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토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스토돈(Mammut)은 멸종된 장비목의 한 속으로, 매머드과에 속하며, 젖꼭지 모양의 이빨을 가진 동물을 의미한다. 18세기 초 북아메리카에서 화석이 발견된 이후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맘무트 아메리카눔(M. americanum)은 북미에서 가장 널리 분포했던 종이다. 마스토돈은 짧은 두개골과 하악골, 튼튼한 사지 뼈를 특징으로 하며, 잎을 먹는 초식성이었다. 북아메리카,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등지에 분포했으며, 숲 환경을 선호했다. 맘무트는 무리를 지어 생활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인간과의 관계에서 미국 민족주의를 상징하는 존재가 되었고, 고대 인디언의 사냥 대상이 되기도 했다. 맘무트의 멸종 시기는 약 75,000년 전으로, 기후 변화, 인간의 사냥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마스토돈(''Mastodon'')이라는 명칭은 그리스어 μαστός|마스토스el(젖가슴)와 ὀδούς|오두스el(이빨)에서 유래했다. '마스토돈'은 영어식 표현이다. 
마스토돈(''Mammut'')은 매머드과(Mammutidae)의 기준 속이자, 코끼리상목(elephantimorph) 클레이드 매머드상목(Mammutida)의 유일한 과이다. μαστός|mastós|젖가슴grc + ὀδούς|odoús|이grc에서 유래된 "젖꼭지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81] 매머드과는 치아의 융기선이 자이고돈트 형태인 점이 특징이며, 이는 과의 진화 역사 전체에서 형태적으로 보존되었다. ''Mammut''은 강한 자이고돈트 발달로 인해 과의 파생된 속으로 간주된다.[81] 
마스토돈은 신장이 2~3미터이며, 짧은 갈색 털을 가졌었다고도 한다. 아메리카 마스토돈(''M. americanum'')을 비롯해, 여러 종류의 화석이 발견되었다.[91][92]
2. 명칭
또한 ''레비아탄''이라는 명칭은 성경의 괴물 레비아탄(리바이어선)에서 유래했다.
3. 분류
3. 1. 연구사
1713년, 에드워드 하이드, 제3대 클래런던 백작(Lord Cornbury로도 알려짐)은 뉴욕 주에서 영국의 왕립 학회에 보낸 편지에서, 1705년 허드슨 강 근처에서 네덜란드인 시골 사람에 의해 큰 치아가 발견되었다고 보고했다. 이 치아는 럼주 한 잔에 뉴욕 주 의회 의원에게 팔렸고, 결국 그 의원을 통해 콘버리에게 전해졌다.[4][1] 그는 올버니의 기록관을 보내 더 많은 뼈를 찾도록 했다.[4]
1739년, 샤를 3세 르 모인(롱게유로도 알려짐)의 지휘 하에 프랑스 군사 원정대가 현재 미국 켄터키주에 위치한 빅 본 릭 지역을 탐사하고 그곳에서 화석 뼈와 치아를 수집했다.[5]
1767년, 피터 콜린슨은 아일랜드 상인 조지 크로건이 그와 벤자민 프랭클린에게 신비로운 코끼리류의 화석 증거를 보내 자신의 연구에 사용하도록 했다고 말했다. 그는 특이한 어금니(구치)가 초식성 식단에 적합하게 만들어졌다는 결론을 내렸고, 이 견해는 나중에 프랭클린이 따랐다.[11][12]
1768년, 스코틀랜드 해부학자 윌리엄 헌터는 그와 그의 형제 존 헌터가 그 치아가 현대 코끼리의 치아와 같지 않다는 것을 관찰했다고 기록했다. 그는 오하이오에서 발견된 "어금니"가 육식 동물의 것이라고 판단했지만, 상아는 같은 동물에 속한다고 믿었다. 프랭클린과 셸번 경의 화석을 검토한 후, 헌터는 "''가짜 코끼리''", 또는 "''미지의 동물''"(줄여서 "''incognitum''")이 코끼리와는 별개의 종이며 시베리아에서 발견된 코끼리류와도 같은 종일 수 있다고 확신했다.[13]
1799년, 일꾼들이 뉴욕 뉴버그 (타운)에서 점토질 퇴적물 구덩이를 파는 동안 대퇴골을 발견했고, 그 후의 발굴은 100명이 넘는 군중이 지켜보았다.[18] 미국의 화가이자 전시가인 찰스 윌슨 필은 1801년 그 지역을 방문하여 처음 화석을 스케치한 다음, 발굴 권한과 화석에 대한 완전한 소유권을 구입하고 미국철학회(APS)로부터 대출을 받았다. 필라델피아, 펜실베이니아. 첫 번째 골격 외에, 두 번째 골격은 약 3.66m 깊이의 점토질 구덩이를 배수하기 위해 방앗간과 같은 장치를 사용하여 발굴되었다. 필은 1804년 필의 필라델피아 박물관에 완전한 골격을 조립했다.[19] 특별 전시는 수천 명의 방문객을 끌어모았고, 그 골격은 미국의 국가적 상징이 되었다.[20] 찰스 필의 아들 렘브란트 필은 그 골격을 유럽으로 가져가서 화석 코끼리과 동물을 홍보하고 제퍼슨이 뷔퐁이 주장한 미국 동물군의 열등성에 대한 최종 반박을 뒷받침하는 데 사용했다. 작가 키스 스튜어트 톰슨은 "매머드" 골격의 홍보로 인해 그것이 미국 민족주의의 상징이 되었고 "매머드"라는 용어가 거대함과 관련되었다고 주장했다.[21]
1799년, 독일의 박물학자 요한 프리드리히 블루멘바흐는 북아메리카 오하이오에서 발굴된 화석 뼈를 바탕으로 ''맘무트'' 속을 만들고 ''Mammut ohioticum'' 종을 만들었다. 그는 이 종이 거대한 어금니의 특이한 모양 때문에 선사 시대의 다른 동물들과 구별된다고 말했다. "Mammut"이라는 속명은 "매머드"의 독일어 번역을 나타낸다.[30]
1806년, 조르주 퀴비에는 북아메리카에서 뷔퐁이 이전에 묘사한 뼈는 코끼리가 아니라 "''마스토돈''" 또는 "''오하이오 동물''"이라고 불리는 다른 동물이라고 말했다.[35] 1817년, 퀴비에는 공식적으로 속명 ''Mastodon''을 확립하고, 이것이 멸종되었으며 살아있는 후손을 남기지 않았다고 재확인했다.[37]
19세기 동안 다양한 화석 장비목 종들이 ''마스토돈''으로 분류되었다가 결국 별개의 속으로 재분류되었다.[34]
1902년, 미국의 고생물학자 올리버 페리 헤이는 ''맘모트''가 가장 오래된 속 이름이라는 지위에 따라 우선 순위가 높은 속 이름으로 나열하여 ''마스토돈''을 후행 동의어로 분류했다. 그는 또한 ''M. americanum''을 기준 종으로 설정했다.[39] ''마스토돈''이라는 속 이름은 이후 20세기 초에 많은 미국 고생물학자들에 의해 ''맘모트''를 선호하여 폐기되었다.[62][63][64][34]
3. 2. 계통
μαστός|mastós|젖가슴grc + ὀδούς|odoús|이grc에서 유래된 "젖꼭지 이"라는 뜻을 가진 마스토돈(''Mammut'')은 매머드과(Mammutidae)의 기준 속이며, 코끼리상목(elephantimorph) 클레이드 매머드상목(Mammutida)의 유일한 과이다. 매머드과는 치아의 융기선이 자이고돈트 형태인 점이 특징이며, 이는 과의 진화 역사 전체에서 형태적으로 보존되어 왔다. ''Mammut''은 강한 자이고돈트 발달로 인해 과의 파생된 속으로 간주된다.[81]
다음은 장비류의 계통 발생을 나타내는 분기도이다.[90]
4. 형태


마스토돈은 알려진 가장 큰 장비목 중 하나였다. 아메리카 마스토돈(''M. americanum'')은 현존하는 코끼리보다도 컸다. 완전히 성장한 수컷 ''M. americanum''의 어깨 높이는 평균 2.9m, 체중은 8ton으로 추정된다.[112] 이는 수컷이 살아있는 아시아 코끼리와 아프리카 숲 코끼리보다 평균적으로 몸무게와 어깨 높이가 더 크고, 아프리카 사바나 코끼리의 평균 수컷보다는 무겁지만, 약간 더 짧다는 것을 보여준다.[112] 워렌 매머드는 어깨 높이가 289cm였고, 체중은 7.8ton이었다.[112] 평균보다 큰 개체는 어깨 높이가 325cm까지 되고, 무게는 11ton까지 나갔을 수 있다.[112]
현존하는 코끼리와 마찬가지로 아메리카 마스토돈 수컷은 암컷보다 더 컸으며, 더 크고 강하게 굽은 엄니를 가지는 경향이 있었다.[115]
아메리카 마스토돈(''M. americanum'')은 1세기 이상 동안의 고생물학적 미술에서 덥수룩하고 갈색 털을 가진 것으로 묘사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맘무트''가 실제로 털로 덮여 있었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직접적인 증거는 거의 없다.
4. 1. 골격
''맘모트''는 짧아진 두개골 기저부(기저두개)와 돔 형태의 높은 두개골을 특징으로 하며, 짧아진 하악 심포시스(또는 "단두")와 하악의 돌출된 각형 돌기를 가진 "코끼리 모양"의 하악골을 가진 것으로 진단된다.[91][92]
''M. americanum'' (아메리카 마스토돈)은 길고 낮은 두개골과 짧아진 하악골을 가진 것으로 진단된다.[95] 전두골(이마)은 현존하는 코끼리에 비해 평평한 모습을 보인다.[96] ''M. americanum''의 두개골은 관찰할 수 있는 많은 원시형질을 가지고 있다.[97] ''M. americanum''은 또한 다소 직사각형 윤곽을 가진 높고 좁은 눈구멍을 가지고 있다.[98]
''M. americanum''은 여러 뇌주형으로 알려져 있으며, 1973년 신경과학자 해리 J. 제리슨은 ''맘모트''의 뇌주형을 연구하여 크기와 모양 모두 코끼리와 유사하다고 기록했다.[99]
''맘모트''의 척주(등뼈 또는 척추라고도 함)는 ''맘모투스''처럼 어깨 앞쪽에 가장 높은 지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109] ''맘모트''는 일반적으로 20개의 흉추를 가지고 있는 반면, ''맘모투스''는 일반적으로 19개를 가지고 있지만, 둘 다 18개를 가진 개체가 기록되어 있다.[109] ''맘모트''의 꼬리는 최대 27개의 미추로 구성되었을 수 있으며, 이는 곰포테레나 코끼리과에 비해 긴 꼬리를 가졌음을 시사한다.[112]
''맘모트''의 어깨뼈(또는 견갑골)는 곧은 척추 경계를 가지고 있다.[109] 골반은 종의 성별을 식별할 수 있게 해주는데, 수컷 ''맘모트''는 암컷보다 더 작은 골반 출구와 더 넓은 장골을 가지고 있다.[109]
''맘모트''는 파생된 코끼리과에 비해 짧고 더 튼튼한 사지 뼈를 가지고 있다.[109]
4. 2. 치아
Mammut영어의 치열은 강하게 자이고돈트하고 작은 이가 없는 것으로 진단된다.[91][48] 융기(loph)는 어금니의 긴 축으로 뻗어 있다. 치열에서 처음 두 개의 어금니는 3개 이하의 융기를 가지며, 세 번째 어금니는 4개의 융기와 치경을 갖는다.[91] Mammut영어의 위쪽 엄니(또는 위쪽 앞니)는 일반적으로 더 큰 크기, 곧거나 위로 휘어지는 경향, 그리고 에나멜 띠가 없는 특징을 보인다.[91][48] 다만, ''M. vexillarius''는 위쪽 엄니에 매우 좁은 에나멜 띠를 유지한다.[48] 아래쪽(또는 하악) 엄니는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91] ''M. nevadanum''은 북아메리카 맘무티드 종 중 에나멜 띠가 없는 최초의 사례를 나타내지만, 마모로 인해 떨어져 나갔을 가능성을 자동적으로 배제할 수는 없다.[48] 이는 거의 일직선이지만 아래를 향하는 위쪽 엄니로 인해 ''M. americanum'' 및 ''M. pacificum''과 다르며, 후자 두 종의 수컷은 크고 위를 향하는 위쪽 엄니를, 암컷은 위 또는 직선이지만 앞쪽으로 향하는 위쪽 엄니를 가지고 있다.[76]
파생된 맘무티다와 엘레판티다의 아래쪽 엄니의 감소 또는 손실과 하악 심포니스의 감소는 수렴 진화의 한 예이며, 이는 후기 마이오세와 플리오세 동안 지구 온도와 습도의 감소로 인한 열 손실을 줄여야 할 필요성과 관련될 수 있다.[90] 아래쪽 엄니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여전히 신생대 종인 Mammut영어에 존재했다. 홍적세의 ''M. americanum''은 비교적 하악 엄니가 없는 경우가 많고, ''M. pacificum''은 항상 그것들이 없다.[48] ''M. raki''에서 아래쪽 엄니의 존재는 이를 ''M. pacificum''과 구별되는 종으로 만든다. ''M. pacificum''은 부분적으로 더 좁은 어금니로 ''M. americanum''과 다르다. 두 종 모두 "좁은 치아"인 ''M. nevadanum'', ''M. raki'', ''M. cosoensis''에 비해 더 넓은 어금니를 가지고 있다.[76]
''M. americanum''은 매우 큰 엄니를 가지고 있었으며, 일부 기록에서는 3m의 길이와 200mm를 초과하는 직경이 드물지 않음을 시사한다.[106] 초기 등장한 ''M. matthewi''의 두개골에서, 오리건 주(Oregon) 허미스턴(Hermiston) 지역의 오른쪽 엄니의 치아 소와는 약 200mm의 엄니 직경을 나타낸다.[48] 현대 코끼리와 유사하게, ''M. americanum''은 위쪽 엄니의 크기로 나타나는 성적 이형성 정도를 가지고 있다. 성인 수컷은 성인 암컷보다 1.15–1.25 배 큰 엄니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두 성별 간의 일반적인 신체 크기 차이를 반영한다. 엄니의 크기는 개체의 나이에 따라 다르며, 나이가 많은 개체는 젊은 개체보다 더 큰 엄니 둘레를 갖는다. 비슷한 나이의 성인 개체는 비슷한 엄니 크기를 갖지만, 나이가 많은 개체가 반드시 더 큰 엄니 크기를 갖는 것은 아니다. 엄니 크기는 영양 스트레스, 지리적 위치, 생식 상태와 같은 외부 요인에 따라 달라졌을 수 있다.[107] ''M. pacificum''의 엄니는 ''M. americanum''의 엄니보다 길이와 둘레가 작았을 것으로 생각되며, 마찬가지로 성적 이형성 정도를 보였을 수 있다.[108]
4. 3. 크기
마스토돈은 알려진 가장 큰 장비목 중 하나였다. 아메리카 마스토돈(''M. americanum'')은 현존하는 코끼리보다도 컸다. 완전히 성장한 수컷 ''M. americanum''의 어깨 높이는 평균 2.9m, 체중은 8ton으로 추정된다.[112] 이는 수컷이 살아있는 아시아 코끼리와 아프리카 숲 코끼리보다 평균적으로 몸무게와 어깨 높이가 더 크고, 아프리카 사바나 코끼리의 평균 수컷보다는 무겁지만, 약간 더 짧다는 것을 보여준다.[112]
워렌 매머드는 어깨 높이가 289cm였고, 체중은 7.8ton이었다.[112] ''M. americanum'' 개체는 어깨 높이가 같은 코끼리보다 최대 80% 더 무거웠을 수 있다.[112] 평균보다 큰 개체는 어깨 높이가 325cm까지 되고, 무게는 11ton까지 나갔을 수 있다.[112] 완전히 성장한 수컷 ''M. americanum'' 개체의 90%는 어깨 높이가 275cm에서 305cm까지, 체중은 6.8ton에서 9.2ton까지로 추정된다.[112]
현존하는 코끼리와 마찬가지로 아메리카 마스토돈 수컷은 암컷보다 더 컸으며, 더 크고 강하게 굽은 엄니를 가지는 경향이 있었다.[115]
4. 4. 털
아메리카 마스토돈( ''M. americanum'')은 1세기 이상 동안의 고생물학적 미술에서 덥수룩하고 갈색 털을 가진 것으로 묘사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맘무트''가 실제로 털로 덮여 있었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직접적인 증거는 거의 없다. 매머드에 속하는 털의 유일한 발견은 밀워키 시 근처 위스콘신 주에서 발견된 두 개의 작은 털 뭉치를 가진 두개골에서 발견되었다고 한다. 이들은 원래 문헌에서 간략하게 묘사되었으며, 주사 전자 현미경(SEM)으로 찍은 털 한 가닥 외에는 그림으로 묘사된 적이 없다.[111][113][114] 1981년 K.F. Hallin과 D. Gabriel은 매머드가 실제로 털이 많았지만 추운 기후에 대한 내성보다는 반수생 생활 방식에 더 적합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2022년 Matt Davis 외 연구진은 털이 있다는 증거로 그 자료를 받아들이는 데 주저했는데, 그들은 ''맘무트''가 북극과 아극의 상위 지역에서 체온 유지를 위해 두꺼운 털옷이 필요했는지 의문을 제기했고, 플로리다와 같은 아열대 기후에서는 필요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언급했다.[111][114] Davis 외 연구진은 콜럼비아 매머드( ''Mammuthus columbi'')는 털이 없는 것으로 생각되었기 때문에 매머드가 그에 비해 두꺼운 털옷이 필요했는지 불분명하다고 언급했다. 전자는 일반적으로 털이 없는 것으로, 후자는 고생물학적 미술에서 털이 있는 것으로 묘사되었지만, 매머드가 폐쇄적이거나 혼합된 서식지를 선호한다는 점은 이러한 추측에 의문을 제기한다.
''M. americanum''이 두꺼운 털옷을 가지고 있다는 개념은 2015년 Asier Larramendi의 연구 대상이 되기도 했다. 그는 현존하는 코끼리에게서 털이 체온 조절에 중요하다는 것을 인정했지만, 포유류에서는 몸 크기와 털 밀도 사이에 음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몇몇 포유류는 이러한 경향을 깨뜨린 적이 있는데, 털매머드( ''Mammuthus primigenius'')는 추운 기후에 대응하여 두꺼운 털옷과 매우 짧은 꼬리를 갖도록 진화했다. 아메리카 매머드가 털을 가졌다는 생각은 계절성 기후 때문에 가능하지만, 이 생각을 뒷받침할 부드러운 조직이 거의 보존되어 있지 않으며, 위스콘신에서 발견된 털을 언급했다. 19세기에 보고된 털의 증거는 실제로 단순히 녹조류 필라멘트였다. 그는 긴 꼬리와 큰 체질량 모두 ''M. americanum''이 두꺼운 털옷으로 덮여 있었다는 가설과 모순되며, 이를 과장된 것으로 간주한다고 결론지었다.[112]
5. 생태
마스토돈은 신생대 중신세부터 홍적세에 걸쳐 유럽 대륙, 아시아 대륙, 아프리카 대륙, 북아메리카 및 남아메리카 등지에 서식했다.[133][134][48] 맘모티드(mammutids)의 자이고돈트형 어금니는 이들이 잎을 먹는 식성에 적응했음을 보여준다. ''맘모트''(Mammut)와 같은 맘모티드는 높은 초목을 뜯어먹도록 진화했으며, 방목에 특화되거나 일관된 혼합 식단을 섭취하지는 않았다.[117]
마스토돈은 잔가지와 과일을 뜯어먹었으며, 주로 북아메리카 동부의 가문비나무(''Picea'')와 소나무(''Pinus'')로 이루어진 울창한 침엽수림에 서식했다. 플로리다에서는 ''Taxodium'' 속의 잔가지와 다른 나무 식물, 과일을 섭취했다. 플로리다 마스토돈의 탄소 동위원소 분석 결과, C3 뜯어먹기 전문성을 나타내는 낮은 δ13C 값을 보였다.[120]
마스토돈은 무리를 지어 생활했을 수 있으며, 매머드 무리보다 평균적으로 작았을 가능성이 있다.[127] 마스토돈 뼈 유적지의 특징과 상아의 스트론튬 및 산소 동위원소를 바탕으로, 현대 장비목과 마찬가지로 마스토돈 사회 집단은 유대 관계를 가진 성체 암컷과 새끼로 구성되었을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수컷은 성적으로 성숙해지면 무리를 떠나 혼자 살거나 수컷 유대 집단으로 살았다.[128][129]
5. 1. 분포
마스토돈은 신생대 중신세부터 홍적세에 걸쳐 유럽 대륙, 아시아 대륙, 아프리카 대륙, 북아메리카 및 남아메리카 등에 서식했다.[133][134][48] 아메리카 마스토돈(''M. americanum'') 화석은 알래스카 북쪽에서 플로리다 동쪽, 멕시코 중부의 푸에블라 주 남쪽까지 분포한다.[133][134][48]5. 2. 식성
맘모티드(mammutids)의 자이고돈트형 어금니 형태는 이들이 잎을 먹는 식성에 적응했음을 보여준다. ''맘모트''(Mammut)와 같은 맘모티드는 높은 초목을 뜯어먹도록 진화했으며, 방목에 특화되거나 일관된 혼합 식단을 섭취하지 않았다.[117] ''M. americanum''의 위 내용물 분석 결과, 이 종은 가문비나무 잎, 솔방울, 풀, 때때로 박과 덩굴 잎을 먹었다.[117]''맘모트''의 뜯어먹기 전문성은 ''M. americanum''의 분변 (또는 화석 똥)에서도 확인되는데, 주로 목질 내용물로 구성되어 있고 풀은 포함되지 않았다.[118] 아메리카 마스토돈은 C3 탄소 고정 식물을 섭취하고, 숲과 같은 폐쇄된 환경을 선호하는 뜯어먹기에 가장 일관된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식단의 융통성 부족은 대 아메리카 교환 동안 초원 지역을 가로질러야 했기 때문에 남아메리카 침입을 막았을 수 있다.[119]
마스토돈은 일반적으로 잔가지와 과일을 뜯어먹었으며, 주로 북아메리카 동부의 가문비나무(''Picea'')와 소나무(''Pinus'')로 이루어진 울창한 침엽수림에 서식했다. 플로리다에서는 ''Taxodium'' 속의 잔가지와 다른 나무 식물, 과일을 섭취했다. 플로리다 마스토돈의 탄소 동위원소 분석 결과, 이들은 C3 뜯어먹기 전문성을 나타내는 낮은 δ13C 값을 보였다.[120]
미시간의 "Heisler 마스토돈"과 오하이오의 "Burning Tree 마스토돈"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마스토돈은 늪지 풀(''Glyceria''와 ''Zizania'')뿐만 아니라 호수를 둘러싼 사초 습지(''Carex'')와 같은 반수생 및 수생 식물을 섭취했을 수도 있다.[123]
5. 3. 사회 행동
마스토돈은 무리를 지어 생활했을 수 있으며, 평균적으로 매머드 무리보다 작았을 가능성이 있다.[127] 마스토돈 뼈 유적지의 특징과 상아의 스트론튬 및 산소 동위원소를 바탕으로, 현대의 장비목과 마찬가지로 마스토돈 사회 집단은 섞인 무리라고 불리는 유대 관계를 가진 성체 암컷과 새끼로 구성되었을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수컷은 성적으로 성숙해지면 섞인 무리를 떠나 혼자 살거나 수컷 유대 집단으로 살았다.[128][129] 현대의 코끼리와 마찬가지로,[130] 짝짓기 활동의 계절적 동시성은 없었을 것이며, 성적으로 활발해지면 수컷과 암컷 모두 서로 짝짓기를 했을 것이다.[129]6. 인간과의 관계
북아메리카에 인간(호모 사피엔스)이 도착한 정확한 시기는 불분명하지만, 대략 19,000년에서 14,000년 전에 도착했을 가능성이 높다.[155] 이들은 고고학 기록에서 고대 인디언으로 알려져 있으며, 오늘날 아메리카 원주민의 조상이다.[155] 클로비스 문화 시기의 클로비스 사냥꾼들은 마스토돈을 포함한 장비류를 사냥한 것으로 보인다. 여러 고고학 유적지에서 마스토돈 뼈와 함께 클로비스 창끝과 같은 사냥 도구가 발견되었다.[156]
미주리주 킴스윅과 미시간주 와시테노 카운티의 플레전트 호수에서는 클로비스 석기 기술과 관련된 마스토돈 사냥터가 발견되었다.[157][158][159] 미시간주 칼훈 카운티의 "헤이슬러 마스토돈" 유적에서는 후기 플라이스토세에 고대 인디언이 연못에 고기를 저장했다는 증거가 발견되기도 했다.[159][158]
2023년, 마이클 R. 워터스 외 연구진은 워싱턴주의 마니스 마스토돈 유적이 클로비스 문화보다 약 900년 전인 약 13,900년 전에 마스토돈 사냥에 대한 증거를 뒷받침한다고 제안했다. 마스토돈의 오른쪽 갈비뼈에서 발견된 뼈 조각은 투사체의 파편 팁을 나타내며, 상처 부위 주변의 치유가 뚜렷하다는 것을 확인했다.[163][164]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카운티에 위치한 세루티 마스토돈 유적은 약 13만 년 전의 ''M. americanum''과 관련된 고고학 유적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으나, 많은 논란이 있다.[165][158][166]
마스토돈은 아메리카 원주민의 구전 역사에서 인지되었을 수 있으며, 공격적이고 적대적인 짐승으로 묘사되었을 수 있다. 미국 초기 역사부터 마스토돈은 미국의 민족주의를 상징하는 존재가 되었다. 토머스 제퍼슨은 조르주루이 르클레르크 콩트 드 뷔퐁의 미국 사회적 퇴폐 이론에 반박하기 위해 "매머드"를 포함한 현존 및 멸종 동물의 치수를 사용했다.[15] 찰스 윌슨 필은 1801년 뉴욕에서 발견된 마스토돈 골격을 발굴하여 필의 필라델피아 박물관에 전시했는데, 이는 미국의 국가적 상징이 되었다.[19][20]
7. 멸종
아메리카 마스토돈은 약 75,000년 전 북아메리카 최북단 지역에서 멸종하면서 지리적 분포가 처음으로 감소했다. 이는 위스콘신 빙하기(MIS 4)로 인한 환경 변화와 관련이 있었다. 인류가 도착하기 훨씬 전에 일어난 이 지역 멸종으로 마스토돈의 분포는 북아메리카 빙상 남쪽 지역으로 제한되었다.[168][33]
북아메리카의 최후 플라이스토세는 30개 이상의 포유류 속이 사라진 대규모 멸종 단계를 기록하는데, 이 중 대다수가 "메가파우나" (45kg 이상)로 간주된다. 마스토돈의 멸종 원인은 아직 해결되지 않았으며, 인간의 사냥, 기후 변화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 여겨진다.[169]
2006년 폴 L. 코흐와 앤서니 D. 바노스키는 마스토돈이 북아메리카의 고고학 유적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제안했다.[171] 2018년 잭 M. 브로턴과 엘릭 M. 웨이첼은 보정된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을 사용하여 합산된 확률 분포 (SPDs)를 기반으로 북아메리카 후기 플라이스토세 메가파우나의 일부 개체군 역학을 계산했다. 그들은 데이터에 따르면 ''맘무스'', ''말'', ''스밀로돈''의 감소는 클로비스 문화 사냥과 관련이 있는 반면, ''맘모트''와 노트로테리드 땅늘보 ''노트로테리옵스''는 클로비스 문화 이후, 기원전 12,650년경 영거 드라이아스 동안까지 유의미한 개체수 감소를 보이지 않았다고 결론지었다.[175]
일부 연구자들은 초기 홀로세에도 마스토돈이 생존했다는 증거를 제시한다. 북부 인디애나에서 발견된 오버마이어 마스토돈 개체는 기원전 11,576년으로 연대가 측정되어 초기 홀로세까지 생존했음을 보여준다.[176][170]
8. 문화적 의의
아메리카 매머드는 미국 초기 역사부터 미국의 민족주의를 상징하는 존재가 되었다.[21] 토머스 제퍼슨은 루이스 & 클라크 탐험대가 미국의 서부 변경에서 살아있는 매머드의 증거를 발견하기를 희망했던 것으로 유명하다.[180][181] 브렛 바니에 따르면, 이는 1855년 시 "나 자신의 노래"의 한 구절에서 월트 휘트먼이 언급한 것처럼 박물관의 특징적인 상징이었다.[182]
2000년 와시테나우 커뮤니티 칼리지 지질학 강사 데이비드 P. 토마스 시니어가 미시간주의 주 화석으로 만들고자 하면서 매머드는 미시간주의 정치 캠페인의 대상이 되었다. 그는 슬로슨 중학교 과학 교사 제프리 브래들리의 지원을 받아 새뮤얼 타데우스 맥코터 주 상원 의원의 후원을 받았고, 수천 개의 서명을 모으는 청원 운동을 조직했으며, 주 청문회에 참석했다. 브래들리 학생들은 "미시간을 위한 매머드" 캠페인에 참여하여 종이로 실물 크기의 복제품을 만들고 미시간 대학교 자연사 박물관에 매머드 전시회를 짓기 위해 1,000달러를 모금했다. 2002년, 매머드는 주 화석이 되어 열네 번째 주 상징이 되었다.[183][184] 마찬가지로, 매머드는 2022년 최근에 대표 랜디 프라이가 발의한 하원 법안 1013이 만장일치로 통과되면서 인디애나주의 주 화석이 되었다.[185]
2024년 1월, 인디애나주 상원 의원 마이크 브라운과 미시간주 상원 의원 게리 피터스는 매머드를 미국 국립 화석으로 지정하는 초당적 법안을 발의했는데, 이는 "국립 화석법"이라고 불린다. 제1조는 법안의 이름을 정의하고, 제2조는 미국 공공 생활에서 매머드의 역할을 조사하며, 제3조는 미국 법전 제36편에 따라 국립 화석으로 지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피터스는 매머드가 미시간과 미국 역사의 독특한 측면을 나타낸다고 정당화하면서, 국립 화석으로 지정함으로써 역사를 보존하고 새로운 세대의 과학자 및 기타 연구자들이 목표를 추구하도록 장려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186][187]
"매머드"라는 이름은 미국 내에서 여러 맥락에서 채택되었다. 예를 들어, 19세기 후반의 4-8-0 증기 기관차는 원래 "''매머드]''"로 명명되었으나, 결국 "12륜"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 이름은 아메리카 매머드를 참조한 것이다.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the Royal Society: With memoirs of the Presidents
 
https://books.google[...] 
[2] 
서적
 
American Monster: How the Nation's First Prehistoric Creature Became a Symbol of National Identity
 
NYU Press
 
[3] 
서적
 
The Mastodon giganteus of North America
 
https://www.biodiver[...] 
John Wilson and Son
 
[4] 
학술지
 
The Giant Bones of Claverack, New York, 1705
 
https://www.jstor.or[...] 
[5] 
학술지
 
Big Bone Lick
 
https://muse.jhu.edu[...] 
[6] 
학술지
 
Mémoire sur des os et des dents remarquables par leur gradeur
 
https://books.google[...] 
[7] 
서적
 
Big Bone Lick: The Cradle of American Paleontology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8] 
학술지
 
Showing and hiding: The flickering visibility of earth workers in the archives of earth science
 
[9] 
서적
 
American Monster: How the nation's first prehistoric creature became a symbol of national identity
 
NYU Press
 
[10] 
서적
 
Fossil Legends of the First American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1] 
논문
 
George Croghan: The life of a conqueror
 
https://rucore.libra[...] 
Rutgers University
 
2015-10-01
 
[12] 
학술지
 
XLVII. Sequel to the foregoing account of the large fossil teeth
 
https://www.biodiver[...] 
[13] 
학술지
 
V. Observations on the bones, commonly supposed to be elephants bones, which have been found near the river Ohio in America
 
https://www.biodiver[...] 
[14] 
학술지
 
Account of a skeleton of a large animal, found near Hudson's River
 
[15] 
서적
 
Notes on the State of Virginia
 
https://books.google[...] 
Philippe Denis Pierres
 
[16] 
서적
 
American Monster: How the nation's first prehistoric creature became a symbol of national identity
 
NYU Press
 
[17] 
서적
 
American Monster: How the nation's first prehistoric creature became a symbol of national identity
 
NYU Press
 
[18] 
서적
 
American Monster: How the nation's first prehistoric creature became a symbol of national identity
 
NYU Press
 
[19] 
학술지
 
Charles Willson Peale's ''The Exhumation of the Mastodon'' and the great chain of being: The interaction of religion, science, and art in early-federal America
 
[20] 
학술지
 
The origins of Puritan politics in U.S. museums: Nation building and "the arts" from 1776 to 1806
 
[21] 
서적
 
The Legacy of the Mastodon
 
Yale University Press
 
[22] 
학술지
 
Albert C. Koch's Missourium and the debate over the contemporaneity of humans and the Pleistocene megafauna of North America
 
[23] 
학술지
 
The Discovery of Fossil Vertebrates on Missouri's Western Frontier
 
[24] 
서적
 
The Mastodon giganteus of North America
 
https://www.biodiver[...] 
John Wilson and Son
 
[25] 
학술지
 
New York City Mastodons: Big Apple Tusks
 
[26] 
서적
 
The Mastodon giganteus of North America
 
https://www.biodiver[...] 
John Wilson and Son
 
[27] 
서적
 
The Mastodons, Mammoths and Other Pleistocene Mammals of New York State: Being a Descriptive Record of All Known Occurrenc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he State of New York
 
[28] 
서적
 
American Monster: How the Nation's First Prehistoric Creature Became a Symbol of National Identity
 
NYU Press
 
[29] 
서적
 
The animal kingdom, or zoological system, of the celebrated Sir Charles Linnæus. containing a complete systematic description, arrangement, and nomenclature, of all the known species and varieties of the mammalia, or animals which give suck to their young Class I Mammalia
 
https://www.biodiver[...] 
Edinburgh
 
[30] 
서적
 
Handbuch der Naturgeschichte [6. ed.]
 
https://www.deutsche[...] 
Göttingen
 
[31] 
학술지
 
Bipedal browsing adaptations of the unusual Late Eocene–earliest Oligocene tylopod Anoplotherium (Artiodactyla, Mammalia)
 
[32] 
학술지
 
Mémoire sur les espèces d'éléphans vivantes et fossiles
 
https://www.biodiver[...] 
[33] 
학술지
 
The curious case of the Arctic mastodons
 
[34] 
서적
 
Proboscidea: a monograph of the discovery, evolution, migration and extinction of the mastodonts and elephants of the world
 
https://www.biodiver[...] 
J. Pierpont Morgan Fund by the trustees of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35] 
학술지
 
Sur les éléphans vivans et fossiles
 
https://www.biodiver[...] 
[36] 
논문
 
Sur le grand mastodonte
 
https://www.biodiver[...] 
[37] 
서적
 
Le règne animal distribué d'après son organisation : pour servir de base à l'histoire naturelle des animaux et d'introduction à l'anatomie comparée
 
https://www.biodiver[...] 
Chez Déterville
 
[38] 
서적
 
Recherches sur les ossemens fossiles, où l'on rétablit les caractères de plusieurs animaux dont les révolutions du globe ont détruit les espèces
 
https://www.biodiver[...] 
G. Dufour and E. d'Ocagne
 
[39] 
서적
 
Bibliography and catalogue of the fossil vertebrata of North America
 
https://www.biodiver[...] 
Washington Government Printing Office
 
[40] 
논문
 
Iberian mastodonts: Geographic and stratigraphic distribution
 
[41] 
논문
 
Taxonomic revision of the Quaternary gomphotheres (Mammalia: Proboscidea: Gomphotheriidae) from the South American lowlands
 
[42] 
논문
 
Taxonomy of Rhynchotherium (Mammalia, Proboscidea) from the Miocene-Pliocene of North America
 
https://www.research[...] 
[43] 
논문
 
Vertebrate fossils from the Blanco local fauna of Texas
 
https://www.biodiver[...] 
[44] 
논문
 
Occurrence of the Gomphotherium angustidens group in China, based on a revision of Gomphotherium connexum (Hopwood, 1935) and Gomphotherium shensiensis Chang and Zhai, 1978: continental correlation of Gomphotherium species across the Palearctic
 
[45] 
논문
 
The Proboscidea (Mammalia) from the Miocene of Sandelzhausen (southern Germany)
 
[46] 
서적
 
Evolution and Fossil Record of African Proboscidea
 
CRC Press
 
[47] 
논문
 
The first Neogene record of Zygolophodon (Mammalia, Proboscidea) in Thailand: implications for the mammutid evolution and dispersal in Southeast Asia
 
[48] 
논문
 
New mammutids (Proboscidea) from the Clarendonian and Hemphillian of Oregon – a survey of Mio-Pliocene mammutids from North America
 
https://journals.ore[...] 
[49] 
논문
 
Late Pleistocene Mammuthus and Cuvieronius (proboscidea) from Térapa, Sonora, Mexico
 
[50] 
논문
 
Siwalik-age faunas from the Himalayan Foreland Basin of South Asia
 
[51] 
논문
 
Fossil elephants from the Indian sub-continent and their tusks: A review
 
https://palaeontolog[...] 
[52] 
논문
 
New material of Anancus kenyensis (proboscidea, mammalia) from Toros-Menalla (Late Miocene, Chad): Contribution to the systematics of African anancines
 
[53] 
논문
 
A new species of Tetralophodon from the Linxia Basin and the biostratigraphic significance of tetralophodont gomphotheres from the Upper Miocene of northern China
 
[54] 
논문
 
Taxonomy, biostratigraphy and palaeoecology of Choerolophodon (Proboscidea, Mammalia) in the Miocene of SE Europe-SW Asia: Implications for phylogeny and biogeography
 
[55] 
서적
 
Fossil Record 3
 
https://www.research[...] 
Bulletin of the New Mexico Museum of Natural History and Science
 
[56] 
논문
 
Implications of discoveries of the shovel-tusked gomphothere Konobelodon (Proboscidea, Gomphotheriidae) in Eurasia for the status of Amebelodon with a new genus of shovel-tusked gomphothere, Stenobelodon
 
[57] 
논문
 
Description of a New Genus and New Species of Extinct Mammiferous Quadruped
 
https://www.biodiver[...] 
[58] 
논문
 
Vertebrate Paleontology, an Early Nineteenth-Century Transatlantic Science
 
https://www.jstor.or[...] 
[59] 
논문
 
Report on the Missourium now exhibiting at the Egyptian Hall
 
https://www.biodiver[...] 
[60] 
서적
 
The extinct mammalian fauna of Dakota and Nebraska : Including an account of some allied forms from other localities, together with a synopsis of the mammalian remains of North America
 
https://www.biodiver[...] 
J.B. Lippincott
 
[61] 
논문
 
Mammut americanum, Utah's First Record of the American Mastodon
 
https://www.jstor.or[...] 
[62] 
논문
 
A List of the Genera and Families of Mammals
 
https://www.biodiver[...] 
[63] 
논문
 
The Evolution of the Elephant
 
https://www.biodiver[...] 
[64] 
서적
 
The Pleistocene of North America and its vertebrated animals from the states east of the Mississippi River and from the Canadian provinces east of longitude 95°
 
https://www.biodiver[...] 
Carnegie Institution of Washington
 
[65] 
논문
 
The Beginnings of Vertebrate Paleontology in North America
 
https://www.jstor.or[...] 
[66] 
서적
 
The Principles of Classification and a Classification of Mammals
 
https://books.google[...] 
Bulletin of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67] 
논문
 
First appearance of the true mastodon in America
 
https://www.biodiver[...] 
[68] 
논문
 
Additional new genera and species of the mastodontoid proboscidea
 
https://digitallibra[...] 
[69] 
논문
 
A Pliocene mastodon skull from California: Pliomastodon vexillarius n. sp
 
[70] 
논문
 
New remains of trilophodont-tetrabelodont mastodonts
 
[71] 
논문
 
A Pliomastodon skull from the Thousand Creek beds, northwestern Nevada
 
https://www.biodiver[...] 
[72] 
논문
 
A late Cenozoic vertebrate fauna from the Coso Mountains, Inyo County, California
 
https://www.biodiver[...] 
[73] 
논문
 
Mammalian fauna of the upper Juntura Formation, the Black Butte local fauna
 
[74] 
서적
 
The Proboscidea: Evolution and Palaeoecology of Elephants and Their Relatives
 
Oxford University Press
 
[75] 
서적
 
Evolution of Tertiary Mammals of North America: Volume 1, Terrestrial Carnivores, Ungulates, and Ungulate like Mammals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76] 
논문
 
Mammut pacificus sp. nov., a newly recognized species of mastodon from the Pleistocene of western North America
 
[77] 
논문
 
A partial skeleton of "Mammut" borsoni (Proboscidea, Mammalia) from the Pliocene of Kaltensundheim (Germany)
 
[78] 
논문
 
First true mastodon from the Late Miocene of Western Asia
 
[79] 
논문
 
On the scientific names of mastodont taxa: nomenclature, Chinese translation, and taxonomic problems
 
[80] 
논문
 
中国新近纪大型植食性哺乳动物演化和生物地层
 
[81] 
서적
 
Fossil Vertebrates of Greece Vol. 1: Basal vertebrates, Amphibians, Reptiles, Afrotherians, Glires, and Primates
 
Springer Cham
 
[82] 
논문
 
Early Mammut from the Upper Miocene of northern China,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 and differentiation of Mammutidae
 
https://chinaxiv.org[...] 
[83] 
논문
 
The South American Gomphotheres (Mammalia, Proboscidea, Gomphotheriidae): Taxonomy, Phylogeny, and Biogeography
 
[84] 
서적
 
Evolution and Fossil Record of African Proboscidea
 
CRC Press
 
[85] 
서적
 
Evolution and Fossil Record of African Proboscidea
 
CRC Press
 
[86] 
서적
 
Evolution and Fossil Record of African Proboscidea
 
CRC Press
 
[87] 
논문
 
Northeastern Asia humidification at the end of the Miocene drives the boost of mammalian dispersals from the Old to New World
 
[88] 
논문
 
A Specimen of Mammut americanum (Proboscidea, Mammalia) from Yavapai County, West-Central Arizona
 
[89] 
논문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mammalian fauna composition and structure during the advent of North American continental glaciation in the Pliocene
 
https://www.proquest[...]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90] 
서적
 
Paleoneurology of Amniotes: New directions in the study of fossil endocasts
 
Springer Cham
 
[91] 
서적
 
The Proboscidea: Evolution and Palaeoecology of Elephants and Their Relatives
 
Oxford University Press
 
[92] 
논문
 
First Report of "Mammut" (Mammalia, Proboscidea) from the Upper Miocene of Turkey
 
[93] 
논문
 
A new Mammutidae (Proboscidea, Mammalia) from the Late Miocene of Gansu Province, China
 
[94] 
논문
 
Of tusks and trunks: A review of craniofacial evolutionary anatomy in elephants and extinct Proboscidea
 
[95] 
논문
 
Description of mastodons (Mammut americanum) from the late Pleistocene of southeastern Hidalgo, central Mexico
 
[96] 
논문
 
Excavation of a Mastodon at Vicksburg, Mississippi
 
https://geology.deq.[...] 
[97] 
논문
 
Early Mammut from the Upper Miocene of northern China,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 and differentiation of Mammutidae
 
https://www.research[...] 
[98] 
논문
 
Remarks on the cranium of Eozygodon morotoensis (Proboscidea, Mammalia) from the early Miocene of Africa, and the question of the monophyly of Elephantimorpha
 
http://institutions.[...] 
[99] 
서적
 
Evolution of the Brain and Intelligence
 
https://books.google[...] 
Elsevier
 
[100] 
논문
 
Elephant brain: Part I: Gross morphology, functions, comparative anatomy, and evolution
 
[101] 
논문
 
Brain evolution in Proboscidea (Mammalia, Afrotheria) across the Cenozoic
 
[102] 
논문
 
Variation within the bony labyrinth of mammals
 
https://www.research[...]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103] 
논문
 
Morphological variation in the ear region of pleistocene elephantimorpha (Mammalia, Proboscidea) from central Texas
 
[104] 
논문
 
Horizontal tooth displacement and premolar occurrence in elephants and other elephantiform proboscideans
 
[105] 
논문
 
A gomphothere (Mammalia, Proboscidea) from the Quaternary of the Kashmir valley, India
 
[106] 
논문
 
Estimating tusk masses in proboscideans: a comprehensive analysis and predictive model
 
[107] 
논문
 
Sexual dimorphism of structures showing indeterminate growth: tusks of American mastodons (Mammut americanum)
 
[108] 
학회발표
 
Tusk morphology and sexual dimorphism in the Pacific mastodon (''Mammut pacificus'')
 
https://vertpaleo.or[...] 
[109] 
서적
 
Mastodon Paleobiology, Taphonomy, and Paleoenvironment in the Late Pleistocene of New York State: Studies on the Hyde Park, Chemung, and North Java Sites
 
https://www.research[...] 
Palaeontographica Americana
 
[110] 
논문
 
Osteology for the archaeologist: the American mastodon and the woolly mammoth
 
https://books.google[...] 
[111] 
논문
 
Designing scientifically-grounded paleoart for augmented reality at La Brea Tar Pits
 
[112] 
논문
 
Shoulder height, body mass, and shape of proboscideans
 
[113] 
학회발표
 
The first specimen of mastodon hair
 
[114] 
논문
 
Hair of the American mastodon indicates an adaptation to a semiaquatic habitat
 
[115] 
논문
 
The Overmyer Mastodon (Mammut Americanum) from Fulton County, Indiana
 
[116] 
학회발표
 
Manus biomechanics of a giant mastodon from the Gray Fossil Site suggests the ability to transverse uneven terrain in a karstic and mountainous refugium
 
https://vertpaleo.or[...] 
[117] 
서적
 
Elefantenreich: Eine Fossilwelt in Europa
 
https://www.research[...] 
Landesamt für Denkmalpflege und Archäologie Sachsen-Anhalt & Landesmuseum für Vorgeschichte, Halle
 
[118] 
서적
 
First Floridians and Last Mastodons: The Page-Ladson site in the Aucilla river
 
Springer
 
[119] 
논문
 
Diet and Habitat for Six American Pleistocene Proboscidean Species Using Carbon and Oxygen Stable Isotopes
 
[120] 
논문
 
Reconstructing the palaeodiet of Florida ''Mammut americanum'' via low-magnification stereomicroscopy
 
[121] 
논문
 
A middle Miocene vertebrate assemblage from the Czech part of the Vienna Basin: Implications for the paleoenvironments of the Central Paratethys
 
https://ddd.uab.cat/[...] 
[122] 
논문
 
Intestinal contents of a late Pleistocene Mastodont from mid-continental North America
 
https://deepblue.lib[...] 
[123] 
논문
 
Evidence for the diet and habitat of two late Pleistocene mastodons from the Midwest, USA
 
[124] 
논문
 
Regional variation in the browsing diet of Pleistocene Mammut americanum (Mammalia, Proboscidea) as recorded by dental microwear textures
 
[125] 
논문
 
Taxonomy and evolution of the Plio-Pleistocene proboscidean Stegomastodon in North America
 
https://www.research[...] 
[126] 
논문
 
Interpreting spatially explicit variation in dietary proxies through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reveals foraging preferences of mammoth (''Mammuthus'') and American mastodon (''Mammut americanum'')
 
[127] 
논문
 
Proboscideans on Parade: A review of the migratory behaviour of elephants, mammoths, and mastodons
 
[128] 
논문
 
Male mastodon landscape use changed with maturation (late Pleistocene, North America)
 
[129] 
논문
 
Mammoth (''Mammuthus'' spp.) and American mastodont (''Mammut americanum'') bonesites: what do the differences mean?
 
http://natuurtijdsch[...] 
[130] 
서적
 
The Living Elephants: Evolutionary Ecology, Behaviour, and Conservatio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03-09-11
 
[131] 
뉴스
 
The story of Fred the mastodon, who died looking for love
 
https://www.npr.org/[...] 
2024-02-02
 
[132] 
논문
 
Wandering mastodons reveal the complexity of Ice Age extinctions
 
[133] 
논문
 
Fossil Proboscidea from the upper Cenozoic of Central America: taxonomy, evolutionary and paleobiogeographic significance
 
[134] 
서적
 
The World of Elephants – Proceedings of the 1st International Congress, Rome October 16–20, 2001
 
https://www.jstor.or[...] 
Consiglio Nazionale delle Ricerche
 
2001
 
[135] 
논문
 
The easternmost occurrence of Mammut pacificus (Proboscidea: Mammutidae), based on a partial skull from eastern Montana, USA
 
[136] 
논문
 
The proboscideans (Mammalia) from Mesoamerica
 
[137] 
학회발표
 
Partial cranium and associated tusks of Mio-Pliocene ''Mammut'' (Mammalia, Proboscidea) from Pascagoula Formation in Tunica Hills, Louisiana
 
https://vertpaleo.or[...] 
[138] 
논문
 
American mastodon mitochondrial genomes suggest multiple dispersal events in response to Pleistocene climate oscillations
 
[139] 
논문
 
A 2-million-year-old ecosystem in Greenland uncovered by environmental DNA
 
2022-12
 
[140] 
웹사이트
 
World's Oldest DNA Discovered, Revealing Ancient Arctic Forest Full of Mastodons
 
https://www.scientif[...] 
2022-12-08
 
[141] 
논문
 
Neogene Climate Change in Eastern North America: A Quantitative Reconstruction
 
https://core.ac.uk/d[...] 
East Tennessee State University
 
[142] 
학술지
 
Growth increments in Gomphotherium tusks and implications for late Miocene climate change in North America
 
[143] 
학술지
 
Increased xenarthran diversity of the Great American Biotic Interchange: a new genus and species of ground sloth (Mammalia, Xenarthra, Megalonychidae) from the Hemphillian (late Miocene) of Jalisco, Mexico
 
[144] 
서적
 
Neogene Mammals: Bulletin 44
 
[145] 
서적
 
Geology and Vertebrate Paleontology of Western and Southern North America
 
https://www.research[...] 
Natural History Museum Los Angeles County Science
 
[146] 
학술지
 
Cenozoic climate change influences mammalian evolutionary dynamics
 
[147] 
학술지
 
Paleoecology of Aphelops and Teleoceras (Rhinocerotidae) through an interval of changing climate and vegetation in the Neogene of the Great Plains, central United States
 
[148] 
학술지
 
The oldest Mammut (Mammalia: proboscidea) from New Mexico
 
[149] 
학술지
 
Pliocene and Pleistocene vertebrates of New Mexico
 
https://books.google[...] 
[150] 
서적
 
Late Cretaceous and Cenozoic Mammals of North America
 
Columbia University Press
 
[151] 
학술지
 
Co-Occurrence of the Proboscideans Cuvieronius, Stegomastodon, and Mammuthus in the Lower Pleistocene of Southern New Mexico
 
https://www.jstor.or[...] 
[152] 
학술지
 
Pleistocene (Irvingtonian, Cudahyan) vertebrates from the Texas Panhandle, and their geographic and paleoecologic significance
 
[153] 
학술지
 
The "missing glaciations" of the Middle Pleistocene
 
https://pure.manches[...] 
[154] 
학술지
 
Field Guide to Big Bone Lick, Kentucky: Birthplace of American Vertebrate Paleontology
 
https://uknowledge.u[...] 
[155] 
학술지
 
Terminal Pleistocene human occupation of the upper Copper River basin, southern Alaska: Results of test excavations at Nataeł Na'
 
https://hal.science/[...] 
[156] 
학술지
 
How many elephant kills are 14?: Clovis mammoth and mastodon kills in context
 
[157] 
학술지
 
Revisiting Paleoindian exploitation of extinct North American mammals
 
[158] 
학술지
 
Sites in the Americas with Possible or Probable Evidence for the Butchering of Proboscideans
 
[159] 
서적
 
Human-Elephant Interactions: From Past to Present
 
Tübingen University Press
 
[160] 
학술지
 
Estimating the frequency of coincidental spatial associations between Clovis artifacts and proboscidean remains in North America
 
[161] 
학술지
 
Evidence supports the efficacy of Clovis points for hunting proboscideans
 
[162] 
학술지
 
Not just for proboscidean hunting: On the efficacy and functions of Clovis fluted points
 
[163] 
학술지
 
Late Pleistocene osseous projectile point from the Manis site, Washington—Mastodon hunting in the Pacific Northwest 13,900 years ago
 
[164] 
학술지
 
Pre-Clovis Mastodon Hunting 13,800 Years Ago at the Manis Site, Washington
 
[165] 
학술지
 
A 130,000-year-old archaeological site in southern California, USA
 
[166] 
학술지
 
The Cerutti Mastodon
 
[167] 
학술지
 
Pleistocene Palaeoart of the Americas
 
[168] 
학술지
 
American mastodon extirpation in the Arctic and Subarctic predates human colonization and terminal Pleistocene climate change
 
[169] 
학술지
 
Overkill, glacial history, and the extinction of North America's Ice Age megafauna
 
[170] 
서적
 
Vanished Giants: The Lost World of the Ice Ag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2-08-20
 
[171] 
학술지
 
Late Quaternary Extinctions: State of the Debate
 
[172] 
학술지
 
Extinctions, scenarios, and assumptions: Changes in latest Pleistocene large herbivore abundance and distribution in western North America
 
[173] 
학술지
 
Northeastern North American Pleistocene megafauna chronologically overlapped minimally with Paleoindians
 
[174] 
학술지
 
Implications of a Bayesian radiocarbon calibration of colonization ages for mammalian megafauna in glaciated New York State after the Last Glacial Maximum
 
[175] 
학술지
 
Population reconstructions for humans and megafauna suggest mixed causes for North American Pleistocene extinctions
 
[176] 
논문
 
Post-Clovis survival of American Mastodon in the southern Great Lakes Region of North America
 
[177] 
MA
 
The Role of the Pleistocene in Native American Oral Traditions
 
https://www.research[...] 
Binghamton University
 
[178] 
뉴스
 
An Oral History of the Ancient Game of Sla-Hal: Man Versus Animals
 
https://ictnews.org/[...] 
2024-02-20
 
[179] 
뉴스
 
Tribal gathering celebrates unifying culture of an ancient game
 
https://www.seattlet[...] 
2024-02-20
 
[180] 
논문
 
Jefferson's old bones: did the so-called father of American vertebrate paleontology believe in fossils?
 
https://www.american[...] 
[181] 
논문
 
Celebrating dinosaurs: their behaviour, evolution, growth, and physiology
 
[182] 
서적
 
A Companion to Walt Whitman
 
https://digitalcommo[...] 
Blackwell Publishing
 
[183] 
웹사이트
 
STATE FOSSIL: MASTODON
 
https://www.legislat[...] 
2024-02-21
 
[184] 
웹사이트
 
Mastodon
 
https://statesymbols[...] 
2024-02-21
 
[185] 
뉴스
 
Indiana lawmakers name mastodon as first state fossil
 
https://www.wfyi.org[...] 
2024-02-21
 
[186] 
뉴스
 
Senators Braun and Peters Introduce Bill to Name Mastodon America's National Fossil
 
https://www.braun.se[...] 
2024-02-21
 
[187] 
뉴스
 
Peters introduces bipartisan proposal to designate the first national fossil
 
https://michiganadva[...] 
2024-02-21
 
[188] 
웹사이트
 
Replica
 
https://mastodonridg[...] 
2024-02-21
 
[189] 
서적
 
The American Steam Locomotive in the Twentieth Century
 
McFarland
 
[190] 
논문
 
The Origin of Locomotive Class Names
 
https://www.jstor.or[...] 
[191] 
MA
 
The content of the Mighty Morphin Power Rangers as the source of antisocial and prosocial learning
 
https://digitalcommo[...] 
University of Nebraska at Omaha
 
[192] 
웹사이트
 
How They Became... Mastodon
 
https://www.spin.com[...] 
2024-02-21
 
[193] 
잡지
 
Thousands Have Joined Mastodon Since Twitter Changed Hands. Its Founder Has a Vision for Democratizing Social Media
 
https://time.com/622[...] 
2024-02-21
 
[194] 
문서
 
분류학상, 현재의 곳 미정리의 계급. 계급 미정의 분류군. 이하 동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