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산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산시는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 동부에 위치한 현급시이다. 발해 시대에는 동평부 이주가 설치되었으며, 1908년 청나라에 의해 미산부가 설치되었다. 1913년 중화민국 성립 후 미산현으로 개칭되었고, 만주국 시대에는 일본인 개척단이 이주해 오기도 했다. 일제강점기에는 한국 독립운동의 기지였으며, 신민회 회원들이 밀산무관학교를 설립했다. 현재는 7개 진, 8개 향, 1개 민족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쾨펜 기후 분류상 냉대 동계 소우 기후에 속한다. 린미선, 미동선 등의 철도와 건계고속도로, 이흥고속도로가 지나며, 미국의 주노와 자매결연을 맺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시시의 행정 구역 - 디다오구
디다오구는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 지시시에 위치한 구로, 1950년대 초 개발이 시작되어 현대적인 도시로 발전했으며, 현재 4개의 가도와 2개의 향을 관할하고 철도 및 도로 교통망과 디다오구 인민 병원이 위치해 있다. - 지시시의 행정 구역 - 마산구
마산구는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으로, 1개의 가도를 관할하며 철도, 고속도로, 국도가 지나고 마산구 인민병원이 있다. - 헤이룽장성의 현급시 - 하이린시
하이린시는 헤이룽장성 동남부에 위치한 현급시로, 풍부한 삼림 자원과 철도, 도로 교통의 발달, 그리고 다양한 관광 명소로 유명하다. - 헤이룽장성의 현급시 - 퉁장시
퉁장시는 헤이룽장성 북동부에 위치한 러시아 국경 도시로, 쑹화강과 아무르강 합류 지점에 있으며,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고, 2022년 철도교 개통으로 중국-러시아 간 철도 통로가 되었다.
미산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공식 명칭 | 미산시 |
원어 명칭 | }} |
별칭 | (정보 없음) |
![]() | |
일반 정보 | |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
성 | 헤이룽장성 |
지급시 | 지시시 |
행정 구역 종류 | 현급시 |
소재지 | (정보 없음) |
하위 행정 구역 | (정보 없음) |
정부 | |
정부 형태 | (정보 없음) |
지도자 | (정보 없음) |
면적 | |
총 면적 | 7,722.38 km² |
토지 면적 | (정보 없음) |
수역 면적 | (정보 없음) |
도시 면적 | (정보 없음) |
인구 | |
총 인구 | 407,451 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도시 인구 | (정보 없음) |
시간대 | |
시간대 | 중국 표준시 |
UTC 오프셋 | +8 |
행정 구역 코드 | |
우편 번호 종류 | 중국 우편 번호 |
우편 번호 | 158300 |
지역 번호 | 0467 |
행정 구역 코드 | 230382 |
기후 | |
기후 | Dwb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http://www.hljms.gov.cn/ |
역사 | |
설치 | 1908년 |
청나라 시기 명칭 | 미산부 |
중화민국 시기 명칭 | 미산현 |
만주국 시기 명칭 | 미산현 |
중화인민공화국 시기 명칭 | 미산현 미산시 (1988년) |
2. 역사
발해는 698년부터 936년까지 북부 한반도, 만주 일부, 프리모르스키 지방을 점령했으며, 나나이족, 우데게족, 퉁구스어족 계통 민족의 후예와 멸망한 고구려의 백성들로 구성되었다. 발해는 거란족, 시위족, 신라, 흑수말갈과 접경하고 있었으며, 이들의 대부분은 현재의 중국과 몽골에 위치하고 있었다.[1] 통강 인근 지역은 부니 말갈 부족(한자: 拂涅靺鞨; 병음: Fúniè Mòhé; 한국어: 불열말갈/Bulyeol malgalko-Latn)에 의해 정착되었으며, 이 부족들은 문왕 (737-793) 통치하에 발해 왕국에 복속되었다.
이후 선왕 (재위 818-830)은 이 지역에 동평부(東平府)를 설치하고, 현재의 당벽(중국어 간체자: 当壁, 병음: Dāngbì)에 해당하는 이주(伊州)를 행정 중심지로 삼아 영토를 관리했다.
1908년(광서제 34년) 청나라에 의해 '''미산부'''가 설치되었다. 1913년(민국 2년) 중화민국이 성립되면서 '''미산현'''으로 개칭되었으며, 지린성의 관할이 되었다. 만주국 시대에는 히로시마현에서 온 히로시마 개척단이 이주해 왔으나, 중일 전쟁 패배 후 철수 과정에서 둥안역 폭파 사건으로 많은 단원들이 희생되었다. 이는 일본 제국주의의 무리한 식민 정책과 전쟁의 비극성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1945년(민국 34년)에 쑹장성으로 이관되었고, 1954년에 헤이룽장성으로 다시 이관되었다. 1988년 미산시로 개편되어 현재에 이른다.
2. 1. 발해 시대
발해는 698년부터 936년까지 북부 한반도, 만주 일부, 프리모르스키 지방을 점령했으며, 나나이족, 우데게족, 퉁구스어족 계통 민족의 후예와 멸망한 고구려의 백성들로 구성되었다. 발해는 거란족, 시위족, 신라, 흑수말갈과 접경하고 있었으며, 이들의 대부분은 현재의 중국과 몽골에 위치하고 있었다.[1] 통강 인근 지역은 부니 말갈 부족(한자: 拂涅靺鞨; 병음: Fúniè Mòhé; 한국어: 불열말갈/Bulyeol malgalko-Latn)에 의해 정착되었으며, 이 부족들은 문왕 (737-793) 통치하에 발해 왕국에 복속되었다.이후 선왕 (재위 818-830)은 이 지역에 동평부(東平府)를 설치하고, 현재의 당벽(중국어 간체자: 当壁, 병음: Dāngbì)에 해당하는 이주(伊州)를 행정 중심지로 삼아 영토를 관리했다.
2. 2. 근대
1908년(광서제 34년) 청나라에 의해 '''미산부'''가 설치되었다. 1913년(민국 2년) 중화민국이 성립되면서 '''미산현'''으로 개칭되었으며, 지린성의 관할이 되었다. 만주국 시대에는 히로시마현에서 온 히로시마 개척단이 이주해 왔으나, 중일 전쟁 패배 후 철수 과정에서 둥안역 폭파 사건으로 많은 단원들이 희생되었다.2. 3. 현대
1945년(민국 34년)에 쑹장성으로 이관되었고, 1954년에 헤이룽장성으로 다시 이관되었다. 1988년 미산시로 개편되어 현재에 이른다.3. 한국과의 관계
밀산현이라고 불렀던 미산은 일제에 맞선 한국 독립운동의 기지였던 한흥동이 있었다. 한국에서 이주해간 사람들 수천 명이 모여 벌판을 개간하고 독립군 군량미를 수확했다. 이범석·김좌진 장군 등이 미산을 거점으로 독립군을 일으켰다. 2009년 미산시 스리와에 항일투쟁유적기념비가 세워졌다.[6]
신민회 회원들은 밀산현 봉밀산자에 밀산무관학교를 설립하였다. 일제 관헌의 1916년의 첩보에 따르면 이갑이 교장이라는 보고가 있다. 밀산무관학교도 안창호 등 신민회 망명간부들이 1910년에 설립하려다 실패한 것을 그 후 이갑 등이 설립한 것이라고 추정된다.[7]
3. 1. 일제강점기 독립운동
미산은 일제에 맞선 한국 독립운동의 기지였던 한흥동이 있던 곳이다. 한국에서 이주해간 사람들 수천 명이 모여 벌판을 개간하고 독립군 군량미를 수확했다. 이범석·김좌진 장군 등이 미산을 거점으로 독립군을 일으켰다. 2009년 미산시 스리와에 항일투쟁유적기념비가 세워졌다.[6]신민회 회원들은 밀산현 봉밀산자에 밀산무관학교를 설립하였다. 일제 관헌의 1916년의 첩보에 따르면 이갑이 교장이라는 보고가 있다. 밀산무관학교도 안창호 등 신민회 망명간부들이 1910년에 설립하려다 실패한 것을 그 후 이갑 등이 설립한 것이라고 추정된다.[7]
3. 2. 역사적 의의와 현재
1907년에 결성된 신민회 회원들은 밀산현 봉밀산자에 밀산무관학교를 설립하였다. 1916년 일제 관헌의 첩보에 따르면 이갑이 교장이라는 보고가 있다.[6] 밀산무관학교는 안창호 등 신민회 망명 간부들이 1910년에 설립하려다 실패한 것을 그 후 이갑 등이 설립한 것으로 추정된다.[7]밀산현이라고 불렀던 미산은 일제에 맞선 한국 독립운동의 기지였던 한흥동이 있었다. 한국에서 이주해간 사람들 수천 명이 모여 벌판을 개간하고 독립군 군량미를 수확했다. 이범석, 김좌진 장군 등이 미산을 거점으로 독립군을 일으켰다. 2009년 미산시 스리와에 항일투쟁유적기념비가 세워졌다.[6]
4. 지리
한카호의 북안 지역에는 주로 미산시(중국령)가 위치하고 있으며, 그 외에는 러시아 극동 연방 관구에 속하는 프리모르스키 지방의 한카 지구(카메니-루이볼로프)가 서안 지역을, 스파스스키 지구(스파스크-달니)가 동안 지역을, 호롤 지구(호롤)가 남안 지역에 접하고 있다.
5. 행정 구역
미산시는 7개 진, 8개 향, 1개 민족향을 관할한다.
- 진: 미산密山镇zh-Hans, 롄주산连珠山镇zh-Hans, 즈이知一镇zh-Hans, 페이더裴德镇zh-Hans, 헤이타이黑台镇zh-Hans, 당비当壁镇zh-Hans, 싱카이兴凯镇zh-Hans.
- 향: 류마오柳毛乡zh-Hans, 양무杨木乡zh-Hans, 청쯔허承紫河乡zh-Hans, 바이파오쯔白泡子乡zh-Hans, 얼런반二人班乡zh-Hans, 타이핑太平乡zh-Hans, 허핑和平乡zh-Hans, 푸위안富源乡zh-Hans.
- 민족향: 싱카이후 조선족兴凯湖朝鲜族乡zh-Hans.
5. 1. 진 (鎭)
미산 시는 7개 진, 8개 향, 1개 민족향을 관할한다. 2017년 기준으로, 1개의 가도, 8개의 진, 7개의 향, 1개의 민족향을 관할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진: 미산진, 롄주산진, 즈이진, 페이더진, 헤이타이진, 당비진, 싱카이진, 바이위만진
5. 2. 향 (鄕)
미산시는 7개 진, 8개 향, 1개 민족향을 관할한다.- 향: 류마오향, 양무향, 청쯔허향, 바이파오쯔향, 얼런반향, 타이핑향, 허핑향, 푸위안향
5. 3. 민족향
미산시는 1개의 가도, 8개의 진, 7개의 향, 1개의 민족향을 관할한다. 이 중 민족향으로는 싱카이후 조선족향(兴凯湖朝鲜族乡)이 있다.6. 기후
미산시는 쾨펜 기후 분류에 따르면 냉대 동계 소우 기후(Dwb)에 속한다.[8][3][4] 겨울은 길고 춥고 건조하며, 여름은 짧고 덥고 습하다. 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월 평균 기온은 1월에 -16.2°C로 가장 낮고, 7월에 22.0°C로 가장 높다.[3][4] 연간 강수량은 대부분 여름철에 집중되며, 7월에 121.9mm로 가장 많고, 2월에 4.3mm로 가장 적다.[3][4]
7. 교통
7. 1. 철도
중국철로 하얼빈국 집단공사 관할의 린미선이 지시 방면에서 黑台站중국어, 连珠山站중국어, 을 거쳐 미산역으로 연결된다. 또한, 미동선이 미산역에서 , 을 거쳐 동방홍 방면으로 이어진다.7. 2. 도로
건계고속도로와 이흥고속도로가 미산시를 지난다.8. 자매 도시
9. 기타
9. 1. 의료 시설
미산시에는 미산시 민족 병원이 있다.9. 2. 출입국 관리
미산시의 출입국 관리는 미산 출입국 검사소에서 담당한다.참조
[1]
간행물
Balhae
https://en.wikipedia[...]
2022-11-17
[2]
웹사이트
国家统计局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21-12-07
[3]
웹사이트
中国气象数据网 – WeatherBk Data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7-05
[4]
웹사이트
Experience Template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7-05
[5]
웹사이트
Sister Partnerships by US State – Asia Matters for America
https://asiamattersf[...]
[6]
뉴스
기자수첩 - 쓸쓸했던 '항일(抗日)기념비 제막식'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09-10-19
[7]
웹사이트
독립기념관
http://www.independe[...]
[8]
웹인용
中国地面气候标准值月值(1981-2010)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Data Service Center
2022-08-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