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케도니카 제5군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케도니카 제5군단은 옥타비아누스가 창설한 로마 군단으로, 기원전 30년부터 서기 6년까지 마케도니아에 주둔하며 '마케도니카'라는 코그노멘을 얻었다. 1세기에는 유대-로마 전쟁과 파르티아 전쟁에 참전했으며, 2세기에는 트라야누스 황제의 다키아 원정과 바르 코크바의 반란 진압에 참여했다. 이후 다키아와 근동 지역에서 활동하며 여러 황제로부터 칭호를 받았으며, 3세기에는 포타이사에 주둔했다. 4세기에 다키아에서 철수하여 오이스쿠스로 복귀했으며, 일부는 비잔티움 제국 군대에 편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군단은 680년 동안 존속하며 역사상 가장 오래 존속한 로마 군단 중 하나이며, 하드리아누스 황제를 비롯한 여러 인물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케도니아 속주 - 파르살루스 전투
    파르살루스 전투는 기원전 48년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폼페이우스 간에 벌어진 로마 내전의 결정적인 전투로, 카이사르가 승리하여 로마의 유일한 권력자가 되는 발판을 마련했다.
  • 마케도니아 속주 - 필리피 전투
    필리피 전투는 기원전 42년 율리우스 카이사르 암살 후 로마 공화정 주도권을 놓고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와 옥타비아누스의 삼두정치 군대와 브루투스와 카시우스의 해방자 군대 간에 벌어진 두 차례의 전투로, 삼두정치 군대의 승리로 로마 공화정이 몰락하고 제정으로 전환되는 계기가 되었다.
  • 기원전 40년대 설립 - 갈리카 제3군단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창설한 갈리카 제3군단은 로마 제국의 주요 사건에 참여하고 시리아 속주에 장기간 주둔하며 동방 지역 안정화에 기여했으며 4세기 초까지 존속했다.
  • 기원전 40년대 설립 - 게르마니카 제1군단
    게르마니카 제1군단은 아우구스투스 시대에 창설되어 히스파니아와 게르마니아에서 활약하며 명예를 얻고 잃었지만, 바타비아 반란에서 패배하여 해체된 후 제7군단 게미나로 재편성된 로마 군단이다.
  • 유대-로마 전쟁 - 베스파시아누스
    베스파시아누스는 69년부터 79년까지 로마 제국을 통치한 황제이며, 유대 전쟁을 진압하고 내전을 수습하여 권력을 강화했으며, 재정 개혁과 로마 재건 사업을 추진하고 백성들에게 관대한 통치를 했다고 평가받는다.
  • 유대-로마 전쟁 - 마사다
    마사다는 사해 연안의 바위산에 있는 고대 요새로, 하스모네아 왕조 시대에 요새화되었으나 헤롯 대왕이 확장했고, 유대-로마 전쟁 중 시카리 반군이 점령하여 로마에 저항하다 함락되었으며, 현대 이스라엘에서 민족적 성지로 여겨지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다.
마케도니카 제5군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서기 125년 [[하드리아누스]] 황제 시기의 로마 제국 지도. 서기 107년부터 161년까지 [[모이시아 인페리오르]] 속주의 [[트로이스미스]]([[루마니아]])에 주둔한 마케도니아 제5군단이 표시되어 있음.
서기 125년 하드리아누스 황제 시기의 로마 제국 지도. 모이시아 인페리오르 속주의 트로이스미스(루마니아)에 주둔한 마케도니아 제5군단이 표시되어 있음 (107년–161년)
활동 기간기원전 43년 - 7세기 중
국가로마 공화정, 로마 제정, 동로마 제국
종류로마 군단 (마리우스)
후대에는 코미타텐시스
역할강습 보병 (일부 기병 지원)
규모시기에 따라 변화. 원수정 시기에 5,000–6,000명
주둔지마케도니아 (기원전 30년–서기 6년)
모이시아 오에스쿠스 (6년–62년)
오에스쿠스 (71년–101년)
다키아 트로에스미스 (107년–161년)
다키아 포롤리센시스 포타이사 (166년–274년)
오에스쿠스 (274년–5세기)
별칭추정상 Urbana 혹은 Gallica (기원전 31년 이전)
Macedonica (마케도니아, 서기 6년 이래)
Pia Fidelis (충실하고 충성한 자들), 혹은 Pia Constans (충실하고 믿을 수 있는 자들, 185–7년 이래)
Pia III Fidelis III (발레리아누스 시기)
Pia VII Fidelis VII (갈리에누스 시기)
마스코트수소, 독수리
전투 및 전쟁
참전악티움 해전 (기원전 31년)
코르불로의 파르티아 원정 (63년)
제1차 유대-로마 전쟁 (66년–70년)
트라야누스의 다키아 전쟁 (101년–106년)
베루스의 파르티아 전쟁 (161년–166년)
이슬람의 이집트 정복 (639년-646년)
(이 전쟁 중 참전에 대한 증거는 알려져 있지 않음)
군단의 벡실라티오들이 여러 전쟁에 참전.

2. 역사

마케도니카 제5군단은 기원전 43년 옥타비아누스가 창설한 28개 군단 중 하나로, '갈리카 제5군단', '우르바나 제5군단' 등으로 불렸을 가능성이 있다. 악티움 해전(기원전 31년)에 참전했을 수 있으며, 기원전 30년부터 서기 6년까지 마케도니아 속주에 주둔하면서 '마케도니카'(Macedonica)라는 코그노멘을 얻었다. 서기 6년 모이시아 속주의 오이스쿠스로 이동하였다.

서기 45년, 모이시아 속주에서 발칸산맥 남쪽 트라키아인들의 반란을 진압하는 데 투입되었다.[13] 62년에는 아르메니아에서 벌어진 네로의 파르티아 전쟁에 일부 병력이 참전했다가 란데이아 전투에서 패전하기도 했다.[13] 이후 5군단 전체는 갈리카 제3군단, 페라타 제6군단, 프레텐시스 제10군단 등과 함께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코르불로의 지휘 아래 파르티아와의 전쟁을 종결시키기 위해 동방으로 보내졌다.[13]

66년 제1차 유대-로마 전쟁 발발 당시 5군단은 동방에 주둔하고 있었으며,[13] 네로는 반란 진압을 위해 티투스 플라비우스 베스파시아누스에게 5군단, 프레텐시스 제10군단, 아폴리나리스 제15군단을 파견했다.[13] 5군단은 갈릴리에서 세포리스를 평화롭게 항복시키고, 사마리아인들의 주요 성소인 게리짐산을 정복하는 등의 활약을 펼쳤다.[13] 네 명의 황제의 해인 68년에는 엠마우스에 주둔했다.[13] 이후 베스파시아누스가 황제로 선언되고 그의 아들 티투스가 유대 전쟁을 마무리하면서, 5군단은 71년 오이스쿠스로 복귀하였다.[13]

101년, 5군단은 트라야누스 황제의 다키아 원정에 참전하여 데케발루스 왕에 맞서 싸웠고, 106년 전쟁이 끝난 후 다뉴브강 삼각주 인근 트로이스미스 (오늘날 이글리타)에 주둔했다.[14] 하드리아누스 황제는 5군단을 다키아에서 유대 속주로 이동시켜 바르 코크바의 반란(132-136년)을 진압하게 했다.[15]

161-166년 루키우스 베루스 황제의 파르티아 원정에 참전한 후,[4] 다키아 포롤리스센시스로 복귀하여 포타이사를 기지로 삼았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 시기에는 마르코만니족, 야지게스족, 콰디족과의 전쟁에 참여하여 다키아 속주를 방어했다.[4] 콤모두스 황제 즉위 초에는 페스켄니우스 니게르와 클로디우스 알비누스의 지휘 아래 야지게스족을 격파하고,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를 지지하여 황제 즉위에 기여했다. 185년 혹은 187년, 다키아에서 용병군을 격파하고 '피아 콘스탄스'(Pia Constans, "충실하고 믿을 수 있는 자들") 또는 '피아 피델리스'(Pia Fidelis, "충실하고 충성스러운 자들")라는 칭호를 받았다.[14]

발레리아누스 황제는 5군단에 ''III 피아 III 피델리스''(III Pia III Fidelis)라는 칭호를, 그의 아들 갈리에누스 황제는 ''VII 피아 VII 피델리스''(VII Pia VII Fidelis)라는 칭호를 부여했다.[5] 3세기 대부분을 포타이사(Potaissa)에 주둔하면서 여러 전투에 참여하여 많은 훈장을 받았다.

아우렐리아누스 황제가 다키아를 철수한 후, 274년에 오에스쿠스로 돌아와 이 지역을 방어했다. 동방 야전군 사령관 휘하의 코미타텐시스 부대가 되었으며, 비잔티움 제국 군대의 일부가 되었을 것이다.[5]

갈리에누스 황제가 창설한 기병 부대는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에 의해 완전히 분리되어 그의 코미타투스의 일부가 되었다. 이 부대는 메소포타미아로 보내져 296년에 사산 제국과 성공적으로 싸웠으며, 이후 멤피스로 보내져 비잔틴 제국 군대의 일부가 될 때까지 그곳에 주둔했다.[5]

노티티아 디그니타툼에 따르면, 마케도니카 제5군단은 다키아 리펜시스에 주둔했고, 동방 야전군과 이집트에 분견대가 있었다.[5] 안타에아폴리스와 헬리오폴리스의 비문에서도 다시 언급되었는데, 이들은 멤피스에 있던 부대의 분견대로 보인다. 마지막 비문은 635년 또는 636년으로, 이는 군단의 적어도 일부가 637년에 아랍의 이집트 정복이 시작되기 직전까지 이집트에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마케도니카 제5군단을 기원전 43년부터 서기 637년까지 680년 동안 존속한 역사상 가장 오래 존속한 로마 군단으로 만들며, 고전 시대의 로마 제국 전체 역사를 아우른다.[6]

2. 1. 기원전 1세기: 창설과 마케도니아 배치

옥타비아누스가 창설한 28개 군단 중 하나인 마케도니카 제5군단은 '갈리카 제5군단', '우르바나 제5군단' 등으로 불렸을 가능성이 있다. 악티움 해전(기원전 31년)에 참전했을 수 있으며, 이후 마케도니아 속주에 기원전 30년부터 서기 6년까지 주둔하면서 '마케도니카'(Macedonica)라는 코그노멘을 얻었다. 서기 6년 모이시아 속주의 오이스쿠스로 이동하였다.

2. 2. 1세기: 제1차 유대-로마 전쟁

서기 45년, 모이시아 속주에서 발칸산맥 남쪽 트라키아인들의 반란을 진압하는 데 투입되었다.[13] 62년, 5군단 소속 벡실라티오 일부가 아르메니아에서 벌어진 네로의 파르티아 전쟁 때 루키우스 카이센니우스 파이투스 지휘 하에 참전했다.[13] 란데이아 전투에서 패전한 뒤, 마케도니아 제5군단 전체는 갈리카 제3군단, 페라타 제6군단, 프레텐시스 제10군단 등과 함께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코르불로 지휘 하에서 파르티아와의 전쟁을 종결시키기 위해 동방으로 보내졌다.[13]

제1차 유대-로마 전쟁이 66년에 유대 속주에서 시작됐을 때 5군단은 동방에 여전히 있었을 것이다.[13] 네로는 이 반란 진압을 위해 티투스 플라비우스 베스파시아누스에게 마케도니카 제5군단, 프레텐시스 제10군단, 아폴리나리스 제15군단을 보냈다.[13] 67년 갈릴리에서, 세포리스라는 도시가 로마군에 평화롭게 항복하였고, 이후에 마케도니카 제5군단은 사마리아인들의 주요 성소인 게리짐산을 정복했다.[13] 네 명의 황제의 해 당시인 68년에, 마케도니카 제5군단은 별다른 활동 없이 엠마우스에 머물렀고, 이곳에는 마케도니카 5군단 소속 병사들의 묘비 일부가 남아있다.[13] 베스파시아누스의 황제 선언 및 그의 아들 티투스의 지휘 끝에 유대 전쟁이 종결되면서, 마케도니카 5군단은 유대를 떠나 71년 오이스쿠스로 복귀하였다.[13] 85년-86년에 벌어진 도미티아누스의 다키아 전쟁 초기에 참전했었다.[13]

96년에 하드리아누스 황제가 이 군단의 장교 ('트리부누스 밀리툼')으로 복무했다.[13]

2. 3. 2세기: 다키아와 근동에서

101년, 제5군단 마케도니카는 트라야누스 황제의 다키아 원정에 참전하여 데케발루스 왕에 맞서 싸웠다. 106년 전쟁이 끝난 후, 군단은 다뉴브강 삼각주 인근 트로이스미스 (오늘날 이글리타)에 주둔했다.[14] 군단의 백부장이었던 칼벤티우스 비아토르는 황제의 호위 기병대 대장인 '에퀴테스 싱굴라레스 아우구스티'(equites singulares Augusti)로 승진했다.[14]

하드리아누스 황제는 제5군단을 다키아에서 유대 속주로 이동시켜 바르 코크바의 반란(132-136년)을 진압하게 했다.[15] 베타르 근처에서 발견된 로마 시대 금석문에는 5 군단과 클라우디아 제11군단이 언급되어 있다.[14]
바티르 근처에서 발견된 로마 시대 금석문


161-166년 루키우스 베루스 황제의 파르티아 원정에 참전했다.[4] 이후 다키아 포롤리스센시스로 복귀하여 포타이사를 기지로 삼았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 시기 마르코만니족, 야지게스족, 콰디족과의 전쟁에 참여하여 다키아 속주를 방어했다.[4]

콤모두스 황제 즉위 초, 페스켄니우스 니게르와 클로디우스 알비누스의 지휘 아래 야지게스족을 격파했다. 이후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를 지지하여 황제 즉위에 기여했다.

185년 혹은 187년, 다키아에서 용병군을 격파하고 '피아 콘스탄스' (Pia Constans, "충실하고 믿을 수 있는 자들") 또는 '피아 피델리스' (Pia Fidelis, "충실하고 충성스러운 자들")라는 칭호를 받았다.[14]

2. 4. 이후: 영예와 발전

3세기 대부분을 포타이사(Potaissa)에 주둔하면서 마케도니카 제5군단은 여러 전투에 참여하여 많은 훈장을 받았다. 발레리아누스 황제는 제5군단에 ''III 피아 III 피델리스''(III Pia III Fidelis)라는 칭호를 부여했고, 그의 아들 갈리에누스 황제는 ''VII 피아 VII 피델리스''(VII Pia VII Fidelis)라는 칭호를 부여했다. 이 칭호는 군단이 찬탈자 인게누스와 레갈리아누스에 대항하는 기병 부대로 사용되었을 때(260년, 모이시아) 수여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군단의 일부(vexillatio)는 빅토리누스와의 전쟁에 참전했다(골, 269–271).[5]

아우렐리아누스 황제가 다키아를 철수한 후, 군단은 274년에 오에스쿠스로 돌아와 이후 이 지역을 방어했다. 동방 야전군 사령관 휘하의 코미타텐시스 부대가 되었으며, 아마도 비잔티움 제국 군대의 일부가 되었을 것이다.[5]

갈리에누스 황제가 창설한 기병 부대는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에 의해 완전히 분리되어 그의 코미타투스의 일부가 되었다. 이 부대는 메소포타미아로 보내져 296년에 사산 제국과 성공적으로 싸웠으며, 이후 멤피스로 보내져 비잔틴 제국 군대의 일부가 될 때까지 그곳에 주둔했다.[5]

노티티아 디그니타툼에 따르면, 마케도니카 제5군단은 다키아 리펜시스에 주둔했고, 동방 야전군과 이집트에 분견대가 있었다.[5]

마케도니카 제5군단은 안타에아폴리스와 헬리오폴리스의 비문에서도 다시 언급되었는데, 이들은 멤피스에 있던 부대의 분견대였던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 비문은 635년 또는 636년으로, 이는 군단의 적어도 일부가 637년에 아랍의 이집트 정복이 시작되기 직전까지 이집트에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마케도니카 제5군단을 기원전 43년부터 서기 637년까지 680년 동안 존속한 역사상 가장 오래 존속한 로마 군단으로 만들며, 고전 시대의 로마 제국 전체 역사를 아우른다.[6]

3. 출신 인물

마케도니카 제5군단 출신 인물 중에는 백부장, 군단장(레가투스 레기오니스), 트리부누스 등 다양한 계급에서 복무한 이들이 있었다. 훗날 황제가 된 푸블리우스 아일리우스 하드리아누스도 이 군단에서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로 복무했다.[18][7]

3. 1. 주요 인물 목록

이름계급활동 시기속주출처
아틸리우스 베루스[18][7]백부장62년 이전모이시아ILB 52
M. 블로시우스 Q. f. 안니엔시스 푸덴스[18][7]백부장67년–70년모이시아ILS 2641
Ti. 클라우디우스 T. f. 비탈리스[18][7]백부장81년–85년모이시아ILS 2656 = IPD 4 794 = IDRE I 3
M. Iulius V(o)ltinia[18][7]백부장85년과 95년 사이모이시아 인페리오르
레시우스 알바누스[18][7]백부장티베리우스 재위 추정모이시아ILB 47
L. Lepidius L. f. An(iensi) Proculus[18][7]백부장67년–70년이탈리아
발레리우스 크리스푸스[18][7]백부장71년과 101년 사이모이시아 인페리오르E. Peeva, N. Sharankov, Archaeologia Bulgarica 10, 2006, 1, pp. 25–33, A-C
L. 발레리우스 L. f. 프로쿨루스[18][7]백부장85년과 95년 사이모이시아 인페리오르
폴리오[18][7]백부장67년–71년모이시아
스티미니우스[18][7]백부장67년–71년모이시아
루키우스 아르토리우스 카스투스[18][7]백부장, 프리미필루스185년 이전모이시아 인페리오르;
안니우스 비니키아누스[18][7]레가투스 레기오니스63년아르메니아타키투스의 편년사, XV.28
Sex. 베툴레누스 케리알리스[18][7]레가투스 레기오니스67년-70년유대플라비우스 요세푸스의 BJ III, 7, 32; VI, 4, 3
퀸투스 폼페이우스 팔코[18][7]레가투스 레기오니스101년경-102년
티투스 칼레스트리우스 티로 오르비우스 스페라투스[18][7]레가투스 레기오니스105년과 110년 사이모이시아 인페리오르AE 1965, 320
마르쿠스 코미니우스 세쿤두스[19][8]레가투스 레기오니스141년경 - 144년경
마르쿠스 세다티우스 세베리아누스[19][8]레가투스 레기오니스144년경 – 147년경ILS 9487;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레디투스[19][8]레가투스 레기오니스152년경
아일리우스 옵타투스[19][8]레가투스 레기오니스156년경 – 159년경
푸블리우스 비겔리누스 사투르니누스[19][8]레가투스 레기오니스159년경 – 162년경ILS 1116
푸블리우스 마르티우스 베루스[19][8]레가투스 레기오니스162년경–166년카파도키아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20][9]레가투스 레기오니스180년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클라우디아누스[21][10]레가투스 레기오니스194년과 196년 사이,
도미티우스 안티고니우스[21][10]레가투스 레기오니스222년경
P(ublius) Oppiu[s]?[22][11]옵티오69년경-70년경유대?
L. Praecilius Clemens Iulianus[18][7]프라이펙투스 카스트로눔36년–43년모이시아
C. 바이비우스 아티쿠스[18][7]프리미필루스클라우디우스 재위모이시아; 1839 = ILS 1349
T. 폰티니우스[18][7]프리미필루스클라우디우스 재위 추정모이시아
L. 프라이킬리우스 클레멘스 율리아누스[18][7]프리미필루스36년과 43년 사이모이시아
[A]prenas Clemens[18][7]트리부누스 앙구스티클라비우스?모이시아 인페리오르(Narnia, Regio VI)
L. Clodius P. f. Cla(udia) Ingenuus[18][7]트리부누스 앙구스티클라비우스베스파시아누스 혹은 도미티아누스 재위모이시아
C. Nonius C. f. Vel(ina) Flaccus[18][7]트리부누스 앙구스티클라비우스베스파시아누스 재위 추정모이시아
C. Set[tidius] C. f. Pup(inia) Fir[mus][18][7]트리부누스 앙구스티클라비우스67년-70년모이시아PME, S 45 (Pola, Regio X)
T. 루틸리우스 바루스[18][7]트리부누스 앙구스티클라비우스네로 재위모이시아
M. 발레리우스 M. f. Gal. 프로핑쿠우스 그라티우스 케레알리스[18][7]트리부누스 앙구스티클라비우스84/85년모이시아ILS 2711
L. 볼카키우스 프리무스[18][7]트리부누스 앙구스티클라비우스클라우디우스 혹은 네로 재위모이시아ILS 2737
마르쿠스 옵시우스 나비우스 판니아누스[23][12]트리부누스 앙구스티클라비우스티베리우스 재위?IG XIV.719 (IGR I.431); Tacitus, Annales IV.68, 71
이름 불명[18][7]트리부누스 앙구스티클라비우스클라우디우스 재위모이시아, PME, Inc 183
이름 불명[18][7]트리부누스 앙구스티클라비우스클라우디우스 혹은 네로 재위모이시아, Spoletium, Regio VI, PME, Inc 204
C. 율리우스 몬타누스[18][7]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56년 이전모이시아ILS 978; after Tacitus, Annales XIII, 25
티투스 유니우스 몬타누스[18][7]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네로 재위모이시아
푸블리우스 아일리우스 하드리아누스[18][7]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95년경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 "Hadrian", 3
마르쿠스 아킬리우스 프리스쿠스 에그릴리우스 플라리아누스[18][7]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95년 이후; ;
푸블리우스 클루비우스 막시무스 파울리누스[18][7]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127년 이전
가이우스 야볼레누스 칼비누스[18][7]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138년 이전ILS 1060
가이우스 율리우스 셉티미우스 카스티누스[18][7]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2세기 후반
Q. Cornelius M. f. Gal(eria tribu) Valerianus[18][7]프라이펙투스 벡실라티오눔클라우디우스 재위트라키아; after ILS 2713
M. Clodius M. f. Fab(ia tribu) Ma[...][18][7]프라이펙투스 벡실라티오눔56/57년 이전이탈리아


참조

[1] 웹사이트 Oescus - from castra to colonia https://www.research[...] 2021-04-03
[2] 서적 Archaeological Researches in Palestine during the Years 1873-74 London 1899
[3] 서적 Bar-Kokhba Random House New York 1971
[4] 서적 Marcus Aurelius' rain miracle and the Marcomannic wars Brill 2009
[5] 간행물 Notitia Dignitatum In Partibus Occidentis
[6] 간행물 The Longest Lived Legion Ancient Warfare
[7] 웹사이트 The Roman Army in Moesia Inferior https://www.academia[...] Conphys Publishing House 2010
[8] 서적 Konsulat und Senatorenstand unter den Antoninen Bonn: Habelt Verlag 1977
[9] 서적 Konsuln und Konsulare in der Zeit von Commodus bis Severus Alexander Amsterdam: J.C. Gieben 1989
[10] 서적 Konsuln und Konsulare
[11] 웹사이트 22952 Grabstele des Publius Oppius ...cio http://lupa.at/22952
[12] 논문 Les carrières sénatoriales dans les provinces romaines d'Anatolie au Haut-Empire (31 av. J.-C. - 284 ap. J.-C.) http://www.persee.fr[...] Istanbul: Institut Français d'Études Anatoliennes-Georges Dumézil 1989
[13] 웹사이트 Oescus - from castra to colonia https://www.research[...] 2021-04-03
[14] 서적 Archaeological Researches in Palestine during the Years 1873-74 London 1899
[15] 서적 Bar-Kokhba Random House New York 1971
[16] 간행물 Notitia Dignitatum In Partibus Occidentis
[17] 간행물 The Longest Lived Legion Ancient Warfare
[18] 웹인용 The Roman Army in Moesia Inferior https://www.academia[...] Conphys Publishing House 2010
[19] 서적 Konsulat und Senatorenstand unter den Antoninen Bonn: Habelt Verlag 1977
[20] 서적 Konsuln und Konsulare in der Zeit von Commodus bis Severus Alexander Amsterdam: J.C. Gieben 1989
[21] 서적 Konsuln und Konsulare
[22] 웹사이트 22952 Grabstele des Publius Oppius ...cio http://lupa.at/22952
[23] 논문 Les carrières sénatoriales dans les provinces romaines d'Anatolie au Haut-Empire (31 av. J.-C. - 284 ap. J.-C.) http://www.persee.fr[...] Istanbul: Institut Français d'Études Anatoliennes-Georges Dumézil 198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