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루마드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마드족은 1980년대 필리핀 계엄령 시기 여러 부족의 정치적 자각으로 형성된 민족 집단이다. 이들은 민다나오 지역의 여러 민족 집단을 포괄하며, 자기 결정권과 자치를 목표로 한다. 루마드족은 다양한 언어와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전통적인 음악 유산을 보존하고 있다. 그러나 토지 권리 문제, 살해 위협, 학교 폐쇄, 기후 변화의 영향 등 심각한 사회 문제에 직면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의 민족 - 아티족
    아티족은 필리핀 군도, 특히 파나이섬과 보라카이섬에 거주하는 네그리토계 원주민으로, 비사야족보다 먼저 정착하여 이나티어를 사용하며 애니미즘 신앙을 가지고 수렵 채집 생활을 했으나, 현재는 농업 등에 종사하며 아티-아티한 축제를 통해 문화를 기념하고, 토지 소유권 문제와 차별 속에서 필리핀 정부의 보호를 받고 있다.
  • 필리핀의 민족 - 네그리토
    네그리토는 동남아시아와 안다만 제도에 거주하며 검은 피부와 작은 키를 공유하는 여러 민족 집단을 지칭하는 용어로, 유전적으로는 동아시아계와 파푸아계의 경계에 위치한 여러 분리된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고 수렵채집 생활을 해왔으나 현재 어려움을 겪고 있다.
루마드족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루마드족
원어Lumad
거주 지역필리핀
카라가
다바오 지방
북민다나오 지방
소크사르젠 지방
삼보앙가 반도 지방
언어마노보어
만사칸어
수바논어
남민다나오어
세부아노어
힐리가이논어
필리핀어
필리핀 영어
종교기독교
로마 가톨릭
개신교
애니미즘
이슬람교
관련 민족사마바자우족
모로족
비사야족
필리핀인
기타 오스트로네시아인
추가 정보
부키드논 카아물란 축제에서 전통 마노보족 복장을 입은 여성들
부키드논의 카아물란 축제 중 전통 마노보족 복장을 입은 여성들
바고보 여인
바고보 여인

2. 역사

"루마드"라는 용어는 1980년대 계엄령 시대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 치하에서 여러 부족들의 정치적 자각에서 비롯되었다.[1] 1983년 여러 분야 조직으로 시작해서, 1986년 6월에 정식 조직된 모든 루마드 지역 조직인 루마드-민다나오 소속원들의 지지를 받으며 확산되었다.[1] 루마드-민다나오는 그들 종족들의 자기결정권, 즉 그들의 문화와 관습법에 따른 조상의 영역에서 자치권 획득을 목표로 했다.[1]

1986년, 15개 부족 대표가 "루마드"라는 명칭을 채택하는 데 동의했다. 티볼리족(T'boli), 테두라이족(Teduray)의 주요 세 집단은 대표자가 없었다.[1] 세부아노어 어휘를 선택한 것은 루마드 부족들이 세부아노어를 제외하고는 공통어가 없었다는 것을 고려할 때 가장 적절한 것처럼 보였다.[1] 이 부족들이 모로 족들과 구분되고, 이주민 다수 또는 그 후손들과는 다른 그들 자신의 공통된 이름을 가지는 것에 동의한 것은 이것이 처음이었다.

2021년 3월, 국가 원주민 위원회(National Commission on Indigenous Peoples)는 "루마드" 용어 사용을 비난하는 결의안을 발표했지만,[4][3] 학계와 루마드 지도자들은 역사적 인식 부족과 무지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비판했다.[5][6][7]

3. 민족 집단

루마드족은 다양한 민족 언어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민족 집단으로는 마노보족, 블라안족, 부키드논족, 히가오논족, 칼라간족, 카미긴족, 마만와족, 만다야족, 만사카족, 상길족, 수바논족, 타가바와족, 타가카울로족, 탈란디그족, 타사다이족, 테두라이족, 트볼리족, 티그와호논족, 우마얌논족 등이 있다. 각 민족 집단은 고유한 언어, 문화, 관습을 가지고 있다.


  • '''마노보족'''


마노보는 마누부(''Manuvu'')의 스페인식 철자이며, 현재 "사람" 또는 "사람들"을 의미한다.[29] 마노보족은 필리핀의 여러 토착 민족 중 가장 다양한 것으로 간주되며, 언어 계통 내에서 가장 많은 하위 집단을 가지고 있다.[30] 필리핀 국립 문화 예술 위원회는 마노보 하위 집단의 잠정적인 분류를 개발했지만, 이들 하위 집단은 아직 충분히 정의되지 않았다고 언급했다.[30]

마노보 아이들


다바오주 마티그살루그 족의 바고보(마노보) 여인


마노보족은 사란가니 섬에서부터 민다나오 본토의 아구산, 다바오, 부키드논, 수리가오, 미사미스, 코타바토(Cotabato) 지역까지 핵심 지역을 차지하고 있다.[30] 1988년 NCCP-PACT의 연구에 따르면 당시 인구는 약 25만 명이었다. 하위 집단의 지리적 분포가 매우 넓어서, 일부 지역 집단은 "별개의 민족 집단으로서 독립성을 갖게 되었다"고 언급되었다.[30] 마노보족은 마만와족과 마찬가지로 데니소바인 유전자 혼합을 가지고 있으며, 오스트로아시아계 조상을 가지고 있다.[33][34]

마노보족의 주요 그룹은 다음과 같다: 아타 하위 집단, 바고보 하위 집단, 히가오논 하위 집단, 북 코타바토, 남 코타바토, 서부 부키드논, 아구산 델 수르, 반와온, 부키드논 및 기타.[30]

  • '''블라안족'''


다바오델수르주와 남코타바토주에 주로 거주하는 블라안족은 현대 필리핀인들의 삶의 방식에 적응하면서도 토착 의례를 보존하고 있다.[12]

  • '''부키드논족'''


부키드논족은 민다나오섬의 부키드논 고원에 있는 일곱 부족 중 하나이다.[13] '부키드논(Bukidnon)'은 '산이나 고지대의 사람들'을 의미하지만, 대부분의 부키드논 부족은 저지대에 정착한다. 부키드논이라는 이름 자체는 다른 맥락에서 전체 주를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으며(이 경우 '산악 지대'를 의미함), 민족에 관계없이 해당 주의 상주 주민들의 총칭이 될 수도 있다.[13]

부키드논족은 만물의 지배자인 마그바바야(Magbabaya)라는 한 분의 신을 믿지만, 그 외에도 여러 소규모 신과 여신을 숭배한다. 종교 의식은 ''바일란(baylan)''이 주재하며, 바일란의 서임은 자발적이며 남녀 모두 가능하다. 부키드논족은 풍부한 음악과 구전 전통을 가지고 있다.[14] 이러한 전통은 부키드논의 다른 부족들(마노보족, 히가오논족, 마티그살루그족, 탈란디그족, 우마얌놈족, 티그와하논족)과 함께 말라발라이시의 카물란 축제에서 매년 기념된다.[15]

매년 말라발라이시에서 열리는 다채로운 카물란 축제


부키드논 루마드는 비사야 제도의 파나이 섬에 거주하는 비사야계 술루드논족과, 비사야 지역에 흩어져 있는 소수의 원주민들(역시 "부키드논"(고지대 사람들)이라고도 불림)과 구별되어야 하며 혼동해서는 안된다.

  • '''히가오논족'''


히가오논족은 주로 미사미스 오리엔탈주(Misamis Oriental) 전역과 부키드논주(Bukidnon) 북부, 아구산 델 노르테주(Agusan del Norte) 서부, 아구산 델 수르주(Agusan del Sur) 서부, 카미긴주(Camiguin)(구 카미긴(Kamiguing)), 일리간시(Iligan City)의 로공곤(Rogongon), 그리고 라나오 델 노르테주(Lanao del Norte) 동부에 거주한다. 히가오논족은 전통적인 생활 방식을 유지하고 있으며, 농업이 가장 중요한 경제 활동이다.

"히가오논(Higaonon)"이라는 단어는 히가오논 방언에서 "히가(higa)"(해안 평야)와 "가온(gaon)"(산으로 오르다)이라는 단어에서 유래했다. 따라서 히가오논은 산으로 이주한 해안 평야 사람들을 의미한다. 스페인 식민 지배에 저항했고, 후대에는 스페인 식민지 후기와 미국의 식민지 시대, 그리고 전후 시대에 루손(Luzon)과 비사야(Visayas)에서 히가오논족의 고향에 경제적 기회를 찾아 남쪽으로 이주해 온 사람들과의 접촉을 피했다. 산으로 밀려난 이들은 자신의 민족, 유산,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계속해서 존재하고 싸웠다.

히가오논족은 다양한 신들을 믿는다. 주요 신들로는 마그바바야(Magbabayà)(모든 것의 지배자), 도말론동(Domalondong), 온글리(Ongli), 타골람봉(Tagolambong)이 있다. 마그바바야는 모든 신들의 최고 신으로, 하위 신들과 여신들이 특정한 일을 하고 특정한 것들을 돌본다. 서쪽의 신이기도 하다. 이바바속(Ibabasok)은 논 중앙에서 간단한 의식을 통해 벼의 성장을 감독하는 신이며, 다깅온(Dagingon)은 파종과 수확 후 9일 동안 노래와 춤으로 구성된 정교한 축제를 통해 숭배되는 신이다. 불랄라카우(Bulalakaw)는 강을 지키고 어부들의 어획량을 보살피는 영혼이고, 툼파 나나피야우(Tumpaa Nanapiyaw) 또는 인툼방골(Intumbangol)은 땅이 무너지지 않도록 밤낮으로 지키는 영혼이며, 타가부그타(Tagabugtà)는 농장이나 숲을 지키는 영혼이다.

  • '''칼라간족'''


칼라간족(Kalagan), 또는 K'lagan, 스페인어로는 카라간(Caragan)이라고도 불리는 이들은 만다야-만사카족의 한 하위 집단으로, 칼라간어를 사용한다.[16][17][18] 보통 세 개의 하위 집단으로 나뉘며, 각각 다른 부족으로 취급되는데, 타가카울로(Tagakaulo), 카간(Kagan), 그리고 사말섬의 칼라오(Kallao)족이 그것이다.[16][17][18] 그들은 다바오델수르주, 콤포스텔라밸리주, 다바오델노르테주(사말섬 포함), 다바오오리엔탈주, 북코타바토주 지역, 즉 블라안족의 영토와 해안선 사이에 거주한다.[16] 카라가 지역의 이름은 이들에서 유래했다.[16] 그들의 이름은 "정신이 강한 사람들" 또는 "용감한 사람들"을 의미하는데, 이는 "정령" 또는 "영혼"을 뜻하는 ''kalag''에서 유래했다.[16][17][18] 역사적으로 그들은 작은 규모의 호전적인 집단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1994년 기준 그들의 인구는 87,270명이다.[16][17][18]

  • '''카미긴족'''


카미긴섬에 거주하는 마노보족의 한 아족(亞族)이다.[19] 카미긴어를 사용하며, 수리가오델노르테주의 마노보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19]

  • '''마만와족'''


마마나와족은 네그리토 부족으로, 루마드족과 함께 분류된다.[20] 이들은 주로 민다나오섬의 레이테, 아구산델노르테, 수리가오 주 등지에 거주하며, 특히 아구산델노르테주의 키차라오와 산티아고에 거주한다.[20] 마노보족이나 만다야족보다 수가 적고 더 흩어져서 유목 생활을 한다. 마마나와족은 곱슬머리와 어두운 피부색을 가지고 있어 다른 네그리토족과 마찬가지로 저지대 주민이나 고지대 마노보족과는 유전적으로 구분된다.

1926년 사진. 전통 복장을 한 바고보(마노보)족 전사들


이들은 전통적으로 수렵 채집민 생활을 하며[21] 열대 우림에서 다양한 야생 식물, 허브, 곤충, 동물을 섭취한다.[21] 마마나와족은 어두운 피부, 작은 키, 곱슬머리를 가진 "네그리토" 표현형으로 분류된다.[21][22]

최근 유전체 연구에 따르면, 마마나와족은 뉴기니 및 호주 사람들과 함께 아프리카를 떠난 최초의 집단 중 하나이며, 약 3만 6천 년 전 공통 조상으로부터 갈라져 나왔다.[24] 이들은 유전적으로 데니소바인과 관련이 있다.[33]

오늘날 마마나와족은 농경민과 시장 중심지 근처의 마을("barangays")에 정착하여 생활한다. 그 결과, 이들의 식단은 녹말이 풍부한 재배 식품으로 상당 부분 구성된다.[25] 농산물을 구입하거나 교환하는 정도는 마을마다 다르며, 일부는 농사를 짓는 반면 다른 일부는 시장에서 식량을 구입한다.[25]

마마나와족의 정치 체제는 비공식적 민주주의적이며 연령에 따라 구조화되어 있다. 원로들은 존경받으며 부족 내 평화와 질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탐바용(Tambayon)''이라고 불리는 족장은 부족 구성원 상담, 집회 연설, 불일치 중재 등의 역할을 하며, 남성 또는 여성일 수 있다.[26] 이들은 최고 신인 ''마그바바야(Magbabaya)''를 믿지만, 일신교 공동체와의 접촉이 종교적 관습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마마나와족은 키질 바구니, 라탄 해먹 등을 만든다.

''마마나와(Mamanwa)''는 '첫 번째 숲 거주자'라는 뜻으로, 'man'(첫 번째)과 'banwa'(숲)라는 단어에서 유래했다.[27] 이들은 마마나와어(또는 미나마나와어)를 사용한다.[28]

  • '''만다야족'''


"만다야(Mandaya)"는 "man"(첫 번째)와 "daya"(상류 또는 강 상류 지역)에서 유래한 말로, "강 상류의 첫 번째 사람들"을 의미한다. 이는 다바오 오리엔탈 산맥을 따라 거주하는 여러 부족과 그들의 관습, 언어, 신앙을 가리킨다. 만다야족은 컴포스텔라 계곡(Compostela Valley)(옛 다바오델노르테 주)의 컴포스텔라와 뉴바타안에서도 발견된다.

호놀룰루 미술관에 소장된, 야자수, 대나무, 깃털, 면, 섬유, 구슬로 만든 만다야족의 모자

  • '''만사카족'''


"만사카(Mansaka)"라는 용어는 "맨(man)"과 "사카(saka)"에서 유래되었는데, "맨(man)"은 "첫 번째"라는 뜻이고 "사카(saka)"는 "오르다"라는 뜻으로, "산/상류로 처음 올라간 사람들"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현재 다바오 델 노르테와 다바오 데 오로 그리고 다바오 오리엔탈의 일부 지역, 특히 바토토 강, 마나트 계곡, 카라간, 마라구산, 히호 강 계곡, 그리고 킹킹, 마코, 캄보그, 히호, 타굼, 리부가논, 투가나이, 이싱, 파나보의 해안가에 거주하는 이들의 기원을 설명하는 것으로 보인다.[35]

전통 의상을 입은 만사카 부족 여성들

  • '''상길족'''


상길족(Sangil people, 상기르(Sangir), 상구(Sangu), 마로레(Marore), 상기레젠(Sangirezen), 또는 탈라오에레젠(Talaoerezen)이라고도 불림)은 산기헤 제도(Sangihe Islands)와 탈라우드 제도(Talaud Islands)(현재 인도네시아의 일부) 그리고 다바오 오시덴탈(특히 사라가니 제도(Sarangani Islands)), 다바오 델 노르테, 다바오 델 수르, 술탄 쿠다라트, 남 코타바토, 북 코타바토의 일부 지역 출신이다.[37][38][39][40] 사마-바자우족(Sama-Bajau)과 마찬가지로, 필리핀과 인도네시아의 국경이 식민 시대에 그어지면서 그들의 인구는 분리되었다.[37][38][39][40]

다른 루마드족과 마찬가지로 상길족은 전통적으로 애니미즘을 믿었다. 식민 시대 동안, 산기헤 제도의 상길족(보통 자신들을 "상기르"라고 부름)은 술라웨시의 기독교 미나하사족(Minahasa people)과의 근접성과 접촉으로 인해 대부분 개신교로 개종하였다.[37][38][39][40] 필리핀에서는 인근 마긴다나오 술탄국(Sultanate of Maguindanao)의 영향으로 대부분의 상길족이 이슬람으로 개종하였다.[37][38][39][40] 그러나 애니미즘 의례의 요소들은 여전히 남아 있다.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의 상길족은 여전히 유대감을 유지하고 있으며, 상기레세어(Sangirese language) 외에도 인도네시아 상기르족과 필리핀 상길족 모두 마나도 말레이어(Manado Malay)와 세부아노어(Cebuano language)를 사용한다.[37][38][39][40] 필리핀 상길족의 정확한 인구는 알 수 없지만 약 1만 명으로 추산된다.[37][38][39][40]

  • '''수바논족'''


미사미스오시덴탈주에 거주하는 말린당산에 사는 수바논족


수바논족은 삼보앙가 반도의 최초 정착민이다. 가족은 부계 중심이며 마을은 티무아이(Timuay)라 불리는 족장이 이끈다. 그는 마을의 재판장 역할을 하고 모든 공동체 문제를 다룬다.

  • '''타가바와족'''


타가바와어(타가바와/Taga-bawabcl)는 민다나오섬에 거주하는 원주민 부족인 바고보-타가바와족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바고보-타가바와족은 아포산 주변 지역에 거주한다.[41]

  • '''타가카울로족'''


타가카울로족은 민다나오섬의 부족 중 하나이다. 그들의 전통적인 영역은 다바오델수르주와 사란가니주이다.[42] 타가카울로는 "머리(수원)에서 온"이라는 뜻이다.[42] 타가카울로족은 아주 오래전에 다바오 만의 서쪽 해안과 아포산(Mt. Apo) 남쪽에서 왔다.[42]

  • '''탈란디그족'''


탈란디그족은 원래 키탕글라드 산의 산기슭, 특히 부키드논주의 탈라카그와 란타판 시에서 온 사람들이다.[43]

  • '''타사다이족'''


'''타사다이족'''은 민다나오섬의 깊은 산악 지대 열대 우림에 거주하는 약 20여 명의 사람들로 구성된 집단이다.[44][45] 1971년 서구 과학자들에 의해 "발견"되면서 세간의 주목을 받았는데, 이들은 "석기 시대" 수준의 기술로 생활하며 필리핀 사회의 다른 지역과 완전히 고립되어 있었다고 보고되었다.[44][45] 그러나 1980년대에 들어 그 발견이 정교하게 계획된 사기극이었다는 보고가 나오면서 다른 사회와의 고립 상태는 물론, 별개의 민족 집단으로서의 존재 자체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44][45] 1970년대에 발표된 타사다이족 연구의 정확성에 대한 논쟁은 아직도 계속되고 있다.[118][119][44][45]

  • '''테두라이족'''


테두라이족은 마긴다나오주 남서부의 다투 블라 티 신수아트, 우피, 사우스 우피 시와 술탄 쿠다라트주 북서부의 레박 시에 거주한다.[46] 테두라이어를 사용하는데, 이는 바고보어, 블라안어, 트볼리어와 관련이 있다.[46] 해안가에 사는 테두라이족은 주로 농부, 사냥꾼, 어부, 바구니 짜는 사람들이며, 산악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건조지 농업에 종사하며 사냥과 산림 부산물 채집으로 생계를 보충한다.[46] 테두라이족은 두 가지 색조의 기하학적 디자인으로 바구니를 짜는 뛰어난 기술로 유명하다.[46] 많은 사람들이 이웃 무슬림기독교인들의 문화를 받아들였지만, 상당수의 인구는 여전히 그들의 토착 관습과 의례를 믿고 실천한다.[46]

  • '''트볼리족'''


코로나달, 남 코타바토에서 열린 Tnalak 축제 거리 댄스 경연 대회에서 공연되는 Tboli 춤


Tboli는 남 민다나오의 원주민 중 하나이다. 민다나오에 관한 민족지학 및 언어학 문헌에 따르면, 그들은 Tboli, Teboli, Tau Bilil, Tau Bulul 또는 Tagabilil로 다양하게 알려져 있다. 그들은 스스로를 T'boli라고 부른다. 그들의 거주지와 정체성은 문헌에서 어느 정도 혼란스럽다. 일부 출판물에서는 Teboli와 Tagabilil을 별개의 민족으로 제시하고, 일부는 Tboli를 코타바토 분지의 불루안 호 근처 또는 아구산 델 노르테에 위치시킨다. 따라서 T'boli는 상부 알라 계곡 양쪽의 산비탈과 마이툼, 마아심, 키암바의 해안 지역에 거주한다. 과거에는 T'boli가 상부 알라 계곡 바닥에도 거주했다.

  • '''티그와호논족'''


티그와호논족은 원래 부키드논주 산 페르난도 근처 티그와 강 유역 출신의 마노보족의 한 하위 집단이다.[47]

  • '''우마얌논족'''


우마얌논족은 원래 우마얌 강 유역과 풀랑이 강 상류 지역 출신이며, 마노보족의 한 하위 집단이다.[48][49]

3. 1. 마노보족

마노보는 마누부(''Manuvu'')의 스페인식 철자이며, 현재 "사람" 또는 "사람들"을 의미한다.[29] 마노보족은 필리핀의 여러 토착 민족 중 가장 다양한 것으로 간주되며, 언어 계통 내에서 가장 많은 하위 집단을 가지고 있다.[30] 필리핀 국립 문화 예술 위원회는 마노보 하위 집단의 잠정적인 분류를 개발했지만, 이들 하위 집단은 아직 충분히 정의되지 않았다고 언급했다.[30]

마노보족은 사란가니 섬에서부터 민다나오 본토의 아구산, 다바오, 부키드논, 수리가오, 미사미스, 코타바토(Cotabato) 지역까지 핵심 지역을 차지하고 있다.[30] 1988년 NCCP-PACT의 연구에 따르면 당시 인구는 약 25만 명이었다. 하위 집단의 지리적 분포가 매우 넓어서, 일부 지역 집단은 "별개의 민족 집단으로서 독립성을 갖게 되었다"고 언급되었다.[30] 마노보족은 마만와족과 마찬가지로 데니소바인 유전자 혼합을 가지고 있으며, 오스트로아시아계 조상을 가지고 있다.[33][34]

마노보족의 주요 그룹은 다음과 같다: 아타 하위 집단, 바고보 하위 집단, 히가오논 하위 집단, 북 코타바토, 남 코타바토, 서부 부키드논, 아구산 델 수르, 반와온, 부키드논 및 기타.[30]

3. 2. 블라안족

다바오델수르주와 남코타바토주에 주로 거주하는 블라안족은 현대 필리핀인들의 삶의 방식에 적응하면서도 토착 의례를 보존하고 있다.[12]

3. 3. 부키드논족

부키드논족은 민다나오섬의 부키드논 고원에 있는 일곱 부족 중 하나이다.[13] '부키드논(Bukidnon)'은 '산이나 고지대의 사람들'을 의미하지만, 대부분의 부키드논 부족은 저지대에 정착한다. 부키드논이라는 이름 자체는 다른 맥락에서 전체 주를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으며(이 경우 '산악 지대'를 의미함), 민족에 관계없이 해당 주의 상주 주민들의 총칭이 될 수도 있다.[13]

부키드논족은 만물의 지배자인 마그바바야(Magbabaya)라는 한 분의 신을 믿지만, 그 외에도 여러 소규모 신과 여신을 숭배한다. 종교 의식은 ''바일란(baylan)''이 주재하며, 바일란의 서임은 자발적이며 남녀 모두 가능하다. 부키드논족은 풍부한 음악과 구전 전통을 가지고 있다.[14] 이러한 전통은 부키드논의 다른 부족들(마노보족, 히가오논족, 마티그살루그족, 탈란디그족, 우마얌놈족, 티그와하논족)과 함께 말라발라이시의 카물란 축제에서 매년 기념된다.[15]

부키드논 루마드는 비사야 제도의 파나이 섬에 거주하는 비사야계 술루드논족과, 비사야 지역에 흩어져 있는 소수의 원주민들(역시 "부키드논"(고지대 사람들)이라고도 불림)과 구별되어야 하며 혼동해서는 안된다.

3. 4. 히가오논족

히가오논족은 주로 미사미스 오리엔탈주(Misamis Oriental) 전역과 부키드논주(Bukidnon) 북부, 아구산 델 노르테주(Agusan del Norte) 서부, 아구산 델 수르주(Agusan del Sur) 서부, 카미긴주(Camiguin)(구 카미긴(Kamiguing)), 일리간시(Iligan City)의 로공곤(Rogongon), 그리고 라나오 델 노르테주(Lanao del Norte) 동부에 거주한다. 히가오논족은 전통적인 생활 방식을 유지하고 있으며, 농업이 가장 중요한 경제 활동이다.

"히가오논(Higaonon)"이라는 단어는 히가오논 방언에서 "히가(higa)"(해안 평야)와 "가온(gaon)"(산으로 오르다)이라는 단어에서 유래했다. 따라서 히가오논은 산으로 이주한 해안 평야 사람들을 의미한다. 스페인 식민 지배에 저항했고, 후대에는 스페인 식민지 후기와 미국의 식민지 시대, 그리고 전후 시대에 루손(Luzon)과 비사야(Visayas)에서 히가오논족의 고향에 경제적 기회를 찾아 남쪽으로 이주해 온 사람들과의 접촉을 피했다. 산으로 밀려난 이들은 자신의 민족, 유산,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계속해서 존재하고 싸웠다.

히가오논족은 다양한 신들을 믿는다. 주요 신들로는 마그바바야(Magbabayà)(모든 것의 지배자), 도말론동(Domalondong), 온글리(Ongli), 타골람봉(Tagolambong)이 있다. 마그바바야는 모든 신들의 최고 신으로, 하위 신들과 여신들이 특정한 일을 하고 특정한 것들을 돌본다. 서쪽의 신이기도 하다. 이바바속(Ibabasok)은 논 중앙에서 간단한 의식을 통해 벼의 성장을 감독하는 신이며, 다깅온(Dagingon)은 파종과 수확 후 9일 동안 노래와 춤으로 구성된 정교한 축제를 통해 숭배되는 신이다. 불랄라카우(Bulalakaw)는 강을 지키고 어부들의 어획량을 보살피는 영혼이고, 툼파 나나피야우(Tumpaa Nanapiyaw) 또는 인툼방골(Intumbangol)은 땅이 무너지지 않도록 밤낮으로 지키는 영혼이며, 타가부그타(Tagabugtà)는 농장이나 숲을 지키는 영혼이다.

3. 5. 칼라간족

칼라간족(Kalagan), 또는 K'lagan, 스페인어로는 카라간(Caragan)이라고도 불리는 이들은 만다야-만사카족의 한 하위 집단으로, 칼라간어를 사용한다.[16][17][18] 보통 세 개의 하위 집단으로 나뉘며, 각각 다른 부족으로 취급되는데, 타가카울로(Tagakaulo), 카간(Kagan), 그리고 사말섬의 칼라오(Kallao)족이 그것이다.[16][17][18] 그들은 다바오델수르주, 콤포스텔라밸리주, 다바오델노르테주(사말섬 포함), 다바오오리엔탈주, 북코타바토주 지역, 즉 블라안족의 영토와 해안선 사이에 거주한다.[16] 카라가 지역의 이름은 이들에서 유래했다.[16] 그들의 이름은 "정신이 강한 사람들" 또는 "용감한 사람들"을 의미하는데, 이는 "정령" 또는 "영혼"을 뜻하는 ''kalag''에서 유래했다.[16][17][18] 역사적으로 그들은 작은 규모의 호전적인 집단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1994년 기준 그들의 인구는 87,270명이다.[16][17][18]

3. 6. 카미긴족

카미긴섬에 거주하는 마노보족의 한 아족(亞族)이다.[19] 카미긴어를 사용하며, 수리가오델노르테주의 마노보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19]

3. 7. 마만와족

마마나와족은 네그리토 부족으로, 루마드족과 함께 분류된다.[20] 이들은 주로 민다나오섬의 레이테, 아구산델노르테, 수리가오 주 등지에 거주하며, 특히 아구산델노르테주의 키차라오와 산티아고에 거주한다.[20] 마노보족이나 만다야족보다 수가 적고 더 흩어져서 유목 생활을 한다. 마마나와족은 곱슬머리와 어두운 피부색을 가지고 있어 다른 네그리토족과 마찬가지로 저지대 주민이나 고지대 마노보족과는 유전적으로 구분된다.

이들은 전통적으로 수렵 채집민 생활을 하며[21] 열대 우림에서 다양한 야생 식물, 허브, 곤충, 동물을 섭취한다.[21] 마마나와족은 어두운 피부, 작은 키, 곱슬머리를 가진 "네그리토" 표현형으로 분류된다.[21][22]

최근 유전체 연구에 따르면, 마마나와족은 뉴기니 및 호주 사람들과 함께 아프리카를 떠난 최초의 집단 중 하나이며, 약 3만 6천 년 전 공통 조상으로부터 갈라져 나왔다.[24] 이들은 유전적으로 데니소바인과 관련이 있다.[33]

오늘날 마마나와족은 농경민과 시장 중심지 근처의 마을("barangays")에 정착하여 생활한다. 그 결과, 이들의 식단은 녹말이 풍부한 재배 식품으로 상당 부분 구성된다.[25] 농산물을 구입하거나 교환하는 정도는 마을마다 다르며, 일부는 농사를 짓는 반면 다른 일부는 시장에서 식량을 구입한다.[25]

마마나와족의 정치 체제는 비공식적 민주주의적이며 연령에 따라 구조화되어 있다. 원로들은 존경받으며 부족 내 평화와 질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탐바용(Tambayon)''이라고 불리는 족장은 부족 구성원 상담, 집회 연설, 불일치 중재 등의 역할을 하며, 남성 또는 여성일 수 있다.[26] 이들은 최고 신인 ''마그바바야(Magbabaya)''를 믿지만, 일신교 공동체와의 접촉이 종교적 관습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마마나와족은 키질 바구니, 라탄 해먹 등을 만든다.

''마마나와(Mamanwa)''는 '첫 번째 숲 거주자'라는 뜻으로, 'man'(첫 번째)과 'banwa'(숲)라는 단어에서 유래했다.[27] 이들은 마마나와어(또는 미나마나와어)를 사용한다.[28]

3. 8. 만다야족

"만다야(Mandaya)"는 "man"(첫 번째)와 "daya"(상류 또는 강 상류 지역)에서 유래한 말로, "강 상류의 첫 번째 사람들"을 의미한다. 이는 다바오 오리엔탈 산맥을 따라 거주하는 여러 부족과 그들의 관습, 언어, 신앙을 가리킨다. 만다야족은 컴포스텔라 계곡(Compostela Valley)(옛 다바오델노르테 주)의 컴포스텔라와 뉴바타안에서도 발견된다.

3. 9. 만사카족

"만사카(Mansaka)"라는 용어는 "맨(man)"과 "사카(saka)"에서 유래되었는데, "맨(man)"은 "첫 번째"라는 뜻이고 "사카(saka)"는 "오르다"라는 뜻으로, "산/상류로 처음 올라간 사람들"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현재 다바오 델 노르테와 다바오 데 오로 그리고 다바오 오리엔탈의 일부 지역, 특히 바토토 강, 마나트 계곡, 카라간, 마라구산, 히호 강 계곡, 그리고 킹킹, 마코, 캄보그, 히호, 타굼, 리부가논, 투가나이, 이싱, 파나보의 해안가에 거주하는 이들의 기원을 설명하는 것으로 보인다.[35]

3. 10. 상길족

상길족(Sangil people, 상기르(Sangir), 상구(Sangu), 마로레(Marore), 상기레젠(Sangirezen), 또는 탈라오에레젠(Talaoerezen)이라고도 불림)은 산기헤 제도(Sangihe Islands)와 탈라우드 제도(Talaud Islands)(현재 인도네시아의 일부) 그리고 다바오 오시덴탈(특히 사라가니 제도(Sarangani Islands)), 다바오 델 노르테, 다바오 델 수르, 술탄 쿠다라트, 남 코타바토, 북 코타바토의 일부 지역 출신이다.[37][38][39][40] 사마-바자우족(Sama-Bajau)과 마찬가지로, 필리핀과 인도네시아의 국경이 식민 시대에 그어지면서 그들의 인구는 분리되었다.[37][38][39][40]

다른 루마드족과 마찬가지로 상길족은 전통적으로 애니미즘을 믿었다. 식민 시대 동안, 산기헤 제도의 상길족(보통 자신들을 "상기르"라고 부름)은 술라웨시의 기독교 미나하사족(Minahasa people)과의 근접성과 접촉으로 인해 대부분 개신교로 개종하였다.[37][38][39][40] 필리핀에서는 인근 마긴다나오 술탄국(Sultanate of Maguindanao)의 영향으로 대부분의 상길족이 이슬람으로 개종하였다.[37][38][39][40] 그러나 애니미즘 의례의 요소들은 여전히 남아 있다.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의 상길족은 여전히 유대감을 유지하고 있으며, 상기레세어(Sangirese language) 외에도 인도네시아 상기르족과 필리핀 상길족 모두 마나도 말레이어(Manado Malay)와 세부아노어(Cebuano language)를 사용한다.[37][38][39][40] 필리핀 상길족의 정확한 인구는 알 수 없지만 약 1만 명으로 추산된다.[37][38][39][40]

3. 11. 수바논족



수바논족은 삼보앙가 반도의 최초 정착민이다. 가족은 부계 중심이며 마을은 티무아이(Timuay)라 불리는 족장이 이끈다. 그는 마을의 재판장 역할을 하고 모든 공동체 문제를 다룬다.

3. 12. 타가바와족

타가바와어(타가바와/Taga-bawabcl)는 민다나오섬에 거주하는 원주민 부족인 바고보-타가바와족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바고보-타가바와족은 아포산 주변 지역에 거주한다.[41]

3. 13. 타가카울로족

타가카울로족은 민다나오섬의 부족 중 하나이다. 그들의 전통적인 영역은 다바오델수르주와 사란가니주이다.[42] 타가카울로는 "머리(수원)에서 온"이라는 뜻이다.[42] 타가카울로족은 아주 오래전에 다바오 만의 서쪽 해안과 아포산(Mt. Apo) 남쪽에서 왔다.[42]

3. 14. 탈란디그족

탈란디그족은 원래 키탕글라드 산의 산기슭, 특히 부키드논주의 탈라카그와 란타판 시에서 온 사람들이다.[43]

3. 15. 타사다이족

'''타사다이족'''은 민다나오섬의 깊은 산악 지대 열대 우림에 거주하는 약 20여 명의 사람들로 구성된 집단이다.[44][45] 1971년 서구 과학자들에 의해 "발견"되면서 세간의 주목을 받았는데, 이들은 "석기 시대" 수준의 기술로 생활하며 필리핀 사회의 다른 지역과 완전히 고립되어 있었다고 보고되었다.[44][45] 그러나 1980년대에 들어 그 발견이 정교하게 계획된 사기극이었다는 보고가 나오면서 다른 사회와의 고립 상태는 물론, 별개의 민족 집단으로서의 존재 자체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44][45] 1970년대에 발표된 타사다이족 연구의 정확성에 대한 논쟁은 아직도 계속되고 있다.[118][119][44][45]

3. 16. 테두라이족

테두라이족은 마긴다나오주 남서부의 다투 블라 티 신수아트, 우피, 사우스 우피 시와 술탄 쿠다라트주 북서부의 레박 시에 거주한다.[46] 테두라이어를 사용하는데, 이는 바고보어, 블라안어, 트볼리어와 관련이 있다.[46] 해안가에 사는 테두라이족은 주로 농부, 사냥꾼, 어부, 바구니 짜는 사람들이며, 산악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건조지 농업에 종사하며 사냥과 산림 부산물 채집으로 생계를 보충한다.[46] 테두라이족은 두 가지 색조의 기하학적 디자인으로 바구니를 짜는 뛰어난 기술로 유명하다.[46] 많은 사람들이 이웃 무슬림기독교인들의 문화를 받아들였지만, 상당수의 인구는 여전히 그들의 토착 관습과 의례를 믿고 실천한다.[46]

3. 17. 트볼리족



Tboli는 남 민다나오의 원주민 중 하나이다. 민다나오에 관한 민족지학 및 언어학 문헌에 따르면, 그들은 Tboli, Teboli, Tau Bilil, Tau Bulul 또는 Tagabilil로 다양하게 알려져 있다. 그들은 스스로를 T'boli라고 부른다. 그들의 거주지와 정체성은 문헌에서 어느 정도 혼란스럽다. 일부 출판물에서는 Teboli와 Tagabilil을 별개의 민족으로 제시하고, 일부는 Tboli를 코타바토 분지의 불루안 호 근처 또는 아구산 델 노르테에 위치시킨다. 따라서 T'boli는 상부 알라 계곡 양쪽의 산비탈과 마이툼, 마아심, 키암바의 해안 지역에 거주한다. 과거에는 T'boli가 상부 알라 계곡 바닥에도 거주했다.

3. 18. 티그와호논족

티그와호논족은 원래 부키드논주 산 페르난도 근처 티그와 강 유역 출신의 마노보족의 한 하위 집단이다.[47]

3. 19. 우마얌논족

우마얌논족은 원래 우마얌 강 유역과 풀랑이 강 상류 지역 출신이며, 마노보족의 한 하위 집단이다.[48][49]

4. 언어

루마드족은 여러 가지 계통에 속하는 필리핀어를 사용한다. 여기에는 민다나오 제어, 남민다나오 제어, 만사칸어군, 마만와어, 상기르어군 등이 포함된다.

5. 음악 유산

민다나오 루마드족 대부분은 다양한 종류의 아궁 합주단(큰 매달린, 매달린 또는 손으로 든, 혹은 손잡이가 달린 꽹과리로 구성된 합주단으로, 반주 악기 없이 드론(배음) 역할을 한다)[50]을 포함하는 음악 유산을 가지고 있다. 루마드족은 헤갈롱과 같은 전통 현악기와 다양한 형태의 관악기 및 타악기를 가지고 있다. 전통적인 성악에는 사랑 노래, 자장가, 장례 노래, 서사시 노래, 자연에 관한 노래가 있다. 음악은 의식과 축제에서 춤에 맞춰 연주될 수 있다.[51]

6. 사회 문제

루마드족은 의료, 교육 및 인권 접근에서 불균형적인 어려움을 겪는 국가 최빈곤층을 대표한다.[52] 루마드족의 사회 문제는 민족적 불만에서 비롯되어 경제적 탐욕의 문제로 발전한다는 주장이 있다.[53] 그들은 토지 강탈이나 군사화로 인한 선조 땅의 상실,[54] 경제적 및 사회적 배제,[55] 그리고 그들의 전통 문화와 정체성에 대한 위협에 직면하고 있다. 루마드 집단은 강제 이주, 필리핀의 사법 외 살해 및 강제 실종,[56] 루마드 인권 옹호자에 대한 괴롭힘,[57] 그리고 루마드 학교의 강제 폐쇄와 씨름하고 있다.[58]

'''토지 권리 문제'''

루마드족은 토지 강탈이나 군사화로 인해 조상 대대로 물려받은 땅을 잃어가고 있다.[54][59] 광산, 벌목 및 에너지 회사의 침입에 저항하는 일부 공동체는 그들의 땅에서 쫓겨났다.[60]

20세기 초, 루마드족은 현재 민다나오 24개 주 중 17개 주에 걸쳐 있는 지역을 장악했지만, 198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민다나오와 술루의 인구 중 6% 미만을 차지했다. 정부가 지원하는 재정착 프로그램으로 인해 비사야인들이 민다나오로 대거 이주하면서 루마드족은 소수 민족이 되었다. 부키드논 주의 인구는 1948년 63,470명에서 1960년 194,368명, 1970년 414,762명으로 증가했고, 원주민 부키드논족의 비율은 64%에서 33%, 14%로 감소했다.

루마드족은 그들의 공동체가 자신들의 조상 영토로 여기는 것에 기반한 전통적인 토지 소유 개념을 가지고 있다. 역사가 B. R. 로딜은 "공동체가 점유한 영토는 공동 사유 재산이며, 공동체 구성원은 공동체 영토 내의 미개발 토지에 대한 사용 수익권을 가지고 있다"고 지적한다. 조상 대대로 물려받은 땅에는 경작지뿐만 아니라 사냥터, 강, 숲, 미개발지, 그리고 지하 광물 자원도 포함된다. 강 시스템은 루마드족의 여러 세대에 걸친 문명을 보여준다. 물은 루마드족이 다른 민족 집단, 국가, 현대 필리핀 문화 및 그들 자신의 문화 관습과의 관계에서 자신을 어떻게 이해하는지에 대한 "해석학적" 도구로 사용된다.[61] 모로족과 달리 루마드족 집단은 필리핀 정부에 대한 무장 투쟁에서 그들을 하나로 묶는 혁명 단체를 결성하지 않았다. 이주민들이 들어오자 많은 루마드족 집단은 산과 숲으로 후퇴했다.

루마드족에게 조상 영역에 대한 권리를 확보하는 것은 모로족의 자결권 추구만큼이나 시급하다. 그러나 그들의 토지 대부분은 이미 다국적 기업, 벌목 회사 및 기타 부유한 필리핀인들(그들 중 많은 수는 상대적으로 최근 민다나오에 정착한 사람들이다)의 명의로 등록되어 있다. 티볼리 지도자인 마이 투안은 이렇게 설명한다. "MNLF에 대한 평화 협정이 체결되어 쌀과 같은 식량 지원을 받게 되어 기쁘지만... 쌀을 삶을 솥도 없다는 사실이 슬픕니다. 우리는 더 이상 우리 조상의 땅을 통제할 수 없습니다."[62]

'''루마드족 살해 문제'''

루마드족 공동체는 법 외 처형[56]과 적색 매도에 직면하고 있으며,[63] 원주민 토지 권리 옹호자, 환경 운동가 및 인권 운동가들 또한 탄압을 받고 있다.[57][64][65] 루마드족은 민다나오 섬의 다양한 민족 집단 출신으로, 모로족과의 영토 분쟁, 현대적인 토지 소유 제도에 대한 이해 부족 등으로 인해 조상의 땅에서 쫓겨나거나 삶의 터전을 잃는 경우가 많다.[67][68]

신인민군(NPA)과 필리핀군(AFP) 간의 무력 충돌은 루마드족의 교육, 재산 및 안보를 위협한다.[68] 이들은 분쟁 지역에 거주하며, 증가하는 군사 활동과 신인민군 활동으로 인해 수리가오델술에서는 바랑가이가 탄다그 시의 피난처로 대피하기도 했다.[70]

인권 감시 단체, 원주민 단체, 환경 운동가들은 루마드 영토가 필리핀군에 의해 군사화되고 있으며, 공동체 지도자와 교사들이 반군으로 의심받아 구금되고 있다고 주장한다.[72] 필리핀 인권위원회(CHR)는 준군사 조직인 마가하트-바가니[76]에 의한 루마드 지도자와 학교 관계자 살해 사건을 조사해왔다.[77][80]

루마드 여성들은 연합인 사보카한을 조직하고,[81] 도시 중심지로 이동하여 그들의 고통을 알리고 저항하고 있다.[82] 리양 네트워크는 루마드 공동체와 환경 옹호자들의 목소리를 증폭시키고 루마드의 사회 문제를 부각시키는 역할을 한다.[83]

베니그노 아키노 3세 대통령 집권 시기(2010~2015년)에는 총 71명의 원주민 지도자가 살해되었고, 87개의 원주민 학교에 대한 공격 사건이 95건 기록되었다.[84] 2017년 12월 8일, 인권 단체 카라파탄은 필리핀 군인에 의해 8명의 트볼리족과 듈랑간 마노보족 농부가 살해된 것을 포함하여 루마드 살해 사건을 유엔에 조사 요청했다.[85][86]

2018년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은 루마드 학생들을 NPA 공산 반군에 가담하도록 선동한다는 의심 때문에 NGO가 지원하는 지역 사회 학교를 폐쇄하거나 파괴하겠다고 위협했다.[95][96] 2019년 12월, 두테르테 정권 하의 필리핀은 농민과 원주민에게 가장 치명적인 곳이 되었다.[101]

'''루마드 학교 문제'''

많은 루마드족 청소년들은 빈곤하고 접근이 어려운 지역 사회에 살고 있다.[102] 1980년대, 수리가오델술의 부족 필리핀인 프로그램(TRIFPSS)은 이러한 지역 사회의 원주민 어린이들을 위한 기능적 읽기 및 쓰기 프로그램을 시작했다.[103] TRIFPSS는 1997년 수리가오델술의 세 지방 자치 단체에 있는 10개의 원주민 공동체에 10개의 학교를 설립했다.[103] 농업 생계 개발을 위한 대안 학습 센터(Alcadev)는 2004년에 설립되었으며,[102] TRIFPSS의 지원을 받아[103] 원주민 문화와 전통에 맞는 수업을 사용하여 루마드족 공동체를 위한 공동체 학교를 설립했다.[104]

필리핀 교육부(DepEd)는 전국적으로 대안 부족 학교들이 따르는 교육의 원주민 프레임워크를 통해 공동체 학교와 Alcadev 시스템을 인정했다.[104][105][106] 이 정책 프레임워크는 2012년 당시 장관인 아르민 루이스트로가 서명했다.[107]

2021년 2월 15일 세부의 바크윗 학교에서 22명의 학생, 2명의 교사, 2명의 부족 원로가 영장 없이 체포되는 사건이 발생했다.[108] 필리핀 언론은 이 사건을 "루마드 26"으로 불렀다.[108]

'''기후 변화 문제'''

필리핀은 기후 변화의 영향에 취약하며 재난 위험이 가장 높은 국가 중 전 세계적으로 3위를 차지했다.[112] 기후변화는 더 강력한 태풍과 더 극심한 가뭄의 영향을 받는 농경지로 인해 루마드족의 식량 안보를 위협하고 있다.[113] 또한 상승하는 기온과 뎅기열과 같이 변화하는 강우 패턴으로 확산되는 질병으로 인한 건강 문제를 야기하여 루마드 공동체는 건강 문제를 보고하고 있다.[113]

2019년, 루마드 청소년들은 환경 운동가 보호를 요구하고, 조상 땅 내 파괴적인 광산 채굴 작업에 항의하며, 기후 정의를 촉진하기 위해 세계 기후 파업에 참여했다.[114][115]

6. 1. 토지 권리 문제

루마드족은 토지 강탈이나 군사화로 인해 조상 대대로 물려받은 땅을 잃어가고 있다.[54][59] 광산, 벌목 및 에너지 회사의 침입에 저항하는 일부 공동체는 그들의 땅에서 쫓겨났다.[60]

20세기 초, 루마드족은 현재 민다나오 24개 주 중 17개 주에 걸쳐 있는 지역을 장악했지만, 198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민다나오와 술루의 인구 중 6% 미만을 차지했다. 정부가 지원하는 재정착 프로그램으로 인해 비사야인들이 민다나오로 대거 이주하면서 루마드족은 소수 민족이 되었다. 부키드논 주의 인구는 1948년 63,470명에서 1960년 194,368명, 1970년 414,762명으로 증가했고, 원주민 부키드논족의 비율은 64%에서 33%, 14%로 감소했다.

루마드족은 그들의 공동체가 자신들의 조상 영토로 여기는 것에 기반한 전통적인 토지 소유 개념을 가지고 있다. 역사가 B. R. 로딜은 "공동체가 점유한 영토는 공동 사유 재산이며, 공동체 구성원은 공동체 영토 내의 미개발 토지에 대한 사용 수익권을 가지고 있다"고 지적한다. 조상 대대로 물려받은 땅에는 경작지뿐만 아니라 사냥터, 강, 숲, 미개발지, 그리고 지하 광물 자원도 포함된다. 강 시스템은 루마드족의 여러 세대에 걸친 문명을 보여준다. 물은 루마드족이 다른 민족 집단, 국가, 현대 필리핀 문화 및 그들 자신의 문화 관습과의 관계에서 자신을 어떻게 이해하는지에 대한 "해석학적" 도구로 사용된다.[61] 모로족과 달리 루마드족 집단은 필리핀 정부에 대한 무장 투쟁에서 그들을 하나로 묶는 혁명 단체를 결성하지 않았다. 이주민들이 들어오자 많은 루마드족 집단은 산과 숲으로 후퇴했다.

루마드족에게 조상 영역에 대한 권리를 확보하는 것은 모로족의 자결권 추구만큼이나 시급하다. 그러나 그들의 토지 대부분은 이미 다국적 기업, 벌목 회사 및 기타 부유한 필리핀인들(그들 중 많은 수는 상대적으로 최근 민다나오에 정착한 사람들이다)의 명의로 등록되어 있다. 티볼리 지도자인 마이 투안은 이렇게 설명한다. "MNLF에 대한 평화 협정이 체결되어 쌀과 같은 식량 지원을 받게 되어 기쁘지만... 쌀을 삶을 솥도 없다는 사실이 슬픕니다. 우리는 더 이상 우리 조상의 땅을 통제할 수 없습니다."[62]

6. 2. 루마드족 살해 문제

루마드족 공동체는 법 외 처형[56]과 적색 매도에 직면하고 있으며,[63] 원주민 토지 권리 옹호자, 환경 운동가 및 인권 운동가들 또한 탄압을 받고 있다.[57][64][65] 루마드족은 민다나오 섬의 다양한 민족 집단 출신으로, 모로족과의 영토 분쟁, 현대적인 토지 소유 제도에 대한 이해 부족 등으로 인해 조상의 땅에서 쫓겨나거나 삶의 터전을 잃는 경우가 많다.[67][68]

신인민군(NPA)과 필리핀군(AFP) 간의 무력 충돌은 루마드족의 교육, 재산 및 안보를 위협한다.[68] 이들은 분쟁 지역에 거주하며, 증가하는 군사 활동과 신인민군 활동으로 인해 수리가오델술에서는 바랑가이가 탄다그 시의 피난처로 대피하기도 했다.[70]

인권 감시 단체, 원주민 단체, 환경 운동가들은 루마드 영토가 필리핀군에 의해 군사화되고 있으며, 공동체 지도자와 교사들이 반군으로 의심받아 구금되고 있다고 주장한다.[72] 필리핀 인권위원회(CHR)는 준군사 조직인 마가하트-바가니[76]에 의한 루마드 지도자와 학교 관계자 살해 사건을 조사해왔다.[77][80]

루마드 여성들은 연합인 사보카한을 조직하고,[81] 도시 중심지로 이동하여 그들의 고통을 알리고 저항하고 있다.[82] 리양 네트워크는 루마드 공동체와 환경 옹호자들의 목소리를 증폭시키고 루마드의 사회 문제를 부각시키는 역할을 한다.[83]

베니그노 아키노 3세 대통령 집권 시기(2010~2015년)에는 총 71명의 원주민 지도자가 살해되었고, 87개의 원주민 학교에 대한 공격 사건이 95건 기록되었다.[84] 2017년 12월 8일, 인권 단체 카라파탄은 필리핀 군인에 의해 8명의 트볼리족과 듈랑간 마노보족 농부가 살해된 것을 포함하여 루마드 살해 사건을 유엔에 조사 요청했다.[85][86]

2018년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은 루마드 학생들을 NPA 공산 반군에 가담하도록 선동한다는 의심 때문에 NGO가 지원하는 지역 사회 학교를 폐쇄하거나 파괴하겠다고 위협했다.[95][96] 2019년 12월, 두테르테 정권 하의 필리핀은 농민과 원주민에게 가장 치명적인 곳이 되었다.[101]

6. 3. 루마드 학교 문제

많은 루마드족 청소년들은 빈곤하고 접근이 어려운 지역 사회에 살고 있다.[102] 1980년대, 수리가오델술의 부족 필리핀인 프로그램(TRIFPSS)은 이러한 지역 사회의 원주민 어린이들을 위한 기능적 읽기 및 쓰기 프로그램을 시작했다.[103] TRIFPSS는 1997년 수리가오델술의 세 지방 자치 단체에 있는 10개의 원주민 공동체에 10개의 학교를 설립했다.[103] 농업 생계 개발을 위한 대안 학습 센터(Alcadev)는 2004년에 설립되었으며,[102] TRIFPSS의 지원을 받아[103] 원주민 문화와 전통에 맞는 수업을 사용하여 루마드족 공동체를 위한 공동체 학교를 설립했다.[104]

필리핀 교육부(DepEd)는 전국적으로 대안 부족 학교들이 따르는 교육의 원주민 프레임워크를 통해 공동체 학교와 Alcadev 시스템을 인정했다.[104][105][106] 이 정책 프레임워크는 2012년 당시 장관인 아르민 루이스트로가 서명했다.[107]

2021년 2월 15일 세부의 바크윗 학교에서 22명의 학생, 2명의 교사, 2명의 부족 원로가 영장 없이 체포되는 사건이 발생했다.[108] 필리핀 언론은 이 사건을 "루마드 26"으로 불렀다.[108]

6. 4. 기후 변화 문제

필리핀은 기후 변화의 영향에 취약하며 재난 위험이 가장 높은 국가 중 전 세계적으로 3위를 차지했다.[112] 기후변화는 더 강력한 태풍과 더 극심한 가뭄의 영향을 받는 농경지로 인해 루마드족의 식량 안보를 위협하고 있다.[113] 또한 상승하는 기온과 뎅기열과 같이 변화하는 강우 패턴으로 확산되는 질병으로 인한 건강 문제를 야기하여 루마드 공동체는 건강 문제를 보고하고 있다.[113]

2019년, 루마드 청소년들은 환경 운동가 보호를 요구하고, 조상 땅 내 파괴적인 광산 채굴 작업에 항의하며, 기후 정의를 촉진하기 위해 세계 기후 파업에 참여했다.[114][115]

7. 한국과의 관계

참조

[1] 웹사이트 The Tri-People Relationship and the Peace Process in Mindanao http://mindanao.com/[...] 2017-10-21
[2] 웹사이트 Lumad in Mindanao http://ncca.gov.ph/a[...] 2021-04-18
[3] 간행물 Statistics on Filipino Children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08
[4] 뉴스 Drop 'lumad', use ethnic group names instead: NCIP https://www.pna.gov.[...] 2021-03-04
[5] 웹사이트 Analysis: Notes on the NCIP resolution on 'Lumad' https://www.mindanew[...] 2022-02-26
[6] 웹사이트 Bishop hits 'red-tagging' of word lumad in recent NCIP resolution https://www.gmanetwo[...] 2022-02-26
[7] 웹사이트 The IP struggle continues as NCIP red-tags and bans use of "Lumad," the collective word for Mindanao IPs since the late 1970s https://www.mindanew[...] 2022-02-26
[8] 문서 Kidapawan City, Philippines 2006-10-31
[9] 웹사이트 Bagobo https://ncca.gov.ph/[...] Republic of the Philippines 2019-11-21
[10] 뉴스 The last tribes of Mindanao, the Bagobo, the New People http://thingsasian.c[...] 2019-11-21
[11] 뉴스 Beauty queens from Bagobo tribe promote culture with coffee enterprise http://www.bworldonl[...] 2019-11-21
[12] 뉴스 B'laan women record dreams in woven mats – INQUIRER.net, Philippine News for Filipinos http://newsinfo.inqu[...]
[13] 웹사이트 Bukidnon http://litera1no4.tr[...] 2015-09-10
[14] 웹사이트 Bukidnon heritage kept alive, Dr. Antonio Montalvan II http://www.seasite.n[...] 2010-02-03
[15] 웹사이트 Kaamulan Festival http://www.bukidnon.[...] 2010-02-03
[16] 웹사이트 CARAGA Region History and Geography http://nnc.gov.ph/in[...] Republic of the Philippines 2019-10-26
[17] 뉴스 It's Kagan, not Kalagan, new city ordinance says https://www.sunstar.[...] 2019-10-26
[18] 웹사이트 Peoples of the Philippines: Kalagan https://ncca.gov.ph/[...] Republic of the Philippines 2019-10-26
[19] 웹사이트 Amazing History about Camiguin Island https://bintanasapar[...] 2019-10-26
[20] 웹사이트 Anthropology Museum: Mamanwa https://www.csueastb[...] 2019-12-26
[21] 서적 Genetic studies of human populations in the Asia-Pacific are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origins of the Negritos The University Museum, The University of Tokyo
[22] 논문 The Negrito and allied types in the Philippines https://www.jstor.or[...]
[23] 논문 Mapping Human Genetic Diversity in Asia https://science.scie[...]
[24] 논문 Genome-wide data substantiates Holocene gene ?ow from India to Australia https://www.pnas.org[...]
[25] 웹사이트 Life-history, reproductive maturity, and the evolution of small body size: The Mamanwa negritos of northern Mindanao https://ucsc.academi[...]
[26] 논문 Egalitarianism among Hunters and Gatherers
[27] 웹사이트 Agusan-Surigao Historical Archive http://reocities.com[...] 2015-09-10
[28] 웹사이트 Mamanwa http://www.ethnologu[...] 2015-09-10
[29] 서적 A Study of the Structure and Style of Two Manuvu Epic Songs in English Translation University of San Carlos
[30] 웹사이트 Peoples of the Philippines: Manobo https://ncca.gov.ph/[...]
[31] 웹사이트 Binantazan nga Banwa / Binantajan nu Bubungan, Philippines http://www.iccaregis[...] UN Environment Programme World Conservation Monitoring Centre 2019-10-26
[32] 논문 Exploring the Indigenous Local Governance of Manobo Tribes in Mindanao https://pdfs.semanti[...]
[33] 논문 Denisova admixture and the first modern human dispersals into Southeast Asia and Oceania
[34] 논문 Multiple migrations to the Philippines during the last 50,000 years https://www.pnas.org[...] 2021-03-30
[35] 서적 A Treasure of Mandaya and Mansaka Folk Literature New Day Publishers
[36] 웹사이트 Matigsalug http://www.bukidnon.[...] 2019-04-13
[37] 웹사이트 Peoples of the Philippines: Sangil (Sangir/Marore) https://ncca.gov.ph/[...] Republic of the Philippines 2019-07-09
[38] 웹사이트 Population by Region and Religion - Kepulauan Sangihe Regency https://sp2010.bps.g[...] 2018-08-16
[39] 서적 Mindanao Ethnohistory Beyond Nations: Maguindanao, Sangir, and Bagobo Societies in East Maritime Southeast Asia University of Hawaii Press
[40] 뉴스 The Indonesian Sangirs in Mindanao https://www.rappler.[...] 2014-03-09
[41] 웹사이트 Bagobo, Tagabawa of Philippines Ethnic Profile http://www.joshuapro[...]
[42] 웹사이트 Tagakaolo http://litera1no4.tr[...] 2015-09-10
[43] 웹사이트 Talaandigs http://www.bukidnon.[...] 2019-04-13
[44] 학술지 Shaping and Reshaping the Tasaday: A Question of Cultural Identity—A Review Article
[45] 서적 Invented Eden: The Elusive, Disputed History of the Tasaday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46] 웹사이트 Tiruray http://www.ethnicgro[...] 2019-09-24
[47] 웹사이트 Tigwahanon http://www.bukidnon.[...] 2019-04-13
[48] 웹사이트 Manobo, Umayamnon in Philippines. https://theunknownpg[...] 2017-11-28
[49] 웹사이트 Umayamnon http://www.bukidnon.[...] 2019-04-13
[50] 웹사이트 Traditional Music of the Southern Philippines http://www.pnoyandth[...] 2006-02-25
[51] 웹사이트 Music of the Lumad https://www.filipina[...] 2024-01-04
[52] 간행물 Indigenous Peoples in the Philippines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53] 학술지 The Future of the Environment and the Indigenous Peoples of the Philippines under the Duterte Administration
[54] 웹사이트 Rights abuses, land grabbing confront indigenous peoples in PH https://www.bulatlat[...] 2019-08-09
[55] 웹사이트 Upper Right Hand: Vulnerabilities of Lumad Communities in Mindanao https://www.mindanew[...] 2021-01-17
[56] 웹사이트 Rappler Talk: Addressing Lumad killings and internally displaced people https://www.rappler.[...] 2021-09-09
[57] 웹사이트 6 arrested in a week, rights group decries 'escalating state terrorism' https://www.bulatlat[...] 2021-02-15
[58] 웹사이트 Why Lumad schools are valuable to the education of Lumad children https://interaksyon.[...] 2019-09-03
[59] 웹사이트 Stop the Lumad Killings https://www.ienearth[...] 2017-12-24
[60] 웹사이트 Driven from home, Philippine indigenous people long for their land https://news.abs-cbn[...] 2018-04-19
[61] 학술지 Rivers of memory and oceans of difference in the Lumad world of Mindanao
[62] 웹사이트 Mindanao, Land of Promise http://scjphil.org/m[...]
[63] 웹사이트 Rights activists, defenders tagged human rights violators in Davao poster https://newsinfo.inq[...] 2020-08-13
[64] 웹사이트 Stop the Lumad Killings! Lumad Activists Are Not Terrorists! Save Lumad Schools! https://intercontine[...] 2017-12-31
[65] 웹사이트 Duterte, not activists, destroying the nation and Lumad schools http://davaotoday.co[...] 2020-09-24
[66] 논문 Loss, emergence, and retribalization: The politics of Lumad ethnicity in Northern Mindanao (Philippines) http://scholarspace.[...]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2015-11-05
[67] 학술지 Indigenous vs. native: negotiating the place of Lumads in the Bangsamoro homeland
[68] 웹사이트 Contesting Land and Identity in the Periphery: The Moro Indigenous People of Southern Philippines https://dlc.dlib.ind[...] 2015-11-05
[69] 비디오 Pangandoy: The Manobo Fight for Land, Education and Their Future Salugpongan Ta' Tanu Igkanogon
[70] 웹사이트 Shelter Sites for Lumads Congested Sunstar Davao 2014-12-10
[71] 뉴스 Lumads account for 70 percent of NPA's fighting force https://mb.com.ph/20[...] 2021-04-04
[72] 웹사이트 #StopLumadKillings: What You Need to Know 2015-09-04
[73] 웹사이트 ON THE MILITARIZATION AND IMPENDING CLOSURE OF LUMAD SCHOOLS IN MINDANAO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the Philippines 2014-06-05
[74] 웹사이트 Italian priest the third from PIME murdered in Mindanao? GMA NEWS 2011-10-17
[75] 웹사이트 Lumads Demand End to Violence Philstar 2015-10-27
[76] 웹사이트 STATEMENT: Attacks on Mindanao Lumad Schools and Communities Intensify as Aquino's Military Goes Berserk for Oplan Bayanihan 2015-09-05
[77] 웹사이트 NPA Created the Conflict in Lumad Tribes - Office of The Army Chief Republic of the Philippines 2015-09-28
[78] 웹사이트 AFP Denies Forced Recruitment, Extrajudicial Killings of Lumads Philstar 2015-11-04
[79] 웹사이트 'Lumad' Killings Not the Result of Tribal Conflict 2015-09-28
[80] 웹사이트 Lumads Refuse Dialogue with CHR The Philippine Star 2015-10-29
[81] 웹사이트 About Sabokahan https://www.liyangne[...] 2021-05-14
[82] 웹사이트 Liyang Network Discussions Liyang Network 2021
[83] 웹사이트 Liyang Network https://www.liyangne[...] 2021-05-14
[84] 논문 Wars of Extinction: The Lumad Killings in Mindanao, Philippines https://kyotoreview.[...] Kyoto Review of Southeast Asia 2015
[85] 뉴스 Karapatan asks UN to probe Lumad killings in Mindanao https://www.philstar[...] 2018-07-17
[86] 뉴스 Militant group seeks UN probe on Lumad killings http://newsinfo.inqu[...] 2018-07-17
[87] 웹사이트 In PH, they kill people for their thoughts https://news.abs-cbn[...] 2021-05-15
[88] 뉴스 Lumad leaders blame NPA for Mindanao killings https://www.philstar[...] 2019-01-08
[89] 뉴스 NPA killing Lumads? https://www.philstar[...] 2019-01-08
[90] 뉴스 Lumad leaders meet with PNP chief; deny joining NPA http://www.pna.gov.p[...] 2019-01-08
[91] 뉴스 Lumads, tribal leaders hold anti-NPA rally https://news.mb.com.[...] 2019-01-08
[92] 뉴스 Lumad leader killed by NPA in Surigao del Norte – military https://www.gmanetwo[...] 2019-01-08
[93] 뉴스 NPA rebels admit killing 'lumad' leader https://newsinfo.inq[...] 2019-01-08
[94] 뉴스 NPA congratulates fighters for killing Lumad father, son https://www.rappler.[...] 2019-01-08
[95] 뉴스 IPs on Lumad killings: the war isn't ours, but why are we the ones suffering http://www.interaksy[...] 2018-10-07
[96] 뉴스 Duterte threatens to bomb Lumad schools http://news.abs-cbn.[...]
[97] 뉴스 Lumad group condemns CPP-NPA and release of Talaingod 18 http://www.mindanews[...] 2019-01-08
[98] 뉴스 Some Lumad leaders call for Red-tagged schools' shutdown https://news.abs-cbn[...] 2019-01-08
[99] 뉴스 'Lumad' leaders want schools shut https://newsinfo.inq[...] 2019-01-08
[100] 뉴스 Lumad evacuees go back home https://www.philstar[...]
[101] 웹사이트 Study: PH deadliest nation for farmers, indigenous people over land disputes https://news.abs-cbn[...] 2019-12-11
[102] 웹사이트 From computers to communities https://up.edu.ph/fr[...] 2021-04-04
[103] 웹사이트 A Fulfilled Promise: Lumads Graduate from School Harassed by Military - Page 2 of 3 https://www.bulatlat[...] 2021-04-04
[104] 웹사이트 Lumad alternative schools recognized by DepEd –rights advocate https://www.gmanetwo[...] 2021-04-04
[105] 웹사이트 School a distant dream for 'lumad' https://newsinfo.inq[...] 2021-04-04
[106] 웹사이트 [OPINION] Teaching without schools? Lumad education under lockdown https://www.rappler.[...] 2021-04-04
[107] 웹사이트 An inclusive education that respects indigenous cultures https://newsinfo.inq[...] 2012-11-05
[108] 웹사이트 Raid or rescue? What we know so far about Lumad arrests in Cebu City https://www.rappler.[...] 2021-05-14
[109] 웹사이트 Philippines: Cops Raid Lumad School, Arrest 26 Including Indigenous Children https://internationa[...] 2021-05-14
[110] 웹사이트 Rights groups slam police raid on Cebu City Lumad school https://www.rappler.[...] 2021-06-04
[111] 웹사이트 Lumad students 'rescued' in Cebu raid had parents' consent, House panel told https://www.philstar[...] 2021-06-04
[112] 웹사이트 Commentary: Pablo, climate change and banana production in the Davao region https://www.mindanew[...] 2021-04-18
[113] 웹사이트 Lumad community in Bukidnon turns to prayers in adapting to climate change https://news.abs-cbn[...] 2021-04-18
[114] 웹사이트 #ClimateStrike {{!}} Lumad youth demand halt to environment plunder https://www.bulatlat[...] 2021-04-18
[115] 웹사이트 Indigenous, urban poor kids form 'human tree' to promote climate justice https://www.gmanetwo[...] 2021-04-18
[116] 문서 31 October 2006, Kidapawan City, Philippines. 2006-10-31
[117] 웹사이트 http://litera1no4.tr[...]
[118] 논문 Shaping and Reshaping the Tasaday: A Question of Cultural Identity—A Review Article
[119] 서적 Invented Eden: The Elusive, Disputed History of the Tasada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