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충 (동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충은 삼국 시대 오나라의 장수로, 정사에서는 반장의 사마로서 관우 등을 사로잡은 기록이 있다.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반장의 부장으로 등장하여 관우와 적토마를 사로잡는 공을 세우고, 이릉 대전에서 황충을 죽이지만, 미방과 부사기에게 암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한의 장군 - 동탁
동탁은 후한 말 군벌로, 폭정과 권력 찬탈을 시도했으며, 소제를 폐위하고 헌제를 옹립하여 상국에 올랐으나 여포에게 암살당했으며, 독재와 폭정의 상징으로 평가받는다. - 후한의 장군 - 손견
손견은 후한 말의 군벌이자 오나라의 시조이며 손책과 손권의 아버지로, 황건적의 난 진압 등 공을 세웠고 반동탁 연합군에 참여하여 낙양 함락에 기여했으나, 향양 전투 중 전사했으며, 뛰어난 무력과 리더십으로 인정받는 동시에 과감한 성격으로 비판받기도 하는 인물이다. - 동오의 장군 - 사일
사일은 후한 말부터 삼국시대 초 교주 지역에서 활동하며 정궁을 보좌하여 두각을 나타냈고 합포 태수를 역임했으나, 손권에게 귀순 후 사휘의 반란에 연루되어 처형당하며 격변기의 사씨 가문의 흥망성쇠를 보여주는 인물이다. - 동오의 장군 - 미방
미방은 유비 휘하에서 활약하다 관우와의 불화로 손권에게 투항하여 오나라 장수가 되었으며, 삼국지연의에서는 유비에게 항복하려다 처형당하는 인물로 묘사된다. - 문화에 관한 - 르네상스 미술
르네상스 미술은 14세기부터 16세기 유럽에서 일어난 미술 양식의 변화로, 고대 그리스·로마 문화 부흥을 바탕으로 인간 중심적 세계관과 사실적 표현 기법이 발달했으며, 회화, 조각, 건축 분야에서 다양한 발전을 이루었고, 레오나르도 다 빈치, 미켈란젤로, 라파엘로 등의 거장들이 활약하며 유럽 각 지역에서 특색을 반영하여 발전했다. - 문화에 관한 - 삼국지연의
《삼국지연의》는 나관중이 유비를 중심으로 184년부터 280년까지의 삼국 시대를 배경으로 저술한 중국 4대 기서 중 하나인 역사 소설로, 격동적인 시대의 사건과 인물들의 활약상을 다루며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미디어로 각색되어 왔다.
마충 (동오) | |
---|---|
마충 (한나라) | |
![]() | |
성, 이름 | 마(馬), 충(忠) |
생몰년 | ? ~ 222년 |
자 | 덕신(德信) |
출신지 | 브 |
직위 | 파군사마(巴郡司馬) 의도태수(宜都太守) |
소속 | 촉한 |
가족 | 마모(馬衇) (아들) |
생애 | |
주요 활동 | 오나라에 대한 파군 방어 |
사망 | 이릉 전투에서 전사 |
마충 (손오) | |
본명 | 마충(馬忠) |
자 | 덕신(德信) |
생몰년 | 미상 ~ 249년 |
출신지 | 파군 낭중현(閬中縣) |
관직 | 건위태수(建威太守) 진위장군(鎮衛將軍) 표기장군(驃騎將軍) 평도향후(平都鄉侯) |
소속 | 오(吳) |
상관 | 손권(孫權) |
친척 | 마한(馬漢) (족제) |
상세 정보 | |
별칭 | 호족감릉(胡督甘陵) |
묘소 | 감릉 |
마충 (동오) | |
한자 | 馬忠 |
생몰 | 미상 - 249년 |
자 | 덕신(德信) |
출신 | 파군 낭중현 |
직위 | 건위태수 진위장군 표기장군 |
봉작 | 평도향후 |
소속 | 오나라 |
가족 관계 | 마한 (종제) |
2. 생애 (정사)
반장(潘璋) 휘하의 사마로서 건안 24년( 24년) 12월(음력) 형주 공방전 끝에 장향(鄣鄕)에서 관우, 관평, 조루를 사로잡았다.[4] 이외의 기록은 없다.
소설 《삼국지연의》에서 마충은 반장의 부장으로 등장한다. 형주 공방전에서 관우를 생포하고 적토마를 얻었으나, 적토마는 곧 죽는다.[2] 이릉 대전에서는 황충을 화살로 쏘아 죽인다.[3] 이후 관흥에게 쫓기다 미방과 부사인에게 암살당하고, 그 머리는 유비에게 바쳐진다.[3]
3. 삼국지연의에서의 묘사
3. 1. 형주 공방전
반장 휘하의 사마로서 219년 12월(음력) 형주 공방전 끝에 장향(鄣鄕)에서 관우, 관평, 조루를 사로잡았다.[4]
3. 2. 이릉 대전
나관중의 소설 《삼국지연의》에서 마충은 반장 휘하의 부장으로 등장하여 관우와 그의 애마인 적토마를 붙잡는 공을 세운다. 손권은 그 공을 치하하여 적토마를 하사했지만, 적토마는 먹이를 먹지 않고 곧 죽었다.[2]
이릉 대전에서 마충은 반장 휘하에서 종군하며 촉한의 장수 황충을 화살로 쏘아 전사하게 만들었다. 이후 관흥이 반장을 죽이고 마충과 조우하나, 마충은 관흥을 놓치고 만다.
3. 2. 1. 최후
나관중의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관우가 가지고 있던 적토마를 받는 공을 세운다.[2] 222년 이릉 대전에 참전하여 화살로 황충을 죽인다. 유비의 선전에 위기감을 느낀 미방과 부사인이 마충을 암살하고 그 머리를 유비에게 바치며 투항한다.[3]
참조
[1]
서적
三国志
s:zh:三國志/卷47
[2]
서적
三國演義
s:zh:三國演義/第077回
[3]
서적
三國演義
s:zh:三國演義/第083回
[4]
서적
삼국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