릴레벨트 해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릴레벨트 해협은 덴마크 유틀란트 반도와 퓐 섬 사이에 위치한 해협으로, 길이는 약 50km, 폭은 800m에서 28km에 이른다. 깊은 수심으로 인해 발트해와 카테가트 해협 사이를 오가는 물의 10%가 통과하며, 람사르 협약에 따라 보호되는 습지로서 다양한 조류와 상괭이의 서식지이다. 릴레벨트 해협 주변 지역은 빙하 퇴적구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과거에는 상괭이 사냥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현재는 구 리벨트교와 신 리벨트교가 해협을 가로지르며, 과거 페리 서비스와 전력선도 존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덴마크의 람사르 등록 습지 - 바덴해
바덴해는 덴마크, 독일, 네덜란드에 걸쳐 있는 조수 갯벌, 해구, 섬들로 이루어진 지역으로, 다양한 동식물의 서식지이자 철새의 기착지이며, 세 나라의 협력으로 유네스코 세계 유산에 등재되었고 갯벌 하이킹과 해변 휴양지로도 알려져 있다. - 덴마크의 람사르 등록 습지 - 레쇠섬
레쇠섬은 덴마크 북부에 위치한 섬이자 기초 자치구로, 고대 노르드어에서 유래된 이름은 바다의 신을 의미하며, 114km²의 면적에 약 1,789명이 거주하고 염습지를 포함한 자연 환경을 보전하며 람사르 협약에 등록되어 있고, 과거 소금 생산으로 유명했으나 현재는 꿀벌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 덴마크의 해협 - 카테가트 해협
카테가트 해협은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사이에 위치한 해협으로, 주요 강이 유입되고 여러 섬들이 있으며, 독특한 염분 층 구조와 무산소 상태로 생태계 보존이 중요하고, 역사적으로 발트해의 주요 통로였으며 현재는 환경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었다. - 덴마크의 해협 - 스카게라크 해협
스카게라크 해협은 노르웨이, 스웨덴, 덴마크 사이에 위치하며 북해와 발트해를 연결하는 해협으로, 해상 교통과 산업 활동이 활발하고 다양한 해양 생물이 서식하며 해양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 발트해의 해협 - 카테가트 해협
카테가트 해협은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사이에 위치한 해협으로, 주요 강이 유입되고 여러 섬들이 있으며, 독특한 염분 층 구조와 무산소 상태로 생태계 보존이 중요하고, 역사적으로 발트해의 주요 통로였으며 현재는 환경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었다. - 발트해의 해협 - 스토레벨트 해협
스토레벨트 해협은 덴마크에서 가장 크고 중요한 해협으로, 발트해와 카테가트 해협, 대서양을 연결하며, 빙하기 이후 안킬루스 호에서 유래되었고, 다양한 어종과 상괭이가 서식하며, 대벨트 해협 다리와 터널이 지나간다.
릴레벨트 해협 | |
---|---|
개요 | |
위치 | 덴마크 |
연결 수역 | 발트해 - 카테가트 해협 - 대서양 |
지리 | |
종류 | 해협 |
국가 | 덴마크 |
길이 | 50km |
최대 너비 | 28km |
최소 너비 | 800m |
지정 | 람사르 협약 습지 (1977년 9월 2일) |
명칭 | |
한국어 | 릴레벨트 해협 |
덴마크어 | Lillebælt (릴레벨트) |
영어 | Little Belt (리틀 벨트) |
2. 지리
릴레벨트 해협은 덴마크 유틀란트 반도와 퓐 섬 사이에 있는 해협으로, 길이는 약 50km이고 폭은 800m에서 28km이다. 가장 깊은 곳은 페뇌 섬 서쪽의 마렌스 훌로, 깊이가 81m에 달해 그레이트 벨트 해협보다 깊다. 깊은 수심으로 인해 발트해와 카테가트 해협 사이를 오가는 물의 10%가 릴레벨트 해협을 통과한다.
릴레벨트 해협은 북쪽의 유엘스민데 마을에서 남쪽의 알스 섬까지 이어지며 구불구불한 경로를 가진다. 북쪽 끝은 폭이 15km 이상으로 가장 넓다. 거기에서 남서쪽으로 뻗어 스네브링겐(좁은 곳)이라고 불리는 곳까지 좁아져 약 1km에 이른다. 이곳에는 두 개의 릴레벨트 교량이 있다. 페뇌 남쪽에서 해협은 알스와 남퓐 군도 근처의 발트해까지 약 10km로 넓어진다.
릴레벨트 해협의 서쪽 해안선은 불규칙한 만인 피오르로 대체로 굴곡져 있으며, 양쪽 모두 가파른 모래 절벽이 특징이다.
2. 1. 주요 섬
알스 섬, 페뇌 섬[1]3. 지질
릴레벨트 해협 주변 지역은 수많은 빙하 퇴적구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첫 번째 퇴적구는 약 22,000~25,000년 전 초기 바이스엘 빙하기에 형성되었다.[1] 약 14,000~15,000년 전, 후기 바이스엘 빙하기 동안 남쪽과 남동쪽에서 얼음이 도래하여 릴레벨트 빙하의 일부를 형성했고, 이로 인해 깊은 피오르가 있는 언덕 지형이 만들어졌다.[1] 주목할 만한 터널 계곡은 녹은 물에 의해 형성되었다.[1] 북동쪽 얼음의 빙하 최대 범위에서 형성된 종단 퇴적구는 덴마크에서 가장 오래된 것 중 일부이다.[1]
4. 생태
릴레벨트 해협은 람사르 협약에 따라 보호되는 습지로, 다양한 조류와 해양 생물의 서식지이다. 특히, 세계적으로 높은 밀도의 상괭이 개체군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깊은 해역은 대서양 대구, 대서양 청어, 바다송어를 포함한 많은 어종을 유치하며, 릴레벨트 해협은 레크리에이션 낚시의 목적지이기도 하다.[10]
4. 1. 보호종
릴레벨트 해협은 람사르 협약에 따라 보호되는 습지이며, 특히 번식 및 이동 조류에게 중요한 곳이다.[2] 이 지역의 보호 종에는 큰고니, 흰꼬리수리, 검은갈색수리, 점박이할미새, 괭이갈매, 검은머리갈매기, 멧새, 짧은귀올빼미, 제비갈매기, 북극제비갈매기, 작은제비갈매기, 비오리, 솜털오리, 호반새 등이 있다.[3]릴레벨트 해협은 세계에서 상괭이의 밀도가 가장 높은 곳으로 알려져 있으며,[4] 수천 마리의 개체가 서식하고 있다.[5] 덴마크 내해에 서식하는 유일한 고래류이다. 근처에서 고래 관찰 투어도 이용할 수 있다.[6] 밍크고래, 혹등고래, 긴수염고래와 같은 다른 종들도 이따금 이 해역을 방문한다.[7]
4. 2. 고래 관찰
릴레벨트 해협은 세계에서 상괭이 밀도가 가장 높은 곳 중 하나로,[4] 수천 마리가 서식하고 있다.[5] 이곳은 덴마크 내해에 서식하는 유일한 고래류이다. 근처에서 고래 관찰 투어를 이용할 수 있다.[6] 밍크고래, 혹등고래, 긴수염고래와 같은 다른 종들도 가끔 이 해역을 방문한다.[7]4. 3. 어업
릴레벨트 해협은 깊은 해역으로 인해 대서양 대구, 대서양 청어, 바다송어 등 다양한 어종이 풍부하며, 낚시 명소로도 알려져 있다.[10]5. 역사
석기 시대 동안 릴레벨트 주변에는 사람들이 살았으며, 터널 계곡과 숲에서 오록스, 순록 등을 사냥했다.[8] 기후와 지질 변화로 이 지역에 새로운 동식물이 유입되었고, 피오르와 인근 군도 지역의 어업은 중요한 식량 공급원이었다. 기원전 4000년경 기온이 다시 상승했고, 깔때기 비커 문화가 이 지역에서 활동했다. 이 지역에는 깔때기 비커 문화와 기타 신석기 시대 문화의 많은 고고학 유적지가 있다.[9]
중세부터 19세기 말까지 지역 어부들은 상괭이 사냥을 했다. 상괭이는 덴마크 수로에서 겨울을 나는데, 어부들은 해협의 좁은 부분에서 기다리다가 얕은 곳으로 몰아 사냥했다. 상괭이 기름은 일종의 고래 기름으로, 전기 조명이 보급되면서 상괭이 사냥 경제가 쇠퇴하기 전까지 램프 기름으로 널리 사용되었다.[1] 상괭이 사냥은 적어도 1593년부터 시행된 법률에 의해 규제되었으며, 1899년 5월 4일 왕실 결의로 폐지되었지만,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물자 부족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부활하기도 했다.[1]
19세기 독일 통일 지지자들은 릴레벨트 해협(독일어: ''Kleiner Belt'')을 독일의 북쪽 국경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0] 이는 덴마크-독일 국경이 수 세기 동안 여러 번 바뀌면서 현재 덴마크의 남부 윌란 지역이 한때 슐레스비히 공국의 일부였다는 사실을 반영한다. 덴마크의 진보 정당은 덴마크 영토 보전을 주장하며 독일의 팽창주의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다.
1801년 덴마크 해군은 이 해협을 위해 '릴레벨트'라는 이름의 22문 군함을 진수했다. 1807년 코펜하겐 해전 이후 이 배는 영국 왕립 해군에 항복했으며, 이름은 ''HMS 리틀 벨트''로 영어화되었다. 이 배는 북미 해역에서 일어난 ''리틀 벨트'' 사건에 참여했다. 이후 왕립 해군은 다른 배에 "리틀 벨트"라는 이름을 부여했다.[10]
5. 1. 선사 시대
석기 시대 동안 릴레벨트 주변에는 사람들이 살았으며, 터널 계곡과 숲에서 오록스, 순록 등 사냥감을 사냥했다.[8] 기후 및 지질 변화로 인해 이 지역에 새로운 동식물이 유입되었고, 피오르와 인근 군도 지역의 어업은 중요한 식량 공급원이 되었다. 기원전 4000년경, 기온이 다시 상승했고, 깔때기 비커 문화가 이 지역에서 활동했다. 이 지역에는 깔때기 비커 문화와 기타 신석기 시대 문화의 많은 고고학 유적지가 있다.[9]5. 2. 중세 시대
중세 시대부터 19세기 말까지, 지역 어부들은 상괭이 사냥을 했다. 상괭이는 덴마크 수로에서 겨울을 나는데, 어부들은 해협의 좁은 부분에서 기다리다가 얕은 곳으로 몰아 학살했다. 상괭이 기름은 일종의 고래 기름으로, 전기 조명의 보급으로 상괭이 사냥 경제가 쇠퇴하기 전까지 널리 램프 기름으로 사용되었다.[1] 1854-55년 겨울에는 1,742마리의 상괭이가 잡혔지만, 대부분의 겨울에는 약 700-800마리의 상괭이가 잡혔다.[1] 상괭이 사냥은 적어도 1593년부터 시행된 법률에 의해 규제되었다.[1] 이 법은 1899년 5월 4일 왕실 결의에 의해 폐지되었지만,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동안의 물자 부족으로 인해 상괭이 사냥이 단기간 부활하기도 했다.[1]5. 3. 상괭이 사냥
중세부터 19세기 말까지, 지역 어부들은 상괭이 사냥을 했다. 상괭이는 덴마크 수로에서 겨울을 나는데, 어부들은 해협의 좁은 부분에서 기다리다가 얕은 곳으로 몰아 사냥했다. 상괭이 기름은 일종의 고래 기름으로, 전기 조명이 보급되어 상괭이 사냥 경제가 쇠퇴하기 전까지 램프 기름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1854-55년 겨울에는 1,742마리의 상괭이가 잡혔지만, 대부분의 겨울에는 약 700-800마리의 상괭이가 잡혔다. 상괭이 사냥은 적어도 1593년부터 시행된 법률에 의해 규제되었다. 이 법은 1899년 5월 4일 왕실 결의에 의해 폐지되었지만,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물자 부족으로 인해 상괭이 사냥이 일시적으로 부활하기도 했다.5. 4. 근대
19세기 독일 통일 지지자들은 릴레벨트 해협(독일어: ''Kleiner Belt'')을 독일의 북부 국경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0] 이 해협은 에른스트 모리츠 아른트의 ''Was ist des Deutschen Vaterland?''(1813)와 ''독일의 노래''(1841)에서 언급되었는데, ''독일의 노래'' 세 번째 연은 현재 독일 국가이다. 이는 덴마크-독일 국경이 수세기 동안 여러 번 바뀌면서 현재 덴마크의 남부 윌란 지역이 한때 슐레스비히 공국의 일부였다는 사실을 반영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덴마크의 진보 정당은 덴마크 영토 보전을 주장하며 독일의 팽창주의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다.5. 5. 리틀 벨트 사건
1801년 덴마크 해군은 이 해협을 위해 '릴레벨트'라는 이름의 22문 군함을 진수했다. 1807년 코펜하겐 해전 이후, 이 배는 영국 왕립 해군에 항복했으며, 이름은 ''HMS 리틀 벨트''로 영어화되었다. 이 배는 북미 해역에서 일어난 ''리틀 벨트'' 사건에 참여했다. 이후 왕립 해군은 덴마크 선례가 없는 다른 배에 "리틀 벨트"라는 이름을 부여했다.[10]6. 교통 및 기반 시설
리틀 벨트 해협을 건너는 교통 시설로는 구 리벨트교와 신 리벨트교가 있다. 과거에는 스노호이-미델파르트 페리, 프레데리시아-스트립 페리 등 여러 페리 서비스가 있었으나, 교량 건설 이후에는 운행되지 않는다. 구 리벨트교는 지역 교통과 철도 노선을, 신 리벨트교는 E20 고속도로를 담당한다.[11] 과거에는 두 개의 전력선도 해협을 가로질렀으나, 2013년에 첫 번째 전력선이 철거되고 해저 케이블로 대체되었다.[12]
6. 1. 교량
수년에 걸쳐 여러 페리 서비스가 릴레벨트 해협을 건넜다. 여기에는 스노호이-미델파르트 페리가 포함되었고, 1872년에는 덴마크 최초의 열차 페리인 프레데리시아-스트립 페리가 운행되었다.[11] 1935년 구 리벨트교가 건설되고, 1970년 신 리벨트교가 건설되면서 페리 운행은 중단되었다. 오늘날 구 리벨트교는 지역 교통과 철도 노선을 담당하고, 신 리벨트교는 E20 고속도로를 담당한다.6. 2. 과거 페리 서비스
수년에 걸쳐 리틀 벨트 해협을 건너는 여러 페리 서비스가 있었다. 스노호이-미델파르트 페리가 있었고, 1872년에는 덴마크 최초의 열차 페리인 프레데리시아-스트립 페리가 운행되었다.[11] 1935년 구 리벨트교와 1970년 신 리벨트교가 건설되면서 페리 서비스는 대체되었다. 오늘날 구 리벨트교는 지역 교통과 철도 노선을, 신 리벨트교는 E20 고속도로를 담당한다.6. 3. 전력선
과거 릴레벨트 해협을 가로지르던 두 개의 전력선이 있었으며, 그 중 첫 번째 전력선은 2013년에 철거되고 해저 케이블로 대체되었다.[12]참조
[1]
웹사이트
Lillebælt
https://rsis.ramsar.[...]
2018-04-25
[2]
웹사이트
Ramsarområder - By- og Landskabsstyrelsen
http://www.blst.dk/N[...]
2015-01-08
[3]
웹사이트
Overview of Protected Species
http://www.blst.dk/N[...]
2009-08-12
[4]
뉴스
Unesco lokker: Nu skal Lillebælt gøres til verdensarv
https://www.dr.dk/ny[...]
DR News
2018-02-07
[5]
웹사이트
Post Danmark Rundt holder fast i Vejle - TV SYD - TVSyd - Nyheder - Lokal - Vejle
http://www.tvsyd.dk/[...]
2015-01-08
[6]
웹사이트
Whale Watchimg - Middelfart
http://www.visit-mid[...]
2015-12-04
[7]
웹사이트
Observationer
http://hvaler.dk/nyh[...]
[8]
웹사이트
null
http://www.danskhist[...]
2012-05-10
[9]
웹사이트
null
http://www.kulturarv[...]
[10]
웹사이트
null
http://www.byportale[...]
[11]
웹사이트
null
http://www.denstored[...]
[12]
간행물
Danmarks dyreste forskønnelse af elnettet indviet
http://ing.dk/artike[...]
Ingeniøren
2013-11-06
[13]
웹사이트
Lillebælt
https://rsis.ramsar.[...]
2012-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