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싱가포르 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싱가포르 항은 싱가포르에 위치한 항구로, 13세기 후반 싱가푸라 왕국 시대부터 무역항으로 발전했다. 1819년 스탬퍼드 래플스에 의해 영국 식민지 시대에 국제 무역항으로 개발되었고, 1965년 싱가포르 독립 이후 부가가치 제조업을 기반으로 수출 지향적 경제를 발전시키며 항구의 중요성을 더욱 강화했다. 현재는 PSA 인터내셔널과 주롱항이 운영하며, 2027년 투아스 메가항이 완공되면 세계 최대 규모의 완전 자동화 터미널이 될 예정이다. 싱가포르 항은 세계 주요 항로의 일부이며, 자동화 시스템과 안전 대책을 통해 효율적인 운영을 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싱가포르 항
개요
싱가포르 항
위치파시르 판장, 싱가포르
좌표1.264° N, 103.840° E
개항1819년 (현대적 의미)
소유주싱가포르 해사 항만청
운영PSA 인터내셔널, 주롱 항
처리량 (TEU, 2019년)3,720만
선석 수 (2019년)67
도로아야 라자 고속도로
웹사이트싱가포르 해사 항만청
일반 정보
주요 해운 중심지 선정3년 연속 세계 최고 (2017년)
운영 회사PSA 싱가포르
통계
컨테이너 처리량 (2018년)3,660만 TEU
컨테이너 선석 수67

2. 역사

싱가포르 항은 유럽, 서아시아, 동아시아를 잇는 중간 지점에 위치하여 동서 무역의 중계지로 발전했으며,[25] 현재는 해상 교통로 및 아시아 최대급의 허브 항만으로 성장했다. 2010년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 항에 세계 1위 컨테이너 처리량을 내주기 전까지는 세계 1위를 자랑했다.

세계 123개국, 약 600곳의 항만과 연결되어 있으며, 하루 평균 90척 정도의 선박이 이 항만에 기항한다. 2018년에는 3660만 TEU의 컨테이너 처리량을 기록했다.

이처럼 막대한 화물량을 처리할 수 있는 배경에는 접안부터 이안까지 12시간 이내에 하루 60척의 컨테이너선, 6만 개의 컨테이너를 싣고 내릴 수 있는 높은 작업 능력이 있다. 컨테이너 하역 작업은 브라니, 케펠, 파실반장, 탄중바가의 4개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지원한다. 그중 1997년에 가동을 시작한 파실반장은 최첨단 기술을 도입한 터미널로, 수심 15m의 부두와 컨테이너 18열에 대응할 수 있는 안벽용 크레인을 갖추고 있어 세계 최대급 컨테이너선의 수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1명의 운영자가 제어실에서 최대 6기의 크레인을 조작할 수 있는 “오버헤드 브리지 크레인 시스템”도 도입하고 있다.

2. 1. 1819년 이전

13세기 후반, 싱가푸라로 알려진 왕국이 옛 항구라고 불리던 싱가포르 강 북쪽 기슭에 건설되었다. 이곳은 말라카 해협 남부의 유일한 항구였으며, 지역의 선박과 상인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며 말라카 해협 연안의 다른 항구들과 경쟁했다. 이 항구는 두 가지 기능을 수행했다. 첫째, 국제 시장에서 수요가 많은 상품을 제공했다. 중국 상인 왕다위안(1311년생, 활동기 1328~1339년)이 저술한 『도의지략』(『도이지뤼에』, 1349)[4]에 따르면, 이러한 상품에는 최고급 코뿔새 투구,[5] 라카우드와 면화가 포함되었다. 이러한 상품들은 다른 동남아시아 항구에서도 구할 수 있었지만, 싱가포르산 상품은 품질 면에서 독특했다. 둘째, 싱가포르는 인근 지역의 지역 및 국제 경제 시스템으로 들어가는 관문 역할을 했다. 남부 조호르리아우 제도는 수출을 위해 싱가포르에 상품을 공급했고, 싱가포르는 이 지역에 대한 외국 상품의 주요 공급원이었다. 리아우 제도에서 발견된 도자기와 유리잔 등의 고고학적 유물이 이를 증명한다. 또한 면화는 자바 또는 인도에서 싱가포르를 통해 환적되었다.[6]

1984년, 고고학자 존 믹식(John Miksic) 박사가 이끄는 발굴 작업이 포트 캐닝 언덕에서 시작되었다. 토기, 도자기, 자기 등 다양한 유물이 발견되어 14세기 싱가포르가 활발한 무역 항구였음을 시사한다.[7][8]

15세기가 되자 말라카 왕국의 부상으로 싱가포르는 국제 무역항으로서의 지위가 쇠퇴했다. 그러나 섬에서는 지역 무역이 계속되었다. 포르투갈 수학자 마누엘 고디뉴 드 에레디아(Manuel Godinho de Eredia)가 제작한 싱가포르 지도에는 국제 무역을 담당하는 말레이 관리인 샤반다르(Shahbandar)의 사무실인 "샤반다리아"(Xabandaria)의 위치가 표시되어 있다. 싱가포르 강과 칼랑 강에서는 15세기 시암 도자기 파편과 16세기 후반 또는 17세기 초 중국 청화백자 파편이 발견되었다. 싱가포르는 또한 국제 시장에서 수요가 많은 지역 상품을 다른 지역 항구에 공급했다. 예를 들어, 흑단(유럽인들이 장미목재를 지칭하는 데 사용하는 일반적인 용어)은 싱가포르에서 말라카로 수출되었고, 중국 상인들이 구입하여 가구 제작을 위해 중국으로 운송했다.

17세기 초, 아체의 응징 부대에 의해 싱가포르의 주요 정착지와 항구가 파괴되었다. 이 사건 이후 1819년까지 싱가포르에는 중요한 정착지나 항구가 없었다.

1604년 고디뉴 드 에레디아(Godinho de Erédia)가 제작한 싱가포르 지도에 표시된 샤반다리아(Xabandaria, 샤반다르(Shahbandar)의 사무실). 지도는 남쪽이 왼쪽 상단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2. 2. 1819년 ~ 1960년

싱가포르 항구, 1890년경


1819년, 영국의 식민지 관리관인 스탬퍼드 래플스는 케펠 항의 깊고 안전한 수역에 매료되어 영국 제국을 위해 섬에 새로운 정착지이자 국제 무역항을 설립했습니다.[6] 래플스는 새로운 항구에 아시아와 유럽 상인들을 유치하기 위해 싱가포르 강변, 특히 남쪽 강둑을 따라 필요에 따라 매립하고 중국과 영국 상인들에게 배분하여 항구 정착지에 투자하도록 장려했습니다. 중국 상인들은 일년 내내 동남아시아 상인들과 빈번한 상업적 상호 작용을 했기 때문에 강 하류에 무역 회사를 설립했고, 인도로부터의 연례 무역에 의존했던 영국 상인들은 상류에 창고를 설립했습니다. 이 항구는 당시 동남아시아에 존재했던 세 가지 주요 무역 네트워크에 의존했습니다.

네트워크설명
중국 네트워크동남아시아를 중국 남부 항구인 푸젠성광둥성과 연결
동남아시아 네트워크말레이 제도(인도네시아 제도)의 섬들을 연결
유럽과 인도양 네트워크싱가포르를 유럽과 인도양 연안 시장과 연결



이러한 네트워크는 상호 보완적이었으며 싱가포르를 지역 및 국제 무역의 환적 지점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1830년대까지 싱가포르는 바타비아(현재 자카르타)를 제치고 중국 정선(junk (ship)) 무역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동남아시아에서 영국 상인 무역의 중심지가 되었습니다. 이는 동남아시아 상인들이 번거로운 제약이 있는 다른 주요 지역 항구보다 싱가포르의 자유항을 선호했기 때문입니다. 싱가포르는 또한 1830년대까지 리아우 제도–린가 제도 제도의 우냐리아속(감비어)와 후추 산업의 수출 관문으로 탄중피낭을 대체했고, 1840년대까지 남쪽 조호르를 대체했습니다. 또한 해산물과 쌀의 차오저우(티오치우) 무역의 중심지가 되었습니다.[6]

19세기에 해상 무역량이 증가함에 따라 싱가포르는 아시아 해상 루트를 따라 항해하는 범선증기선의 주요 기항지가 되었습니다. 1840년대부터 싱가포르는 형성되기 시작한 증기선 네트워크의 중요한 탄광이 되었습니다. 19세기 후반에 싱가포르는 말레이 반도의 지리적 배후지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 항구가 되었습니다. 영국 전진 운동이 시작된 후 싱가포르는 영국령 말레이아의 행정 수도가 되었습니다. 말레이 반도에서 원유, 고무, 주석과 같은 원자재를 싱가포르로 운송하여 주요 제품으로 가공한 다음 영국과 다른 국제 시장으로 수출하기 위해 도로와 철도가 개발되었습니다. 식민지 시대 동안 이것은 싱가포르 항구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었습니다.[6]

2. 3. 1963년 이후

싱가포르는 1963년 말레이시아와 합병하면서 영국 제국의 일부가 아니게 되었다. 싱가포르는 배후지를 잃었고 더 이상 말레이 반도의 행정적 또는 경제적 중심지가 아니었다. 싱가포르와 말레이 반도 국가들 사이에 공통 시장이 없었기 때문에 반도에서 채취한 원자재의 싱가포르 가공은 급격히 감소했다.[6]

1965년 싱가포르가 완전 독립한 이후, 싱가포르는 항구에서 선박과 무역을 유치하기 위해 지역의 다른 항구들과 경쟁해야 했다. 싱가포르는 부가가치 제조업을 기반으로 수출 지향적 경제를 개발함으로써 이를 달성했다. 싱가포르는 지역 및 세계 시장에서 원자재 또는 부분적으로 제조된 제품을 구매하고, 세계 무역 기구 지침 및 자유 무역 협정과 같은 시장 접근 협정을 통해 부가가치 제품을 다시 이들 시장에 수출한다.[6]

1980년대까지 싱가포르 강 주변에서는 승객 수송을 제외하고는 해상 무역 활동이 중단되었고, 다른 터미널과 항구가 이 역할을 대신했다. 케펠 항구는 현재 세 개의 컨테이너 터미널이 있다. 다른 터미널들은 주롱과 파시르 판장 그리고 북쪽의 셈바왕에도 건설되었다. 오늘날 싱가포르의 항만 운영은 PSA 인터내셔널(구 싱가포르 항만청)과 주롱항이라는 두 기업이 담당하고 있으며, 이들은 싱가포르 전역에 6개의 컨테이너 터미널과 3개의 일반 목적 터미널을 운영하고 있다.

1990년대에 이 항구는 더욱 유명해져 요코하마를 제치고 결국 선적 톤수 기준으로 가장 바쁜 항구가 되었다.

싱가포르는 중국 해안에서 인도 남단, 몸바사를 거쳐 홍해를 지나 수에즈 운하를 통해 지중해, 북이탈리아 중심지 트리에스테의 상부 아드리아 해 지역까지 이어지는 해상 실크로드의 일부이다. 트리에스테는 중앙 유럽과 북해로 연결되는 철도를 갖추고 있다.[9][10][11][12][13][14]

투아스 메가항(Tuas Mega Port)은 2027년 PSA 시티 터미널(PSA city terminals)과 2040년 파시르 판장 터미널(Pasir Panjang Terminal)이 폐쇄된 후 싱가포르 유일의 항구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1819년에 시작된 시가지 항만 운영의 시대가 끝나게 될 것이다.[15] 싱가포르 해사항만청(Maritime and Port Authority of Singapore, MPA)이 출범시킨 해상운송산업 혁신 로드맵(Sea Transport Industry Transformation Map, ITM)은 2025년까지 산업 부가가치를 45억달러 증가시키고 5,000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자동화는 1,000대가 넘는 배터리로 작동되는 무인 운송차량과 약 1,000대의 자동화된 야드 크레인을 개발하는 등 새로운 항만의 핵심 요소가 될 것이다. PSA 싱가포르(PSA Singapore)의 투아스 계획 책임자인 넬슨 퀘크(Nelson Quek)는 "투아스는 완전히 개발되면 세계에서 가장 큰 완전 자동화 터미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15] 또한 26km의 심해 부두를 통해 세계 최대 컨테이너선의 수요를 충족할 수 있을 것이다. 컨테이너 취급뿐만 아니라, 항만에는 기업 입주 공간이 마련되어 항만과 기업 간의 연계를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6] 앙 모 키오 신도시(Ang Mo Kio new town)의 두 배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15]

투아스 메가항의 운영은 2021년 9월에 시작되었으며, 2022년 9월 1일 3개의 부두가 운영을 시작하며 공식 개항했다.[17][18]

3. 운영

싱가포르 항은 2005년에 처리된 선박 톤수 측면에서 세계에서 가장 바쁜 항구였으며, 11억 5천만 총톤수(GT)를 처리했다. 화물 톤수로는 4억 2,300만 톤을 처리한 상하이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싱가포르 항은 2005년에도 세계에서 가장 바쁜 환적 항구였으며, 같은 해 2,500만 톤의 판매량으로 세계 최대의 연료유 공급 항구였다.[19]

2005년에는 2,320만 20피트 컨테이너(TEU)를 처리하여 컨테이너 화물 처리량 세계 1위를 기록했다. 2005년 1분기 이후 홍콩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으며,[20] 10월까지 19,335kTEU를 처리하여 같은 기간 홍콩의 18,640kTEU를 앞질렀다. 동남아시아에서 항구의 위치를 강화하는 지역 교통량 증가와 싱가포르를 경유하는 전략적인 동아시아-유럽 노선을 이용하는 환적 교통량 증가는 싱가포르 항이 연말에 1위를 차지하는 데 기여했다. 이는 1998년 홍콩을 한 번 앞질렀던 이후 처음이었다.

싱가포르 항만 통계[1]
연도선박 입항 톤수
(10억 GT)
컨테이너 처리량
(백만 TEU)
화물 처리량
(백만 톤)
연료유 판매량
(백만 톤)
싱가포르 선박 등록 톤수
(백만 GT)
20142.3733.9581.342.482.2
20152.5030.9575.845.286.3
20162.6630.9593.348.688.0
20172.8033.7627.750.688.8
20182.7936.6630.049.890.9



유럽과 서아시아, 동아시아를 잇는 중간 지점에 위치하여 동서 무역의 중계지로 발전했으며,[25] 현재는 해상 교통로(シーレーン) 및 아시아 최대급의 허브 항만으로 성장했다. 2010년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 항에 세계 1위 컨테이너 처리량을 내주기 전까지는 세계 1위를 자랑했다.

세계 123개국, 약 600곳의 항만과 연결되어 있으며, 하루 평균 90척 정도의 선박이 이 항만에 기항한다. 매년 컨테이너 처리량이 증가하여 2018년에는 처리량이 3,660만 TEU를 기록했다.

이러한 막대한 화물량 처리는 접안부터 이안까지 12시간 이내에 하루 60척의 컨테이너선, 6만 개의 컨테이너를 싣고 내릴 수 있는 높은 작업 능력 덕분이다. 컨테이너 하역 작업은 브라니(ブラニ), 케펠 항, 파실반장(パシルバンジャン), 탄중바가(タンジョンバガー)의 4개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지원한다. 그중 1997년에 가동을 시작한 파실반장은 최첨단 기술을 도입한 터미널로, 수심 15m의 부두와 컨테이너 18열에 대응할 수 있는 안벽용 크레인을 갖추고 있어 세계 최대급 컨테이너선의 수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1명의 운영자가 제어실에서 최대 6기의 크레인을 조작할 수 있는 “오버헤드 브리지 크레인 시스템”도 도입하고 있다.

싱가포르 항은 전 세계 중계 컨테이너의 17%를 처리하는 허브 항구이며, 처리하는 컨테이너의 80%는 주변 국가로의 환적 화물이다.

싱가포르 항만청(PSA International(PSA))은 1988년에 "CITOS"라는 컴퓨터 시스템을 개발하여 항만 업무의 IT화를 빠르게 추진했다. 이는 야드 내 컨테이너 처리 작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컨테이너 선박 접안 후 크레인 이동, 수송 트럭 배치, 환적선으로의 이동 등을 중앙 제어실에서 집중적으로 제어하고, 운영자에게 실시간으로 업무 지시를 내리는 시스템이다.

이처럼 최첨단 운영 시스템 구축과 항만 시설을 갖춰 싱가포르 항은 아시아 최고의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자로 선정되었다. 신속한 서비스로 이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비용 절감을 실현한 것이 국제적으로 높이 평가받고 있다.

또한, 싱가포르 항에서는 2002년부터 미국과의 해상 컨테이너 안전 대책(CSI)을 파일럿 프로그램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싱가포르 해사항만청과 세관과 연계하여 감마선 검사를 통한 컨테이너 검사를 실시하여 안전 대책을 강화하고 있다.

4. 터미널

PSA 싱가포르(PSA Singapore)의 컨테이너 시설은 다음과 같다.


  • 컨테이너 부두: 52개
  • 부두 길이: 15500m
  • 면적: 600ha
  • 최대 흘수: 16m
  • 부두 크레인: 190대
  • 설계 용량: 35,000 kTEU


PSA 싱가포르는 파시르 판장 컨테이너 터미널(Pasir Panjang Container Terminal) 2단계의 일부인 13개의 부두를 보유하고 있으며, 2009년 완공 예정이다.[21] 3단계와 4단계는 16개의 부두를 추가로 건설하며 2013년 완공될 것으로 예상된다.

주롱 항(Jurong Port)의 시설은 다음과 같다.

  • 부두: 32개
  • 부두 길이: 5.6km
  • 최대 선박 흘수: 15.7m
  • 최대 선박 크기: 150,000 DWT
  • 면적: 127ha 자유무역지대, 28ha 비자유무역지대
  • 창고 시설: 178000m2


항구운영사유형부두부두 길이 (m)항만 크레인면적 (ha)용량 (kTEU)
브라니 (BT)PSA[22]컨테이너82,3252684
코스코-PSA (CPT)COSCO/PSA컨테이너272022.81,000 이상
주롱JTC다목적325,600155
주롱 아일랜드 (JIT)PSA컨테이너22
케펠 (KT)PSA컨테이너143,16427105
파시르팡장 (PPT 1)PSA컨테이너62,1451985
파시르팡장 (PPT 2)PSA컨테이너92,97236139
파시르팡장 (PPT 3)PSA컨테이너82,6553194
파시르팡장 (PPT 4)PSA컨테이너31,2641370
파시르팡장 (PPT 5)PSA컨테이너62,1602483
파시르팡장 (PPT 6)PSA컨테이너62,2512480
파시르팡장 자동차 터미널PSA롤온-롤오프(Ro-Ro)31,01025
셈바왕PSA일반466028
탄종파가르 (TPT) (운영 중단)PSA컨테이너72,097079.5
투아스 메가포트 핑거 2 (투아스 F2)PSA컨테이너1143



2009년 야간 탄종파가르 컨테이너 터미널


컨테이너 하역 작업은 브라니, 케펠, 파시르판장, 탄중바가르의 4개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이루어진다. 1997년에 가동을 시작한 파시르판장은 최첨단 기술을 도입한 터미널로, 수심 15m의 부두와 컨테이너 18열에 대응할 수 있는 안벽용 크레인을 갖추고 있어 세계 최대급 컨테이너선의 수용이 가능하다. 또한 1명의 운영자가 제어실에서 최대 6기의 크레인을 조작할 수 있는 “오버헤드 브리지 크레인 시스템”도 도입하고 있다.

5. 특징

유럽서아시아, 동아시아를 잇는 중간 지점에 위치하여 동서 무역의 중계지로 발전했으며,[25] 현재는 해상 교통로 및 아시아 최대급의 허브 항만으로 성장했다.

2010년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 항에 세계 1위 컨테이너 처리량을 내주기 전까지는 세계 1위를 자랑했다.

세계 123개국, 약 600곳의 항만과 연결되어 있으며, 하루 평균 90척 정도의 선박이 이 항만에 기항한다.

매년 컨테이너 처리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2018년에는 처리량이 3660만 TEU를 기록했다.

이처럼 막대한 화물량을 처리할 수 있는 배경에는 접안부터 이안까지 12시간 이내에 하루 60척의 컨테이너선, 6만 개의 컨테이너를 싣고 내릴 수 있는 높은 작업 능력이 있다. 컨테이너의 하역 작업을 지원하는 것은 브라니, 케펠, 파실반장, 탄중바가의 4개 컨테이너 터미널이다.

그중 1997년에 가동을 시작한 파실반장은 최첨단 기술을 도입한 터미널로, 수심 15m의 부두와 컨테이너 18열에 대응할 수 있는 안벽용 크레인을 갖추고 있어 세계 최대급 컨테이너선의 수용을 가능하게 한다. 1명의 운영자가 제어실에서 최대 6기의 크레인을 조작할 수 있는 “오버헤드 브리지 크레인 시스템”도 도입하고 있다.

싱가포르 항은 전 세계 중계 컨테이너의 17%를 처리하는 허브 항구이며, 처리하는 컨테이너의 80%는 주변 국가로의 환적 화물이다.

싱가포르 항만청(PSA International(PSA))은 1988년에 "CITOS"라는 컴퓨터 시스템을 개발하여 세계적으로도 신속하게 항만 업무의 IT화를 추진했다. 이는 야드 내 컨테이너 처리 작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컨테이너 선박 접안 후 크레인 이동, 수송 트럭 배치, 환적선으로의 이동 등을 중앙 제어실에서 집중적으로 제어하고, 운영자에게 실시간으로 업무 지시를 내리는 시스템이다.

이처럼 최첨단 운영 시스템 구축과 항만 시설의 충실화를 통해 싱가포르 항은 아시아 최고의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자로 선정되었다. 신속한 서비스로 이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동시에 비용 절감을 실현한 것이 국제적으로 높이 평가받고 있다.

또한, 싱가포르 항에서는 2002년부터 미국과의 해상 컨테이너 안전 대책(CSI)을 파일럿 프로그램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싱가포르 해사항만청과 세관과 연계하여 감마선 검사를 통한 컨테이너 검사를 실시하여 안전 대책을 강화하고 있다.

6. 한국과의 관계

싱가포르일본과 2002년 1월에 「일본·싱가포르 신시대 경제 연계 협정」을 체결하여, 제휴, 투자뿐만 아니라 금융, 정보통신, 인재 육성 분야에서도 포괄적인 양국 간 경제 연계를 목표로 하고 있다.

싱가포르 항과 센토사섬(2007년 7월)


싱가포르 해협과 파실판장 항(2016년 2월)

참조

[1] 보도자료 Singapore's 2019 Maritime Performance https://www.mpa.gov.[...]
[2] 뉴스 Singapore named top maritime capital of the world for 3rd consecutive time https://www.straitst[...] 2017-04-26
[3] 웹사이트 PSA Singapore http://www.singapore[...]
[4] 서적 岛夷志略校释 ([[Pinyin]]: Dǎoyí Zhìlüè Jiàoshì) (Brief Annals of Foreign Islands : A Collation and Elucidation) Zhonghua Shuju (China Publishing House)
[5] 웹사이트 Casque http://www.m-w.com/d[...] Merriam–Webster's Online Dictionary 2007-09-01
[6] 학술지 Continuities and Changes : Singapore as a Port-City over 700 Years National Library Board
[7] 웹사이트 Archaeological Excavation Site at Fort Canning Park https://www.roots.go[...] 2022-07-12
[8] 웹사이트 Digging Up History: Dr John Miksic https://www.roots.go[...] 2022-07-12
[9] 웹사이트 China's Maritime Silk Road and its implications for Singapore & South East Asian Nations https://kca.sg/china[...] 2018-06-29
[10] 웹사이트 21st Century Maritime Silk Road https://www.straitst[...]
[11] 서적 Die Renaissance der Seidenstraße
[12] 서적 Chinas neue Seidenstraße
[13] 학술지 Maritime Shipping and Export Trade on "Maritime Silk Road"
[14] 웹사이트 The Maritime Silk Road https://globalmariti[...]
[15] 웹사이트 Why Singapore needs Tuas mega port to keep ruling the seas https://www.channeln[...] 2018-02-07
[16] 웹사이트 Tuas Port set to be world's largest fully automated terminal https://www.straitst[...] 2019-10-04
[17] 웹사이트 Tuas mega port officially opens with 3 berths, will be critical engine driving S'pore economy: PM Lee https://www.straitst[...] 2022-09-01
[18] 뉴스 Tuas Port opens officially, will be 'critical engine' driving Singapore's economy: PM Lee https://www.channeln[...]
[19] 뉴스 Singapore remains world's busiest port http://news.xinhuane[...] China View, Xinhua News Agency 2006-01-12
[20] 뉴스 Singapore port continues to outpace Hong Kong http://www.channelne[...] Channel NewsAsia 2005-11-21
[21] 뉴스 S'pore to spend $2b on port expansion http://news.asiaone.[...] AsiaOne News 2007-12-21
[22] 웹사이트 OUR BUSINESS: TERMINALS https://www.singapor[...]
[23] 보도자료 Singapore’s 2018 Maritime Performance https://www.mpa.gov.[...]
[24] 웹사이트 China’s megaports strengthen grip on box trade https://www.lloydslo[...] Lloyd's Loading List
[25] 서적 世界の国々探検大図鑑 小学館 2005-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