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홍콩의 역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콩의 역사는 3만 년 전 구석기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신석기 시대를 거쳐 전국 시대에 월족이 유입되었다. 진나라 때부터 중국 왕조의 지배를 받았으며, 한나라 시대에는 소금 생산이 번성했다. 당나라 시대에는 국제 무역 중심지로 발전했고, 송나라의 마지막 황제가 홍콩에서 즉위하기도 했다.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를 거쳐 영국에 식민지화되었으며, 아편 전쟁과 난징 조약을 통해 홍콩 섬이 영국에 할양되었다. 1860년 베이징 조약으로 구룡반도가 추가로 할양되었고, 1898년 신계가 99년간 조차되었다. 19세기에는 영국의 주요 무역항으로 발전했으며, 기독교 선교사들이 학교와 교회를 설립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의 지배를 받았고,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많은 중국인들이 홍콩으로 이주했다. 1997년 홍콩은 중국에 반환되어 특별 행정구가 되었으며, 일국양제 원칙에 따라 사회주의 정책을 50년간 유예받았다. 이후 홍콩은 2000년대 이후 홍콩 기본법 제23조, SARS 유행, 센트럴 점령 시위, 홍콩 국가 보안법 제정 등 여러 사건을 겪으며 정치적 변화를 겪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콩의 역사 - 영국령 홍콩
    영국령 홍콩은 1841년부터 1997년까지 영국의 지배를 받았던 홍콩으로, 아편 전쟁을 거치며 홍콩섬과 주룽반도가 할양되고 신제 지역이 조차되어 영토가 확장되었으며, 일본 점령기를 제외하고 무역항이자 금융 중심지로 발전하다가 1997년 중화인민공화국에 반환되어 특별행정구가 되었다.
  • 홍콩의 역사 - 베이징 조약
    베이징 조약은 1860년 제2차 아편전쟁 후 청나라가 영국, 프랑스, 러시아와 체결한 불평등 조약으로, 톈진 조약 비준 강요, 영토 할양 및 배상금 지불을 통해 청나라 주권을 훼손하고 서구 열강의 아시아 침략을 심화시켰으며 동아시아 국제 정세에 큰 영향을 미쳤다.
홍콩의 역사
지도 정보
역사 개요
시대선사 시대
중국 왕조 시대 (기원전 221년 – 1800년대)
영국령 (1841–1941, 1945–1997)
일본 점령 (1941–1945)
특별행정구 (1997년 이후)
중국 왕조 시대
행정 구역보안현
신안현
영국령 홍콩
식민지 시대1800년대–1930년대
주요 조약 및 협약천피 조약
난징 조약
베이징 조약
홍콩 영토 확장 협약
일본 점령기
기간1941년-1945년
현대 홍콩
특별행정구 시대1997년 이후
주요 사건2019–2020년 시위
국가보안법 (2020년)
2021년 선거 제도 개혁
분야별 역사
분야항공
버스
문화
경제
교육
지리
정치
기술 표준

2. 선사 시대

홍콩 지역에서 인간이 활동하기 시작한 것은 약 3만 년 이상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구석기 시대의 흔적은 사이쿵 구의 웡 테이 통에서 발굴된 석기들을 통해 확인된다.[17] 또한 사이쿵 반도의 샴충에서는 후기 구석기 시대 정착지로 추정되는 곳에서 6,000여 점의 유물이 발견되기도 했다.[19] 사이쿵에서 발견된 일부 석기들은 신석기 시대 후기 또는 초기 청동기 시대의 석기 제작 장소에서 유래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18]

약 7,000년 전 신석기 시대가 시작되면서, 중국 남부 해안 지역에 거주하던 사족(Che)이라 불리는 집단이 홍콩 지역에 정착했다. 이들의 유적은 주로 홍콩 서쪽 해안의 청차우 섬, 란타우 섬, 라마 섬, 첵랍콕 등에서 발견되는데, 이는 남동쪽의 강한 바람을 피하고 해안에서 식량을 얻기 유리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 시기 홍콩의 문화는 주변 주강 삼각주 지역과 유사성을 보이며, 중국 북방의 룽산 문화와는 구별되는 특징을 가진다.

이후 전국 시대에는 북쪽의 백월에 속하는 월족(Yue)이 전쟁 등 불안정한 상황을 피해 남쪽으로 이주해 왔다. 란타우 섬과 라마 섬에서는 이들이 사용했던 청동기 어업 도구, 무기, 제례용품 등이 발굴되었으며, 마완 섬에서는 홍콩 최초의 직접적인 정착 증거가 확인되었다. 새롭게 유입된 월족은 기존에 거주하던 사족과 경쟁하기도 하고 서로 동화되기도 했다.[20]

홍콩의 선사 시대는 기원전 3세기경 진나라가 중국을 통일하고 이후 한나라 시대를 거치면서 점차 막을 내렸으며, 이 지역은 번우현에 속하게 되었다.

3. 중국 왕조 시대

1866년 신안현 지도. 홍콩과 선전청나라 시대에 신안현의 일부였음을 보여준다.


현재 홍콩 영토는 진나라 (기원전 221–206년) 시기 중국 왕조의 지배하에 놓였으며, 당시 이 지역은 고대 남월 왕국 (기원전 203–111년)의 일부였다.[21] 기원전 214년 진(秦)이 영남 지방에 군현을 설치하면서 중원 왕조의 통치가 시작되었으며, 처음에는 번우현 소속이었다. 이후 진(晉)나라 시대(331년)부터 당나라 중기(756년)까지는 보안현의 관할이었다.[22]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한나라 (기원전 206년 – 서기 220년) 시대에 인구가 증가했다. 1950년대 레이정욱 한묘 박물관 발굴 이후, 약 2000년 전 홍콩에서 소금 생산이 번성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명확한 증거는 부족하다. 대포 해는 한나라부터 명나라 (1368–1644)까지 중국의 주요 진주 채취 항구였으며, 특히 남한 (917–971) 시대에 활발했다.[79]

당나라 시대(618-907)에는 광저우가 국제 무역 중심지로 번성하면서, 현재 홍콩 신계에 속하는 툰먼 지역이 항구, 해군 기지, 소금 생산 중심지, 나중에는 진주 채취 기지로 중요하게 활용되었다. 란터우섬 역시 소금 생산 중심지였으며, 정부에 대항하는 소금 밀수업자들의 반란이 일어나기도 했다. 757년부터 1572년까지 홍콩 지역은 동관현의 관할이 되었다.

1278년 5월 10일, 송나라의 마지막 황제인 어린 조병이 란터우섬의 무이워에서 즉위했다. 이는 현재 구룡의 송황대 공원에서 기념되고 있다.[23][24] 그러나 1279년 3월 19일 애산 전투에서 원나라 군대에 패배한 후, 어린 황제는 광둥성 야먼에서 충신들과 함께 투신하여 생을 마감했다.[25]

원나라 시대에는 몽골의 남송 침공을 피해 남쪽으로 내려온 송나라 충신 등 중국 난민들이 유입되면서 홍콩 지역의 첫 인구 증가를 경험했다.[25]

명나라 시대(1368-1644)에는 이민과 농업 발전에도 불구하고 홍콩 지역은 여전히 언덕이 많고 농업 기반이 취약하여 주민들은 소금, 진주, 어업에 생계를 의존해야 했다. 일부 씨족들은 도적, 다른 씨족, 야생 동물 등의 위협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성벽 마을을 건설했다. 1563년 명나라는 해안 방어를 강화하기 위해 홍콩 지역 남단에 수군 기지(남두채)를 설치하고 1565년에는 참장을 두어 통괄하게 했다. 1573년에는 신안현이 신설되어 현청을 남두에 두었다. 설치 당시 신안현의 인구는 약 34,000명이었다. 1517년에는 포르투갈인들이 툰먼을 점거했으나, 1522년 명나라 군대에 의해 격퇴되었다. 이후 포르투갈인들은 마카오로 거점을 옮겼다.[80]

청나라 초기, 강희제의 명령으로 해안 주민들을 강제 이주시킨 천계령(遷界令) 이후, 많은 객가인들이 현재의 홍콩을 포함한 신안현 지역으로 이주해 왔다. 청나라 시대 홍콩은 계속해서 신안현의 관할 하에 있었다.

린틴 섬(현재의 네이링딩 섬)에 정박한 아편 선박들, 1824년. 아편 무역은 제1차 아편 전쟁의 주요 원인이 되었다.


청나라가 광저우를 대외 무역항으로 개방한 후, 1699년부터 동인도 회사 등이 내항하기 시작했고, 1711년에는 광저우에 영국 상관이 설치되었다. 19세기 초, 영국은 중국으로부터 , 비단, 도자기 등을 대량 수입하면서 심각한 무역 적자를 겪었다.[33][34] 영국은 시계 등 사치품을 수출했지만 격차를 메우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중국은 영국이 확보하기 어려운 은(銀)을 결제 수단으로 요구했다. 이 무역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영국은 인도에서 재배한 아편을 중국에 불법적으로 판매하기 시작했다. 아편 중독이 확산되자 청나라 관리 린쩌쉬는 빅토리아 여왕에게 서한을 보내 아편 무역의 부당함을 알리고 중단을 요구했다. 그러나 영국은 이를 무시하고 오히려 아편 무역을 보호하기 위해 군사적 압력을 가했다. 자딘 매티슨과 같은 영국 무역 회사의 로비 활동도 영향을 미쳐, 영국 의회는 근소한 차이로 군대 파견을 결정했다.[35]

1839년 청나라의 아편 단속을 빌미로 영국은 제1차 아편 전쟁을 일으켰다. 1841년 1월 20일, 찰스 엘리엇이 이끄는 영국군은 홍콩 섬을 무력으로 점령했다. 전쟁에서 패배한 청나라는 1842년 8월 29일 불평등 조약인 난징 조약에 서명하고 홍콩 섬을 영국에 영구 할양해야 했다.[36] 이듬해 영국은 빅토리아 시티 건설을 시작하고 총독부를 설치하여 홍콩을 왕령식민지로 삼았다.

1860년 제2차 아편 전쟁에서 청나라가 다시 패배하면서, 영국은 베이징 조약을 통해 바운더리 스트리트 이남의 가우룽반도스톤커터스섬을 추가로 할양받았다. 1898년에는 홍콩 영토 확장 협약(베이징 제2 협약)을 통해 선전강 이남의 신계와 주변 섬들을 99년간 조차했다.

영국 점령 이전 홍콩에는 본토인, 객가, 단가, 호클로 등 다양한 원주민 집단이 거주하고 있었다. 영국 측 기록에도 단가와 호클로인이 "오래전부터" 홍콩에 살았다고 언급되어 있다.[26][27]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역시 이들이 "선사 시대부터" 홍콩에 거주했다고 기술한다.[28][29][30] 1841년 영국이 홍콩 섬을 점령했을 당시 인구는 약 7,450명이었으며, 대부분 해안가 마을에 거주하는 단가 어민과 객가 생산자들이었다.[31][32] 1850년대에는 태평천국의 난을 피해 많은 중국인들이 홍콩으로 이주했으며, 이후에도 중국 본토의 혼란은 홍콩으로의 인구 유입을 촉진하여 피난처로서의 역할을 했다.

홍콩과 관련된 영국과 중국 간의 조약 및 협약
날짜조약결과비고
1841년 1월 20일천비 조약홍콩섬의 영국에 대한 예비 할양그린 아일랜드와 압레이차우 포함.
홍콩섬 할양 전 이 지역은 신안현이 관할했다.
1842년 8월 29일난징 조약홍콩섬 할양, 영국령 왕령식민지로 설립
1860년 10월 18일베이징 조약카울룽 할양바운더리 스트리트 남쪽, 응옹순차우 포함.
카울룽 반도 할양 전 이 지역은 신안현이 관할했다.
1898년 7월 1일베이징 제2 협약
(홍콩 영토 확장 협약)
신계 임대신안현선전강 남쪽, 뉴가우룽, 란터우섬 및 외곽 섬 포함.



1888년 홍콩, 마카오, 광저우 지도


베이징 조약

4. 영국 식민지 시대

1839년 청나라의 아편 수입 금지 조치는 영국과의 제1차 아편 전쟁으로 이어졌다. 전쟁 중인 1841년 영국군은 홍콩 섬을 점령했고,[36] 1842년 난징 조약 체결로 홍콩 섬은 정식으로 영국에 영구 할양되었다.[36] 영국은 빅토리아 시티를 건설하고 총독부를 신설하여 식민 통치를 시작했다. 1843년 6월, 헨리 포틴저 경이 초대 홍콩 총독으로 취임했다.

이후 1856년 발발한 제2차 아편 전쟁에서 청나라가 패배하면서, 1860년 베이징 조약에 따라 바운더리 스트리트 남쪽의 구룡반도와 스톤커터스 아일랜드가 추가로 영국에 영구 할양되었다. 또한 영국은 중국에 대한 영향력 확대를 위해 1898년 베이징 제2 협약을 통해 구룡반도 북쪽과 선전강 이남의 신계 지역 및 주변 섬들을 99년간 조차했다. 이 조차 기간은 1997년 6월 30일 만료될 예정이었다.

홍콩과 관련된 영국과 중국 간의 조약 및 협약
날짜조약결과비고
1841년 1월 20일추엔피 조약홍콩 섬의 영국에 대한 예비 할양그린 아일랜드와 압레이차우 포함.
홍콩 섬 할양 전 이 지역은 신안현이 관할했다.
1842년 8월 29일난징 조약홍콩 섬 할양, 영국령 왕령 식민지로 설립
1860년 10월 18일베이징 조약카울룽 할양바운더리 스트리트 남쪽, 응옹순차우 포함.
카울룽 반도 할양 전 이 지역은 신안현이 관할했다.
1898년 7월 1일베이징 제2 협약
(홍콩 영토 확장 협약)
신계 임대신안현의 선전 강 남쪽, 뉴 카울룽, 란타우 섬 및 외딴 섬 포함.



19세기 홍콩은 영국의 주요 자유 무역항으로 선언되어 영국의 물산 집산지로 활용되었다. 구룡반도와 광둥성을 잇는 철도가 개통되었고, 가스 회사(1862년), 전기 회사(1890년) 등 기반 시설이 들어섰다. 버스, 페리, 피크 트램 등 대중교통도 발달했다. 1865년에는 홍콩 상하이 은행이 설립되어 금융 중심지의 기반을 다졌다.[39]

영국식 교육 시스템이 도입되었고, 기독교 선교사들은 많은 학교와 교회를 설립했다. 1887년 런던 선교 협회는 홍콩 중국 의학 대학을 설립했는데, 쑨원은 1892년 이 학교의 첫 졸업생 중 한 명이었다. 이 대학은 1911년 설립된 홍콩 대학교 의과 대학의 전신이 되었다. 1870년대-1880년대 이후 홍콩은 아시아의 영국령 중 빅토리아 문화가 가장 발달한 지역 중 하나가 되었다. 1884년에는 로열 홍콩 조키 클럽 경마장이 건설되어 영국인들의 사교장으로 이용되었다.

1860년대 빅토리아 항구와 홍콩 섬


1895년경의 센트럴


1910년경의 센트럴


1894년에는 흑사병이 홍콩을 덮쳤다. 이는 피크 레저베이션 조례 제정과 같은 인종 분리 정책의 빌미가 되기도 했다.[40] 1899년 4월에는 신계 캄틴 주민들이 캇힝와이에서 영국 식민 정부에 대항하여 봉기했으나 진압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1914년) 잠시 혼란이 있었으나 홍콩은 직접적인 전쟁 피해를 입지 않았고, 인구는 계속 증가했다. 그러나 1930년대 중국 본토의 혼란과 일본 제국의 팽창은 홍콩을 위협했다.

'''일본 점령기 (1941년 ~ 1945년)'''

1941년 12월 8일, 진주만 공격 8시간 후, 사카이 다카시가 지휘하는 일본 제국 육군 제23군이 홍콩을 침공하면서 홍콩 전투가 시작되었다. 일본군은 압도적인 전력으로 제공권을 장악하고 영연방군을 몰아붙였다. 영국군, 캐나다군, 인도군 및 홍콩 자원 방위군으로 구성된 방어군은 긴 드링커 선과 구룡반도에서 격렬하게 저항했으나 역부족이었다. 특히 캐나다 위니펙 척탄병은 웡나이총 갭에서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

구룡역 부근에서 영국군을 제압하는 일본군


반도 호텔에서 열린 영국군과 일본군의 항복 교섭


결국 1941년 12월 25일, 홍콩 섬의 유일한 저수지가 함락되자 홍콩 총독 마크 에이치슨 영은 페닌슐라 호텔에서 일본군에 항복했다. 이 날은 홍콩에서 "암흑의 크리스마스(Black Christmas)"로 기억된다. 이후 이소가이 렌스케가 초대 일본 총독으로 부임하여 3년 8개월간의 일본 군정이 시작되었다.

일본 점령 하의 홍콩 시민들은 극심한 고통을 겪었다. 일본 군정은 홍콩 달러 사용을 금지하고 아무런 준비금 없이 일본 군표를 대량 발행하여 극심한 하이퍼인플레이션을 유발했다. 식량은 강제로 배급되었고, 배급량은 민간인들에게 기아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많은 시민들이 식량 부족과 질병으로 고통받았으며, 일부는 중국 본토로 강제 추방되었다. 약 1만 명의 홍콩 민간인이 처형되었으며, 많은 다른 사람들은 고문을 당하거나 강간을 당하거나 신체 훼손을 당했다. 일본은 영국식 지명을 일본식으로 바꾸고 일본어 사용을 강요하는 등 탈영국화 정책을 추진했다.

일본 전쟁 범죄자들이 스탠리 감옥으로 이송될 준비를 하고 있다.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항복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이 종전되면서 홍콩은 영국군과 중국군의 연합군에 의해 해방되었다. 3년 8개월간의 점령 기간 동안 홍콩의 인구는 전쟁 전 160만 명에서 60만 명으로 급감했다. 일본 군표는 전후 영국군의 명령으로 휴지 조각이 되었다. 영국은 홍콩에 대한 식민 통치를 재개했다.

5.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중국 대륙에서는 국공 내전이 벌어졌고, 1949년 마오쩌둥이 이끄는 중국 공산당이 승리하여 중화인민공화국을 수립했다. 패배한 중화민국의 중국 국민당 정부는 대만으로 이전했다. 이 과정에서 공산당 통치를 피하려는 많은 본토 주민들이 홍콩으로 이주해 왔다.[84] 또한 상하이나 광저우에 기반을 둔 기업들, 예를 들어 스와이어 그룹(Swire Group)이나 자딘 매터슨(Jardine Matheson) 같은 외국 자본과 화인 자본 역시 홍콩으로 본사를 옮기면서 홍콩 경제 발전에 기여했다. 훗날 홍콩 행정수반이 되는 덩젠화나 정무사장(政務司長)을 지낸 앤슨 챙(陳方安生) 등 상하이 출신 엘리트들이 홍콩 사회에 자리 잡게 된 배경이기도 하다.

홍콩 빅토리아, 1950년대


조던의 상하이루 (1960년대)


건물 밖에서 물통을 들고 줄을 선 사람들
1963년 7월 홍콩에서 물을 받기 위해 줄을 선 사람들


급증하는 이주민들로 인해 홍콩의 인구는 빠르게 회복되었으나, 주택 부족 문제가 심각해져 곳곳에 대규모 판자촌이 형성되었다. 이는 화재와 위생 문제를 야기했고, 1953년 석킵메이 화재와 같은 재난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이에 알렉산더 그랜섬 총독은 고층 공공 주택 건설 계획을 추진하여 홍콩의 상징적인 고층 건물 시대를 열었다. 초기 공공 주택의 환경은 여러 가구가 공동 시설을 사용하는 등 열악했다. 한편, 노스 포인트 지역은 상하이를 떠나온 사람들로 인해 '리틀 상하이'(小上海)로 불리기도 했다.[45]

1950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고 중화인민공화국이 개입하자, 유엔은 중국에 대한 경제 제재를 단행했다. 이로 인해 홍콩의 주요 산업이었던 중계 무역은 큰 타격을 입었다. 하지만 중국 본토에서 유입된 막대한 노동력과 기술, 자본을 바탕으로 홍콩은 섬유제조업을 중심으로 빠르게 공업화되었다. 단추, 조화, 우산, 법랑 제품, 신발, 플라스틱 등 다양한 경공업 제품을 생산하여 국제 시장에 수출하면서 홍콩 경제는 급격히 성장했다. 이 시기 홍콩은 중계 무역항에서 제조업 중심지로 변모하며 삶의 질도 점차 개선되었다.

영국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전 세계적인 탈식민지화 흐름 속에서도 전략적 가치를 이유로 홍콩 통치를 유지하고자 했다. 1950년 영국은 서방 국가 중에서는 비교적 빠르게 중화인민공화국을 승인하고 국교 수립 협상을 진행했으며[82], 대만의 중화민국과는 영사 관계를 유지했다.[83] 영국 정부는 홍콩의 주권 반환 대상이 중화민국이 아닌 중화인민공화국이 될 것임을 인지하고 있었다. 한편, 홍콩 내부에서는 마크 영 총독이 제안했던 민주적 정치 개혁안인 '영 계획'이 있었으나, 후임인 그랜섬 총독은 국공 내전의 여파와 공산 정권 수립이라는 불안정한 상황 속에서 민주화가 오히려 정치적 갈등을 심화시키고 중국을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개혁을 추진하지 않았다.[84]

1960년대 홍콩 경제는 제조업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했지만, 물 부족 문제에 직면하기도 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중화인민공화국의 둥장에서 물을 끌어오는 대규모 송수관(東深供水工程)이 건설되었다[85]. 그러나 1966년 중국 대륙에서 문화대혁명이 시작되자 홍콩 사회도 큰 혼란에 휩싸였다. 문화대혁명의 영향을 받은 좌파 및 공산주의 지지자들이 67 폭동을 일으켜 식민 통치에 반대하는 격렬한 시위와 파업을 벌였다. 시위 과정에서 수제 폭탄이 사용되는 등 폭력 사태가 발생했으며, 경찰과 영국군은 약 8,000개의 폭탄을 해체해야 했다.[46] 심지어 홍위병선전 국경을 넘어와 영국군 및 홍콩 경찰과 총격전을 벌이는 일도 있었다. 중국 정부는 시위 진압 과정에서 발생한 부상자에 대해 사과를 요구하고 군대를 동원하는 등 압력을 가했으나, 저우언라이 총리가 "장기적인 관점에서 홍콩을 회수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밝히면서 사태는 점차 진정되었다. 이 시기 대약진 운동과 문화대혁명 등으로 인해 중국 본토에서의 탈출 행렬(도항자)은 계속 이어졌다.

1970년대의 구룡 성과 홍콩 빅토리아


1970년대에 들어서 홍콩 사회는 안정을 되찾고 발전을 지속했다. 정부 보조 교육 기간이 6년에서 9년으로 확대되었고, 시민들의 휴식 공간인 컨트리 파크 시스템이 조성되었다. 1974년에는 머레이 맥레호스 총독이 부패 방지 위원회(ICAC)를 설립하여 당시 만연했던 홍콩 경찰의 부패 문제 해결에 나섰다. 초기에는 경찰의 반발도 있었으나, ICAC의 강력한 활동으로 홍콩은 세계적으로 부패가 적은 사회 중 하나로 평가받게 되었다. 또한 남녀가 동등한 노동에 대해 동등한 임금과 혜택을 받도록 보장하고, 기혼 여성의 영구 고용 권리를 인정하는 법률이 제정되는 등 사회적 진전도 이루어졌다.[49][50][51] 경제적으로는 리자청과 같은 기업가들이 부상하며 섬유 산업 중심의 경공업이 발달했다. 1978년 중국이 개혁 개방 정책을 시작하자, 홍콩은 중국 본토 투자의 주요 창구 역할을 하게 되었다. 이듬해에는 홍콩과 인접한 선전에 특별경제구역이 설치되었다. 중국 시장 개방과 홍콩 내 임금 상승으로 제조업체들은 점차 중국 본토로 이전하기 시작했고, 홍콩 경제는 금융, 상업, 관광 중심의 서비스업으로 전환되었다. 이러한 경제 발전을 바탕으로 홍콩은 싱가포르, 대만, 대한민국과 함께 '아시아의 네 마리 용' 또는 아시아 NIEs로 불리게 되었다. 소득 증가는 타이쿠싱과 같은 대규모 고층 사유 주택 단지의 등장을 가져왔다.

마거릿 대처 총리


홍콩 빅토리아, 1980년대


1980년대에 접어들면서 1997년으로 다가온 신계 조차 기한 만료 문제가 주요 현안으로 떠올랐다. 영국마거릿 대처 총리는 중국의 개혁 개방을 계기로 홍콩 통치를 연장하려 했으나, 중국의 최고 지도자 덩샤오핑은 '항인치항'과 '일국양제' 원칙을 내세우며 홍콩 전체의 주권 반환을 요구했다. 덩샤오핑은 협상 과정에서 영국이 요구에 응하지 않을 경우 무력 사용 가능성까지 시사하며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 결국 1984년 12월 19일, 영국과 중국은 중영 공동 선언에 서명하여 1997년 7월 1일부로 홍콩의 주권을 중화인민공화국에 반환하기로 합의했다. 선언문에는 홍콩이 특별 행정구로서 향후 50년간(2047년까지) 기존의 자본주의 체제와 생활 방식, 법률 시스템을 유지한다는 '일국양제' 원칙이 명시되었다.[43]

주권 반환 결정은 홍콩 사회에 큰 불안감을 안겨주었다. 많은 홍콩 주민들은 공산당 통치 하의 미래를 우려하여 영국 연방 국가인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등으로 이민을 떠나는 붐이 일어났다. 이러한 불안감은 1989년 베이징에서 발생한 천안문 사태로 인해 더욱 증폭되었다. 홍콩에서는 민주화 시위를 지지하고 중국 정부의 무력 진압을 규탄하는 대규모 시위가 열렸으며, 이 사건을 계기로 이민 행렬은 더욱 거세졌다. 한편, 이러한 정치적 격변기 속에서도 1980년대 홍콩 문화는 황금기를 맞이했다. 홍콩 영화성룡, 주윤발과 같은 스타들을 배출하며 세계적인 인기를 얻었고, 광동 팝 음악계에서는 매염방, 장국영 등이 큰 사랑을 받았다.

6. 홍콩 반환

1970년대에 들어 신계의 조차 기한 만료가 다가오자 영국 정부는 중화인민공화국에 조차 기간 연장을 요청했으나 거절당했다.[82] 1980년대 중국의 개혁 개방 정책이 본격화되면서 홍콩의 제조업 기반은 중국 본토로 이전하고, 홍콩은 금융, 상업, 관광 중심지로 변모했다.

1982년, 영국의 마거릿 대처 총리는 중국의 개방 정책을 통해 영국의 홍콩 통치를 연장할 수 있으리라 기대하며 협상을 시작했다. 그러나 덩샤오핑은 '항인치항' 원칙을 내세우며 영국의 지속적인 통치 요구를 거부했고, 영국이 협조하지 않을 경우 무력 행사나 식수 공급 중단 같은 실력 행사를 할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 예상치 못한 강경한 태도에 대처 총리는 큰 충격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1984년 12월 19일, 마거릿 대처 총리와 중국의 자오쯔양 총리는 중영 공동 선언에 서명했다. 이 선언에 따라 영국은 1997년 7월 1일부로 신계뿐만 아니라 구룡 반도와 홍콩 섬까지 포함한 홍콩 전체의 주권을 중화인민공화국에 반환하기로 합의했다. 중국은 덩샤오핑이 제안한 일국양제 원칙에 따라, 반환 후 50년 동안 홍콩의 기존 자본주의 체제와 생활 방식을 유지하며 고도의 자치권을 보장하는 특별 행정구로 운영할 것을 약속했다.[43][86]

그러나 공산당 일당 체제인 중화인민공화국의 통치에 대한 불안감으로 인해 홍콩 주민들 사이에서는 이민 붐이 일었다. 많은 이들이 영국 연방 국가인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등으로 이주했다. 이러한 불안감은 1989년 톈안먼 사건 이후 더욱 증폭되어, 중국 정부의 강압적인 통치 방식에 대한 우려 속에 다시 한번 대규모 이민 행렬이 이어졌다.[86]

1990년 4월 4일, 반환 후 홍콩의 미니 헌법 역할을 할 홍콩 기본법이 공식 제정되었다. 친중파는 이를 환영했지만, 민주파 진영에서는 민주적 절차가 충분히 보장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1992년 7월, 마지막 영국 홍콩 총독으로 크리스 패튼이 부임했다. 패튼 총독은 홍콩 입법회의 직선 의석을 늘리는 등 민주적 개혁을 추진했으나, 이는 기본법 정신에 위배된다며 중국 정부의 강한 반발을 샀다.[86]

크리스 패튼 전 홍콩 총독


이러한 정치적 긴장과 이민 물결에도 불구하고, 중국 본토 자본의 유입으로 반환 직전 홍콩의 부동산과 주식 시장은 호황을 누렸다.

1997년 7월 1일, 예정대로 홍콩의 주권은 영국에서 중화인민공화국으로 공식 이양되었다.[44] 홍콩 특별 행정구가 출범했고, 마지막 총독 크리스 패튼은 홍콩을 떠났다. 패튼의 개혁으로 선출되었던 입법회는 중국 정부가 구성한 임시 입법회로 대체되었으며, 친중 성향의 재계 인사 둥젠화가 선거위원회를 통해 초대 홍콩 행정장관으로 선출되었다.[52][86] 홍콩 반환은 사실상 영국 최후의 주요 식민지 반환이었기에, 서구 언론에서는 이를 대영 제국의 종언을 상징하는 사건으로 평가하기도 했다.[87][88][89][90]

반환 이후 홍콩 사회의 여러 측면에서 변화가 나타났다. 다음 표는 주요 변경 사항을 요약한 것이다.

1997년 이후 변경 없음1997년 이후 변경됨
|


7. 홍콩 특별행정구 시대

1997년 7월 1일 자정, 홍콩 반환 의식이 거행되었고, 영국의 통치는 막을 내렸다. 董建華중국어(둥젠화)가 초대 홍콩의 행정장관으로 취임하였다. 주권 반환 직후 홍콩은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의 타격을 받았으며, 같은 해 H5N1 조류 독감이 발생하여 사회적 불안감을 더했다.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홍콩 국제공항을 포함한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인 공항 핵심 계획(Airport Core Programme)이 1998년 완료되어 홍콩 발전의 기반을 다졌다.

빅토리아 피크에서 촬영한 홍콩 야경


2003년 초에는 SARS(사스)가 홍콩을 휩쓸어 299명의 사망자를 내는 등 큰 피해를 입혔고, 관광객 급감으로 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주었다. 같은 해, 홍콩 정부가 홍콩 기본법 제23조(국가보안법) 입법을 추진하자, 시민들의 권리와 자유를 침해할 수 있다는 우려 속에 약 50만 명(주최 측 추산)이 참여하는 대규모 반대 시위가 열렸다. 결국 홍콩 정부는 해당 법안 추진을 철회했다. 시민들의 불만이 커지는 가운데, 2005년 둥젠화 행정장관이 사임하고 당시 정무사장(Chief Secretary for Administration)이었던 도널드 창이 후임 행정장관으로 선출되었다.

주권 반환 이후 홍콩 사회는 여러 변화를 겪었다. 중화인민공화국이 외교권과 군사권을 행사하게 되었고, 중국 인민해방군이 주둔하게 되었다. 보통화(표준 중국어)가 영어, 광둥어와 함께 실질적인 공용어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일국양제 원칙에 따라 기존의 사회·경제 시스템과 커먼 로 법체계는 유지되었다.

1997년 이후 큰 변화가 없는 부분1997년 이후 변경된 부분



남부 구룡과 홍콩 빅토리아, 2000년대


남부 구룡과 홍콩 빅토리아, 2014


2000년대 들어 홍콩 경제는 SARS와 아시아 금융 위기의 충격에서 점차 회복세를 보였다. 중국 본토 관광객 자유 여행 허용(2003년), 홍콩 디즈니랜드 개장(2005년) 등으로 관광 산업이 활성화되었고, 외국 자본 투자도 증가하며 금융 중심지로서의 위상을 다졌다. 하지만 동시에 중국 본토의 영향력 확대에 대한 우려와 민주화 요구 또한 커져갔다. 홍콩 시민들의 정체성 인식 변화는 이러한 상황을 반영한다. 2012년 조사에서는 자신을 '중국인'이라고 답한 비율이 12.6%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한 반면, '홍콩인' 정체성을 우선시하는 비율은 65.2%로 최고치를 나타냈다.

2014년에는 행정장관 및 입법회 의원 직선제를 요구하는 우산 혁명이 일어나 홍콩 도심을 장기간 점거하는 대규모 시위가 벌어졌다. 2019년에는 범죄 용의자를 중국 본토로 인도할 수 있도록 하는 '범죄인 인도 법안' 개정 시도가 홍콩 역사상 최대 규모의 반정부 시위를 촉발했다.

홍콩 조던에서 대규모 코로나19 검사를 실시하는 의료 종사자


2020년 초부터는 COVID-19 팬데믹이 홍콩을 강타하여 사회·경제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다. 같은 해 6월 30일,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는 홍콩 국가 보안법을 제정하여 7월 1일부터 시행했다. 이 법은 홍콩의 자치권과 시민 사회 활동을 크게 위축시켰다는 비판을 받았다. 2021년 3월, 중국은 "애국자가 홍콩을 통치한다(愛國者治港)"는 원칙 하에 홍콩의 선거 제도를 개편하여 민주파의 정치 참여를 사실상 봉쇄했다.[75][76] 2022년 홍콩 행정장관 선거에서는 전직 보안 책임자 출신인 리자차오가 당선되었다.[100] 이러한 일련의 과정 속에서 홍콩의 정치적 상황과 민주주의는 큰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최근의 정치적 상황과 민주주의 위기 참조.

7. 1. 최근의 정치적 상황과 민주주의 위기

주권 이양 이후 홍콩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 중앙 정부의 영향력 아래 언론의 자유, 보도, 표현의 자유 등이 점차 위축되었으며, 선거에 대한 간섭 논란이 불거지면서 시민들의 불만이 누적되었다. 일부 홍콩 시민들은 주권 반환이 영국의 식민 통치에서 중국의 통치로 바뀌는 것일 뿐, 정치적 본질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는 시각을 보이기도 했다.[91] 실제로 홍콩 시민들의 정체성 인식 변화에서도 이러한 경향이 나타났다. 2009년 설문 조사에서는 홍콩인의 20%만이 자신을 '중국인'으로 인식했으며, 2012년 홍콩 중문 대학의 조사에서는 이 비율이 12.6%까지 하락하여 1997년(32.1%) 대비 크게 낮아졌다. 이는 조사 시작 이래 최저치였으며, 반대로 자신을 '홍콩인' 또는 '홍콩인이지만 중국인이기도 하다'고 답한 비율은 65.2%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2014년에는 홍콩 행정장관과 홍콩 입법회의 완전한 보통 선거 실시를 요구하는 대규모 시위인 우산 혁명(또는 사랑과 평화를 위한 센트럴 점령)이 발생했다. 이는 1984년 중영 공동 선언과 홍콩 기본법에서 약속된 민주적 개혁 이행을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에 촉구하는 시민 불복종 운동의 성격을 띠었다.

2016년 홍콩 입법회 선거에서는 기존의 친중국 진영과 친민주 진영 외에 홍콩의 독자성을 강조하는 지역주의 세력이 새로운 정치 세력으로 부상하여 6석을 확보했다. 그러나 선거 전 일부 후보가 선거 관리 위원회에 의해 출마 자격을 박탈당하는 논란이 있었으며(2016년 홍콩 입법회 후보 자격 박탈 논란), 선거 후에도 선출된 6명의 지역주의 성향 의원들이 홍콩 입법회 선서 논란으로 인해 의원직을 상실하는 등 정치적 갈등이 심화되었다.

2019년, 캐리 람 행정장관이 홍콩 내 범죄 용의자를 중국 본토로 인도할 수 있도록 하는 '도주범 조례 및 형사사법 공조 법률(개정) 법안'을 추진하자, 홍콩의 사법 독립성과 시민의 자유가 침해될 것이라는 우려 속에 대규모 반대 시위가 촉발되었다. 이 시위는 주최 측 추산 최대 200만 명 이상이 참여하는 등 홍콩 역사상 최대 규모로 번졌다. 홍콩 정부는 결국 법안을 공식 철회했지만, 시위는 경찰의 강경 진압과 민주주의 확대 요구 등 다른 쟁점으로 확산되며 격화되었다. 이에 홍콩 정부는 10월 4일, 1967년 육칠 폭동 이후 52년 만에 행정장관에게 비상대권을 부여하는 '긴급 상황 규칙 조례'를 발동하여 시위 진압에 나섰다.[92][93]

2020년 6월 30일,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는 홍콩 내 분리독립, 국가 전복, 테러 활동, 외세 개입 등을 처벌하는 내용을 담은 홍콩 국가 보안법을 통과시켜 7월 1일부터 시행했다. 이 법은 홍콩의 일국양제 원칙을 약화시키고 시민 사회와 민주 진영에 대한 강력한 통제 수단으로 작용했다. 법 시행 직후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다수의 시민들이 체포되었으며[94][95], 2021년 1월에는 민주파 전직 입법회 의원들을 포함한 53명이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대거 체포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여기에는 미국인 변호사 존 클랜시도 포함되어 외국인으로서는 첫 체포 사례가 되었다.[96][97] 또한 2020년 11월, 전국인민대표대회는 홍콩 입법회 의원의 자격을 박탈할 수 있는 권한을 홍콩 정부에 부여하는 결정을 내렸고, 이에 따라 다수의 민주파 의원들이 자격을 상실하거나 항의의 표시로 사퇴했다. 영국 정부는 이러한 조치가 중영 공동 선언 위반이라고 비판했다.[72]

2021년 3월 11일,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는 "홍콩을 다스리는 애국자" 원칙을 명분으로 홍콩의 선거 제도를 대대적으로 개편하는 결정을 통과시켰다.[75][76] 이 개혁안은 홍콩 행정장관 선거인단과 홍콩 입법회의 구성을 친중 진영에 절대적으로 유리하게 변경하고, 모든 후보자에 대해 후보 자격 심사 위원회의 사전 심사를 의무화하여 사실상 반중 또는 민주파 인사들의 출마를 어렵게 만들었다. 이러한 정치적 환경 속에서 2021년 6월, 홍콩의 대표적인 민주파 신문이었던 ''애플 데일리''는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자산이 동결되고 경영진 5명이 체포되면서 결국 폐간되었다. 창립자 지미 라이는 이미 다른 혐의로 투옥된 상태였다. 개편된 선거 제도 하에서 치러진 2021년 홍콩 입법회 선거에서는 투표율이 역대 최저치를 기록한 가운데 친중파 후보들이 의석 대부분을 차지했다.[99]

2022년 홍콩 행정장관 선거에서는 전직 경찰 고위 간부이자 보안 책임자였던 리자차오가 단독 후보로 출마하여 사실상 중국 정부의 지명 아래 행정장관으로 선출되었다.[100] 이는 홍콩의 정치적 자율성이 크게 축소되고 중국 중앙 정부의 통제가 더욱 강화되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으로 평가된다.

8. 한국과의 관계

한국 전쟁 당시 유엔이 공산국가와의 무역을 통제하면서 홍콩과 중국 본토 간의 무역이 중단되었다.

9. 참고: 용어 및 명칭

홍콩의 역사와 관련된 주요 용어 및 지명에 대한 설명은 아래 하위 섹션들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다.


  • '''홍콩의 명칭''': '홍콩'이라는 이름의 유래와 의미를 설명한다.
  • '''홍콩의 주요 지역''': 홍콩 섬, 구룡반도, 신계 등 주요 지역의 구분과 역사적 배경을 설명한다.
  • '''역사적 조약 및 사건''': 홍콩의 역사를 형성한 주요 조약(난징 조약, 베이징 조약, 중영 공동 선언 등)과 중요한 역사적 사건들을 설명한다.

9. 1. 홍콩의 명칭

홍콩 섬 남서부에는 홍콩자이(香港仔, Heung Gong Tsai|헝꽁자이yue)라는 지역이 있다. 이곳은 관광객들에게 해산물 요리 선박으로 유명한 애버딘(Aberdeen)으로 알려져 있지만, 과거에는 작은 어촌이었다.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이곳에 향나무가 많이 모여들었기 때문에 '향기로운 항구'라는 뜻의 '향항(香港, Heung Gong|헝꽁yue)'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홍콩이라는 지명은 넓게는 구룡 반도와 신계까지 포함하지만, 좁은 의미로는 홍콩 섬만을 가리키기도 한다. 영어 명칭 'Hong Kong'은 광둥어 발음 'Heong Gong(헝꽁)'을 영어식으로 표기한 것이다. 이 표기의 유래는 아편 전쟁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영국군이 처음 애버딘 부근에 상륙했을 때, 지역 주민에게 지명을 물었는데, 당시 단민(蛋民, 수상 생활자)의 독특한 억양으로 발음된 '헝꽁'을 그대로 기록하면서 'Hong Kong'이 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9. 2. 홍콩의 주요 지역

홍콩은 크게 홍콩 섬, 구룡반도, 신계 세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이들 지역은 역사적으로 서로 다른 시기에 영국의 통치하에 편입되었다.

'''홍콩 섬 (Hong Kong Island)'''

제1차 아편 전쟁의 결과로 체결된 1842년 난징 조약에 따라 청나라로부터 영국에 영구 할양되었다.[36] 이곳은 영국 식민 통치의 초기 중심지였으며, 빅토리아 시티가 건설되면서 발전의 기반을 다졌다. 현재 홍콩 섬은 홍콩의 금융, 상업, 정치의 핵심 지역으로 기능하며, 홍콩 상하이 은행 본점[39] 등이 위치한 홍콩 경제의 상징적인 공간이다.

'''구룡반도 (Kowloon Peninsula)'''

제2차 아편 전쟁 이후 1860년 베이징 조약에 따라 바운더리 스트리트 이남 지역이 영국에 영구 할양되었다. 홍콩 섬의 북쪽, 빅토리아 항을 사이에 두고 마주 보고 있다. 이곳은 활발한 상업 활동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많은 인구가 밀집하여 거주하는 주요 주거 지역이다.

'''신계 (New Territories)'''

1898년 홍콩 영토 확장 협약(베이징 제2 협약)에 따라 선전강 이남의 광활한 본토 지역과 란타우 섬을 포함한 200여 개의 주변 섬들이 99년간 영국에 조차되었다.[42] 신계는 홍콩 전체 면적의 약 90%를 차지하는 가장 넓은 지역이다. 과거에는 주로 농촌 지역이었으나, 지속적인 개발을 통해 현재는 전통적인 마을과 함께 대규모 신도시들이 들어서 농촌과 도시 경관이 공존하고 있다. 또한 신계 토착민(본토인, 객가, 단가, 호클로)들이 오랫동안 삶의 터전을 이루어 온 곳이기도 하다.[26][27]

9. 3. 역사적 조약 및 사건

홍콩의 역사는 여러 중요한 조약과 사건들을 통해 형성되었다. 특히 영국청나라, 이후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 속에서 맺어진 조약들은 홍콩의 영토와 주권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홍콩 시민들의 정치적 요구와 사회 변화를 반영하는 주요 사건들이 현대 홍콩의 정체성을 만들어왔다.

19세기 영국은 중국과의 무역, 특히 무역에서 막대한 적자를 보고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영국은 인도아편을 중국에 판매하기 시작했다.[33][34] 청나라 정부가 아편 수입을 금지하자 영국은 이를 빌미로 1839년 제1차 아편 전쟁을 일으켰다. 전쟁에서 승리한 영국은 1841년 1월 20일 추엔피 조약(예비 조약)을 통해 홍콩 섬을 점령하였고, 1842년 8월 29일 난징 조약을 체결하여 홍콩 섬을 정식으로 할양받았다.[36] 이로써 홍콩은 영국의 왕령 식민지가 되었다.

이후 1856년 발발한 제2차 아편 전쟁(애로우 전쟁)에서도 청나라가 패배하면서 1860년 10월 18일 베이징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 조약으로 영국은 홍콩 섬 맞은편의 구룡반도 중 바운더리 스트리트 이남 지역과 스톤커터스 아일랜드를 추가로 영구 할양받았다.

19세기 말, 영국은 방어선 확보와 영향력 확대를 위해 추가 영토를 요구했다. 1898년 7월 1일, 영국은 홍콩 영토 확장 협약(제2차 베이징 조약)을 통해 선전강 이남, 바운더리 스트리트 이북의 신계 지역과 주변 235개 섬을 99년간 조차(租借, 빌려 사용함)하게 되었다. 이 조차 기한은 1997년 6월 30일에 만료될 예정이었다.

홍콩과 관련된 영국과 중국 간의 조약 및 협약
날짜조약결과비고
1841년 1월 20일추엔피 조약홍콩 섬의 영국에 대한 예비 할양그린 아일랜드와 압레이차우 포함.
홍콩 섬 할양 전 이 지역은 신안현이 관할했다.
1842년 8월 29일난징 조약홍콩 섬 할양, 영국령 왕령 식민지로 설립
1860년 10월 18일베이징 조약카울룽 할양바운더리 스트리트 남쪽, 응옹순차우 포함.
카울룽 반도 할양 전 이 지역은 신안현이 관할했다.
1898년 7월 1일홍콩 영토 확장 협약신계 임대신안현의 선전강 남쪽, 뉴 카울룽, 란타우 섬 및 외딴 섬 포함. 99년 조차.



1980년대에 들어서 신계 조차 기한 만료가 다가오자 영국과 중국은 홍콩의 미래에 대한 협상을 시작했다. 1982년 영국의 마거릿 대처 총리는 중국을 방문하여 덩샤오핑과 회담했지만, 덩샤오핑은 홍콩 전체의 주권 반환을 강력히 요구했다. 결국 1984년 12월 19일, 양국은 중영 공동 선언에 서명했다. 이 선언에 따라 영국은 1997년 7월 1일부로 홍콩 전체의 주권을 중국에 반환하기로 합의했다. 중국은 향후 50년간 홍콩에 고도의 자치권을 부여하고 기존의 자본주의 체제와 생활 방식을 유지하는 일국양제(一國兩制, 한 국가 두 체제) 원칙을 약속했다.[43]

1989년 중국에서 천안문 사건이 발생하자 홍콩 사회는 큰 충격을 받았고, 중국의 통치에 대한 불안감으로 많은 홍콩 주민들이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등 해외로 이민을 떠났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1990년 4월 4일, 홍콩의 기본법이 제정되었다. 기본법은 '일국양제' 원칙을 명문화했지만, 행정장관 및 입법회 의원 선출 방식 등 민주주의 발전과 관련된 조항은 충분히 민주적이지 않다는 비판이 있었다. 마지막 홍콩 총독 크리스 패튼은 반환 직전 민주적인 선거 개혁을 추진했으나 중국 정부의 강한 반발을 샀다.

1997년 7월 1일, 홍콩은 예정대로 중국에 반환되었고, 홍콩 특별행정구가 성립되었다. 초대 행정장관으로는 둥젠화가 취임했다.

반환 이후 홍콩 사회는 여러 도전을 겪었다. 2003년 사스(SARS) 유행으로 경제가 큰 타격을 입었고, 홍콩 기본법 제23조 입법 추진은 시민들의 대규모 반대 시위를 불러일으켰다.

2014년에는 행정장관 직선제를 요구하는 대규모 민주화 시위인 우산 혁명(Umbrella Movement)이 발생했다. 학생들을 중심으로 시작된 이 시위는 홍콩 도심 주요 도로를 수개월간 점거하며 진행되었으나, 결국 정부의 강경 대응과 내부 동력 약화로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이 사건은 홍콩 사회의 정치적 갈등과 중국 중앙정부와의 긴장 관계를 드러냈다.

2019년에는 범죄인 인도 법안 추진이 대규모 반정부 시위를 촉발했다. 이 법안은 홍콩 내 범죄 용의자를 중국 본토로 송환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어, 홍콩의 사법 독립과 인권 침해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낳았다. 수백만 명의 시민이 참여한 시위는 법안 철회를 넘어 경찰의 강경 진압에 대한 조사와 민주적 개혁을 요구하는 방향으로 확대되었다. 홍콩 정부는 결국 법안을 공식 철회했지만, 시위는 2020년까지 이어졌고 이 과정에서 홍콩 정부는 긴급 상황 규칙 조례를 발동하기도 했다.[92][93]

2020년 6월 30일,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는 홍콩 국가보안법을 제정하여 7월 1일부터 시행했다. 이 법은 국가 분열, 정권 전복, 테러 활동, 외국 세력과의 결탁 등 4가지 범죄를 처벌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최고 무기징역까지 선고할 수 있다. 법 시행 이후 많은 민주 인사들이 체포되거나 기소되었고, 애플 데일리 등 비판적인 언론사가 폐간되는 등 홍콩 사회의 자유와 자치권이 크게 위축되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94][95][96][97] 2021년에는 선거 제도가 개편되어 입법회 및 행정장관 선거에서 친중 진영에 유리한 구조가 강화되었고, "애국자가 홍콩을 다스린다"는 원칙이 강조되었다.[75][76] 이러한 일련의 조치들은 중영 공동 선언과 홍콩 기본법에 명시된 '일국양제' 원칙이 훼손되고 있다는 국제 사회의 우려를 낳고 있다.[72]

참조

[1] 웹사이트 the population was 2000000.675 CIA https://web.archive.[...] HK GDP 2004 2007-03-06
[2] 웹사이트 Treaty of Nanjing {{!}} Definition, Terms, & Facts https://www.britanni[...] 2009-04-10
[3] 웹사이트 Why Did Hong Kong Belong to Britain? https://www.thoughtc[...] 2020-06-09
[4] 웹사이트 Hong Kong ceded to the British https://www.history.[...] 1841-01-20
[5] 웹사이트 Japan invades Hong Kong https://www.history.[...] 2019-12-16
[6] 웹사이트 Three Years and Eight Months: Hong Kong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https://library.ust.[...]
[7] 웹사이트 Economic History of Hong Kong https://eh.net/encyc[...]
[8] 뉴스 A Culture of Emigration https://www.theatlan[...]
[9] 웹사이트 In Pictures: The 1997 Handover of Hong Kong from Britain to China https://hongkongfp.c[...] 2016-12-31
[10] 웹사이트 Hong Kong's Return To China https://www.britanni[...]
[11] 뉴스 China's interference in Hong Kong reaching alarming levels: U.S. congressional panel https://www.reuters.[...] 2016-11-17
[12] 뉴스 Security Laws Target of Huge Hong Kong Protest https://www.nytimes.[...] 2003-07-02
[13] 뉴스 Hong Kong's umbrella revolution – the Guardian briefing https://www.theguard[...] 2014-09-30
[14] 뉴스 What Is Hong Kong's Extradition Bill? https://www.nytimes.[...] 2019-06-10
[15] 뉴스 China's new law: Why is Hong Kong worried? https://www.bbc.com/[...] BBC News 2020-06-30
[16] 뉴스 What you need to know about Hong Kong's controversial new national security law https://www.cnn.com/[...] CNN
[17] 논문 Report on the Date of the Wong Tei Tung Archaeological Assemblage https://www.amo.gov.[...] 2007-04-30
[18] 웹사이트 Rescue excavation at Sha Ha, Sai Kung https://www.amo.gov.[...] 2018-07-31
[19] 웹사이트 2005 Field Archaeology on Sham Chung Site http://www.hkarch.or[...]
[20] 서적 The Archaeology of Hong Kong Hong Kong University Press
[21] 웹사이트 Nam Viet {{!}} ancient kingdom, Asia https://www.britanni[...] 1998-07-20
[22] 웹사이트 Hong Kong Museum of History: Lei Cheng Uk Han Tomb https://www.lcsd.gov[...] 2020-07-30
[23] 웹사이트 Last emperor: is Shenzhen the resting place of final Song ruler? https://www.scmp.com[...] 2019-11-07
[24] 웹사이트 Sung Wong Toi {{!}} Hong Kong Tourism Board https://www.discover[...]
[25] 논문 Chinese Refugees in Annam and Champa at the end of the Sung Dynasty http://dx.doi.org/10[...] 1966-09
[26] 서적 Hong Kong https://books.google[...] Govt. Press
[27] 서적 Hong Kong: report for the year ... https://books.google[...] Government Press
[28] 서적 The Encyclopedia Americana, Volume 14 https://books.google[...] Grolier Incorporated
[29] 서적 Encyclopedia Americana, Volume 1 https://books.google[...] Scholastic Library Pub.
[30] 서적 The Encyclopedia Americana, Volume 14 https://books.google[...] Grolier
[31] 문서 John Thomson 1837–1921, Chap on Hong Kong http://irc.aa.tufs.a[...] Illustrations of China and Its People 1873-1874
[32] 웹사이트 Hong Kong Gov Info http://www.info.gov.[...] History of Hong Kong 2007-02-16
[33] 논문 Private Trade between England and China in the Eighteenth Century (1680–1833) http://www.jstor.org[...] 1957
[34] 웹사이트 opium trade {{!}} History & Facts https://www.britanni[...] 2015-04-17
[35] 서적 Opium, Empire and the global political economy: a study of the Asian opium trade, 1750–1950 Psychology Press
[36] 논문 The Treaty of Nanking: Form and the foreign office, 1842–43 http://www.midley.co[...] 1996
[37] 서적 Old Hong Kong – Volume One Text Form Asia books Ltd 2003
[38] 서적 The Golden Needle: The Biography of Frederick Stewart (1836–1889) Hong Kong 1997
[39] 서적 Discovering Hong Hong's Cultural Heritage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40] 서적 Streets: Exploring Hong Kong Island Hong Kong University Press
[41] 웹사이트 Life Inside The Most Densely Populated Place on Earth [Infographic] http://www.popsci.co[...] Popular Science 2013-04-18
[42] 웹사이트 Why Did Hong Kong Belong to Britain? https://www.thoughtc[...] 2021-01-29
[43] 보고서 Six-Monthly Report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Joint Declaration on Hong Kong https://assets.publi[...] Foreign and Commonwealth Office, Government of the United Kingdom 1997-07
[44] 학술지 Setting the Sun on the British Empire: British Economic Interests and the Decolonisation of Hong Kong https://scholarworks[...] 2019
[45] 서적 Streets: Exploring Hong Kong Island Hong Kong University Press
[46] 서적 Old Hong KongVolume Three Text Form Asia books Ltd 2003
[47] 서적 Plague, SARS, and the Story of Medicine in Hong Kong HK University Press 2006
[48] 서적 Hong Kong: The Road to 1997 By Roger Buckle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49] 웹사이트 Toronto SUN http://m.torontosun.[...]
[50] 웹사이트 Celebrating two lives well lived : Featured OTT : Videos https://web.archive.[...] 2014-09-24
[51] 뉴스 Life, love and service https://torontosun.c[...] 2012-04-07
[52] 논문 British views of the legacy of the colonial administration of Hong Kong: A preliminary assessment 1997
[53] 웹사이트 Hong Kong Monetary Authority – Coins https://www.hkma.gov[...] 2023-04-22
[54] 서적 Culture Shock! Hong Kong Marshall Cavendish Editions
[55] 서적 The Fear of Chinese Power: an International History Bloomsbury Academic 2024
[56] 웹사이트 Hong Kong – Buildings – EMPORIS https://www.emporis.[...]
[57] 웹사이트 Poverty in Hong Kong hits record high with 1 in 5 considered poor https://www.scmp.com[...] 2017-11-17
[58] 뉴스 China coronavirus: death toll almost doubles in one day as Hong Kong reports its first two cases https://www.scmp.com[...] 2020-01-22
[59] 웹사이트 To mask or not to mask: WHO makes U-turn while US, Singapore abandon pandemic advice and tell citizens to start wearing masks https://www.scmp.com[...] 2020-04-04
[60] 학술지 Impact assessment of non-pharmaceutical interventions against coronavirus disease 2019 and influenza in Hong Kong: an observational study 2020-04-17
[61] 웹사이트 How Hong Kong Did It https://www.msn.com/[...] MSN 2020-05-12
[62] 뉴스 How Hong Kong squashed its second coronavirus wave https://fortune.com/[...] 2020-04-21
[63] 웹사이트 How did Hong Kong's third wave of Covid-19 infections start? https://www.scmp.com[...] 2020-07-21
[64] 웹사이트 Dance off: the niche social scene behind Hong Kong's biggest Covid-19 cluster https://www.scmp.com[...] 2020-11-26
[65] 웹사이트 Hong Kong tightens Covid-19 rules – group gatherings limited to 2, eateries to close 10pm, new hotline for rule-breakers https://hongkongfp.c[...] 2020-11-30
[66] 웹사이트 Hong Kong plans partial lockdowns for Covid-19 hotspots and more tests, as number of new infections surges https://hongkongfp.c[...] 2020-12-08
[67] 웹사이트 Get a jab, win a condo: Hong Kong tries vaccine incentives https://apnews.com/a[...] 2021-06-17
[68] 웹사이트 Coronavirus: how Omicron is spreading in Hong Kong wave triggered by Cathay Pacific aircrew and a relative linked to 32 other confirmed infections https://www.scmp.com[...] 2022-01-12
[69] 웹사이트 Covid-19: 2 years on, Hong Kong reels in worst-ever outbreak – how did we get here? https://hongkongfp.c[...] 2022-02-21
[70] 웹사이트 Analysis: Hong Kong's 'zero-COVID' success now worsens strains of Omicron spike https://www.reuters.[...] 2022-02-21
[71] 웹사이트 Hong Kong reports 32,430 COVID cases, 264 deaths https://www.reuters.[...] 2022-03-13
[72] 웹사이트 China has breached Hong Kong Joint Declaration, says UK https://www.politico[...] 2020-11-12
[73] 뉴스 Xi Focus: Xi stresses "patriots governing Hong Kong" when hearing Carrie Lam's work report http://www.xinhuanet[...] Xinhua 2021-01-27
[74] 뉴스 夏寶龍指反中亂港分子極端惡劣者需依法嚴懲 https://news.tvb.com[...] 2021-03-01
[75] 뉴스 China approves plan to veto Hong Kong election candidates https://www.france24[...] France 24 2021-03-11
[76] 뉴스 Improving Hong Kong's electoral system important for developing high-quality democracy http://www.chinatoda[...] China Today 2021-03-07
[77] 뉴스 Hong Kong's biggest pro-democracy newspaper to close as Beijing tightens its grip https://edition.cnn.[...] CNN 2021-06-23
[78] 웹사이트 Rewilding Hong Kong: How reintroducing species could help heal our forests and fight climate change https://hongkongfp.c[...] 2022-11-08
[79] 웹사이트 古代香港的採珠業 https://hkchronicles[...] 2021-03-08
[80] 웹사이트 屯門地名初探 https://hkchronicles[...]
[81] 서적 米欧回覧実記・5 岩波書店 1996
[82] 문서 British note recognising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s://en.wikisourc[...]
[83] 웹사이트 Taiwan-UK Relations https://www.roc-taiw[...] 2015-10-22
[84] 서적 概説 中華圏の戦後史 東京大学出版会 2022
[85] 논문 Management of limited water resources in Hong Kong 1993
[86] 서적 The Decline and Fall of the British Empire, 1781–1997 Random House 2007
[87] 뉴스 Charles' diary lays thoughts bare BBC News 2006-02-22
[88] 서적 The Twentieth Century, The Oxford History of the British Empire Volume IV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89] 뉴스 Britain, the Commonwealth and the End of Empire BBC News
[90] 웹사이트 Britain, the Commonwealth and the End of Empire http://www.bbc.co.uk[...] BBC News
[91] 문서 都市国家・香港の経済とアジア危機 https://www.ritsumei[...]
[92] 뉴스 香港政府に「緊急条例」発動計画ない-行政長官諮問機関の陳智思氏 https://www.bloomber[...] ブルームバーグ 2019-09-09
[93] 뉴스 香港、半世紀ぶり「緊急条例」発動 覆面を禁止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9-10-04
[94] 웹사이트 香港で「独立」の旗掲げ逮捕 国家安全維持法の施行後で初 https://www.bbc.com/[...] 2020-07-01
[95] 웹사이트 香港の「国家安全維持法」、初の逮捕は10人に https://www.bbc.com/[...] 2020-07-02
[96] 웹사이트 香港、米国人弁護士を逮捕 国安法巡る取り締まりで=公共放送 https://jp.reuters.c[...] 2021-01-06
[97] 웹사이트 香港民主派の逮捕者、米国人弁護士含む53人に…国安法で外国人逮捕は初か https://www.yomiuri.[...] 2021-01-06
[98] 웹사이트 香港初のロックダウン、九竜地区の一角-住民に新型コロナで強制検査 https://www.bloomber[...] ブルームバーグ 2021-01-24
[99] 웹사이트 香港で立法会選挙実施、親中派が圧勝 https://www.jetro.go[...]
[100] 웹사이트 次期行政長官に李家超氏、「4大政策」実施に全力 https://www.jetro.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