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방은 동해군 거현 출신으로, 유비 휘하에서 활약하다가 관우와의 불화로 손권에게 투항한 인물이다. 그는 부유한 상인 집안 출신으로, 형 미축과 함께 유비를 섬겼다. 유비가 형주를 얻은 후 남군 태수가 되었으나, 관우의 번성 공략을 지원하지 않고 군수 물자를 소실하여 관우의 질책을 받았다. 이에 손권에게 투항하여 오나라 장수가 되었고, 이후 우번에게 비난을 받기도 했다. 삼국지연의에서는 유비에게 항복하려다 처형당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비 휘하의 장군 - 제갈량
    제갈량은 삼국 시대 촉한의 정치가이자 전략가로, 유비의 삼고초려로 촉한에 합류하여 승상이 되었고, 섭정으로서 남정을 통해 촉한의 기반을 다졌으며, 북벌을 통해 위나라를 공격했으나 실패했으며, 법치주의와 인재 등용을 중시하고 경제 정책을 통해 국력을 강화했다.
  • 유비 휘하의 장군 - 관우
    관우는 후한 말기 ~ 삼국시대 촉한의 무장이자 정치인으로, 유비, 장비와 도원결의를 맺은 의형제로서 유비를 보좌하며 뛰어난 무예와 충절로 이름을 알렸으나, 손권의 계략으로 최후를 맞이한 후 동아시아에서 신으로 숭배받고 대중문화에서 영웅적 인물로 묘사되기도 하지만, 강직함과 자만심이 정치적 판단력에 부정적 영향을 주었다는 평가도 받는 인물이다.
  • 동오의 장군 - 사일
    사일은 후한 말부터 삼국시대 초 교주 지역에서 활동하며 정궁을 보좌하여 두각을 나타냈고 합포 태수를 역임했으나, 손권에게 귀순 후 사휘의 반란에 연루되어 처형당하며 격변기의 사씨 가문의 흥망성쇠를 보여주는 인물이다.
  • 동오의 장군 - 한당
    한당은 삼국 시대 오나라의 무장으로, 활약과 충성심으로 손견, 손책, 손권 삼대를 섬기며 주요 전투에서 공을 세우고 도독에 이르렀으나 질병으로 사망했다.
  • 문화에 관한 - 르네상스 미술
    르네상스 미술은 14세기부터 16세기 유럽에서 일어난 미술 양식의 변화로, 고대 그리스·로마 문화 부흥을 바탕으로 인간 중심적 세계관과 사실적 표현 기법이 발달했으며, 회화, 조각, 건축 분야에서 다양한 발전을 이루었고, 레오나르도 다 빈치, 미켈란젤로, 라파엘로 등의 거장들이 활약하며 유럽 각 지역에서 특색을 반영하여 발전했다.
  • 문화에 관한 - 삼국지연의
    《삼국지연의》는 나관중이 유비를 중심으로 184년부터 280년까지의 삼국 시대를 배경으로 저술한 중국 4대 기서 중 하나인 역사 소설로, 격동적인 시대의 사건과 인물들의 활약상을 다루며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미디어로 각색되어 왔다.
미방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미방
로마자 표기Mi Fang
본관쉬저우 롄윈강
생년알 수 없음
몰년223년
자방(子方)
관직 정보
직위남군 태수
임명 시기208년
소속유비
임기 종료219년
가족 관계
형제미축
자매미부인
인척 관계유비 (매부)

2. 초기 생애 및 유비 섬김

미방은 형 미축과 함께 유비를 섬겼다. 조조가 미축을 영군태수(嬴郡太守)로, 미방을 팽성으로 천거했지만, 형제는 모두 관직을 버리고 유비를 따라 전전했다.[4]

미방과 미축은 서주(徐州; 현재의 장쑤성 북부) 자사 도겸을 섬겼다. 도겸이 사망하자, 미씨 가문은 미방이 자신의 여동생을 시집보낸 유비에게 주지사를 넘겨줄 것을 강력히 주장했다. 이후 미씨 형제는 유비의 군대에 합류하여 군벌 원술에게 반격하기 위해 서이와 회음(淮陰; 광릉, 서주 남쪽에 위치)으로 갔다. 유비는 미씨 형제의 재정적 지원을 받아 소패(小沛, 현재의 장쑤성 패현)로 진지를 옮겨 1만 명 이상의 병력을 모았다. 유비가 조조 밑에서 일할 때, 조조는 미축과 미방에게 영군(嬴郡; 현재의 래우 북서쪽, 산둥성)과 팽성군의 주지사 직을 제안했지만, 두 사람은 유비가 조조를 떠나자 유비를 따르기로 결정했다.

3. 관우와의 불화 및 오나라 투항

미방은 손권에게 항복한 후, 성의 깃발을 촉한에서 오나라로 바꿔 달고, 관우가 성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성문을 굳게 걸어 잠갔다. 이로 인해 관우는 맥성으로 도망가야 했고, 유비 세력은 형주 영역을 상실했다.[5]미축은 이 소식에 노엽고 부끄러워 병이 나 죽었다.[5]

223년, 미방은 하제의 지휘 아래 선우단, 유소와 함께 위나라에 투항한 진종을 공격했다.[2] 관우에게 반기를 들었던 미방이 오나라에서는 반기를 든 자들을 토벌하러 다니는 아이러니한 상황이었다.

훗날 우번은 미방의 배를 피하라는 관리들의 말에 미방을 비난했고, 미방은 황급히 피했다.[11] 이후 우번이 미방의 진영 앞을 지나갈 때 관리들이 막자 우번은 다시 미방을 비난했고, 미방은 부끄러워했다.[12]

3. 1. 오나라 투항의 배경 (별도 3단계)

조조가 형 미축을 영군태수로 천거할 때 미방도 팽성으로 천거되었지만, 형제 모두 이를 버리고 유비를 따라 전전했다.[4]

훗날 남군태수가 되어 관우와 함께 일을 했으나, 관우와 사이가 틀어졌다. 219년 번성 전투 당시 관우에게 군자를 공급했으나, 전력을 다하지 않은데다 남군성에 불이 나 군수물자를 소실시키기까지 하였으므로 관우가 처벌하겠다고 하여 두려움을 품었다.[5]

이때 손권의 꾐을 받아 장군 사인과 함께 손권에게 항복했다.

4. 오나라에서의 생애

조조가 형 미축을 영군태수(嬴郡太守)로 천거할 때 미방도 팽성으로 천거되었지만, 형제 모두 이를 버리고 유비를 따라 전전했다.[4]

훗날 남군태수가 되어 관우와 함께 일을 했으나, 관우와 사이가 틀어졌다. 219년 번성 전투 당시 관우에게 군자를 공급했으나, 전력을 다하지 않은데다 남군성에 불이 나 군수물자를 소실시키기까지 하였으므로 관우가 처벌하겠다고 하여 두려움을 품었다.[5]

이때 손권의 꾐을 받아 장군 사인과 함께 손권에게 항복했다. 미방은 손권에 항복한 이후 성의 깃발을 촉한에서 손오로 바꿔 달았으며, 관우가 전투를 마치고 되돌아오자 성문을 굳게 걸어 잠그고 관우가 성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막고 관우를 공격했다. 미방에게 공격받은 관우는 맥성으로 도망가야 했다. 이로 인해 유비 세력은 나머지 형주 영역을 상실했고, 형 미축은 노엽고 부끄러워 병이 나 죽었다.[6]

223년 6월, 선우단·유소와 함께 하제의 지휘를 받아 위에 투항한 옛 동오의 장수 기춘태수(蘄春太守) 진종을 공격했다. 본인은 관우에게 반기를 들었으면서 정작 오나라에서는 반기를 든 자들을 토벌하러 다니는 아이러니한 인생을 살았다.[2]

훗날 우번이 가다가 미방의 배를 만났는데, 미방의 관리들이 미방의 배를 피하라고 하자 우번은 미방을 비난하였다. 미방은 황급히 우번을 피했다. 우번은 나중에 미방의 진영 앞을 통과하게 되었는데, 미방의 관리들이 이를 막자 우번은 노하여 미방을 비난했다. 미방은 부끄러워했다.[11][12]

5. 평가

조조가 형 미축을 영군태수로 천거할 때 팽성으로 함께 천거되었으나, 이를 모두 거부하고 형과 함께 유비를 따랐다.[4] 남군태수가 되어 관우와 함께 일했으나, 사이가 좋지 않았다. 219년 번성 전투 당시 관우에게 군자를 공급했으나, 전력을 다하지 않았고 남군성에 불이 나 군수물자를 소실시키기도 했다. 관우가 처벌하겠다고 하자 두려움을 품었다.[5]

손권의 꾐을 받아 사인과 함께 손권에게 항복했다. 이후 관우가 성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성문을 걸어 잠그고 관우를 공격했다. 이로 인해 유비 세력은 형주 영역을 상실했고, 형 미축은 노엽고 부끄러워 병이 나 죽었다.[7][8][9]

223년 6월, 선우단, 유소와 함께 하제의 지휘를 받아 위에 투항한 옛 동오의 장수 기춘태수 진종을 공격했다.[10] 관우에게 반기를 들었으면서 오나라에서는 반기를 든 자들을 토벌하러 다니는 모순적인 삶을 살았다.

우번은 미방의 배를 피하라는 미방 관리들의 말에 "충성을 잃은 자가 어찌 주군을 섬길 수 있겠는가? 주군이 두 개의 도시를 잃게 만들고 어찌 장군이라 칭할 수 있겠는가?"라고 미방을 비난했고, 미방은 황급히 우번을 피했다. 또, 우번이 미방의 진영 앞을 통과하게 되었는데, 미방의 관리들이 이를 막자 우번은 다시 "(성문을) 닫아야 할 때 열고 항복해 놓고, 열어둬야 할 때 문을 닫고 있다니. 사물의 이치를 알고 있는 건가?"라고 미방을 비난했다. 미방은 이에 부끄러워했다.[11][12]

6. 삼국지연의에서의 묘사

형 미축과 함께 유비를 따라 전전하였으며, 장판파 전투에서 유비가 조조에게 추격을 당할 때 조운이 부인과 유선을 구하러 적진으로 가는 것을 보고, 유비에게 조운이 조조에게 투항했다고 보고했다.[1] 여몽우번으로 부사인을 꾀어 투항시킨 후, 부사인의 권고를 받아 동오에 항복했다.[1] 이릉 대전 때 동오가 촉한군 앞에서 허물어져 가는 것을 보고 두려워하여, 미방은 부사인과 함께 마충의 목을 베고 유비에게 항복했으나,[1] 분노한 유비는 미방과 부사인을 참수했다.[1]

14세기 역사 소설 삼국지연의에서 미방과 사인은 손권에게 항복한 후 동오 군에서 복무했다.[2] 83장에서 유비는 관우의 복수를 위해 동오를 상대로 직접 군대를 이끌었다.[2] 그들은 부하들이 자신들을 죽이고 유비에게 항복하려는 음모를 꾸미고 있음을 알게 되자, 미방과 사인은 상관 마충을 암살하고 유비에게 항복했다.[2] 그러나 유비는 감명을 받지 못하고 관흥에게 반역자들을 처형하여 관우에게 제물로 바치라고 명령했다.[2]

소설 『삼국지연의』에서 형과 함께 유비의 부하로 활약하는 한편, 장판파 전투에서는 유비의 가족을 되찾으려 적진으로 들어간 조운의 행동을 배신으로 오해하여 유비에게 참언한다.[3] 유비가 오나라 토벌을 시작했을 때, 자신과 부사인을 죽이고 으로 돌아가려는 형주 출신 병사들을 두려워하여, 유비의 친척이므로 처형되지 않을 것이라 생각하고, 부사인과 함께 마충을 죽이고 그 머리를 전리품으로 촉군에 돌아간다.[3] 그러나 관우를 배신한 것에 대한 유비의 분노는 가라앉지 않았고, 유비는 직접 부사인과 함께 참수한다.[3] 요시카와 에이지의 소설 『삼국지』에서는 관우의 아들 관흥에게 넘겨져 아버지의 원수로 참살당한다.[3]

7. 가족 관계

미방은 동해군 거현(현재의 장쑤성 롄윈강) 출신으로, 1만 명 이상의 하인과 손님을 거느린 매우 부유한 상인 집안에서 태어났다. 미방과 그의 형 미축은 말타기와 궁술에 능숙했다.[2]

형제미축
배우자미부인


8. 기타

도겸이 사망하자, 미씨 가문은 자신의 여동생유비에게 시집보낸 미방에게 주지사 자리를 넘겨줄 것을 강력히 주장했다. 이후 미씨 형제는 유비의 군대에 합류하여 196년에 군벌 원술에게 반격하기 위해 서이와 회음(淮陰; 광릉, 서주 남쪽에 위치)으로 갔다. 장비는 당시 서주의 수도인 하비를 지키기 위해 유비에게 남겨졌는데, 도겸이 서주를 통치하던 시절 하비의 재상 조표를 사소한 일로 심하게 다툰 끝에 살해했다. 조표의 죽음으로 인해 도시는 혼란에 빠졌고, 현지인들은 여포에게 성문을 열어주었고, 여포는 그 과정에서 유비와 미방의 가족을 포로로 잡고 도시를 장악했다. 소식을 들은 유비의 군사들은 도주하기 시작했다. 유비는 그 후 해서(海西)와 동해군(東海)으로 후퇴했다. 양쪽에서 적을 마주하고 보급품 부족에 직면한 미씨 형제는 유비를 격려하고 사재를 털어 군대를 지원했다. 다른 방안이 없다고 판단한 유비는 여포와 휴전을 모색했고, 여포는 그 제안을 받아들여 선의의 표시로 유비의 가족을 돌려보냈다. 원술에게 고립될 것을 두려워한 여포는 원술이 유비를 제거하려는 추가 시도를 방해했다.

유비는 군대를 재건하기 위해 미씨 형제의 재정적 지원을 받아 소패(小沛, 현재의 장쑤성 패현)로 진지를 옮겨 1만 명 이상의 병력을 모았다. 여포는 이를 우려하여 소패를 공격했다. 유비는 그 후 군벌 조조가 근거지를 둔 허창으로 도망쳤다. 유비가 조조 밑에서 일하는 동안, 조조는 미축과 미방에게 영군(嬴郡; 현재의 래우 북서쪽, 산둥성)과 팽성군의 주지사 직을 제안하여 유혹했지만, 두 사람은 매형이 조조를 떠나자 미지의 미래를 위해 높은 지위를 포기하고 유비를 따르기로 결정했다.

이후 유비는 형주 자사 유표에게 의탁했다. 강릉 전투 이후 유비는 남방과 동방의 군벌 손권과 성공적으로 협상하여 형주남군(南郡; 현재의 장링, 후베이)을 빌렸고, 미방은 그 군의 태수로 임명되었다. 유비가 익주로 떠날 때, 미방은 형주에서 관우와 함께 남도록 명령받았다.

미방의 배가 좁은 수로에서 유반의 배와 마주쳤을 때, 미방의 배에 있던 하인들은 "우리 장군의 배를 위해 길을 비켜라!"라고 소리치며 유반에게 길을 비키라고 요구했다. 유반은 분노하며 "충성을 잃은 자가 어찌 주군을 섬길 수 있겠는가? [전] 주군이 두 개의 도시를 잃게 만들고 어찌 장군이라 칭할 수 있겠는가?"라고 소리쳤다. 미방은 매우 부끄러워하며 유반의 배를 먼저 지나가게 했다. 다른 일화로 유반이 미방의 진영을 통과해야 했을 때, 미방 진영의 장교들은 문을 열어주지 않았고, 유반은 분노하며 "열어야 할 것은 닫혀 있고, 닫아야 할 것은 열려 있는데, 어찌 이런 짓을 할 수 있단 말인가?"라고 외쳤다. 미방은 수로에서보다 더욱 부끄러워했다.[3] 이러한 조롱에도 불구하고, 손권은 여전히 미방을 신뢰하고 존중했다.

참조

[1] 서적 de Crespigny
[2] 문서 6th month of the 2nd year of the ''Huang'wu'' era. The month corresponds to 15 Jul to 13 Aug 223 in the Julian calendar.
[3] 서적 (翻常乘船行,与麋芳相逢,芳船上人多欲令翻自避,先驱曰:“避将军船!”翻厉声曰:"失忠与信,何以事君?倾人二城,而称将军,可乎?"芳阖户不应而遽避之。后翻乘车行,又经芳营劳,吏闭门,车不得过。翻复怒曰:"当闭反开。当开反闭。岂得事宜邪?"芳闻之,有惭色。) ''Sanguozhi'', vol.57
[4] 서적 『三国志』蜀志糜竺伝 竺弟芳為彭城相,皆去官,隨先主周旋。
[5] 서적 『三国志』蜀志関羽伝
[6] 서적 『三国志』呉志呂蒙伝
[7] 서적 『三国志』呉志呂蒙伝 先遣蒙在前。蒙至尋陽,盡伏其精兵舳艫中,使白衣搖櫓,作商賈人服,晝夜兼行,至羽所置江邊屯候,盡收縛之,是故羽不聞知。遂到南郡,士仁、糜芳皆降。 [一]呉録曰:初,南郡城中失火,頗焚燒軍器。羽以責芳,芳内畏懼,權聞而誘之,芳潛相和。及蒙攻之,乃以牛酒出降。
[8] 서적 『三国志』呉志虞翻伝 呂蒙圖取關羽,稱疾還建業,以翻兼知醫術,請以自隨,亦欲因此令翻得釋也。後蒙舉軍西上,南郡太守糜芳開城出降。
[9] 서적 『三国志』呉志呂蒙伝においては、注を含めると見解は統一していない。『三国志』呉志呂蒙伝では「士仁、糜芳皆降」(士仁・糜芳はいずれも投降した)と記されている。また『三国志』呉志呂蒙伝が引く『呉録』には、南郡の失火で軍器を焼失し、関羽から責任を問われたため、糜芳はそれに畏怖した。孫権がこれを聞いて誘うと、糜芳は通じた。呂蒙が攻めると、牛や酒を差し出して降伏した。『三国志』呉志呂蒙伝が引く『呉書』では、糜芳は城を守ったが、呂蒙が士仁の姿を彼に見せると、ついに降服した。韋昭呉書でのみ、城を守ろうとする麋芳を呂蒙が説得して降伏させたと、それぞれ記されている。
[10] 서적 『三国志』呉志賀斉伝 初,晉宗為戲口將,以眾叛如魏,還為蘄春太守,圖襲安樂,取其保質。權以為恥忿,因軍初罷,六月盛夏、出其不意,詔齊督糜芳、鮮于丹等襲蘄春,遂生虜宗。後四年卒,子達及弟景皆有令名,為佳將。
[11] 서적 『三国志』呉志虞翻伝
[12] 서적 このことについては[[虞翻]]の項も参照のこと。虞翻は呂蒙とともに糜芳を降伏させた張本人である。『三国志』呉志虞翻伝 翻數犯顏諫爭,權不能悦。又性不協俗,多見謗毀,坐徙丹楊涇縣。 『三国志』呉志諸葛瑾伝 虞翻以狂直流徙。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