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고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고성은 《부도지》에 등장하는 이상향으로, 마고와 그의 후손들이 지상에서 가장 높은 곳에 살며 순수한 품성을 유지하는 곳으로 묘사된다. 이곳 사람들은 지유를 마시며 장수했으나, 지소씨가 포도를 먹고 다른 이들에게 권하면서 타락이 시작되어, 결국 마고성에서 추방된다. 황궁씨는 복본을 서약하고 천산주로 이동하여 유인씨, 한인씨와 함께 3천 년간 정진한 결과 인성을 회복한다. 마고성은 에덴동산과 유사한 면모를 보이며, 이상향 상실과 회복에 대한 인류의 보편적인 열망을 보여준다. 또한, 신선놀음 설화와 에덴동산의 선악과 모티프를 연상시키는 이야기를 통해 조화와 균형, 타락과 회복, 이상향에 대한 끊임없는 추구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 신화의 장소 - 삼성혈
    삼성혈은 고씨, 양씨, 부씨의 시조인 삼신인이 솟아났다는 전설이 있는 탐라국 건국 신화와 관련된 제주도의 중요한 유적이다.
  • 한국 신화의 장소 - 왕검성
    왕검성은 왕험성으로도 불리며 고조선의 수도로 알려진 성으로, 여러 역사 기록에 등장하고 고조선 멸망 당시 우거왕이 농성전을 벌였던 곳으로 기록되나, 위치에 대해서는 요동설과 평양설이 엇갈리고 한국 사학계에서는 평양설이 주류를 이룬다.
  • 신라의 성 - 보은 삼년산성
    보은 삼년산성은 신라 시대에 축조되어 삼국 통일 과정에서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 역할을 한 돌로 쌓은 산성으로, 축성에 3년이 걸렸다는 기록에서 유래되었으며, 성 내부 유적과 출토 유물은 당시 신라의 건축 기술과 사회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 신라의 성 - 운화리성지
    울산광역시 울주군 운화리에 위치한 운화리 성지는 대운산 지맥을 따라 타원형으로 축조되었으며, 자연석과 흙으로 쌓은 높이 2~3m의 성벽과 석단 시설을 통해 삼국시대 또는 통일신라시대에 축조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산성이다.
마고성 - [지명]에 관한 문서
마고성 정보
명칭마고성
원어명麻姑城
이칭해당 사항 없음
유형신화 속 성
시대삼국 시대
나라신라
위치해당 사항 없음
현 소재지해당 사항 없음
상태해당 사항 없음
면적해당 사항 없음
둘레해당 사항 없음
높이해당 사항 없음
주요 성주해당 사항 없음
주요 전투해당 사항 없음
축성일해당 사항 없음
건설자해당 사항 없음
구성해당 사항 없음
현 소유해당 사항 없음
좌표해당 사항 없음
웹사이트해당 사항 없음
기타해당 사항 없음

2. 부도지에 나타나는 마고성

마고성은 지상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며, 마고와 그의 후손들이 사는 곳이다.[2] 성안의 사람들은 품성이 순수하여 조화를 이루며 살았고, 지유(地乳)를 마시며 장수했다.[2]

마고에게는 두 딸이 있었고, 이들에게서 황궁씨(黃穹氏), 백소씨(白巢氏), 청궁씨(靑穹氏), 흑소씨(黑巢氏)의 남녀 각 1명, 총 8명이 태어났다.[2] 이들은 각각 3남 3녀를 낳았는데, 이들이 인간의 시조가 되었다.[2] 몇 대를 지나 자손이 3,000여 명이 되었다고 한다.[2]

어느 날, 백소씨(白巢氏)의 일족인 지소씨(支巢氏)가 지유(地乳) 대신 포도를 먹고 다른 사람에게도 권하면서 문제가 발생했다.[2] 이로 인해 사람들은 5미(味)의 맛에 취하고 다른 생명을 취함으로써 천성을 잃고 수명이 줄어들었다.[2] 이들은 성에서 쫓겨났고, 성안에서도 지유(地乳)가 끊겨 모든 사람들이 풀과 과일을 먹게 되었다.[2]

이러한 상황에 대해 황궁씨(黃穹氏)가 책임을 지고 마고 할머니에게 복본(復本: 근본으로 돌아감)을 서약했다.[2] 모든 사람들을 4파로 나누어 성을 떠나게 했으며, 황궁씨(黃穹氏)는 일행을 이끌고 북쪽 문으로 나가 현 동북아시아 지역의 천산주(天山州)로 갔다.[2]

황궁씨(黃穹氏)와 그의 자손인 유인씨[3](有因氏), 그리고 유인씨(有因氏)의 자손인 한인씨(桓因氏)는 천 년씩 3천 년 동안 복본을 위해 정진했다.[1][4] 그 결과, 기후가 안정되고 사람들의 의식이 상승하여 인성을 회복하게 되었다고 한다.[1][4]

마고성의 마고는 막고와 같으며, 단지 오래된 옛것을 의미한다.

2. 1. 마고성의 구조와 주민

마고성은 지상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며, 마고와 그의 후손들이 사는 곳이다.[2] 성안의 사람들은 품성이 순수하여 조화를 이루며 살았고, 지유(地乳)를 마시며 장수했다.[2]

마고에게는 두 딸이 있었고, 이들에게서 황궁씨(黃穹氏), 백소씨(白巢氏), 청궁씨(靑穹氏), 흑소씨(黑巢氏)의 남녀 각 1명, 총 8명이 태어났다.[2] 이들은 각각 3남 3녀를 낳았는데, 이들이 인간의 시조가 되었다.[2] 몇 대를 지나 자손이 3,000여 명이 되었다고 한다.[2]

어느 날, 백소씨(白巢氏)의 일족인 지소씨(支巢氏)가 지유(地乳) 대신 포도를 먹고 다른 사람에게도 권하면서 문제가 발생했다.[2] 이로 인해 사람들은 5미(味)의 맛에 취하고 다른 생명을 취함으로써 천성을 잃고 수명이 줄어들었다.[2] 이들은 성에서 쫓겨났고, 성안에서도 지유(地乳)가 끊겨 모든 사람들이 풀과 과일을 먹게 되었다.[2]

이러한 상황에 대해 황궁씨(黃穹氏)가 책임을 지고 마고 할머니에게 복본(復本: 근본으로 돌아감)을 서약했다.[2] 모든 사람들을 4파로 나누어 성을 떠나게 했으며, 황궁씨(黃穹氏)는 일행을 이끌고 북쪽 문으로 나가 현 동북아시아 지역의 천산주(天山州)로 갔다.[2]

황궁씨(黃穹氏)와 그의 자손인 유인씨[3](有因氏), 그리고 유인씨(有因氏)의 자손인 한인씨(桓因氏)는 천 년씩 3천 년 동안 복본을 위해 정진했다.[1][4] 그 결과, 기후가 안정되고 사람들의 의식이 상승하여 인성을 회복하게 되었다고 한다.[1][4]

마고성의 마고는 막고와 같으며, 단지 오래된 옛것을 의미한다.

2. 2. 지소씨의 타락과 추방

마고성마고에게서 태어난 백소씨(白巢氏)의 일족인 지소씨(支巢氏)는 어느 날 지유(地乳) 대신 포도를 먹고 다른 사람에게도 권했다.[2] 이로 인해 지소씨는 오미(五味)의 맛에 빠지고 다른 생명을 취함으로써 천성을 잃었으며, 수명이 줄어들었다.[2] 결국 지소씨는 성에서 추방되었고, 성 안에서도 지유(地乳)가 끊겨 모든 사람들이 풀과 과일을 먹게 되었다.[2] 이는 인간의 타락과 이상향으로부터의 추방을 상징한다.

2. 3. 황궁씨의 복본 서약과 천산주 이동

마고성여신 마고에게서 황궁씨(黃穹氏), 백소씨(白巢氏), 청궁씨(靑穹氏), 흑소씨(黑巢氏)가 태어났으며, 이들이 인간의 시조가 되었다.[2] 성 안의 사람들은 지유(地乳)를 마시며 자율적인 질서를 이루고 살았다.

어느 날, 백소씨의 일족인 지소씨(支巢氏)가 포도를 먹고 다른 사람에게도 권하면서 사람들은 오미(五味)의 맛에 취하고 천성을 잃게 되었다. 이들은 성에서 쫓겨났고, 성 안의 지유도 끊어졌다.

이러한 상황에 대해 모든 사람들의 어른인 황궁씨가 책임을 지고 마고 할머니 앞에서 복본(復本: 근본으로 돌아감)을 서약했다.[2] 황궁씨는 사람들을 넷으로 나누어 성을 떠나게 했고, 자신은 일행을 이끌고 북쪽 문으로 나가 현 동북아시아 지역인 천산주(天山州)로 이동했다.

황궁씨와 그의 자손인 유인씨[3], 유인씨의 자손인 한인씨(桓因氏)가 3천 년 동안 복본을 위해 수행한 결과, 기후가 안정되고 사람들의 의식이 상승하여 인성을 회복하게 되었다.[1][4]

2. 4. 복본의 과정과 인성 회복

황궁씨(黃穹氏)와 그의 자손인 유인씨[3](有因氏), 그리고 유인씨의 자손인 한인씨(桓因氏)가 3천 년 동안 복본을 위해 몸과 마음을 열심히 닦았다.[1][4] 그 결과 기후가 안정되고 사람들의 의식이 상승하여 인성을 회복하게 되었다.[1][4]

3.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와 민간 설화

옛날 한 나무꾼이 나무를 하러 산 속 깊이 들어갔다가 우연히 동굴을 발견하고, 그 안에서 두 백발노인이 바둑 두는 것을 구경하다가 도끼자루가 썩어버렸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1] 마을로 돌아와 보니 마을의 모습은 완전히 바뀌어 있었고, 한 노인에게 자기 이름을 말하자 그 노인은 자신의 증조부라고 답했다.[1] 이는 시간의 상대성과 세속적 가치의 무상함을 보여주는 이야기다.

이러한 이야기는 중국의 무릉도원 이야기와도 유사하며, 이상향에 대한 동경을 나타낸다.[1] 6세기경 간행된 『술이기(述異記)』에는 진(秦)나라 때 왕질(王叱)이라는 나무꾼이 절강성 상류 구주의 석실산으로 나무를 하러 갔다는 비슷한 이야기가 실려 있다. 에버하르트(Eberhard, W.)가 채록한 중국 민담 중에도 한국의 것과 공통된 이야기가 구전되고 있다.

'신선놀음에 도끼자루 썩는 줄 모른다.'는 속담은 바로 이 설화에서 유래되었으며, 한자어로는 ‘선유후부가설화(仙遊朽斧柯說話)’라고도 한다.[1] 이 설화는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전설로도 일부 전해지고 있다. 황해도 평산읍(平山邑) 가마골(부동(釜洞))에는 선암(仙巖)과 난가정(欄柯亭)이 있는데, 옛날 신선들이 이곳에서 바둑을 두었다고 전해진다.[1]

부도지에 나오는 마고성의 이야기는 기독교의 에덴동산과 유사한 점이 있어, 이 당시 사람들의 이상적인 지역이었음을 보여준다.[5] 마고성의 지소씨(支巢氏)가 포도를 먹고 다른 사람에게도 먹게 하여, 5미(味)의 맛에 취하고 다른 생명을 취함으로써 천성을 잃게 되고 수명이 줄어들게 된 이야기는 기독교 에덴동산의 선악과 모티프와 유사성을 보인다. 이는 인류 보편의 이상향 상실과 회복에 대한 열망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지소씨가 포도를 먹고 마고성에서 쫓겨난 것은 아담하와선악과를 먹고 에덴동산에서 추방당한 것을 연상시킨다.

마고 할머니 앞에 복본(復本: 근본으로 돌아감)을 서약하고, 황궁씨(黃穹氏)는 일행을 이끌고 북쪽 문으로 나가 현 동북아시아 지역의 천산주(天山州)로 갔다. 황궁씨(黃穹氏)와 그의 자손인 유인씨[3](有因氏) 그리고 유인씨(有因氏)의 자손인 한인씨(桓因氏)가 천년씩 3천년동안 복본을 위해 몸과 마음을 열심히 닦은 결과 기후가 안정되고 사람들의 의식이 상승하여 인성을 회복하게 되었다고 한다.[1][4]

3. 1. 신선놀음과 도끼자루 썩는 이야기

옛날 한 나무꾼이 나무를 하러 산 속 깊이 들어갔다가 우연히 동굴을 발견하고, 그 안에서 두 백발노인이 바둑 두는 것을 구경하다가 도끼자루가 썩어버렸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1] 마을로 돌아와 보니 마을의 모습은 완전히 바뀌어 있었고, 한 노인에게 자기 이름을 말하자 그 노인은 자신의 증조부라고 답했다.[1] 이는 시간의 상대성과 세속적 가치의 무상함을 보여주는 이야기다.

이러한 이야기는 중국의 무릉도원 이야기와도 유사하며, 이상향에 대한 동경을 나타낸다.[1] 6세기경 간행된 『술이기(述異記)』에는 진(秦)나라 때 왕질(王叱)이라는 나무꾼이 절강성 상류 구주의 석실산으로 나무를 하러 갔다는 비슷한 이야기가 실려 있다. 에버하르트(Eberhard, W.)가 채록한 중국 민담 중에도 한국의 것과 공통된 이야기가 구전되고 있다.

'신선놀음에 도끼자루 썩는 줄 모른다.'는 속담은 바로 이 설화에서 유래되었으며, 한자어로는 ‘선유후부가설화(仙遊朽斧柯說話)’라고도 한다.[1] 이 설화는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전설로도 일부 전해지고 있다. 황해도 평산읍(平山邑) 가마골(부동(釜洞))에는 선암(仙巖)과 난가정(欄柯亭)이 있는데, 옛날 신선들이 이곳에서 바둑을 두었다고 전해진다.[1]

부도지에 나오는 마고성의 이야기는 기독교의 에덴동산과 유사한 점이 있어, 이 당시 사람들의 이상적인 지역이었음을 보여준다.[5]

3. 2. 에덴동산과의 유사성

마고성의 지소씨(支巢氏)가 포도를 먹고 다른 사람에게도 먹게 하여, 5미(味)의 맛에 취하고 다른 생명을 취함으로써 천성을 잃게 되고 수명이 줄어들게 된 이야기는 기독교 에덴동산의 선악과 모티프와 유사성을 보인다.[2] 이는 인류 보편의 이상향 상실과 회복에 대한 열망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지소씨가 포도를 먹고 마고성에서 쫓겨난 것은 아담하와선악과를 먹고 에덴동산에서 추방당한 것을 연상시킨다.

마고 할머니 앞에 복본(復本: 근본으로 돌아감)을 서약하고, 황궁씨(黃穹氏)는 일행을 이끌고 북쪽 문으로 나가 현 동북아시아 지역의 천산주(天山州)로 갔다.[2] 황궁씨(黃穹氏)와 그의 자손인 유인씨[3](有因氏) 그리고 유인씨(有因氏)의 자손인 한인씨(桓因氏)가 천년씩 3천년동안 복본을 위해 몸과 마음을 열심히 닦은 결과 기후가 안정되고 사람들의 의식이 상승하여 인성을 회복하게 되었다고 한다.[1][4]

4. 마고성 이야기의 현대적 의의

4. 1. 조화와 균형의 중요성

4. 2. 타락과 회복의 메시지

4. 3. 이상향에 대한 끊임없는 추구

5. 한국 사회와 마고성

5. 1. 한민족의 기원 설화와의 연관성

5. 2. 전통 사상과의 연관성

5. 3. 현대 한국 사회에 주는 교훈

참조

[1] 서적 조선민족설화(朝鮮民族說話)의 연구(硏究) 을유문화사 1947
[2] 문서 부도지
[3] 웹사이트 유인씨(有因氏)의 한국(桓國) 시대 http://www.ikoreansp[...]
[4] 서적 부도지 한문화 2011-11-01
[5] 뉴스 '파미르 고원의 마고성' 출간 http://www.imaeil.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