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드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드하는 아랍에미리트 내 오만의 월경지이며, 무산담 반도와 오만 본토 사이에 위치한다. 1969년 국경이 확정되었으며, 2003년 인구는 2,246명이었다. 마다는 험준한 산악 지형으로, 여름에는 덥고 건조하며 겨울에는 온화한 기후를 보인다. 관광 명소로는 물 샘, 사루즈 댐, 마드하 요새 등이 있으며, 매년 문화 축제가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만의 도시 - 무스카트
무스카트는 오만 만 연안에 위치한 오만의 수도로, 기원전 6천년경부터 인간 거주 흔적이 있는 오랜 역사를 지닌 무역항이었으나 19세기 후반 쇠퇴기를 거쳐 1970년 이후 석유 산업 발전과 함께 현대화되어 오만의 중심지로 발전했다. - 오만의 도시 - 시브
오만의 해안 도시 시브는 과거 포르투갈 요새가 있었고 현재 무스카트 국제공항이 위치하며, 시브 조약 체결지이자 관광 명소가 있는 곳으로, 술탄 하이탐 시티 건설을 통해 경제·사회적 변화를 겪고 있다. - 위요지 - 레소토
레소토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둘러싸인 내륙 국가로, 모슈슈 1세가 세운 왕국이 영국의 보호령을 거쳐 1966년 독립했으며, 현재는 입헌군주국으로 레체시 3세가 국가 원수, 샘 마테카네가 총리이다. - 위요지 -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는 호남 지방의 중핵 도시로서, 과거 무진주로 불리며 행정 중심지였고 광주학생독립운동과 5·18 민주화운동을 거쳐 민주주의와 인권의 상징 도시로 자리매김했으며 현재는 5개의 자치구와 다양한 문화, 경제, 스포츠 시설을 갖춘 광역시이다. - 월경지 - 달성군
대구광역시의 군인 달성군은 1914년 대구부와 현풍군이 통합되어 형성되었고, 1995년 대구광역시에 편입되었으며, 2010년대 이후 인구 증가와 함께 2021년 26만 명을 넘어 6읍 3면으로 구성, 비슬산맥과 낙동강을 중심으로 지형이 나뉜다. - 월경지 - 젤레노그라드
젤레노그라드는 1958년 모스크바 북서쪽에 건설된 계획 도시로, 전자 공학 기술 개발을 위해 조성되었으며, 러시아의 실리콘밸리로 불리고, 현재는 기술 혁신을 지원하는 특별 경제 구역이다.
마드하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 | |
공식 명칭 | 마다 |
로마자 표기 | Madha |
다른 이름 | (와디 마다) |
위치 | 오만 |
종류 | 오만의 윌라야 (wilayah) |
면적 | 75 km² (제곱킬로미터) |
해발 고도 | 41 m (미터) |
행정 | |
국가 | 오만 |
특별 행정구 | 무산담 특별 행정구 |
술탄 | 하이트함 빈 타리크 알 사이드 |
총독 | 사이이드 이브라힘 빈 사이드 알 부사이디 |
왈리 | 라아드 알-부사이디 |
인구 | |
총 인구 (2017년) | 2,473명 |
시간대 | |
시간대 | GST |
UTC 오프셋 | +4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해당 없음 |
2. 역사
19세기 초 마드하는 라스알카이마의 카와심에 속해 있었으나, 1869년에서 1900년 사이에 디바 알 바야의 시후 부족이 무력으로 점령했다. 이후 마드하니 사람들은 시후의 지도자 무함마드 빈 살리흐와 연합했지만, 더 강력한 정부의 필요성을 느꼈다.
마다는 오만의 월경지로, 아랍에미리트 영토 내에 위치하며 무산담 반도와 오만 본토 사이에 자리 잡고 있다. 행정 구역상으로는 오만 무산담 특별행정구의 '''마다 현'''에 속한다. 지리적 좌표는 북위 25도 17분 4초, 동경 56도 19분 59초이며[13], 중심부의 해발고도는 41m이다.[13] 마다는 내륙에 위치한 월경지이므로 해안선은 없다.
1930년대 후반 또는 1940년대 초, 무산담 반도를 다스리던 네 부족의 지도자들(라스알카이마의 알 카시미, 샤르자의 알 카시미, 푸자이라의 알 샤르키, 그리고 오만의 부 사이드)은 마드하의 마을 원로들을 모아 어느 군주국에 충성을 맹세할 것인지 물었다.[4] 주변의 다른 마을들(마드하 내에 위치한 나흐와 포함)은 샤르자, 푸자이라, 라스 알 카이마의 지배 가문을 선택했지만, 마드하니 사람들은 오만 술탄의 현지 대표(왈리)였던 함마드 빈 사이프 알 부 사'이디의 설득을 받아들였다. 마드하니 사람들은 오만이 더 부유하고 강력한 정부를 가지고 있으며, 마을의 물 공급을 더 잘 보호해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믿었기 때문에 오만을 선택했다.[5]
1969년에 아랍에미리트 영토 내 오만의 월경지로서 마드하의 경계가 최종적으로 확정되었다.[5]
2014년에는 지역 역사가인 무함마드 빈 살렘 알 마드하니의 수집품을 소장하기 위한 박물관 건설 계획이 발표되었다.[7]
3. 지리
이 월경지의 면적은 약 75km2이며, 푸자이라와 호르 파칸을 잇는 도로 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 도로에서 마다로 진입하는 출구는 두 곳이 마련되어 있다. 마다의 국경은 1969년에 최종적으로 확정되었다.[5]
마다의 인구는 3,000명 미만으로[6], 2003년 조사 당시에는 2,246명이었다.[12] 지역 대부분은 사람이 거의 살지 않지만, "신 마드하"(New Madhaeng)라고 불리는 개발된 지역을 중심으로 생활이 이루어진다. 이 지역에는 도로, 학교, 우체국, 오만 은행, 전력 및 담수 공급 시설, 활주로, 경찰서 등이 갖추어져 있다. 로열 오만 경찰 순찰대도 활동하고 있다.
마다의 가장 독특한 지리적 특징 중 하나는 그 내부에 또 다른 월경지가 존재한다는 점이다. 나와(Nahwa)라고 불리는 이 지역은 법적으로 아랍에미리트 샤르자 토후국의 영토로, 오만의 월경지인 마다 안에 위치한 아랍에미리트의 월경지, 즉 이중 월경지를 형성하고 있다.
3. 1. 기후
마다는 험준한 산악 지대로, 여름은 덥고 건조하며 겨울은 온화한 기후를 보인다.[8] 연평균 강수량은 약 115mm이다.
3. 1. 1. 기온
마다는 여름에는 덥고 건조하며 겨울에는 온화한 기후를 보인다.[8]
두 가지 다른 출처에 따른 마다의 월별 평균 기온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한 출처에 따르면 1월 평균 최고 기온은 24.6°C, 최저 기온은 13.6°C이며, 다른 출처(세계 기상 기구)[9]에서는 1월 평균 최고 기온 23.4°C, 최저 기온 15°C로 나타난다. 가장 더운 달 중 하나인 7월의 경우, 첫 번째 출처에서는 평균 최고 38.5°C, 최저 28.6°C를 기록했고, 두 번째 출처[9]에서는 평균 최고 36.7°C, 최저 30.8°C를 기록했다.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평균 최고 기온 (°C) | 24.6°C | 24.6°C | 27.8°C | 32.8°C | 36.7°C | 37.9°C | 38.5°C | 37.7°C | 36.6°C | 33.9°C | 29.9°C | 26.1°C |
평균 최저 기온 (°C) | 13.6°C | 14.1°C | 17.2°C | 20.7°C | 24.4°C | 26.6°C | 28.6°C | 28.3°C | 25.9°C | 22.1°C | 17.8°C | 15.2°C |
3. 1. 2. 강수량
2000년부터 2009년까지의 세계 기상 기구 자료에 따르면, 마다는 연중 강수량이 매우 적은 편이다.[9] 특히 6월(0.3mm)과 8월(0mm)에는 비가 거의 내리지 않는다.[9] 반면, 12월(17.9mm)과 1월(17.4mm)에는 상대적으로 강수량이 많다.[9]4. 인구
5. 행정
마다는 오만의 무산담 특별행정구 '''마다 현'''에 속하는 월경지이다.[13] 지리적으로는 무산담 반도와 오만 본토 사이에 위치한 아랍에미리트 영토 내에 자리 잡고 있다. 북위 25도 17분 4초, 동경 56도 19분 59초에 위치하며[13], 중심부의 해발고도는 41m이다.[13] 내륙에 위치하여 해안선은 없다.
마다의 면적은 75km2이며[13], 푸자이라와 호르 파칸을 잇는 도로 상에 위치한다. 현재의 국경은 1969년에 최종적으로 확정되었다.[5] 이는 1930년대 후반 또는 1940년대 초, 마다 주민들이 오만이 더 강력한 정부를 가지고 있고 지역의 물 공급을 더 잘 보호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오만 술탄에게 충성을 맹세하기로 결정한 결과이다.[4]
인구는 2003년 기준으로 2,246명이었으며,[12] 최근에는 3,000명 미만으로 추산된다.[6]
마다는 대부분 사람이 살지 않는 지역이지만, "신 마드하"(مدحاء الجديدة|마다 알자디다ara)라고 불리는 개발된 구역이 중심 역할을 한다. 이 지역에는 도로, 학교, 우체국, '이드 광장, 경찰서, 오만 은행, 전력 및 수도 공급 시설, 활주로 등 기본적인 사회 기반 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또한 로열 오만 경찰 순찰대가 주둔하며 치안을 담당한다.
마다 영토 내에는 아랍에미리트 샤르자 토후국의 영토인 나와 마을이 위치하고 있어, 월경지 안에 또 다른 월경지가 존재하는 이중 월경지라는 독특한 행정 구역 형태를 띤다.[4]
2014년에는 지역 역사가인 무함마드 빈 살렘 알 마드하니의 수집품을 전시하기 위한 박물관 건설 계획이 발표되기도 했다.[7]
6. 이중 월경지
마다 내부에는 나와(Nahwa)라는 마을이 있는데, 이 곳은 법적으로 아랍에미리트의 샤르자 토후국 영토에 속한다. 따라서 나와는 오만의 월경지인 마다 안에 위치한 아랍에미리트의 월경지가 되어, 월경지 안의 월경지, 즉 이중 월경지를 형성한다. 이는 동심원처럼 월경지가 겹쳐 있는 독특한 구조이다.
7. 관광 명소
마드하에는 여러 물 샘이 있다. 아인 알사마이는 초당 3리터의 유량을 보이며, 아인 하자르 바니 하미드는 초당 약 4리터의 유량을 보인다.
무산담 주 마드하 지역에 위치한 사루즈 댐은 이 도시의 주요 명소 중 하나이다. 최근 비가 내린 후 댐이 상당히 채워져 담수호가 형성되었으며, 아름다운 경치와 신선한 물을 즐기려는 여행객들에게 인기 있는 관광지가 되었다.[8]
마드하에는 여러 역사적 건축물이 있으며, 그중 마드하 요새는 17세기 술탄 빈 사이프 알-야루비 통치하에 건설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요새는 전통적인 오만 건축 양식을 잘 보여주는 사례로, 역사에 관심 있는 이들에게 방문할 만한 곳이다.[8]
농업 지역에는 잘 자란 반얀나무 무리가 있다. 이곳은 산에서 솟아나는 물을 이용한 팔라지 관개 시스템으로 물을 공급받는다.
마드하 하우스 박물관은 무함마드 빈 살렘 알 마드하니가 설립했으며, 1976년부터 전시품을 수집하기 시작했다. 박물관에는 기원전 시대의 도자기, 화폐, 농기구 등 수많은 유물과 골동품이 전시되어 있다. 또한 돌에 새겨진 비문, 화살촉 조각, 창을 비롯한 고대 무기, 봉인, 시계, 다양한 오만 암석 등도 소장하고 있다. 특히,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에 사용된 그리스 은화, 양면에 별이 새겨진 작은 돌 동전, 우마이야 왕조와 아바스 왕조 시대에 주조된 동전 등 서기 10세기부터의 여러 문서, 필사본, 역사적인 동전도 전시되어 있다.
8. 문화
마드하는 매년 열리는 문화 축제로도 유명하다. 이 축제에서는 지역의 풍부한 역사와 문화를 기리기 위해 전통 음악 및 무용 공연, 요리 축제, 미술 및 공예 전시회가 열린다.[8]
참조
[1]
뉴스
Prince William begins Oman visit in Musandam
https://www.omanobse[...]
2020-01-23
[2]
웹사이트
Data Portal
https://data.gov.om/[...]
2021-08-03
[3]
문서
Madha
http://geosite.jankr[...]
[4]
뉴스
Madha village's pledge of allegiance changed the map forever
https://www.thenatio[...]
2018-01-05
[5]
뉴스
A century-old choice created one of the Gulf's oddest geopolitical features
https://www.economis[...]
2023-01-14
[6]
뉴스
Tremors cause panic in Madha village in Oman
http://gulfnews.com/[...]
2009-05-09
[7]
뉴스
Madha Museum Drive in Oman Collects OMR300,000
http://main.timesofo[...]
2014-08-11
[8]
웹사이트
Exploring the Enclave of Madha in Oman
https://thepoliticsw[...]
2023-06-16
[9]
웹사이트
World Weather Information Service
https://worldweather[...]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24-08-18
[10]
웹사이트
البوابة الإعلامية
https://www.omaninfo[...]
2023-08-13
[11]
웹사이트
البوابة الإعلامية
https://www.omaninfo[...]
2023-08-13
[12]
문서
Musandam Governorate
http://www.omanet.om[...]
オマーン情報省
[13]
문서
Maps,Weather,Videos,and_Airports_for_Madhah,United_Arab_Emirates
http://www.fallingr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