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악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악과는 성경 창세기에 등장하는, 하느님이 아담과 이브에게 먹는 것을 금지한 나무의 열매를 의미한다. 창세기에 따르면, 뱀의 유혹에 빠진 이브가 선악과를 먹고 아담에게도 먹게 하여, 하느님은 그들을 에덴동산에서 쫓아낸다. 꾸란에서는 아담과 그의 아내가 낙원에서 허락된 모든 것을 먹을 수 있었지만, 단 하나의 나무만은 먹어선 안 되었고, 이를 어길 시 죄인으로 여겨진다고 기록한다. 선악과의 정체에 대해서는 사과, 포도, 무화과, 석류, 밀, 버섯 등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며, 은유적으로 불법적인 쾌락이나 탐닉을 의미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화의 식물 - 네페르템
네페르템은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태양신 라의 화신이자 아름다움, 향기, 보호를 상징하는 신으로, 젊은 남성의 모습에 연꽃이나 깃털 장식을 쓰고 멤피스에서 숭배받았으며 왕족과의 관련성도 보인다. - 에덴 동산 - 실낙원
존 밀턴의 《실낙원》은 창세기를 바탕으로 사탄의 반란과 인류의 타락, 구원의 가능성을 다룬 5음보격 암시경 서사시로, 자유 의지, 선악, 죄와 구원 등의 주제를 탐구하며 기독교 문학의 대표작으로 평가받지만 논쟁적인 해석과 비평의 역사를 지닌다. - 에덴 동산 - 성경의 뱀
성경의 뱀은 구약에서 유혹, 권능, 심판, 구원을, 신약에서 악마, 사탄, 지혜를 상징하며 다양한 종교적 관점에서 해석된다. - 유대 신화 - 노아의 방주
노아의 방주는 창세기에 기록된 대홍수로부터 노아의 가족과 동물들을 구원하기 위해 신의 명령으로 노아가 만든 배로, '테바'라고도 불리며 크기와 구조에 대한 논쟁과 아브라함계 종교에서 중요한 의미, 기원 및 상징적 의미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 유대 신화 - 소피아 (지혜)
소피아는 고대 그리스어로 지혜를 의미하며, 철학, 종교, 예술 등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사용되어 기술적 능력, 합리적 판단력, 신의 지혜 등을 포괄하는 의미로 확장되었다.
선악과 | |
---|---|
성경 | |
상징 | |
등장 인물 | |
2. 성경의 기록
창세기 이야기에 따르면, 하느님은 첫 남자와 여자인 아담과 이브를 에덴동산에 두었다. 하느님은 그들에게 동산의 많은 나무 열매를 먹을 수 있도록 허락했지만, 선악을 아는 나무의 열매는 먹는 것을 금지했다.[2]
2. 1. 창세기
창세기 2장 16-17절에는 하느님이 아담에게 "동산에 있는 나무 열매는 무엇이든지 마음대로 따먹어라. 그러나 선과 악을 알게 하는 나무 열매만은 따먹지 마라. 그것을 따먹는 날, 너는 반드시 죽는다."라고 경고하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2]창세기에 따르면, 하느님은 첫 남자와 여자인 아담과 이브를 에덴동산에 두고, 그곳에서 여러 나무의 열매를 먹을 수 있게 하였으나, 선악을 아는 나무의 열매는 먹지 못하게 하였다.
뱀은 창세기 3장에서 여자를 유혹하여 "하나님이 그 나무의 열매를 먹는 날에는 너희 눈이 밝아져서 하나님과 같이 선과 악을 알 줄을 하나님이 아심이니라" 라고 말한다.
이 말을 듣고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 열매를 먹고 싶어진 여자는 금단의 열매를 먹고 남자에게도 주어 함께 먹는다. 그들은 자신들이 벌거벗었다는 것을 인지하고 무화과나무 잎으로 옷을 만들어 입고, 하느님이 다가오자 숨는다. 하느님과 마주하게 되자 아담은 하느님께 이브가 자신에게 열매를 주어 먹게 했다고 말하고, 이브는 뱀이 자신을 속여 먹게 했다고 말한다. 그러자 하느님은 뱀과 여자, 그리고 남자를 저주하시고, 그들이 영생의 나무의 열매를 먹기 전에 그들을 에덴동산에서 쫓아내신다.
2. 2. 뱀의 유혹
창세기 3장에서 뱀은 여자를 유혹한다.[2] 뱀은 여자에게 "너희가 결코 죽지 아니하리라. 하나님이 그 나무의 열매를 먹는 날에는 너희 눈이 밝아져서 하나님과 같이 선과 악을 알 줄을 하나님이 아심이니라"라고 말한다.[2]2. 3. 아담과 하와의 타락
창세기에 따르면, 하느님은 첫 남자와 여자인 아담과 이브를 에덴동산에 두고, 동산 안의 많은 나무 열매는 먹을 수 있게 하였으나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 열매는 먹지 못하게 하였다.[2]창세기 3장에서 뱀은 하와를 유혹하여 이르기를, "너희가 결코 죽지 아니하리라. 그 나무의 열매를 먹는 날에는 너희 눈이 밝아져서 하느님과 같이 선과 악을 알 줄을 하느님이 아심이니라"라고 하였다.[2]
이 말을 듣고 선악과에 대한 지식을 갈망한 하와는 금단의 열매를 따 먹고, 아담에게도 주어 함께 먹었다. 그들은 자신들이 벌거벗었음을 깨닫고 무화과나무 잎으로 옷을 만들어 입고, 하느님이 다가오자 숨었다. 하느님과 마주하게 되자 아담은 하느님께 하와가 열매를 주어 먹게 되었다고 말하고, 하와는 뱀이 자신을 속여 먹게 되었다고 말하였다. 그러자 하느님은 뱀과 여자, 그리고 남자를 저주하시고, 그들이 영생의 나무 열매를 먹기 전에 에덴동산에서 쫓아내었다.
2. 4. 하느님의 심판
창세기에 따르면, 하느님은 아담과 이브에게 에덴동산에 있는 여러 나무의 열매는 먹을 수 있지만, 선악을 아는 나무의 열매는 먹지 말라고 명령했다.[2]창세기 3장에서 뱀은 여자(이브)를 유혹하여 "너희가 결코 죽지 아니하리라. 하느님이 그 나무의 열매를 먹는 날에는 너희 눈이 밝아져서 하느님과 같이 선과 악을 알 줄을 하느님이 아심이니라"라고 말한다.[2] 이 말을 듣고 선악과에 대한 지식을 갈망한 여자는 금단의 열매를 먹고 남자(아담)에게도 주어 함께 먹는다.
자신들이 벌거벗었다는 사실을 깨달은 아담과 이브는 무화과나무 잎으로 옷을 만들어 입고 하느님이 다가오자 숨는다. 하느님과 대면했을 때, 아담은 이브가 열매를 주어 먹었다고 말하고, 이브는 뱀이 자신을 속여 먹게 했다고 말한다.
그러자 하느님은 뱀과 여자, 그리고 남자를 각각 저주하고, 그들이 영생의 나무 열매를 먹기 전에 에덴동산에서 쫓아낸다.
3. 꾸란의 기록
꾸란에서도 아담과 하와의 이야기가 등장하며, 금단의 열매에 대한 내용이 언급된다. 알아라프 서라와 바까라 수라에서 알라가 아담과 그의 아내에게 낙원에서 특정 나무의 열매만은 먹지 말라고 명했으나, 샤이탄의 유혹에 빠져 이를 어기고 말았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3][4][36] 이슬람에서는 금단의 열매가 지상의 어떤 열매에 해당하는지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는다.
3. 1. 알라의 명령
꾸란 알아라프 7:19절에 따르면, 아담과 그의 아내는 낙원에서 허락된 것을 먹을 수 있었으나, 단 하나의 나무만은 먹어서는 안 되었는데, 그렇게 하면 Ẓālimūn|잘리문ar(죄인)으로 여겨질 것이기 때문이다.[3]알아라프 7:20-22절은 샤이탄( شيطان|샤이탄ar)이 아담과 그의 아내에게 속삭이고 그들을 속이는 것을 묘사한다. 그들이 그 나무의 열매를 맛보자 그들의 나체가 드러났고, 그들은 낙원의 잎으로 자신들을 가리게 되었다.[4]
아랍어|아랍어 발음ar 이슬람에서 금단의 열매가 지상의 어떤 열매에 해당하는지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는다.
꾸란 바까라 수라 19-22절에는 다음과 같이 나와있다.[36]
(그러자 알라께서는 아담에게 말씀하셨다.) "아담아, 당신과 당신의 아내는 낙원에 살면서 어디서든 마음대로 먹어도 좋습니다. 다만 이 나무에는 가까이 가지 마십시오. 불의를 저지르게 될 것입니다." 그 후 악마(샤이탄)이 그들에게 속삭이며, 이전에는 보이지 않았던 부끄러운 곳을 드러내 보이려고 말했습니다. "당신들의 주님께서 이 나무에 가까이 가지 말라고 하신 것은 당신들이 천사가 되거나 혹은 영원히 살까 두려워서입니다." 그리고 그는 그들에게 맹세하며 말했습니다. "나는 당신들의 진심 어린 충고자입니다." 이렇게 그는 그 둘을 속여 타락시켰습니다. 그들이 이 나무의 열매를 맛보자 그들의 부끄러운 곳이 드러났고, 두 사람은 동산의 나무잎으로 자신의 몸을 가리기 시작했습니다. 그때 주님께서는 그들에게 말씀하셨습니다. "내가 이 나무를 너희에게 금지하지 않았느냐? 그리고 악마(샤이탄)가 너희의 공공연한 적이라고 말하지 않았느냐?"
3. 2. 샤이탄의 유혹
꾸란 알아라프 7:20-22절은 샤이탄(아랍어: Shaitan|ar)(아랍어: شيطانar)이 아담과 그의 아내에게 속삭여 그들을 속이는 것을 묘사한다. 샤이탄은 그들에게 "당신들의 주님께서 이 나무에 가까이 가지 말라고 하신 것은 당신들이 천사가 되거나 혹은 영원히 살까 두려워서입니다."라고 속삭였다. 그리고 그는 그들에게 "나는 당신들의 진심 어린 충고자입니다."라고 맹세하며, 아담과 그의 아내를 속여 타락시켰다. 그들이 그 나무의 열매를 맛보자 그들의 나체가 드러났고, 그들은 낙원의 잎으로 자신들을 가리게 되었다.[4][36]4. 영지주의적 해석
영지주의적 해석에서 아담과 이브 이야기는 영적인 각성과 관련된다.[5] 영지주의는 아르콘들이 아담을 무지 상태에 두려 했으나, 뱀이 아담과 이브를 깨우쳐 신과 같은 존재가 되도록 도왔다고 본다.
4. 1. 영적 이브의 각성
영지주의적 해석에 따르면, 아담과 이브 이야기에서 영적인 이브가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에 접근한 후, 육체적인 이브를 아담 곁에 남겨둔 채 깨어나게 하였다.[5] 이후 아르콘들이 아담을 창조하고 그가 금단의 열매를 먹지 못하도록 하여 무지의 상태에 머물도록 하려고 시도했다.[5] 그러나 천상의 영역(플레로마)의 힘은 뱀을 신성한 영역의 대표자로 보내 아담과 이브에게 그들의 창조자들의 악의적인 의도를 밝히도록 하였다.[5] 뱀은 그들을 설득하여 열매를 먹게 함으로써 선과 악을 구분할 수 있는 신과 같은 존재가 되도록 하였다.[5]4. 2. 아르콘의 방해
영지주의적 해석에 따르면, 아르콘(Archon)들은 아담을 창조하고 그가 금단의 열매를 먹지 못하게 하여 무지의 상태에 머물도록 하려고 시도했다.[5] 그러나 천상의 영역(플레로마(Pleroma))의 힘은 뱀을 신성한 영역의 대표자로 보내 아담과 이브에게 그들의 창조자들의 악의적인 의도를 밝히도록 하였다. 뱀은 그들을 설득하여 열매를 먹게 함으로써 선과 악을 구분할 수 있는 신과 같은 존재가 되도록 하였다.[5]4. 3. 뱀의 역할
영지주의적 해석에 따르면, 천상의 영역(플레로마)의 힘은 뱀을 보내 아담과 이브에게 그들의 창조자들의 악의적인 의도를 밝히도록 하였다.[5] 뱀은 그들을 설득하여 열매를 먹게 함으로써 선과 악을 구분할 수 있는 신과 같은 존재가 되도록 하였다.[5]5. 정체
창세기에는 금지된 열매가 정확히 무엇인지 명시되지 않았다. 본문에 사용된 열매라는 단어는 히브리어로 '페리(פֶּ֫רִי)'이다. 아담과 이브가 에덴동산에서 먹은 이 열매의 정체에 대해서는 사과, 포도, 석류, 무화과, 케럽, 시트론, 배, 마르멜루(모과), 버섯 등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뱀의 유혹으로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 열매를 먹은 아담과 이브는 자신들의 벌거벗음을 인지하고 무화과나무 잎으로 옷을 만들어 입었다.[41]
5. 1. 다양한 해석
히브리어 성경에서 열매는 '페리(פֶּ֫רִי)'로 표현된다.[40] 이 열매의 모양에 대해서는 사과, 포도, 석류,[40] 무화과,[41] 케럽,[40] 시트론,[40] 배, 마르멜루(모과), 버섯 등 다양한 후보가 제시되었다. 위경인 에녹서는 타마린드 나무에 포도를 닮은 열매가 매우 아름답게 열렸으며, 그 향기가 엄청나게 멀리까지 퍼져나갔다고 묘사한다.[42] 이슬람교에서는 포도나 밀로 묘사하기도 한다.[43]
테렌스 맥케나(Terence McKenna)는 금단의 열매가 향정신성 식물과 균류, 특히 실로시빈 버섯(psilocybin mushrooms)을 가리키는 것이며, 인간 뇌의 진화에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고 주장했다.[22] 존 엠. 알레그로(John M. Allegro)는 금단의 열매를 버섯으로 제시했다.[25]
동유럽 슬라브어권에서는 포도로 여기는 경우가 많다. 유대교 신비주의 사상의 저서 『즈오하르』에서도 금단의 열매를 포도로 보고 있다.[33] 슬라브어 중에는 토마토를 낙원과 관련된 단어로 부르는 경우가 있으며, 이를 금단의 열매라고 하는 지역도 있다.
유대교 율법 학자들 사이에서는 밀이었다는 전통이 있다. 히브리어로 “khitah”라고 표기하며, 죄를 의미하는 “khet”과 통한다는 것이 그 이유이다.[34] 모과라고 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 외, 바나나, 석류,[35] 캐롭,[35] 시트론,[35] 배, 흰독말풀[32] 등이 “금단의 열매”일 가능성이 있는 과일로 거론된다.
5. 2. 사과
서유럽에서는 금단의 열매를 사과로 묘사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라틴어에서 '악'을 뜻하는 'malumla'과 '사과'를 뜻하는 'mālumla'의 발음이 유사한 것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8] 사람의 목에 있는 후두가 영어로 "Adam's apple"이라고 불리는 것도 아담의 목에 걸린 선악과라는 관념에서 나온 것이다.[44]5. 3. 포도
동유럽 슬라브어권에서는 포도로 여기는 경우가 많다. 유대교 신비주의 사상의 저서 『즈오하르』에서도 금단의 열매를 포도로 보고 있다.[33] 메이르 랍비(Rabbi Meir)는 그 열매가 포도였고, 포도주로 만들어졌다고 말한다.[9] 즈하르(Zohar)는 노아가 포도주를 신성한 목적으로 사용하여 아담의 죄를 바로잡으려고 시도했지만 실패했다고 설명한다.[10][11]5. 4. 무화과
창세기에서 아담과 이브가 무화과나무 잎으로 옷을 해 입었다는 기록 때문에,[41] 선악과를 무화과로 해석하는 견해도 있다. 랍비 네헤미야 하윤(Nehemiah Hayyun)은 아담과 이브가 선악과를 먹은 후 무화과나무 잎으로 옷을 만들었다는 점을 들어 금단의 열매가 무화과였을 것이라는 견해를 지지한다.[16] 무화과는 오랫동안 여성의 성적 매력을 상징하는 과일이었기 때문에,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에는 사과의 대체재로 금단의 열매로서 인기를 누렸으며,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는 시스티나 성당 천장화에서 무화과를 금단의 열매로 묘사하였다.[17]5. 5. 기타 과일
석류는 동지중해 지역에서 가장 일찍 재배된 식물 중 하나로, 에덴동산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지역과 관련이 있어 금단의 열매로 여겨지기도 한다.[18]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페르세포네가 하데스에게 석류를 받아 저승에 머물게 된 것처럼, 석류는 저승의 지식, 즉 금지된 지식과 연결되기도 한다.[18]밀은 히브리어로 "khitah"인데, 이는 "죄"를 의미하는 "khet"과 발음이 비슷하여 금단의 열매로 여겨지기도 한다.[19] 랍비 예후다는 아기가 곡식 맛을 보기 전에는 부모를 부를 줄 모른다는 점을 들어 밀이 금단의 열매라고 주장했다.[9]
바나나는 13세기에 마이모니데스의 저서를 번역한 나탄 하메아티(Nathan HaMe'ati)에 의해 "에덴의 사과"라고 불렸으며,[26][27] 16세기에는 시리아와 이집트에서 바나나가 에덴의 사과로 여겨진다는 것이 메나헴 론자노에 의해 언급되었다.[28]
코코 드 메르는 찰스 조지 고든(Charles George Gordon)이 지식의 나무의 금단의 열매와 동일시했다.
토마토는 슬라브어권 일부 지역에서 "rajčica"(raj는 낙원을 의미)나 "paradajz" 등 낙원과 관련된 단어로 불리며, 금단의 열매로 여겨지기도 한다. 토마토는 신대륙에서 전래된 초기에 독이 있는 열매로 여겨졌던 적이 있어, 실제로 "금지된 열매"였다는 점이 이러한 설을 뒷받침한다.
5. 6. 버섯
테렌스 맥케나(Terence McKenna)는 금단의 열매가 향정신성 식물과 균류, 특히 실로시빈 버섯(psilocybin mushrooms)을 가리키는 것이며, 인간 뇌의 진화에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고 주장했다.[22] 존 엠. 알레그로(John M. Allegro)는 금단의 열매를 버섯으로 제시했으나, 이 연구는 많은 비판을 받았다.[23][24][25][21]6. 은유적 해석
"금단의 열매"라는 표현은 불법, 부도덕, 불의의 쾌락이나 탐닉을 나타내는 은유로 사용된다.[37]
창세기에서 이브와 아담을 신이 창조하는 장면(1장 28절)에서 그들에게 처음으로 "생육하고 번성하라"고 말한 점[38], 남자로부터 여자를 만들 당시의 말씀(2장 24절)에서 "남자가 부모를 떠나 그의 아내와 합하여 둘이 한 몸이 될지로다"라고 말한 점을 들어, 성과 부모자식 관계가 애초부터 예상되었다는 비판적인 의견도 있다.
6. 1. 성적 은유
금단의 열매는 종종 인간의 성과 관련된 쾌락과 관련지어 해석된다.[37] 사과를 성이나 원죄의 은유로 해석하는 견해도 있다.[38]7. 관련 개념
금단의 열매와 비슷한 개념은 다른 문화권의 신화나 이야기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테르툴리아누스, 오리게네스, 나지안조스의 그레고리오스와 같은 초기 기독교인들은 그리스 신화의 판도라의 상자 이야기가 선악과 이야기와 유사하다고 보았다.[29] 성경에서는 알코올의 이중적인 역할을 다루며, 과일 발효를 통한 포도주 제조는 축하와 죄, 유혹에 대한 경고 이야기에 자주 연결되어 금단의 열매 개념을 연상시키기도 한다.[1]
7. 1. 그리스 신화
판도라의 상자 이야기는 테르툴리아누스, 오리게네스, 나지안조스의 그레고리오스와 같은 초기 기독교인들에 의해 선악과 이야기와 유사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29]7. 2. 성경의 알코올
성경에서는 알코올의 이중적인 역할을 탐구하며, 긍정적인 용도와 과도한 섭취에 대한 경고를 강조한다.[1] 과일 발효를 통한 포도주 제조는 성경 이야기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포도와 포도주는 축하와 죄, 유혹에 대한 경고 이야기에 자주 연결되어 금단의 열매 개념을 연상시킨다.[1]참조
[1]
성경
[2]
성경
[3]
코란
[4]
코란
[5]
서적
Gnostic Wars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9-08-07
[6]
서적
The Fig: its History, Culture, and Curing
Govt. print. off.
1901
[7]
서적
The Qur'an and Its Interpreters, Volume 1
SUNY Press
1984
[8]
서적
Dictionary of Phrase and Fable
1898
[9]
탈무드
[10]
카발라
[11]
서적
The Zohar: The First Ever Unabridged English Translation, with Commentary
[12]
미드라쉬
[13]
미드라쉬
[14]
문서
3 Baruch, Chapter 4
http://www.ma.huji.a[...]
[15]
성경
[16]
탈무드
[17]
뉴스
High Art: Were Botticelli's Venus And Mars Stoned?
https://www.npr.org/[...]
NPR
2010-06-12
[18]
서적
Domestication of plants in the old world: The origin and spread of domesticated plants in south-west Asia (4th ed.)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19]
웹사이트
Was the forbidden fruit in the Garden of Eden an apple?
http://www.straightd[...]
[20]
서적
Botany
https://books.google[...]
Jones & Bartlett Publishers
[21]
서적
The Use of Fungi as Food and in Food Processing, Part 2
CRC Press
[22]
Youtube
Food Of The Gods (Terence McKenna) [FULL]
https://www.youtube.[...]
2011-07-24
[23]
뉴스
John Allegro, 65; Aided Deciphering of Dead Sea Scrolls
https://www.nytimes.[...]
NY Times
[24]
서적
John Marco Allegro: The Maverick of the Dead Sea Scrolls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2005-03-01
[25]
서적
The Sacred Mushroom and The Cross: A study of the nature and origins of Christianity within the fertility cults of the ancient Near East
Doubleday
[26]
학술지
What's the Truth About The Apple In The Garden Of Eden?
https://issuu.com/or[...]
2017-05
[27]
학술지
The Medical Aphorisms of Moses Maimonides.
https://jamanetwork.[...]
1983-03
[28]
웹사이트
Ma'arich (מעריך)
https://commons.wiki[...]
2020-03-10
[29]
서적
Reassembling Truth: Twenty-first-century Milton
https://books.google[...]
Susquehanna University Press
[30]
서적
Fruits of warm climates
http://www.hort.purd[...]
J.F. Morton
[31]
성경
[32]
웹사이트
http://www.npr.org/t[...]
[33]
서적
The Zohar: The First Ever Unabridged English Translation, with Commentary
[34]
웹사이트
http://www.straightd[...]
[35]
웹사이트
http://www.straightd[...]
[36]
웹사이트
日本ムスリム情報事務所 聖クルアーン日本語訳 アル・ヒジュル
https://www.krn.org/[...]
[37]
웹사이트
The-Age-of-Consent
http://www.sexualfab[...]
2022-01-09
[38]
성경
구약 성서 창세기 1:28
[39]
성경
개역한글판 구약 창세기 2:16-17
[40]
웹사이트
Was the forbidden fruit in the Garden of Eden an apple?
http://www.straightd[...]
[41]
서적
The Fig: its History, Culture, and Curing
Govt. print. off.
[42]
성경
에녹1서 31장 4절
[43]
서적
The Qur'an and Its Interpreters, Volume 1
SUNY Press
[44]
서적
악마의 정원에서
생각의 나무
[45]
서적
악마의 정원에서
생각의 나무
[46]
서적
Fruits of warm climates
http://www.hort.purd[...]
J.F. Mort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