁히는 "마그마 스트림" 능력과, 이 능력 발동 시 물방울 모양 마그마를 낙하시키는 "스트림 드롭"을 사용한다.[58] 어떤 공격을 맞아도 약점 무기를 맞았을 때와 같은 반응을 보인다.[59]

5. 6. 인피니티 미지니온 (Infinity Mijinion)

타카기 와타루가 성우를 맡은 물벼룩 형태의 레플리로이드이다.[73] 게이트가 개발한 미세 생물형(혹은 플랑크톤형) 레플리로이드로, 매우 높은 정보 처리 능력을 가지고 있어 유인형 거대 병기 개발에서 테스트 파일럿을 맡았다.[65]

성격에 문제가 있어 매우 제멋대로이고, 말투도 꽤 어린애 같고 버릇이 있다. 자신의 능력을 과시하는 것에 집착하여, 아버지인 게이트의 지시에도 따르지 않는 경우가 많았고, 게이트도 미지니온의 존재에는 골머리를 앓았다. 테스트 프로그램을 무시하고, 마음대로 자기 자신에게 유리한 커리큘럼으로 바꿔 실험을 해왔기 때문에[65] 동료들과의 싸움이 끊이지 않아, 결국에는 사고로 위장하여 처분되었다.

나이트메어 조사원으로 되살아난 후에는 병기개발소를 점거, 과거에 자신이 시험 운용을 실시했던 거대 기동 병기 "빅・지・일루미나"[66]를 나이트메어 바이러스의 힘으로 폭주시켰다.

전투에서는 분열하거나 내구력이 높은 거품을 여러 개 뿌려서 상대를 궁지에 몰아넣는다. 또한, 약한 공격으로는 회복된다.

무기로는 다음이 있다.

  • X: 애로우 레이(Array Ray) - 레이저 빔을 발사한다. 레이저 빔은 벽에 부딪치면 위쪽으로 날아간다. 차지 시 엑스 주변으로 여러 개의 레이저 빔을 발사한다.
  • Z: 열광패(裂光覇) - 레이저 빔으로 화면 전체를 공격한다. 강한 무기인 만큼 사용 가능한 횟수가 적다.

5. 7. 메탈샤크 프레이어/메탈 샤크 플레이어 (Metalshark Prayer/Metal Shark Player)

메탈샤크 프레이어(Metalshark Prayer)/메탈 샤크 플레이어(Metal Shark Player)는 귀상어 형태의 레플리로이드이다. 고도의 DNA 리서치 능력을 가지고 있어, 레플리로이드의 잔해를 분석하고 재활용할 수 있는 파츠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60] 이러한 능력을 게이트가 주목하여 그를 부활시켰으며, 불법으로 규정된 레플리로이드 재생 실험을 통해 게이트에게 많은 도움을 주었다.

보스전은 고철 더미에서 진행되며, 금속 닻을 던지거나 상어처럼 샥스핀을 내놓고 고철 더미에서 수영하는 패턴을 사용한다. 또한, 이전 작품의 보스인 록맨 X의 스팅 카멜리오, 록맨 X2의 마그네 햐쿠레거, 록맨 X3의 익스플로즈 호넥을 무작위로 소환한다.[60] 약점은 레이니 터틀로이드의 특수무기 메테오 레인(X)과 원수참(Z)으로, 맞으면 몸이 흐물흐물해진다.

엑스는 메탈 앵커(Metal Anchor)를 얻을 수 있는데, 강철 닻을 발사하여 바닥에 튕기게 한다. 강철 블록[74]을 파괴할 수 있으며, 차지 시 여러 마리의 스톰 이글리드를 소환한다. 제로는 낙강인(落鋼刃)을 얻으며, 강철 세이버로 아래를 공격한다. 세이버가 바닥에 닿으면 닻이 생성되어 바닥에 튕겨지며, 강철 블록[74]을 파괴할 수 있다.

일본 국외에서는 "'''메탈 샤크 플레이어'''('''Metal Shark Player''')"라고 표기된다.[62] 성우는 무기히토가 담당했다.

5. 8. 그라운드 스카라비치 (Ground Scaravich)

쇠똥구리 형태의 레플리로이드로, 게이트가 제작하지 않은 유일한 보스 캐릭터이다. 자칭 "보물 사냥꾼이자 고고학자"이다.[61] 커맨더 얀마크의 얀마크 옵션이 약점으로, 맞으면 번 디노렉스처럼 몸이 공중으로 떠오른다. 스테이지는 박물관 센트롤 뮤지엄으로 유적, 우주, 해양, 공룡 에리어로 랜덤 전송된다.

유적 도굴로 이레귤러 헌터에게 지명 수배되었지만, 본인은 연구에 열심이었을 뿐 악의는 없었던 것으로 보이며, 에이리아에게서도 "단순한 유적 도굴과는 다르다"라고 평가받았다.[61]

게이트에게 고대 유적이나 고대 로봇의 학술 데이터와 맞바꿔 보호를 의뢰하여 그의 전속 직원이 되었고, 파워업도 받았다. 그러나 게이트의 명령으로 엑스제로가 발굴된 금단의 땅에 침입하면서 에이리아에게 처형당했다. 에이리아에 따르면 게이트는 이 사건에 대해 아무런 반성도 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 후, 게이트에게 몰래 소생되어 나이트메어 조사원이 되었다.[61]

소형이지만 민첩하고 괴력을 가진 소유자로, 거대한 바위[61]를 걷어차 공격한다. 팔 부분의 소형 버스터도 무기이다.[61]

  • 엑스(X): 그라운드 대쉬(Ground Dash) - 바위를 발사하여 공격한다. 특정 블록[74]을 이동 및 파괴할 수 있다. 차지하면 바위가 커지고 벽을 관통하며 파괴력이 향상되지만, 특정 블록[74]은 파괴할 수 없게 된다.
  • 제로(Z): 선추참(旋墜斬) - 점프 후 대각선으로 세이버로 공격한다. 특정 블록[74]을 이동 및 파괴할 수 있다.

6. 평가

《록맨 X6》는 메타크리틱에서 평균 65점을 기록하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30] 주요 비판점으로는 형편없는 스테이지 디자인과 메커니즘,[42][31][37] 그리고 이전 스토리를 답습하면서 비롯된 가혹한 난이도[44][34] 등이 있었다.

GameSpot의 지안카를로 바라니니는 게임의 음악을 칭찬했으며,[35] IGN은 사운드트랙과 반복 플레이 가치를 높게 평가했다.[37] ''GameZone''은 X의 새로운 검 외에는 혁신이 거의 없었지만, 그 개념이 잘 실행되었다고 평가했다.[36] ''Gaming Age''는 좋은 오디오와 함께 미학적으로 만족스러운 스테이지와 컷신을 제작한 프로덕션 가치를 칭찬했다.[42]

반면, ''Electronic Gaming Monthly''는 이 게임에 10점 만점에 3.5점을 주며, 《록맨 X》 시리즈에 남긴 좋지 않은 품질을 비판했다.[31] ''GameRevolution''은 게이트의 배경 이야기와 제로의 부활을 언급하며 스토리가 이전 게임에서 재탕되었다고 지적했고, 난이도가 이전 작품보다 더 높다고 평가했다. 또한 보스 디자인이 플레이어가 싸우고 싶게 만들 만큼 매력적이지 않다고 언급했다.[34] ''Gaming Age''는 게임이 플레이어가 제대로 끝낼 마음이 생길 정도 이상으로 어렵다고 평가했다.[42] ''GameZone''은 성우 연기와 스토리텔링에 대해서는 엇갈린 감정을 보였지만, 오디오와 주제가가 잘 만들어졌다고 평가했다.[36]

회고적으로, ''1UP.com''은 반복적인 스테이지와 배경 이미지와 같은 디자인 문제를 지적하며 ''록맨 X6''를 "조잡하다"라고 평가했다.[43] ''Destructoid''의 조이 핸들리는 게임 플레이가 이전 게임과 동일하지만, 제대로 구현되지 않은 레플리로이드 구조 시스템을 강조하며, 플레이어가 가장 어려운 스테이지를 진행하기 위해 모든 레플리로이드를 구하도록 강요한다고 지적했다. 그녀는 ''록맨 X6''를 프랜차이즈 최악의 게임이라고 평가했다.[44]

캡콤 프로듀서 키타바야시 타츠야는 ''록맨 X6''가 받은 부정적인 반응을 인정했다. 그는 플레이어들이 "더 좋고, 더 새롭고, 더 신선한 ''록맨 X'' 게임"을 원할 것이라는 반응을 보였고, 이에 따라 3D 그래픽으로 전환한 후속작을 구상했다고 밝혔다. 그는 "과거의 실수를 수정하거나 ''X6''에서 발생한 문제를 피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3D를 제대로 만드는 데 더 집중했다"라고 덧붙였다. 이로 인해 3D 게임으로서 ''록맨 X7''이 개발되었다.[45]

일본 잡지 ''패미통''에 따르면, ''록맨 X6''는 출시 첫 주에 39,318개의 판매고를 올리며 일본에서 7번째로 많이 팔린 게임이었다.[39] 덴게키 온라인은 ''록맨 X6''가 2001년 말까지 일본에서 총 106,980개 판매를 기록하며, 그 해 해당 지역에서 109번째로 많이 팔린 게임으로 기록되었다고 보도했다.[40] 이 게임은 결국 PlayStation the Best 예산 타이틀로 재출시되었다.[41] 미국의 리뷰 집계 사이트인 "Allgame"에서는 5점 만점에 4점을 획득했다.[68]

7. 기타

8명의 나이트메어 보스와 빌런 게이트(가운데)는 모두 스에츠구 하루키가 디자인했다.


시리즈 프로듀서 이나후네 케이지는 ''록맨 X6'' 개발에 직접 참여하지 않았다.[21] 그는 원래 다섯 번째 작품을 제로의 죽음으로 인해 시리즈의 마지막 작품으로 만들려고 했다. 이나후네는 "저는 항상 록맨 제로 시리즈에서 제로를 되살리려고 계획했지만, 다른 부서에서 ''X6''가 먼저 출시되어 제로가 그 안에서 부활했습니다. 그래서 '이게 뭐야!? 이제 제로에 대한 이야기가 말이 안 되잖아! 제로가 두 번이나 되살아났어!'라고 생각했죠."라고 회고했다.[19] 또한 이나후네는 이 시점에서 시리즈가 "이제 [그의] 통제를 벗어나는 방향으로 가고 있었지만" ''록맨 X6''를 제작한 결정에 대해 시리즈 팬들에게 사과해야 한다고 느꼈다.[21]

이전 플레이스테이션 ''록맨 X'' 게임에서 모두 작업했던 아티스트 스에츠구 하루키가 게임의 주요 캐릭터 디자이너이자 홍보 삽화가로 참여했다. 스에츠구는 ''록맨 X6''의 개발 일정이 촉박했다고 말했다.[21] 게이트는 스에츠구가 가장 좋아하는 디자인 중 하나였으며, 다음 게임에 포함되지 않아 실망할 정도였다.[20] 그는 메버릭 보스들의 디자인을 "상대적으로 단순하다"고 묘사했으며, 그들의 디자인에 비슷한 접근 방식을 취했다. 예를 들어, 모든 메버릭은 제작자인 게이트의 헬멧에서 발견되는 특징적인 머리 핀과 이마의 보석을 가지고 있다. 다른 캐릭터의 디자인도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게이트는 "과학자와 전투원의 융합", 하이 맥스는 "크고 강함", DNA와 같은 나이트메어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록맨 X5''의 사건으로 인해 시그마는 "엉망진창"으로 디자인되었다. X의 두 갑옷은 다른 목적을 부여받았는데, 섀도우 아머는 전투에서 더 은밀한 접근 방식을 강조하고 블레이드 아머는 여러 무기의 모습을 하고 있다.[21]

7. 1. 개발 비화



시리즈 프로듀서 이나후네 케이지는 ''록맨 X6'' 개발에 직접 참여하지 않았다.[21] 그는 원래 다섯 번째 작품을 제로의 죽음으로 인해 시리즈의 마지막 작품으로 만들려고 했다. 이나후네는 "저는 항상 록맨 제로 시리즈에서 제로를 되살리려고 계획했지만, 다른 부서에서 ''X6''가 먼저 출시되어 제로가 그 안에서 부활했습니다. 그래서 '이게 뭐야!? 이제 제로에 대한 이야기가 말이 안 되잖아! 제로가 두 번이나 되살아났어!'라고 생각했죠."라고 회고했다.[19] 또한 이나후네는 이 시점에서 시리즈가 "이제 [그의] 통제를 벗어나는 방향으로 가고 있었지만" ''록맨 X6''를 제작한 결정에 대해 시리즈 팬들에게 사과해야 한다고 느꼈다.[21]

이전 플레이스테이션 ''록맨 X'' 게임에서 모두 작업했던 아티스트 스에츠구 하루키가 게임의 주요 캐릭터 디자이너이자 홍보 삽화가로 참여했다. 스에츠구는 ''록맨 X6''의 개발 일정이 촉박했다고 말했다.[21] 게이트는 스에츠구가 가장 좋아하는 디자인 중 하나였으며, 다음 게임에 포함되지 않아 실망할 정도였다.[20] 그는 메버릭 보스들의 디자인을 "상대적으로 단순하다"고 묘사했으며, 그들의 디자인에 비슷한 접근 방식을 취했다. 예를 들어, 모든 메버릭은 제작자인 게이트의 헬멧에서 발견되는 특징적인 머리 핀과 이마의 보석을 가지고 있다. 다른 캐릭터의 디자인도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게이트는 "과학자와 전투원의 융합", 하이 맥스는 "크고 강함", DNA와 같은 나이트메어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록맨 X5''의 사건으로 인해 시그마는 "엉망진창"으로 디자인되었다. X의 두 갑옷은 다른 목적을 부여받았는데, 섀도우 아머는 전투에서 더 은밀한 접근 방식을 강조하고 블레이드 아머는 여러 무기의 모습을 하고 있다.[21]

참조

[1] 웹사이트 Credits https://www.mobygame[...] 2024-05-21
[2] 웹사이트 Armor http://www.capcom.co[...] Capcom 2023-05-13
[3] 웹사이트 Mega Man X6 Manual https://www.video-ga[...] Video Games Museum 2024-05-27
[4] 웹사이트 Mega Man X6 PS1 Capcom https://www.destruct[...] 2024-04-21
[5] 웹사이트 Mega Man X6 Manual https://www.video-ga[...] Video Games Museum 2024-05-27
[6] 웹사이트 Mega Man X6 Manual https://www.video-ga[...] Video Games Museum 2024-08-08
[7] 웹사이트 Mega Man X6 Manual https://www.video-ga[...] Video Games Museum 2024-05-27
[8] 웹사이트 Index http://www.capcom.co[...] Capcom 2023-05-13
[9] 웹사이트 Mega Man X6 Manual https://www.video-ga[...] Video Games Museum 2024-05-27
[10] 웹사이트 Mega Man X6 Manual https://www.video-ga[...] Video Games Museum 2024-05-27
[11] 비디오 게임 Mega Man X6 Capcom 2001-12
[12] 비디오 게임 Mega Man X6 Capcom 2001-12
[13] 문서 Note: While in the English script, Zero claims he managed to repair his own damaged body, the Japanese script leaves him without any knowledge of what helped him survive. While talking with a Dr. Light hologram, Zero expresses uncertainty in both the English and Japanese scripts.
[14] 비디오 게임 Mega Man X6 Capcom 2001-12
[15] 비디오 게임 Mega Man X6 Capcom 2001-12
[16] 비디오 게임 Mega Man X6 Capcom 2001-12
[17] 비디오 게임 Mega Man X6 Capcom 2001-12
[18] 비디오 게임 Mega Man X6 Capcom 2001-12
[19] 간행물 The Best Damn ''Mega Man'' Feature Period https://archive.org/[...] Imagine Publishing 2004-04
[20] 서적 R20 Rockman & Rockman X Official Complete Works Udon Entertainment 2008
[21] 서적 Mega Man X: Official Complete Works Udon Entertainment 2010-01-06
[22] 웹사이트 Press Releases http://www.capcom.co[...] 2023-04-21
[23] 웹사이트 Mega Man X6 https://www.jeuxvide[...] Webedia 2024-05-13
[24] 웹사이트 森久保祥太郎/The Awnser・Happy Monday Man http://suleputer.cap[...] Suleputer 2011-12-17
[25] 웹사이트 RoST/I.D.E.A. 〜僕は毎日、夢を見る〜 http://suleputer.cap[...] Suleputer 2011-12-17
[26] 웹사이트 カプコン ミュージック ジェネレーション ロックマンX1~6 オリジナル・サウンドトラック http://suleputer.cap[...] Suleputer 2011-02-27
[27] 웹사이트 Mega Man X Ships to Stores http://cube.ign.com/[...] 2010-06-08
[28] 웹사이트 Mega Man X Legacy Collections Ship for PS4, Switch, Xbox One, PC in Japan on July 26 https://www.animenew[...] 2018-04-13
[29] 웹사이트 Mega Man X Legacy Collection 1 and 2 launch July 24th http://www.capcom-un[...]
[30] 웹사이트 Mega Man X6 Critic Reviews for PlayStation https://www.metacrit[...] 2013-02-06
[31] 간행물 Reviews: Mega Man X6 Ziff Davis 2002-02
[32] 간행물 https://www.famitsu.[...] Tokuma Shoten 2019-03-24
[33] 간행물 Reviews: Mega Man X6 Sunrise Publications 2002-02
[34] 웹사이트 Mega Man X6 Review for the PS http://www.gamerevol[...] Game Revolution 2010-07-05
[35] 웹사이트 Mega Man X6 Review for PlayStation http://www.gamespot.[...] 2010-06-24
[36] 웹사이트 Mega Man X6 http://psx.gamezone.[...] 2023-04-07
[37] 웹사이트 Mega Man X6 - PlayStation Review http://psx.ign.com/a[...] 2002-01-02
[38] 간행물 Reviews: Mega Man X6 Ziff Davis 2002-02
[39] 웹사이트 The Famitsu Top 10 (11/26/01 - 12/02/01) https://web.archive.[...] 2001-12-07
[40] 웹사이트 Dengeki Online Top 200 Of 2001 https://www.ign.com/[...] 2010-06-22
[41] 웹사이트 http://www.famitsu.c[...] Famitsu 2010-07-10
[42] 웹사이트 Mega Man X6 http://www.gaming-ag[...] 2023-04-07
[43] 웹사이트 Mega Mediocrity https://web.archive.[...] 2007-05-24
[44] 웹사이트 Mega Man X6 is a great measurement of how far it is to fall from the top https://www.destruct[...] 2023-04-07
[45] 웹사이트 Tatsuya Kitabayashi on Mega Man X http://archive.games[...] GameSpy 2023-10-22
[46] 뉴스 カプコンが『ロックマンXコレクション』を発表 https://www.inside-g[...] 2023-06-07
[47] 문서
[48] 문서
[49] 문서
[50] 문서
[51] 문서
[52] 문서
[53] 문서
[54] 서적 Mega Man X Maverick Hunter's Field Guide Udon Entertainment Corp 2021-09-07
[55] 문서
[56] 문서
[57] 문서
[58] 문서
[59] 문서
[60] 문서
[61] 문서
[62] 문서
[63] 문서
[64] 문서
[65] 문서
[66] 문서
[67] 웹사이트 Mega Man X6 http://www.allgame.c[...] Allgame 2012-08-26
[68] 웹사이트 Mega Man X6 http://www.allgame.c[...] Allgame 2012-08-26
[69] 서적 Mega Man X: Official Complete Works Udon Entertainment 2010-01-06
[70] 웹인용 Mega Man X6 http://psx.ign.com/a[...] 2001-12-07
[71] 웹인용 Megaman X6 https://www.amazon.c[...] 아마존 (기업) 2011-09-04
[72] 문서 제로 (록맨 X)로 플레이 하려면 나이트 메어 제로를 쓰러뜨려야 한다.
[73] 문서 이름의 어원은 '왕잠자리'를 뜻하는 일본어인 '얀마(蜻蜒, やんま)'에서 유래됐다.
[74] 문서 나이트메어 발생 시 나타남
[75] 문서 약점무기 X의 아이스 버스트는 등껍질의 보석을 파괴한 뒤 사용. Z의 빙랑아는 스테이지상 천장이 너무 높아서 무용지물. 따라서 제트 세이버 연마가 최선.
[76] 웹인용 Mega Man X6 for PlayStation http://www.gameranki[...] GameRankings 2010-06-24
[77] 웹인용 Mega Man X6 Critic Reviews for PlayStation http://www.metacriti[...] 2013-02-06
[78] 잡지 Reviews: Mega Man X6 지프 데이비스 2002-02
[79] 저널 https://www.famitsu.[...] Tokuma Shoten 2019-03-24
[80] 잡지 Reviews: Mega Man X6 Sunrise Publications 2002-02
[81] 웹인용 Mega Man X6 Review for the PS http://www.gamerevol[...] Game Revolution 2010-07-05
[82] 웹인용 Mega Man X6 Review for PlayStation http://www.gamespot.[...] 2010-06-24
[83] 웹인용 Mega Man X6 - PlayStation Review http://psx.ign.com/a[...] 2010-06-24
[84] 잡지 Reviews: Mega Man X6 Ziff Davis 2002-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