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끼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끼다는 1915년 일본 나고야에서 설립된 전동 공구 제조 및 판매 회사이다. 1958년 일본 최초로 휴대용 전동 대패를 출시하며 전동 공구 제조업체로 전환했고, 1969년 최초의 충전식 전동 공구를 선보였다. 1970년 미국에 첫 해외 법인을 설립하며 글로벌 시장에 진출했으며, 이후 여러 국가에 법인을 설립하여 사업을 확장했다. 마끼다는 무선 공구, 전동 공구, 가솔린 장비, 배터리 및 부속품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며, 전 세계적으로 판매하고 있다. 재무적으로는 높은 자기 자본 비율과 흑자 경영을 유지하며, 전동 공구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이치현의 기업 - 렉서스
렉서스는 토요타가 1989년 론칭한 고급 자동차 브랜드로, "완벽을 향한 끊임없는 추구"라는 슬로건과 차별화된 고객 서비스, 다양한 차종, 하이브리드 모델, 고성능 F 마크 모델을 통해 기술 혁신과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고 있다. - 아이치현의 기업 - 토요타 자동차
일본 아이치현 토요타시에 본사를 둔 토요타 자동차는 도요다 사키치의 방직기 사업에서 시작되어 그의 아들 도요다 기이치로가 자동차 부서를 설립한 후 1937년 독립 법인으로 출범하여 토요타 생산 방식과 혁신을 통해 세계 자동차 산업을 선도하며 렉서스 브랜드를 통해 고급차 시장에서도 입지를 다지고, 친환경 기술 개발에도 적극적이지만 품질, 노동, 환경 문제 등 논란에 직면하기도 했다. - 전동 공구 제조 기업 - 파나소닉홀딩스
파나소닉홀딩스는 1918년 마쓰시타 고노스케가 설립한 마쓰시타 전기기구 제작소에서 시작되어 '내쇼날', '파나소닉', '테크닉스' 등의 브랜드로 세계 가전 시장에 영향을 미쳤으며, 2022년 지주회사 체제 전환 후 현재 사명으로 변경, 가전제품, 주택 설비, 자동차 부품, 산업 솔루션 등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는 일본의 대표적인 전자 제품 제조 회사이다. - 전동 공구 제조 기업 - 보쉬 (기업)
보쉬는 1886년 독일에서 설립된 정밀 기계 및 전기 기계 제조업체로 자동차 부품에서 시작하여 가전제품, 전동 공구 등으로 사업을 확장했으며, 세계 대전 시기에는 나치당과의 협력으로 무기 생산에 참여하기도 했지만, 현재는 다양한 사업 부문을 운영하며 사회적 책임을 다하려 노력하고 있다. - 1915년 설립된 기업 - 시마네 은행
시마네 은행은 1915년 마쓰에 상호저축주식회사로 설립되어 1989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된 일본 시마네현 마쓰에시 소재 지방은행으로, 온라인 시스템 도입, 지점 통폐합, 도쿄 증권거래소 상장, SBI홀딩스와의 제휴, 스마트폰 지점 운영 등을 통해 성장 및 디지털 금융 강화와 서비스 개선에 힘쓰고 있다. - 1915년 설립된 기업 - 세이프웨이
세이프웨이는 1926년 아이다호주에서 설립된 미국의 대형 슈퍼마켓 체인으로, 초기 메릴린치의 지원으로 성장하여 해외 시장에도 진출했으나, 1980년대 이후 사업 축소를 겪고 2015년 알버트슨에 인수되어 자체 브랜드와 IT 시스템이 통합되었다.
마끼다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회사명 (한국어) | 마키타 주식회사 |
회사명 (일본어) | 株式会社マキタ |
회사명 (로마자 표기) | Makita Kabushiki-gaisha |
종류 | 주식회사 |
설립 | 1915년 3월 |
창립자 | 모사부로 마키타 |
서비스 제공 지역 | 전 세계 |
직원 수 | 13,845명 (2015년) |
본사 위치 | 안조, 일본 |
공식 웹사이트 | 마키타 공식 웹사이트 |
주요 인물 | 마사히코 고토 (회장) 시호 호리 (사장) |
산업 | 전동 공구 |
재무 정보 (2021년 3월 기준) | |
자본금 | 242억 561만 엔 |
발행 주식 수 | 2억 8001만 7520주 (2021년 3월 31일 기준) |
매출액 (연결) | 6083억 81백만 엔 |
매출액 (개별) | 3784억 86백만 엔 |
영업 이익 (연결) | 884억 64백만 엔 |
영업 이익 (개별) | 309억 85백만 엔 |
순이익 (연결) | 620억 18백만 엔 |
순이익 (개별) | 370억 76백만 엔 |
순자산 (연결) | 6633억 26백만 엔 (주주 자본) |
순자산 (개별) | 4303억 68백만 엔 |
총 자산 (연결) | 8128억 78백만 엔 |
총 자산 (개별) | 5036억 37백만 엔 |
직원 수 (연결) | 20,233명 (2022년 3월 31일 기준) |
직원 수 (개별) | 3,245명 (2022년 3월 31일 기준) |
지점 수 | 전국 127개소 |
결산기 | 3월 31일 |
회계 감사인 | 유한책임 아즈사 감사법인 |
주요 주주 (2018년 9월 30일 기준) | 일본 마스터 트러스트 신탁 은행 (신탁구): 6.97% 일본 트러스티 서비스 신탁 은행 (신탁구): 5.36% 마루와: 3.11% 미쓰비시 UFJ 은행: 3.10% 더 뱅크 오브 뉴욕 멜론 애즈 데포지터리 뱅크 포 데포지터리 리시트 홀더즈: 3.01% |
관련 인물 | |
창업자 | 마키타 모사부로 |
해외 자회사 |
2. 역사
1915년 3월, 마끼다 모사부로[3]가 일본 아이치현 나고야시에서 조명 기구, 모터, 변압기 등을 판매하고 수리하는 '마키타 전기 제작소'를 창업한 것이 마끼다의 시작이다.[4] 초기에는 모터 판매 및 수리가 주력 사업이었으나, 1958년 일본 최초의 휴대용 전기 대패를 출시하며 전동 공구 제조업체로 전환했다.[4] 이듬해인 1959년부터 본격적으로 전동 공구 제조 및 판매에 뛰어들었다.
마끼다는 기술 혁신을 통해 성장을 거듭했다. 1969년 4월에는 세계 최초의 충전식 전동 공구인 6500D 배터리 드릴을 출시하며 휴대용 공구 시장의 변화를 이끌었다.[4] 이후 1978년 니켈 카드뮴 배터리(Ni-Cd)를 사용한 6010D 드릴, 1997년 니켈 수소 배터리(Ni-MH)를 사용한 6213D 드라이버 드릴, 그리고 2005년 리튬 이온 배터리를 채용한 TD130D 등을 연이어 선보이며 충전 공구 기술 개발을 이끌었다.
1970년대부터는 해외 시장 개척에 적극적으로 나서, 미국을 시작으로 유럽, 아시아, 남미 등 전 세계 각지에 현지 법인과 생산 기지를 설립하며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2014년 3월 기준 해외 매출 비중이 82.8%에 달할 정도로 높으며, 전 세계 전동 공구 시장에서 약 25%의 점유율을 차지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했다. 이는 블랙앤데커에 이어 세계 2위에 해당하는 시장 점유율이다. 일본 국내 시장에서도 약 60%의 점유율을 가진 최대 기업이다.
마끼다는 M&A를 통해 사업 영역을 확장하기도 했다. 1991년 독일의 체인톱 제조사 작스 돌머(Sachs Dolmar)를 인수했으며, 2007년에는 엔진 기기 업체 후지 로빈(이후 마키타 누마즈)을 인수하여 농업 기계 및 OPE(Outdoor Power Equipment) 분야로 사업을 다각화했다. 2019년에는 공압 공구 전문 기업인 아마데라 공압 공업을 인수하는 등 지속적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있다.
마끼다는 건실한 재무 구조를 가지고 있다. 2014년 3월 기준 자기 자본 비율이 84%에 달하고, 영업 이익률도 10% 이상을 꾸준히 유지하는 고수익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설립 이후 지속적인 흑자 경영과 실질적인 무차입 경영을 유지하며 안정적인 경영을 이어왔으며, 이러한 재무 건전성을 인정받아 2014년 1월 JPX 닛케이 인덱스 400 구성 종목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또한, 본사 인근 병원의 부지 제공 등 지역 사회 공헌 활동에도 힘쓰고 있다.
2011년에는 자체적인 공구 보관함 규격인 'Makpac'을 등록했으며,[5][6] 2013년에는 샤프와 업무 및 자본 제휴를 맺고 약 100억엔를 출자하는 등[13] 외부 기업과의 협력도 모색하고 있다.
2. 1. 창업과 성장 (1915년 ~ 1960년대)
연도 | 내용 |
---|---|
1915년 3월 | 마끼다 모사부로가 일본 아이치현 나고야시에 모터 판매 및 수리를 하는 마키타 전기 제작소를 창업했다.[3][4] 초기에는 조명 장비, 모터, 변압기 등을 취급했다. |
1935년 9월 | 소련에 발전기와 모터를 수출하며 첫 해외 수출을 시작했다. |
1938년 12월 | 개인 상점에서 주식회사 마키타 전기 제작소로 법인 전환했다. |
1945년 4월 | 공장 분산을 위해 안조시 스미요시초의 현재 위치로 이전했다. |
1955년 4월 | 고토 주지로가 사장으로 취임했다. |
1958년 1월 | 일본 최초로 휴대용 전기 대패를 제조 및 출시했다.[4] |
1959년 | 기존의 모터 판매 및 수리업에서 전동 공구 제조 및 판매업으로 본격 전환했다. |
1959년 11월 | 호주에 소형 전기 대패 1300 모델을 수출하며 전동 공구 수출을 시작했다. |
1960년 7월 | 본사 신공장을 완공했다. |
1962년 5월 | 회사명을 주식회사 마키타 전기 제작소로 변경했다. |
1962년 8월 | 나고야 증권 거래소 제2부에 상장했다. |
1963년 3월 | 완전 무차입 경영 회사로 전환했다. |
1965년 3월 | 창업 50주년을 맞이했다. |
1968년 8월 | 도쿄 증권 거래소와 오사카 증권 거래소 제2부에 추가 상장했다. |
1969년 4월 | 최초의 충전식 공구인 배터리 드릴 6500D를 출시했다.[4] 이는 세계 최초의 충전식 전동 공구이기도 하다. |
2. 2. 충전 공구 개발과 해외 진출 (1970년대 ~ 1990년대)
마끼다는 1969년 4월, 세계 최초의 충전식 전동 공구인 6500D 배터리 드릴을 출시하며 충전 공구 시대를 열었다.[4] 이를 기점으로 1970년대부터는 해외 시장 개척과 충전 공구 기술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서며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충전 공구 기술 발전 ===
1978년 12월, 마끼다는 니켈 카드뮴 배터리(Ni-Cd)를 사용한 최초의 충전식 드릴 6010D를 선보였다. 이는 휴대용 전동 공구의 사용성을 크게 향상시킨 중요한 기술적 진보였다. 이어 1981년 2월에는 에어 못 박는 기계 AN5000과 에어 컴프레서 AC6001을 출시하며 에어 공구 분야로도 사업 영역을 확장했다. 1990년대 들어서도 기술 혁신은 계속되어, 1997년 8월에는 니켈 수소 배터리(Ni-MH)를 적용한 최초의 공구인 6213D 충전식 드라이버 드릴을 시카고 하드웨어 쇼에 전시하며 차세대 충전 공구 기술을 선보였다.
=== 적극적인 해외 진출 ===
마끼다는 1970년대부터 해외 제조 및 판매에 집중하며 글로벌 네트워크를 공격적으로 구축했다. 1970년 7월 미국에 첫 해외 법인인 마키타 U.S.A. Inc.를 설립한 것을 시작으로, 유럽, 오세아니아, 북미, 아시아 등 전 세계 주요 시장에 잇따라 현지 법인을 설립했다.
연도 | 설립 국가 | 법인명 (설립 당시) |
---|---|---|
1970년 7월 | 미국 | 마키타 U.S.A. Inc. |
1971년 9월 | 프랑스 | 마키타 프랑스 S.A. (현 마키타 프랑스 SAS) |
1972년 12월 | 영국 | 마키타 일렉트릭 (U.K.) Ltd. (현 마키타 (U.K.) Ltd.) |
1973년 5월 | 호주 | 마키타 오스트레일리아 Pty. Ltd. |
1973년 11월 | 캐나다 | 마키타 파워 툴즈 캐나다 Ltd. (현 마키타 캐나다 Inc.) |
1974년 5월 | 네덜란드 | 마키타 베넬룩스 B.V. (현 마키타 네덜란드 B.V.) |
1974년 6월 | 이탈리아 | 마키타 S.p.A. |
1977년 2월 | 벨기에 | 마키타 N.V. |
1977년 4월 | 독일 | 마키타 베르크츠오익 G.m.b.H. |
1981년 6월 | 브라질 | 마키타 도 브라질 Ltda. |
1981년 9월 | 오스트리아 | 마키타 베르크츠오익 Gesellschaft.m.b.H. |
1983년 4월 | 싱가포르 | 마키타 파워 툴즈 싱가포르 Pte. Ltd. (현 마키타 싱가포르 Pte. Ltd.) |
1984년 9월 | 미국 | 마키타 코퍼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생산 법인) |
1988년 5월 | 대만 | 마키타 타이완 Ltd. |
1989년 4월 | 스페인 | 마키타 에스파냐 S.A. (현 마키타 S.A.) |
1989년 12월 | 영국 | 마키타 매뉴팩처링 유럽 Ltd. (생산 법인) |
해외 생산 기지 확보에도 적극적이었다. 1981년 브라질 법인 설립과 함께 남미 지역 생산을 시작했으며, 1985년에는 미국, 1989년에는 영국에 생산 법인을 설립하여 현지 수요에 대응하고 물류 비용을 절감하는 등 글로벌 생산 체제를 강화했다.
=== 글로벌 기업으로의 도약 ===
해외 법인 설립과 병행하여 해외 증권 시장 상장도 추진했다. 1970년 일본 내 주요 증권거래소 1부 상장에 이어, 1973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증권 거래소(대륙 예탁 증권, CDR 형식)를 시작으로 1977년 미국 NASDAQ(미국 예탁 증권, ADR 형식), 1982년 룩셈부르크 증권 거래소에 주식을 상장하며 국제적인 자본 조달 능력을 확보하고 기업 인지도를 높였다. (이후 일부 거래소 상장은 폐지되었다.) 1976년에는 CDR 형식으로 해외에서 첫 자금 조달을 실시하기도 했다.
1987년에는 미일 무역 마찰의 여파로 전동 공구가 미국의 보복적 과세 대상 품목에 포함되는 등 외부적인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1989년에는 나고야시에서 열린 세계 디자인 박람회에서 이탈리아의 유명 산업 디자이너 조르제토 주지아로가 디자인한 원형 톱, 그라인더, 드릴 3종을 선보이며 디자인 경쟁력 강화에도 힘썼다. 1991년 4월에는 회사명을 '주식회사 마키타 전기 제작소'에서 '주식회사 마키타'로 변경하고, 조르제토 주지아로가 디자인한 새로운 로고 마크를 도입했다.[11] 같은 해 1월에는 독일의 유서 깊은 체인톱 제조사 작스 돌머(Sachs Dolmar G.m.b.H., 이후 돌머 G.m.b.H.로 사명 변경)를 인수하며 엔진 공구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장했다. 이러한 꾸준한 기술 개발과 적극적인 해외 시장 공략을 통해 마끼다는 1990년대까지 세계적인 전동 공구 전문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다졌다.
2. 3. 글로벌 기업으로의 도약 (2000년대 이후)
2000년대 이후 마끼다는 기술 혁신과 적극적인 해외 시장 개척, M&A를 통해 글로벌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다졌다. 2005년 2월에는 업계 최초로 리튬 이온 배터리를 탑재한 충전 공구 TD130D를 출시하며 선도적인 기술력을 보여주었다.해외 생산 및 판매 네트워크 확장에 주력하여, 2008년에는 불가리아, 인도, 콜롬비아, 모로코에, 2009년에는 베트남, 2011년에는 태국과 슬로베니아, 2014년에는 카자흐스탄에 현지 법인을 설립하는 등 전 세계 50개국 이상으로 영업 거점을 확대했다. 이를 통해 2014년 3월 기준 해외 매출 비중이 82.8%에 달하는 등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했다. 전 세계 전동 공구 시장 점유율은 약 25%로, 블랙앤데커에 이어 2위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사업 다각화와 경쟁력 강화를 위해 2006년 가네마츠 닛산 농림(현재의 가네마츠 서스테크)으로부터 네일건 사업을 양수하고, 2007년 엔진 기기 업체인 후지 로빈(이후 마키타 누마즈)을 자회사로 편입했으며, 2013년에는 이를 흡수 합병하여 농업 기계 분야로 사업 영역을 넓혔다.[12] 다만, '래빗' 브랜드의 소방·방재 기기 부문은 IHI 시바우라(현재의 IHI 아그리텍)에 양도했다. 2019년에는 아마데라 공압 공업을 완전 자회사로 편입한 뒤 2021년 흡수 합병하여 공압 공구 분야 역량을 강화했다.[14][15] 2013년에는 경영 재건 중이던 샤프와 업무 및 자본 제휴를 맺고 약 100억엔를 출자하여 제품 라인업 확대 및 판매망 상호 활용 등을 추진했다.[13]
이러한 성장을 바탕으로 마끼다는 매우 건전한 재무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2014년 3월 기준 자기 자본 비율은 84%에 달하며, 영업 이익률 역시 10년 이상 10% 이상을 기록하는 고수익 체질을 보여준다. (2014년 3월기 14.3%) 설립 이후 지속적인 흑자 경영과 무차입 경영 원칙을 고수하며 안정적인 경영을 이어가고 있으며, 이러한 재무 건전성을 인정받아 2014년 1월 JPX 닛케이 인덱스 400에도 편입되었다.
2011년에는 야마모토 유지와 코카와 키요즈미의 이름으로 자체적인 공구 박스 규격인 "Makpac" 디자인을 등록하기도 했다.[5][6]
아래는 마끼다의 2000년대 이후 주요 연혁이다.
연도 | 월 | 주요 내용 |
---|---|---|
2003년 | - | 오사카 증권 거래소 상장 폐지. |
2005년 | 2월 | 최초 리튬 이온 배터리 공구 TD130D 출시. |
2006년 | 1월 | 가네마츠 닛산 농림으로부터 네일건 사업 양수. |
2007년 | 5월 | 후지 로빈(이후 마키타 누마즈) 자회사화. |
2008년 | 2월 | 마키타 불가리아 법인 설립. |
4월 | 마키타 인도 법인 설립. | |
6월 | 마키타 콜롬비아 법인 설립. | |
12월 | 마키타 모로코 법인 설립. | |
2009년 | 10월 | 도쿄 기술 개발 센터 개설. |
11월 | 마키타 베트남 법인 설립. | |
2011년 | 3월 | 마키타 태국 제조 법인 설립. |
8월 | 마키타 슬로베니아 법인 설립. | |
10월 | 닛신 사업소 내 OPE(Outdoor Power Equipment) 개발·시험 센터 개설. | |
2012년 | 7월 | 태국에서 전동 공구 생산 시작. |
2013년 | 4월 | 자회사 마키타 누마즈 흡수 합병[12], 소방·방재 기기 부문 IHI 시바우라에 양도. NASDAQ 상장 폐지. |
9월 | 샤프와 업무·자본 제휴 체결 (약 100억엔 출자).[13] | |
2014년 | - | 마키타 카자흐스탄 법인 설립. JPX 닛케이 인덱스 400 편입. |
2015년 | 3월 | 창업 100주년 기념 골드 컬러 시리즈 출시. |
2017년 | 6월 | 고토 무네토시 사장 취임. |
2019년 | 3월 | 아마데라 공압 공업 완전 자회사화.[14] |
2021년 | 6월 | 자회사 아마데라 공압 공업 흡수 합병.[15] |
마끼다는 전동 공구, 무선 공구, 가솔린 엔진 장비 등 광범위한 제품군을 제조 및 판매한다. 주요 제품 범주에는 다양한 종류의 드릴, 톱, 그라인더, 대패 등 기본적인 작업 공구를 비롯하여, 정원 관리를 위한 예초기, 고압 청소기, 송풍기 등 원예 장비와 거리 측정기, 레이저 레벨기 같은 정밀 측정 도구까지 포함된다. 특히 2005년에는 18V 리튬 이온 배터리를 사용하는 무선 공구 제품군을 출시하며[18] 작업 편의성을 높인 제품들을 선보였다.
3. 제품
3. 1. 무선 공구
마끼다는 2005년에 18V 리튬 이온 무선 공구 제품군을 출시하였다.[18] 마끼다는 이 분야에서 다양한 제품을 제공하고 있다. 주요 제품으로는 충전식 스크루 드라이버, 충전식 임팩트 렌치, 충전식 로터리 해머 드릴, 충전식 직소 등이 있다. 이 외에도 배터리 톱, 충전식 앵글 그라인더, 충전식 대패(평면기), 충전식 금속 절단기(금속 가위), 배터리 구동 스크루 드라이버, 충전식 슬롯 밀 등 다양한 공구를 생산한다. 심지어 커피 메이커나 전자레인지와 같은 독특한 제품도 무선 라인업에 포함되어 있다.
3. 2. 전동 공구
마끼다는 전동 공구 분야에서 다양한 제품을 제공한다. 주요 제품군은 다음과 같다.
마끼다는 일본 내 최대 전동 공구 기업으로, 국내 시장 점유율 약 60%를 차지한다. 1970년대부터 해외 제조 및 판매에 주력하여 2014년 3월 기준 매출액의 82.8%가 해외에서 발생했다. 전 세계적으로 브랜드 인지도가 높으며, 세계 전동 공구 시장에서는 약 25%의 점유율로 블랙앤데커에 이어 2위를 기록하고 있는 세계적인 기업이다. 1970년대부터 해외 증권 거래소에 주식(예탁 증서)을 상장했다. 일본 국내 주력 공장은 아이치현 오카자키시에 위치한다.
마끼다는 일본 전국에 19개 지점과 127개 영업소를 두고 있으며, 전 세계 50개국 이상에 직영 영업 거점을 운영한다. 고객 밀착형 영업 활동과 신속한 애프터 서비스를 강점으로 내세우며, 전 세계 어디서든 3일 안에 수리를 완료하는 "수리 3일 체제"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본사 인근 야치요 병원의 신축 이전 시 제3공장 부지를 제공하는 등 지역 사회 공헌 활동에도 적극적이다.
재무적으로 매우 건전한 기업으로 평가받는다. 2014년 3월 기준 자기 자본 비율은 84%에 달하며, 영업 이익률 역시 10년 이상 10%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2014년 3월 기준 14.3%). 이는 제조업 평균(2013년도 2.8%)을 크게 상회하는 수치이다. 설립 이후 지속적으로 흑자 경영을 이어왔으며, 종업원 해고와 같은 구조 조정을 거의 실시하지 않았다. 실질적인 무차입 경영을 유지하며, 이는 소위 나고야식 경영으로 불린다. 이러한 우수한 재무 상태를 인정받아 2014년 1월부터 공표된 JPX 닛케이 인덱스 400에도 포함되었다.
2013년 4월에는 자회사인 마키타 누마즈를 흡수 합병하여, 기존 마키타 누마즈가 제조·판매하던 농업 기계 및 방재 기기(브랜드명 "래빗")도 취급하게 되었다. 다만, 소방 펌프를 포함한 방재 기기 사업은 2013년 4월 이후 IHI 시바우라에 양도되었고, 방재 기기로서의 "래빗" 브랜드는 2015년 3월에 폐지되었다.
2013년 9월에는 경영 재건 중이던 샤프와 업무 및 자본 제휴를 체결하고 약 100억엔를 출자했다. 제휴 내용은 전동 공구, 가정용 기기, OPE(Outdoor Power Equipment) 분야 등에서 마끼다 제품 라인업 확대를 위한 공동 개발, 샤프로부터의 상품 공급, 그리고 양사의 판매·애프터 서비스망 및 조달망 등 가치 사슬의 상호 활용을 포함한다.
3. 3. 가솔린 장비
마끼다는 가솔린 엔진을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장비 부문에서 절단기, 발전기, 체인톱, 낫, 큰낫, 예초기, 잔디 깎는 기계, 송풍기, 잔디 트리머 등을 개발하고 제조한다.
3. 4. 배터리 및 부속품
마끼다는 2005년에 18V 리튬 이온 무선 공구 제품군을 출시하였고,[18] 같은 해에 18V 리튬 이온 충전 공구 배터리를 개발했다.[7] 2020년에는 XGT 40Vmax 라인을 출시했다.
마끼다는 자사 공구를 위한 다양한 부속품을 제조하는데, 무선 공구용 배터리와 충전기, 제재 도구용 날과 작업 테이블 등이 있다. 또한 작업 현장으로 공구를 쉽게 운반할 수 있도록 운반 케이스도 제조한다.
4. 대한민국 시장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5. 사회적 기여
본사 근처의 야치요 병원 신축 이전 문제가 부상했을 때, 제3공장 부지를 제공하는 등 지역 사회 기여에도 적극적인 모습을 보인다.
6. 재무
마끼다는 재무 체질이 매우 양호한 기업으로 평가받는다. 2014년 3월 기준으로 자기 자본 비율은 84%에 달한다. 기업의 핵심 영업 활동으로 벌어들인 이익을 매출액으로 나눈 비율인 영업 이익률 역시 10년 이상 10% 이상을 꾸준히 기록하고 있으며, 2014년 3월기에는 14.3%를 달성했다. 이는 2013년도 일본 제조업 평균 영업 이익률인 2.8%와 비교했을 때 상당히 높은 수치로, 마끼다가 고수익 구조를 갖춘 기업임을 보여준다.
설립 이후 지속적으로 흑자 경영을 유지해 왔으며, 인력 감축과 같은 구조 조정은 거의 시행한 적이 없다. 또한, 부채 없이 경영하는 무차입 경영을 실질적으로 실현하고 있으며, 이는 흔히 나고야식 경영이라 불리는 안정적인 경영 방식의 특징이다.
이러한 건전한 재무 상태는 외부에서도 높게 평가받아, 2014년 1월부터 발표되기 시작한 JPX 닛케이 인덱스 400의 구성 종목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한편, 2013년 9월에는 경영난을 겪고 있던 샤프와 업무 및 자본 제휴를 맺고 약 100억엔을 출자했다. 이 제휴는 전동 공구, 가정용 기기, OPE(Outdoor Power Equipment, 옥외 동력 장비) 분야 등에서 마끼다 제품군 확대를 위한 공동 개발, 샤프로부터의 제품 공급, 그리고 양사가 보유한 판매망, 애프터 서비스망, 조달망 등 가치 사슬의 상호 활용을 목표로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Profile
http://www.makita.bi[...]
Makita
2019-03-31
[2]
웹사이트
A Global Brand
http://www.makita.bi[...]
Makita
[3]
웹사이트
Share holders
http://www.makita.bi[...]
Makita
2019-11-05
[4]
웹사이트
History
http://www.makita.bi[...]
Makita
2017-06
[5]
특허
Tool box
https://patents.goog[...]
[6]
특허
Tool box
https://patents.goog[...]
[7]
웹사이트
BL1820B: 18V LXT® Lithium‑Ion Compact 2.0Ah Battery
https://www.makitato[...]
Makita
[8]
웹사이트
ガバナンス
https://www.makita.c[...]
株式会社マキタ
[9]
간행물
四半期報告書(第107期第2四半期)
[10]
웹사이트
会社概要
http://www.e-toa.com[...]
株式会社トーア
[11]
웹사이트
マキタグループのあゆみ
https://www.makita.c[...]
[12]
PDF
連結子会社の吸収合併(簡易合併・略式合併)に関するお知らせ
http://www.makita.co[...]
[13]
PDF
シャープ株式会社との業務提携に関する基本合意締結のお知らせ
http://www.makita.co[...]
[14]
웹사이트
マキタ、空気圧縮機会社を買収、品ぞろえ強化へ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9-03-29
[15]
웹사이트
連結子会社の吸収合併(簡易合併・略式合併)に関するお知らせ
https://www.makita.c[...]
株式会社マキタ
2020-09-23
[16]
웹인용
Profile
http://www.makita.bi[...]
Makita
2019-08-14
[17]
웹인용
A Global Brand
http://www.makita.bi[...]
Makita
2019-08-14
[18]
웹인용
BL1820B: 18V LXT® Lithium‑Ion Compact 2.0Ah Battery
https://www.makitato[...]
Makit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