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시아의 교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말레이시아의 교통은 육상, 항공, 해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육상 교통은 도로와 철도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로망은 고속도로를 포함하여 총 290,099.38km에 달한다. 철도는 총 1849km이며, 대부분의 노선은 미터 궤를 사용한다. 항공 교통은 62개의 공항을 통해 이루어지며,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이 주요 허브 공항이다. 해상 교통은 7,200km의 수로를 활용하며, 말라카 해협에 위치하여 중요한 해상 항로를 담당한다. 포트 클랑과 탄중 펠레파스 항은 동남아시아에서 싱가포르 항 다음으로 붐비는 항구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말레이시아의 교통 | |
---|---|
개요 | |
육상 운송 | |
도로 네트워크 길이 | 144,400km (2005년) |
포장 도로 | 116,100km (2005년) |
미포장 도로 | 28,300km (2005년) |
고속도로 | 1,821 km (2016년) |
철도 총 길이 | 2,278 km (2022년) |
철도 | |
표준궤 | 24 km, 1,435 mm 궤간 |
협궤 | 2,254 km, 1,000 mm 궤간 |
전기 철도 | 450 km (2022년) |
수상 운송 | |
총 상선 수 | 1,000 톤 이상 선박 1,021척 (2018년) |
선박 종류 | 벌크 캐리어: 122척 화물선: 392척 유조선: 102척 기타: 405척 |
주요 항구 | 조호르바루 믈라카 포트클랑 쿠알라트렝가누 쿠칭 미리 |
항공 운송 | |
총 공항 수 | 114개 (2013년) |
포장 활주로 공항 수 | 38개 |
2,438 미터 이상 | 12개 |
1,524 ~ 2,437 미터 | 15개 |
914 ~ 1,523 미터 | 8개 |
914 미터 미만 | 3개 |
미포장 활주로 공항 수 | 76개 |
1,524 ~ 2,437 미터 | 1개 |
914 ~ 1,523 미터 | 14개 |
914 미터 미만 | 61개 |
파이프라인 | |
원유 | 10 km |
석유 제품 | 149 km |
천연 가스 | 2,548 km |
2. 육상 교통
말레이시아의 육상 교통은 도로와 철도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전국적으로 광범위한 도로망이 구축되어 있으며, 특히 말레이시아 반도 지역은 남북 고속도로와 동해안 고속도로 등 주요 고속도로가 잘 발달되어 있다. 반면, 보르네오섬의 사바와 사라왁 지역은 도로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부족했으나, 판보르네오 고속도로 건설 사업을 통해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영국 식민 통치의 영향으로 좌측 통행을 시행하고 있다.
철도 시스템은 국영으로 운영되며, 주로 미터 궤를 사용하지만 일부 표준궤 구간도 존재하며 전철화가 진행 중이다. 쿠알라룸푸르와 같은 대도시에서는 통근 열차와 급행 대중교통 시스템이 운영되고 있으나, 다른 지역에서는 철도 교통 시스템 개발이 상대적으로 미흡하다는 평가도 있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쿠알라룸푸르-싱가포르 고속철도 프로젝트 추진 등을 통해 철도 인프라 확충에 노력하고 있다.
2. 1. 도로
말레이시아의 도로망은 총 290099.38km에 달하며, 이 중 288083.33km는 포장 또는 비포장 도로이고, 2016.05km는 고속도로이다.[1]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긴 고속도로는 남북 고속도로로, 태국 국경과 싱가포르 사이를 800km 이상 연결한다. 두 번째로 긴 고속도로는 쿠알라룸푸르에서 테렝가누주의 주도인 쿠알라테렝가누까지 거의 500km에 걸쳐 뻗어 있는 동해안 고속도로(LPT-E8)이다.반도 말레이시아에 비해 사바와 사라왁의 도로 시스템은 상대적으로 덜 발달했고 품질도 낮은 편이다.[2]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2015년 말레이시아 예산에 따라 판보르네오 고속도로 건설이 승인되었다.[3] 이 고속도로 사업은 총 1663km (사라왁 936km, 사바 727km)에 걸쳐 진행되며, 대부분 기존 간선 도로를 활용하여 현재 폭 3m의 단일 차선을 복선 차선으로 확장하는 작업을 포함한다.[4][5]
말레이시아는 영국 제국 시대인 1903년 말레이 연방 주에 차량이 도입된 이후 좌측 통행을 시행하고 있다. 2018년 기준으로 약 9,432,023대의 승용차가 이 도로망을 이용하는 것으로 추산된다.[6][7]
2. 2. 철도
말레이시아의 철도 시스템은 국영으로 운영되며 총 길이는 1849km에 달한다. 대부분의 철도 노선은 콘크리트 침목을 사용한 자갈 부설 방식으로 건설되었다. 이는 습하고 더운 열대 기후에서 목재 침목보다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1980년대 초부터 이러한 콘크리트 침목의 현지 생산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몇몇 말레이시아 철도 제조 회사들이 해외 기술 파트너와 협력하여 설립되었다.[8][9]전체 노선 중 1792km는 미터 궤이며, 199.5km는 표준궤이다. 미터 궤 노선 중 767km와 모든 표준궤 노선이 전철화되어 있다.[10]
도시 내 이동은 비교적 저렴한 급행 대중교통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진다. 하지만 통근 철도와 전기 열차 서비스는 주로 쿠알라룸푸르와 인근 주에서만 이용 가능하며, 다른 지역에서는 이러한 효율적인 교통 시스템 개발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있다.[11] 한편, 말레이시아는 쿠알라룸푸르와 싱가포르를 잇는 375km 길이의 첫 번째 쿠알라룸푸르-싱가포르 고속철도 프로젝트를 승인하는 등 철도 발전에 힘쓰고 있다.[12] 이러한 철도 부문의 빠른 발전은 관련 수요를 충족시키는 현지 말레이시아 철도 서비스 회사의 성장을 촉진했다.
3. 항공 교통
말레이시아는 62개의 공항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38개 공항은 활주로가 포장되어 있다. 말레이시아 항공은 국영 항공사로서 국내선과 국제선 노선을 폭넓게 운영하고 있다. 주요 국제선 노선과 서말레이시아와 동말레이시아를 연결하는 주요 국내선 노선은 말레이시아 항공, 에어아시아, MYAirline, 파이어플라이, 바틱 에어 말레이시아 등이 운항한다. 이 외에 규모가 작은 국내선 및 지역 노선은 MASwings, 파이어플라이, SKS 항공과 같은 소규모 항공사들이 보완하고 있다.
화물 운송 분야에서는 MASkargo, 텔레포트(Teleport), 월드 카고 항공, Kargo Xpress, 라야 항공 등의 화물 항공사가 서말레이시아와 동말레이시아 간, 그리고 말레이시아와 세계 각국 간의 물류 연결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3. 1. 공항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은 말레이시아의 주요 공항이자 가장 붐비는 공항이다. 2018년에는 4,350만 명 이상의 국제선 여객을 기록하며 세계 12번째로 붐비는 공항이었다.다른 주요 공항으로는 코타키나발루 국제공항이 있다. 이 공항은 2018년에 860만 명 이상의 승객을 수송하며 말레이시아에서 두 번째로 붐비는 공항이자 동말레이시아에서 가장 붐비는 공항이다. 또한 페낭 국제공항은 2018년에 799만 명 이상의 승객을 수송했으며, 말레이시아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 지역을 담당한다.
활주로 길이 | 공항 수 |
---|---|
3047m 초과 | 5 |
2438m ~ 3047m | 7 |
1524m ~ 2437m | 10 |
914m ~ 1523m | 9 |
914m 미만 | 7 |
총계 | 38 |
3. 2. 헬리포트
2006년 추정치에 따르면, 말레이시아에는 2개의 헬리포트가 있다.3. 3. 항공사
국영 항공사:기타 항공사:
- 말레이시아의 항공사 목록
4. 해상 교통
말레이시아는 세계적으로 중요한 해상 교통로인 말라카 해협에 위치하여 해상 운송이 발달하였다. 포트 클랑과 탄중 펠레파스 항은 세계적인 규모의 컨테이너 항만으로, 국가 경제 및 동남아시아 지역 물류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 외에도 국내외를 연결하는 다양한 항구와 페리 서비스가 운영되고 있으며, 일정 규모의 상선단을 보유하고 있다. 해상 운송과 관련된 기반 시설로는 가스, 석유 등을 운반하는 파이프라인도 설치되어 있다.
4. 1. 항구

말레이시아는 세계적으로 중요한 해상 항로 중 하나인 말라카 해협에 전략적으로 위치해 있다. 이러한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말레이시아는 세계 20위권의 주요 항구 두 곳, 즉 포트 클랑과 탄중 펠레파스 항을 보유하고 있다. 이 두 항구는 동남아시아 지역에서도 싱가포르 항에 이어 각각 두 번째와 세 번째로 물동량이 많은 항구로 자리 잡았다.
포트 클랑은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분주한 항구로, 2013년 기준으로 1,030만 TEU 이상의 컨테이너를 처리하며 세계 13위의 컨테이너 항만으로 기록되었다. 탄중 펠레파스 항은 말레이시아 내에서 두 번째로 큰 항구이며, 같은 해 760만 TEU 이상을 처리하여 세계 19위에 올랐다.
다음은 말레이시아의 주요 항구 목록이다.
항구 이름 | 항구 이름 |
---|---|
빈툴루 | 파시르 구당 |
코타키나발루 | 페낭 |
관탄 | 포트 딕슨 |
케마만 | 포트 클랑 |
쿠칭 | 산다칸 |
쿠닷 | 시부 |
라부안 | 탄중 베르할라 |
라하드 다투 | 탄중 키두롱 |
루뭇 | 타와우 |
미리 | 탄중 펠레파스 항 |
쿠알라 케다 | 쿠알라 페를리스 |
4. 2. 페리
말레이시아의 주요 페리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페낭 페리 서비스, 풀라우피낭
- 랑카위 페리 서비스, 크다
- 팡코르 페리 서비스, 페락
- 티오만 페리 서비스, 트렝가누
- 라부안 페리 서비스, 라부안
- 타와우 페리 서비스, 사바
- 미리 페리 서비스, 사라왁
- 산다칸 페리 서비스, 사바
- 파시르 켈랑 페리 서비스, 클란탄
4. 3. 상선
총 360척 (1,000 GT 이상) 규모로, 총 톤수는 5,389,397 GT, DWT는 7,539,178 DWT이다.
말레이시아 선적의 선박 중 외국 소유는 다음과 같다.
또한, 2009년 추정치에 따르면 타국에 등록된 말레이시아 소유 선박은 75척이다.
4. 4. 파이프라인
말레이 반도 가스 파이프라인도 참고할 수 있다.말레이시아는 응축액 파이프라인 3km, 가스 파이프라인 1965km, 오일 파이프라인 31km, 정제유 파이프라인 114km을 보유하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Malaysian Road Statistic 2021 by Public Works Department (JKR) Malaysia
https://www.jkr.gov.[...]
[2]
서적
Infrastructure strategies in East Asia: the untold story
https://books.google[...]
The World Bank
[3]
웹사이트
Budget 2015: Contractors stand to benefit from Pan-Borneo Highway
http://www.thestar.c[...]
[4]
웹사이트
Construction of Pan Borneo Highway begins Tuesday
http://www.thestar.c[...]
[5]
뉴스
Najib: Pan-Borneo Highway to be toll-free
http://www.freemalay[...]
[6]
논문
Electric vehicle and end-of-life vehicle estimation in Malaysia 2040
2017-12-01
[7]
논문
マルチプルレゾリューション - JaLC
https://japanlinkcen[...]
2019-02-08
[8]
웹사이트
Asie Sendirian Berhad
http://www.asie.com.[...]
[9]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pandrol.c[...]
2015-10-06
[10]
웹사이트
Malaysia
https://www.cia.gov/[...]
Cia.gov
2014-03-11
[11]
서적
Malaysia, Singapore & Brunei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12]
뉴스
KL–Singapore high speed rail project to start in 2016
http://www.themalay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