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쓰다 센티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쓰다 센티아는 마쓰다가 1991년부터 2000년까지 생산한 후륜구동 방식의 대형 세단이다. 1세대 모델은 1991년에 출시되어 해외 시장에서 929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으며, 마쓰다의 기술력을 집약하여 4WS, 태양광 환기 시스템 등 다양한 첨단 기술을 적용했다. 2세대는 1995년에 출시되었으며, 스킨 체인지에 가까운 변화와 판매 부진으로 2000년에 단종되었다. 2세대 모델은 기아자동차를 통해 기아 엔터프라이즈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쓰다의 차종 - 마쓰다 MX-5
    마쓰다 MX-5는 로터스 엘란에서 영감을 받은 디자인과 뛰어난 핸들링으로 인기를 얻은 마쓰다의 경량 2인승 로드스터로, 4세대에 걸쳐 진화하며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2인승 스포츠카로 기네스북에 등재되었다.
  • 마쓰다의 차종 - 마쓰다 CX-50
    마쓰다 CX-50은 2022년부터 판매를 시작한 크로스오버 SUV로, 2.5리터 자연 흡기 엔진과 터보차저 모델을 갖추고 있으며, 2023년과 2024년에 중국과 미국에서 하이브리드 모델이 출시되었다.
  • 리무진 - 메르세데스-벤츠 E 클래스
    메르세데스-벤츠 E 클래스는 1936년부터 시작되어 여러 세대를 거치며 다양한 차체 형태와 디자인 변화, 향상된 성능, 안전 기술, 편의 사양을 통해 진화해온 메르세데스-벤츠의 중형차급 승용차 시리즈이며 현재는 11세대 모델이 판매 중이다.
  • 리무진 - 대우 레간자
    대우 레간자는 1997년 대우자동차에서 출시된 중형 세단으로, 이탈디자인의 조르제토 주지아로가 디자인했으며, 1.8L, 2.0L, 2.2L 엔진과 수동/자동 변속기 조합으로 판매되었다.
마쓰다 센티아 - [자동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95-1997 마쓰다 센티아
1995-1997 마쓰다 센티아
제조사마쓰다
기아
다른 이름마쓰다 929
기아 엔터프라이즈
생산 기간1991년–2002년
차종준대형차
차체 형식4도어 세단
구동 방식FR 레이아웃
이전 차종마쓰다 루체
기아 포텐샤
후속 차종기아 오피러스 (기아 엔터프라이즈)
설계자다나카 도시하루
생산
조립 장소일본: 히로시마 (마쓰다)
대한민국: 기아 아산만 공장, 화성시 (기아)

2. 1세대 (1991-1995)

1991년 5월에 출시된 1세대 센티아는 마쓰다의 기술력을 집약한 고급 세단이었다. 카펠라에 적용되었던 차속 감응형 4WS 시스템과 선루프에 태양전지를 설치하여 실내를 환기하는 솔라 선루프 등 첨단 기술이 적용되었다. 마쓰다 산하 브랜드인 앙피니에서는 MS-9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으며, 해외 시장에서는 929 (캐나다에서는 929 세레니아)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캐나다 시장용 929 세레니아 정측면


호주 시장용 929 후측면


당시 일본의 버블 경제 붕괴와 마쓰다의 경영난으로 인해 3리터 로터리 터보 엔진은 탑재되지 못하고, V6 엔진과 4단 자동변속기만 적용되었다. 전 차량에는 4WS 시스템이 기본 장착되었으며, 최상위 트림인 3.0 익스클루시브에는 솔라 선루프 외에도 가죽 시트, 6단 CD 체인저, 스티어링 휠 연동 안개등이 기본 장착되었다.

1992년 8월에는 25 리미티드 G 트림이 추가되었고, 1994년에는 마이너체인지를 통해 앙피니 MS-9이 센티아로 통합되었다. 이때 전면 헤드램프와 그릴 디자인이 일부 변경되었고, 4WS 시스템은 일부 트림에서 옵션으로 변경되었다. 1995년 11월, 2세대 모델이 출시되면서 단종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기아자동차가 마쓰다로부터 엔진을 공급받아 기아 엔터프라이즈라는 이름으로 판매하기도 했다.

2. 1. 디자인 및 개발 배경

1991년에 출시된 마쓰다 센티아는 마쓰다의 기술력을 집약한 모델로, 카펠라에 적용되었던 차속 감응형 4WS 시스템과 선루프에 태양전지를 설치하여 실내를 환기하는 솔라 선루프 등이 적용되었다. 마쓰다 산하 브랜드인 앙피니에서는 MS-9이라는 이름으로 일부 개량되어 1994년까지 판매되었다. 해외 시장에서는 루체의 수출명인 929를 유지했으며, 캐나다에서는 929 세레니아로 판매되었다.

센티아는 당초 5넘버 사양과 확장형 사양 모두 개발되었으나, 디자인에 난항을 겪었다. 1986년 제작된 1/1 클레이 모델은 확장형 사양으로 통일되었고, 총 16대가 제작되었다. 1988년 11월, 1/5 스케일의 17번째 클레이 모델에서 테마가 정해졌고, 1989년 1월에 1/1 모델이 제작되었다. 같은 해 4월 임원 승인을 거쳐 개발이 진행되었다.

디자인은 1990년에 출시된 로드스터를 담당했던 타나카 토시하루가 맡았으며, 차량의 테마는 '유상의 퍼스널 세단'이었다. 영국재규어를 연상시키는 낮은 차체와 풍부한 곡선형 스타일, 아름다운 프로포션이 특징이며, 코스모의 세단 버전이라는 평가도 있었다. 당시 르노 소속 디자이너 패트릭 르 케망은 도쿄 모터쇼에서 센티아를 보고 "마쓰다의 디자인은 독창적이지만, 특히 이 차의 디자인은 매우 아름답다"고 칭찬했다.

원래 3리터 로터리 터보 엔진을 적용할 계획이었으나, 일본의 버블경제 붕괴와 마쓰다의 경영난으로 인해 취소되었다. 엔진은 V6 엔진에 4단 자동변속기만 설정되었고, 전 차량에 4WS가 적용되었다. 3.0L 익스클루시브에는 솔라 선루프 외에도 6단 CD 체인저, 스티어링 휠과 연계된 안개등이 장착되었다.

1992년 8월에는 25 리미티드 G가 추가되었고, 1994년에 마이너체인지를 거쳤다. 1995년에 2세대가 나오면서 단종되었다.

센티아의 등급별 가격표 (1991년 5월 ~ 1995년 9월)
등급 명칭생산 연도차량 형식배기량신차 가격
25 리미티드1991년 5월 ~ 1993년 12월E-HD5S2,494cc2.75억
25 리미티드 S2.985억
30 리미티드 JE-HDES2,954cc3.16억
30 리미티드 G3.485억
익스클루시브4.135억
25 타입 J1994년 1월 ~ 1995년 9월E-HD5P2494cc2.798억
25 타입 J-XE-HD5S3.285억
30 타입 JE-HDEP2,954cc3.03억
30 타입 J-X3.64억
익스클루시브4.145억
로열 클래식-


2. 2. 기술적 특징

마쓰다 센티아는 마쓰다가 가진 기술력을 집약한 모델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 차속 감응형 4WS 시스템: 카펠라에 장착된 것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35km/h 미만의 속도에서는 뒷바퀴가 앞바퀴와 반대 방향으로 조향되어 회전 반경을 줄이고, 더 높은 속도에서는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같은 방향으로 조향한다.
  • 솔라 선루프: 유리제 선루프 부분에 태양 전지를 결합하여 정차 중인 차내를 팬으로 환기하는 장치이다.
  • 엔진은 V형 6기통만 있었으며, J5-DE형 2.5L와 JE-ZE형 3.0L가 탑재되었고, 변속기는 4단 자동변속기만 설정되었다.
  • 3.0L 익스클루시브 모델: 위에 언급된 '솔라 선루프' 외에도, 가죽 시트와 300W 출력을 자랑하는 6연장 CD 오토 체인저 부착 스테레오, 스티어링 연동식 안개등이 표준 장착되었다.
  • 프론트 미드십 레이아웃: V6 엔진은 앞 차축 뒤에, 연료 탱크는 뒷 차축 위에 위치하는 마쓰다 RX-7 및 마쓰다 코스모의 로터리 엔진 구동 제품에서 사용했던 기술을 보여준다.
  • 1994년 마이너 체인지: 앙피니 MS-9가 본 차에 통합되었다. 프론트 헤드 램프의 클리어화와 프론트 그릴의 블랙 아웃화 등 일부 변경과 함께 등급 구성의 재검토가 실시되었으며, 전 차량에 표준 장착되었던 4WS 시스템의 일부 등급에서 비표준 장착화, CCS(차량 통신 시스템)의 옵션 설정화가 이루어졌다.


마쓰다 센티아 1세대(HD) 등급별 가격표
등급 명칭생산 연도차량 형식배기량신차 가격
25 리미티드1991년 5월 ~ 1993년 12월E-HD5S2,494cc2.75억
25 리미티드 S2.985억
30 리미티드 JE-HDES2,954cc3.16억
30 리미티드 G3.485억
익스클루시브4.135억
25 타입 J1994년 1월 ~ 1995년 9월E-HD5P2,494cc2.798억
25 타입 J-XE-HD5S3.285억
30 타입 JE-HDEP2,954cc3.03억
30 타입 J-X3.64억
익스클루시브4.145억
로열 클래식-


2. 3. 앙피니 MS-9

Ẽfini영어 MS-9은 1991년부터 1994년까지 마쓰다의 앙피니 브랜드로 판매된 모델이다. 센티아를 기반으로 일부 개량을 거쳐 출시되었으며, 해외 시장에서는 마쓰다 929 또는 캐나다에서는 929 세레니아로 판매되었다.[1] 센티아는 마쓰다의 기술력을 집약한 모델로, 카펠라에 장착된 차속 감응형 4WS 시스템과 선루프에 태양전지를 장착하여 실내를 환기시키는 솔라 선루프 등이 적용되었다.

1986년부터 개발이 시작되어 디자인에 난항을 겪었으나, 1988년 1/5 스케일 모델을 통해 테마가 정해졌고, 1989년 임원 승인을 거쳐 개발이 완료되었다. 디자인은 로드스터를 담당했던 타나카 토시하루가 맡았으며, 유상의 퍼스널 세단을 테마로 영국재규어를 연상시키는 낮은 차체와 풍부한 곡선형 스타일링이 특징이다. 당시 르노 소속 디자이너 패트릭 르 케망은 "마쓰다의 디자인은 독창적이지만, 특히 이 차는 매우 아름답다."라고 칭찬하기도 했다.

원래 3리터 로터리 터보 엔진을 적용할 계획이었으나, 버블 경제 붕괴와 마쓰다의 경영난으로 인해 V6 엔진과 4단 자동변속기만 설정되었다. 전 차량에 4WS가 적용되었고, 3.0L 익스클루시브에는 솔라 선루프, 6단 CD 체인저, 스티어링 휠과 연계된 안개등이 장착되었다. 1992년 8월에는 25 리미티드 G가 추가되었고, 1994년 마이너체인지를 거치면서 MS-9은 센티아로 통합되었다.

등급 명칭 및 가격 (1991년 5월 ~ 1995년 9월)
등급 명칭생산 연도차량 형식배기량신차 가격 (엔)
25 리미티드1991년 5월 ~ 1993년 12월E-HD5S2,494cc2,750,000
25 리미티드 S2,985,000
30 리미티드 JE-HDES2,954cc3,160,000
30 리미티드 G3,485,000
익스클루시브4,135,000
25 타입 J1994년 1월 ~ 1995년 9월E-HD5P2494cc2,798,000
25 타입 J-XE-HD5S3,285,000
30 타입 JE-HDEP2,954cc3,030,000
30 타입 J-X3,640,000
익스클루시브4,145,000
로열 클래식-


2. 4. 해외 시장

해외 시장에서 센티아는 루체의 수출명이었던 마쓰다 929라는 이름을 그대로 사용했으며, 캐나다에서는 929 세레니아로 판매되었다.[4] 대한민국에서는 기아자동차에서 마쓰다의 엔진을 사용하여 배지 엔지니어링 방식으로 기아 엔터프라이즈를 판매하였다.

929의 HD 세대는 1991년에 출시되었으며, V6 엔진만 탑재되었다.[4] 929는 ABS, 풀 전동 장치, 크루즈 컨트롤, 4WS, 4WD(일부 시장 한정)는 물론 차량 내부의 열기를 배출하는 '태양광 통풍구'도 장착되었다.

1992년 토요타 크레시다가 단종되는 등, 이 크기의 비(非) 고급 브랜드 일본 수입차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면서 929는 북아메리카 시장에서 철수했다.[4] 929 세레니아는 1994년캐나다에서, 1995년에는 미국에서 판매가 종료되었다.[4]

3. 2세대 (1995-2000)

2세대 센티아는 1995년 11월에 출시되었다. 버블 붕괴로 인한 불경기와 마쓰다의 어려운 재정 상황 속에서 개발되었으며, 디자인은 이전 세대의 스타일을 계승하면서도 토요타 고급차의 중후함을 강조했다. 1994년에 런칭하려다 취소된 고급 브랜드 아마티의 기함, 아마티 1000의 디자인 요소도 일부 반영되었다.[6][7]

하지만 실제로는 플랫폼과 패널을 대부분 1세대 모델에서 가져왔기 때문에 스킨체인지 수준에 불과했고, 원가 절감으로 인한 품질 저하도 있었다. 토요타 크라운, 닛산 세드릭/글로리아 등 경쟁 모델과 토요타 윈덤, 닛산 세피로, 미쓰비시 디아망떼 등 전륜 구동 기반 어퍼 미들 세단의 등장으로 센티아의 입지는 더욱 좁아졌다.

이전 세대처럼 4WS와 V6 엔진이 제공되었지만, 4WS는 작동 시 이질감을 줄이기 위해 각도가 5도로 줄었고, V6 엔진은 3리터만 제공되었다. 1997년 9월에는 마이너 체인지를 통해 라디에이터 그릴의 형태가 가로에서 세로로 변경되었고, 마쓰다의 새로운 엠블럼이 적용되었다.

2세대 센티아는 대한민국기아자동차에서 기아 엔터프라이즈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기도 했다. 2000년 11월에 단종되었으며, 마쓰다는 이후 후륜구동 기반의 대형 세단을 개발하지 않고 있다.

센티아 전기형 정측면


센티아 전기형 후측면

3. 1. 개발 배경

1995년 11월, 마쓰다는 2세대 센티아를 출시했다. 당시 일본은 버블 붕괴로 인한 불경기를 겪고 있었고, 마쓰다 역시 어려운 상황이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마쓰다는 2세대 센티아 개발에 있어 기존 모델을 대폭 개선하는 빅 마이너체인지 대신 완전 변경(풀체인지)을 선택했다.

2세대 센티아는 이전 세대의 4도어 하드탑 스타일을 계승하면서도 토요타 고급차의 중후함과 위압감을 강조한 디자인을 채택했다. 1세대에서 지적된 뒷좌석 공간 문제도 개선되었다. 또한, 1994년에 런칭하려다 취소된 고급 브랜드 아마티의 기함, 아마티 1000의 디자인 요소도 일부 반영되었다.

마쓰다는 숀 코너리를 광고 모델로 기용하여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강조했다.[8] 그러나 재정 문제로 인해 2세대 센티아는 1세대 모델의 플랫폼과 패널을 대부분 그대로 사용하는 스킨체인지 수준에 머물렀다. 이로 인해 뒷좌석 헤드레스트가 사라지는 등 원가 절감으로 인한 품질 저하도 나타났다.

토요타 크라운, 닛산 세드릭/글로리아 등 경쟁 모델과 토요타 윈덤, 닛산 세피로, 미쓰비시 디아망떼 등 전륜 구동 기반 어퍼 미들 세단의 등장으로 센티아의 입지는 더욱 좁아졌다.

2세대 센티아는 이전 세대처럼 4WS와 V6 엔진을 탑재했지만, 4WS는 작동 시 이질감을 줄이기 위해 각도를 5도로 줄였고, V6 엔진은 3리터 엔진만 제공되었다.

3. 2. 디자인 및 특징

2세대 센티아는 1995년 11월에 출시되었다. 버블 붕괴로 인한 불경기와 마쓰다의 내부 사정을 고려하여 대대적인 마이너체인지를 하자는 의견도 있었으나, 결국 풀체인지가 결정되었다. 이전 세대의 4도어 하드탑 스타일을 계승하여 디자인이 세련되었으며, 초대 센티아에 비해 토요타의 고급차와 같은 중후함과 위엄을 강조한 스타일로 변경되었다. 또한, 초대 센티아에서 지적받았던 뒷좌석 공간도 개선되었다. 1994년에 출시하려다 취소된 고급 브랜드 아마티의 기함인 아마티 1000의 디자인 요소도 일부 적용되었다. 광고 모델로는 숀 코너리가 기용되었다.[8]

하지만 명목상 풀 체인지였을 뿐, 당시 마쓰다의 재정 문제로 인해 이전 세대의 플랫폼과 패널을 대부분 그대로 사용하여 스킨체인지 수준에 불과했다. 뒷좌석 헤드레스트가 사라지는 등 원가절감으로 인한 품질 저하도 있었다. 게다가 마쓰다의 판매점 정리 및 경영 개혁과 맞물려, 토요타 크라운, 닛산 세드릭/글로리아와 경쟁에서 밀려났다. 또한, 토요타 윈덤, 닛산 세피로, 미쓰비시 디아망떼 등 전륜 구동 기반의 어퍼 미들 세단들이 등장하면서 센티아의 입지는 더욱 좁아졌다.

이전 세대와 마찬가지로 4WS와 V6 엔진이 제공되었지만, 4WS는 작동 시 이질감을 줄이기 위해 각도가 5도로 줄었고, V6 엔진은 3리터만 제공되었다. 1997년 9월에는 마이너 체인지를 통해 라디에이터 그릴의 형태가 가로에서 세로로 변경되었고, 마쓰다의 새로운 엠블럼이 적용되었다. 또한, 전 차종의 내외장 스타일이 개선되었다.

2세대 센티아 (HE) 엔진 제원
엔진 형식배기량최고 출력최대 토크비고
JE-E SOHC 18 밸브 V62,954 cc마쓰다 MPV, 5세대 루체와 공통
JE-ZE DOHC 24 밸브 V62,954 cc(일본 내수용 205 PS)



2세대 센티아는 대한민국기아자동차에서 기아 엔터프라이즈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기도 했다.

3. 3. 기술적 특징

2세대 센티아는 마쓰다의 업데이트된 HE 플랫폼을 사용했으며, 마쓰다의 마지막 대형 후륜구동 세단이었다. 기계적 기반은 이전 센티아에서 대부분 이어졌다. 외관과 내부는 차량을 더욱 위엄 있게 만들고 공식적인 기업용으로 적합하도록 약간의 재설계를 거쳤다. 여기에는 더 큰 그릴, 후방 머리 공간을 개선하기 위한 더 높은 루프라인, 넓은 목재 패널이 포함되었다.[6][7]

1995년 11월에 출시되었고, 당시 불황과 마쓰다의 재정 상황을 고려하여 개발 중간에 MPV와 마찬가지로 초대형 마이너 체인지로 하려는 안도 나왔으나, 최종적으로 경영 회의에서 빅 마이너 체인지 버전과 풀 모델 체인지 버전 모두 검토한 결과 후자가 채택되었다.

풀 모델 체인지를 이루었지만 마쓰다의 경영 상황이 어려운 가운데 데뷔한 탓에 개발비 문제로 스킨 체인지를 할 수밖에 없었고, 플랫폼뿐만 아니라 내부 패널 등에 이르기까지 초대로부터 유용했다. 익스테리어에서는 전조등이 H4 전구 2등이 되었고, 인테리어에서도 뒷좌석 독립식 헤드레스트 폐지 등, 원가 절감이 확연히 드러나는 품질 저하가 보였다.

엔진은 초대와 마찬가지로 V형 6기통뿐이지만, 전 차종 3L 엔진만 제공되었으며 2.5L는 폐지되었다. 센티아의 3.0L V6 DOHC 24밸브(205마력)와 MPV 및 과거의 5세대 루체와 공통인 SOHC 18밸브(160마력)의 2가지가 준비되었다. 또한, 초대에 이어 차속 감응형 4WS를 탑재한 모델도 준비되었지만, 닛산 자동차의 SUPER HICAS와 같은 요레이트 감응형이 아니었기 때문에 작동에 위화감이 있어, 이를 완화하기 위해 최대 조향각을 7도에서 5도로 축소했다.

1997년 9월에 마이너 체인지가 이루어져 그릴의 형태를 가로에서 세로로 변경하는 것과 동시에, 마쓰다의 새로운 엠블럼을 채용하였다. 그리고 전 차종의 내외장 스타일을 보다 업그레이드하였다.

'''엔진:'''

  • 3.0 L (2,954 cc) JE-E SOHC 18 밸브 V6
  • 3.0 L (2,954 cc) ''JE-ZE'' DOHC 24 밸브 V6, 185hp

3. 4. 기아 엔터프라이즈

기아 엔터프라이즈


기아 엔터프라이즈 후면


'''기아 엔터프라이즈'''는 기아자동차가 화성공장에서 생산한 세단으로, 마쓰다 센티아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1998년에 판매가 시작되었다. 2.5, 3.0, 3.6리터의 세 가지 마쓰다제 가솔린 엔진 중 하나를 탑재했다. 이전과 마찬가지로 기아의 대형 세단은 마쓰다 플랫폼을 기반으로 했으며, 전작은 기아 포텐샤였다. 엔터프라이즈는 FR 레이아웃에 멀티 링크 서스펜션을 전/후륜에 적용했다. 2002년에는 현대 그랜저와 플랫폼을 공유하는 기아 오피러스로 대체되었다. 엔터프라이즈는 좌측 운전 차량이었으며, 센티아는 우측 운전 차량이었다.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로 인해 회사가 현대자동차와 합병되기 전 기아가 출시한 마지막 마쓰다의 배지 엔지니어링 차량이었다.[1]

3. 5. 단종

2000년 11월에 센티아는 단종되었으며, 마쓰다는 이후 후륜구동 기반의 대형 세단을 개발하지 않고 있다.[1] 사실상 후속 차종은 센티아보다 한 단계 아래인 밀레니아가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車 種 型 式 https://web.archive.[...] Miyaco Jidosha Kogyo Kaisha 2016-01-29
[2] 웹사이트 Herald-Journal - Google News Archive Search https://news.google.[...]
[3] 웹사이트 Herald-Journal - Google News Archive Search https://news.google.[...]
[4] 서적 Automobil Revue 1992 Hallwag AG 1992-03-05
[5] 웹사이트 1995 Mazda Sentia 2gen Sedan (HE) full range specs https://www.automobi[...]
[6] 웹사이트 This is Probably The Most Badass Engine You Never Heard. https://web.archive.[...] 2014-01-10
[7] 웹사이트 Mazda's Luxury division: Amati http://iheartjapanes[...] 2015-12-16
[8] Youtube 1996 Mazda Sentia Ad https://www.youtube.[...] 2009-06-14
[9] 웹사이트 マツダホームページ>マツダのクルマづくり>クルマづくりの歴史>マツダの歴史>1990年-1999年>初代センティア誕生 http://www.mazda.co.[...]
[10] 웹사이트 GAZOO>名車館>1991年 マツダ・センティア エクスクルーシブ http://gazoo.com/mei[...]
[11] 웹사이트 センティア(マツダ)1991年5月~1995年9月生産モデルのカタログ https://www.carsenso[...] リクルート株式会社 2020-01-25
[12] 웹사이트 センティア(1995年11月~2000年11月) https://gazoo.com/ca[...]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2020-01-25
[13] 웹사이트 センティア(マツダ)のカタログ https://www.carsenso[...] リクルート株式会社 2020-0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