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의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의도는 인천광역시 중구에 속하는 섬으로, 섬의 모양이 춤추는 모습과 같다고 하여 이름 붙여졌다. 조선 후기부터 사람이 거주하기 시작했으며, 1989년 인천 중구에 편입되었다. 영종용유도에서 남서쪽으로 1.4km 거리에 있으며, 소무의도, 실미도 등이 부속되어 있다. 2019년 무의대교가 개통되어 육지와 연결되었고, 소무의도와는 소무의인도교로 이어진다. 주요 산업은 농어업이며, 하나개해수욕장과 실미해수욕장 등 관광지가 있어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 중구의 지리 - 실미도
인천광역시 무의도에 딸린 섬인 실미도는 썰물 때 무의도와 연결되며, 1968년부터 1971년까지 김일성 암살을 목표로 한 684부대의 훈련소로 사용되었으나, 실미도 사건과 영화 《실미도》 개봉 이후 관광지로 개발되었지만 역사 왜곡 논란과 정부 책임 문제가 남아있다. - 인천 중구의 지리 - 월미도
월미도는 인천 중구에 위치한 섬으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으며, 지명의 유래에 대한 여러 설이 존재하고, 역사적으로 군사적 요충지이자 유원지로 개발되었으며, 현재는 월미공원과 놀이시설을 갖춘 관광 명소이다. - 인천광역시의 섬 - 묘도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 서구 묘도는 괭이부리말 체험 시설 설치 계획이 주민 반발로 무산된 사건을 통해 지역 사회 의견 수렴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곳이다. - 인천광역시의 섬 - 우도 (강화군)
우도는 연평도에서 동남쪽 25km 떨어진 서해 5도 중 하나로, 북방한계선과 인접하고 간석지 발달, 희귀식물 석위의 대규모 분포, 범게의 대량 서식 등으로 특정 도서로 지정되어 관리되는 0.211km² 면적의 섬이다. - 섬에 관한 - 울릉도
울릉도는 동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신라에 정복된 후 공도 정책과 어업권 분쟁을 겪었으며, 현재는 어업과 관광이 주요 산업이고, 독도를 포함한 해양 생태 보호를 위해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2025년 울릉공항 개항을 목표로 건설이 진행 중이다. - 섬에 관한 - 독도
독도는 동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한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에서 영유권 분쟁이 있으며, 한국은 역사적 기록과 실효 지배를 근거로 영토임을 주장하고 일본은 1905년 시마네현 편입을 근거로 영유권을 주장한다.
무의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리 정보 | |
위치 | 황해 |
면적 | 10.21 km² |
최고점 | 호룡곡산 |
높이 | 246 m |
일반 정보 | |
![]() | |
한자 표기 | 옷 의 |
로마자 표기 | Muuido |
의미 | 춤추는 무희의 옷 |
행정 구역 | |
국가 | 대한민국 |
시 | 인천광역시 |
구·동 | 중구 무의동 |
인구 정보 | |
인구 | 833명 (2016년 8월 31일 기준) |
2. 유래
무의도(舞衣島)라는 이름은 섬의 생김새가 투구를 쓰고 갑옷을 입은 장수가 칼춤을 추는 모습과 같다는 설과, 여인이 춤추는 모습을 닮아서 붙여졌다는 설이 있다. 그 밖에 '무리'를 한자로 쓸 때 '무의'로 잘못 썼다는 추측도 있다.[8]
3. 연혁
4. 지리
무의도는 인천국제공항이 있는 영종용유도에서 남서쪽으로 1.4km 떨어져 있으며, 소무의도, 실미도, 해녀도 등의 작은 섬들이 부속되어 있다. 소무의도와 구분할 때에는 본섬을 '''대무의도'''라고 부른다. 법정동은 무의동(舞衣洞)이며, 행정동은 용유동에서 관할한다. 면적은 9.43km2이고 해안선 길이는 31.6km이다. 섬은 북쪽에서 남쪽으로 약 5km, 동쪽에서 서쪽으로 약 3km 정도이다.[2] 섬의 북부에는 국사봉(230m), 남부에는 호룡곡산(244m)이 있다.
2019년 무의대교가 임시 개통되었고,[9] 2020년 5월에 정식 개통되면서 섬으로 가는 페리 운항 횟수는 줄었다.
4. 1. 소무의도

소무의도는 무의도 남쪽에 있는 광명항 건너편에 위치한 섬이다. 면적은 본섬 크기의 60분의 1인 0.17km2이며, 20~30여 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2011년 4월 대무의도와 인도교(길이 414m × 폭 3.8m)로 연결되었다. 광명항 맞은편 소무의도 북서쪽에 소무의항이 있다.
5. 교통
무의도는 인천 연안여객터미널과 인천항 연안부두에서 출발하는 페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영종도 측에서도 배편이 운항된다. 용유도와 무의도를 잇는 잦은 차량 페리도 운항되었으나, 무의대교 개통으로 페리 운항 횟수는 줄었다. 공항에서는 버스가 운행되며,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역시 인근 용유역까지 운행한다.
5. 1. 무의대교
무의대교는 인천광역시 중구 덕교동과 무의동을 연결하는 다리로, 2014년에 착공하여 2019년 4월 30일에 임시 개통하였으며, 1년 후에 정식 개통하였다. 무의대교 개통으로 무의도와 영종도 사이를 잇는 페리 운항 횟수는 줄었다.5. 2. 소무의인도교
2009년 4월 착공하여 154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2011년 4월 준공된 소무의인도교는 무의도와 소무의도를 연결한다. 다리의 길이는 414m이고, 폭은 3.8m이다. 아치형 교각으로 차량 통행은 할 수 없고, 인도와 자전거도로가 갖추어져 있다.[11]6. 산업
7. 관광
무의도는 하나개해수욕장과 실미해수욕장 등 2개의 해수욕장과 하루 코스의 등산로(국사봉, 호롱곡산)가 있어 인근 도시(인천, 서울, 경기도)에서 많은 관광객들이 방문한다.
현재 용유도와 무의도에 대규모 관광 단지(리조트 지구)를 건설하는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7. 1. 하나개해수욕장
하나개는 '큰 개펄'이라는 뜻이다. 썰물 때면 백사장 바깥으로 개펄이 넓게 드러난다. 비탈이 완만하고 모래가 고와 가족단위 피서지로 인기가 높다. 하나개해수욕장은 드라마 천국의 계단 촬영지로 유명하다.[2]하나개해수욕장은 섬의 서해안에 위치해 있으며,[2] 길이는 약 1km이며 광활한 갯벌을 가지고 있다.[3] 해변에는 숙박을 위한 작은 방갈로와 다양한 현지 식당과 호텔이 있다. 섬 해안에는 많은 조개가 있다. 하나개해수욕장에서는 꽃게, 조개, 소라, 맛, 뿔소라 등을 잡을 수 있다.[4]
하나개해수욕장에는 야외 무대가 있으며, 펑크 페스티벌인 IT'S A FEST[5]와 무의도 여름 바다 댄스 페스티벌을 포함한 다양한 축제를 개최해 왔다. 낚시, 해수욕장 및 조개잡이로 알려져 있으며, 등산도 즐길 수 있다.
섬의 서쪽 해안에 있는 하나개 해수욕장은 대한민국 드라마 《천국의 계단》 촬영지이기도 하며, 촬영 당시 만들어진 세트는 관광 명소가 되었다.
7. 2. 실미해수욕장
소나무 숲이 빽빽하고 바닥이 평평해서 산림욕을 하기에 알맞고 물이 빠지면 개펄이 넓게 펼쳐져서 마주 보이는 실미도까지 하루에 두 번 건너갈 수 있다. 실미도로 가면서 바닥에 널려 있는 바지락, 가무락조개(모시조개), 소라 등을 딸 수 있다. 밤에는 큰 소라도 잡을 수 있다.[1]7. 3. 실미도
실미도는 무의도 북서쪽 해안에서 떨어진 작은 무인도이다. 면적은 0.25km2, 둘레는 3km이다. 인천항에서 20km 정도 떨어져 있으며, 무의도와는 하루 2번 썰물 때에 개펄로 연결된다. 섬 대부분이 해발고도 80m 이하의 야산으로 이루어져 있고, 해안은 모래와 개펄이 뒤섞여 있다. 과거 영화 실미도에 묘사된 것처럼, 684부대의 훈련 장소로 유명하다.7. 4. 국사봉
국사봉은 236m 높이로, '서해의 알프스'라고 불릴 만큼 고래바위, 마당바위, 부처바위 등 괴암절벽의 비경과 절경을 감상할 수 있다. 아주 오래전 나라에 큰일이 있을 때마다 국태민안을 기원하는 제사를 지냈다는 전설이 있으며, 등산로 남쪽 약 200m 지점에 절터가 남아있어 그 유래를 증명하고 있다. 1950년대 말 이곳 정상에서 금동불상을 비롯한 수백 점의 토우들이 출토되어 오랜 역사의 산 증거가 되기도 하였다.[10]지도상에 산 이름이 없던 것을 1995년 '산 이름 찾아주기 동호회'에서 정식으로 국사봉이라 명명하여 표지석을 세우게 되었다.[10]
7. 5. 호랑바위
옛날 이 바위 밑까지 바닷물이 들어올 때, 어부와 호랑이가 함께 살았다. 이들은 산신령에게 서로를 해치지 않겠다고 엄한 약속을 하고 평화롭게 살았으나, 어느 날 허기에 지친 호랑이가 어부를 한 입에 삼켜버리고 말았다. 이에 노한 산신령이 들고 있던 지팡이로 호랑이의 머리를 내리치자 호랑이는 그 자리에서 돌이 되었다는 전설이 있다.아직도 바위에는 그때 흐른 피자국이 남아있고, 이곳을 지나는 사람들은 호랑바위를 바라보며 산신령에게 소원을 빈다고 한다.
참조
[1]
뉴스
"[Sponsored Report] Incheon offers gateway into the culture of Korea"
http://koreajoongang[...]
2016-05-27
[2]
간행물
대무의도 (大舞衣島)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6-12
[3]
뉴스
Beach getaways less than an hour from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http://www.koreahera[...]
2014-07-13
[4]
뉴스
Hanagae offers beach for city dwellers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19-08-29
[5]
뉴스
Beach punk festival takes over Muui Island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19-06-11
[6]
웹인용
120417(조간)_2012년도_지적통계연보_발간(지적기획과1)
http://www.molit.go.[...]
2012-04-16
[7]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rcps.egov.go.[...]
행정자치부
2017-07-09
[8]
문서
인천광역시 중구청 건립 현지 안내판 소개자료
[9]
뉴스
인천 잠진도~무의도 연도교 착공
https://news.v.daum.[...]
국민일보
2014-11-17
[10]
문서
인천광역시 중구청, 현지 안내판
[11]
뉴스
인천 대무의도~소무의도 인도교 기공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9-12-2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갯벌서 해루질 하다 고립된 2명…순찰 드론이 발견해 구조
인천 무의도 해수욕장서 맨발 걷기 하던 70대 여성 사망
인천 무의도 갯벌서 해루질하다 고립된 60대 부부 구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