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 1세 (스코틀랜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리 1세(1542-1587)는 스코틀랜드의 여왕으로, 생후 6일 만에 즉위하여 섭정 통치를 받았다. 프랑스 왕 프랑수아 2세와 결혼하여 프랑스 왕비가 되었으나, 남편의 사망 후 스코틀랜드로 돌아와 종교 분쟁과 정치적 갈등에 직면했다. 두 번의 결혼과 관련된 사건들로 인해 폐위되어 잉글랜드로 망명했으나, 엘리자베스 1세에 의해 반역죄로 처형되었다. 그녀의 아들 제임스 6세가 잉글랜드 왕위를 계승하면서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는 공동 군주국이 되었다. 메리 1세는 잉글랜드 왕위 계승권을 주장하며 엘리자베스 1세와 대립했으며, 그녀의 삶은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리 1세 (스코틀랜드) - 배빙턴 음모사건
배빙턴 음모사건은 1586년 앤서니 배빙턴을 중심으로 엘리자베스 1세 암살과 메리 1세를 잉글랜드 왕위에 옹립하려던 가톨릭 음모로, 발각되어 관련자 처형과 메리 1세의 처형을 초래했으며 여러 예술 작품으로 각색되었다. - 16세기 스코틀랜드의 군주 - 제임스 1세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국왕 제임스 1세는 잉글랜드와 아일랜드 왕위를 계승하여 영국-스코틀랜드 동군연합을 이뤘으나, 의회와의 갈등, 재정 문제, 종교 문제 등 여러 난관에 직면했고 왕권신수설을 주장했으며, 문학과 예술을 후원하고 《킹 제임스 성경》 번역을 주도하는 등 문화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 16세기 스코틀랜드의 군주 - 제임스 4세
제임스 4세는 스코틀랜드의 국왕으로, 군사력 강화, 예술 후원 등 스코틀랜드 르네상스에 기여했으나 잉글랜드와의 플로든 전투에서 전사했다. - 스코트인의 여왕 - 메리 2세
메리 2세는 1662년에 태어나 1689년부터 1694년까지 윌리엄 3세와 함께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를 공동 통치했으며, 명예 혁명 이후 권리 장전 통과를 통해 왕권 제한과 의회 권한 강화를 이끌었다. - 스코트인의 여왕 - 앤 (영국)
앤은 1665년에 태어나 1702년부터 1714년까지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의 여왕으로 재위했으며,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통합과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 관여했고, 양당 정치 발전과 예술, 문화 번영을 이끌었다.
메리 1세 (스코틀랜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군주 | 스코틀랜드 여왕 |
재위 | 1542년 12월 14일 – 1567년 7월 24일 |
대관식 | 1543년 9월 9일 |
대관식 종류 | 대관식 |
선임자 | 제임스 5세 |
후임자 | 제임스 6세 |
섭정 | 제임스 해밀턴, 제2대 애런 백작 (1542–1554) 메리 드 기즈 (1554–1560) |
섭정 종류 | 섭정 |
프랑스 왕비 | 프랑스 왕비 |
프랑스 왕비 재위 | 1559년 7월 10일 – 1560년 12월 5일 |
재위 종류 | 재위 기간 |
출생일 | 1542년 12월 8일 |
출생지 | 린리스고 궁전, 스코틀랜드 린리스고 |
사망일 | 1587년 2월 8일 (44세) |
사망지 | 잉글랜드 노샘프턴셔 포더링게이 성 |
매장일 | 1587년 7월 30일 |
매장지 | 피터버러 대성당 1612년 10월 28일: 웨스트민스터 사원 |
배우자 | 프랑수아 2세 (1558년 4월 24일 결혼 – 1560년 12월 5일 사망) 헨리 스튜어트, 단리 경 (1565년 7월 29일 결혼 – 1567년 2월 10일 사망) 제임스 헵번, 보스웰 백작 (1567년 5월 15일 결혼 – 1578년 4월 14일 사망) |
자녀 | 제임스 6세/제임스 1세 |
왕가 | 스튜어트 가 |
아버지 | 제임스 5세 |
어머니 | 메리 드 기즈 |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 |
![]() | |
추가 정보 | |
스코틀랜드어 이름 | Mary, Queen of Scots Mary Stuart Mary I o Scotland |
외부 링크 |
2. 생애
메리 1세는 1542년 12월 8일 스코틀랜드 린리스고 궁전에서 제임스 5세와 프랑스 출신 왕비 마리 드 기즈 사이에서 태어났다. 태어난 지 6일 만에 아버지 제임스 5세가 사망하여, 생후 6일 만에 스코틀랜드 여왕이 되었다.[6]
헨리 8세는 자신의 아들 에드워드 6세와 메리를 약혼시켰으나, 스코틀랜드 합병 야욕을 드러내자 파혼했다. 1547년 핑키 클로 전투에서 스코틀랜드군이 패배하자, 마리 드 기즈는 프랑스에 도움을 청했다. 1548년 메리는 프랑스 왕세자 프랑수아 2세와 약혼하고 프랑스로 건너갔다.
메리는 프랑스 궁정에서 프랑스어, 라틴어, 그리스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등 여러 언어를 유창하게 구사하고, 문학과 예술, 사냥, 승마 등 다방면에 능한 숙녀로 성장했다. 1558년 프랑수아와 결혼했고, 1559년 앙리 2세가 사망하자 프랑수아 2세가 즉위하면서 프랑스 왕비가 되었다.
1560년 프랑수아 2세가 사망하자, 메리는 1561년 스코틀랜드로 돌아왔다. 당시 스코틀랜드는 종교 분쟁과 잉글랜드와의 갈등으로 혼란스러웠다. 메리는 종교적 화합을 추구하고 잉글랜드와의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했으나, 엘리자베스 1세와 직접 만나지는 못했다.
1565년 메리는 사촌 단리 경 헨리 스튜어트와 결혼했다. 이 결혼은 잉글랜드 왕위 계승권을 가진 두 사람의 결합으로, 엘리자베스 1세의 우려를 샀다. 메리의 이복 오빠 머리 백작 제임스 스튜어트[258]는 개신교 귀족들과 반란을 일으켰지만, 메리가 진압했다.
1566년 메리는 아들 제임스를 낳았다. 그러나 단리 경과의 불화, 데이비드 리지오 살해 사건, 보스웰 백작 제임스 헵번과의 결혼 등으로 민심을 잃었다. 1567년 귀족들의 반란으로 메리는 폐위되고, 아들 제임스가 제임스 6세로 즉위했다.
1568년 메리는 잉글랜드로 망명하여 엘리자베스 1세에게 도움을 청했으나, 칼라일 성에 감금되었다. 메리는 잉글랜드 왕위 계승권을 가진 가톨릭 신자였기에, 엘리자베스 1세에게는 잠재적 위협이었다.
1585년 잉글랜드와 스페인의 갈등이 심화되자, 엘리자베스 1세는 메리를 반역죄로 재판에 넘겼다. 메리는 결백을 주장했으나 유죄 판결을 받고, 1587년 참수되었다.
메리의 처형은 스페인의 펠리페 2세에게 잉글랜드 침공의 명분을 주었고, 1588년 스페인 무적함대가 잉글랜드를 공격했으나 패배했다. 1603년 엘리자베스 1세 사후, 메리의 아들 제임스가 제임스 1세로 즉위하여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공동 군주가 되었다.
2. 1. 출생과 즉위
제임스 5세와 마리 드 기즈 공녀 사이에서 린리스고 궁전에서 태어났다.[5] 솔웨이 무스 전투 이후 신경 쇠약, 또는 원정 중 오염된 물을 마신 것이 원인으로 추정되는[7][8] 아버지의 급작스런 죽음으로 생후 6일 만에 스코틀랜드 여왕이 되었다.[6]존 녹스에 따르면, 제임스 5세는 딸의 출생 소식에 "딸과 함께 왔으니, 딸과 함께 갈 것이다!"라며 스튜어트 왕가의 왕위 상실을 예견했다고 한다.[9]
메리는 태어난 직후 세인트 마이클 교회에서 세례를 받았다.[11] 1543년 3월, 잉글랜드 외교관 랄프 새들러는 유모가 옷을 벗긴 어린 메리를 보고 건강하며 살 가능성이 높다고 기록했다.[13]
메리가 유아였기에, 성인이 될 때까지 스코틀랜드는 섭정에 의해 통치되었다. 가톨릭 비턴 추기경과 프로테스탄트 어런 백작이 섭정 자리를 두고 다퉜으나, 어런 백작이 1554년까지 섭정을 맡았다.[14][15]

잉글랜드 왕 헨리 8세는 메리와 자신의 아들 에드워드의 결혼을 통해 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의 통합을 꾀했다. 1543년 7월, 그리니치 조약이 체결되어 메리가 열 살이 되면 에드워드와 결혼하여 잉글랜드로 이주하는 것이 약속되었다.[16][22] 그러나 이 조약은 두 나라가 법적으로 별개로 남는다는 조건이 있었다.[17] 비턴 추기경이 다시 권력을 잡고 친가톨릭, 친프랑스 정책을 추진하자 헨리 8세는 분노했다.[18][22]
비턴은 메리를 스터링 성으로 옮기려 했고, 섭정 아란은 저항했으나 결국 1543년 7월, 레녹스 백작이 이끄는 무장 병력에 의해 메리와 어머니는 스터링으로 호송되었다.[19][20] 메리는 1543년 9월 9일, 성당 예배당에서 대관식을 올렸다.[21][22]
대관식 직전, 헨리 8세의 스코틀랜드 상인 체포는 스코틀랜드의 분노를 불러일으켰고, 아란은 비턴과 함께 가톨릭교도가 되었다.[24] 12월, 스코틀랜드 의회는 그리니치 조약을 거부했다.[25] 결혼 조약 거부와 프랑스와의 동맹 재개는 헨리 8세의 군사 작전, 즉 "거친 구애"를 야기했다.[26] 1544년 5월, 잉글랜드의 허트퍼드 백작은 에든버러를 습격했고, 메리는 덩켈드로 피신했다.[27]
1546년 5월, 비턴은 프로테스탄트 영주들에게 살해당했고,[28] 1547년 9월, 핑키 전투에서 스코틀랜드는 참패했다. 메리의 후견인들은 그녀의 안전을 위해 인치마홈 수도원으로 피신시켰고, 프랑스에 도움을 요청했다.[29]
2. 2. 프랑스에서의 생활
1548년 메리는 프랑스의 왕 앙리 2세의 아들 도팽 프랑수아와 약혼하였다. 그 해 메리는 스코틀랜드를 떠나 프랑스로 건너갔다.[257] 메리는 프랑스 궁정에서 프랑스어, 라틴어, 그리스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를 유창하게 구사하게 되었고 문학, 사냥, 승마, 바느질, 악기에도 능했다.[38]
메리는 류트(lute)와 버지널(virginals) 연주를 배우고 산문과 시, 승마, 매사냥, 바느질에 능숙했으며, 모국어인 스코틀랜드어 외에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라틴어(Latin), 스페인어, 그리스어를 배웠다.[38] '발라드 가수'인 젠 폴(Jehan Paulle)은 그녀에게 춤을 가르쳤다.[39]
메리의 초상화들은 그녀가 작고 타원형의 머리, 길고 우아한 목, 밝은 적갈색 머리카락, 헤이즐 브라운 눈(무겁게 내려온 눈꺼풀과 정교하게 아치형으로 된 눈썹 아래), 매끄러운 창백한 피부, 높은 이마, 그리고 고르고 단단한 얼굴 특징을 가지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그녀는 예쁜 아이로 여겨졌고, 후에 여성으로서 눈에 띄게 매력적인 사람이 되었다.[43]
메리는 말솜씨가 좋았고, 16세기 기준으로 특히 키가 컸다(성인이 된 키는 5피트 11인치 또는 1.80m였다).[45] 반면 앙리 2세의 아들이자 상속자인 프랑수아는 말더듬이었고 유난히 키가 작았다. 앙리는 "그들이 처음 만난 날부터 내 아들과 그녀는 마치 오랫동안 알고 지낸 것처럼 잘 지냈다"고 말했다.[46]
1558년 4월 24일, 메리는 앙리 2세의 왕세자 프랑수아와 결혼식을 올렸다.[48][49]
7월 10일 앙리 2세가 죽자, 왕세자가 프랑스 왕 프랑수아 2세로 즉위하고 메리는 프랑스 왕비가 되었다.[54]
2. 3. 스코틀랜드 귀환과 통치
프랑수아 2세가 즉위 1년 만인 1560년 사망하자, 메리는 1561년 스코틀랜드로 돌아왔다. 시어머니 카트린 드 메디시스와의 갈등이 심해졌고, 프랑스에 미망인으로 남기보다는 스코틀랜드 여왕으로서 살고 싶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친모 마리 드 기즈가 1560년 사망한 후였고, 스코틀랜드는 잉글랜드와의 영토 분쟁뿐만 아니라 개신교와 로마 가톨릭 사이의 종교 분쟁으로 혼란스러운 상태였다.[61] 메리는 종교 분쟁을 가라앉히고 분열된 귀족들을 하나로 모으려 노력했다. 로마 가톨릭 신앙을 가졌지만, 개신교 신자들에게도 너그러운 종교 정책을 펼쳤다. 잉글랜드와의 관계 개선을 위해 엘리자베스 1세와의 만남을 여러 차례 시도했으나, 직접 만나지는 못했다.[64]
1560년 12월 5일, 프랑수아 2세는 중이염으로 인한 뇌농양으로 사망했다. 메리는 극심한 슬픔에 잠겼다.[62] 9개월 후인 1561년 8월 19일, 메리는 레이스(Leith)에 도착하여 스코틀랜드로 돌아왔다(스코틀랜드 귀환).[64] 5세 때부터 프랑스에서 자란 메리는 스코틀랜드의 위험하고 복잡한 정치 상황에 대한 경험이 거의 없었다.[65]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던 메리는 많은 신하들과 영국의 여왕으로부터 의심을 받았다.[66] 스코틀랜드는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 세력 사이에서 갈등을 겪고 있었다. 메리의 이복 오빠인 모레이 백작(James Stewart, 1st Earl of Moray)은 프로테스탄트 지도자였다.[67] 프로테스탄트 개혁가 존 녹스(John Knox)는 메리가 미사에 참석하고, 춤을 추고, 화려하게 옷을 입는 것을 비난했다.[68] 메리는 그를 불러 훈계하려 했지만 실패했고, 나중에 반역죄로 고발했지만 그는 무죄로 풀려났다.[69]
가톨릭 세력의 놀라움과 실망 속에서, 메리는 새롭게 수립된 프로테스탄트의 우위를 용인했고,[70] 이복 오빠인 모레이를 자신의 최고 고문으로 삼았다.[71] 1561년 9월 6일 임명된 비밀 의회의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
직책 | 이름 | 종교 |
---|---|---|
아가일 백작 | 아치볼드 캠벨(Archibald Campbell, 5th Earl of Argyll) | 프로테스탄트 |
글렌케언 백작 | 알렉산더 커닝엄(Alexander Cunningham, 4th Earl of Glencairn) | 프로테스탄트 |
모레이 백작 | 제임스 스튜어트(James Stewart, 1st Earl of Moray) | 프로테스탄트 |
아솔 백작 | 존 스튜어트(John Stewart, 4th Earl of Atholl) | 가톨릭 |
에롤 백작 | 조지 헤이(George Hay, 7th Earl of Erroll) | 가톨릭 |
몬트로즈 백작 | 윌리엄 그레이엄(William Graham, 2nd Earl of Montrose) | 가톨릭 |
대법관, 헌틀리 백작 | 조지 고든(George Gordon, 4th Earl of Huntly) | 가톨릭 |
[72]
현대 역사가 제니 워멀드(Jenny Wormald)는 메리가 가톨릭과 프랑스에 우호적인 의회를 임명하지 못한 것은 스코틀랜드 내부 문제보다 영국 왕위에 집중한 결과라고 주장했다. 1563년 12월 의회에 추가된 루스벤 경(Patrick Ruthven, 3rd Lord Ruthven)조차도 메리가 개인적으로 싫어했던 또 다른 프로테스탄트였다.[73] 메리는 프로테스탄트 귀족들 앞에서 자신의 군사력 부족을 인정하면서, 영국과의 관계를 강화하는 정책을 따랐다. 1562년 헌틀리 경이 고지에서 반란을 일으키자, 메리는 모레이와 합류하여 스코틀랜드의 주요 가톨릭 세력인 헌틀리 경을 제거했다.[74]
메리는 윌리엄 메틀랜드(William Maitland of Lethington)를 영국 궁정에 사절로 보내 영국 왕위 계승자로서 메리의 주장을 제기했다. 엘리자베스 1세는 지명된 계승자가 자신을 대체하려는 음모를 일으킬 것을 우려하여, 잠재적인 계승자를 지명하기를 거부했다.[75] 그러나 엘리자베스 1세는 메리보다 더 나은 권리를 가진 사람을 알지 못한다고 메틀랜드에게 확신시켰다.[76] 1561년 말과 1562년 초, 두 여왕은 1562년 8월이나 9월에 요크나 노팅엄에서 만날 준비를 했다. 7월에 엘리자베스 1세는 프랑스 내전 때문에 메리의 방문을 취소하기 위해 헨리 시드니 경(Sir Henry Sidney)을 보냈다.[77]
메리는 유럽 왕족 중에서 새로운 남편을 찾기 시작했다. 삼촌인 로렌 공작 추기경(Charles, Cardinal of Lorraine)이 메리의 동의 없이 오스트리아 대공 찰스(Charles II, Archduke of Austria)와 협상을 시작하자, 메리는 화를 내며 반대했고 협상은 결렬되었다.[78] 정신적으로 불안정한 스페인 국왕 펠리페 2세(Philip II of Spain)의 왕위 계승자인 아스투리아스 왕자 돈 카를로스(Carlos, Prince of Asturias)와의 결혼을 협상하려던 시도도 펠리페 2세에 의해 거절당했다.[79] 엘리자베스 1세는 메리가 영국의 프로테스탄트인 레스터 백작(Robert Dudley, 1st Earl of Leicester)과 결혼하도록 제안하여 메리를 무력화하려고 시도했다. 더들리는 헨리 시드니 경의 매부이자 영국 여왕의 총애를 받는 사람이었으며, 엘리자베스 1세는 그를 신뢰하고 통제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80] 엘리자베스 1세는 사절인 랜돌프(Thomas Randolph (ambassador))를 보내 메리에게 영국 귀족과 결혼한다면 "우리의 다음 사촌이자 상속녀가 될 그녀의 권리와 칭호를 조사할 것"이라고 말했다.[81] 이 제안은 무산되었는데, 무엇보다도 예비 신랑이 결혼 의사가 없었기 때문이다.[82]
메리의 궁정에 있던 프랑스 시인 피에르 드 보스코셀 드 샤스텔라르(Pierre de Boscosel de Chastelard)는 메리에게 열렬한 애정을 가지고 있었다.[83] 1563년 초, 그는 보안 검색 중 그녀의 침대 밑에 숨어 있는 것이 발각되었는데, 그녀가 혼자 있을 때 그녀를 놀라게 하고 사랑을 고백하려고 했던 것 같다. 메리는 겁에 질려 그를 스코틀랜드에서 추방했다. 그는 칙령을 무시하고 이틀 후, 그녀가 옷을 벗으려고 할 때 그녀의 방에 침입했다. 메리는 분노와 공포로 반응했다. 모레이가 그녀의 도움 요청을 듣고 방에 달려들어왔을 때, 그녀는 "악당에게 칼을 꽂아라!"라고 소리쳤다. 샤스텔라르는 이미 제지당했기 때문에 모레이는 거절했다. 샤스텔라르는 반역죄로 재판을 받고 참수당했다.[84] 메틀랜드는 샤스텔라르의 열정은 가짜였으며, 그는 메리의 명성을 손상시켜 그녀를 중상모략하려는 위그노 음모의 일부였다고 주장했다.[85]
1560년 12월 5일, 프랑수아 2세가 1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자녀가 없었던 메리는 이듬해 1561년 8월 20일 스코틀랜드로 귀국했다. 메리는 아버지의 서자이자 이복형제인 모레이 백작 제임스 스튜어트와 윌리엄 메이트랜드를 정치 고문으로 삼았다. 당시 스코틀랜드에서는 종교 개혁이 진행되어 많은 귀족들이 프로테스탄트로 개종했지만, 가톨릭 귀족들도 상당수 남아 있었다. 모레이 백작과 메이트랜드는 모두 프로테스탄트였지만, 메리는 종교 선택에 관용적으로 대처하겠다고 선언하고 양측의 화합을 도모했다. 1562년 여름에는 가톨릭 귀족 중 가장 유력한 고든 가문이 메리에게 반란을 일으켰다. 이는 모레이 백작에 의해 진압되었다.
메리는 재혼 상대를 검토하기 시작했다. 후보로 거론된 인물은 오스트리아의 카를 대공, 스웨덴의 에리크 14세, 덴마크의 프레데리크 2세, 프랑스의 누무르 공작자크 드 사부아 등이었다. 그중에서도 메리가 특히 관심을 보인 상대는 유력한 가톨릭 국가 스페인의 국왕 펠리페 2세의 아들 돈 카를로스였다. 그러나 카트린 드 메디시와 엘리자베스 1세가 정치적 동기로 방해하는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어떤 상대와도 결혼에 이르지는 못했다.
마침내 메리는 1565년 2월 18일에 만난 스튜어트 가문 방계의 사촌인 던리 경 헨리와의 결혼을 생각하게 된다.
2. 4. 두 번의 결혼과 갈등
1565년 7월 29일, 메리는 사촌 동생인 단리 경 헨리 스튜어트와 홀리루드 궁전에서 혼인하였다. 제4대 레녹스 백작 매슈 스튜어트의 장남이자 로마 가톨릭 신자였던 단리는, 메리와 마찬가지로 잉글랜드의 헨리 7세의 후손이었다.[90][91] 이 결혼은 잉글랜드의 엘리자베스 1세에게는 위협적이었는데, 메리와 단리 모두 잉글랜드 왕위 계승권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93]
메리가 가톨릭 신자와 결혼하자, 메리의 이복 오빠인 머리 백작 제임스 스튜어트[258]는 1565년 8월에 다른 개신교 귀족들과 함께 반란을 일으켰다. 그러나 메리는 이 반란을 진압했고, 머리 백작은 잉글랜드로 망명했다.[98][101]
1566년, 메리는 임신했다. 그러나 단리는 왕비의 남편이라는 지위에 만족하지 않고 왕위를 요구했고, 메리가 이를 거절하자 부부 사이는 나빠졌다.[103] 단리는 메리의 비서관인 데이비드 리지오를 질투했고, 급기야 1566년 3월, 다른 귀족들과 공모하여 임신한 메리 앞에서 리지오를 살해했다.[104][106]
이 사건으로 메리와 단리의 관계는 파탄났다. 하지만 메리는 1566년 6월 19일, 무사히 아들 제임스를 출산했다.[110] 이후 메리는 제임스 햅번, 보스웰 백작 4세에게 마음을 빼았겼다.

1567년 2월 10일, 에든버러의 커크 오 필드에서 단리 경이 의문의 죽음을 맞았다. 많은 이들이 제임스 햅번, 보스웰 백작 4세를 범인으로 지목했고, 메리 역시 의심을 받았다.[129]

보스웰 백작은 메리에게 청혼했고, 1567년 5월 15일 두 사람은 결혼식을 올렸다. 그러나 이 결혼은 백성들의 반발을 샀고, 메리가 보스웰과 공모하여 단리를 살해했다는 소문까지 퍼졌다.
결국 제4대 모튼 백작을 비롯한 귀족들이 군대를 일으켰고, 1567년 6월 15일 메리는 반란군에게 항복했다. 메리는 로크 레번 성에 감금되었고, 7월 24일 폐위되었다.
2. 5. 잉글랜드 망명과 최후
메리는 1568년 잉글랜드로 망명하여 엘리자베스 1세에게 도움을 요청했지만, 칼라일 성에 감금되었다.[263] 메리는 헨리 7세의 증손녀로서 잉글랜드 왕위 계승권을 가지고 있었고,[260] 독실한 로마 가톨릭 신자였기에, 개신교도인 엘리자베스 1세에게는 잠재적인 위협이었다.[263] 엘리자베스 1세는 메리가 프랑스 왕가를 등에 업고 왕위 계승권 분쟁을 일으킨 전력이 있고, 잉글랜드 내 가톨릭 세력이 메리를 중심으로 반란을 일으키려 했기에 그녀를 경계했다.[263]엘리자베스 1세는 스코틀랜드 내 분쟁을 조장하면서도, 프랑스나 스페인과의 갈등을 우려하여 메리를 처형하지는 않았다.[264] 메리는 엘리자베스 1세에게 여러 차례 편지를 보냈지만 답장을 받지 못했다.[264] 1585년, 잉글랜드가 네덜란드를 지원하면서 스페인과의 갈등이 심화되었고, 펠리페 2세는 잉글랜드 정복 후 메리를 잉글랜드 왕위에 올리려 했다.[265]
엘리자베스 1세는 메리를 반역죄로 재판에 넘겼고, 메리는 결백을 주장했지만 유죄 판결을 받았다.[265] 1587년 2월 8일, 메리는 노스햄프턴셔의 사형장에서 참수되었다.[265]
메리의 처형 소식에 스페인의 펠리페 2세는 엘리자베스 1세를 축출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전쟁의 명분으로 삼았다.[266] 1588년, 스페인 무적함대가 잉글랜드를 공격했으나 패배했다.[266]
1603년 엘리자베스 1세 사후, 메리의 아들 제임스 6세가 잉글랜드 왕 제임스 1세로 즉위하여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공동 군주가 되었다. 제임스 1세는 어머니의 시신을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안장했다.
3. 혼맥과 왕위 계승
메리는 독실한 로마 가톨릭 신자로, 잉글랜드 여왕 엘리자베스 1세의 5촌 조카였다.[259] 헨리 7세의 증손녀였기 때문에 잉글랜드 왕위 계승권도 가지고 있었다.[260] 엘리자베스 1세는 왕위에 올랐지만, 친어머니 앤 불린이 간통죄 누명으로 처형당했기 때문에 헨리 8세의 사생아로 여겨졌다. 또한 엘리자베스는 개신교를 옹호했다. 따라서 로마 가톨릭 신자들은 적자의 혈통을 잇고 로마 가톨릭 교도인 메리 스튜어트가 잉글랜드의 정통 왕위 계승자라고 생각했다. 이 때문에 잉글랜드의 엘리자베스 1세는 1561년 스코틀랜드로 귀국한 메리를 지속적으로 경계했다.
메리는 부계를 통해 스코틀랜드 왕가의 혈통을 물려받아 생후 9개월 만에 여왕에 즉위했다. 모계를 통해서는 프랑스 카페 왕조의 방계 부르봉 공작가의 방계 부르봉방돔 백작가의 혈통을 물려받았다.[261] 1548년 프랑스 국왕 앙리 2세의 장남인 프랑수아 2세와 약혼하고 1558년에 결혼했다.
메리의 어머니 기스의 메리는 16세기에 급부상한 프랑스 명문 귀족 가문인 기즈 가문의 초대 기즈 공작 클로드의 딸이다. 외할머니 앙투아네트는 부르봉방돔 백작가의 영애로서, 메리가 프랑스에 망명하여 보낸 유년 시절에 많은 조언을 해주고 양질의 교육을 받게 해준 후원자 겸 멘토였다.[262] 메리는 외할머니를 롤모델로 삼았다고 한다.
외삼촌인 2대 기즈 공작 프랑수아는 루이 12세의 손녀와 결혼하여 기즈 가문과 발루아 왕가는 이미 사돈 관계였다. 시어머니 카트린 드 메디시스는 이탈리아 명문가인 메디치 가문 출신이었다. 메리는 자신의 혈통에 대해 지나친 자부심과 우월감을 가지고 있었고, 시어머니를 이탈리아 장사꾼 가문 출신이라고 무시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시어머니와 사이가 좋지 않았고, 이러한 고부 갈등이 훗날 프랑수아 2세가 사망한 후 메리가 스코틀랜드로 귀국하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할머니 마거릿은 헨리 7세의 딸이었기 때문에 잉글랜드 왕가 혈통도 물려받았다. 반면 엘리자베스 1세는 생모 앤 볼린이 사형당하면서 사생아 꼬리표를 달게 되었다. 이 때문에 메리는 자신이 정통성을 가진 잉글랜드 왕이라고 주장하며 왕관에 튜더 왕가의 문장을 새겨 넣기도 했다. 이는 엘리자베스 1세와 평생 동안 경쟁 관계를 형성하는 숙명의 라이벌로서 신경전을 이어가는 원인이 되었다. 1568년 잉글랜드로 망명한 후, 지속적으로 엘리자베스 1세를 만나 관계 개선을 시도했으나, 두 사람은 단 한 번도 직접 만난 적이 없다고 한다.
메리 1세 | 부 : 제임스 5세 | 조부 : 제임스 4세 | 증조부 : 제임스 3세 |
---|---|---|---|
증조모 : 마르가레테(덴마크 공주) | |||
조모 : 마거릿 튜더 | 증조부 : 헨리 7세 | ||
증조모 : 엘리자베스 | |||
모 : 메리 드 기즈 | 조부 : 클로드 드 기즈 | 증조부 : 르네 2세 | |
증조모 : 필리파(겔더른 공주) | |||
조모 : 앙투아네트 드 부르봉 | 증조부 : 프랑수아 | ||
증조모 : 마리 드 룩셈부르크 |
4. 유산과 평가
16세기 메리 여왕에 대한 평가는 조지 버커넌과 존 녹스와 같이 그녀를 무자비하게 비난한 프로테스탄트 개혁가들과 아담 블랙우드와 같이 그녀를 칭찬하고 옹호하며 찬양한 가톨릭 변호가들로 나뉘었다.[244] 영국에서 제임스 1세가 즉위한 후, 역사가 윌리엄 캠던은 원본 문서를 바탕으로 공식적으로 승인된 전기를 썼는데, 이 전기는 버커넌의 저술을 허구라고 비난했으며,[245] "그녀의 악한 성격보다는 불운을 강조"했다.[246]
상반되는 해석은 18세기까지 지속되었다. 윌리엄 로버트슨과 데이비드 흄은 상자 편지가 진짜이며 메리가 간음과 살인에 유죄라고 주장한 반면, 윌리엄 타일러는 반대의 주장을 펼쳤다.[247] 20세기 후반에는 안토니아 프레이저의 저술이 이전 전기들이 특징으로 삼았던 "아첨이나 공격의 과잉에서 벗어난 더 객관적인...작품"으로 찬사를 받았으며,[248] 동시대 인물인 고든 도널드슨과 이언 B. 코완(Ian B. Cowan) 또한 더 균형 잡힌 저술을 발표했다.[249]
역사가 제니 워멀드는 메리가 그녀에게 주어진 요구에 대처할 수 없었던 비극적인 실패자였다고 결론지었지만,[250] 그녀의 견해는 프레이저 이후의 전통에서 메리가 음모를 꾸미는 귀족들의 손에 꼭두각시였던 관점과는 드물게 다른 의견이었다.[251] 던컨의 살해에 대한 그녀의 공모 또는 보스웰과의 공모에 대한 구체적인 증거는 없다. 이러한 혐의는 추측에 근거하며,[252] 버커넌의 전기는 오늘날 "거의 완전한 허구"로 폐기되었다.[253] 메리가 처형 당시 보인 용기는 극적인 비극 속에서 영웅적인 희생자로서 그녀의 대중적 이미지를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254]
5. 미디어에서의 등장
- 시얼샤 로넌 주연의 영화 메리 퀸 오브 스코틀랜드.
- 프리드리히 실러의 희곡 『메리 스튜어트』. 여러 번역본이 있다.
- 다르차 마라이니의 『메리 스튜어트』 (초연 1975년). 실러 작품을 자유롭게 각색했다.
- 엘프리데 옐리네크의 희곡 『울리케 마리아 스튜어트』 (2006년). 메리와 엘리자베스 1세의 관계를 독일 적군파에 비추어 그렸다.
- 앨리슨 애트리의 소설 『시간 여행자』.
- 슈테판 츠바이크의 전기 『메리 스튜어트』.
- 엘리자베스 버드의 평전 『나의 끝에 나의 시작이 있으니 불멸의 여왕 메리 스튜어트』.
- 알렉상드르 뒤마의 소설 『메리 스튜어트』.
- 제임스 치미의 평전 『비의(緋衣)의 여왕 스코틀랜드의 메리』.
- 2004년 영국의 드라마 『썬더의 전설』. 길리스 매키넌 감독, 클레망스 포에지 주연.
- 2013년부터 방영된 미국의 드라마 『레인: 퀸 메리』. 로리 매카시, 스테파니 센굽타 제작, 아델레이드 케인 주연.
- 1895년 미국 영화 『메리 스튜어트의 처형』. 토마스 에디슨 제작의 무성영화.
- 1936년 미국 영화 『스코틀랜드의 메리』. 존 포드 감독, 캐서린 헵번 주연.
- 1940년 독일 영화 Das Herz der Königin. 카를 프롤리히 감독, 자라 렌더 주연.
- 1971년 영국 영화 『퀸 메리/애증의 생애』. 찰스 자롯 감독, 바네사 레드그레이브 주연.
- 2013년 스위스-프랑스 영화 Mary Queen of Scots. 토마스 임바흐 감독, 카밀라 러더퍼드 주연.
- 2018년 미국-영국 영화 『두 명의 여왕 메리와 엘리자베스』. 조지 루크 감독, 메리 역은 시얼샤 로넌.
- 가에타노 도니체티의 오페라 『마리아 스투알다』(Maria Stuarda영어). 실러의 희곡을 원작으로 한다.
- 로베르트 슈만의 가곡집 『메리 스튜어트를 위한 다섯 개의 시』작품 135. 메리가 직접 쓴 프랑스어 시를 독일어로 번역한 것을 바탕으로 작곡되었다.
- 샌디 데니의 노래 『포더린게이』(Fotheringay영어). 포더린게이 성에서의 메리 여왕을 소재로 했다.
- 투 프랑스 메리가 프랑스로 탈출한 것을 소재로 한 노래. 마이크 올드필드가 작사·작곡했고, 마기 라일리가 노래했다.
- 아오이케 야스코의 만화 『여왕 폐하의 우울』. "밥빙턴 음모 사건"을 바탕으로 한 음모극이다.
- NHK 명작선 『왕가의 이야기』. NHK 아카이브스에서 동영상 및 정지화면으로 제공된다.https://www2.nhk.or.jp/archives/movies/?id=D0009010686_00000
참조
[1]
문서
Bishop John Lesley said Mary was born on the 7th, but Mary and John Knox claimed the 8th, which was the feast day of the Immaculate Conception of the Virgin Mary
[2]
문서
While Catholic Europe switched to the New Style Gregorian calendar in the 1580s, England and Scotland retained the Old Style Julian calendar until 1752. In this article, dates before 1752 are Old Style, with the exception that years are assumed to start on 1 January rather than 25 March.
[3]
문서
Also spelled as Marie and as House of Stuart|Steuart or Stewart
[4]
웹사이트
National Records of Scotland; Hall of Fame A-Z – Mary Queen of Scots
https://www.nrscotla[...]
NRS
2013-05-31
[5]
문서
[6]
문서
[7]
문서
[8]
문서
[9]
문서
This version is taken from Robert Lindsay of Pitscottie's The History of Scotland from 21 February 1436 to March 1565 written in the 1570s. The phrase was first recorded by John Knox in the 1560s as "The devil go with it! It will end as it began: it came from a woman, and it will end in a woman"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Sadler to Henry VIII, 23 March 1543, quoted in
[14]
문서
The Manuscripts of the Duke of Hamilton, KT
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Sadler to Henry VIII, 11 September 1543, quoted in
[24]
문서
[25]
문서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29]
문서
[30]
문서
[31]
문서
[32]
문서
[33]
문서
Mary Stuart and Roscoff
http://archaeologyda[...]
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
[34]
문서
[35]
문서
[36]
서적
(제목 정보 없음)
[37]
서적
(제목 정보 없음)
[38]
서적
(제목 정보 없음)
[39]
서적
Dance in the Renaissance: European Fashion, French Obsession
Yale
[40]
서적
(제목 정보 없음)
[41]
서적
(제목 정보 없음)
[42]
서적
(제목 정보 없음)
[43]
서적
(제목 정보 없음)
[44]
서적
(제목 정보 없음)
[45]
서적
(제목 정보 없음)
[46]
서적
(제목 정보 없음)
[47]
서적
(제목 정보 없음)
[48]
서적
Discours du grand et magnifique triumphe faict au mariage du tresnoble & magnifique Prince Francois de Valois Roy Dauphin, filz aisné du tres-chrestien Roy de France Henry II du nom & de treshaulte & vertueuse Princesse madame Marie d'Estreuart Roine d'Escosse
http://special-1.bl.[...]
Annet Briere
2010-06-09
[49]
서적
Relations politiques de la France et de l'Espagne avec l'Écosse au XVIe siècle
https://books.google[...]
Renouard
[50]
웹사이트
Elizabeth and Mary, Royal Cousins, Rival Queens: Curators' Picks
https://blogs.bl.uk/[...]
2021-10-08
[51]
서적
(제목 정보 없음)
[52]
서적
(제목 정보 없음)
[53]
서적
(제목 정보 없음)
[54]
서적
(제목 정보 없음)
[55]
서적
(제목 정보 없음)
[56]
서적
The Wars of Religion in Franc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7]
서적
(제목 정보 없음)
[58]
서적
(제목 정보 없음)
[59]
서적
(제목 정보 없음)
[60]
서적
(제목 정보 없음)
[61]
서적
(제목 정보 없음)
[62]
서적
(제목 정보 없음)
[63]
서적
(제목 정보 없음)
[64]
서적
(제목 정보 없음)
[65]
서적
(제목 정보 없음)
[66]
서적
(제목 정보 없음)
[67]
서적
(제목 정보 없음)
[68]
서적
History of the Reformation of Religion in Scotland
https://archive.org/[...]
Andrew Melrose
[69]
서적
(제목 정보 없음)
[70]
서적
(제목 정보 없음)
[71]
논문
[72]
문서
[73]
논문
[74]
논문
[74]
논문
[74]
논문
[75]
논문
[75]
논문
[76]
논문
[77]
논문
[77]
논문
[78]
논문
[78]
논문
[78]
논문
[79]
논문
[79]
논문
[79]
논문
[80]
논문
[81]
서적
Mary, Queen of Scots: Her Persecutions, Sufferings, and Trials from her Birth till her Death
W. R. McPhun
[82]
논문
[82]
논문
[82]
논문
[82]
논문
[83]
논문
[83]
논문
[84]
논문
[85]
논문
[85]
논문
[86]
논문
[86]
논문
[87]
논문
[88]
논문
[88]
논문
[88]
논문
[89]
논문
[89]
논문
[89]
논문
[89]
논문
[89]
논문
[90]
논문
[90]
논문
[91]
논문
[92]
논문
[92]
논문
[92]
논문
[93]
논문
[93]
논문
[94]
논문
[95]
논문
[96]
논문
[97]
논문
[98]
논문
[98]
논문
[99]
논문
[100]
논문
[100]
논문
[100]
논문
[101]
논문
[101]
논문
[101]
논문
[101]
논문
[102]
논문
[103]
논문
[103]
논문
[104]
논문
[104]
논문
[105]
논문
[105]
논문
[105]
논문
[105]
논문
[106]
서적
[107]
서적
[108]
서적
[109]
서적
[110]
서적
[111]
서적
England's Insular Imagining: The Elizabethan Erasure of Scotland
Cambridge
[112]
서적
[113]
서적
[114]
서적
[115]
서적
[116]
서적
[117]
서적
[118]
서적
[119]
서적
[120]
서적
Ancient Criminal Trials in Scotland from AD 1488 to AD 1624
1573-12-13
[121]
서적
[122]
서적
[123]
서적
[124]
서적
[125]
서적
[126]
서적
[127]
서적
[128]
서적
[129]
서적
[130]
서적
[131]
서적
[132]
서적
[133]
서적
[134]
서적
[135]
서적
[136]
서적
[137]
서적
[138]
서적
[139]
서적
[140]
서적
[141]
논문
[142]
논문
[143]
논문
[144]
논문
[145]
논문
[146]
논문
[147]
논문
[148]
논문
[149]
논문
[150]
논문
[151]
논문
[152]
논문
[153]
논문
[154]
논문
[155]
논문
[156]
논문
[157]
논문
[158]
논문
[159]
논문, 서적
[160]
논문
[161]
논문
[162]
논문
[163]
논문
[164]
논문
[165]
논문
[166]
논문
[167]
논문
[168]
논문
[169]
논문
[170]
논문
[171]
서적
The Crime of Mary Stuart
Hutchinson
[172]
논문
[173]
논문
[174]
논문
[175]
논문
[176]
논문
[177]
논문
[178]
논문
[179]
논문
[180]
논문
[181]
박물관자료
A catte
[182]
웹사이트
Embroideries by Mary
https://collections.[...]
[183]
논문
[184]
논문
[185]
논문
[186]
논문
[187]
논문
[188]
논문
[189]
논문
[190]
논문
[191]
논문
[192]
논문
[193]
논문
[194]
논문
[195]
논문
[196]
논문
[197]
논문
[198]
논문
[199]
논문
[200]
논문
[201]
논문
[202]
논문
[203]
학술지
Deciphering Mary Stuart's lost letters from 1578-1584
[204]
논문
[205]
논문
[206]
논문
[207]
논문
[208]
논문
[209]
논문
[210]
논문
[211]
논문
[212]
논문
[213]
논문
[214]
논문
[215]
논문
[216]
논문
[217]
논문
[218]
논문
[219]
논문
[220]
논문
[221]
논문
[222]
논문
[223]
논문
[224]
논문
[225]
논문
[226]
논문
[227]
논문
[228]
논문
[229]
논문
[230]
논문
[231]
서적
Letter Book of Amias Paulet
https://archive.org/[...]
[232]
논문
[233]
논문
[234]
논문
[235]
서적
The Fugger Newsletters
John Lane The Bodley Head
[236]
논문
[237]
논문
[238]
서적
Elizabeth's Spy Master: Francis Walsingham and the secret war that saved England
Weidenfeld & Nicolson
[239]
논문
[240]
논문
[241]
논문
[242]
논문
[243]
논문
[244]
논문
[245]
논문
[246]
논문
[247]
논문
[248]
논문
[249]
논문
[250]
논문
[251]
논문
[252]
논문
[253]
논문
[254]
논문
[255]
논문
[256]
웹사이트
Mary Queen of Scotland
https://www.britanni[...]
2024-12-08
[257]
문서
루이 9세의 먼 후손인 프랑스의 왕족으로 혈통친왕 프랑수아 드 방돔 백작의 딸이다. 메리 스튜어트의 멘토였다.
[258]
문서
제임스 5세의 사생아
[259]
문서
고종질녀와 진외오촌간
[260]
문서
장녀인 마거릿의 장손녀
[261]
문서
후에 프랑수아 백작의 적장자 샤를 백작은 방돔 공작으로 승작하여 그의 직계 후손이 프랑스&나바라의 국왕이 된다. 샤를의 동생 프랑수아는 생폴 백작이 되어 부르봉생폴 백작가를 창가한다.
[262]
논문
[263]
서적
역사의 원전
바다출판사
2006-09-03
[264]
서적
역사의 원전
바다출판사
2006-09-03
[265]
서적
스페인사
까치글방
[266]
서적
제국의 품격
21세기북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