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루키우스 무나티우스 플란쿠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키우스 무나티우스 플란쿠스는 고대 로마의 정치가이자 군인으로, 기원전 1세기에 활동했다. 그는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레가투스로 갈리아 전쟁과 내전에 참전했으며, 카이사르 사후에는 안토니우스와 옥타비아누스 사이에서 정치적 입장을 바꾸며 생존했다. 플란쿠스는 도시 건설, 집정관 역임, 아시아 속주 총독 등을 거쳤으며, 옥타비아누스에게 '아우구스투스' 칭호를 제안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아우구스투스 시대에 감찰관을 지냈으나, 고대 문헌과 현대 학계에서는 기회주의적이고 배신적인 인물로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5년 사망 - 왕음
    왕음은 전한 시대의 인물로, 왕봉의 권력 유지를 도왔고, 대사마 거기장군을 거쳐 안양후에 봉해졌으며, 왕씨 일족의 횡포에 간언하다가 사망하여 경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기원전 15년 사망 - 유수 (교동공왕)
    교동공왕 유수는 아들로 교동왕 유은, 능석후 유경, 임안후 유민, 서향후 유계, 당향애후 유회를 두었으며, 유계는 왕망을 죽이려다 실패하여 죽임을 당했다.
  • 고대 로마의 정치인 - 마르쿠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
    마르쿠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는 로마 공화정 후기의 부와 권력을 가진 정치가이자 장군으로, 술라 내전 참여와 화재 사업으로 재산을 축적하고 스파르타쿠스 반란 진압에 공을 세웠으며, 제1차 삼두정치에 참여 후 파르티아 원정에서 사망했다.
  • 고대 로마의 정치인 - 그라쿠스 형제
    그라쿠스 형제는 기원전 2세기 로마 공화정 시대에 빈부 격차 해소를 위해 개혁을 추진했으나 실패하고 암살당했으며, 로마 공화정 붕괴의 시발점으로 평가받는다.
  • 로마 공화국의 집정관 - 마르쿠스 아틸리우스 레굴루스
    마르쿠스 아틸리우스 레굴루스는 제1차 포에니 전쟁에서 활약하다 카르타고에 포로로 잡힌 고대 로마의 정치가이자 군인으로, 강화 조약 협상 임무를 거부하고 죽음을 택해 로마의 애국심과 용기의 상징으로 칭송받았으나, 현대에는 그의 행동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로마 공화국의 집정관 - 마르쿠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
    마르쿠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는 로마 공화정 후기의 부와 권력을 가진 정치가이자 장군으로, 술라 내전 참여와 화재 사업으로 재산을 축적하고 스파르타쿠스 반란 진압에 공을 세웠으며, 제1차 삼두정치에 참여 후 파르티아 원정에서 사망했다.
루키우스 무나티우스 플란쿠스
기본 정보
이름루키우스 무나티우스 플란쿠스
라틴어 표기L. Munatius L. f. L. n. Plancus
로마 철학을 상징하는 플란쿠스의 흉상. 이 흉상에서 플란쿠스는 편측 부전 마비를 앓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됨. 1823년 자르뎅 데 플랑트 근처에서 발견되어 현재 리옹의 갈로-로마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음.
로마 철학을 상징하는 플란쿠스의 흉상. 이 흉상에서 플란쿠스는 편측 부전 마비를 앓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됨. 1823년 자르뎅 데 플랑트 근처에서 발견되어 현재 리옹의 갈로-로마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음.
출생기원전 89년경
사망기원전 15년
출생지티부르
사망지가에타
출신 계급평민
씨족무나티우스 씨족
경력
재무관기원전 54년 이전
수도 장관기원전 45년
법무관기원전 45년경
집정관 대리기원전 44년 - 기원전 43년
집정관기원전 42년
전직 집정관기원전 40년 - 기원전 38년, 기원전 35년
감찰관기원전 22년
속주 총독
갈리아 트란살피나기원전 44년 - 기원전 43년
아시아 속주기원전 40년 - 기원전 38년
시리아 속주기원전 35년
군사 경력
참전 전쟁해방자 내전
기타 정보
묘소it

2. 초기 생애 및 경력

플란쿠스의 초기 생애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아버지, 할아버지, 증조부 모두 루키우스라는 프라이노멘(이름)을 사용했다는 것 정도만 알려져 있다.[1] 플란쿠스는 티부르 출신으로, 이름이 같은 아버지에게서 태어났다. 아버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그는 세 명의 형제와 한 명의 자매를 두었는데, 형제 중 두 명은 공직 생활을 했으며, 한 명은 프라에토르까지 올랐고, 다른 한 명은 평민 트리부누스에 도달했다.[1]

스위스 바젤 시청의 플란쿠스 조각상


플란쿠스는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부관으로서 갈리아 전쟁카이사르의 내전에 참전했다. 그는 기원전 54년경에 퀘스토르(재무관)로 선출되면서 공직에 진출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 플란쿠스의 경력에 대한 더 구체적인 정보는 그가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레가투스 중 한 명이 되었을 때부터 나타난다. 그는 기원전 54년부터 카이사르의 내전이 시작된 기원전 49년 1월까지 갈리아에서 카이사르 밑에서 복무했다. 내전이 시작되자 그는 폼페이우스에 대항하여 카이사르와 합류했다. 그는 카이사르의 일레르다 원정 동안 가이우스 파비우스(기원전 58년의 프라에토르)와 함께 카이사르 밑에서 복무했다. 그는 기원전 47년에 카이사르와 함께 아프리카로 항해했으며, 이 해에 그는 아마도 프라에토르 중 한 명이었을 것이다. 카이사르가 기원전 45년에 스페인으로 떠났을 때, 플란쿠스는 그 해에 선출되지 않은 퀘스토르와 아이딜레 대신 도시의 수석 행정관 중 한 명으로 임명되었다. 카이사르가 스페인에서 돌아온 후, 그는 기원전 44년 초에 플란쿠스를 알프스 갈리아 총독으로 임명했다.

3. 카이사르 암살 이후

기원전 44년 3월 15일, 카이사르 암살 당시 플란쿠스는 갈리아 코마타 총독이었다.[2] 그는 암살자들에 대한 사면을 지지하고 속주로 떠나,[3] 아우구스타 라우리카와 루그두눔을 건설하고[4] 쿨라로 (현재 그르노블)를 통과하는 등[5] 활발히 활동했다.

플란쿠스는 키케로 등 원로원과 안토니우스 양측으로부터 제안을 받으며 신중한 입장을 취했다.[6] 그는 전쟁을 서두르는 것에 대해 경고하며, 비밀리에 키케로에게 자신의 군대를 준비하고 있다고 알렸다. 원로원을 지지하는 듯하면서도, 안토니우스가 자신을 지지한다고 주장하는 상황에서 신중함을 유지했다.[6]

무티나 전투에서 원로원 군대가 안토니우스를 격파했지만, 두 집정관이 모두 사망했다. 플란쿠스는 레피두스에게 원로원에 합류하도록 설득하려 했으나, 레피두스는 안토니우스와 연합했다. 플란쿠스는 이사라 강을 건너 데키무스와 합류하려 했으나, 옥타비아누스가 카이사르 암살자를 돕는 것을 거부했다. 플란쿠스는 옥타비아누스를 비난하는 편지를 키케로에게 보냈다.[6]

이후 옥타비아누스가 로마로 진군하여 집정관에 선출되고, 참주 살해범들에게 추방형을 선고하는 법률(''렉스 페디아'')을 통과시키자, 플란쿠스는 데키무스와의 관계를 끊었다. 그는 자신의 군사력을 활용하여 안토니우스와의 관계를 유지하고, 집정관직과 개선식을 보장받았다.[6]

3. 1. 제2차 삼두정치 참여

기원전 44년 3월 15일 카이사르가 암살되었을 때, 플란쿠스는 갈리아 코마타의 총독이었다.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가이우스 옥타비아누스 투리누스제2차 삼두정치를 결성하자 데키무스 유니우스 브루투스 알비누스를 포위한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를 지원하였다.[1]

기원전 43년 ''렉스 티티아'' 통과를 통해 제2차 삼두정치가 결성된 후, 플란쿠스는 그의 형제인 루키우스 플로티우스 플란쿠스를 숙청 대상에 올렸다.[1] 그는 라에티아에서 갈리아인들을 상대로 거둔 승리로 기원전 43년 12월 29일에 개선식을 거행했다.[1] 기원전 42년 레피두스와 함께 집정관직을 수행했다. 집정관 재임 기간 동안 그는 제2차 삼두정치의 숙청 명단에 있는 일부 이름을 번복하는 법안을 발의했으며 베네벤툼 인근의 참전 용사들에게 토지를 분배했다.[1]

이듬해 그는 베네벤툼 인근의 식민지화를 계속 감독했으며, 페루시아 전쟁 동안 루키우스 안토니우스를 도와 옥타비아누스의 군단 중 하나를 격파했다.[1] 음모가 실패한 후, 그는 안토니우스의 아내 풀비아와 함께 그리스로 도망쳤다. 기원전 40년 브린디시움 평화 협정으로 옥타비아누스와 안토니우스 사이의 갈등이 봉합된 후, 그는 아시아에 ''프로 콘술레''로 임명되었다.[1] 그는 기원전 38년까지 아시아에 머물렀을 가능성이 높다.[1]

4. 안토니우스와의 결별 및 옥타비아누스 지지

플란쿠스는 기원전 36년 마르쿠스 안토니우스파르티아 원정 때 시리아 총독이었다.[7] 그러나 안토니우스의 파르티아 원정이 실패하자, 안토니우스를 떠나 옥타비아누스에게 투항했다.[8] 로널드 사이미는 플란쿠스가 옥타비아누스가 더 강력하다고 판단하여 안토니우스를 배신했을 것이라 추측했다. 플란쿠스는 안토니우스의 유언 내용을 옥타비아누스에게 알리는 등, 안토니우스의 평판을 떨어뜨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8] 수에토니우스에 따르면, 기원전 32년 옥타비아누스에게 '아우구스투스' 칭호를 제안한 인물이 바로 플란쿠스였다.

5. 아우구스투스 시대

기원전 27년 1월, 플란쿠스는 선임 전직 집정관 중 한 명으로서 옥타비아누스가 아우구스투스 칭호를 채택하도록 제안하는 안건을 발의했다.[9]

기원전 22년, 아우구스투스는 플란쿠스와 파울루스 아에밀리우스 레피두스를 켄소르로 임명했다.[25] 이들의 감찰관 임기는 실질적으로 마지막 감찰관이었다는 것으로 유명하다. 벨레우스 파테르쿨루스의 《로마 세계사》는 이 일이 두 감찰관 모두에게 부끄러운 일이었다고 기록하고 있다.[28]

플란쿠스는 가에타에서 사망했으며, 그의 묘는 현재까지 남아있다.

가에타에 있는 플랑쿠스 영묘
플랑쿠스 시신은 오래전에 사라졌지만, 그의 묘가 현존하는 몇 안 되는 역사적인 인물 중 한 명이다. 플랑쿠스 영묘는 가에타의 바다가 내려다보이는 언덕 위에 있는 거대한 원기둥 모양의 묘로, 현재는 복원되었다(19세기 후반에 성모 마리아에게 봉헌되었다). 그를 기리는 작은 상설 전시가 열리고 있다.

5. 1. 평판

플란쿠스는 고대 문헌과 현대 학계에서 대체로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다.[18] 키케로는 기원전 44년 말에 쓴 편지에서 그를 "시대에 너무 헌신적"이라고 평가했다.[19] 키케로의 말은 카이사르의 국가 지배를 옹호하는 그의 기회주의적인 성향을 지적한 것으로 해석된다.

벨레우스 파테르쿨루스는 플란쿠스를 그의 형제의 죽음에 책임이 있는 배신자로 묘사하며, 기원전 32년에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에게서 등을 돌린 그의 행동을 정치적 원칙이 없는 병적인 배신이라고 비판했다.[20] 또한 플란쿠스를 클레오파트라에게 아첨하고 탐욕스러운 사람으로 묘사하며, 안토니우스의 잘못된 판단을 부추겼다고 평가했다. 기원전 43년 갈리아족에 대한 개선식에서 병사들은 그가 갈리아족이 아닌 그의 형제를 위해 축하를 했다는 의미로 그에 대한 말장난을 지어냈다.[18]

로널드 사이미는 플란쿠스를 "자신의 이익을 잘 계산하고 자신의 안전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적절한 시기에 배신을 통해 평화로운 노년을 보냈다"라고 비난했다.[21] 현대 학계에서도 플란쿠스의 경력을 자기 이익을 위해 상황에 유연하게 적응한 것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수에토니우스의 《황제 네로전》[29]에는, 네로의 조부인 루키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가 애딜리스 (안찰관)에 불과했을 때, 감찰관 플란쿠스에게 길을 비키게 했다는 일화가 기록되어 있다. 이는 감찰관 임기 완료 후 플란쿠스의 평판이 좋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6. 가족 관계

플란쿠스는 아들 루키우스 무나티우스 플란쿠스(기원전 45년경 - 서기 14년 이후)와 딸 무나티아 플란키나(기원전 35년경 - 서기 20년 이후)를 두었다.[12][13]

아들 루키우스 무나티우스 플란쿠스는 서기 13년에 집정관을 지냈고, 14년에 게르마니아에서 군사령관으로 복무했다. 그는 파울루스 에밀리우스 레피두스의 딸이자 코르넬리아의 아내인 아밀리아 파울라와 결혼했다. 서기 14년 루키우스는 라인 군단의 반란을 진압하는 데 참여했으나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12]

딸 무나티아 플란키나는 그나이우스 칼푸르니우스 피소와 결혼하여 그나이우스와 마르쿠스 피소 두 아들을 두었다. 플란키나와 피소는 게르마니쿠스를 독살한 혐의를 받았다.[13] 그녀는 시리아에서 기병 훈련에 참석하고 독살자를 고용하여 평판이 좋지 않았다.[14] 게르마니쿠스 사후, 피소와 플란키나는 시리아 속주의 통제권을 되찾으려다 로마로 돌아왔다. 그들은 내전 조장 및 게르마니쿠스 독살 혐의로 재판을 받았으나, 리비아 드루실라의 개입으로 플란키나는 사면받았다. 서기 34년 플란키나는 다시 기소되어 자살했다.[15] 그녀의 두 아들은 그녀보다 오래 살았다. 그나이우스 피소는 이름을 루키우스 피소로 변경해야 했지만, 후에 칼리굴라 황제 치하에서 서기 39년 아프리카 총독이 되었다.[16] 마르쿠스 피소에 대한 혐의는 티베리우스에 의해 기각되었다.[17]

7. 업적

플란쿠스의 묘비에는 그가 아우구스타 라우리카(en, 기원전 44년, 현재의 바젤 동쪽 20km)와 루그두눔(en, 기원전 43년, 현재의 리옹)을 건설했다는 기록이 새겨져 있다.[22] 기원전 43년 6월, 플란쿠스가 도피네 알프스의 클라로(en, 현재의 그르노블)를 통과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몇몇 편지들이 남아있다.[23]

참조

[1] 웹사이트 L. Munatius (30) L. f. L. n. Cam.? Plancus https://romanrepubli[...] 2022-07-17
[2] 웹사이트 Kein Basler: Lucius Munatius Plancus https://www.staatska[...] 2021-05-10
[3] 간행물 Mitchell 2019
[4] 문서 Funerary inscription of Lucius Munatius Plancus https://penelope.uch[...] LacusCurtius
[5] 문서 Cic. ''Fam.'' 10, 17–18, 23.
[6] 간행물 Mitchell 2019
[7] 간행물 Broughton 1952
[8] 논문 The authenticity and validity of Antony's will 1978
[9] 간행물 Mitchell 2019
[10] 문서 Vell. Pat. https://penelope.uch[...]
[11] 문서 Suet. ''Ner.'' https://penelope.uch[...]
[12] 문서 Tacitus ''Annals'', 1.39.
[13] 문서 Tacitus ''Annals'', 2.43.4, 2.74.2, 3.8-18; Dio 57.18.9.
[14] 문서 Tacitus ''Annals'', 2.55.5, 2.74.2.
[15] 문서 Tacitus ''Annals'', 6.24.4; Dio 58.22.5.
[16] 문서 Dio 59.20.7.
[17] 문서 Tacitus ''Annals'', 3.17-18.
[18] 웹사이트 Stadtgründer, Stammvater, Patron oder doch nicht? : Basler Inschriften, Darstellungen und Texte aus fast einem halben Jahrtausend zu L. Munatius Plancus https://www.e-period[...] Basler Zeitschrift für Geschichte und Altertumskunde 2014
[19] 간행물 Mitchell 2019
[20] 간행물 Mitchell 2019
[21] 간행물 Mitchell 2019
[22] 문서 Funerary inscription of Lucius Munatius Plancus https://penelope.uch[...] Uchicago.edu
[23] 서적 キケロ『家族について』、X, 17, 18 & 23
[24] 서적 [[ガイウス・スエトニウス・トランクィッルス|スエトニウス]] 『皇帝伝:アウグストゥス』、7 https://penelope.uch[...]
[25] 서적 スエトニウス 『皇帝伝:アウグストゥス』、7 https://penelope.uch[...]
[26] 서적 スエトニウス 『皇帝伝:クラウディウス』、16 https://penelope.uch[...]
[27] 서적 [[カッシウス・ディオ]] 『ローマ史』、LIV.2 https://penelope.uch[...]
[28] 서적 [[ウェッレイウス・パテルクルス|パテルクルス]] 『ローマ世界の歴史』、II.95 https://penelope.uch[...]
[29] 서적 スエトニウス 『皇帝伝:ネロ』、4) https://penelope.uch[...]
[30] 서적 [[タキトゥス]]『年代記』、1.39
[31] 서적 タキトゥス『年代記』、2.43.4, 2.74.2, 3.8-18
[32] 서적 カッシウス・ディオ『ローマ史』、57.18.9
[33] 서적 タキトゥス『年代記』、2.55.5, 2.74.2
[34] 서적 タキトゥス『年代記』、6.24.4
[35] 서적 カッシウス・ディオ『ローマ史』、58.22.5
[36] 서적 ローマ史
[37] 서적 年代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