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문다어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다어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군으로, 기원전 2000년에서 1500년 사이에 인도차이나에서 분화되어 인도 아리아인 이주 이후 인도 동부 지역으로 확산된 것으로 추정된다. 문다어는 북문다어군과 남문다어군으로 분류되며, 산탈어, 문다리어, 호어 등이 주요 언어이다. 문다어는 SOV 또는 AOV 어순을 가지며, 매우 합성적이고 첨철적인 형태론적 특징을 보인다. 2011년 기준 화자 수는 수백만 명에 달하며, 인도, 방글라데시, 네팔 등지에 분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로아시아어족 - 크무어
    크무어는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사용되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 크무어어파의 언어로, 표준어 없이 서부와 동부 크무어로 나뉘는 여러 방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메르어와 어휘적 유사성이 있지만 별개의 언어이다.
  • 오스트로아시아어족 - 니코바르어파
    니코바르어파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 속하며, 인도 니코바르 제도에서 사용되는 여러 언어를 포함한다.
  • 인도의 언어 - 시킴어
    시킴어는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는 히말라야 언어이며, 존카어와 어휘적 관련이 높으며, 자음, 모음, 높낮이 두 가지의 조성을 특징으로 한다.
  • 인도의 언어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문다어파
개요
유형오스트로아시아어족
사용 지역인도 아대륙
사용 민족문다족
언어학적 분류
어족오스트로아시아어족
하위 분류
하위 분류북문다어군
소라어-고룸어
주앙어
카리아어
구토브어-본다어/레모어
그타어
언어 코드
ISO 639-2mun
ISO 639-5mun
Glottologmund1335

2. 기원

현대 오스트로아시아어족 분포


많은 언어학자들은 원시 문다어가 아마도 원시 오스트로아시아어로부터 인도차이나 어딘가에서 분화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폴 시드웰(Paul Sidwell) (2018)은 문다어가 약 4000~3500년 전(기원전 ) 오늘날 오디샤 해안에 도착하여 이 지역으로의 인도아리아인 이주 이후 확산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14][15]

라우와 시드웰(2019),[16][17] 그리고 블렌치(2019)[18]는 선(先)-원시 문다어가 육로가 아닌 해상 경로를 통해 동남아시아에서 기원전 1,500년경 마하나디강 삼각주에 도착했다고 주장한다. 이후 문다어는 마하나디강 유역으로 확산되었다. 2021년 연구에 따르면 문다어는 동부 우타르프라데시까지 확산되었으며 동부 인도아리아어에 영향을 미쳤다.[19][20]

3. 하위 분류

문다어파에는 여러 가설이 있으나, 디플로트 (1974)가 제시한 크게 2가지로 나누는 분류가 널리 쓰인다. 문다어는 논란의 여지가 없는 다섯 개의 분파(코르쿠어, 레모어, 사바라어, 케르와르어, 카리아-주앙어)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들 간의 상호 관계는 논쟁의 대상이다. 문다어파는 보통 북부 문다어군(자르칸드 주, 서벵골 주, 오리사 주의 초타나그푸르 고원)과 남부 문다어군(오리사 주의 중앙부와 안드라프라데시 주와의 경계 부근)으로 나뉜다.

북부 문다어군은 문다어파의 약 90%를 차지할 정도로 인구가 압도적이며, 산탈어, 문다리어, 호어, 콜크어, 소라어 순으로 사용 인구가 많다. 그 외 언어는 소수의 격리된 그룹이 사용하며, 연구가 진행 중이므로 자세한 내용은 알려져 있지 않다.

3. 1. 디플로스(Diffloth, 1974)의 분류

디플로트 (1974)의 분류는 널리 인용되며, 크게 북문다어군과 남문다어군으로 나뉜다.[1]

  • 북문다어군
  • 코르쿠어
  • 케르와리아어 (Kherwarian)
  • 케르와리 분파: 비르지아어, 코라쿠어
  • 문다리 분파: 문다리어, 부미지어, 아수르어, 코다어, 호어, 비르호르어, 콜어, 투리어
  • 산탈 분파: 산탈어, 마할어
  • 남문다어군
  • 카리아주앙어 (Kharia–Juang): 카리야어, 주앙어
  • 코라푸트 문다어 (Koraput Munda)
  • 레모 분파: 그타어, 본다어, 구토브어
  • 사바라 분파: 고룸어, 소라어, 주라이어, 로디어[1]

3. 2. 앤더슨(Anderson, 2001)의 분류

앤더슨(Anderson, 2001)은 남부 문다어에 5개의 분파를 포함하는 분류를 제안했다. 그는 코라푸트의 타당성을 거부하고, 원시 남부 문다어가 카리아-주앙, 소라-고룸(사바라), 구토브-레모-그타(레모)의 세 하위 그룹으로 직접 분화되었다고 제안한다.[23]

그의 남부 문다어 분기는 다음과 같은 다섯 개의 분기를 포함하며, 북부 문다어 분기는 디플로스(1974)와 앤더슨(1999)의 분기와 동일하다.

  • ''참고'': "↔" = 특정 혁신적인 동언선(구조적, 어휘적)을 공유한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및 파푸아어 언어학에서 이는 연결이라고 말콤 로스에 의해 불렸다.

3. 3. 시드웰(Sidwell, 2015)의 분류

폴 시드웰은 문다어를 6개의 동등한 분기로 구성된 것으로 간주하며, 남부 문다어를 통일된 하위 그룹으로 인정하지 않는다.[24]

4. 특징

문다어는 다른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언어들과 구별되는 몇 가지 특징을 공유한다. 어순은 SOV(주어-목적어-동사) 또는 AOV(행위주-목적어-동사)인데, 고대 문다어인 소라어에서는 SVO(주어-동사-목적어)가 많다. 문다어는 매우 합성적이고 첨교적인 반면, 문다어가 아닌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언어는 주로 분석적이고 고립적이거나(예: 캄보디아어, 베트남어) 굴절적이다(예: 카시아어). 문다어는 일반적으로 강세가 두 번째 음절에 오는 약강격 단어 패턴을 보이지만, 소라어와 Gtaʼ어는 예외이다. 또한 문다어는 문다가 아닌 오스트로아시아어에 비해 접미사를 많이 사용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문다어 접미사는 고유한 기원을 가지며, 이는 원시 문다어의 혁신임을 시사한다.[25]

문다어는 주류 인도어와도 근본적으로 다르다. 문다어 동사는 인도어보다 훨씬 더 합성적인데, 이는 일반적인 인도유럽어족드라비다어족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정도이다. 예를 들어, 일상적인 카리아어 대화의 문장은 하나의 긴 단어로 압축될 수 있다. 문다어는 또한 접두사와 내부 삽입을 광범위하게 사용하는데, 이는 접미사만 사용하는 인도아리아어 및 드라비다어와 대조적이다.

소라-고룸-주라이어는 명사 삽입을 나타내며, 소라어가 가장 생산적이다. 코르쿠어, 구토브어, 케르와리아어는 덜 합성적인 인도아리아어 및 드라비다어의 영향으로 명사 삽입 능력을 상실했지만, 여전히 그 흔적이 남아 있다. 드라비다어와 인도유럽어족 언어 중에는 이러한 특성을 가진 언어가 없다. 전반적으로 문다어의 복잡한 형태론과 다합성 정도는 소라어와 산탈어에서 최고 수준에 도달할 수 있다.

문다어파의 특징으로는 3종의 (단수, 쌍수, 복수), 2종의 명사 부류, 1인칭 복수의 포괄형과 제외형의 구분 ("우리"에 상대를 포함하는지 여부), 시제를 나타내는 접사 또는 조동사의 사용 등이 있다.

5. 분포

언어 이름화자 수 (2011)지역
코르와어28,400차티스가르 주, 자르칸드 주
비르지아어25,000자르칸드 주, 웨스트 벵골 주
문다리어 (부미즈어 포함)1,600,000자르칸드 주, 오디샤 주, 비하르 주
아수르어7,000자르칸드 주, 차티스가르 주, 오디샤 주
호어1,400,000자르칸드 주, 오디샤 주, 웨스트 벵골 주
비르호르어2,000자르칸드 주
산탈리어7,400,000자르칸드 주, 웨스트 벵골 주, 오디샤 주, 비하르 주, 아삼 주, 방글라데시, 네팔
투리어2,000자르칸드 주
코르쿠어727,000마디아프라데시 주, 마하라슈트라 주
카리아어298,000오디샤 주, 자르칸드 주, 차티스가르 주
주앙어30,400오디샤 주
그타어4,500오디샤 주
본다어9,000오디샤 주
구토브어10,000오디샤 주, 안드라프라데시 주
고룸어20오디샤 주, 안드라프라데시 주
소라어410,000오디샤 주, 안드라프라데시 주
주레이어25,000오디샤 주
로디어25,000오디샤 주, 웨스트 벵골 주
코다어47,300웨스트 벵골 주, 오디샤 주, 방글라데시
콜어1,600웨스트 벵골 주, 자르칸드 주, 방글라데시



문다어파는 크게 북부 문다어군과 남부 문다어군으로 나뉜다. 북부 문다어군은 자르칸드 주, 서벵골 주(웨스트 벵골 주), 오리사 주(오디샤 주)의 초타나그푸르 고원에 분포하며, 남부 문다어군은 오디샤 주 중앙부와 안드라프라데시 주와의 경계 부근에 분포한다.

인구 면에서는 북부 문다어군이 압도적이다. 북부 문다어군은 문다어파 전체의 약 90%를 차지하며, 산탈리어, 문다리어, 호어, 코르쿠어, 소라어 순으로 화자 수가 많다. 그 외 언어들은 소수 그룹이 사용하며, 연구가 진행 중이어서 자세한 내용은 알려져 있지 않다.

6. 재구

원형은 시드웰(Sidwell) & 라우(Rau) (2015: 319, 340–363)에 의해 재구축되었다.[26] 원시 문다어 재구성은 이후 라우(Rau) (2019)에 의해 수정되고 개선되었다.[27][28]

참조

[1] 간행물 Munda Languag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3-29
[2] 서적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South Asia 2016-01-23
[3] 웹사이트 Santhali https://www.ethnolog[...] 2024-01-21
[4] 서적 The Munda Languag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4-08
[5] 문서
[6] 웹사이트 A comparative study of the verb in Munda language http://sealang.net/s[...] 2015-03-22
[7] 웹사이트 Kinship and Spirit Terms Renewed as Classifiers of "Animate" Nouns and Their Reduced Combining Forms in Austroasiatic http://elanguage.net[...] Elanguage 2015-03-22
[8] 논문 Munda studies: A new classification of Munda 1975
[9] 웹사이트 Munda languages http://www.languages[...] 2019-05-14
[10] 간행물 Gregory D. S. Anderson the Munda Verb: Typological Perspectives Mouton de Gruyter
[11] 간행물 Reduplication in the Munda languages De Gruyter 2018-05-07
[12] 논문 South-East Asian Features in the Munda Languages https://journals.lin[...]
[13] 간행물 5 Overview of the Munda Languages BRILL 2014-01-01
[14] 문서
[15] 웹사이트 Sidwell AA studies state of the art 2018.pdf https://drive.google[...] 2023-05-12
[16] 논문 The Munda Maritime Hypothesis 2019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웹사이트 The spread of Munda in prehistoric South Asia -the view from areal typology To appear in: Volume in Celebration of the Bicentenary of Deccan College Post-Graduate and Research Institute (Deemed University) https://www.research[...] 2022-09-01
[21] 문서
[22] 논문 "Gtaʔ" The Munda Languages. Routledge Language Family Series. London: Routledge. pp. 682–763 2008
[23] 서적 A New Classification of South Munda: Evidence from Comparative Verb Morphology Linguistic Society of India
[24] 문서
[25] 서적 Word Prominence in Languages with Complex Morpholog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23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