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름모육팔면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름모육팔면체는 아르키메데스 다면체 중 하나로, 모든 꼭짓점이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정육면체 또는 정팔면체의 면을 분리하고 밀어낸 후 그 사이에 정사각형과 정삼각형을 채워 넣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표면적은 약 21.464a^2, 부피는 약 8.714a^3이며, 최적 쌓임 밀도는 \frac{4}{3} \left( 4\sqrt{2} - 5 \right)이다. 정육면체와 정팔면체와 같은 대칭성을 가지며, 팔면체 대칭을 갖는다. 벨라루스 국립 도서관의 건축물 형태로 사용되었으며, 루카 파치올리 초상화와 신성 비율 삽화 등 예술 작품에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키메데스의 다면체 - 다듬은 정육면체
    깎은 정육면체는 정육면체의 꼭짓점을 잘라 만든 다면체로, 6개의 정팔각형과 8개의 정삼각형으로 구성되고, 마름모 입방팔면체 등과 연관되며, 데카르트 좌표계와 트리보나치 수열로 꼭짓점 위치를 나타낼 수 있고, 키랄성 및 팔면체 대칭성을 가지며 여러 분야에 활용됩니다.
  • 아르키메데스의 다면체 - 깎은 정이십면체
    깎은 정이십면체는 정이십면체의 꼭짓점을 잘라낸 아르키메데스의 다면체로, 32개의 면, 90개의 변, 60개의 꼭짓점을 가지며, 축구공, 풀러렌 분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마름모육팔면체
개요
마름모육팔면체
마름모육팔면체
종류아르키메데스
균일 다면체
정삼각형: 8개
정사각형: 18개
48개
꼭짓점24개
대칭정팔면체군 Oh
오각십이면체군 Th
슐레플리 기호r{3, 4}
꼭짓점 도형polyhedron small rhombi 6-8 vertfig.svg
꼭짓점 배열24 (3 · 43)
쌍대델토이드 이십사면체
전개도Polyhedron small rhombi 6-8 net.svg
다른 이름작은 마름모육팔면체, 절단 마름모십이면체, 늘린 정사각형 직이각지붕
각도
정사각형-정사각형135°
정사각형-정삼각형144.7°

2. 기하학적 성질

마름모육팔면체는 정육면체(파란 면) 또는 정팔면체(빨간 면)를 팽창시킨 형태를 하고 있다.


1596년에 제작된 해시계. 독일 뷔르템베르크 주립 박물관 소장


마름모육팔면체는 아르키메데스 다면체 중 하나로, 모든 꼭짓점이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한쪽을 45° 회전시켜도 꼭짓점 모양이 변하지 않으며, 이로 인해 만들어지는 입체는 미러의 입체라고 불린다. 균일 큰 마름모육팔면체도 이와 유사한 성질을 갖는다.[2]

마름모육팔면체는 정육면체정팔면체와 동일한 팔면체 대칭을 갖는다. 하지만 6개의 직사각형 면과 16개의 사다리꼴 면을 갖는 두 번째 변형 세트는 팔면체 대칭을 갖지 않고 사면체 대칭을 갖는다. 따라서 정사면체와 같은 회전에 대해서는 불변이지만 다른 반사를 갖는다. 이 도형은 점대칭이며, 키랄하지 않다.[6]

성질
겉넓이a영어를 한 변의 길이로 할 때
부피a영어를 한 변의 길이로 할 때
외접구 반지름한 변을 2로 할 때


  • 겉넓이: a영어를 한 변이라고 할때
  • 부피: a영어를 한 변이라고 할때
  • 외접구 반지름: 한 변을 2로 하면

2. 1. 구성 방법

마름모육팔면체는 정육면체로부터 만들 수 있다. 각 면의 가운데에 원래 정육면체의 모서리에 평행한 작은 정육면체를 그리고, 정육면체의 모서리를 제거한 후, 정사각형 면들을 서로 인접한 정사각형들을 추가하여 연결하고, 꼭짓점은 정삼각형으로 채운다. 또는 두 개의 정사각뿔을 팔각 기둥의 밑면에 부착해서 마름모육팔면체를 만들 수 있다.[2]

마름모육팔면체는 "확장된 팔면체" 또는 "확장된 정육면체"라고도 불린다. 정육면체 또는 정팔면체의 면들을 중심에서 분리하고 밀어낸 다음(애니메이션에서 각각 파란색 또는 빨간색으로 표시됨), 그 사이에 정사각형과 정삼각형을 채워 넣어 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구성 과정은 확장이라고 한다. 위의 모든 방법을 사용하여 마름모육팔면체는 8개의 정삼각형과 16개의 정사각형을 면으로 갖는다.[3]

마름모육팔면체는 정육면체 또는 정팔면체의 모든 모서리와 꼭짓점을 잘라내어 만들 수도 있는데, 이 과정을 교정이라고 한다.

모서리 길이가 2인 마름모육팔면체의 데카르트 좌표는 \left(\pm \left(1 + \sqrt{2}\right), \pm 1, \pm 1 \right)의 순열이다.

2. 2. 공식

한 모서리의 길이를 a영어라고 할 때, 마름모육팔면체의 겉넓이(A영어)와 부피(V영어)는 다음과 같다.

:A영어 = (18+2√3)a영어2 ≈ 21.464a영어2

:V영어 = (12+10√2)/3a영어3 ≈ 8.714a영어3

마름모육팔면체의 겉넓이 A영어는 모든 면의 면적, 즉 8개의 정삼각형과 18개의 정사각형을 더하여 구할 수 있다. 마름모육팔면체의 부피 V영어는 이를 두 개의 사각 돔과 하나의 팔각기둥으로 잘라서 구할 수 있다.[4]

마름모육팔면체의 최적 쌓임 밀도는 다음과 같다.

:

이 최적 값은 브라베 격자에서 얻어진다는 것이 밝혀졌다. 마름모육팔면체는 마름모십이면체에 포함되어 있으며, 그 내접구는 마름모육팔면체의 내접구와 동일하므로 최적 쌓임 밀도의 값은 케플러 추측의 귀결이다. 즉, 마름모 십이면체 벌집의 각 셀에 마름모육팔면체를 넣음으로써 달성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이를 초과하는 가상의 쌓기에 있는 각 마름모육팔면체에 구를 넣음으로써 구의 최적 쌓임 밀도를 초과할 수 있으므로 초과할 수 없다.

마름모육팔면체의 이각은 사각 돔과 팔각 기둥의 이각을 더하여 구할 수 있다.

  • 상단과 하단의 두 인접한 정사각형 사이의 마름모육팔면체의 이각은 사각 돔의 이각인 135°이다. 두 인접한 정사각형 사이의 팔각 기둥의 이각은 정팔각형의 내부 각도 135°이다. 사각 돔이 팔각 기둥에 연결된 모서리에서 두 인접한 정사각형 사이의 이각은 사각 돔의 정사각형-팔각형 이각과 팔각 기둥의 정사각형-팔각형 이각의 합인 45° + 90° = 135°이다. 따라서, 모든 두 개의 인접한 정사각형에 대한 마름모육팔면체의 이각은 135°이다.
  • 마름모육팔면체의 정사각형-삼각형 이각은 그 사이의 사각 돔의 이각인 144.7°이다. 사각 돔이 팔각 기둥에 연결된 모서리에서 정사각형-삼각형 사이의 이각은 사각 돔의 삼각형-팔각형 이각과 팔각 기둥의 정사각형-팔각형 이각의 합인 54.7° + 90° = 144.7°이다. 따라서, 모든 정사각형-삼각형에 대한 마름모육팔면체의 이각은 144.7°이다.


성질
겉넓이한 변을 a영어라고 할 때
부피한 변을 a영어라고 할 때
외접구 반지름한 변을 2로 하면


2. 3. 대칭성

마름모육팔면체는 정육면체정팔면체와 동일한 팔면체 대칭 \mathrm{O}_\mathrm{h} 을 갖는다.[5] 그러나 마름모육팔면체는 6개의 직사각형 면과 16개의 사다리꼴 면을 갖는 두 번째 변형 세트를 가지는데, 이는 팔면체 대칭을 갖지 않고 사면체 대칭 \mathrm{T}_\mathrm{h} 을 갖는다. 따라서 정사면체와 같은 회전에 대해서는 불변이지만 다른 반사를 갖는다. 이 도형은 점대칭이며, 대칭성은 반전 중심의 출현에 의해 상호 교환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키랄하지 않다. 즉, 자신의 거울상과 합동이다.[6]

마름모육팔면체는 아르키메데스 다면체인데, 이는 매우 대칭적이고 반정규 다면체임을 의미하며,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정다각형 면이 한 꼭짓점에서 만난다. 모든 꼭짓점에서 만나는 다각형 면은 하나의 정삼각형과 세 개의 정사각형이며, 꼭짓점 도형 3 \cdot 4^3 으로 표시된다. 이 도형의 쌍대다면체는 델토이드 이십사면체로, 카탈랑 다면체이며 마름모육팔면체와 동일한 대칭성을 공유한다.

3. 그래프

마름모육팔면체의 그래프


마름모육팔면체의 골격은 다면체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그래프가 평면 그래프이고 3-정점 연결임을 의미한다. 즉, 그래프의 가장자리는 그려지는 동안 교차하지 않으며, 임의의 두 정점을 제거해도 연결된 부분 그래프가 남는다.

마름모육팔면체 그래프는 24개의 정점과 48개의 변을 갖는다. 각 정점이 다른 4개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사차 그래프이며, 아르키메데스 다면체의 그래프와 유사하여 아르키메데스 그래프로 분류된다.

4. 한국에서의 마름모육팔면체

민스크에 위치한 벨라루스 국립 도서관은 마름모육팔면체 형태의 건축물로 유명하다.[8] 1980년대 큐브 열풍 당시, 마름모육팔면체 형태의 트위스트 퍼즐이 판매되었다.[9][10]

5. 예술 작품에서의 등장

야코포 데 바르바리의 작품으로 알려진 ''루카 파치올리 초상화''. 물이 반쯤 채워진 유리 마름모육팔면체가 묘사되어 있다.


마름모육팔면체는 예술 작품에서도 나타난다. 1495년 야코포 데 바르바리의 작품으로 전통적으로 알려진 ''루카 파치올리 초상화''에는 물이 반쯤 채워진 유리 마름모육팔면체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그렸을 수 있다.[11]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작품인 마름모육팔면체의 최초 인쇄 버전은 파치올리의 ''신성 비율''(1509)에 등장했다.

6. 관련 다면체

마름모육팔면체는 정육면체정팔면체의 면을 중심에서 분리하고 밀어낸 다음, 그 사이에 정사각형과 정삼각형을 채워 넣어 만들 수 있다. 이 때문에 "확장된 정육면체" 또는 "확장된 팔면체"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구성 과정은 확장이라고 한다. 정육면체나 정팔면체의 모든 모서리와 꼭짓점을 잘라내어 만드는 과정을 교정이라고 한다.

마름모육팔면체를 만드는 또 다른 방법은 두 개의 정정사각뿔을 정팔각 기둥의 밑면에 부착하는 것이다.[2]

모서리 길이가 2인 마름모육팔면체의 데카르트 좌표는 \left(\pm \left(1 + \sqrt{2}\right), \pm 1, \pm 1 \right)의 순열이다.

깎은 정육면체


깎은 큰 마름모육팔면체


꼬마육각형십이면체


마름모 십이 면체


깎은 정육면체

6. 1. 존슨의 다면체

미러의 다면체는 한쪽을 45° 회전시킨 형태로 마름모육팔면체와 유사하다. 그 외에도 쌍사각대탑반기둥(22.5° 비틀기), 같은 방향 쌍사각대탑(각기둥 제거), 정사각대탑주(한쪽의 대탑 제거) 등도 마름모육팔면체와 관련 있는 존슨의 다면체이다.

참조

[1] Harvp
[2] Harvp
[3] Harvp
[4] Harvp
[5] Harvp
[6] Harvp
[7] Harvp
[8] Harvp
[9] 웹사이트 Soviet Puzzle Ball http://twistypuzzles[...] 2015-12-23
[10] 웹사이트 Diamond Style Puzzler https://www.jaapsch.[...] 2017-05-31
[11] 간행물 The Portrait of Fra Luca Pacioli
[12] 서적 プラトンとアルキメデスの立体 三次元に浮かびあがる美の世界 ランダムハウス講談社 2005-11
[13] 문서 切稜立方体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