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루미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미력은 오스만 제국에서 재정 및 행정적 편의를 위해 1840년부터 1926년까지 사용된 율리우스력 기반의 달력이다. 이슬람력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1677년 재정 분야에 처음 도입되었으며, 이후 민간 업무에도 확대 적용되었다. 1917년에는 그레고리력과 날짜를 일치시켰으나, 터키 공화국 수립 후 아타튀르크 개혁으로 1926년 그레고리력으로 대체되었다. 루미력의 월 명칭은 터키어와 오스만어가 혼용되었으며, 1945년에 터키어 명칭으로 단순화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헤지라 - 이슬람력
    이슬람력은 이슬람교에서 사용하는 태음력으로, 무함마드의 메디나 이주를 원년으로 하며, 12개의 달로 구성되어 종교적 목적과 공식 연대 표기에 사용된다.
  • 헤지라 - 안사르
    안사르는 이슬람 초기에 무함마드와 메카 이주민들을 지지하고 도운 메디나 시민들을 지칭하며, 부족 갈등 해소, 무함마드 지도자 추대, 초기 이슬람 정복 전쟁에서 활약했지만 우마이야 왕조 시대에는 정권에 반대하는 정치 세력이 되기도 했다.
  • 오스만 제국의 문화 - 데브쉬르메
    데브쉬르메는 오스만 제국이 기독교도 소년들을 징집하여 이슬람교로 개종시킨 후 제국의 핵심 기관에 배치하여 교육한 제도로, 술탄의 권력 강화에 기여했으나 18세기 초에 폐지되었다.
  • 오스만 제국의 문화 - 투그라
    투그라는 오스만 제국 술탄의 이름과 칭호를 기하학적으로 표현한 서예 양식으로, 술탄의 권위를 상징하며 문서, 건물, 주화 등에 사용되었고, 오스만 제국을 넘어 다른 튀르크족 국가에서도 사용된 역사적, 문화적으로 중요한 자료이다.
  • 1926년 폐지 - 화요회
  • 1926년 폐지 - 로비슨 필드
    로비슨 필드는 과거 세인트루이스에 있던 야구장으로, 뉴 스포츠맨스 파크에서 리그 파크를 거쳐 최종적으로 로비슨 필드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며,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의 홈 구장으로 사용되다 스포츠맨스 파크 복귀 후 폐장되었고 그 자리에는 보몽 고등학교가 세워졌다.
루미력
개요
이름루미력 (Rumi takvimi)
유형태양력
시대1839년 - 1926년
기반율리우스력
상세 정보
사용 국가오스만 제국
시작일1839년
종료일1926년
설명오스만 제국에서 사용된 행정 및 상업용 달력으로, 율리우스력에 기반한 태양력이다. 재정 연도를 맞추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그레고리력으로 전환되기 전까지 사용되었다.

2. 역사

이슬람교 국가였던 오스만 제국에서는 종교적인 이유로 이슬람력을 사용하였다. 이슬람력은 달의 위상을 기준으로 하는 음력 역법으로, 1년의 길이가 태양년과 달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계절과 날짜가 어긋나는 문제가 있었다.[8][1] 이는 특히 재정 관리와 행정에서 불편을 초래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오스만 제국 정부는 점진적으로 태양력율리우스력 요소를 도입하기 시작했다. 1677년에는 메흐메트 4세 시기 최고재무관 하산 파샤의 제안으로 33년마다 1년을 제외하여 이슬람력율리우스력의 차이를 보정하려는 시도가 있었고,[9] 1740년에는 회계연도의 시작을 3월로 변경했으며,[9] 1794년에는 국고 지출 및 수입 관리에도 율리우스력 보정을 적용하는 등 회계 분야를 중심으로 개혁이 이루어졌다.[9]

본격적인 역법 개혁은 1840년 3월 13일(이슬람력 1256년 3월 1일) 압뒬메지트 1세가 탄지메트 개혁의 일환으로 율리우스력에 기반한 '루미력'(Rumi takvim|루미 타크빔tr, 오스만 터키어로 로마력이라는 의미)을 공식 역법으로 채택하면서 시작되었다.[9] 루미력은 헤지라(무함마드메카에서 메디나 이주)가 일어난 서기 622년을 원년으로 삼는 이슬람력의 기년법을 따르면서도, 월과 일은 율리우스력을 사용하고 한 해의 시작을 3월로 정했다.[10] 이로 인해 루미력과 그레고리력 사이에는 584년이라는 고정된 연도 차이가 발생했다.

오스만 제국 주변국들이 점차 그레고리력을 채택하는 추세에 따라, 1917년 2월에는 루미력 역시 그레고리력과의 일치를 위해 추가적인 개정을 거쳤다. 한 해의 시작을 1월 1일로 변경하고 회계연도 시작일도 이에 맞추었다.[11] 이 과정에서 날짜를 조정하기 위해 이슬람력 1332년 2월 15일 다음 날을 1333년 3월 1일로 건너뛰었으며, 이 때문에 1333년은 10개월만 존재하게 되었다.[11][12] 연도 표기는 여전히 헤지라 기원을 사용하여 그레고리력과의 584년 차이는 유지되었다.[11]

1911년 다국어 오스만 달력 페이지:
* 왼쪽 상단: 루미 달력, 오스만 튀르크어로 1327년 7 Nisantr (٧ نیسان ١٣٢٧ota) 표시.

  • 그리스어 표시: 같은 율리우스력 날짜(4월 7일, ΑΠΡΙΛΙΟΣ 7el)와 요일(목요일, Πέμπτηel), 서기 1911년.
  • 프랑스어 표시: 그레고리력 날짜(4월 20일, ''AVRIL 20프랑스어'')와 요일(''Jeudi프랑스어'').
  • 상단 불가리아어 표시: 율리우스력/그레고리력 월의 날짜 수(30), 월(4월, Априлийbg), 요일(목요일, Четвъртъкъbg).
  • 그리스어 아래 아르메니아어 표시: 월(4월, ԱՊՐԻԼhy), 요일(목요일, ՀԻՆԳՇԱԲԹԻhy).
  • 오른쪽 상단: 이슬람력 날짜 (٢١ ربيع الآخر ١٣٢٩ar) 표시.
  • 하단: 히브리력 날짜 22 Nisan 5671 (22 ניסן 5671he) 표시.

]]

루미력은 오스만 제국이 해체되고 수립된 터키 공화국에서도 한동안 사용되었으나, 아타튀르크가 주도한 아타튀르크의 개혁 과정에서 서구식 그레고리력(서력)을 전면적으로 도입하기로 결정하면서 폐지되었다. 이에 따라 루미력 1341년 12월 26일 이후, 서력 1926년 1월 1일부터 터키는 그레고리력을 공식 역법으로 사용하게 되었다.[13]

2. 1. 회계력 도입 (1677년)

1677년 메흐메트 4세 술탄 치하에서 최고재무관(Baş Defterdar) 하산 파샤는 재정 기록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새로운 방식을 제안했다. 이는 음력인 이슬람력과 양력인 율리우스력 사이의 날짜 차이를 조정하는 것으로, 33년마다 한 해를 '삭제년'(escape year)으로 정해 건너뛰는 방식이었다.[9][2]

이후 1740년(이슬람력 1152년) 마흐무트 1세 시기에는 재무관 아티프 에펜디의 제안에 따라, 정부의 공식적인 세금 징수 및 거래 기준이 되는 회계연도의 시작일을 기존의 무하람월에서 3월로 변경하는 개혁이 이루어졌다.[9][2]

압뒬하미트 1세 재위 기간 중인 1794년에는 최고재무관 모랄르 오스만 에펜디의 제안으로 회계력의 적용 범위가 더욱 확대되었다. 이슬람력과 율리우스력 간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불필요한 비용 지출을 줄이기 위해, 국가의 모든 지출 및 수입 관련 업무에도 율리우스력을 기준으로 한 회계력 보정을 적용하기 시작했다.[9][2]

2. 2. 회계년도 시작 변경 (1740년)

1740년 마흐무트 1세 시기에는 재무관 아티프 에펜디의 제안에 따라 정부의 공식적인 조세 및 거래의 기준인 회계년도의 시작을 무하람에서 3월로 바꾸는 개혁을 단행했다.[9]

2. 3. 회계력 적용 범위 확대 (1794년)

압뒬하미트 1세 재위 기간 중, 최고재무관이었던 모랄르 오스만(ota) 에펜디는 1794년에 회계년도 역법의 적용 범위를 넓히자고 제안하였다. 이는 기존에 사용되던 이슬람력과 재정 관리에 도입된 율리우스력 간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불필요한 비용 낭비를 줄이기 위한 목적이었다. 그의 제안에 따라 국고의 지출 및 수입 관리에도 율리우스력을 기준으로 한 회계력 보정이 이루어졌다.[9]

2. 4. 율리우스력 기반 루미력 채택 (1840년)

율리우스력오스만 제국에서 1677년부터 재정 및 회계 문제에 한해 사용되기 시작했다.[9][2] 압뒬메지트 1세 즉위 직후, 탄지메트 개혁의 일환으로 1840년 3월 13일(이슬람력 1256년 3월 1일)부터 모든 민간 업무에 율리우스력 기반의 역법을 공식적으로 사용하도록 공표했다.[9][2] 이 역법은 '루미력'(터키어로 로마력을 의미)으로 불렸다.[9][2]

루미력의 기년(紀年)은 이슬람력과 같이 무함마드메카에서 메디나로 이주한 헤지라(서기 622년)를 원년으로 삼았다.[9][2][3] 월과 일은 율리우스력을 따랐고, 한 해는 3월에 시작했다.[10][3] 달의 위상에 기반한 태음력이슬람력은 계절과 날짜가 불일치하는 문제가 있었는데, 태양력율리우스력 기반의 루미력 도입으로 이를 해결하고자 했다.

루미력이 도입된 이슬람력 1256년(서기 1840년) 당시, 이슬람력그레고리력 사이에는 584년의 차이가 있었다.[9][3] 태양력인 루미력과 그레고리력의 연도 차이는 584년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3]

2. 5. 그레고리력 기반 루미력으로 전환 (1917년)

오스만 제국의 주변 국가들이 점차 그레고리력으로 전환함에 따라, 1917년 2월 루미력 역시 그레고리력과 날짜를 일치시키는 조정을 거쳤다.[11][4] 이 전환을 통해 한 해의 시작일이 기존의 3월 1일에서 1월 1일로 변경되었으며, 회계연도의 시작일도 동일하게 1월 1일로 바뀌었다.[11]

하지만 연도를 계산하는 방식은 헤지라력(AH) 기원을 그대로 사용하여, 그레고리력과의 584년 차이는 유지되었다.[11][4] 이로 인해 날짜 조정이 이루어졌는데, 헤지라력 1332년(1332 AH) 2월 15일(서력(AD) 1917년 2월)의 다음 날은 2월 16일이 되는 대신, 건너뛰어 헤지라력 1333년(1333 AH) 3월 1일(서력(AD) 1917년 3월 1일)이 되었다.[11][4] 결과적으로 헤지라력 1333년은 3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10개월만 존재하는 해가 되었다.[12][5] 따라서 서력(AD) 1918년 1월 1일은 헤지라력 1334년(1334 AH) 1월 1일과 같아졌다.[12][5]

2. 6. 루미력 폐지 및 서력 채택 (1926년)

오스만 제국 해체 이후 수립된 터키 공화국에서도 루미력은 계속 사용되었다. 그러나 아타튀르크가 주도한 아타튀르크의 개혁 과정에서 기존 역법을 폐지하고 서력(그레고리력)을 도입하기로 결정하였다. 1925년 12월 26일(루미력 1341년)에 관련 법령이 제정되어 루미력 사용은 이날을 끝으로 공식적으로 폐지되었고,[6] 서력 1926년 1월 1일부터 그레고리력이 터키의 공식 역법으로 전면 시행되었다.[13][6]

3. 월의 명칭

루미력의 월 명칭은 튀르키예어와 오스만어 표기가 함께 사용되었다. 특히 셈족/아랍어 명명 체계에서 유래한 4개의 달 이름(Teşrin-i Evvelota, Teşrin-i Sânîota, Kânûn-ı Evvelota, Kânûn-ı Sânîota)은 1945년 1월 10일, 단순화를 위해 새로운 튀르키예어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3. 1. 월 명칭 목록 (1945년 이전)

루미력의 달 (1945년 이전)
회계 연도튀르키예어오스만어날짜비고
111번째 달Kânûn-ı Sânîturكانون ثانیota31İkinci Kânûntur (두 번째 Kânûn)
212번째 달Şubattur شباط ota28 또는 29
31번째 달Marttur مارت ota31
42번째 달Nisantur نیسان ota30
53번째 달Mayıstur مایس ota31
64번째 달Hazirantur حزیران ota30
75번째 달Temmuztur تموز ota31
86번째 달Ağustostur اغستوس ota31
97번째 달Eylültur ایلول ota30
108번째 달Teşrin-i Evveltur تشرین اول ota31Birinci Teşrintur (첫 번째 Teşrin)
119번째 달Teşrin-i Sânîtur تشرین ثانی ota30İkinci Teşrintur (두 번째 Teşrin)
1210번째 달Kânûn-ı Evveltur كانون اول ota31Birinci Kânûntur (첫 번째 Kânûn)



셈족/아랍어 명명 체계에서 유래한 4개의 달 이름(Teşrin-i Evvel, Teşrin-i Sânî, Kânûn-ı Evvel, Kânûn-ı Sânî)이 사용되었다. 1918년부터 회계 연도는 1월 1일에 시작되었다. 다른 달 이름은 라틴어에서 파생된 Mart, Mayıs, Ağustos를 제외하고는 시리아어에서 유래되었다.

3. 2. 월 명칭 목록 (1945년 이후)

1945년 1월 10일, 기존의 셈족/아랍어 명명 체계에서 사용되던 4개의 달 이름(Teşrin-i Evvelota, Teşrin-i Sânîota, Kânûn-ı Evvelota, Kânûn-ı Sânîota)이 단순화를 위해 튀르키예어 이름인 Ekimtur, Kasımtur, Aralıktur, Ocaktur으로 변경되었다.

루미력의 달 (1945년 이후)
회계 연도튀르키예어오스만어 (참고)날짜
111번째 달Ocakturكانون ثانیota31
212번째 달Şubattur شباط ota28 또는 29
31번째 달Marttur مارت ota31
42번째 달Nisantur نیسان ota30
53번째 달Mayıstur مایس ota31
64번째 달Hazirantur حزیران ota30
75번째 달Temmuztur تموز ota31
86번째 달Ağustostur اغستوس ota31
97번째 달Eylültur ایلول ota30
108번째 달Ekimtur تشرین اول ota31
119번째 달Kasımtur تشرین ثانی ota30
1210번째 달Aralıktur كانون اول ota31


4. 1917년 달력 전환표

1917년 (1332-1333년)에 주요 달력 개혁을 통해 루미력과 그레고리력이 일치하게 되었다. 이 표는 리처드 B. 로즈(Richard B. Rose)의 연구를 바탕으로 해당 연도의 해당 날짜를 나열한 것이다.[7]

오스만 재정 달력그레고리력율리우스력히즈라력
테쉬린-이 산이 1-30, 13321916년 11월 14일-12월 13일1916년 11월 1일-30일1335년 무하람 18일-사파르 17일
카눈-이 에벨 1-311916년 12월 14일-1917년 1월 13일1916년 12월 1일-31일사파르 18일-라비 알 아왈 19일
카눈-이 산이 1-311917년 1월 14일-2월 13일1917년 1월 1일-30일라비 알 아왈 20일-라비 알 사니 19일
2월 1-13일2월 14-26일2월 1-13일라비 알 사니 20일-주마다 알 아왈 3일
2월 14일2월 27일2월 14일주마다 알 아왈 4일
2월 15일2월 28일2월 15일주마다 알 아왈 5일
3월 1일, 13333월 1일2월 16일주마다 알 아왈 6일
3월 2일3월 2일2월 17일주마다 알 아왈 7일
3월 3일3월 3일2월 18일주마다 알 아왈 8일
3월 4-13일3월 4-13일2월 19-28일주마다 알 아왈 9-18일
3월 14-31일3월 14-31일3월 1-18일주마다 알 아왈 19일-주마다 알 사니 6일
4월 1-30일4월 1-30일3월 19일-4월 17일주마다 알 사니 7일-라자브 7일
5월 1-31일5월 1-31일4월 18일-5월 18일라자브 8일-샤반 8일
6월 1-30일6월 1-30일5월 19일-6월 17일샤반 9일-라마단 9일
7월 1-31일7월 1-31일6월 18일-7월 18일라마단 10일-샤왈 10일
8월 1-31일8월 1-31일7월 19일-8월 18일샤왈 11일-두 알 카다 12일
9월 1-30일9월 1-30일8월 19일-9월 17일두 알 카다 13일-두 알 히자 12일
테쉬린-이 에벨 1-31일10월 1-31일9월 18일-10월 18일두 알 히자 13일-1336년 무하람 14일
테쉬린-이 산이 1-30일11월 1-30일10월 19일-11월 17일무하람 15일-사파르 14일
카눈-이 에벨 1-31일12월 1-31일11월 18일-12월 18일사파르 15일-라비 알 아왈 16일
카눈-이 산이 1-31일, 13341918년 1월 1-31일1917년 12월 19일-1918년 1월 18일라비 알 아왈 17일-라비 알 사니 17일
2월 1-28일2월 1-28일1월 19일-2월 16일라비 알 사니 18일-주마다 알 아왈 16일


참조

[1] 서적 Explanatory Supplement to the Astronomical Almanac University Science Books
[2] 웹사이트 Takvimler ve Birbirlerine Dönüşümleri – Rumi Takvim http://www.takvim.co[...] 2008-06-14
[3] 웹사이트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 The Ottoman Empire 1839–1861 http://www.zum.de/wh[...] 2008-06-14
[4] 간행물 Revue du monde musulman 43 (1921) p. 47 http://gallica.bnf.f[...]
[5] 문서 Handbook of Turkish Philately Part I – Ottoman Empire: The Calendar Nicosia
[6] 웹사이트 Changes of time: An aspect of Ottoman modernization http://www.newperspe[...] 2013-01-06
[7] 논문 The Ottoman Fiscal Calendar https://www.jstor.or[...] 1991
[8] 웹사이트 The Beginning of Hijri calendar https://www.soundvis[...]
[9] 웹인용 Takvimler ve Birbirlerine Dönüşümleri – Rumi Takvim http://www.takvim.co[...] 2008-06-14
[10] 웹인용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 The Ottoman Empire 1839–1861 http://www.zum.de/wh[...] 2008-06-14
[11] 간행물 Revue du monde musulman 43 (1921) p. 47 http://gallica.bnf.f[...]
[12] 문서 Handbook of Turkish Philately Part I – Ottoman Empire: The Calendar Nicosia
[13] 웹인용 Changes of time: An aspect of Ottoman modernization http://www.newperspe[...] 2013-0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