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제리 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제리 전쟁은 1830년 프랑스의 알제리 침략으로 시작되어 1962년 알제리의 독립으로 종결된 식민지 전쟁이다. 프랑스는 1848년 알제리를 프랑스 영토로 편입시키고 북아프리카 지배의 거점으로 삼았으나, 유럽계 이주민과 무슬림 간의 차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민족 자결주의 확산 등으로 반프랑스 저항 운동이 거세졌다. 1954년 알제리 민족해방전선(FLN)의 무장 봉기로 전쟁이 본격화되었고, 프랑스군의 고문, 테러, 대량 학살 등 잔혹 행위가 자행되었다. 전쟁은 알제리의 독립과 프랑스 제5공화국 수립, 피에 누아르와 하르키의 비극적인 운명을 초래했으며, 탈식민주의 운동과 냉전 구도 속에서 국제적 영향력을 미쳤다. 현재까지도 프랑스 사회에서는 알제리 전쟁에 대한 기억과 평가, 여성의 역할, 역사적 유산 등을 둘러싼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제리의 분리주의 - 국민해방전선 (알제리)
    국민해방전선(FLN)은 알제리 민족주의, 아랍 민족주의, 사회주의, 이슬람주의를 이념으로 프랑스 식민 지배에 저항하며 알제리 독립을 이끌었고, 독립 이후 알제리 정치를 지배해 온 주요 정당이다.
  • 프랑스의 분리주의 - 국민해방전선 (알제리)
    국민해방전선(FLN)은 알제리 민족주의, 아랍 민족주의, 사회주의, 이슬람주의를 이념으로 프랑스 식민 지배에 저항하며 알제리 독립을 이끌었고, 독립 이후 알제리 정치를 지배해 온 주요 정당이다.
  • 프랑스의 분리주의 - 옥시타니아
    옥시타니아는 루아르강 남쪽 프랑스를 중심으로 프로방스, 드롬비바레, 오베르뉴 등을 포함하는 지역으로, 옥시타니아어를 사용하며 언어, 문화, 역사적 특성을 공유하는 곳이다.
알제리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주요 정보
분쟁 이름알제리 전쟁
다른 이름
시기1954년 11월 1일 – 1962년 3월 19일
지역프랑스령 알제리
관련냉전, 아프리카의 탈식민지화
결과알제리의 승리
결과 내용알제리의 프랑스로부터 독립
프랑스 식민 제국의 종말
프랑스 제4공화국의 붕괴
프랑스 제5공화국의 수립
교전 세력
교전국 1[[파일:Flag of Algeria (1958-1962).svg|20px|border]] FLN
[[파일:Flag of Algeria (1958-1962).svg|20px|border]] MNA
[[파일:Flag of Algerian Communist Party.svg|20px|border]] PCA
교전국 2프랑스 제4공화국 (1954–58)
프랑스 제5공화국 (1958–62)
라맹루주
MPC
ANPA
교전국 3FAF (1960–61)
[[파일:OAS Flag.svg|20px|border]] OAS (1961–62)
지휘관
지휘관 1[[파일:Flag of Algeria (1958-1962).svg|20px|border]] 무라드 디두체
[[파일:Flag of Algeria (1958-1962).svg|20px|border]] 모하메드 부디아프
[[파일:Flag of Algeria (1958-1962).svg|20px|border]] 압델하피드 부수프
[[파일:Flag of Algeria (1958-1962).svg|20px|border]] 무스타파 벤불라이드
[[파일:Flag of Algeria (1958-1962).svg|20px|border]] 크림 벨카셈
[[파일:Flag of Algeria (1958-1962).svg|20px|border]] 라르비 벤 므히디
[[파일:Flag of Algeria (1958-1962).svg|20px|border]] 알리 라 포인테
[[파일:Flag of Algeria (1958-1962).svg|20px|border]] 사이드 모함메디
[[파일:Flag of Algeria (1958-1962).svg|20px|border]] 아흐메드 자바나
[[파일:Flag of Algeria (1958-1962).svg|20px|border]]
[[파일:Flag of Algeria (1958-1962).svg|20px|border]] 유세프 지그후드
[[파일:Flag of Algeria (1958-1962).svg|20px|border]] 라바 비타트
[[파일:Flag of Algeria (1958-1962).svg|20px|border]] 베날리 부드게네
[[파일:Flag of Algeria (1958-1962).svg|20px|border]]
[[파일:Flag of Algeria (1958-1962).svg|20px|border]]
[[파일:Flag of Algeria (1958-1962).svg|20px|border]] 호신 아잇 아흐메드
[[파일:Flag of Algeria (1958-1962).svg|20px|border]] 아미루체 대령
[[파일:Flag of Algeria (1958-1962).svg|20px|border]] 사디 야체프
[[파일:Flag of Algeria (1958-1962).svg|20px|border]] 우아리 부메디엔
[[파일:Flag of Algeria (1958-1962).svg|20px|border]] 아마르 우암란
정치인 1아바네 람다네
페르하트 아바스
우아리 부메디엔
오신 아잇 아흐메드
아흐메드 벤 벨라
크림 벨카셈
프란츠 파농
라바 비타트
모하메드 부디아프
알리 카피
아메드 테우피크 엘 마다니
아메드 프랜시스
모하메드 키데르
벤유세프 벤케다
압델하미드 메흐리
모하메드 라민 데바긴
사드 달랍
모하메드 세디크 벤야히아
라크다르 벤 토발
압델하피드 부수프
사이드 모함메디
이브라힘 마주디
지휘관 2알폰스 자마테 (1955–62)
폴 셰리에르 (1954–55)
앙리 로릴로 (1955–56)
모하메드 벨루니스 (1955–58)
자크 수스텔 (1955–56)
라울 살랑 (1956–58)
에르베 아르튀르 (1956)
로베르 라코스트 (1956–58)
자크 마수 (1956–60)
르네 상트낙 (1957)
피에르 장피에르 (1957–58)
폴 오사레세
모리스 샬 (1958–60)
장 크레팽 (1960–61)
페르낭 감비에 (1961)
정치인 2피에르 망데스프랑스
에드가 포르
기 몰레
모리스 부르게스모누리
펠릭스 가야르
피에르 플림린
샤를 드 골
지휘관 3사이드 보우람
[[파일:OAS Flag.svg|20px|border]] 피에르 라가야르드
[[파일:OAS Flag.svg|20px|border]] 라울 살랑
[[파일:OAS Flag.svg|20px|border]] 에드몽 주오
[[파일:OAS Flag.svg|20px|border]] 장자크 수시니
병력
병력 1300,000명 (확인), 40,000명 (민간 지원)
병력 2470,000명 (최대 규모, 1956~1962년 프랑스군) 또는 700,000명 (후자 추정치는 하르키 포함 여부 불분명)
90,000 ~ 180,000명 하르키 (프랑스령 알제리 보조군)
150만 명 동원
병력 33,000명 (OAS)
사상자
사상자 1140,000 ~ 152,863명 FLN 군인 사망 (내부 숙청 12,000명 및 프랑스 본토에서 사망한 FLN 및 MNA 소속 알제리인 4,300명 포함)
불명 (부상자)
198명 처형
사상자 217,456 ~ 30,000명 프랑스 군인 사망
65,000명 부상
50,000명 하르키 사망 또는 실종
6,000명 유럽인 민간인 사망
사상자 3100명 사망
2,000명 투옥
4명 처형
사상자 4250,000~300,000명 알제리인 사상자 (프랑스 추정치, 민간인 55,000명 포함)
~1,500,000명 알제리인 사망 (알제리 역사학자 추정치)
~1,000,000명 알제리인 사망 (혼 추정치)
~400,000명 사망 (프랑스 역사학자 추정치)
기타 사상자100만 명 유럽인 피난
200,000명 유대인 피난
8,000개 마을 파괴
200만 명 이상 알제리인 이주 또는 이재민 발생
원인
원인FLN의 프랑스령 알제리 테러 공격, 1954년 11월 1일
관련 문서
관련 문서

2. 배경

1830년 프랑스는 지중해 건너 알제리 침략을 시작하여 1848년 알제, 오랑, 콘스탄틴에 세 개의 직할주를 설치했다.[163] 1881년에는 튀니지오스만 제국에서 빼앗아 프랑스 보호령 튀니지로 만들었고, 1912년에는 모로코를 프랑스 보호령 모로코로 편입하는 등 북아프리카 지배의 거점으로 삼았다.[163] 알제리 전쟁 초기에는 “센 강이 파리를 가로지르듯이 지중해가 프랑스를 가로지른다”라고 할 정도였다.[163]

유럽계 이주민(피에 누아르)과 동화 정책으로 시민권을 얻은 유대인과 일부 무슬림을 제외한 원주민들은 차별과 억압을 받았다.[163]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아시아 등에서 민족 자결 운동이 확산되면서 반프랑스 저항 운동도 거세졌다.[163] 1952년 프랑스의 튀니지 민족 운동 탄압은 식민 지배를 고집하는 프랑스에 대한 국제적 비판을 불러왔다.[163] 1954년 제네바 협정으로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4개국(남북 베트남 포함)이 독립한 것도 프랑스 식민지 주민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163]

2. 1. 프랑스의 알제리 식민 지배



1830년 1월, 샤를 10세는 알제의 함락을 결정했다. 이는 바르바리 해적의 활동, 기독교인 포로 문제, 마르세유 상인들의 채무 불이행 등의 이유 외에도, 국내 정치적 불만을 외부로 돌리려는 목적이 컸다.[44]

프랑스는 영사에 대한 모욕을 구실로 1830년 6월 알제를 공격하여 함락시켰고, 이후 내륙으로 정복을 확대했다.[15] 토마 로베르 부주 장군 지휘 하에 이루어진 이 정복은 "초토화 작전"으로 대표되며 학살, 집단 강간 등 폭력적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45][46] 정복 초기 30년 동안 50만 명에서 100만 명의 알제리인이 사망했다.[47][48] 1830년부터 1851년까지 프랑스군은 전사 3,336명, 병원에서 사망한 병사 92,329명이었다.[49]

1834년 알제리는 프랑스의 군사 식민지가 되었고, 1848년 헌법에 의해 프랑스의 일부로 선언되어 알제, 오랑, 콩스탕틴의 세 주로 나뉘었다. 이후 많은 프랑스인과 유럽인들이 알제리에 정착했다.

제2제정 시대에는 1865년 7월 14일 ''상원령''(sénatus-consulte)에 의해 ''토착민법''(Code de l'indigénat)이 시행되었다. 이 법은 무슬림에게 프랑스 시민권을 신청할 기회를 제공했지만, 샤리아 법에 따른 권리 포기를 요구했기에 배교로 여겨져 거의 이용되지 않았다.[50]



1870년 이전 무슬림의 시민권 신청은 200건 미만, 유대인은 152건이었다.[51] 1870년 크레미외 법령은 알제리 유대인에게 프랑스 국적을 부여했다. 1881년, ''토착민법''은 차별을 공식화했다.[5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4년 3월 7일 ''법령''(ordonnance)과 1946년 5월 7일 ''라민 게이 법''(loi Lamine Guèye)으로 권리 평등이 선포되었고, 1946년 헌법에서 확인되었다. 1947년 9월 20일 법률은 모든 알제리 국민에게 프랑스 시민권을 부여했다.[52]

알제리는 프랑스의 다른 해외 영토와 달리 프랑스의 불가분의 일부로 간주되었다. 1830년 이후 프랑스는 알제리 침략을 통해 1848년 세 개의 직할주(오랑 주, 알제 주, 콘스탄틴 주)를 설치했고, 1881년 튀니지를, 1912년 모로코를 프랑스 보호령으로 편입하는 등 북아프리카 지배 거점으로 삼았다. 당시 프랑스는 “센 강이 파리를 가로지르듯이 지중해가 프랑스를 가로지른다”라고 표현할 정도였다.[163]

유럽계 이주민(피에 누아르)과 일부 무슬림을 제외한 원주민들은 차별과 억압을 받았다.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민족 자결 흐름 속에서 반프랑스 저항 운동이 고조되었다. 1952년 튀니지 민족 운동 탄압과 1954년 제네바 협정에 의한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독립은 프랑스 식민 통치에 대한 국제적 비판을 야기했다.

2. 2. 알제리 민족주의의 성장

제2차 세계 대전에 무슬림과 유럽계 알제리인들이 참전하여 프랑스를 위해 싸웠다. 알제리 무슬림들은 티라유르[53] 및 스파히로 복무했고, 프랑스 정착민들은 주브 또는 아프리카 사냥꾼으로 복무했다. 우드로 윌슨 미국 대통령은 1918년 14개 조항에서 "주권에 관한 모든 문제를 결정할 때, 관련 인구의 이익이 결정될 권리가 있는 정부의 공정한 청구와 동등한 무게를 가져야 한다는 원칙을 엄격하게 준수하는 것을 기반으로 모든 식민지 청구에 대한 자유롭고, 개방적이며, 절대적으로 공정한 조정"이라고 명시했다.[54] 일부 알제리 지식인들은 "울레마"라고 불리며 독립, 또는 최소한 자치와 자치권에 대한 열망을 키우기 시작했다.[54]

이러한 맥락에서 아브드 알 카디르의 손자인 칼리드 이븐 하심은 20세기 전반기에 프랑스에 대한 저항을 주도했으며 프랑스 공산당 지도위원회의 일원이었다. 그는 1926년에 "북아프리카 별(Étoile Nord-Africaine)"을 설립했고, 공산당과 그 산하 노동조합인 CGTU의 일원이었던 메살리 하지는 이듬해에 합류했다.[55]

북아프리카 별은 1928년에 공산당에서 탈퇴했고, 1929년에 파리의 요구로 해산되었다. 알제리 인구의 불만이 커짐에 따라 프랑스 제3공화국(1871~1940)은 일부 요구를 인정했고, 인민전선은 1936년에 블룸-비올레 제안을 시작했는데, 이는 소수의 무슬림에게 프랑스 시민권을 부여함으로써 원주민법을 개정하려는 것이었다. 유럽계 알제리인인 피에드누아르는 이에 대해 격렬하게 시위를 벌였고, 북아프리카당도 이에 반대하여 제안은 폐기되었다. 독립 지지 정당은 1937년에 해산되었고, 지도자들은 해산된 연맹을 불법적으로 재결성한 혐의로 기소되어 메살리 하지는 1937년에 완전한 독립이 아닌 광범위한 자치만을 주장하는 알제리 인민당(Parti du peuple algérien, PPA)을 설립했고, 이 새로운 정당은 1939년에 해산되었다. 비시 프랑스 하에서 프랑스 국가는 유대인의 프랑스 시민권을 박탈하기 위해 크레미외 법령을 폐지하려 했지만, 이 조치는 시행되지 않았다.

한편, 민족주의 지도자 페르하트 아바스는 1938년에 알제리 인민연합(Union populaire algérienne)을 설립했다. 1943년에 아바스는 알제리 인민 선언(Manifeste du peuple algérien)을 작성했다. 1945년 5월 8일 세티프와 겔마 학살 당시 프랑스군과 피에드누아르 폭도들이 6,000명에서 30,000명의 알제리인을 살해한 후[56][15] 아바스는 1946년에 알제리 선언 민주 연합(UDMA)을 설립하고 국회의원으로 선출되었다. 1954년에 설립된 알제리 국민해방전선(FLN)은 프랑스 당국에 맞서 무장 투쟁을 벌이기 위해 무장 부대인 알제리 국민해방군(Armée de Libération Nationale)을 창설했다. 프랑스군에서 복무한 많은 알제리 군인들은 프랑스에 맞서 싸우는 베트남인에게 강한 동정심을 가지고 있었고, 그들의 경험을 이용하여 ALN을 지원했다.[57][58]

3. 전쟁의 전개





알제리 민족해방전선(FLN)의 봉기는 민족주의 단체들에게 무력 봉기를 주요 행동 방침으로 채택할지 여부에 대한 문제를 제기했다. 전쟁 초기, 페르하트 아바스의 알제리 민주연합 선언 (UDMA), 율레마, 알제리 공산당(PCA)은 FLN에 대해 우호적인 중립을 유지했다. 공산주의자들은 처음에는 봉기에 협력하지 않았지만, 나중에 FLN에 침투를 시도했으나, FLN 지도자들은 공개적으로 당의 지지를 거부했다. 1956년 4월, 아바스는 카이로로 가서 공식적으로 FLN에 합류했고, 이는 과거 UDMA를 지지했던 많은 진보주의자들을 끌어들였다. AUMA 또한 FLN을 전폭적으로 지지했다.

MTLD의 붕괴 후, 메살리 하지는 FLN과 유사하게 폭력 혁명과 완전한 독립을 주장하는 좌익 알제리 민족운동(MNA)을 결성했지만, FLN과 경쟁했다. 알제리 민족해방군(ALN)은 알제리에서 MNA의 게릴라전 작전을 일소했고, 메살리 하지의 운동은 그곳에서 영향력을 상실했다. 그러나 MNA는 알제리 노동자 노동조합을 통해 프랑스의 많은 알제리 노동자들의 지지를 유지했다. FLN은 또한 프랑스에 MNA에 대항하는 강력한 조직을 설립했다. 독립 전쟁 기간 동안 두 반군 조직 사이에 프랑스에서 발생한 "카페 전쟁"은 거의 5,000명의 사망자를 냈다.

FLN의 여섯 명의 역사적 지도자: 라바 비타, 모스테파 벤 부라이드, 무라드 디두슈, 모하메드 부디아프, 크림 벨카셈 그리고 라르비 벤 메히디


정치적으로 FLN은 알제리 대중을 설득하고 강제로 독립 운동의 목표를 지지하도록 노력했다. FLN의 영향을 받은 노동 조합, 전문 협회, 학생 및 여성 단체가 만들어졌지만, 폭력적인 강압도 널리 사용되었다. 프랑츠 파농은 국민 해방 달성을 위한 폭력 사용에 대한 지적 정당성을 제공했다.[61] 카이로에서 아메드 벤 벨라는 프랑스가 받아들일 수 있는 무슬림 공동체의 독립적인 대표자들을 제거하라고 명령했다.

FLN의 영향력이 시골로 확산되면서, 19세기에 무슬림 공동체로부터 빼앗긴 토지에 살았던 많은 유럽 농민들(''피에드누아'')은[62] 토지를 팔고 알제 등지로 피신했다. 여러 마을과 도시에서 알제리 무슬림들이 일으킨 피비린내 나는 학살과 폭탄 테러 이후, 프랑스 ''피에드누아''와 도시 프랑스 인구는 프랑스 정부에 더욱 강경한 대응 조치를 요구했다. ''콜롱'' 자경단은 무슬림 공동체의 FLN 용의자들을 대상으로 ''라토나드''(쥐 사냥)를 수행했다.

1955년까지 알제리 식민지 공동체 내의 효과적인 정치 행동 그룹은 파리에서 파견된 총독들을 설득하여 군사력이 갈등을 해결하는 방법이 아님을 입증하는 데 성공했다. 1955년 1월 알제리 총독으로 부임한 자크 수스텔은 평화를 회복하기로 결심하고, 무슬림 인구의 경제적 조건을 개선하기 위한 수스텔 계획을 시작했다.

전쟁 초기에 알제리 측은 군사적 열세를 정치적, 외교적 투쟁으로 만회해야 했다. 당시 프랑스와 알제리 민족해방전선(FLN) 간의 비대칭 전쟁에서 승리는 매우 어려워 보였다.[84]

알제리 혁명은 1954년 11월 1일 봉기로 시작되었는데, FLN은 프랑스군과 군사 기반 시설에 대한 일련의 공격을 조직하고 알제리인들에게 혁명에 참여할 것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 초기 공세는 제한적인 영향을 미쳤다. 프랑스 내무장관 프랑수아 미테랑은 알제리에 600명의 병력을 파병했다.

FLN은 전쟁 초기에 군사적으로 약했다. 1954년에 창설된 FLN은 구성원이 적었고, 동맹인 알제리 민족해방군(ALN) 또한 3,000명의 장비와 훈련이 부족한 병력으로 프랑스군과 경쟁할 수 없었다. 민족주의 세력은 내부 분열에도 시달렸다.

1954년 성명서에서 선포된 대로, FLN은 대규모 전쟁을 피하고 프랑스와 세계 여론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정치적, 외교적으로 호소하여 갈등을 국제화하는 전략을 개발했다.[85] 프랑스의 대응 전략은 갈등을 내부적이고 순수하게 프랑스 내부 문제로 유지하여 해외 이미지를 유지하는 것이었다. FLN은 성공했고, 갈등은 급속히 국제화되어 냉전의 긴장과 제3세계의 등장과 얽히게 되었다.

FLN은 미국이 주도하는 서방 진영과 소련이 주도하는 공산권 사이의 긴장을 이용했다. FLN은 공산주의자들로부터 물질적 지원을 구하면서 미국이 알제리의 독립을 지지하여 이 나라를 서방 진영에 붙잡아 두도록 유도했다. 또한 FLN은 프랑스와 미국 간, 그리고 소련과 마오쩌둥의 중국 간을 포함한 각 진영 내의 긴장을 이용했다. 일반적으로 식민화에 반대했던 미국은 프랑스가 알제리에 독립을 허용하도록 압력을 가할 만한 모든 이유가 있었다.[86]

FLN은 제3세계의 지원을 기대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탈식민화의 물결 속에서 많은 신생 국가가 탄생했다. 1945년에는 유엔에 51개국이 있었지만, 1965년에는 117개국으로 증가했다. 이는 유엔의 권력 균형을 뒤엎었고, 최근 탈식민화된 국가들이 이제 다수를 차지하며 큰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대부분의 신생 국가는 제3세계 운동의 일원이었고, 양극화된 세계에서 제3의 비동맹 노선을 선포하고 민족 갱신과 근대화를 위해 식민주의에 반대했다.[87] 그들은 알제리 갈등에 우려를 표명하고 국제 무대에서 FLN을 지지했다. 1955년 반둥 회의는 국제적으로 FLN을 알제리를 대표하는 세력으로 인정했다.[89] 그리고 제3세계 국가들은 유엔 총회에서 알제리 갈등을 제기했다.[90] 프랑스 정부는 점점 더 고립되어 갔다.

알제 전투 이후 FLN이 크게 약화되자 해외로부터의 보다 직접적인 지원을 받아들여야 했다. 중국으로부터의 재정 및 군사적 지원은 ALN을 2만 명으로 재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90] 소련은 중국과 경쟁했고, 흐루쇼프는 알제리 반란에 대한 도덕적 지원을 강화했는데, 이는 미국으로 하여금 반응하게 만들었다.[90] 1958년, 알제리 공화국 임시 정부(PGAR)가 수립되어 프랑스와 협상할 공식 대표를 임명했다.[131] 긴장된 협상은 3년간 지속되었고, 결국 알제리에 유리하게 돌아갔다. PGAR은 제3세계와 공산권의 지지를 받았지만, 프랑스는 동맹국이 거의 없었다. 유엔, 미국, 그리고 전쟁에 지친 대중의 압력 아래, 프랑스는 결국 에비앙 협정에서 양보했다.

3. 1. 초기 봉기 (1954년)

1954년 11월 1일 새벽, 알제리 민족 해방 전선(FLN)의 게릴라들이 알제리 전역의 군사 및 민간 시설을 공격하면서 '루즈 투생(붉은 만성절)'으로 알려진 봉기가 시작되었다.[60] 카이로에서 FLN은 모하메드 아이샤우이가 작성한 1954년 11월 1일 선언을 방송하여 알제리 무슬림들에게 "이슬람 원칙의 틀 안에서 주권적이고 민주적이며 사회적인 알제리 국가의 복원"을 위한 국가적 투쟁에 참여할 것을 촉구했다.

알제리 산악지대의 반군 전투원들


피에르 멘데스 프랑스(프랑스 급진사회당) 총리는 "알제리 지역은 프랑스 공화국의 일부"이며 "프랑스 본토와 분리될 수 없다"고 선언하며 강경 대응을 예고했다.[60] 초기에는 대부분의 알제리인들이 독립에 소극적이었으나, 프랑스가 후원하는 '메인 루즈(붉은 손)' 그룹의 테러[60] 등으로 인해 점차 급진화되었다.

FLN은 1955년 8월 피리프빌에서 민간인 학살을 일으켜 프랑스인 71명을 포함한 123명을 살해했다.[63] 이는 자크 수스텔 총독의 강경 진압을 불러왔고, 프랑스 당국은 1,273명의 게릴라를 사살했다고 발표했지만, FLN은 1만 2천 명의 무슬림이 사망했다고 주장했다.[15][63] 이 사건을 계기로 알제리인들은 FLN에 결집하기 시작했고, 전면전이 시작되었다.

3. 2. 게릴라전과 테러

알제리 민족해방전선(FLN)은 아시아의 민족주의 단체들과 유사한 전술을 사용했다. 1955년 8월 스키크다(피리프빌) 근처에서 FLN에 의한 피에드누아르 민간인 학살은 중요한 분수령이었다. 이 학살 이전까지 FLN은 군사 및 정부 관련 목표물만 공격했으나, 콩스탕틴 지역 사령관은 123명을 살해하는 극단적인 조치를 취했다. 프랑스 당국은 보복으로 1,273명의 게릴라를 사살했다고 발표했지만, FLN은 1만 2천 명의 무슬림이 사망했다고 주장했다.[15][63]

1956년과 1957년 동안 FLN은 게릴라전 이론에 따라 기습 전술을 성공적으로 적용했다. 군사 목표물 외에도 프랑스 당국을 지지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모든 사람들을 대상으로 테러를 자행했으며, 여기에는 여성과 어린이를 포함한 모든 사람들에게 가학적인 고문과 잔혹한 폭력이 포함되었다. 매복과 야간 습격을 전문으로 하고 프랑스군의 화력과의 직접 접촉을 피하면서, 내부군은 군 순찰대, 군 주둔지, 경찰 초소, 식민지 농장, 광산, 공장, 교통 및 통신 시설을 표적으로 삼았다.[66]

FLN은 갈등을 도시로 가져오고 전국적인 총파업과 폭탄 테러를 계획했다. 1956년 9월 30일 자밀라 부히레드와 조라 드리프를 포함한 세 명의 여성이 에어프랑스 시내 사무실을 포함한 세 곳에 폭탄을 설치한 알제 전투가 대표적이다. 1957년 봄, FLN은 총격과 폭탄 테러로 민간인 사상자를 발생시켰고, 당국은 혹독하게 대응했다. 자크 마수 장군은 도시의 질서를 회복하고 테러리스트를 제거하기 위해 낙하산 부대를 사용하여 파업을 진압하고, 알제에서 FLN의 기반 시설을 파괴했다. 그러나 고문, 강력한 이동 통제 및 통행금지(''quadrillage'')를 포함한 잔혹한 방법은 프랑스의 알제리에서의 역할에 대한 의구심을 불러일으켰다.[64]

민족 해방 전선은 첫 1년 동안만 프랑스인이 경영하는 6,000개 이상의 농장과 400개의 학교를 파괴하고, 수십만 마리의 가축을 약탈하였다. 그 외에도 도로, 교량, 통신 시설을 파괴하고, 프랑스 군인, 경찰관, 공무원, 프랑스에 협력하는 현지 주민을 살해하였다. 각지의 게릴라들은 프랑스군을 교란시켰으나, 1957년 가을 무렵에는 지도층이 속속 체포되어 튀니지로 퇴각하였다.

3. 3. 프랑스의 대응



알제: 무슬림 지역(녹색), 유럽인 지역(주황색), 테러 공격


1956년 알제리 전쟁에 관한 뉴스릴


유니버설 뉴스릴 ''북아프리카에서 퍼지는 반란'', 1955


1830년 1월, 샤를 10세바르바리 해적 소탕과 프랑스 국내 여론을 국외로 돌리기 위해 알제 침공을 결정했다.[44] 1830년 6월 알제를 함락시킨 프랑스는 토마 로베르 부주 장군 지휘 아래 알제리 원주민에 대한 초토화 작전을 펼쳤다.[45][46] 이 과정에서 1830년부터 30년간 알제리인 50만~100만 명이 사망했고, 프랑스군은 3,336명이 전사하고 92,329명이 병원에서 사망했다.[47][48][49]

1834년 알제리는 프랑스의 군사 식민지가 되었고, 1848년 프랑스 헌법에 의해 프랑스 영토로 편입되어 알제, 오랑, 콩스탕틴 3개 주로 나뉘었다.[50] 많은 프랑스인과 유럽인들이 알제리에 정착했다.

프랑스 제2제정 시기인 1865년, 무슬림에게 프랑스 시민권을 신청할 수 있게 했지만, 샤리아 법 적용을 포기해야 했기에 배교로 여겨져 거의 이용되지 않았다.[50] 1870년 크레미외 법령으로 알제리 유대인에게 프랑스 국적이 부여되었고, 1881년 ''토착민법''으로 차별이 공식화되었다.[5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4년, 1946년, 1947년 법률을 통해 모든 알제리인에게 프랑스 시민권이 부여되었으나, 무슬림은 완전한 권리를 누리지 못하고 투표권에 제약을 받았다. 알제리는 프랑스의 일부로 간주되었다.

1955년 8월, 피에드누아 민간인 학살 이후 자크 수스텔은 더욱 억압적인 조치를 취했고, 알제리인들은 알제리 민족 해방 전선(FLN)으로 결집했다.[63] 1956년 프랑스 알제리인들의 시위로 프랑스 정부는 개혁에 실패했다.

수스텔의 후임 로베르 라코스트는 알제리 의회를 폐지하고 법령 통치를 시작했으며, 군사 작전 강화와 특별 경찰 권한 부여로 폭력에 대처했다. 동시에 자치권과 분권화된 정부를 제안했지만, 프랑스 국민의회에서 지연되었다.

1956년, FLN은 알제리 혁명 국민의회(CNRA)를 조직하고, 5명으로 구성된 조정 및 집행 위원회(CCE)를 구성했다.[66] 같은 해 10월, 프랑스는 아흐메드 벤 벨라 등 FLN 외부 지도자들을 체포했다.[66]

프랑스는 가말 압델 나세르의 FLN 지원에 반대했고, 1956년 수에즈 위기에 참전했다. 1957년, FLN 내부 갈등이 심화되자, 유엔을 통해 프랑스에 외교적 압력을 가했다.

같은 해, 프랑스군의 고문 사용이 알려지면서 위베르 뵈브메리 등 지식인들이 비판했다.[64] 모리스 오댕 사건은 프랑스군의 만행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였다.[64]

알베르 카뮈는 양측에 민간인 보호를 호소했지만 실패했고, 고문 사용에 반대하는 글을 썼다.

1956년 알제 전투에서 FLN은 도시 테러를 감행했고, 자크 마수 장군은 강경 진압으로 대응했다. 프랑스군의 잔혹 행위는 프랑스 내에서 알제리 정책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1956~1957년, FLN은 게릴라전을 펼쳤지만, 프랑스군의 우세한 화력에 밀렸다. FLN은 오레스 산맥 등 일부 지역에서 세력을 확보했지만, 유능한 지휘관 부족과 내부 권력 투쟁으로 어려움을 겪었다.[66]

1954년 알제리 민족 해방 전선(FLN)이 조직되고 National Liberation Army (Algeria)|label=알제리 민족 해방군영어(ALN)이 설립되어 11월 1일 봉기하자, 프랑스는 병력을 증강하여 진압했다. 1955년 프랑스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파병 부대를 알제리로 이동시켰다. 1956년 기 모레 내각은 화해 정책을 내세웠으나, 피에 누아르의 반발로 강경책으로 전환하고 긴급 사태 법을 공포, 예비역을 소집했다.

FLN은 프랑스 시설을 파괴하고 프랑스인과 협력자를 살해했다. 1957년 프랑스군은 지도부를 체포했고, FLN은 튀니지로 퇴각했다.

1956년 튀니지와 모로코가 독립했지만, 알제리는 프랑스 내에서 대응 방침이 분열되었다. 전쟁은 게릴라전과 테러, 프랑스군의 현장 처형과 고문으로 혼란스러워졌다.

1956년 긴급사태법 제정으로 예비역이 동원되고 병력이 증강되었다. 라울 살랭 장군에게 군·경찰 권한이 집중되었다.

ALN은 튀니스에 본부를 두고 게릴라전을 펼쳤으나, 프랑스군의 방어선에 막혔다. 1958년 친서 전달로 튀니지와의 전면전 위기를 모면했다.

1958년 프랑스군 병력은 51만 명으로 확대되었다. 모리스 샤를 장군의 샤를 계획으로 ALN 부대는 궤멸되었다.

3. 4. 프랑스 제4공화국의 붕괴와 드골의 집권

알제리 민족해방전선(FLN)은 아시아의 민족주의 단체들과 비슷한 전술을 사용했고, 프랑스는 1955년 FLN이 도시 지역으로 진출할 때까지 자신들이 직면한 도전의 심각성을 깨닫지 못했다. 1955년 8월 피에드누아 민간인 학살은 독립 전쟁의 중요한 분수령이었다. FLN은 피리프빌 근처에서 이 학살을 저질렀는데, 이전까지 FLN은 군사 및 정부 관련 목표물만 공격했다. 그러나 콩스탕틴 지역 사령관은 극적인 고조가 필요하다고 판단했고, FLN과 그 지지자들은 노파와 아기들을 포함하여 71명의 프랑스인을 포함한 123명을 살해했다.[63] 이 사건은 자크 수스텔에게 반군에 대한 더욱 억압적인 조치를 촉구하게 했다.[63] 프랑스 당국은 수스텔이 "심각한" 보복이라고 인정한 사건에서 1,273명의 게릴라가 사망했다고 밝혔지만, FLN은 그 후 1만 2천 명의 무슬림이 사망했다고 주장했다.[15] 수스텔의 탄압은 알제리 인구가 FLN에 결집하는 초기 원인이 되었다.[63] 피리프빌 사건 이후 수스텔은 더욱 강경한 조치를 선포했고 전면전이 시작되었다. 1956년 프랑스 알제리인들의 시위로 인해 프랑스 정부는 개혁을 하지 못했다.

수스텔의 후임인 총독 로베르 라코스트는 알제리 의회를 폐지했다. 사회주의자인 라코스트는 피에드누아가 장악한 의회가 그의 행정부의 업무를 방해한다고 보고, 법령에 의한 알제리 통치를 시작했다. 그는 프랑스 군사 작전을 강화하고 군대에 특별 경찰 권한을 부여하여 증가하는 정치적 폭력에 대처했는데, 이는 프랑스 법에 따른 애매한 합법성을 가진 양보였다. 동시에 라코스트는 알제리에 어느 정도의 자치권과 분권화된 정부를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행정 구조를 제안했다. 알제리는 프랑스의 일부로 남으면서 5개 지역으로 나뉘고, 각 지역은 단일 후보 명단에서 선출된 지역 의회를 갖게 되었다. 1958년까지 알제리 지역을 대표하는 대의원들은 프랑스 국민의회에서 해당 조치의 통과를 지연시킬 수 있었다.

1956년 8월과 9월, 알제리 내에서 활동하는 FLN 게릴라 지도부("내부 세력"으로 널리 알려짐)는 운동의 정치적 및 군사적 활동을 동기화하기 위한 공식적인 정책 결정 기구를 조직하기 위해 회의를 열었다. FLN의 최고 권위는 34명으로 구성된 알제리 혁명 국민의회(CNRA)에 위임되었으며, 그 안에서 5명으로 구성된 조정 및 집행 위원회(CCE)가 집행부를 구성했다. 튀니지와 모로코에 기반을 둔 정규 FLN군("외부 세력")의 지도부, 벤 벨라를 포함한 지도부는 회의가 열리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내부 세력"의 의도적인 행동 혹은 우연으로 인해 참석할 수 없었다.

1956년 10월, 프랑스 공군은 모로코 DC-3 항공기를 요격했다. 이 비행기는 튀니스행으로, 아흐메드 벤 벨라, 무하마드 부디아프, 무하마드 키데르, 호신 아이트 아흐메드를 태우고 있었고, 알제에 착륙하도록 강제되었다. 라코스트는 FLN 외부 정치 지도자들을 체포하여 전쟁 기간 동안 투옥시켰다. 이 조치로 남은 반군 지도자들은 입장을 강화했다.

프랑스는 FLN에 대한 이집트 대통령 가말 압델 나세르의 물질적, 정치적 지원에 반대했는데, 일부 프랑스 분석가들은 이것이 혁명의 주요 원동력이라고 믿었다. 이러한 태도는 1956년 11월 수에즈 위기 동안 수에즈 운하를 장악하려는 시도에 프랑스가 참여하도록 설득하는 요인이 되었다.

1957년 동안 내부 세력과 외부 세력 간의 불화가 확대됨에 따라 FLN에 대한 지지가 약화되었다. 이러한 흐름을 막기 위해 FLN은 압바스뿐만 아니라 벤 벨라와 같은 투옥된 정치 지도자들을 포함하여 집행위원회를 확대했다. 또한 유엔(UN)의 공산당원과 아랍 회원국들을 설득하여 프랑스 정부에 휴전 협상을 위한 외교적 압력을 가했다.

1957년 프랑스에서는 프랑스군이 FLN 용의자들로부터 정보를 얻기 위해 고문을 일상적으로 사용한다는 사실이 널리 알려졌다.[64] ''르 몽드''의 편집장 위베르 뵈브메리는 1957년 3월 13일 판에서 "이제부터 프랑스인들은 10년 전과 같은 방식으로 오라두르의 파괴와 게슈타포의 고문을 비난할 권리가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라고 선언했다.[64] 많은 언론의 관심을 끈 또 다른 사건은 불법 알제리 공산당원이자[65] 알제 대학교 수학 교수였으며 FLN 용의자였던 모리스 오댕의 살해 사건이었다. 프랑스군은 1957년 6월 그를 체포했다.[64] 오댕은 고문을 당해 살해되었고 시신은 발견되지 않았다.[64] 오댕이 알제리인이 아니라 프랑스인이었기 때문에, 프랑스군의 구금 중에 "사라진" 그의 사건은 그의 미망인이 역사가 피에르 비달 나케의 도움을 받아 남편의 죽음에 책임이 있는 자들을 기소하려고 끈기 있게 노력하면서 유명한 사건이 되었다.[64]

알제 출신의 실존주의 작가이자 철학자, 극작가인 알베르 카뮈는 양측을 설득하여 최소한 민간인은 내버려 두도록 하려고 했지만 실패했고, ''콩바'' 신문에 고문 사용에 반대하는 사설을 썼다. FLN은 그를 바보로 여겼고, 일부 피에드누아는 그를 배신자로 여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노벨 문학상 수상 연설에서 극단적인 선택에 직면했을 때 결국 자신의 공동체를 지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발언으로 그는 좌파 지식인들 사이에서 지위를 잃었다.

프랑스 본토 여론 또한 알제리 민족해방전선의 독립 운동을 지지하는 측과 프랑스의 국가적 위신을 우선시하는 측으로 분열되었다. 1958년 5월 13일, “프랑스의 알제리”를 지지하는 현지 군인들과 프랑스 이주민들의 폭동은 쿠데타로 발전했고, 프랑스 본토 침공의 위협으로 인해 제4공화국 정부는 효과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위기에 몰려 붕괴 상태에 이르렀다.

정부의 요청으로 군부를 장악할 수 있는 인물로 샤를 드 골이 총리에 취임하여 9월 28일 새로운 프랑스 공화국 헌법을 국민투표로 승인받고, 10월 5일 제5공화국이 시작되었다.

프랑스 이주민들과 알제리 파병 프랑스군은 처음에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자유 프랑스를 이끈 영웅인 드 골이 강경책을 택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러나 드 골은 프랑스 국내의 항전 분위기 만연, 식민지주의의 종말을 알리는 국제 사회의 추세, 증가하는 전비를 감당할 수 없는 프랑스 경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같은 해 9월에는 알제리 독립을 용인하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12월 12일 인사 개편을 단행하여 자신을 추대했던 살란 장군을 한직으로 밀어내고, 알제리에서의 군정을 폐지하여 민간인에게 통치를 맡겼다. 또한 공군 부대 사령관에 자신의 파벌에 가까운 샤를 공군 대장을 임명했다. 그러나 현지 주둔군의 핵심 인물이었던 자크 마슈 장군은 알제 지구 행정 장관에 임명되어 주둔군의 동요를 억제했다. 1959년 1월, 드 골은 프랑스 공화국 대통령에 취임하여 즉시 긴급사태 권한을 발동했다.

1960년, 프랑스는 연초부터 아프리카 식민지의 독립을 잇따라 승인하여, 후에 “아프리카의 해”로 불리게 된다. 1월 24일, 알제리의 중심 도시 알제에서는 마슈 장군의 사단장 경질을 계기로 한 폭동 사건인 바리케이드의 1주일이 발생하여, 사태는 해결되었지만 극우 활동가들과 과격 성향의 군인들은 체포되거나 경질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드 골은 7월에 “알제리 평화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서 명확히 된 드 골의 알제리 독립 용인 방침은 알제리에서 싸우는 군인들과 프랑스 이주민들의 반발을 사서, 11월에는 프랑스 이주민들의 드 골 반대 폭동을 초래했다.

1961년 1월 8일, 프랑스와 알제리에서 실시된 알제리 독립에 관한 국민 투표에서 75%가 알제리의 민족 자결, 즉 드 골의 알제리 독립 방침을 지지했다.[164]

한편, 프랑스에서는 바리케이드의 1주일의 배후자들에 대한 재판이 진행되었지만, 피고인 대부분이 가벼운 형벌로 끝났고, 석방 후에는 많은 사람들이 지하 활동으로 전향하여 비밀 군사 조직(OAS)을 결성하고 프랑스군과 프랑스 관헌에 대해 반란을 시작했다. 그들은 알제리가 프랑스 고유의 영토라고 믿고 이 전투를 유럽 문명과 야만의 싸움으로 여겼다. OAS는 알제리와 프랑스 본토에서 프랑스 정치인들과 경찰 관료들을 살해하는 등 테러 활동을 활발히 전개했고, 1961년 9월 드 골 암살을 계획하지만 실패했다. 그러나 암살 계획 발각으로 프랑스 이주민들과 OAS에 대한 지지는 실추되었고, 프랑스 본토에서도 알제리 독립에 대한 지지가 높아졌다.

같은 해 4월, “장군들의 반란”이 발생하여, 알제리 주둔군에서 공수부대가 결의했고, OAS도 참여하여 1958년 5월의 위기와 마찬가지로 내전 직전 상황에까지 이르렀지만, 드 골 대통령의 강경한 태도와 주둔 해·공군의 이반, 그리고 혼란 속에서 사하라 사막에서 실시된 핵실험의 충격이 쿠데타에 종지부를 찍었다. 이때 프랑스 국민들은 공수부대가 본토를 기습할 것이라고 매우 두려워했다고 한다. 이 사건 이후 알제리 민족 해방군의 군사 행동은 급감했고, 프랑스군의 평정 작전은 소강 상태가 되어 군 내부의 숙청과 OAS와의 싸움에 주력했다.

같은 해 10월 17일, 파리 교외에서 알제리계 이슬람교도만을 대상으로 한 야간 외출 금지령에 대한 평화적인 항의 시위가 열려 2만 명 이상이 참가했다. 파리 경찰청장 모리스 파퐁은 경찰에게 시위 진압을 위한 발포를 허가했다. 약 1만 2000명을 체포했을 뿐만 아니라, 현장과 수용소에서 120명을 학살했다.[165]

3. 5. 드골의 정책 변화와 알제리 독립

1958년 5월 위기로 프랑스 제4공화국이 붕괴하고 샤를 드 골이 권력을 잡았다. 많은 이들이 드골이 알제리 전쟁을 종식시킬 돌파구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했다. 드골은 1958년 6월 알제리를 방문하여 "나는 당신을 이해했습니다"라고 선언하며, "프랑스 알제리 만세!"라고 외쳐 프랑스계 알제리인(피에드누아)과 군인들의 기대를 높였다. 그러나 그는 알제리 상황에 대해 비관적인 입장이었으며, 알제리 임시 정부(GPRA)나 극우파 식민지 주민("ultras")에 오염되지 않은 "제3의 세력"을 찾고자 했다.

드골은 프랑스 제5공화국의 새 헌법을 제정하고, 1958년 9월 국민투표를 통해 알제리 무슬림(여성 포함)에게도 투표권을 부여했다. 이는 FLN의 지지 감소를 야기했고, FLN은 알제리 임시 정부(GPRA)를 수립하여 국제적 승인을 얻으려 했다.

1959년 드골은 프랑스 제5공화국 대통령으로 선출된 후, 알제리 문제 해결을 위한 계획을 발표했지만, GPRA는 이를 거부하고 협상은 중단되었다. 프랑스 내에서는 프랑스 공산당을 중심으로 전쟁 반대 여론이 커졌고, 고문과 잔혹 행위에 대한 폭로로 국민들의 지지 기반이 흔들렸다.

1959년 9월, 드골은 "자결"을 언급하며 알제리 독립을 시사하는 방향으로 입장을 바꿨다. 그러나 GPRA는 프랑스가 자신들을 대표로 인정하지 않는다며 반발했다.

1960년 1월, 알제리 유럽계 자원병 부대 일부가 봉기("바리케이드의 주간")를 일으켰으나, 드골의 호소로 군대가 진압했다. 이후 OAS이 결성되어 테러 활동을 강화하며, 알제리인과 친정부 프랑스 시민 모두를 공격했다.

1961년 1월, 알제리 독립에 관한 국민투표에서 75%가 드골의 알제리 독립 방침을 지지했다.[164] 그러나 4월에는 "장군들의 반란"이 발생하여 내전 직전까지 갔으나, 드골의 강경 대응과 군 내부의 분열로 실패했다.

1962년 3월, 에비앙 협정이 체결되어 알제리 독립이 승인되고 전투가 중단되었다. 프랑스 본국에서 실시된 국민투표에서는 90% 이상이 알제리 독립을 지지했다. OAS는 테러를 강화하고 인프라 파괴를 시도했지만, 결국 패배를 인정하고 FLN과 휴전했다.

1962년 7월 알제리 독립 국민투표를 통해 알제리의 독립이 결정되었고, 벤 벨라가 초대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그러나 에비앙 협정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프랑스계 주민(피에누아)은 알제리를 떠나야 했고,[166] 프랑스 편에서 싸운 알제리인(알키)들은 보복 학살의 대상이 되었다.[167]

4. 전쟁의 결과

알제리 전쟁은 수많은 인명 피해와 난민을 발생시키고, 알제리의 독립으로 이어졌지만, 그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전쟁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자료마다 다르지만, 적게는 수십만 명에서 많게는 150만 명까지 추정된다. 알제리 측은 150만 명의 알제리인이 사망했다고 주장하는 반면,[24][105][106] 프랑스 측은 이보다 훨씬 적은 수치를 제시한다.[107][108] 프랑스 군인도 1만 7천여 명이 사망하고 6만 5천여 명이 부상당했다.[15]

전쟁의 참상은 민간인들에게도 고스란히 전해졌다. 수많은 알제리 민간인들이 프랑스군의 작전, 폭격, 그리고 자경단의 보복으로 희생되었다. 200만 명이 넘는 알제리인들이 강제 이주를 당하거나 피난길에 올랐고, 이 과정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기아, 질병 등으로 사망했다.[112]

1962년 전쟁이 끝나갈 무렵, '피에 누아르'라고 불리는 유럽계 정착민들은 알제리 민족해방전선(FLN)의 위협을 피해 대규모로 알제리를 탈출했다. 1962년 몇 달 만에 90만 명의 피에 누아르가 알제리를 떠났는데,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에서 발생한 최대 규모의 인구 이동이었다.[100]

프랑스 군대에서 복무했던 알제리 무슬림들, 즉 '하르키'들은 더욱 비극적인 운명을 맞았다. 에비앙 협정에도 불구하고, 알제리에 남은 하르키들은 반역자로 낙인찍혀 FLN과 알제리인들에게 혹독한 보복을 당했다. 프랑스 역사학자들은 5만 명에서 15만 명의 하르키와 그 가족들이 살해된 것으로 추정한다.[15]

4. 1. 알제리의 독립

1958년 5월 프랑스 위기와 샤를 드골의 대통령직 복귀는 알제리 독립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반복되는 내각 위기로 프랑스 제4공화국의 불안정성이 심화되자, 군부와 프랑스계 알제리인(피에누아르)들은 알제리의 안보가 위협받고 있다고 우려했다. 1958년 5월, 군부 쿠데타가 발생하여 샤를 드골이 국가 통합 정부 수반으로 임명되어야 한다는 요구가 거세졌다.[73]

1960년 1월 알제의 바리케이드. 현수막에는 "마수 만세(Vive Massu)"라고 적혀 있다.


드골은 알제리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했다. 그는 모든 주민들에게 "나는 당신을 이해했습니다(Je vous ai compris)"라고 선언하며,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개혁을 제안했다. 1958년 9월, 프랑스 제5공화국 헌법에 대한 국민투표가 실시되어 알제리 무슬림들도 처음으로 투표에 참여했다.

1959년, 드골은 알제리 문제를 "자결"로 해결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알제리 임시 정부(GPRA)는 이를 거부하고 협상이 중단되었다. 1960년 1월, 알제리의 유럽계 자원병 부대가 봉기를 일으켰으나, 드골은 텔레비전 연설을 통해 군대의 충성과 국민적 지지를 호소하여 봉기를 진압했다.[74]

이후, 비밀군 조직(OAS)이 결성되어 테러 활동을 강화하면서, 알제리 문제는 더욱 복잡해졌다. OAS는 알제리인과 친정부 프랑스 시민 모두를 대상으로 테러를 자행했고, 이는 협상 타결에 대한 압력을 가중시켰다.

1961년 알제리 쿠데타 시도 이후, 드골 정부는 알제리 민족해방전선(FLN)과의 비밀 평화 협상을 시작했다. 1961년 1월, 알제리 자결에 관한 국민투표가 실시되어 75%의 찬성으로 가결되었다. 1961년 5월, 에비앙레뱅에서 FLN과의 회담이 재개되었고, 1962년 3월 18일 에비앙 협정이 체결되어 휴전이 발효되었다.[77]

1962년 휴전에 관한 유니버설 뉴스릴 영상


에비앙 협정은 알제리인들에게 3년간의 법적 보호를 보장했지만, 이후에는 알제리 시민권을 선택하거나 외국인으로 분류되어야 했다. 또한, 프랑스는 알제리에 군사 기지를 유지하고 석유에 대한 특권을 갖도록 허용되었다.

OAS는 에비앙 협정을 방해하기 위해 테러 공격을 계속했지만, 1962년 4월 프랑스에서 실시된 국민투표에서 91%가 에비앙 협정을 승인했다. 1962년 7월 1일, 알제리에서 실시된 독립 투표에서 압도적인 다수가 독립에 찬성하여, 7월 3일 알제리는 독립국이 되었다.[82] 그러나, 프랑스령 알제리는 1962년 7월 5일 독립 132주년을 기념하여 알제리 독립 기념일이 되었다.

독립 이후, 대부분의 프랑스계 알제리인(피에누아르)들은 알제리를 떠나 프랑스로 이주했다. 에비앙 협정에도 불구하고 마지막 프랑스군은 1967년까지 메르 엘케비르 해군 기지에 주둔했다.[15]

4. 2. 인명 피해

알제리 전쟁으로 인한 인명 피해는 매우 컸으며, 정확한 사망자 수는 자료에 따라 차이가 있다. 알제리 측 역사학자들과 FLN은 전쟁 기간 동안 약 150만 명의 알제리인이 사망했다고 주장한다.[24][105][106] 반면, 다른 프랑스와 알제리 자료에서는 사망자 수를 약 96만 명으로 추산하기도 한다.[107][108] 프랑스 관리들과 역사들은 약 35만 명이 사망했다고 주장하지만,[107][108] 이는 많은 사람들에게 과소평가된 수치로 여겨진다.

프랑스 군 당국의 기록에 따르면, 프랑스 군인 사망자는 17,456명(사고로 인한 사망 5,966명 포함)이며, 부상자는 65,000명이다. 유럽계 민간인 사상자는 42,000건의 폭력 사건에서 1만 명을 넘었으며, 이 중 3,000명이 사망했다. 전쟁 중 프랑스 공식 통계에 따르면, 군대, 보안군, 민병대는 반군 전투원으로 추정되는 141,000명을 사살했다.[15] 그러나 이 수치에 민간인이 포함되었는지는 불분명하다.

전쟁 중 FLN 내부 숙청으로 12,000명 이상의 알제리인이 사망했고, 프랑스 내에서는 FLN과 알제리 경쟁 집단 간의 "카페 전쟁"으로 5,000명이 추가로 사망했다. 프랑스 자료에서는 FLN에 의해 7만 명의 무슬림 민간인이 살해되었거나 납치되어 사망한 것으로 추정한다.[15]

마틴 에반스는 질베르 메이니에를 인용하여 최소 55,000명에서 최대 60,000명의 하르키가 아닌 알제리 민간인이 전쟁 중에 사망했다고 언급했지만, 누가 살해했는지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21] 루돌프 럼멜은 프랑스의 탄압으로 인한 사망자를 최소 10만 명[22]으로 추산하고, 알제리 독립 투사들이 저지른 추가적인 5만 명에서 15만 명의 인명 학살을 추산했다.[23] 1945년 세티프와 겔마 학살에서는 6,000명에서 2만 명의 알제리인이 사망했는데,[56] 일부 역사가들은 이를 전쟁의 원인으로 간주한다.[109]

알리스테어 혼은 8년 동안 알제리 사상자 수를 약 100만 명으로 추산했다.[110][111] 프랑스군의 대규모 수색 작전, 폭격, 자경단 보복으로 수많은 무슬림 민간인이 사망했다. 전쟁으로 인해 200만 명이 넘는 알제리인이 삶의 터전을 잃고 프랑스 수용소로 이주하거나 알제리 오지로 도망쳤으며, 그곳에서 수천 명이 기아, 질병, 노출로 사망했다. 한 자료에 따르면 수용소 안팎에서 30만 명의 알제리 민간인이 기아, 약탈, 질병으로 사망했다고 한다.[112]

독립 후 FLN이 결산을 할 때, 많은 수의 하르키가 살해되었는데,[6] 알제리에서 3만 명에서 15만 명이 사망했다.[15]

4. 3. 피에 누아르와 하르키의 운명

1962년 알제리 전쟁 종전 당시, 알제리에는 피에 누아르라고 불리는 유럽계 정착민들과 프랑스를 지지한 알제리인, 즉 하르키들이 있었다. 피에 누아르는 "검은 발"이라는 뜻으로,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등에서 이주해 온 유럽계 기독교인들과 토착 유대인들을 포함했다. 1959년 기준 피에 누아르는 102만 5천 명으로 알제리 전체 인구의 10.4%를 차지했다.[100]

FLN(알제리 민족해방전선)은 이들에게 "여행 가방 아니면 관(La valise ou le cercueil)"이라는 경고를 보냈고,[100] 전쟁이 끝나갈 무렵, 피에 누아르들은 대규모로 알제리를 탈출하기 시작했다. 1962년 몇 달 만에 90만 명의 피에 누아르가 알제리를 떠났으며,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으로의 최대 인구 이동이었다.[100] 프랑스 정부는 이들의 이주를 예상하지 못해, 많은 피에 누아르들이 프랑스 도착 후 어려움을 겪었다.[100] 일부는 떠나기 전 재산을 파괴하기도 했지만, 대부분은 그대로 남겨둔 채 떠났다.[100] 약 10만 명의 피에 누아르가 알제리에 남았지만, 오랑 학살 등 지속적인 적대 행위로 인해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걸쳐 대부분 알제리를 떠났다.[100]

제복을 입은 젊은 하르키, 1961년 여름


하르키는 프랑스 군대에서 복무한 알제리 무슬림들을 지칭하는 용어로, 1962년 프랑스군에는 23만 6천 명의 알제리 무슬림이 복무하고 있었다.[101][102] 이들은 FLN보다 4배나 많은 숫자였다.[101][102] 가족까지 포함하면 최대 100만 명에 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01][102]

에비앙 협정에도 불구하고, 약 9만 명의 하르키가 프랑스로 피신했다.[103] 그러나 알제리에 남은 하르키들은 FLN과 알제리인들에게 반역자로 여겨져 심한 보복을 당했다. 프랑스 역사학자들은 5만 명에서 15만 명의 하르키와 그 가족들이 살해당한 것으로 추정한다.[15]

드골은 에비앙 협정을 통해 피에 누아르가 알제리에 남을 수 있도록 약속했지만, 독립 이후 FLN은 이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166] 결국 대부분의 피에 누아르는 알제리를 떠나 프랑스로 이주해야 했다.[166] 프랑스 편에서 싸운 하르키들 역시 보복의 대상이 되어 많은 수가 살해되거나 프랑스로 망명해야 했다.[167]

5. 전후 알제리와 프랑스

알제리 독립 이후, 알제리와 프랑스 양국은 각각 정치적, 사회적으로 복잡한 상황을 겪었다.

알제리에서는 아흐메드 벤 벨라가 권력을 잡고 일당 체제를 구축했으며, 1990년대에는 격렬한 알제리 내전이 발발했다. 독립 전쟁의 유산은 알제리 정치에 깊은 영향을 미쳤는데, 한때 프랑스 식민 지배에 맞서 사용했던 무력 사용의 정당화는 알제리인들 사이의 갈등에도 적용되었다.[113] 또한, 알제리의 공교육에서는 프랑스에 대한 영웅적인 투쟁을 강조하여 반프랑스 감정을 유발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170]

프랑스에서는 알제리 전쟁의 여파로 비밀 군사 조직(OAS)의 테러 활동이 발생했고, 1961년에는 장군들의 반란이 일어나 내전 직전까지 가는 상황이 벌어졌다. 프랑스 정부는 알제리 전쟁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고 "망각 정책"을 펼쳤지만, 1990년대 이후 "기억의 의무" 운동이 일어나면서 전쟁의 진실이 드러나기 시작했다.[165] 2005년에는 식민 지배를 정당화하는 법률이 제정되었다가 폐지되기도 했다.

2000년대 이후, 프랑스 정부는 알제리 전쟁 당시의 고문과 학살에 대해 인정하고 사과하는 모습을 보였다. 2018년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은 알제리 독립운동가 모리스 오당의 부인을 방문하여 사과하고 관련 자료 공개 의향을 밝혔다.[168] 2021년에는 프랑스군에 협력한 알제리인(하르키)에 대한 과거 처우를 사과하고, 파리 경찰청의 알제리인 학살을 "용서할 수 없는 범죄"라고 언급했다.[169],[165]

5. 1. 알제리의 정치 상황

아흐메드 벤 벨라는 알제리가 독립한 후 빠르게 인기를 얻으며 권력을 강화했다. 1962년 6월, 그는 총리 벤유세프 벤 케다의 지도력에 도전했고, 이는 FLN 내 그의 라이벌들 사이에 여러 분쟁을 야기했지만, 벤 벨라의 급증하는 지지, 특히 군부 내 지지로 인해 신속히 진압되었다.[113] 1962년 9월, 벤 벨라는 사실상 알제리를 장악했고, 9월 20일 편향적인 선거에서 총리로 선출되었으며, 9월 29일 미국에 의해 인정받았다. 1962년 10월 8일, 알제리는 109번째 유엔 회원국으로 가입했다.[113] 이후 벤 벨라는 알제리가 세계 정치에서 중립적 입장을 취할 것이라고 선언했고, 일주일 만에 미국 대통령 존 F. 케네디를 만나 알제리에 대한 더 많은 원조를 요청했으며, 피델 카스트로와 함께 관타나모 만 철수 요구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벤 벨라는 알제리로 돌아와 프랑스가 그곳의 기지에서 철수할 것을 요청했다. 1962년 11월, 그의 정부는 FLN만이 공개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정당을 금지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1965년 벤 벨라는 후아리 부메디엔에 의해 축출되어 가택 연금에 처해졌고, 이후 망명했다. 부메디엔은 1978년 사망할 때까지 대통령직을 수행했다. 알제리는 1990년대 격렬한 내전이 발발할 때까지 일당 체제였지만 안정을 유지했다.[113]

많은 알제리 정치 세력에게 독립 전쟁의 유산은 정당하다고 여겨지는 목표 달성을 위한 무제한적인 무력 사용을 정당화하거나 심지어 신성화하는 것이었다. 한때 외국 식민지배 세력에게 사용되었던 원칙은 비교적 쉽게 동료 알제리인들에게도 적용될 수 있었다.[113] FLN의 식민 지배 타도 투쟁과 그 투쟁에서 양측이 보여준 무자비함은 30년 후 FLN 정부와 이슬람 반대파 사이의 갈등의 열정, 결의, 잔혹함을 반영했다. 미국의 저널리스트 아담 샤츠는 1962년 본질적으로 세속적인 국가를 건설하기 위해 FLN이 프랑스에 대해 사용했던 "정치의 군사화, 이슬람을 결집의 구호로 사용, 지하드의 숭고화"와 같은 많은 방법들이 1990년대 FLN 정권을 전복하려는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에 의해 사용되었다고 썼다.[73] 알제리의 공교육에서는 프랑스 측의 잔혹한 탄압을 증언하는 증언자들이 학교를 순회하는 등, 침략국에 대한 영웅적인 투쟁을 거쳐 쟁취한 독립임을 강조하기 때문에, 반프랑스 감정의 요인이 되고 있다.[170]

5. 2. 프랑스의 알제리 전쟁 반성과 논쟁

1960년 1월, 알제리의 중심 도시 알제에서 자크 마슈 장군의 사단장 경질을 계기로 발생한 폭동 사건은 '바리케이드의 1주일'이라 불린다. 이 사건으로 극우 활동가들과 과격 성향의 군인들은 체포되거나 경질되었다. --

이러한 상황에서 샤를 드 골은 7월에 “알제리 평화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서 명확히 된 드골의 알제리 독립 용인 방침은 알제리에서 싸우는 군인들과 프랑스 이주민들의 반발을 사서, 11월에는 프랑스 이주민들의 드 골 반대 폭동을 초래했다.

1961년 1월 8일, 프랑스와 알제리에서 실시된 알제리 독립에 관한 국민 투표에서 75%가 알제리의 민족 자결, 즉 드 골의 알제리 독립 방침을 지지했다.[164]

한편, 프랑스에서는 '바리케이드의 1주일' 배후자들에 대한 재판이 진행되었지만, 피고인 대부분이 가벼운 형벌로 끝났고, 석방 후에는 많은 사람들이 지하 활동으로 전향하여 비밀 군사 조직(OAS)을 결성하고 프랑스군과 프랑스 관헌에 대해 반란을 시작했다. 그들은 알제리가 프랑스 고유의 영토라고 믿고 이 전투를 유럽 문명과 야만의 싸움으로 여겼다. OAS는 알제리와 프랑스 본토에서 프랑스 정치인들과 경찰 관료들을 살해하는 등 테러 활동을 활발히 전개했고, 1961년 9월 드 골 암살을 계획했지만 실패했다. 그러나 암살 계획 발각으로 프랑스 이주민들과 OAS에 대한 지지는 실추되었고, 프랑스 본토에서도 알제리 독립에 대한 지지가 높아졌다.

같은 해 4월, “장군들의 반란”이 발생하여, 알제리 주둔군에서 공수부대가 결의했고, OAS도 참여하여 1958년 5월의 위기와 마찬가지로 내전 직전 상황에까지 이르렀지만, 드 골 대통령의 강경한 태도와 주둔 해·공군의 이반, 그리고 혼란 속에서 사하라 사막에서 실시된 핵실험(제르보아즈 블루)의 충격이 쿠데타에 종지부를 찍었다. 이때 프랑스 국민들은 공수부대가 본토를 기습할 것이라고 매우 두려워했다고 한다. 이 사건 이후 알제리 민족 해방군의 군사 행동은 급감했고, 프랑스군의 평정 작전은 소강 상태가 되어 군 내부의 숙청과 OAS와의 싸움에 주력했다.

같은 해 10월 17일, 파리 교외에서 알제리계 이슬람교도만을 대상으로 한 야간 외출 금지령에 대한 평화적인 항의 시위가 열려 2만 명 이상이 참가했다. 파리 경찰청장 모리스 파퐁은 경찰에게 시위 진압을 위한 발포를 허가했다. 약 1만 2000명을 체포했을 뿐만 아니라, 현장과 수용소에서 120명을 학살했다.[165]

프랑스 정부는 “망각 정책”을 펼쳐 알제리 전쟁 관련 보도를 규제하고 과거의 오점으로 잊으려 했다. 알제리에서의 군사 행동은 공식적으로 전쟁이 아닌 국내 “치안 유지 활동”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에, 전쟁에서 사망한 약 2만 5천 명의 프랑스 군인을 추모하는 기념비는 수십 년 동안 건설되지 않았고, 국방부는 1970년대까지 퇴역 군인을 퇴역 군인으로 분류하는 것을 거부했다. 1977년 알제리 전쟁 무명용사 기념비가 세워졌을 때, 프랑스의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 대통령은 헌정식 연설에서 전쟁이나 알제리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을 거부하고, 대신 “북아프리카 무명용사”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그러나 1990년대에 들어서 “기억의 의무” 운동이 일어나면서 알제리 전쟁 기록이 매스미디어에 보도되기 시작했다. 고문과 테러 등 비인도적인 문제가 자주 거론되었고, 이에 피에 누아르(Pieds-Noirs)의 항의 활동이 활발해졌다. 2005년 2월에는 식민 지배를 정당화하는 내용이 포함된 “프랑스인 귀환자에 대한 국가의 감사 및 국가의 부담에 관한 2005년 2월 23일 법률 제2005-158호''(프랑스어판)''을 제정했지만, 프랑스령 안틸 제도와 알제리로부터 맹렬한 반발을 불러일으켜, 1년 후에는 “해외, 특히 북아프리카에서 프랑스의 긍정적인 역할을 가르치는 것”을 의무화한 4조가 폐지되었다.

2001년에는 알제리 주둔 프랑스군 사령관 중 한 명이었던 폴 오사레스 장군이 알제리 전쟁 회고록을 출판했다. 포로의 즉결 처형과, 해방전선 지지자로 의심되는 시민과 활동가에 대한 고문과 살해가 빈번했던, 자신이 지휘했던 당시의 생생한 대테러 작전 실태를 폭로했다. 오사레스의 저술 태도는 그러한 행위를 반성하는 것이 아니라, 군인으로서의 임무 수행으로 긍정하는 것이었다. 오사레스는 한때 수여받았던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프랑스 정부에 의해 박탈당했다.

2014년, 저널리스트 장 샤를 드니오가 전쟁 중 모리스 오당 등 독립운동가들이 프랑스군의 고문으로 살해되었고, 그것이 프랑스군의 명령이었다는 것을 밝힌 내용의 책을 출판했다. 2018년, 프랑스 대통령 에마뉘엘 마크롱은 모리스의 부인을 방문하여 사과하고, 전쟁 중 실종된 프랑스와 알제리 민간인, 군인에 대한 자료를 공개할 의향을 밝혔다.[168]

2021년 9월, 마크롱 대통령은 프랑스군에 협력한 알제리인 군인(하르키)의 과거 처우에 언급했다. 보호를 약속하고도 알제리에 버려두는 등의 냉대를 사과했다.[169] 알제리에 남겨진 하르키는 학살당했고, 프랑스로 탈출할 수 있었던 하르키와 그 가족들도 프랑스인들에게는 “더러운 아랍인”으로, 하르키가 아닌 알제리계 이민자들에게는 배신자로 이중의 차별을 받고 있다.[167] 마크롱 대통령은 1961년 10월 17일에 발생한 파리 경찰청의 알제리인 학살 추도식에도 2021년 10월 16일에 대통령으로서 처음 참석하여 “용서할 수 없는 범죄”라고 말했다.[165]

6. 알제리 전쟁의 국제적 영향

알제리 전쟁은 단순한 식민지 독립 전쟁을 넘어 국제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알제리 국민해방전선(FLN)은 군사적 열세를 극복하고자 전쟁 초기부터 외교적, 정치적 노력을 병행했다. 이들은 냉전 시기 미국소련 양 진영의 대립을 이용하고, 제3세계 국가들의 지지를 얻어 국제 여론을 유리하게 만들었다.[85]

1955년 반둥 회의에서 FLN이 알제리 대표로 인정받고,[89] 제3세계 국가들이 유엔 총회에서 알제리 문제를 제기하면서,[90] 프랑스는 국제적으로 고립되었다. 알제 전투 이후 FLN은 중국소련의 지원을 받아 알제리 국민해방군(ALN)을 재건하고,[90] 1958년 알제리 공화국 임시 정부(PGAR)를 수립하여 프랑스와의 협상을 주도했다.[131]

이러한 FLN의 국제화 전략은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와 아프리카 민족 회의(ANC) 등 다른 독립운동 단체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89]

6. 1. 탈식민주의 운동 강화

1954년 프랑스령 알제리에 관한 영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무슬림과 유럽계 알제리인 모두 프랑스를 위해 참전했다. 알제리 무슬림들은 티라유르Tirailleurs|티라외르프랑스어와 스파히로 복무했고, 프랑스 정착민들은 주아브 또는 아프리카 사냥꾼으로 복무했다.[53] 1918년 우드로 윌슨 미국 대통령은 14개 조항에서 "주권에 관한 모든 문제를 결정할 때, 관련 인구의 이익이 결정될 권리가 있는 정부의 공정한 청구와 동등한 무게를 가져야 한다는 원칙"을 언급하며 식민지 문제의 공정한 조정을 주장했다.[54] 이러한 배경에서 일부 알제리 지식인들은 독립에 대한 열망을 키우기 시작했다.[54]

아브드 엘 카데르의 손자인 칼리드 이븐 하심은 20세기 초 프랑스에 대한 저항을 이끌었고, 프랑스 공산당 지도위원회 위원이었다. 그는 1926년 "북아프리카 별(Étoile Nord-Africaine)"을 설립했고, 메살리 하지는 이듬해 합류했다.[55] 북아프리카 별은 1928년 공산당에서 탈퇴했고, 1929년 해산되었다. 1936년 인민전선은 소수 무슬림에게 프랑스 시민권을 부여하는 블룸-비올레 제안을 했지만, 유럽계 알제리인과 북아프리카당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1937년 독립 지지 정당이 해산되고 지도자들이 기소되자, 메살리 하지는 알제리 인민당(Parti du peuple algérien, PPA)을 설립하여 완전한 독립이 아닌 광범위한 자치를 주장했다. 이 정당은 1939년 해산되었다.

한편, 민족주의 지도자 페르하트 아바스1938년 알제리 인민연합(Union populaire algérienne)을 설립하고, 1943년 알제리 인민 선언(Manifeste du peuple algérien)을 작성했다. 1945년 5월 8일 세티프와 겔마 학살에서 프랑스군과 폭도들이 수천 명의 알제리인을 살해한 후, 아바스는 체포되었다.[56][15] 1946년 그는 알제리 선언 민주 연합(UDMA)을 설립하고 국회의원으로 선출되었다. 1954년 설립된 알제리 국민해방전선(FLN)은 무장 부대인 알제리 국민해방군(Armée de Libération Nationale, ALN)을 창설하여 프랑스에 맞섰다. 프랑스군에서 복무했던 많은 알제리 군인들은 베트남에서 프랑스에 맞서 싸우는 사람들에게 동정심을 느껴 ALN을 지원했다.[57][58]

프랑스는 인도차이나를 잃은 직후였기 때문에, 특히 프랑스 법에 따라 본토의 일부로 간주되던 알제리에서 다음 식민지 전쟁을 잃지 않으려 했다.[59] 전쟁 초기, 알제리 측은 군사적 열세를 정치적, 외교적 투쟁으로 만회해야 했다.[84]

1954년 11월 1일, FLN은 프랑스군과 군사 시설을 공격하고 알제리인들에게 혁명 참여를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하며 봉기를 시작했다. 초기 공세는 제한적인 영향만 미쳤고 프랑스 언론에서도 거의 보도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프랑스 내무장관 프랑수아 미테랑은 알제리에 병력을 파병했다. FLN은 전쟁 초기 군사적으로 약했고, 동맹인 ALN도 장비와 훈련이 부족했다. 민족주의 세력은 내부 분열에도 시달렸다.

FLN은 대규모 전쟁을 피하고 프랑스와 세계 여론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정치적, 외교적으로 호소하여 갈등을 국제화하는 전략을 개발했다.[85] 프랑스는 갈등을 내부 문제로 유지하려 했지만, FLN은 냉전의 긴장과 제3세계의 등장을 이용하여 국제적 지지를 얻었다.

FLN은 미국소련 사이의 긴장을 이용하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탈식민화 물결 속에서 탄생한 신생 국가들의 지지를 기대했다. 1945년 유엔 회원국은 51개국이었지만, 1965년에는 117개국으로 증가하여 권력 균형이 바뀌었고, 탈식민화된 국가들이 큰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이들 국가는 제3세계 운동의 일원으로서 식민주의에 반대하며 FLN을 지지했다.[87] 1955년 반둥 회의는 FLN을 알제리 대표 세력으로 인정했고,[89] 제3세계 국가들은 유엔 총회에서 알제리 문제를 제기했다.[90]

알제 전투 이후 FLN이 약화되자, 중국의 재정 및 군사적 지원으로 ALN을 재건했다.[90] 소련은 중국과 경쟁하며 알제리 반란에 대한 지원을 강화했고, 미국도 이에 반응했다.[90] 1958년 알제리 공화국 임시 정부(PGAR)가 수립되어 프랑스와 협상할 대표를 임명했다.[131] 3년간의 협상 끝에 에비앙 협정이 체결되었다. 이러한 국제화 전략은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와 아프리카 민족 회의(ANC) 같은 다른 혁명 단체의 모범이 되었다.[89]

6. 2. 냉전 구도 속의 알제리 전쟁



무슬림과 유럽계 알제리인 모두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프랑스를 위해 싸웠다. 알제리 무슬림들은 티라유르[53] 및 스파히로, 프랑스 정착민들은 주브 또는 아프리카 사냥꾼으로 복무했다. 미국우드로 윌슨 대통령은 1918년 14개 조항에서 "주권에 관한 모든 문제를 결정할 때, 관련 인구의 이익이 결정될 권리가 있는 정부의 공정한 청구와 동등한 무게를 가져야 한다는 원칙을 엄격하게 준수하는 것을 기반으로 모든 식민지 청구에 대한 자유롭고, 개방적이며, 절대적으로 공정한 조정"이라고 명시했다.[54] 일부 알제리 지식인들은 "울레마"라고 불리며 독립, 또는 최소한 자치와 자치권에 대한 열망을 키우기 시작했다.[54]

이러한 맥락에서 아브드엘카디르의 손자인 칼리드 이븐 하심은 20세기 전반기에 프랑스에 대한 저항을 주도했으며 프랑스 공산당 지도위원회의 일원이었다. 그는 1926년에 "북아프리카 별(Étoile Nord-Africaine)"을 설립했고, 공산당과 그 산하 노동조합인 CGTU의 일원이었던 메살리 하지는 이듬해에 합류했다.[55]

북아프리카 별은 1928년에 공산당에서 탈퇴했고, 1929년에 파리의 요구로 해산되었다. 알제리 인구의 불만이 커짐에 따라 프랑스 제3공화국(1871~1940)은 일부 요구를 인정했고, 인민전선은 1936년에 블룸-비올레 제안을 시작했는데, 이는 소수의 무슬림에게 프랑스 시민권을 부여함으로써 원주민법을 개정하려는 것이었다. 유럽계 알제리인인 피에드누아르는 이에 대해 격렬하게 시위를 벌였고, 북아프리카당도 이에 반대하여 제안은 폐기되었다. 독립 지지 정당은 1937년에 해산되었고, 지도자들은 해산된 연맹을 불법적으로 재결성한 혐의로 기소되어 메살리 하지는 1937년에 완전한 독립이 아닌 광범위한 자치만을 주장하는 알제리 인민당(Parti du peuple algérien, PPA)을 설립했고, 이 새로운 정당은 1939년에 해산되었다.

한편, 민족주의 지도자 페르하트 아바스는 1938년에 알제리 인민연합(Union populaire algérienne)을 설립했다. 1943년에 아바스는 알제리 인민 선언(Manifeste du peuple algérien)을 작성했다. 1945년 5월 8일 세티프와 겔마 학살 당시 프랑스군과 피에드누아르 폭도들이 6,000명에서 30,000명의 알제리인을 살해한 후[56][15] 아바스는 1946년에 알제리 선언 민주 연합(UDMA)을 설립하고 국회의원으로 선출되었다. 1954년에 설립된 알제리 국민해방전선(FLN)은 프랑스 당국에 맞서 무장 투쟁을 벌이기 위해 무장 부대인 알제리 국민해방군(ALN)을 창설했다. 프랑스군에서 복무한 많은 알제리 군인들은 프랑스에 맞서 싸우는 베트남인에게 강한 동정심을 가지고 있었고, 그들의 경험을 이용하여 ALN을 지원했다.[57][58]

프랑스는 방금 인도차이나를 잃었기 때문에, 특히 프랑스 법에 따라 식민지(가 아니라) 프랑스 본토의 일부로 간주되었던 가장 오래되고 가까운 주요 식민지에서 다음 식민지 전쟁을 잃지 않으려고 했다.[59] 전쟁 초기에 알제리 측에서는 군사적 열세를 정치적, 외교적 투쟁으로 만회해야 했다. 당시 프랑스와 알제리 국민해방전선(FLN) 간의 비대칭 전쟁에서 승리는 매우 어려워 보였다.[84]

알제리 혁명은 1954년 11월 1일 봉기로 시작되었는데, FLN은 프랑스군과 군사 기반 시설에 대한 일련의 공격을 조직하고 알제리인들에게 혁명에 참여할 것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 초기 공세는 제한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프랑스 언론에서는 거의 보도되지 않았다. 봉기는 거의 수그러들었으나, 프랑스 내무장관 프랑수아 미테랑은 알제리에 600명의 병력을 파병했다.

FLN은 전쟁 초기에 군사적으로 약했다. 1954년에 창설된 FLN은 구성원이 적었고, 동맹인 ALN 또한 3,000명의 장비와 훈련이 부족한 병력으로 프랑스군과 경쟁할 수 없을 정도로 열악했다. 민족주의 세력은 내부 분열에도 시달렸다.

1954년 성명서에서 선포된 대로, FLN은 대규모 전쟁을 피하고 프랑스와 세계 여론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정치적, 외교적으로 호소하여 갈등을 국제화하는 전략을 개발했다.[85] 알제리는 프랑스 본토의 일부로 공식적으로 편입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정치적 측면은 알제리에서 FLN의 정당성을 강화하는 데 더욱 중요했다. 프랑스의 대응 전략은 갈등을 내부적이고 순수하게 프랑스 내부 문제로 유지하여 해외 이미지를 유지하는 것이었다. FLN은 성공했고, 갈등은 급속히 국제화되어 냉전의 긴장과 제3세계의 등장과 얽히게 되었다.

FLN은 미국이 주도하는 서방 진영과 소련이 주도하는 공산권 사이의 긴장을 이용했다. FLN은 공산주의자들로부터 물질적 지원을 구하면서 미국이 알제리의 독립을 지지하여 이 나라를 서방 진영에 붙잡아 두도록 유도했다. 또한 FLN은 프랑스와 미국 간, 그리고 소련과 마오쩌둥의 중국 간을 포함한 각 진영 내의 긴장을 이용했다. 일반적으로 식민화에 반대했던 미국은 프랑스가 알제리에 독립을 허용하도록 압력을 가할 만한 모든 이유가 있었다.[86]

FLN은 제3세계의 지원을 기대할 수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탈식민화의 물결 속에서 많은 신생 국가가 탄생했다. 1945년에는 유엔에 51개국이 있었지만, 1965년에는 117개국으로 증가했다. 이는 유엔의 권력 균형을 뒤엎었고, 최근 탈식민화된 국가들이 이제 다수를 차지하며 큰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대부분의 신생 국가는 제3세계 운동의 일원이었고, 양극화된 세계에서 제3의 비동맹 노선을 선포하고 민족 갱신과 근대화를 위해 식민주의에 반대했다.[87] 그들은 알제리 갈등에 우려를 표명하고 국제 무대에서 FLN을 지지했다. 1954년 최초의 봉기 후 며칠 만에 유고슬라비아(제3세계 국가) 라디오가 알제리의 투쟁을 공개적으로 지지하기 시작했다.[88] 1955년 반둥 회의는 국제적으로 FLN을 알제리를 대표하는 세력으로 인정했다.[89] 제3세계 국가들은 유엔 총회에서 알제리 갈등을 제기했다.[90] 프랑스 정부는 점점 더 고립되어 갔다.

알제 전투 이후 FLN이 크게 약화되자 해외로부터의 보다 직접적인 지원을 받아들여야 했다. 중국으로부터의 재정 및 군사적 지원은 ALN을 2만 명으로 재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90] 소련은 중국과 경쟁했고, 흐루쇼프는 알제리 반란에 대한 도덕적 지원을 강화했는데, 이는 미국으로 하여금 반응하게 만들었다.[90] 1958년, 알제리 공화국 임시 정부(PGAR)가 수립되어 프랑스와 협상할 공식 대표를 임명했다.[131] 긴장된 협상은 3년간 지속되었고, 결국 알제리에 유리하게 돌아갔다. PGAR은 제3세계와 공산권의 지지를 받았지만, 프랑스는 동맹국이 거의 없었다. 유엔, 미국, 그리고 전쟁에 지친 대중의 압력 아래, 프랑스는 결국 에비앙 협정에서 양보했다. 매슈 코넬리에 따르면, 이러한 국제화 전략은 야세르 아라파트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와 넬슨 만델라의 아프리카 민족 회의(ANC)와 같은 다른 혁명 단체의 모범이 되었다.[89]

7. 알제리 전쟁과 여성



FLN 여성 폭탄 테러범들


알제리 전쟁에서 여성들은 국가해방전선(FLN)을 지원하거나 프랑스 측에 가담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전쟁에 참여했다. 이들은 전투원, 간호사, 정보원 등 여러 역할을 수행했다.[91][92][93] 또한, 전쟁 중 프랑스군에 의한 고문과 성폭력,[117][118][120][121][122] FLN에 의한 잔혹 행위[15][145] 등 여성에 대한 폭력도 광범위하게 발생했다.

7. 1. 여성의 다양한 역할



알제리 전쟁에서 여성들은 다양한 역할을 수행했다. 대다수의 무슬림 여성들은 국가해방전선(FLN) 편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프랑스 측에도 무슬림 여성과 프랑스 여성이 일부 참여했지만, 알제리 측 여성들만큼 완전히 통합되지 않았고, 맡은 임무의 범위도 좁았다. 전후 참전 용사 등록에 따르면, 분쟁에 참여한 여성의 총수는 1만 1천 명이었지만, 신고 누락으로 인해 실제 수는 더 많았을 가능성이 있다.[91]

도시 여성과 농촌 여성의 혁명 참여 경험은 크게 달랐다. 전체 병력의 약 20%를 차지하는 도시 여성들은 어느 정도 교육을 받았고, 대개 자발적으로 FLN에 가담했다.[92] 반면, 나머지 80%를 차지하는 대부분 문맹인 농촌 여성들은 FLN 작전 지역과의 지리적 근접성 때문에 강제로 분쟁에 휘말리는 경우가 많았다.[92]

여성들은 반란 과정에서 여러 분야에서 활동했다. 여성들은 전투원, 스파이, 자금 모금가, 간호사, 세탁부, 요리사로 적극 참여했고,[93] 수송, 통신, 행정과 같은 분야에서 남성 전투 부대를 지원했다.[91] 여성의 참여 범위는 전투원과 비전투원 역할 모두를 포함했다. 에블린 사피르 라발레트(Eveline Safir Lavalette)는 FLN의 지하 신문을 배포하는 등 혁명에 크게 기여했다. 대부분 여성의 임무는 비전투적이었지만, 덜 빈번하지만 폭력적인 행위가 더 주목을 받았다. "마키(게릴라) 농촌 지역 지원 네트워크"[94]에 참여한 대다수는 농촌 여성이었고, 여성 전투원은 소수였다.

알제리 여성 혁명가들이 관련된 가장 유명한 사건은 1956년 밀크 바 카페 폭탄 테러였다. 조흐라 드리프(Zohra Drif)와 야세프 사아디는 알제리 모리타니아 건물의 에어 프랑스 사무실(폭발하지 않음),[95] 뤼 미셸레 거리의 카페테리아, 밀크 바 카페에 폭탄 3개를 설치했다. 이 폭탄 테러로 젊은 여성 3명이 사망하고 여러 명의 성인과 어린이가 부상을 입었다.[96] 알제리 공산당 당원 레이몽드 페슈아르(Raymonde Peschard)는 처음에 폭탄 테러 공범으로 고발되어 식민 당국으로부터 도망쳐야 했다.[97] 1957년 9월 드리프와 사아디는 체포되어 바르바로사 감옥에서 징역 20년을 선고받았다.[98] 드리프는 1962년 알제리 독립 기념일에 샤를 드골의 사면을 받았다.[99]

7. 2. 여성에 대한 폭력

알제리 전쟁 당시 여성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폭력에 노출되었다.

프랑스군은 알제리 여성들을 대상으로 강간,[117] 임산부 내장 파열,[118] 생매장 등 잔혹한 고문을 자행했다.[120][121][122] 고문 방법에는 구타, 훼손, 화상, 발이나 손으로 매달기, 전기 충격 고문, 워터보딩, 수면 박탈 및 성폭행 등이 포함되었다.[116][119][123][124][125]

1961년, 프랑스군이 전기 고문을 가하는 동안 두 개의 타이어가 용기로 사용된 알제리인의 물속 침수 고문


자밀라 부파샤는 1960년 알제의 한 카페를 폭파하려다 체포된 23세의 알제리 여성으로, 고문과 강간을 통해 자백을 강요당했다.[129] 이 사건은 시몬 드 보부아르와 지젤 알리미에 의해 폭로되어 프랑스 여론에 큰 영향을 미쳤다.[129]

알제리 민족해방전선(FLN)은 공포의 수단으로 목을 베고 머리를 자르는 행위를 흔히 사용했으며,[15] 프랑스의 탄압에 대한 집단적 보복으로 더욱 과격한 일부는 유럽인 주민을 강간하고 내장을 파헤치고, 어린이를 살해하는 등의 잔혹 행위를 저질렀다.[145] 알-할리아(Al-Halia) 마을에서는 극단적인 사례가 발생하여 유럽인 주민 중 일부가 강간당하고 내장이 파헤쳐졌으며, 어린이들은 목이 잘리거나 머리가 벽에 부딪혀 살해당했다.[145]

프랑스는 40년 동안 고문 사용을 부인하거나 축소해 왔지만, 결국 고문의 역사를 인정했다.[156] 그러나 고문을 전쟁 중 발생한 고립된 행위로 주장하며 책임을 회피했다.[156] 폴 오사레스 장군은 고문 사용을 정당화한 것에 대해 "전쟁범죄 변호"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156]

8. 역사적 유산과 논쟁

프랑스 북아프리카 작전 훈장, 1958년 1월 11일


30년간 폐쇄되었던 외무부 기록보관소가 개방되면서 장-샤를 조프레의 ''La Guerre d'Algérie par les documents|문서로 보는 알제리 전쟁프랑스어''을 포함한 새로운 역사 연구가 가능해졌지만, 여전히 많은 자료가 접근 불가능한 상태이다.[151] 1999년 국민의회에서 알제리 전쟁을 인정하면서 프랑스 학교 교육과정에 포함되었다. 프랑스에서는 전쟁이 진행되는 동안 "''La Guerre sans nom|이름 없는 전쟁프랑스어''"으로 알려졌다. 프랑스 정부는 전쟁을 "알제리 사태", "알제리 문제", "알제리 분쟁" 등으로 다양하게 불렀고, 프랑스군의 임무는 "치안 유지", "질서 유지", "평화 유지"였지만 전쟁을 수행한다고는 결코 묘사하지 않았다. FLN은 "범죄자", "강도", "무법자", "테러리스트", "''fellagha|펠라가ar''" 등으로 불렸다.[146] 1956~57년 프랑스군의 광범위한 고문 사용 보고서가 프랑스에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전쟁은 ''La sale guerre|더러운 전쟁프랑스어''으로 불리게 되었고, 이 용어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되며 프랑스에서 전쟁에 대한 매우 부정적인 기억을 반영한다.[146]

8. 1. 역사적 평가와 기억의 문제

30년간의 폐쇄 끝에 외무부 기록보관소가 개방되면서 장-샤를 조프레(Jean-Charles Jauffret)의 저서 ''La Guerre d'Algérie par les documents|문서로 보는 알제리 전쟁프랑스어''을 포함한 전쟁에 대한 새로운 역사 연구가 가능해졌지만, 여전히 많은 자료들이 접근 불가능한 상태이다.[151] 1999년 국민의회의 인정으로 알제리 전쟁이 프랑스 학교의 교육과정에 포함되었다. 프랑스에서는 전쟁이 진행되는 동안 "La Guerre sans nom|이름 없는 전쟁프랑스어"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전쟁을 "알제리 사태", "알제리 문제", "알제리 분쟁" 등으로 다양하게 묘사했으며, 프랑스군의 임무는 "치안 유지", "질서 유지", "평화 유지"였지만 전쟁을 수행한다고는 결코 묘사하지 않았다. FLN은 "범죄자", "강도", "무법자", "테러리스트", "fellagha|펠라가ar" (FLN의 흔한 처형 방식을 가리키는 "도로 절단자"라는 모욕적인 아랍어 단어이지만, 종종 "목 베는 자"로 잘못 번역됨. 목을 베고 혀를 뽑아 피를 흘려 죽이는 FLN의 흔한 처형 방식 때문에 사람들은 "카빌리안 미소"를 짓게 되었다.)로 불렸다.[146] 1956~57년 프랑스군의 광범위한 고문 사용 보고서가 프랑스에 도달하기 시작하면서 전쟁은 일반적으로 "La sale guerre|더러운 전쟁프랑스어"으로 알려지게 되었고, 이 용어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되며 프랑스에서 전쟁에 대한 매우 부정적인 기억을 반영한다.[146]

전쟁이 공식적으로 "경찰 작전"이었기 때문에, 약 2만 5천 명에 달하는 전사한 프랑스 군인들을 기리는 기념비는 수십 년 동안 건설되지 않았고, 국방부는 1970년대까지 참전 용사들을 참전 용사로 분류하는 것을 거부했다.[64] 1977년 알제리 전쟁 무명 용사 기념비가 건립되었을 때, 프랑스 대통령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은 헌정 연설에서 전쟁이나 알제리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을 거부하고 대신 "북아프리카의 무명 용사"라는 문구를 사용했다.[64] 프랑스 전사자를 위한 국가 기념비는 1996년까지 건설되지 않았고, 그때조차도 ''Afrique du nord|아프리크 뒤 노르프랑스어''에서 전투 중 사망한 사람들에 대해서만 언급했으며, 관광객들이 거의 방문하지 않는 파리의 낡은 지역에 위치하여 마치 기념비를 감추려는 듯했다.[64] 침묵을 더욱 심화시킨 것은 프랑스 정치인들의 기득권이었다. 1981년부터 1995년까지 프랑스 대통령이었던 프랑수아 미테랑은 1954년부터 1955년까지 내무부 장관, 1955년부터 1957년까지 사법부 장관을 역임하면서 FLN의 탄압에 깊이 관여했으며, 1996년 미테랑 사후에야 그의 프랑스 사회당이 전쟁에 대해 이야기하려는 의지를 보이기 시작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역할에 대해서는 매우 신중한 태도를 유지했다.[64] 마찬가지로 드골은 에비앙 협정에서 ''pieds-noirs|피에누아르프랑스어''(알제리 태생의 프랑스인)가 알제리에 남을 수 있다고 약속했지만, 독립 후 FLN은 협정을 자유롭게 위반하여 전체 ''피에누아르'' 인구가 프랑스로 도망치게 되었고, 대부분은 알제리에서 가지고 있던 모든 것을 잃었기 때문에 입고 있던 옷만을 가지고 도망쳐 패배한 국가를 더욱 난처하게 만들었다.[64]

프랑스에서는 때때로 알제리 전쟁의 기억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1987년, “리옹의 도살자”로 알려진 친위대 상급돌격대장 클라우스 바르비(Klaus Barbie)가 반인도죄로 재판에 회부되었을 때, 프랑스에 거주하는 대부분의 알제리 이민자들이 사는 빈민가인 팡리외(banlieues)의 벽에는 “바르비는 프랑스에 있다! 마수는 언제 알제리에 있을 것인가!”라는 낙서가 등장했다.[64] 바르비의 변호사 자크 베르제(Jacques Vergès)는 “반인도죄는 나치의 유대인에 대한 범죄만을 의미하는가, 아니면 더 심각한 범죄, 즉 제국주의자들이 독립을 위해 투쟁하는 사람들에 대한 범죄에도 적용되는가?”라고 묻는 똑같이(tu quoque) 방어 전략을 취했다. 그는 자신의 의뢰인이 프랑스 레지스탕스에 대해 저지른 일은 “알제리의 특정 프랑스 장교들”이 저지른 일과 다를 바 없으며, 1962년 드골의 사면으로 인해 그들은 기소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64] 1997년, 평생 프랑스 공무원이었던 모리스 파퐁(Maurice Papon)이 1942년 보르도에서 1600명의 유대인을 아우슈비츠로 보내 죽게 한 혐의로 반인도죄로 재판에 회부되었을 때, 재판 과정에서 1961년 10월 17일 파퐁이 파리 중심부에서 100명에서 200명 사이의 알제리인들을 학살하도록 조직했다는 사실이 드러났는데, 이는 대부분의 프랑스인들이 이 학살에 대해 처음으로 듣게 된 순간이었다.[64] 파리 수사대(Sûreté)가 수백 명을 살해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프랑스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고, 알제리 전쟁 중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에 대한 불편한 질문들이 제기되었다.[64] 미국의 역사가 윌리엄 코헨(William Cohen)은 파퐁 재판이 알제리 전쟁에 대한 초점을 “날카롭게 했지만” “명확성”을 제공하지는 못했다고 썼다. 파퐁의 비시 정권 하 공무원으로서의 역할 때문에 프랑스에서는 알제리의 공포에 대한 책임이 전 협력자들에게 있다는 오해가 생겼지만, 기 모레(Guy Mollet), 마르셀 비제아르(Marcel Bigeard) 장군, 로베르 라코스트(Robert Lacoste), 자크 마수(Jacques Massu) 장군, 자크 수스텔(Jacques Soustelle)과 같은 책임자 대부분은 실제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레지스탕스였기 때문이며, 많은 프랑스 역사가들은 이 사실을 매우 불쾌하게 생각했다.[64]

2000년 6월 15일, 르몽드(Le Monde)는 전 FLN 대원 루이제트 이기라리즈(Louisette Ighilahriz)와의 인터뷰를 실었는데, 그녀는 프랑스군에 의해 고문당한 경험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전쟁 영웅 자크 마수 장군과 마르셀 비제아르 장군이 정보를 얻기 위해 자신을 고문하는 현장에 직접 있었다는 충격적인 주장을 했다.[64] 많은 프랑스인들에게 이 인터뷰가 매우 감동적이었던 이유는 이기라리즈가 복수를 요구하지 않고, 자신에게 많은 친절을 베풀어 고문을 당할 때마다 치료해 주어 목숨을 구해준 것으로 믿는 군의관 프랑수아 리쇼(François Richaud) 박사에게 감사를 표하고 싶어 했기 때문이다. 그녀는 리쇼 박사를 직접 만나 감사를 표할 수 있는지 물었지만, 나중에 리쇼 박사가 1997년에 사망했음이 밝혀졌다.[64] 이기라리즈는 젊었을 때 매력적인 여성이었고, 대학 교육을 받았으며, 세속적이고 프랑스어에 능통했으며 빅토르 위고(Victor Hugo)를 인용하기를 좋아했고, FLN에서 정보 전달자로 일했기 때문에, 알제리인처럼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매우 동정적인 피해자로 여겨졌다.[64] 윌리엄 코헨은 그녀가 교육받지 못한 살인에 가담한 남성이었고 프랑스인에게 감사를 표하기 위해 나서지 않았다면, 그녀의 이야기가 같은 방식으로 공감을 얻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다.[64] 이기라리즈 사건으로 인해 전쟁에 참여했던 12명이 자크 시라크(Jacques Chirac) 대통령에게 알제리 고문 피해자들을 위한 추모일을 10월 31일로 지정해 줄 것을 요청하는 공개 서한에 서명했다.[64]

이기라리즈 사건에 대한 답변으로, 폴 오사레스(Paul Aussaresses) 장군은 2000년 11월 23일 인터뷰에서 고문과 법 외 처형을 명령한 사실을 솔직하게 인정하고, 자신이 개인적으로 24명의 페라가(fellagha)를 처형했다고 밝혔다. 그는 고문과 법 외 처형이 FLN을 물리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었기 때문에 정당화된 것이라고 주장했다.[64] 2001년 5월, 오사레스는 자신의 회고록인 「Services spéciaux Algérie 1955–1957|알제리 특수부대 1955-1957프랑스어」을 출판하여 공화국 명의로 고문과 법 외 처형을 자세하게 설명했는데, 그는 이 모든 행위가 파리의 명령에 따라 이루어졌다고 썼으며, 이는 오랫동안 의심되어 온 사실을 확인해 주었다.[64] 인터뷰와 오사레스의 책으로 인해 알제리 전쟁이 마침내 프랑스 언론에서 광범위하게 논의되었는데, 프랑스 언론은 수십 년 동안 이 주제를 가능한 한 무시해 왔지만, 전쟁을 기억하는 가장 좋은 방법에 대한 합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64] 한 전쟁 참전 용사 조르주 포겔(Georges Fogel)이 1957년 이기라리즈와 다른 많은 사람들이 고문당하는 것을 목격했다고 증언한 것과 정치인이자 전쟁 참전 용사인 장 마리 폴르(Jean Marie Faure)가 2001년 2월 자신이 작성한 일기의 일부를 공개하여 자신이 목격한 “사디즘과 공포 행위”를 보여준 것이 관심을 더했다.[64] 프랑스 역사가 피에르 비달-나케(Pierre Vidal-Naquet)는 이것을 “카타르시스”의 순간이라고 부르며, “거의 프랑스적인 용어로만 설명할 수 있다. 억압된 것의 귀환이다”라고 말했다.[64]

2002년, 벤 벨라(Ben Bella)의 전 고문인 모하메드 하르비(Mohammed Harbi)의 「Une Vie Debout: Mémoires Politiques|서있는 삶: 정치적 회고록프랑스어」이 출판되었는데, 하르비는 다음과 같이 썼다. “그들[FLN 지도자들]은 현장에 도착했을 때 진정하고 역동적인 대중 운동의 지지를 받지 못했기 때문에, 그들은 힘으로 운동의 지배권을 장악했고 힘으로 그것을 유지했다. 적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단호하게 행동해야 한다고 확신한 그들은 의도적으로 권위주의적인 길을 선택했다.”[73]

알제리 전쟁은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는 사건이다. 전쟁에 관한 주요 역사가 중 한 명인 뱅자맹 스토라(Benjamin Stora)에 따르면, 전쟁에 대한 기억은 단편적으로 남아 있으며 공통된 입장은 전혀 없다고 한다.

> 알제리 전쟁의 역사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다양한 역사와 개인적인 경험의 집합일 뿐입니다. 관련된 모든 사람들은 자신만의 방식으로 전쟁을 경험했다고 생각하며, 알제리 전쟁을 전반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는 당사자들에 의해 즉각 거부됩니다.[149]

스토라는 프랑스어로 된 전쟁 관련 출판물 3,000건을 집계했지만, 프랑스와 알제리 작가가 공동으로 제작한 작품은 여전히 없다. 스토라에 따르면 "이름 없는 전쟁"이라고 더 이상 말할 수는 없지만, 특히 프랑스 내 전쟁을 기념하는 장소의 부재 등 여러 문제가 남아 있다. 또한 전쟁 종식 기념일을 두고 갈등이 발생했다. 많은 자료와 프랑스 정부는 1962년 3월 19일로 지정하지만, 에비앙 협정 외에도 그 이후에 하르키(harkis) 학살과 피에드누아르(pieds-noirs) 납치 사건이 발생했다는 지적이 있다. 스토라는 "양국 간의 기념적 화해는 아직 요원하다"고 지적한다.[149] 이는 2005년 2월 23일 프랑스 국회( 프랑스 국민의회 )가 식민주의가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다고 주장한 식민주의 법을 제정한 사실에서도 확인된다.

프랑스에서 격렬한 논쟁이 벌어진 가운데, 2005년 2월 23일 법은 시라크 대통령이 부테플리카( 압델아지즈 부테플리카(Abdelaziz Bouteflika) ) 대통령과 체결하려던 우호 조약을 위태롭게 만들었다. 이 조약은 더 이상 의제에 없었다. 이 논란이 된 법 이후, 부테플리카 대통령은 특히 1945년 세티프 학살(Sétif massacre)을 언급하며 문화적 집단 학살(genocide)에 대해 이야기했다. 시라크 대통령은 결국 복잡한 제도적 메커니즘을 통해 이 법을 폐지했다.

또 다른 문제는 특히 프랑스 중등 학교에서 전쟁뿐만 아니라 식민주의와 탈식민주의를 가르치는 것과 관련이 있다.[150] 따라서 프랑스 교과서, 특히 수능( 바칼로레아(baccalauréat) ) 시험을 치르는 졸업반(terminales) 학생용 브레알(Bréal) 출판사 교과서에만 인종차별(racism)에 대한 언급이 한 번 있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은 1961년 파리 학살(Paris massacre of 1961)에 대해 처음으로 언급한 사람들이 유명 힙합 밴드 슈프렘 엔티엠(Suprême NTM)( "les Arabes dans la Seine|센 강의 아랍인들프랑스어")과 같은 음악 밴드나 정치적으로 참여하는 라 뤼메르(La Rumeur) 등이라는 사실에 놀라지 않는다. 실제로 알제리 전쟁은 졸업반 교과서에서 별도의 장으로 다루어지지도 않는다.[151] 뱅자맹 스토라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 알제리인들이 "토착민"의 조건으로 나타나지 않고, 그들의 준시민 신분과 민족주의 운동의 역사가 메살리 하지(Messali Hadj)와 페르하트 아바스(Ferhat Abbas)와 같은 저항의 중요 인물 중 한 명으로서 언급되지 않는다. 그들은 등장하지도 않고 주목받지도 않는다. 식민지배가 무엇이었는지 학생들에게 설명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우리는 학생들이 탈식민화가 왜 일어났는지 이해하지 못하도록 막았습니다.[151]

8. 2. 한국과의 비교

알제리 전쟁은 한국 전쟁과 마찬가지로 강대국 간의 갈등과 이념 대립 속에서 발생한 전쟁이라는 점에서 유사점을 찾을 수 있다. 두 전쟁 모두 냉전 시대의 대리전 양상을 띠었으며, 외부 세력의 개입으로 인해 전쟁이 장기화되고 민간인 희생이 커졌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하지만 알제리 전쟁은 프랑스의 식민 지배에 맞선 독립 전쟁이라는 점에서 한국 전쟁과 차이를 보인다. 알제리 민족해방전선(FLN)은 프랑스로부터의 완전한 독립을 목표로 무장 투쟁을 전개한 반면, 한국 전쟁은 남북한 간의 이념 대립과 통일 방식의 차이에서 비롯된 내전의 성격을 띠고 있다.

또한, 알제리 전쟁은 프랑스 내에서 '더러운 전쟁'으로 불릴 만큼 프랑스군의 잔혹 행위가 문제가 되었던 반면,[146] 한국 전쟁에서는 유엔군북한군, 중공군 등 다양한 세력이 참전하여 전쟁 범죄 문제가 복잡하게 얽혀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참조

[1] 서적 Memory, Empire, and Postcolonialism: Legacies of French Colonialism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 서적 Collective Memory: France and the Algerian War (1954–1962) https://books.google[...]
[3] 서적 Exile Cultures, Misplaced Identities https://books.google[...] Rodopi
[4] 서적 Judging War Crimes And Torture: French Justice And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s And Commissions (1940–2005)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5] 서적 France's Colonial Legacies: Memory, Identity and Narrativ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les Press 2013-10-15
[6] 서적 The Algerian War 1954–62 Osprey Publishing
[7] 서적 Algeria: The Politics of a Socialist Revolution https://books.google[...] Univ of California Press 2022-12-27
[8] 서적 Algeria 1830-2000: A Short History Cornell University Press
[9] 서적 Les combatants musulmans de la guerre d'Algérie L'Harmattan
[10] 서적 The French Experience in Algeria, 1954–62: Blueprint for U.S. Operations in Iraq
[11] 뉴스 Algérie : Une guerre d'appelés http://www.lefigaro.[...] 2017-06-16
[12] 서적 Genocide, Ethnonationalism, and the United Nations: Exploring the Causes of Mass Killing Since 1945 Routledge 2013
[13] 서적 Algerian War and the French Army, 1954-62: Experiences, Images, Testimonies https://www.macmilla[...] Palgrave Macmillan 2020-08-11
[14] 학술지 Why a War Without a Name May Need One: Policy-Based Application of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in the Algerian War https://web.archive.[...]
[15] 서적 A Savage War of Peace: Algeria 1954–1962 New York Review of Books
[16] 서적 Judging War Crimes and Torture: French Justice and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s and Commissions (1940-2005) https://books.google[...] BRILL 2024-04-05
[17] 웹사이트 Déclaration de M. Emmanuel Macron, président de la République, sur le 60ème anniversaire des accords d'Évian et la guerre d'Algérie, à Paris le 19 mars 2022 https://www.vie-publ[...] 2022-12-19
[18] 서적 A Military History of Afric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7-01-13
[19] 서적 Encyclopedia of Violence, Peace and Conflict: Po – Z Academic Press
[20] 서적 America's Dirty Wars: Irregular Warfare from 1776 to the War on Terr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웹사이트 Algeria: War of independence https://sites.tufts.[...] 2017-07-06
[22] 웹사이트 STATISTICS OF DEMOCIDE Chapter 14 THE HORDE OF CENTI-KILO MURDERERS Estimates, Calculations, And Sources https://www.hawaii.e[...] 2019-11-13
[23] 웹사이트 STATISTICS OF DEMOCIDE Chapter 14 THE HORDE OF CENTI-KILO MURDERERS Estimates, Calculations, And Sources https://www.hawaii.e[...] 2019-11-13
[24] 웹사이트 France remembers the Algerian War, 50 years on https://www.france24[...] 2022-05-15
[25] 서적 The State of the World's Refugees, 2000: Fifty Years of Humanitarian Ac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1-13
[26] 학술지 The Migration of Jews from Algeria to France: An Opportunity for French Jews to Recover Their Independence in the Face of American Judaism in Postwar France? https://www.cairn-in[...] 2021-02-23
[27] 웹사이트 Algeria – The Revolution and Social Change http://countrystudie[...] countrystudies.us 2017-01-13
[28] 기타 الثورة الجزائرية al-Thawra al-Jaza'iriyah; Guerre d'Algérie
[29] 서적 Encyclopedia of the Cold War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5-13
[30] 서적 Pour une histoire de la guerre d´Algérie Picard
[31] 웹사이트 The Victory Without Laurels: The French Military Tragedy in Algeria (1954–1962) http://toto.lib.unca[...]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sheville
[32] 서적 France, the United States, and the Algerian Wa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1-07-20
[33] 서적 Algeria, 1830-2000: A Short History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34] 서적 West Germany, Cold War Europe and the Algerian War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08-22
[35] 서적 Algeria, 1830-2000: A Short History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36] 서적 Les accords d'Evian (1962): Succès ou échec de la réconciliation franco-algérienne (1954–2012) https://books.google[...] Armand Colin 2017-01-13
[37] 웹사이트 Document officiel des Nations Unies https://www.un.org/f[...] un.org 2017-01-13
[38] 웹사이트 référendum 1962 Algérie http://www.france-po[...] france-politique.fr 2017-01-13
[39] 간행물 Proclamation des résultats du référendum d'autodétermination du 1er juillet 1962 http://www.joradp.dz[...] 1962-07-06
[40] 뉴스 Ombres et lumières de la révolution algérienne https://www.monde-di[...] 1982-11-01
[41]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History 3-Volume Set https://books.google[...] Routledge
[42] 기타 Évian accords, Chapitre II, partie A, article 2
[43] 웹사이트 QA: What happened to Algeria's Harkis? https://web.archive.[...] 2017-11-07
[44] 서적 Paris Between Empires - Monarchy and Revolutions 1814–1852 St. Martin's Press
[45] 뉴스 Torture in Algeria: Past Acts That Haunt France – Liberty, Equality and Colony http://mondediplo.co[...] 2001-06-01
[46]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Genocide Stud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47] 서적 Phases of Terrorism in the Age of Globalization: From Christopher Columbus to Osama bin Laden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US 2016
[48] 서적 Blood and Soil: A World History of Genocide and Extermination from Sparta to Darfur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49] 서적 The Making of Contemporary Algeria, 1830-1987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08-22
[50] 기타
[51] 웹사이트 le code de l'indigénat dans l'Algérie coloniale https://web.archive.[...] 2007-03-14
[52] 서적 Citizenship in the Arab World: Kin, Religion and Nation Amsterdam University Press
[53] 웹사이트 les tirailleurs, bras armé de la France coloniale https://web.archive.[...] 2007-03-14
[54] 웹사이트 Interpretation of President Wilson's Fourteen Points https://web.archive.[...]
[55]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European Labor Leader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5-12-01
[56] 웹사이트 Le cas de Sétif-Kherrata-Guelma (Mai 1945) https://www.sciences[...] Violence de masse et Résistance - Réseau de recherche 2008-03-21
[57] 웹사이트 The Time-Honored Friendship: A History of Vietnamese-Algerian Relations (1946-2015) Relations (1946-2015) https://repository.u[...]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16-01-05
[58] 웹사이트 UQAM | Guerre d'Indochine | ALGERIAN WAR https://web.archive.[...]
[59] 웹사이트 Colonial Empires after the War/Decolonization |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First World War (WW1) https://web.archive.[...]
[60] 기타 Alger-Bagdad
[61] 서적 Wretched of the Earth François Maspero
[62] 뉴스 Algiers: a city where France is the promised land – and still the enemy https://www.theguard[...] 2013-01-27
[63]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007-02-19
[64] 간행물 The Algerian War, the French State and Official Memory
[65] 웹사이트 'My father was tortured and murdered in Algeria. At last France has admitted it' https://www.theguard[...] 2018-09-16
[66] 서적 Algerian Independence, 1954–1962: Case Outcome: COIN Loss https://www.jstor.or[...] RAND Corporation 2013
[67] 서적 The French Experience in Algeria, 1954–62: Blueprint for U.S. Operations in Iraq
[68] 서적 Armed Forces & Modern Counter-Insurgency St Martin's Press
[69] 간행물 France and the Algerian War: Strategy, Operations, and Diplomacy
[70] 서적 DST, Police Secrète Flammarion
[71] 서적 Pseudo Operations and Counterinsurgency: Lessons From Other Countries http://www.blackwate[...]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07-02-14
[72] 서적 St. Michael and the Dragon: Memoirs of a Paratrooper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73] 웹사이트 The Torture of Algiers http://www.algeria-w[...] Algeria-Watch 2002-11-21
[74] 기타
[75] 웹사이트 Accueil – CVCE Website - French Army audio archives http://www.ena.lu/mc[...] ena.lu 2017-02-04
[76] 웹사이트 Declaration on the Right to Insubordination in the War in Algeria by 121 French citizens - Manifeste des 121, transl. in English http://www.marxists.[...] marxists.org 2017-01-13
[77] 웹사이트 Référendum sur l'autodétermination en Algérie http://mjp.univ-perp[...] Université Perpignan 2011-09-05
[78] 학술지 Algeria: The Last Ordeal
[79] 서적 The Invention of Decolonization: The Algerian War and the Remaking of France Cornell University Press
[80] 서적 L'Armee d' Afrique Pygmalion 2012
[81] 서적 A Savage War of Peace https://archive.org/[...] New York : Viking Press
[82] 학술지 Proclamation des résultats du référendum d'autodétermination du 1er juillet 1962 http://www.joradp.dz[...] 1962-07-06
[83] 간행물 Biblio-Philately: Libraries and Librarians on World Postage Stamps
[84] 서적 Histoire de la guerre d'Algérie La Découverte
[85] 학술지 L'arme secrète du FLN. Comment de Gaulle a perdu la guerre d'Algérie, de Matthew Connelly. Paris, Payot, traduit de l'anglais par François Bouillot
[86] 서적 "La Guerre d'Algérie, facteur de changement du système international" de Jeffrey James Byrne dans Histoire de l'Algérie à la période coloniale La Découverte
[87] 서적 La guerre froide globale Payot
[88] 서적 La guerre d'Algérie revisitée : nouvelles générations, nouveaux regards Karthala
[89] 서적 A diplomatic revolution : Algeria's fight for independence and the origins of the post-cold war era Oxford University Press
[90] 서적 "L'action internationale du FLN" of Jeffrey James Byrne in Histoire de l'Algérie à la période coloniale La Découverte
[91] 서적 A Soldier and a Woman: Sexual Integration in the Military Longman
[92] 서적 The Eloquence of Silence Routledge
[93] 학술지 Algerian Women in the Liberation Struggle and the Civil War: From Active Participants to Passive Victims
[94] 학술지 Transgressing Boundaries: Gender, Race, Religion and 'Fracaises Musulmannes during Algerian War of Independence
[95] 뉴스 Inside the Battle of Algiers: Memoir of a Woman Freedom Fighter – Book Review https://alethonews.c[...] 2017-11-09
[96] 서적 Inside the Battle of Algiers: Memoir of a Woman Freedom Fighter Just World Books
[97] 서적 We Are No Longer in France: Communists in Colonial Alger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11-01
[98] 서적 From Freedom Fighters to Terrorists: Women and Political Violence Routledge
[99] 학술지 Reality and Representation of Algerian Women: The Complex Dynamic of Heroines and Repressed Women https://digitalcommo[...] 2012
[100] 웹사이트 Alger Panse Ses Plaies http://www.ina.fr/ar[...] ina.fr
[101] 백과사전 Harkis Encyclopædia Universalis
[102] 서적 Les combattants musulmans de la guerre d'Algérie: des soldats sacrifiés Editions L'Harmattan
[103] 기타
[104] 뉴스 Chirac hails Algerians who fought for France The Telegraph 2001-09-26
[105] 웹사이트 France returns Algerian remains as nations mend ways https://www.aa.com.t[...]
[106] 뉴스 France admits torture during Algeria's war of independence https://www.aljazeer[...] 2020-11-23
[107] 서적 La Guerre d'Algérie PUF
[108] 웹사이트 Mémoire et histoire de la guerre d'Algérie, de part et d'autre de la Méditerranée http://guy.perville.[...]
[109] 서적 My Battle of Algiers https://archive.org/[...] HarperCollins 2006-01-31
[110] 서적 A Savage War of Peace Algeria 1954-1962 https://books.google[...] Pan Macmillan
[111] 서적 Encyclopedia of Human Rights https://books.google[...] OUP USA
[112] 서적 Frontiersmen: Warfare In Africa Since 1950
[113] 학술지 The Blowback of Repression and the Dynamics of North African Radicalization
[114] 서적 Genocide, Ethnonationalism, and the United Nations: Exploring the Causes of Mass Killing Since 1945 https://books.google[...] Routledge
[115] 서적 The Algerian Novel and Colonial Discourse: Witnessing to a Différend https://books.google[...] Peter Lang 2021-08-04
[116]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Contemporary Middle Eastern and North African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17] 서적 The Eloquence of Silence: Algerian Women in Ques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118] 서적 Les crimes de l'armée française: Algérie, 1954-1962 https://books.google[...] La Découverte 2014-11-20
[119] 뉴스 Prise de tête Marcel Bigeard, un soldat propre ? http://www.humanite.[...] 2000-06-24
[120] 웹사이트 Film testimony http://ina.fr/archiv[...]
[121] 웹사이트 Henri Pouillot, mon combat contre la torture http://www.elwatan.c[...] 2004-11-01
[122] 웹사이트 Des guerres d'Indochine et d'Algérie aux dictatures d'Amérique latine http://www.ldh-toulo[...] 2007-01-10
[123] 웹사이트 THE FRENCH ARMY AND TORTURE DURING THE ALGERIAN WAR (1954–1962) https://web.archive.[...] 2004-11-18
[124] 서적 A Savage War of Peace: Algeria 1954-1962 New York Review
[125] 간행물 Vérité Liberté 1961-05
[126] 서적 Identity in Algerian Politics: The Legacy of Colonial Rule https://books.google[...] Lynne Rienner Publishers
[127] 학술지 Les « regroupements » de la guerre d'Algérie, des « villages stratégiques » ? https://www.cairn.in[...]
[128] 서적 Camps d'étrangers Terra
[129] 서적 Political Writing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12-07-15
[130] 서적 La guerre d'Algérie
[131] 서적 La torture pendant la guerre d'Algérie
[132] 웹사이트 The French Army and Torture During the Algerian War (1954–1962) http://www.mfo.ac.uk[...] 2004-11-18
[133] 서적 Between a Rock and a Hard Place: France and Algeria, 1954–1962
[134] 뉴스 L'accablante confession du général Aussaresses sur la torture en Algérie http://www.lemonde.f[...] 2001-05-03
[135] 뉴스 Guerre d'Algérie: le général Bigeard et la pratique de la torture http://www.lemonde.f[...] 2000-07-04
[136] 웹사이트 Torture Bigeard: " La presse en parle trop " http://www.humanite.[...] 2000-05-12
[137] 웹사이트 La torture pendant la guerre d'Algérie / 1954 – 1962 40 ans après, l'exigence de vérité http://www.aidh.org/[...]
[138] 웹사이트 Guerre d'Algérie: Mgr Joseph Doré et Marc Lienhard réagissent aux déclarations du général Bigeard justifiant la pratique de la torture par l'armée française http://www.lemonde.f[...] 2000-07-15
[139] 뉴스 Le témoignage de cette femme est un tissu de mensonges. Tout est faux, c'est une manoeuvre http://www.lemonde.f[...] 2000-06-22
[140] 뉴스 France admits systematic torture during Algeria war for first time https://www.theguard[...] 2018-09-13
[141] 웹사이트 France Resets African Relations: a Potential Lesson for President Trump https://calrev.org/2[...] 2019-04-30
[142] 뉴스 France may have apologised for atrocities in Algeria, but the war still casts a long shadow https://www.telegrap[...] 2018-09-15
[143] 저널 Internement, emprisonnement et guerre d'indépendance algérienne en métropole : l'exemple du camp de Thol (1958-1965) http://journals.open[...] 2014-03-10
[144] 서적 Small Wars, Faraway Places - Global Insurrection and the Making of the Modern World, 1945-1965 https://books.google[...] Penguin
[145] 서적 Military Occupations in the Age of Self-Determination: The History Neocons Neglected https://books.google[...] Praeger Security International
[146] 서적 France At War In the Twentieth Century ''A la recherche du soldat perdu'': Myth, Metaphor and Memory in the French Cinema of the Algerian War Berghahan Books
[147] 저널 Anglo-Saxon Attitudes: The Algerian War of Independence in Retrospect
[148] 서적 A Scattering of Dust https://books.google[...] Hutchinson 1962
[149] 웹사이트 Bringing down the barriers – people's memories of the Algerian War http://www.ina.fr/vo[...]
[150] 저널 ''Terminale'' history class: teaching about torture during the Algerian war
[151] 웹사이트 Colonialism Through the School Books – The hidden history of the Algerian war http://mondediplo.co[...]
[152] 웹사이트 Français, histoire - Écoles, collège https://archive.toda[...]
[153] 웹사이트 Rapport préliminaire de la commission prévention du groupe d'études parlementaire sur la sécurité intérieure – Sur la prévention de la délinquance http://ecolesdiffere[...]
[154] 웹사이트 Analyse de la version finale du rapport Benisti http://www.ldh-toulo[...]
[155] 웹사이트 The French Army and Torture during the Algerian War (1954–1962) http://www.mfo.ac.uk[...]
[156] 웹사이트 Torture in Algeria: Past Acts That Haunt France – False memory http://mondediplo.co[...]
[157] 서적 Aux origines de la guerre d'Algérie La Découverte
[158] 저널 Slow Looking: The Ethics and Politics of Aesthetics 2008-08-01
[159] 간행물 Avoir 20 ans en Kabylie 2007-10
[160] 웹사이트 アルジェリア戦争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161] 논문 フランスの植民地支配を肯定する法律とその第4条第2項の廃止について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2006-08
[162] 웹사이트 Loi relative à la substitution, à l'expression “aux opérations effectuées en Afrique du Nord”, de l'expression “à la guerre d'Algérie ou aux combats en Tunisie et au Maroc” http://www.senat.fr/[...]
[163] 서적 Appeles en guerre d`Algerie 青木書店
[164] 서적 Elections in Europe: A data handbook 2010
[165] 뉴스 仏大統領、60年前のアルジェリア系住民虐殺事件の追悼に初参加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166] 웹사이트 The Algerian War, the French State and Official Memory https://www.jstor.or[...] Berghahn Books
[167] 뉴스 【近くて遠い国 アルジェリア独立60年】(中)仏側協力者の苦難:「忘れられ、憎まれ」 https://www.tokyo-np[...] 東京新聞
[168] 웹사이트 マクロン大統領、アルジェリア独立戦争中の拷問で仏政府の関与認める https://www.afpbb.co[...] AFP 2018-09-14
[169] 웹사이트 マクロン氏、「アルキ」への冷遇を謝罪 アルジェリア戦争で仏に協力 https://www.afpbb.co[...] AFP 2021-09-20
[170] 뉴스 【近くて遠い国 アルジェリア独立60年】(上)世代を超える因縁:歴史教育 仏と対立 https://www.chunichi[...] 東京新聞
[171] 웹사이트 Compte rendu détaillé du livre d’Alain Ruscio : Les communistes et l’Algérie, des origines à la guerre d’indépendance (2021) http://guy.perville.[...]
[172] 저널 The Algerian War in Franco-Italian Relations (1958-1962) https://www.cairn-in[...] 2005
[173] 저널 ‘Astounding it is, what Lidice carries’: The transport of Czechoslovak weapons for the Algerian National Liberation Front in 1959 https://journals.sag[...] 2021
[174] 저널 Beyond Continents, Colours, and the Cold War: Yugoslavia, Algeria, and the Struggle for Non-Alignment https://doi.org/10.1[...]
[175] 웹사이트 The Time-Honored Friendship: A History of Vietnamese-Algerian Relations (1946–2015) https://repository.u[...]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16-05-01
[176] 뉴스 Algerian expats pay tributes to independence war martyrs http://www.saudigaze[...] 2014-01-27
[177] 서적 Communism in Africa Allen & Unwin
[178] 뉴스 Algeria recalls Indonesia`s support as it celebrates 50 years of independence https://en.antaranew[...] ANTARA 2022-12-14
[179] 웹인용 India-Algeria Relations https://www.indianem[...] 주알제리 인도 대사관 2022-12-14
[180] 뉴스 Middle East on the march http://tribune.com.p[...]
[181] Harvsp # 추가적인 정보 필요. Harvsp 형식에 대한 정보가 부족합니다. 추가 정보 필요
[182] 웹사이트 추가 정보 필요 https://www.cairn.in[...]
[183] 서적 Militaires et guérilla dans la guerre d'Algérie https://books.google[...] Centre d'études d'histoire de la défense (France)
[184] 저널 The United States, the Soviet Union and Decolonization of the Maghreb, 1945–62 1995-01-01
[185] 저널 Cuba's First Venture in Africa: Algeria, 1961-1965 https://www.jstor.or[...] 2022-12-14
[186] 웹사이트 Les racines franquistes du putsch https://histoirecol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