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리우스 막시무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리우스 막시무스는 세베루스 왕조 시대에 활약한 로마의 원로원 의원으로, 두 차례 집정관을 역임하고 로마의 프라이펙투스 우르비(도시 행정관)를 지냈다. 그는 군사적 경력을 쌓은 후, 여러 속주에서 총독을 역임했으며, 카라칼라 황제 사후 로마의 프라이펙투스 우르비로 임명되었다. 막시무스는 12명의 황제에 대한 전기를 저술했으나, 원본은 소실되었고, 그의 저술은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를 비롯한 후대 문헌에서 인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세기 역사가 - 디오 카시우스
    디오 카시우스는 22년에 걸쳐 80권의 《로마사》를 저술한 그리스계 로마인 역사가이며, 코모두스 황제 시대에 원로원 의원을 지내고 아프리카 속주와 판노니아 총독을 역임했으며, 그의 저서는 로마 제정 중기의 정치 상황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 3세기 역사가 - 덱시포스
    덱시포스는 3세기의 그리스 역사가이자 군인으로,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역사, 고트족과의 전쟁, 1,000년간의 역사를 기록했으며, 267년 헤룰리족의 아테네 약탈 당시 용감하게 맞서 싸워 그의 저술들은 헬레니즘 시대와 로마 제국 연구에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 160년 출생 - 무선황후
    무선황후는 기생 출신으로 조조의 첩이 되었다가 부인이 되었으며, 아들 조비가 황제가 된 후 황태후와 태황태후로 불렸고, 검소하고 지혜로운 성품으로 칭송받았으며, 230년에 사망하여 조조와 합장되었다.
  • 160년 출생 - 채부인
    삼국시대 유표의 부인인 채부인은 유종을 후계자로 옹립하려 했고 유비를 제거하려 했으나, 유종이 조조에게 항복한 후 우금에게 살해당하며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인물로, 여러 매체에서 묘사되었으며 게임 《진삼국무쌍》 시리즈에서는 매력적인 여성 캐릭터로 등장한다.
  • 고대 로마의 전기 작가 - 타키투스
    타키투스는 로마 제정 초기 역사를 다룬 저서를 남긴 역사가이자 정치가로, 황제와 원로원 간의 권력 관계, 지배층의 부패, 언론 자유의 중요성 등을 다루며 후대 역사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고대 로마의 전기 작가 - 플루타르코스
    플루타르코스는 46년에 태어난 고대 그리스의 작가이자 전기 작가로, 『플루타르코스 영웅전』과 『모랄리아』 등의 저서를 통해 서양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마리우스 막시무스
인물 정보
이름마리우스 막시무스
로마자 표기Marius Maximus
출생약 160년
사망약 230년
활동 분야정치가, 역사가
직업로마 원로원 의원, 집정관
생애 및 경력
출생약 160년경
사망약 230년경
주요 활동콤모두스, 페르티낙스,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카라칼라, 마크리누스, 엘라가발루스, 알렉산데르 세베루스 시대의 로마사 저술
아프리카 속주 총독
로마 시의 총독
213년: 집정관
저술
주요 저서《황제열전》
특징12명의 황제에 대한 전기
수에토니우스의 영향을 받음
흥미로운 일화와 스캔들을 강조
문장 스타일은 평범하고 세련되지 못함
부정확한 정보와 과장된 내용 포함
평가후대 역사가들에게 인기 있는 자료
헤로디아누스와 《Historia Augusta》의 주요 출처

2. 생애

마리우스 막시무스는 아프리카 출신으로 추정되며, 기사 계급 가문에서 태어나 원로원 의원으로 신분 상승을 이루었다. 그의 아버지 L. 마리우스 페르페투스는 갈리아 지역의 기사 계급 프로쿠라토르였으며, 아들 막시무스가 원로원 계급으로 진입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5]

그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재위 시절 군 경력을 시작하여 콤모두스 시기에 원로원 의원이 되었고,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치하에서는 군 사령관과 총독을 역임했다. 특히 루그두눔 전투에서 클로디우스 알비누스를 상대로 승리한 후 갈리아 벨기카의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이후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코엘레시리아 총독을 거쳐, 아시아 속주아프리카 속주프로콘술을 역임하는 등 이례적인 경력을 쌓았다. 이는 카라칼라 황제의 신임을 얻었기 때문으로 보인다.[7]

마크리누스 치하에서 로마프라이펙투스 우르비를 역임했고, 알렉산데르 세베루스 시기에는 두 번째 집정관직을 수행했다.[5]

2. 1. 초기 경력

마리우스 막시무스는 서기 160년경에 태어났으며,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 재위 기간에 프리미게니아 제22군단에서 트리부누스 야티클라비우스로 군 복무를 시작했다.[5] 대략 178년에서 180년까지는 이탈리카 제3군단에서 같은 직위를 맡았다. 그는 '콰투오르비리 비아룸 쿠란다룸'(로마시 성벽 외곽 도로 담당관) 중 한 명이기도 했다. 서기 182년/183년경에는 로마시 재무관을 역임한 후 호민관 후보로 지명되었다.

콤모두스 황제 시기에 원로원 의원이 되었고, 법무관직으로 신분이 상승했다. 대략 서기 190년에는 라티나 가도의 감독관을 역임한 후, 파벤티아의 시민 감독관 (curator rei publicae)을 역임했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가 권력을 장악한 193년에는 다뉴브강 저지에 있던 이탈리카 제1군단의 레가투스 레기오니스였고 페스켄니우스 니게르에 맞서는 군사 활동에도 참여했다. 193년과 1996년 사이에는 모이시아비잔티움의 군 사령관이었다.[6]

2. 2.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치하

셉티미우스 세베루스가 권력을 잡은 193년에, 마리우스 막시무스는 다뉴브강 저지에 있던 이탈리카 제1군단의 레가투스 레기오니스였고 페스켄니우스 니게르에 맞서는 군사 활동에도 연루되었다.[5] 193년과 196년 사이에는 모이시아비잔티움의 군 사령관이었다.[5]

2. 3. 클로디우스 알비누스와의 전쟁

197년, 마리우스 막시무스는 모이시아와 루그두눔의 군 사령관(둑스)이었다. 이 시기에 그는 클로디우스 알비누스에 맞서 루그두눔 전투를 치렀고, 이후 갈리아 벨기카의 레가투스 아우구스티 프로 프라이토레(총독)로 임명되어 서기 199년까지 이 직위를 유지했다.[6] 아마도 총독 임기 마지막 해에, 그는 보좌 집정관으로서 첫 집정관직을 경험했다 (서기 199년 혹은 200년경).[6]

2. 4. 속주 총독

마리우스 막시무스는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의 레가투스 아우구스티 프로 프라이토레(총독)를 역임했으며, 그 뒤를 이어 205년부터 208년까지 코엘레시리아의 총독직을 수행했다.[7]

213년과 217년 사이에는 아시아 속주아프리카 속주프로콘술(총독)을 연이어 역임했다. 순서가 정확하지는 않지만, 213/214년부터 아프리카 속주의 총독을 수행하고, 215년부터 216년까지 아시아 속주의 총독을 맡았을 가능성이 높다. 원로원 의원 경력으로 두 프로콘술직을 모두 역임한 것은 전례가 없는 일이었다. 특히 아시아 속주 총독을 2년 연속 역임한 것은 이례적인 일로, 카라칼라 황제의 신임을 받았음을 보여준다.[7]

2. 5. 이후 경력

마크리누스 황제는 218년에 마리우스 막시무스를 로마프라이펙투스 우르비(도시 장관)로 임명했고, 219년까지 이 직책을 맡았다.[5] 엘라가발루스 황제 재위 기간에는 কোন পদ পাননি, 알렉산데르 세베루스 황제 시기인 223년에 루키우스 로스키우스 아일리아누스 파쿨루스 살비우스 율리아누스와 함께 두 번째 집정관직을 수행했다.

2. 6. 가족 관계

마리우스 막시무스는 루키우스 마리우스 막시무스라는 아들을 두었는데, 그는 232년에 집정관을 역임했다.[5] 마리우스는 또한 203년경에 보좌 집정관이었던 루키우스 마리우스 페르페투스라는 형제가 있었다.[5] 일부 학자들은 그가 역사가 카시우스 디오의 누이와 결혼했다고 추정한다.[4]

3. 전기집

마리우스 막시무스는 네르바 황제부터 엘라가발루스 황제까지 12명의 황제 전기를 저술했다. 그의 저서는 수에토니우스의 '로마 황제전'의 속편으로 기획되었으며, 가십, 황제의 사생활, 스캔들 등을 다루는 등 흥미 위주의 서술 방식을 택했다.[1] 권력자의 위치에서 12명 중 최소 7명의 황제를 직접 경험했던 막시무스는 디오 카시우스처럼 역사서를 쓸 수도 있었지만, 다소 가벼운 전기 형식을 선호했다.[1]

그의 저서는 히에로니무스(예로니모),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 그리고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 (아우구스타 열전)의 익명 작가에게 비판받았지만,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의 작가는 그를 최소 26번 직접 인용했고, 아마 다른 많은 곳에서도 그를 활용했을 것이다.[1]

마리우스는 자신의 저서에 서신, 원로원 포고령 등도 인용했지만, 일부는 그가 꾸며낸 것으로 보인다.[1] 그의 저서는 선정적인 내용에도 불구하고, 귀중한 정보를 많이 포함하고 있다.[1]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에 실린 엘라가발루스 암살에 대한 상세한 묘사는 마리우스 막시무스의 저서에서 가져온 것으로 여겨진다.[1]

3. 1. 평가와 영향

히에로니무스(예로니모)와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 등은 그의 저술을 비판적으로 평가했다.[1] (진보 진영에서는 히에로니무스와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의 역사관이 다소 편향적이라고 보는 시각도 있다.)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Historia Augusta)의 작가는 마리우스 막시무스를 주요 사료로 활용했으며, 최소 26번 이상 직접 인용했다.[1]

그의 저술은 가십, 황제들의 사생활에 대한 자극적인 내용들, 냉소적 비평들, 수치스러운 일화들, 외설 등을 제공하며 수에토니우스의 뒤를 잇고 능가하려는 의도를 보였다.[1] 그는 서신, 원로원의 포고령 등도 인용했지만, 일부는 그가 꾸며낸 것으로 보이며, 이는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의 작가가 받아들인 방식이었다.[1]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에서 하드리아누스부터 엘라가발루스까지 황제들의 전기 부분이 마리우스의 저서를 주요 출처로 사용했을 것이라는 학계의 오랜 생각이 있었다.[4] 하지만 로널드 사임은 마리우스의 이름이 인용된 모든 구절들은 저자의 주요 서술 기법의 보간(補間)으로 볼 수 있으며, 다채롭고 다소 가벼운 일화나 비판적인 비평을 제공했다는 점을 강조했다.[4]

로널드 사임은 마리우스의 저서 내용이 이차출처이고,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의 저자는 익명의 좋은 전기 작가를 한층 더 진지한 출처로서 따랐다고 보았다.[4]

3. 2.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와의 관계

학계에서는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아우구스타 열전)의 하드리아누스부터 엘라가발루스까지 황제들의 전기 부분이 마리우스 막시무스의 저서를 주요 사료로 사용했다는 주장이 오랫동안 제기되었다. 앤서니 벌리는 이 주장을 옹호하는 대표적인 학자이다.[1] 반면, 로널드 사임은 마리우스 막시무스의 인용이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 작가의 서술 기법 중 하나일 뿐이며, 주요 사료는 익명의 다른 전기 작가였을 것이라고 주장한다.[1] 로널드 사임은 보수적인 역사관을 가진 학자로 평가받기도 한다.

로널드 사임이 지적한 마리우스 막시무스가 언급된 예시는 다음과 같다.[1]

인물내용
아일리우스 베루스고기 요리 (테트라파르마쿰) 개발
하드리아누스점성술에 전문적 지식 보유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와 그의 황후 소 파우스티나신뢰가 떨어지는 다양한 이야기들
콤모두스원로원의 비굴한 환호를 보낸 일


참조

[1] 서적 Mennen
[2] 서적 Mennen
[3] 서적 Mennen
[4] 서적 Continuité gentilice et continuité sénatoriale dans les familles sénatoriales romaines à l'époque impériale
[5] 서적 Mennen
[6] 서적 Mennen
[7] 서적 Menne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